KR20010084835A - 사출물 게이트 커팅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출물 게이트 커팅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4835A
KR20010084835A KR1020000010167A KR20000010167A KR20010084835A KR 20010084835 A KR20010084835 A KR 20010084835A KR 1020000010167 A KR1020000010167 A KR 1020000010167A KR 20000010167 A KR20000010167 A KR 20000010167A KR 20010084835 A KR20010084835 A KR 2001008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jection
gate
cutting
ru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670B1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00-001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6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8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4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 등으로 성형되는 사출물에서 제품과 게이트 사이를 커팅하는 게이트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출기로부터 공급된 사출물이 공냉되며 단계적으로 이송되는 로딩부; 로딩부의 작업대기 단계와 나란히 배치되며, 게이트를 커팅할 수 있도록 로딩부로부터 이송된 사출물을 안착시키는 지그부; 지그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지그부에 안착된 사출물의 게이트를 커팅하여 러너와 제품으로 분리하는 커팅부; 지그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러너는 폐기하고 제품은 적재하기 위한 배출부; 및 로딩부, 지그부, 배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로 사출물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물의 게이트 커팅작업 및 가공 완료된 제품의 적재를 자동으로 행함으로써, 제품의 가공시간을 절감하고,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출물 게이트 커팅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cutting gat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크릴 수지 등으로 성형되는 사출물에서 제품과 게이트 사이를 커팅하는 게이트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와 같은 제품의 사출물을 자동으로 커팅하고, 적재하는 게이트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커팅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사출물의 일예로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 장치에 사용되는 렌즈 사출물(1)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렌즈 사출물(1)은, 대략 그 중앙부에 러너(2)가 돌출 성형되어 있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나무가지 모양으로 각 4개 씩의 게이트(3)가 형성되며, 각 게이트(3)의 선단에는 렌즈(4)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커팅장치는, 이렇게 사출기로부터 형성된 렌즈 사출물(1)의 게이트(3)와 렌즈(4) 사이를 커팅하여 렌즈(4)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게이트 커팅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433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보에 개시된 게이트 커팅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개시된 종래의 게이트 커팅장치에 의하면, 사출물(1)을 커팅장치에 로딩하고, 커팅작업이 완료되면 렌즈(4)와 러너(2)를 분리하여 렌즈(4)만을 별도의 적재용 스틱에 적재하는 작업 등을 작업자에 의해 행함으로써, 렌즈(4)의 전체 가공시간이 늦고, 작업 정밀도가 저하될 뿐만아니라, 스틱에 적재시 렌즈(4)의 이탈로 인한 망실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출물의 게이트 커팅작업 및 가공완료된 제품의 적재 등을 자동으로 행함으로써, 제품의 가공시간을 절감하고,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게이트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렌즈 사출물의 일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커팅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커팅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커팅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커팅장치의 이송부의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 사출물 2 : 러너
3 : 게이트 4 : 렌즈
10 : 로딩부 11 : 버퍼
13 : 피더 16 : 클램핑 플레이트
19 : 사출물 배출공 20 : 지그부
21 : 제품 클램퍼 23 : 제전장치
30 : 커팅부 31 : 스핀들 커터
32 : 집진장치 35 : 2축 로봇
40 : 배출부 41 : 러너 배출공
42 : 제품안착 플레이트 44 : 안내 플레이트
45 : 매거진 50 : 이송부
51 : 제 1 그리퍼 52 : 제 2 그리퍼
53 : 1축 로봇 57 : 제 1 제품핸드
58 : 제 2 제품핸드 59 : 러너핸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게이트 커팅장치는, 사출기로부터 공급된 사출물이 공냉되며 단계적으로 이송되는 로딩부; 로딩부의 작업대기 단계와 나란히 배치되며, 게이트를 커팅할 수 있도록 로딩부로부터 이송된사출물을 안착시키는 지그부; 지그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지그부에 안착된 사출물의 게이트를 커팅하여 러너와 제품으로 분리하는 커팅부; 지그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러너는 폐기하고 제품은 적재하기 위한 배출부; 및 로딩부, 지그부, 배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로 사출물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딩부는, 상기 사출기로부터 공급된 사출물이 안착되는 버퍼;상기 버퍼의 하부에 상하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퍼에 안착된 사출물을 한 스텝씩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피더; 상기 피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피더실린더; 상기 피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 2 피더실린더; 상기 버퍼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출물 이송정지 중에 게이트를 가압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과 핀으로 구성된 다수의 게이트 클램퍼가 형성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클램핑 플레이트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그부는, 사출물의 형태에 맞추어 배열되어 제품을 고정하는 복수의 제품 클램퍼; 및 상기 제품 클램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 및 상기 이온발생기의 하부에 부설되어 상기 제품 클램퍼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에어노즐로 이루어진 제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팅부는, 상기 지그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에 안착된 사출물의 게이트를 커팅하는 스핀들 커터; 상기 스핀들 커터를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상기 스핀들 커터의 하부에 장착되어 게이트 커팅시 발생되는 칩을 흡착하는 집진장치; 상기 스핀들 커터, 상기 스핀들 모터 및 상기 집진장치에 결합되어 이들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커팅부 승강실린더; 및 상기 커팅부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스핀들 커터, 상기 스핀들 모터, 상기 집진장치 및 상기 커팅부 승강실린더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2 축 로봇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지그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러너가 폐기되는 러너 배출공; 상기 러너 배출공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품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안착홈이 계단식으로 배열 형성되고, 스윙 가능하게 설치된 제품안착 플레이트; 상기 제품안착 플레이트를 스윙시키는 로터리 엑츄에이터; 상기 안착홈에 연결되는 진공수단; 상기 제품안착 플레이트가 스윙되어 그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품이 적재되는 매거진; 상기 제품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매거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품을 상기 매거진에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노치홈이 형성된 안내 플레이트; 및 상기 매거진을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매거진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는, 사출물을 파지하여 상기 로딩부에서 상기 지그부로 이송하는 제 1 그리퍼; 상기 로딩부와 상기 지그부 사이의 거리만큼 상기 제 1 그리퍼와 간격을 두어 설치되며, 상기 러너와 상기 제품을 파지하여 상기 지그부에서 상기 배출부로 이송하는 제 2 그리퍼; 및 상기 제 1 및 제 2 그리퍼를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1 축 로봇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그리퍼는, 사출물을 파지하는 핑거; 상기 핑거의 파지 동작을 가능케 하는 제 1 실린더; 및 상기 핑거를 승강 시키는 제 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그리퍼는, 상기 제품을 흡착하는 다수의 진공패드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2개의 제품핸드; 상기 2개의 제품핸드를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는 2개의 제 3실린더; 상기 2개의 제품핸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러너를 파지하는 러너핸드; 상기 러너핸드의 파지동작을 가능케 하는 제 4 실린더; 및 상기 제품 핸드 및 러너 핸드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제 5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커팅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정면도, 도 4는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게이트 커팅장치는 크게 로딩부(10), 지그부(20), 커팅부(30), 배출부(40) 및 이송부(50)로 구성되어 있다.
로딩부(10)는 작업자 혹은 별도의 로봇 등에 의해 사출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사출물, 즉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사출물(1)이 안착되어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곳이다.
도면부호 11은 사출기로부터 공급된 사출물(1)이 안착되는 버퍼로서, 다수의 사출물(1)이 단계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본 실시예에서는 사출물(1)이 진입위치(11a)로부터 작업대기위치(11b)까지 5 단계로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버퍼(11)의 중앙에는 후술할 피더(13)가 진입될 수 있도록 슬릿(12)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13은 버퍼(11)의 하부에, 도 4에서의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버퍼(11)에 안착된 사출물(1)을 한 스텝씩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피더이다. 이처럼 사출물(1)을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사출기로부터 꺼내어진 고온의 사출물(1)을 충분히 공냉시킨 후 지그부(20)에 공급하여 게이트커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피더(13)는 그 하부에 설치되는 제 1 피더실린더(14)에 의해 버퍼(11)의 슬릿(12)을 통하여 승강되며, 그 측면에 설치된 제 2 피더실린더(15)에 의해 좌우로 이동된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6은 버퍼(11)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클램핑 플레이트이다. 클램핑 플레이트(16)의 저부에는 코일 스프링(17a)과 핀(17b)으로 구성된 다수의 게이트 클램퍼(17)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클램핑 플레이트 승강실린더(18)가 설치된다. 사출물(1)의 이송정지 중에 클램핑 플레이트 승강실린더(18)에 의해 클램핑 플레이트(16)가 하강하여 게이트 클램퍼(17)의 핀(17b)이 사출물(1)의 게이트(3)를 가압으로써 사출물(1)이 공냉되면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게이트(3)의 가압은 1차적으로는 클램핑 플레이트 승강실린더(18)의 스트로크 조절에 의해 이루어지나, 어느 정도 가압이 되면 클램핑 플레이트(16)의 하강이 정지되고 코일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2차적으로 가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2 에서, 도면부호 19는 사출물 배출공이다. 어떤 오류 등으로 인하여 게이트 커팅작업이 중단되고 있을 경우에도 사출물(1)이 작업대기위치(11b)에 적체되지 않고 버퍼(11) 상에서 계속 이송되어 이 사출물 배출공(19)을 통하여 별도의 보관박스(미도시)로 떨어져 쌓이도록 한다. 이는 게이트 커팅장치에서 커팅작업이 중단된다고 하여서 사출기의 운전도 정지시킨다면, 재가동시 사출작업에 적합하도록 사출기를 다시 예열하여야 하는 시간 및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그부(20)는 로딩부(10)의 다음 공정에 배치되며, 사출물(1)의 게이트(3)를 커팅할 수 있도록 상기 로딩부(10)의 작업대기위치(11b)로부터 이송된 사출물(1)을 커팅작업을 위해 안착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21은 사출물(1)이 안착되면 제품, 즉 본 실시예에서의 렌즈(2)만을 클램프하는 복수의 제품 클램퍼로서, 사출물(1)의 형태에 맞추어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4)를 클램프할 수 있도록 각 4개씩의 제품 클램퍼(21)가 2열로 나란히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2열의 제품 클램퍼(21) 사이는 그 중앙부에 사출물이 안착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제외하고는, 후술할 스핀들 커터(31)가 커팅작업을 위해 게이트(3)와 렌즈(4) 사이로 진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제품 클램퍼(2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실린더(22)에 의해 각 열의 제품 클램퍼(21) 4개씩, 모두 8개가 동시에 렌즈(4)를 클램프할 수도 있고, 가공 공차를 엄격하게 요구하는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작업시간의 증가를 감수하고, 각 제품 클램퍼(21)마다 개별적으로 실린더를 연결하여 제품을 순차적으로 클램프 함으로써 클램프가 완료된 제품부터 순차적으로 커팅작업을 행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도면부호 23은 제전장치로서, 이온발생기(23a)와 그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에어노즐(23b)로 구성된다. 제전장치(23)는 제품 클램퍼(21) 쪽으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에어를 분사해줌으로써, 후술할 스핀들 커터(31)에 의해 커팅작업이 이루어질 때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고, 커팅작업시 발생되는 칩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커팅작업시의 정전기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칩이 주변기기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팅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후술할 이송부(50)의 제 2 그리퍼(52)에 포함된 진공패드(60)로 렌즈(4)상면을 막아 렌즈(4) 비구면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팅부(30)는 지그부(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그부(20)에 안착된 사출물의 게이트(3)를, 정확하게는 게이트(3)와 렌즈(4) 사이를 커팅하여 사출물(1)을 러너(2)와 렌즈(4)로 분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31은 제품 클램퍼(21)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출물의 게이트(3)와 렌즈(4) 사이를 커팅하는 스핀들 커터이다. 스핀들 커터(31)는 스핀들 모터(33)에 의해 구동된다. 스핀들 커터(31)의 하부에는 그를 원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게이트 커팅시 발생되는 칩을 빨아들이는 집진장치(32)가 설치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집진장치(32)에는 별도의 진공발생기가 연결되어 커팅작업시 발생된 칩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술한 제전장치(23) 및 집진장치(32)를 설치함으로써 커팅작업시 발생되는 칩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스핀들 커터(31), 스핀들 모터(33) 및 집진장치(32)는 커팅부 승강실린더(34)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들 스핀들 커터(31), 스핀들 모터(33), 집진장치(32) 및 커팅부 승강실린더(34)는 일반적인 2축 로봇(35), 즉 직교좌표형 로봇 위에 안착되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지그부(20)에 사출물(1)이 안착되면, 스핀들 커터(31)는 커팅부 승강실린더(34)에 의해 상승하고, 2축 로봇(35)에 의해 전후/좌우로 이동하면서 게이트(3)와 렌즈(4) 사이를 커팅하여 사출물(1)을 렌즈(4)와 러너(2)로 분리한다.
배출부(40)는 지그부(20)의 다음 공정에 배치되며, 지그부(20)에서 각각 분리된 러너(2)는 폐기하고 렌즈(4)는 적재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41은 러너 배출공으로서, 지그부(20) 다음에 그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지그부(20)에서 커팅되어 사출물(1)로부터 분리된 러너(2)를 폐기하기 위한 것이다. 러너 배출공(41) 다음에는 그와 나란하게 제품안착 플레이트(42)가 배치된다. 제품안착 플레이트(42)는 지그부(20)에서 분리된 렌즈(4)가 안착되도록 각 4개씩의 안착홈(42a)들이 지그부(20)에서의 2열의 제품 클램퍼(2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2열의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제품안착 플레이트(42)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로터리 엑츄에이터(43)에 의해 후술할 매거진(45) 쪽으로 스윙되며,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착홈(42a)에는 별도의 진공발생기가 연결되어 렌즈(4)를 흡착함으로써 제품안착 플레이트(42)의 스윙 동작시에 렌즈(4)가 안착홈(42a)으로 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부호 45는 렌즈(4)가 적재되는 매거진으로서, 다수의 렌즈 적재용 스틱(46)들이 다단으로 적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 적재용 스틱(46)이 각 8개씩 10단으로, 모두 80개가 적재되는 매거진(45)을 도시하고 있다.
제품안착 플레이트(42)와 매거진(45) 사이에는 안내 플레이트(44)가 매거진(45)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안내 플레이트(44)의 표면에는 스윙동작 완료된 제품안착 플레이트(42)의 각 안착홈(42a)으로부터 렌즈 적재용 스틱(46)의 입구를 향하여 다수의 노치홈(44a)이 형성되어, 제품안착 플레이트(42)의 스윙동작 완료 후에 그로부터 분리된 렌즈(4)가 렌즈 적재용 스틱(46)에 적재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매거진(45)은 볼나사 및 서보모터 등으로 구성된 매거진 승강수단(47)에 의해 승강된다. 승강수단(47)은 한 단의 렌즈 적재용 스틱(46)들에 렌즈(4)가 모두 적재되면, 다음 단의 렌즈 적재용 스틱(46)에 렌즈(4)를 적재하기 위하여, 매거진(45)을 한 단씩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송부(50)는 상기 로딩부(10), 상기 지그부(20) 및 상기 배출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로 사출물(1)을 이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51은 사출물(1)을 파지하여 로딩부(10)에서 지그부(20)로 이송하는 제 1 그리퍼이고, 도면부호 52는 지그부(20)에서 분리된 러너(2)와 렌즈(4)를 파지하여 배출부(40)로 이송하는 제 2 그리퍼이다. 제 1 그리퍼(51)와 제 2 그리퍼(52)는 로딩부(10)와 지그부(2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제 1 그리퍼(51)가 로딩부(10)에서 사출물(1)을 취출할 때, 제 2 그리퍼(52)는 지그부(20)에서 커팅작업이 완료된 러너(2)와 렌즈(4)를 취출하게 된다.
제 1 및 제 2 그리퍼(51)(52)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볼나사 및 서보모터 등으로 구성된 1 축 로봇(53)에 설치되어 로딩부(10),지그부(20) 및 배출부(40) 사이를 왕복하며 사출물(1)을 이송한다.
도 5는 이송부(5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그리퍼(51)는 사출물(1)의 게이트와 게이트 사이를 파지하는 핑거(54), 핑거(54)의 파지 동작을 가능케 하는 제 1 실린더(55) 및 상기 핑거(54)를 승강시키는 제 2 실린더(5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그리퍼(51)는 사출물(1)이 로딩부(10)의 작업위치(11b)에 이송되면, 사출물(1)을 핑거(54)로 파지하여 지그부(20)에 안착시킨다.
제 2 그리퍼(52)는 서로 일정 간격, 즉 지그부(20)에서 2열의 제품 클램퍼(2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제 1 및 제 2 제품핸드(57)(58)와, 이러한 2개의 제품핸드(57)(58) 사이에 설치되는 러너핸드(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제품핸드(57)(58)에는 상기 지그부(20)에서 분리된 렌즈(4)를 흡착하는 다수의 진공패드(60)가 설치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제품핸드(57)(58)에는 이들을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도록 2개의 제 3 실린더(61)가 각 하나씩 연결된다. 러너핸드(59)에는 러너(2)를 파지할 수 있도록 제 4 실린더(62)가 설치된다. 또한, 2개의 제품핸드(57)(58) 및 러너핸드(59)의 상부에는 이들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제 5 실린더(63)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그리퍼(52)는 지그부(20)에서 사출물(1)의 커팅작업이 완료되면, 제 5 실린더(63)에 의해 하강하여, 렌즈(4)는 제 1 및 제 2 제품핸드(57)(58)로, 러너(2)는 러너핸드(59)로 각각 흡착 및 파지한다. 그후, 제 2 그리퍼(52)는 다시 상승하고, 러너 배출공(41)의 상부로 이동하여, 러너(2)를 러너 배출공(41)으로 떨어뜨려 폐기한다. 제 2 그리퍼(52)가 배출부(40) 방향, 즉 도 2에서 우측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제품안착 플레이트(4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먼저 제 1 제품핸드(57)가 그에 연결된 제 3 실린더(61)에 의해 하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2열의 계단식으로 배열된 안착홈(42a)의 앞열에 렌즈를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제 2 그리퍼(52)는 우측으로 더 이동한 후, 제 2 제품핸드(58)가 그에 연결된 제 3 실린더(61)에 의해 하강하여, 뒷열에 렌즈(4)를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물의 게이트 커팅작업 및 가공 완료된 제품의 적재를 자동으로 행함으로써, 제품의 가공시간을 절감하고, 작업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출물의 공냉시에 게이트 클램퍼(17)로 사출물을 가압하여 줌으로써, 사출물의 변형을 방지하여 커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제품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커팅작업시에는, 제전장치(23)에 의해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공기를 사출물 커팅부위에 공급함으로써 커팅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여 칩이 주변기기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집진장치(32)를 설치하여 칩을 제거함으로써, 커팅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사출기로부터 공급된 사출물이 공냉되며 단계적으로 이송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의 작업대기 단계와 나란히 배치되며, 게이트를 커팅할 수 있도록 상기 로딩부로부터 이송된 사출물을 안착시키는 지그부;
    상기 지그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그부에 안착된 사출물의 게이트를 커팅하여 러너와 제품으로 분리하는 커팅부;
    상기 지그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러너는 폐기하고 상기 제품은 적재하기 위한 배출부; 및
    상기 로딩부, 상기 지그부 및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로 사출물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커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상기 사출기로부터 공급된 사출물이 안착되는 버퍼;
    상기 버퍼의 하부에 상하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퍼에 안착된 사출물을 한 스텝씩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피더;
    상기 피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피더실린더;
    상기 피더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 2 피더실린더;
    상기 버퍼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사출물 이송정지 중에 게이트를 가압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과 핀으로 구성된 다수의 게이트 클램퍼가 형성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및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클램핑 플레이트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커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사출물의 형태에 맞추어 배열되어 제품을 고정하는 복수의 제품 클램퍼; 및
    상기 제품 클램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 및 상기 이온발생기의 하부에 부설되어 상기 제품 클램퍼 쪽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에어노즐로 이루어진 제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게이트 커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지그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에 안착된 사출물의 게이트를 커팅하는 스핀들 커터;
    상기 스핀들 커터를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상기 스핀들 커터의 하부에 장착되어 게이트 커팅시 발생되는 칩을 흡착하는 집진장치;
    상기 스핀들 커터, 상기 스핀들 모터 및 상기 집진장치에 결합되어 이들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커팅부 승강실린더; 및
    상기 커팅부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상기 스핀들 커터, 상기 스핀들 모터, 상기 집진장치 및 상기 커팅부 승강실린더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2 축 로봇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커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지그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러너가 폐기되는 러너 배출공;
    상기 러너 배출공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품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안착홈이 계단식으로 배열 형성되고, 스윙 가능하게 설치된 제품안착 플레이트;
    상기 제품안착 플레이트를 스윙시키는 로터리 엑츄에이터;
    상기 안착홈에 연결되는 진공수단;
    상기 제품안착 플레이트가 스윙되어 그로부터 분리된 상기 제품이 적재되는 매거진;
    상기 제품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매거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품을 상기 매거진에 적재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노치홈이 형성된 안내 플레이트; 및
    상기 매거진을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매거진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커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사출물을 파지하여 상기 로딩부에서 상기 지그부로 이송하는 제 1 그리퍼;
    상기 로딩부와 상기 지그부 사이의 거리만큼 상기 제 1 그리퍼와 간격을 두어 설치되며, 상기 러너와 상기 제품을 파지하여 상기 지그부에서 상기 배출부로 이송하는 제 2 그리퍼; 및
    상기 제 1 및 제 2 그리퍼를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1 축 로봇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그리퍼는,
    사출물을 파지하는 핑거;
    상기 핑거의 파지 동작을 가능케 하는 제 1 실린더; 및
    상기 핑거를 승강 시키는 제 2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그리퍼는,
    상기 제품을 흡착하는 다수의 진공패드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된 2개의 제품핸드;
    상기 2개의 제품핸드를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는 2개의 제 3 실린더;
    상기 2개의 제품핸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러너를 파지하는 러너핸드;
    상기 러너핸드의 파지동작을 가능케 하는 제 4 실린더; 및
    상기 제품 핸드 및 러너 핸드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제 5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커팅장치.
  7. a) 사출기로부터 공급된 사출물을 공냉하며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b) 충분히 공냉된 상기 사출물을 지그부에 안착시키는 단계;
    c) 상기 지그부에 안착된 상기 사출물의 게이트를 커팅하여 사출물을 러너와 제품으로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러너는 러너 배출공을 통하여 폐기하고, 상기 제품은 제품안착 플레이트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제품안착 플레이트를 스윙시켜 상기 제품을 매거진에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사출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정지 중에 상기 사출물의 게이트를 클램핑 플레이트로 가압하고,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사출물의 커팅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커팅방법.
KR10-2000-0010167A 2000-02-29 2000-02-29 사출물 게이트 커팅장치 및 방법 KR10038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167A KR100386670B1 (ko) 2000-02-29 2000-02-29 사출물 게이트 커팅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167A KR100386670B1 (ko) 2000-02-29 2000-02-29 사출물 게이트 커팅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835A true KR20010084835A (ko) 2001-09-06
KR100386670B1 KR100386670B1 (ko) 2003-06-02

Family

ID=1965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167A KR100386670B1 (ko) 2000-02-29 2000-02-29 사출물 게이트 커팅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6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720B1 (ko) * 2002-03-19 2006-02-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이밴드 절단장치
KR100701595B1 (ko) * 2005-04-25 2007-04-06 (주)우일기계 게이트 절단장치
KR100742567B1 (ko) * 2007-04-06 2007-07-25 (주)케이엔씨 에이비에스 센서 케이블 고정용 타이 자동 절단 장치
KR101159533B1 (ko) * 2010-05-26 2012-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성형품 취출 및 절단물 배출장치
KR20160141945A (ko) * 2015-06-02 2016-12-12 김옥준 초음파 컷팅 지그
KR102380445B1 (ko) * 2020-09-29 2022-03-31 (주)엔케이 자동차 내장재용 사출성형품 게이트 절단장치
CN114523635A (zh) * 2022-03-11 2022-05-24 公元股份有限公司 一种精球自动取出剪浇口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432B1 (ko) 2010-08-17 2012-10-11 이찬주 자동차 부품 버 제거 장치 및 버 제거 방법
KR101439376B1 (ko) 2014-05-08 2014-10-30 엔티이엔지 주식회사 사출물 절단장치
KR101998843B1 (ko) 2019-02-25 2019-07-10 문건수 자동차 부품용 이송장치
KR102534527B1 (ko) * 2020-12-07 2023-05-18 안광보 렌즈 게이트 커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636B1 (ko) * 1991-02-11 1999-05-15 안시환 사출물의 게이트 절단장치
JPH0780895A (ja) * 1993-09-10 1995-03-28 Olympus Optical Co Ltd 成型部材のゲートカット装置
JPH09267365A (ja) * 1996-04-02 1997-10-14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リフォームのゲートカット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720B1 (ko) * 2002-03-19 2006-02-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이밴드 절단장치
KR100701595B1 (ko) * 2005-04-25 2007-04-06 (주)우일기계 게이트 절단장치
KR100742567B1 (ko) * 2007-04-06 2007-07-25 (주)케이엔씨 에이비에스 센서 케이블 고정용 타이 자동 절단 장치
KR101159533B1 (ko) * 2010-05-26 2012-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성형품 취출 및 절단물 배출장치
KR20160141945A (ko) * 2015-06-02 2016-12-12 김옥준 초음파 컷팅 지그
KR102380445B1 (ko) * 2020-09-29 2022-03-31 (주)엔케이 자동차 내장재용 사출성형품 게이트 절단장치
CN114523635A (zh) * 2022-03-11 2022-05-24 公元股份有限公司 一种精球自动取出剪浇口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6670B1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322B1 (ko) 집적 회로 다이싱 장치의 척용 공급 메카니즘
KR100924921B1 (ko) 싱귤레이션 핸들러 시스템, 싱귤레이션 핸들러 시스템용 캐리어 디바이스 및 픽업 디바이스
KR100386670B1 (ko) 사출물 게이트 커팅장치 및 방법
KR20080100092A (ko) 원소재 투입 및 성형렌즈 취출 자동화 장치 및 원소재 투입및 성형렌즈 취출 방법
CN109473376B (zh) 切断装置以及半导体封装的搬送方法
KR101809483B1 (ko) 콘택트 렌즈 분리장치
KR100998705B1 (ko) 렌즈 가공 시스템
KR100257957B1 (ko) 수지 성형 장치
KR100520997B1 (ko) 사출 성형 렌즈 처리 장치
KR100549829B1 (ko) 사출 성형품의 게이트 절단장치 및 그 방법
CN210148576U (zh) 剪切摆盘装置
KR200353091Y1 (ko) 게이트 절단장치에 있어서의 성형품 위치정렬장치
CN113334667B (zh) 树脂模制装置及树脂模制方法
JPH0936156A (ja) ゲートブレイク装置およびゲートブレイク方法
CN212554739U (zh) 全自动牙刷一体化二次包胶机
CN108929029B (zh) 一种玻璃成型自动化生产线
JPH10128808A (ja) ゲートカットシステム
CN219561800U (zh) 一种晶圆振镜激光扫描模组
JP4424542B2 (ja) 成形品ゲート切断装置と成形品保持具及びその方法
CN216302576U (zh) 勺子下料机构
CN115922098A (zh) 全自动分层激光划片设备
CN218838426U (zh) 一种全自动剪切合盖一体机
CN216912240U (zh) 全自动去除水口废料机
CN219488878U (zh) 一种自动化多片式上板装置
CN113844883A (zh) 勺子下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