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233A -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233A
KR20010078233A KR1020010004791A KR20010004791A KR20010078233A KR 20010078233 A KR20010078233 A KR 20010078233A KR 1020010004791 A KR1020010004791 A KR 1020010004791A KR 20010004791 A KR20010004791 A KR 20010004791A KR 20010078233 A KR20010078233 A KR 2001007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urface sheet
thermoplastic resin
granular
partic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398B1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노다유키
타무라타츠야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5510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782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7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10T428/24405Polymer or resin [e.g., natural or synthetic rubb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끈적임이나 물컹함이 없고, 또한 유연한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의 표면을 덮는 다수의 개공부를 설치한 표면 시트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0.1 μm 이상 30 μm 이하의 입상체를 다수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상체가 20∼150 중량부로 함유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이다. 이 표면 시트는 부드럽고, 플라스틱 시트 특유의 끈적임이나 물컹함이 적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그 제조 방법{SURFACE SHEET FOR ABSORBABLE ARTICLE AND METHOD OF 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기저귀, 생리대, 팬티라이너, 소변 수거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 및 상기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감이 우수한 표면 시트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및 상기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배설물을 흡수시키기 위해 생리대, 팬티라이너, 소변 수거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은 일반적으로, 장착자 측으로 향해지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끼워지는 액체 흡수층으로 구성된다. 이 표면 시트는 직접 피부에 접촉하는 것이기 때문에 닿은 감촉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시트는 배설물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배설물의 액체가 체류하기 어렵고, 물컹함이나 끈적임이 쉽게 생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5-200065호에는 표면에 미세한 요철 패턴을 부착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재가 개시되어 있다. 표면의 요철 패턴에 의해 플라스틱 특유의 감촉이 없는, 표면의 액체 잔류가 적고, 물컹함이나 끈적임이 쉽게 생기지 않는 표면재로 되어 있다. 또한, 일본 PCT 공개 공보 평성 제9-505223호에는 입상 재료를 함유한 액체 투과성 유공성 플라스틱 웨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 웨브는 부드럽고 플라스틱형의 느낌이 적은 흡수재 제품의 표면 시트를 형성한다.
그러나 전자의 예의 경우, 건조 상태에서는 끈적임이 적지만, 습윤 상태가 되면, 요철 패턴에 의해 액체의 흐름에 대하여 저항력이 생겨 요철에 액체가 체류해 버린다. 또한, 후자의 예의 경우, 습윤 상태에 있어서의 끈적임을 감소시키는 것이 어느 정도는 가능하지만, 끈적임의 대폭적인 감소에는 이르지 않는다. 또한, 이 웨브의 제조 방법에서는 반용융 상태의 수지에 입상 재료를 함유시키고 있지만, 이 제법으로 얻어진 웨브에서는, 사용시에 입상 재료가 웨브의 표면으로부터 탈락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습윤 상태에서도 끈적임이 적고, 감촉이 좋은 표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표면 시트(1)의 제조 공정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면 시트
2 : 열가소성 수지
3 : 입상체
4 : 개공부
5 : 융기부
6 : 미세 구멍
10 : 압출기
11 : T형 다이
12 : 연신기
13 : 니들 엠보스
14 : 개공 드럼
15 : 폭 확장기
21 : 이면 시트
22 : 흡수 코어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면을 덮는 다수의 개공부를 갖는 표면 시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입상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 시트의 표면에는 상기 입상체에 의해 형성된 미세한 볼록부와, 상기 표면으로부터 융기하는 복수의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의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융기 높이가 상기 미세한 볼록부의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시트이다.
이 경우, 예컨대 상기 입상체는 평균 입자 직경이 0.1 μm 이상, 30 μm 이하이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는 평균 입자 직경에 9 μm 이상의 차가 있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입상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상체는 상기 표면 시트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150 중량부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은 다수의 입상체의 개개의 최대 직경을 평균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융기부의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높이의 평균치는 예컨대 0.05∼1.0 mm이다. 상기 높이의 평균치는 다수의 융기부의 개개의 높이의 평균치이다.
또한, 수증기가 투과되는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융기부는 예컨대 니들링을 이용한 기계적 연신 작용에 의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측의 표면을 덮는 표면 시트는 다음과 같은 (a) 및 (b)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a)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상체를 20∼150 중량부로 혼합하고, 용융 압출하여 시트형 소재를 성형하는 공정.
(b) 개공 부재의 표면에 상기 시트형 소재를 설치하고, 상기 개공 부재의 개공을 통하여 상기 시트형 소재에 부여하는 진공압에 의해 시트형 소재를 개공하여 표면 시트를 얻는 공정.
이 경우, (b)의 공정 전에, (c) 니들을 이용하여 시트형 소재를 부분 연신하고, 다수의 융기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시트의 부분 확대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표면 시트(1)는 시트형(필름형)의 열가소성 수지(2)에 다수의 입상체(3)가 함유되어 구성되어 있다. 입상체(3)의 일부는 표면 시트(1)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입상체(3)의 주변에는 수증기가 투과되는 미세 구멍(microporous: 6)이 형성되어 있다. 또, 표면 시트(1)에는 배설액을 표면측에서 표면 시트(1) 밑에 통상 설치되는 흡수 코어(액체 흡수층)로 통과시키기 위해 개공부(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면 시트(1)에는 다수의 융기부(5)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1)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2)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타치 베이스 수지, 폴리비닐알콜, 폴리우레탄, 폴리카오우로락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입상체(3)는 열에 의해 형상이 붕괴되지 않고, 인체에 대하여 안전성을 갖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습윤시의 표면 시트의 끈적임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산화티탄, 탄산칼슘, 소다 재, 석고,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나트륨, 탄산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크레이, 인산칼슘, 무수 규산, 카본,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무기 입상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체(3)의 입자 직경은 0.1∼3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직경이 상한보다 크면, 요철이 커져서 입상체(3)의 경도가 피부에 전해지게 되고, 착용감이 손상되어 버린다. 한편, 입자 직경이 하한보다 작으면 시트의 요철화가 촉진되지 않고,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없으며, 끈적임, 물컹함을 초래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입상체(3)의 입자 직경은 0.1∼20 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 μm이다. 또, 여기서 말하는 입자 직경은 개개의 입상체의 최대 직경의 평균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기술한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입상체가 20∼15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체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보다 적으면, 얻어지는 시트의 끈적임, 물컹함의 감소가 충분하지 않다. 한편, 상기 상한보다 많으면, 얻어지는 시트의 강도가 저하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입자 직경에 9 μm 이상 차가 있는 적어도 2 종류의 입상체를 열가소성 수지에 함유시켜 표면 시트(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자 직경이 큰 쪽이 표면 시트(1)에 적절한 요철을 부여하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입자 직경이 큰 입상체와, 입자 직경이 작은 입상체가 표면 시트(1)의 표면으로 노출됨으로써 표면 시트의 필름감이나 끈적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수지에 함유되는 입상체의 비율은 입자 직경이 큰 입상체의 수보다 입자 직경이 작은 입상체의 수쪽이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 직경이 작은 입상체의 질량보다 입자 직경의 큰 입상체의 질량 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2 종류 이상의 입상체를 이용하여 표면 시트(1)를 형성하는 예로서는 입자 직경이 1 μm과 10 μm의 입상체를 40:60의 비로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입자 직경이 1 μm과 10 μm인 상기 입상체의 합계가 20∼150 중량부가 되도록 함유시켜 표면 시트를 구성한다.
이상 기술한 열가소성 수지(2)와 입상체(3)로 표면 시트(1)를 제조하는 일례를 도 2에 도시한다.
우선, 열가소성 수지의 펠릿 등으로 입상체(3)가 용융 압출기(10)에 공급되고, 열가소성 수지가 가열되어 용융되며, 또한 이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에 상기 입상체가 혼합된다. 이 수지 혼합물이 T형 다이(11)로 압출되고, 냉각되고 나서, 연신기(12)로 2축 연신되거나 또는 1축 연신되어 시트형 소재(필름형 소재)가 성형된다. 상기 용융 상태의 수지 혼합물로부터 시트(필름)가 형성되기 때문에, 입상체(3)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표면 시트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이 때, 시트형 소재를 얻기 위한 필름의 CD 및/또는 MD의 최대 연신 배율은 1.1∼5.0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평량이 20∼50 g/m2가 되도록 조정된다. 상기 바람직한 연신 배율에 있어서 연신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체(3)의 주변에 미세 구멍(6)이 적절히 생성된다.
이 표면 시트(1)를 흡수성 물품에 이용하면, 상기 미세 구멍(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1)상에 잔존한 배설액이 표면 시트(1)내에 스며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표면 시트(1)의 표면을 건조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장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건조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1)의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입상체(3)가 배설액 속에 매몰되는 일이 없고, 표면 시트(1)의 매끄러움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상기 연신 배율이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미세 구멍(6)을 적절히 형성할 수 없고, 표면 시트(1)로 배설액이 스며드는 작용이 불충분해진다. 한편, 상기 상한보다 크면, 많은 배설액이 지나치게 스며들어 오히려 표면 시트(1)가 습윤감을 발생시킨다. 또한 배설액이 경혈인 경우, 사용시에 표면 시트(1)가 경혈로 빨갛게 물들어 버려 보기에 나빠진다. 또한, 상기 연신 배율이 상기 상한보다 큰 경우, 시트형 소재에 있어서 수지의 배향성이 생겨 그 후의 공정인 개공 처리에 있어서 시트형 소재가 개공되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또, 표면 시트(1)에 적절한 투습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 이 시트형 소재에 있어서의 투습도는 2000 cc/24 hr/m2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00 cc/24 hr/m2이다.
더욱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신기(12)로 연신한 시트형 소재가 니들 엠보스(13)로 가압되어 시트형 소재가 기계적 연신 작용에 의해 부분 연신되고, 장착자측의 피부로 향하여 상승하는 다수의 융기부(5)가 형성된다. 융기부(5)의 존재에 의해 탄성적인 쿠션감이 있는 천과 같은 촉감을 발현할 수 있다. 이 부분 연신에 의해 미세 구멍의 균열이 더욱 크게 촉진되는 동시에 시트형 소재가 늘어나게 되어 박막화하여 유연해진다. 단, 본 발명의 표면 시트(1)에 있어서는 융기부(5)가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융기부(5) 1개당의 직경은 0.5∼3.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보다 작으면 돌기형물이 성형되기 어렵고, 상기 상한보다 크면 표면 시트로서의 강도가 저하하여 후의 공정에서 형성되는 개공부(4)가 쉽게 왜곡되게 된다. 또, 돌기 부분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원추형, 사각뿔, 다각형 혹은 다각뿔 등이다.
또한, 융기부(5)의 높이는 융기부의 바닥에서부터 0.05∼1.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높이는 개개의 융기부의 높이의 평균이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융기부(5)의 피부에 대한 감촉이 저하한다. 한편, 상기 상한보다 크면, 융기부(5)가 쓰러져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없고, 피부에 대한 감촉이 저하한다.
또한, 피부에 대한 감촉 면에서 융기부(5)와 융기부(5)와의 간격은 평균 0.1∼0.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0.2∼0.3 mm이다.
융기부(5)의 압축 하중은 LC값=0.05∼0.5인 것이 바람직하다(LC값은 카트텍사에서 제조한 KES의 촉감 시험기에 의해 측정한 압축시의 거동치임).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사용시에 체압 등으로 융기부가 쉽게 없어지게 된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압축 저항이 높아지고, 딱딱해지게 된다.
시트형 소재에 있어서의 융기부(5)의 형성 면적율은 4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표면 시트로서의 강도가 저하하고, 제조 공정시 혹은 사용시에 파손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연한 천과 같은 착용감을 얻기 위해 융기부(5)의 형성 면적율은 바람직하게는 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이다.
또, 융기부(5)는 표면 시트(1)의 전체에 균일하게 설치할 필요는 없고, 착용중에 마찰을 일으키는 부분, 예컨대 고간부(股間部)에 있어서, 그 밖의 부분보다더 많이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융기부(5)의 면적율을 흡수성 물품의 중앙부 부근에서 약간 낮게, 양측부에서 약간 높게 함으로써 형성한다.
융기부(5)가 형성된 후, 개공 드럼(14: 개공 부재)상에 시트형 소재를 설치하고, 개공 드럼(14)의 개공을 통하여 시트형 소재를 진공압으로 흡인하며, 시트형 소재에 개공 드럼(14)의 개공에 대응한 개공부(4)를 전면에 걸쳐 형성한다. 개공 밀도는 50∼500 개/cm2, 바람직하게는 80∼250 개/cm2이다. 개공 직경의 평균은 0.5∼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공부와 개공부의 간격의 평균은 0.3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시트(1)에는 경혈의 스며듦을 촉진시키기 위해 친수성 계면 활성제를 도포하여도 좋다.
도 3은 상기 표면 시트(1)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생리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표면 시트(1)는 흡수 코어(액체 흡수층: 22)의 액체 수용측을 덮도록 하여 설치된다. 상기 흡수 코어(22)는 분쇄 펄프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층, 또는 상기 액체 흡수성 섬유층에 SAP(고 흡수성 수지)가 혼합된 것이다. 또한 상기 흡수 코어(22)는 티슈 등의 투액성 시트로 둘러싸여 있다.
흡수 코어(22)의 이면측에는 통상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1)가 설치된다. 이 이면 시트(21)는 통기성이면서 액체 차단성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등이다. 그리고 상기 흡수 코어(22)의 주위에서 상기 표면 시트(1)와 이면 시트(21)가 핫 멜트형 접착제 등으로 접착된다.
생리용 냅킨에서는, 표면 시트(1)에 부여된 경혈 등이 표면 시트(1)의 개공부(4)를 통과하여 흡수 코어(22)에 흡수된다.
또, 본 발명의 표면 시트(1)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 이외에 팬티라이너, 소변 수거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이어도 좋다.
실시예 1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틸렌수지(LLDPE(초 저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0.197, MFR(멜트 플로우레이트) 14)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상체로서 CaCo3(입자 직경 1.8 μm 또는 15 μm)을 50 중량부 첨가한 것을 MD 방향으로 1.3배가 되도록 1축 연신한 시트형 소재를 준비하였다. 이 시트형 소재를 개공 드럼 상에서 진공압에 의해 개공하여 평량이 25 g/m2인 본 발명의 표면 시트를 얻었다.
이 표면 시트에 대해서 MIU(표면 매끄러움)와 MMD(표면 거칠기)를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카트텍사에서 제조한 KES 촉감 시험기를 이용하였다. 또한, 비교예 로서 입상재를 함유하지 않는 시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
결과
입자 직경 1.8 μm MIU=0.156 MMD=0.0142
입자 직경 15 μm MIU=0.138 MMD=0.177
비교예 MIU=0.185 MMD=0.0096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서는 표면 매끄러움은 저하하고, 표면 거칠기는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입상체의 입자 직경이 커질수록 그것이 현저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틸렌수지(LLDPE; 밀도 0.197, MFR 14)에 입상체로서 CaCo3(입자 직경 5.4 μm)을 50 중량부 첨가한 것을 MD 방향으로 1.3배가 되도록 1축 연신한 시트형 소재를 준비하였다. MD 방향으로 3.5 mm, CD 방향으로 4.0 mm로 간격을 두고 직경 0.8 mm로 작은 볼록부를 다수 갖는 핀 플레이트와 실리콘 플레이트로, 이 시트형 소재를 압형 성형하고, 표면에 다수의 융기부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융기부의 높이는 0.35∼0.55 mm이었다. 얻어진 시트를 개공 드럼 상에서 진공압에 의해 개공하여 본 발명의 표면 시트를 얻었다. 개공되기 전 상태의 시트형 소재와 개공된 후인 표면 시트에 대한 LC값(압축 하중)과 RC값(회복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개공 전의 시트형 소재 LC=0.204 RC=45.1
표면 시트 LC=0.630 RC=46.9
결과로부터, 융기부가 형성된 시트형 소재가 개공 처리가 더 실시됨으로써 시트내의 균열이 더욱 촉진되어 유연성이 높고, 부피 회복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표면 시트는 부드럽고, 또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 시트 특유의 끈적임이나 물컹함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시트에는 미세 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표면 시트의 건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장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표면 시트는 함유된 입상체가 용이하게 탈락되는 일이 없다.

Claims (9)

  1.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면를 덮는 다수의 개공부를 갖는 표면 시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입상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표면 시트의 표면에는 상기 입상체에 의해 형성된 미세한 볼록부와, 상기 표면으로부터 융기하는 복수의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의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융기 높이가 상기 미세한 볼록부의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체는 평균 입자 직경이 0.1 μm 이상, 30 μm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는 평균 입자 직경에 9 μm 이상의 차가 있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입상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체는 상기 표면 시트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150 중량부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높이의 평균치가 0.05∼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증기가 투과될 수 있는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기계적 연신 작용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시트.
  8. (a)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상체를 20∼150 중량부로 혼합하고, 용융 압출하여 시트형 소재를 성형하는 공정과,
    (b) 개공 부재의 표면에 상기 시트형 소재를 설치하고, 상기 개공 부재의 개공을 통하여 상기 시트형 소재에 부여하는 진공압에 의해 시트형 소재를 개공하여 표면 시트를 얻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b) 공정 전에, (c) 니들을 이용하여 시트형 소재를 부분 연신하고, 다수의 융기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10004791A 2000-02-02 2001-02-01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그 제조 방법 KR100775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116 2000-02-02
JP2000025116A JP3638847B2 (ja) 2000-02-02 2000-02-02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233A true KR20010078233A (ko) 2001-08-20
KR100775398B1 KR100775398B1 (ko) 2007-11-12

Family

ID=1855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791A KR100775398B1 (ko) 2000-02-02 2001-02-01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7083843B2 (ko)
EP (1) EP1121916B2 (ko)
JP (1) JP3638847B2 (ko)
KR (1) KR100775398B1 (ko)
CN (1) CN1164248C (ko)
AT (1) ATE306239T1 (ko)
AU (1) AU775775B2 (ko)
BR (1) BR0100320B1 (ko)
CA (1) CA2332742C (ko)
DE (1) DE60113885T3 (ko)
ID (1) ID29115A (ko)
MY (1) MY122812A (ko)
SG (1) SG947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73B1 (ko) * 2002-12-05 2009-06-2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세장형의 흡수성 물품
KR20180027585A (ko) * 2015-08-17 2018-03-14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9892B2 (ja) * 1999-12-22 2005-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孔表面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部品
JP3877953B2 (ja) 2000-10-31 2007-0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の不織布製表面シート
US20030171730A1 (en) * 2002-02-14 2003-09-11 Kelly William G. F. Three-dimensional apertured film
US6720049B2 (en) 2002-06-07 2004-04-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in-walled polyurethane articles
JP2004107500A (ja) * 2002-09-19 2004-04-08 Mitsui Chemicals Inc 吸収性物品の表面材
US6852475B2 (en) * 2002-12-20 2005-02-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 forming structure
US20040121120A1 (en) 2002-12-20 2004-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a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9545744B2 (en) 2002-12-20 2017-0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7655176B2 (en) * 2002-12-20 2010-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7402723B2 (en) * 2002-12-20 2008-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meric web exhibiting a soft and silky tactile impression
US20070125756A1 (en) * 2003-02-10 2007-06-07 Kelly William G Method of making topographical support members for producing apertured films
US8167861B2 (en) * 2003-12-31 2012-05-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with stretchable absorbent assembly
US20060029772A1 (en) * 2004-08-03 2006-02-09 Nam Liong Enterprise Co., Ltd. Elastic composite material having massaging and breathing characteristics
TWM268243U (en) * 2004-09-17 2005-06-21 Yau-Ting Liou 3D type ridge-and-peak grid cushion materials suitable for vehicular interior and insoles
AU2004326230A1 (en) * 2004-12-29 2006-07-06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properties of handling low-viscosity fecal materials
CA2624689A1 (en) * 2005-10-05 2007-04-1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contraphilic polymer
JP2008012867A (ja) * 2006-07-07 2008-01-24 Daiichi Eizai Kk 吸収マット
US7518032B2 (en) * 2006-11-14 2009-04-14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apertured film for transmitting dynamically-deposited and statically-retained fluids
JP2008142206A (ja) * 2006-12-08 2008-06-26 Kao Corp 吸収性物品
JP5336138B2 (ja) * 2008-09-26 2013-11-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271879B2 (en) * 2009-03-13 2016-03-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having a seal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US8206628B2 (en) 2009-03-13 2012-06-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embossed web
US8585951B2 (en) * 2009-03-13 2013-11-19 The Procto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embossed web
EP2406059A1 (en) 2009-03-13 2012-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having a seal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US8926890B2 (en) 2009-03-13 2015-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embossed web
US8585958B2 (en) 2009-03-13 2013-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n embossed web
CA2688470A1 (en) 2009-12-11 2011-06-11 Allan Manninen Industrial fabric comprised of selectively slit and embossed film
US8383227B2 (en) * 2010-01-28 2013-02-26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Transfer layer for absorbent article
BR112012021780A2 (pt) * 2010-03-11 2016-05-17 Procter & Gamble processo para fabricação de uma manta gofrada
US9079324B2 (en) * 2010-03-11 2015-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film/nonwoven laminate
JP5631124B2 (ja) * 2010-08-31 2014-1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失禁用ライナー
US9724245B2 (en) 2011-04-26 2017-08-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rmed web comprising chads
US8695413B2 (en) * 2011-05-30 2014-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evaluating the stickiness of an outer surface on an absorbent article
US20130295364A1 (en) * 2012-05-01 2013-11-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olefin based films with improved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s
WO2014055546A1 (en) * 2012-10-01 2014-04-10 Multisorb Technologies, Inc. Sorbent article
WO2015134371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US20150250663A1 (en) * 2014-03-06 2015-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substrates
US10285874B2 (en) 2014-03-06 2019-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WO2015134359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substrates
KR20170026575A (ko) * 2014-08-06 2017-03-0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개구형성된 웨브의 제조 방법
CN107072823B (zh) * 2014-08-06 2020-06-23 宝洁公司 开孔纤维网
WO2017034796A1 (en) 2015-08-26 2017-03-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hree-dimensional substrates and indicia
JP6087462B1 (ja) * 2016-05-13 2017-03-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8000410A1 (en) 2016-07-01 2018-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US10813797B2 (en) * 2017-06-22 2020-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minate webs and absorbent articles having the same
JP6706646B2 (ja) * 2018-05-29 2020-06-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7730A (en) * 1978-09-15 1980-12-09 Selas Corporation Of America Fluid velocity measurement system
US4327730A (en) 1979-05-04 1982-05-04 The Proctor & Gamble Company Textured thermoplastic film an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US4463045A (en) 1981-03-02 1984-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lastic web exhibiting non-glossy visible surface and cloth-like tactile impression
US4839216A (en) * 1984-02-16 1989-06-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ormed material produced by solid-state formation with a high-pressure liquid stream
JPS6156645A (ja) 1984-08-24 1986-03-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4690679A (en) 1986-03-14 1987-09-01 Johnson & Johnson Coextruded apertured film sanitary napkin cover
US5019062A (en) * 1988-06-23 1991-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component material
US5006394A (en) * 1988-06-23 1991-04-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layer polymeric film
JPH04279160A (ja) 1991-03-05 1992-10-05 Kao Corp 吸収性物品
US5207962A (en) 1991-06-25 1993-05-04 Applied Extrusion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apertured film fabrics
JP2957341B2 (ja) 1992-01-28 1999-10-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品の通気透液性表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41821B2 (ja) 1992-08-27 1998-04-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SE502661C2 (sv) 1993-03-01 1995-12-04 Moelnlycke Ab Ytmaterial för absorberande artiklar, innefattande styva utskott och mellan utskotten genomgående perforationer samt anordning för tillverkning av ytmaterialet
CA2175558C (en) 1993-11-18 2000-08-08 William Robert Ouellette Web for absorbent articles having a textured wearer-contacting surface
US5955187A (en) * 1995-06-06 1999-09-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porous film with liquid triggered barrier feature
WO1997000656A1 (en) 1995-06-23 1997-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device with improved functional surface
EP0856088B1 (en) * 1995-10-18 2000-12-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nformable magnetic articles underlaid beneath traffic-bearing surfaces
US5670110A (en) * 1995-12-21 1997-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three-dimensional macroscopically-expanded webs having improved functional surfaces
BR9714089A (pt) 1996-12-27 2001-11-13 Kimberly Clark Co Pelìculas estáveis e respiráveis com aperfeiçoadoestiramento e método de fabricação destas
US6277104B1 (en) 1997-08-25 2001-08-21 Mcneil-Ppc, Inc. Ai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barrier structure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JP3490291B2 (ja) 1998-05-18 2004-0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719892B2 (ja) 1999-12-22 2005-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孔表面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部品
JP3877953B2 (ja) 2000-10-31 2007-02-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の不織布製表面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73B1 (ko) * 2002-12-05 2009-06-2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세장형의 흡수성 물품
KR20180027585A (ko) * 2015-08-17 2018-03-14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KR101869675B1 (ko) * 2015-08-17 2018-06-20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21916A2 (en) 2001-08-08
US7083843B2 (en) 2006-08-01
JP3638847B2 (ja) 2005-04-13
DE60113885T2 (de) 2006-06-14
US20050019526A1 (en) 2005-01-27
CN1310991A (zh) 2001-09-05
JP2001212897A (ja) 2001-08-07
MY122812A (en) 2006-05-31
AU1677601A (en) 2001-08-09
SG94747A1 (en) 2003-03-18
KR100775398B1 (ko) 2007-11-12
DE60113885D1 (de) 2006-02-23
EP1121916B1 (en) 2005-10-12
EP1121916A3 (en) 2003-07-30
BR0100320B1 (pt) 2013-10-22
ATE306239T1 (de) 2005-10-15
ID29115A (id) 2001-08-02
AU775775B2 (en) 2004-08-12
DE60113885T3 (de) 2012-05-03
US20010014796A1 (en) 2001-08-16
BR0100320A (pt) 2001-09-04
CA2332742C (en) 2008-10-07
CA2332742A1 (en) 2001-08-02
EP1121916B2 (en) 2011-04-20
CN1164248C (zh)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398B1 (ko)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그 제조 방법
KR100816241B1 (ko) 개공 시이트, 이 개공 시이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 및상기 개공 시이트의 제조 방법
JP3061507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012475B2 (ja) 体液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複合不織布
JP3719892B2 (ja) 開孔表面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部品
JPH10512493A (ja) 高吸引及び高容量を示す吸収性製品用液体分配部材
JPH05237150A (ja) 吸収性物品用身体側カバー
EP0509012A1 (en) COVER LAYERS.
JP5024833B2 (ja) 立体模様を有する不織布シート
US7367966B2 (en) Interlabial pad
JP4167389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922872B2 (ja) 開孔フィルム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3710370B2 (ja)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フィルム、前記透液性フィルムを用いた吸収性物品、および前記透液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693515B2 (ja)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フィルム、前記透液性フィルムを用いた吸収性物品、および前記透液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4298322A (ja) 吸収性物品
MXPA98001709A (en) Absorben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