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830A - 약제분포장치 - Google Patents

약제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830A
KR20010077830A KR1020000032845A KR20000032845A KR20010077830A KR 20010077830 A KR20010077830 A KR 20010077830A KR 1020000032845 A KR1020000032845 A KR 1020000032845A KR 20000032845 A KR20000032845 A KR 20000032845A KR 20010077830 A KR20010077830 A KR 20010077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edicine
packaging
manu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야마히로유키
야스오카게이타
Original Assignee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야마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유야마 쇼지
Publication of KR2001007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83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처방데이터나 약제에 관하여 각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동분배 작업을 지원하는 편리한 제기능을 통합하여 구비한 약제분포 장치를 제공한다.
분포하는 약제량의 기준량에 대한 비율을 정수부와 소수부에 분할한다. 정수부에 해당하는 약제를 약제자동 공급수단(14)으로부터 자동 공급시킨다.
소수부에 해당하는 약제를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15)으로부터 공급시킨다.

Description

약제분포장치{MEDICATION PA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병원, 조제약국 등의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정제분포기(錠制分包機)나 산제분포기(散制分包機)와 같은 분포지에 약제를 분할포장하는 약제분포장치, 특히, 약제의 수동분배작업을 지원하는 기능에 특징을 가진 약제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처방데이터를 입력하여 약제를 분할포장하는 약제분포장치로서, 약제피이더(feeder)와 약제수동 분배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일본국 특개평 2-269602호의 공보, 동 특개평 8-164906호의 공보등 참조). 약제피이더는 수용한 다종 다수의 약제로부터 지정한 약제를 소망의 수만을 자동공급한 약제수동 분배장치는 약제피이더에 따라 공급되지 않는 약제의 공급에 사용된다.
또, 다른 약제분포 장치로는, 처방의 실행을 갖는 수동분배 처방을 판별하여 약품명 등을 인쇄하여, 작업자가 수동분배처방을 선택하므로서, 약제분포기의 일시 정지를 회피하는 것이 있다(일본국 특허 제2,509,822호 공보 등 참조).
더욱이, 다른 약제분포장치로서, 1대의 제어기에서 다수의 정제포장기로 집중제어하는 것이 있다(일본국 특공평 3-59호 공보 참조).
그렇지만, 종래의 약제분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예컨대, 정제를 1.5정씩 분할포장할 경우, 그 정제가 약제피이더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라 하여도, 반정(半錠)은 약제피이더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약제수동분배 장치내 1정과 반정을 수동분배하여서 포장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작업성이 나쁘다.
또, 수동분배 작업에서는 약제명(藥劑名)을 표시하는 것만으로, 작업자가 약제 그것을 잘못해서 딴것과 바꾸기도 하고 복용시기마다의 분할을 틀리기도 하는 인위적인 미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그 대책도 불충분하다.
또, 약제명이나 분포수등을 인쇄하는 것만으로 작업자가 수동분배에 필요한 약제를 가지러 갈 때, 어느 개수만큼 약제가 필요한 가를 인식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컨대 1일분이 반정일 때, 7일분이라면, 그 개수는 3.5개(소수점 이하의 올림으로 4개)인 것을 계산할 필요가 있고, 아침·점심·저녁후의 처방에서도 수동분배뿐만 아니라 복용시기가 아침식사후인 경우도 있으므로, 그점을 고려할 필요도 있다. 특히 수동분배처방이 복수로 바쁠 경우에는 틀릴 수 있는 위험성이 높다.
또, 복수의 처방데이터를 일괄 분포(分包)하는 일괄하여 분포할 경우, 그 중에 수동분배처방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때마다 필요한 약제를 보관선반에 가지려 갈 필요가 생겨서 작업이 중단되어 작업효율이 나쁘다.
또, 수동분배 작업량은 의사가 지시하는 처방의 내용에 따라 변동하지만, 그 파악은 작업자의 경험에 따르기 때문에, 적절한 판단이 곤란하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처방데이터나 약제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동분배작업을 지원하는 편리한 제기능을 통합하여 구비한 약제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를 자동공급하는 약제자동 공급수단과, 미리 1포분씩 준비한 약제를 수동분배로 공급하는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과,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약제를 분포하는 포장수단을 구비한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 분포하는 약제량의 기준량에 대하여 비율을 정수부(整數部)와 소수부(小數部)로 분할하여, 정수부에 해당하는 약제를 상기 약제자동 공급수단에서 공급하여, 소수부에 해당하는 약제를 상기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분포하는 약제가 기준량(고형정제이면 1개, 가루약이면 소정의 그램수가 기준량이 된다)으로 나뉘어 떨어지지 않는 양인 경우, 정수부에 상당하는 양을 약제공급수단에서 공급하므로서, 소수부에 상당하는 양만을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에서 공급시킬 수가 있다. 그렇지만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에 준비할 약제량이 작게 되어, 효율적인 준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약제자동 공급수단,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 및 포장수단외에 표시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과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이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약제를 분포시키는 입력조작유닛을 구비하고,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화상, 약제식별기호, 또는 보관선반번호를 해당하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하면,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확인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한 점이 바람직하다.
또, 처방데이터마다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개수 또는 수동분배 포장수를 계산하여, 해당하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하면,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중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한 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은, 인쇄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약제식별기호, 보관선반번호, 개수, 또는 수동분배 포장수를 해당하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인쇄수단에서 인쇄하도록 하면, 수동분배하는 약제를 보관선반에서 준비할 때의 확인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한 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각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은, 알림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수동분배하는 약제가 있는 것을 해당하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알림수단에서 알리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복수의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자동공급하는 약제와 수동분배하는 약제를 구분하여, 자동공급만으로 포장가능한 약제만을 우선 포장하도록 하면, 약제의 분포중에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에서 수동분배약제의 준비를 할 수 있게 한 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입력조작유닛을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종류와 개수를 계산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하면, 그 표시내용에 따라서 간단하게 준비가능하게 되는 점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중, 수동분배약제를 포장하는 유닛을 선택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수동분배 처방의 수, 또는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종류와 개수를 집계하여 기록하도록 하면, 수동분배 작업량의 정확한 파악과 평가가 가능하게 되는 점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약제분포장치의 유닛구성을 표시한 도면.
도 2는 약제분포장치에서의 입력유닛의 기기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도 3은 약제 마스터파일(master file)을 표시하는 도표.
도 4는 수동분배 약제 데이터파일을 표시하는 도표.
도 5는 수동분배 불가설정 파일을 표시하는 도표.
도 6은 약제분포장치에서의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기기구성을 표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약제분포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8은 처방데이터의 입력화면을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일괄처방의 입력·분포화면을 표시하는 도면.
도 10은 수동분배 약제의 처방데이터를 표시한 도면.
도 11은 분할포장을 가진 행열의 교환을 표시하는 도면.
도 12는 일괄분할 포장의 수동분배 약제의 집계화면을 표시하는 도면.
도 13은 일괄처방의 처방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하는 도면.
도 14는 손살포 약제집계 기록파일을 표시하는 도면.
도 15는 분포(分包)코맨드(command)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16은 분포코맨드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17은 분포코맨드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18은 분포코맨드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19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각 호기에서의 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20은 수동분배 처방의 지시화면을 표시하는 도면.
도 21은 수동분배 처방을 지시한 인쇄내용을 표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
1 : 입력조작유닛 2 :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
3 : 호스트 컴퓨터 4 : 다채널 통시부
5 : CRT 디스플레이 6 : 키보드
7 : 마우스 8 : 하드디스크 장치
9 : CPU 10 : 디지털 스틸카메라
11 : 메모리 12 : 제어프로그램
13 : 통신부 14 : 약제필터부
15 : 약제수동 분배 16 : 약제포장부
17 : 액정디스플레이 18 : 프린터
19 : 버저 20 : 키스위치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분포장치의 유닛구성을 표시한다. 이제, 각 유닛을 상세히 설명한다. 약제분포장치는, 1대의 입력조작유닛(1)과 1대 이상의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으로 된다.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의 각 호기(號機)에는 호기번호를 부여하여 식별과 제어에 사용된다.
입력조작유닛(1)과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의 사이는 고속시리얼 통신으로 접속하지만, 범용(汎用) 버스접속이나 네트워크(LAN)접속 등, 어떠한 접속·통신방식으로도 좋다.
입력조작유닛(1)은 처방데이터를 입력하여 약제분포장치 전체를 조작하기 위한 유닛이고,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을 작동시키기 위한 분포(分包)코맨드를 각 호기에 송신한다.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은 다수의 약제피이더부(14)나 약제수동 분배부(15)등을 구비하고,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분포코맨드를 수신하여 약제를 복용시기만다 분할하여 포장하는 기구의 유닛이다.
입력조작유닛(1)은 호스트 컴퓨터(3)와 접속하여 처방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3)에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호스트 컴퓨터(3)는 없어서도 좋다.
약제분포장치에서의 입력조작유닛(1)은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의 각 호기와의 통신용 다(多) 채널통신부(4)와, CRT 디스플레이(5), 키보드(6) 및 마우스(7)와, 하드디스크장치(8)를 구비하고 약제분포장치 전체로서는 중앙처리장치(9)(CPU)에 따라서 제어한다. 또, 약제의 사진화상을 디지털 스틸카메라(10)에 의하여 입력한다.
CRT 디스플레이(5), 키보드(6) 및 마우스(7)는 처방데이터의 입력이나 각종 파일의 데이터 입력에 사용한다. 호스트 컴퓨터(3)는, 외부시스템에서 처방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지만, CRT 디스플레이(5), 키보드(6) 및 마우스(7)만으로도 신규한 처방데이터가 입력되므로, 호스트 컴퓨터(3)는 없어도 좋다.
이제, 상기 디지털 스틸카메라(10)를 대신하여, 이메지 스캐너(image scanner), 포토(photo) CD를 판독 CD-ROM 드라이브, 또는 사진화상을 기억한 플로피디스크(FD)를 판독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 등, 같은 목적의 기기이면,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더구나, 약제화면은 등록하였을 경우에만 사용하는 기기등이므로, 항시 접속할 필요는 없다. 또, 사진화면외에 캡션(caption) 문자나 그림을 합성하기도 하고,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할 수도 있다.
CPU(9)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11)(RAM)를 내장하여, 그 메모리(11)를 처방데이터를 기억하는 처방데이터 메모리, 기타 메모리(처리상에서의 작업에리어, 변수 등)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CPU(9)는 약제분포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12)(ROM)을 내장한다.
하드디스크장치(8)에는 처방데이터를 기억하는 처방파일, 입원(入院)처방등의 일괄 데이터를 기억하는 일괄 처방파일, 수동분배하는 약제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동분재 약제데이터 파일, 각 호기마다의 수동분배 불가를 설정하는 수동분배 불가설정파일, 수동분배 약제를 집계하여 기억하는 수동분배 약제집계 기록파일, 처방데이터를 입력할 때등의 관련정보를 기억하는 각종 마스터파일이 있다. 각종 마스터파일에는 약제마스터, 환자마스터, 진료과마스터, 의사마스터, 변동마스터, 처방전구분 마스터가 포함되어 있다. 단, 약제마스터파일 이외에는, 코드와 명칭 등을 격납하는 간단한 구성의 파일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약제 마스터파일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약제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약제코드마다 기록하는 데이터파일이며, 약제분포장치의 동작에 이용된다. 약제 마스터파일의 데이터는, 메뉴화면으로부터 기동되는 약제 마스터 등록의 화면에서 입력한다(어느 화면도 도시없음).
도 3중에서, 약제코드라는 것은, 약제사가 입력이 용이하도록 약제의 약칭에서 탁음점(濁音点)을 삭제하여 축소한 것과 같이, 약제마다 같은 뜻의 코드를 말한다. 예컨대, 캠슐제 D이면, 그 읽기를 「캡슐자이디」에서 「카후세데」이라 한다. 약제명은 약제의 명칭, 단위는 약제의 단위를 지칭한다. 형태코드라는 것은, 조제작업에 있어서 약제를 형태로 분류하기 위한 코드를 말한다. 「분포」는 약제피이더로부터 자동적으로 공급하여 포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동분배」는 수동분배 공급부로부터 공급하여 포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히트실(heat seal)」은 약제메이커에서 포장된 히트실 포장한채로 환자에 넘기는 것을 의미한다. 「정제로 분포」= 11, 「정제로 수동배분」= 12, 「정제로 히트실」= 13, 「캡슐제로 분포」= 14, 「캡슐제로 수동분배」= 15, 「캡슐제로 히트실」= 16, 「산제로 분포」= 17, 「산제로 수동분배」= 18, 「산제로 히트실」= 19 등을 입력한다. 약제피이더 번호라는 것은, 자동적으로 분포하는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피이더 번호를 말한다.
수동분배 약제데이터 파일은,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동분배하는 약제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약제코드마다 등록하는 데이터 파일이나, 수동살포 약제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는 메뉴화면으로부터 기도되는 수동분배 약제데이터 파일등록의 화면에서 입력한다(어느 화면도 도시없음).
도 4중에 약제코드에는,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약제코드를 입력한다. 이 약제코드는, 약제 마스터 파일에 등록된 것이다. 약제 화상에서는 약제의 외관의 화상데이터를 사용한다. 사진화상의 대신에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하여도 좋다. 요는 약제의 형상(원형, 타원형, 육각형, 구형, 원통형 등), 색, 할선(2분할선, 4분할선) 등이 판별되는 화면이면 좋다. 화상데이터 형식은 BMP, JPEG, GIF, TIFF 등, 어떤 것이라도 좋다. 약제 식별기호에는, 약제의 본체에 각인되기도 하고, 인쇄하기도 하는 식별기호를 사용한다. 보관선반번호는, 약제를 보관하는 선반의 번호이고, 약제메이커에서 포장된 히트실 포장한 채로 보관하고 있는 선반과, 미리 히트실 포장을 풀어서 약제본체를 넣은 약병이나 미리 정제를 반정등으로 분할하여 넣은 약병을 구별할 수 있는 번호체계로 한다.
수동분배 불가설정 파일은,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의 호기마다 수동살포의 불가/가(可)를 등록하는 데이터 파일이다. 수동분배 불가설정 파일의 데이터는, 메뉴화면으로부터 기동되는 수동분배 불가설정 파일등록의 화면에서 입력한다(어느 화면도 도시없음). 도 5중에 호기번호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의 호기의 번호이다. 수동분배불가 플래그에서는 약제의 수동분배가 「가」= 0, 「불가」=1을 입력한다.
이제, 상기 CRT 디스플레이(5), 키보드(6), 마우스(7), 하드디스크장치(8) 및 CPU(9)는 개인용 컴퓨터라도 좋다.
또, 상기 하드디스크장치(8)가 독립하여 파일사이버장치(CPU 내장)로서, 중앙처리장치(CPU)가 클라이엔트(clent)로서, 사이버장치와 네트워크(LAN)에서 접속한 것 같은 클라이엔트·사이버 구성으로 좋다.
더욱이,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과의 통신에 관해서는 다채널 통신부(4)를 사용하는 대신에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도 포함해서 동일 네트워크(LAN)에 접속하여 통신해도 좋다.
약제분포장치의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은,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입력조작유닛(1)과의 통신용 통신부(13)와 약제공급·포장용 약제피이더부(14), 약제수동살포부(15), 및 약제포장부(16)와, 데이터 표시용 액정디스플레이(17), 데이터 인쇄용 프린터(18), 작업자에 소리로 알리는 버저(19), 및 조작입력용 키스위치(20)를 구비하고, CPU(9)에 따라서 제어한다. 이제, 상기 프린터(18)의 방식은, 서멀(themal), 임팩트 도트(impact dot), 잉크제트(ink jet)등, 무엇이든지 좋다. 조작입력용 키스위치(20)는, 액정디스플레이(17)의 표시표면에 장착하는 터치패널이라도 좋다.
약제피이더부(14)는, 약제마다 있는 다수의 약제피이더중에서 지정된 약제를 개수만 약제포장부(16)에 공급한다.
약제 수동살포부(15)는, 약제포장의 1포마다 대응하는 분할됫박에 필요한 개수의 약제를 수작업으로 분배한 약제포장부(16)에 공급한다.
약제포장부(16)는 복용시기마다 공급된 약제를, 분포지롤러로부터 끄집어 내어 열융착성의 분포지(포장시이트)를 2장 꺾어 접은 꺾어진 곳의 사이에 약제 슈트(shoot)에서 투하하여, 분포지의 종·횡을 열융착실(seal)하여, 약제를 포장한 분포대를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약제분포장치의 동작을 입력조작유닛(1)과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에 나누어서 설명한다.
먼저, 입력조작유닛(1)에서의 약제분포 동작을 도 7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최초에 도시하지 아니한 메뉴화면으로부터 도 8에 표시한 「처방데이터의 입력」 화면을 기동한다. 단, 초기상태에서는 데이터 입력단이 모두 비어 있다. 거기서, 호스트 컴퓨터(3)에서 처방데이터의 내용을 판독한다(스텝 S1).
호스트 컴퓨터(3)에서 판독한 처방데이터는, 통신데이터량을 작게 하기 위하여 각종 코드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처방데이터의 내용을 표시할 때에는, 각종 코드를 검색키로서 각종 마스터 파일로부터 명칭데이터등을 판독하는 처리를 한다. 예컨대, 수신데이터내에는 약제코드 「쇼우에」만 격납되어 있지 않으므로, 약제명칭 「정제 A」는 약제 마스터 파일(도 3)로부터 판독한다. 여기서, 약제코드라는 것은, 약제사가 입력하기에 용이하게 약제의 약칭으로부터 탁음점을 삭제하여서 축소한 약제마다 같은 뜻의 코드를 말한다(예컨대 「죠자이에」는 「쇼오에」라 한다.).
또, 착오로 다른 처방데이터를 판독한 경우등에는 「취소」 보턴을마우스(7)로 클릭하여, 표시내용을 소거한다. 또, 소망의 처방데이터가 표시되지 아니한 경우, 「처방검색」 보턴을 마우스(7)로 클릭하여, 처방파일에 등록된 처방데이터를 조건검색하여 호출하고 표시한다. 예컨대, 환자번호 「93026581」와 키보드를 입력하고 나서, 「처방검색」 보턴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처방데이터가 표시된다.
또, 처방데이터는 키보드(6)나 마우스(7)에 의하여 직접 입력하기도 하고, 과거의 모든 처방을 등록하고 있는 처방파일이나, 입원처방등 일괄하여 조제하는 처방을 등록하고 있는 일괄처방 파일로부터 호출할 수도 있다. 처방데이터의 표시내용에 수정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 「입력 OK」 보턴을 마우스(7)로 클릭하면, 처방데이터는 처방파일에 등록되어, 단독의 처방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의 스텝 「수동분배 약제데이터의 작성」(스텝 S2)으로 전진힌다. 이제, 처방데이터를 처방파일에 등록한 것만의 경우는 「입력만」 보턴을 클릭한다.
일괄처방 파일로부터 호출하는 경우, 「일괄처방」 보턴을 클릭하여, 처방데이터 입력화면(도 8)과는 별개의 윈도우로 일괄처방의 화면(도 9)을 표시시킨다. 여기서, 복수의 데이터를 임이로 부여할 수 있는 일괄코드에 따라서 일조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일괄코드를 키보드로 입력하면, 미리 등록된 복수의 처방데이터의 환자번호, 환자명(名), 진료과, 변동이 도 9의 에와 같이 표시된다. 그리고, 「일괄분할포장」 보턴을 마우스(7)로 클릭하면, 도 9에 표시한 복수의 처방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의 스텝 「수동분배 약제데이터의 작성」(스텝 S2)에 전진한다.
그런데, 상기 일괄 처방데이터는, 미리 다음과 같이 등록하여 둔다.
먼저, 임이의 일괄코드를 키보드에 입력하여, 그 일괄코드에 대응한 명칭을 입력한다(예컨대, 일괄코드를 키보드에 입력하여, 그 일괄코드에 대응한 명칭을 입력한다(예컨대, 일괄코드 「611」와 명칭 「6층 동쪽 변동 No. 1」). 다음에 복수의 처방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한 환자번호, 진료과 코드, 변동코드로 된 행(行) 데이터(예컨대, 「93026581」, 진료과 코드 「01」, 병동코드 「61」를 입력한다. 각 명칭은 각종 마스터 파일로부터 판독되어 표시된다.)를 복수 입력한다. 「★」표와 반전표시행은 현재처리중의 행 데이터(行 data)를 표시하고, 상하 화살표키나 마우스(7)의 클릭으로 임이의 행(行)을 이동할 수 있다. 일괄순번의 도중에 행 데이터를 삽입하는 경우는, 「공행(空行) 삽입」 보턴을 마우스(7)로 클릭하면, 현재행의 행 데이터가 1행 내려가서 공백의 행 데이터가 삽입된다.
그리고, 그 공백행에 환자번호, 진료과 코드, 변동코드를 새로이 입력한다.
또, 「행 삭제」 보턴을 클릭하면 현재행의 행 데이터가 삭제되어, 그 아래의 행 데이터가 위에 채워진다. 「취소」 보턴을 클릭하면 윈도우가 소거된다. 「처방입력」 보턴을 클릭하면 현재행의 행 데이터에 대응한 처방데이터의 내용이 처방데이터 입력의 화면(도 8)에 표시된다. 도 8중에 「신규입력」 보턴을 클릭하면, 그때에 표시되어 있는 처방데이터를 순서를 바꾸어 뒤로 미루기 때문에 대피기억하고 나서 표시를 소거한다. 이것에 의하여 임이의 처방데이터를 환자번호로부터 신규로 입력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예컨대, 환자번호 「93026581」과 키보드에 입력하면, 환자명(한글, 한자), 성별, 생년월일이 환자 마스터 파일로부터 판독되어표시된다. 연령은, 생년월일과 그날의 일자로부터 자동적으로 계산되어 표시된다. 교환번호는, 외래환자의 경우만 회계종료시에 미리 받어둔 「약 교환권」의 번호이다. 이 처방데이터(도 8)의 예에서는 처방전 구분이 「02」입원이고(입원환자), 교환번호는 의미가 없으므로 「0000」으로 입력한다. 진료과, 의사, 변동, 처방전 구분은, 각 코드를 입력하면, 대응하는 각종 마스터 파일로부터 명칭 데이터가 판독되어서 표시된다(예컨대, 진료과에서 코드 「01」을 입력하면 「내과」로 표시된다.). 「처방 No.」란은 약제(복수가)와 용법이 1조로 되었다 「처방」의 연속번호이다. 이 「처방」은 복수개의 입력이 가능하다. 「코드」입력란은, 약제코드 또는 용법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란이다. 코드를 입력하면 약제마스터 파일 또는 용법마스터 파일로부터 명칭데이터가 판독되어서 표시된다. 「코드」입력란은, 통상은 약제코드를 입력하는 것이지만(예컨대 「쇼오에」) 선두에 「/」기호를 입력하면, 그후에 용법코드를 입력한다(예컨대 「201」. 그리고, 용법코드 「201」에 대응하는 용법명이 「분(分)2, 아침·저녁식후」) 이제, 용법코드를 입력한 용법행에서는 용법명이 표시된 후, 「일수」입력란이 표시되어서 일수를 입력한다(예컨대, 「7일분」, 「용량」란은 그 약제의 1일량을 입력하기 위한 란이다. 단위는 약제 마스터 파일(도 3)로부터 판독되어서 표시된다. 「복용시기」란은, 1일량인 용량을 복용시기마다 분할하여 1회량을 입력하기 위한 란이다. 1회량은, 정제, 캡슐제, 환제등의 고형제제의 경우는 개수(정수)이지만, 정제의 경우는 그램수이다. 고형제제에서는 1개가 기준량이 되고, 산제에서는 소정의 그램수가 기준량이 된다(이하 같다). 「형태」란의 형태코드는 약제 마스터 파일(도 3)로부터 판독되어서 표시된다. 「입력만」보턴을 마우스(7)로 클릭하면, 처방데이터가 등록된다. 그리고, 일괄처방의 화면(도 9)중, 「등록」보턴을 마우스(7)로 클릭하면, 이들의 데이터는 1조로 하여 일괄파일에 등록된다. 이제, 도 8중 「종료」보턴을 클릭하면, 이 화면을 종료하여 메뉴화면으로 되돌아 온다.
상기 스텝(S1)에 이어서, 처방데이터내의 각 약제데이터로부터 수동분배 데이터를 작성한다(스텝 S2). 형태가 「분포」로서 복용시기매의 1회량에 소수부가 있는 경우, 1회량을 정수부와 소수부로 나누어, 소수부만의 약제데이터를 작성한다. 또, 약제데이터의 형태를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동분배」로 한다. 도 8예의 경우, 「정제 A」의 1회량이 「1.5」이므로, 도 10과 같이 형태가 「분포」의 약제데이터의 1회량은 「1」로 변경한다. 그리고, 수동분배 약제데이터의 1회량은 「0.5」로 한다.
더욱이, 수동분배하기 위한 필요한 약제의 개수와 수동분배하는 포장수를 계산한다(스텝 S3). 수동분배 개수는 1일량에 일수를 승산하여 구하고, 수동분해 포장수는 복용시기의 수(아침과 저녁이면 「2」)에 일수를 승산하여 구한다. 도 10예의 경우, 「정제 A」의 수동분배분은, 1일량 1정이 7일분이므로, 수동분배 개수가 「7」이고, 복용시기의 수가 「2」이므로 수동분배 포장수는 「14」가 된다.
다음에 수동분배 약제의 개수와 포장수를 계산한후의 처방데이터(도 13)를 선입·선출방식(first in·first out 方式)의 분포를 갖는 행열에 추가한다(스텝 S4).
여기서, 분포를 갖는 행열에 추가한 처방데이터가 일괄분포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 S5). 처방데이터가 「일괄순번 = 0」이면, 단독 분포이고, 「일괄순번 ≠ 0」이면, 일괄분포이다.
단독 분포인 경우, 먼저, 스텝 「처방데이터의 호기의 할당」(스텝 S8)으로 전진한다. 일괄분포인 경우, 수동분배 약제의 어떤 처방데이터를 줄을 교환하여, 후부에 정리한다(스텝 S6). 이 줄의 교환에서는, 먼저, 일괄처방의 순번과 같이 복수의 처방데이터 분포를 갖는 행열에 추가한다. 도 11예의 경우, 일괄 처방데이터는 5건이고(처방내용은 도 13에 표시대로 임), 그 5건의 처방데이터를 일괄의 순번대로 도 11(a)과 같이 분포를 갖는 행열에 추가한다. 그리고, 일괄순번의 「1」, 「2」, 「3」, 「4」, 「5」를 도 11(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래의 순번을 붕괴하는 일이 없이 수동분배 처방을 후부에 정리하여, 「2」, 「4」, 「5」, 「1」,「3」으로 변경한다.
이어서, 도 13에 표시한 일괄분포의 수동분배 약제의 종류와 개수를 집계하여,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입력조작유닛(1)의 CRT 디스플레이(5)에 표시한다(스텝 S7). 이 수동분배 약제의 집계의 화면은, 처방데이터 입력의 화면(도 8)과는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한다. 도 12예의 경우, 형태가 「수동분배」인 약제 「정제 A」는 「7」과 「3.5」를 가산하여 「10.5」로 한다. 이제, 윈도우를 소거하는 경우에는 「취소」보턴을 클릭한다.
더욱이, 처방데이터를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의 각 호기에 처리부하가 균등하게 되도록 할당된다(스텝 S8). 이때 수동분배 처방은 수동분배 불가설정파일(도 5)에서 불가라 설정하는 호기에는 할당이 없다. 도 5예의 경우 수동분배 가능한 것은 1호기만으로서, 수동분배 처방은 모두 1호기에 할당된다.
또, 분포하는 일자마다·호기마다에 수동분배 처방수, 수동분배 포장수, 수동포장 약제의 종류와 개수를 집계하여 수동분배 집계기록 파일에 기록한다(스텝 9). 수동분배 약제집계 기록파일은 수동분배 작업의 상황을 기록하는 파일이고, 일자마다·호기마다에 수동분배 처방수·포장수를 기록하는 파일과, 일자마다·호기마다·약제마다에 수동분배 개수를 기록하는 파일로 된다. 그 데이터 구성은 도 14에 표시한 대로이다. 이제, 수동분배 약제집계 기록파일의 내용은, 약제사가 CSV(간마 구분) 형식 파일로 변환하여, 표계산 소프트를 사용해서 일람표등의 장부에 인쇄하여 확인한다.
수동분배 불가설정 파일(도 5)의 예에서는 수동살포 처방수 「1 + 1 = 2」, 수동분배 포장수 「14 + 7 + 14 = 35」, 수동분배 약제의 종류는 2종류로서 「정제 A」는 「10.5」, 「정제 C」는 「21」이고, 그 데이터를 수동분배 약제집계 기록파일(도 14)에 기록된다. 도 14중에 일자는 수동분배한 년월일, 호기번호는 수동분배 처방을 할당한 호기의 번호, 수동분배 처방수는 수동분배 처방의 수, 수동분배수는, 수동분배한 포장수, 약제코드는 약제 마스터 파일(도 3)에 등록된 약제코드, 개수는 수동분배에 필요한 약제의 개수를 나타낸다. 일괄처방의 처방데이터(도 13, 도 8)를 일괄분할 포장하는 예에 있어서,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에 송신하는 분포코맨드의 구성을 도 15 내지 도 18에 표시한다.
도 15중에, 호기번호는 처방데이터(도 13, 도 8)를할당한 호기의 번호, 분포 No.는 분포코맨드를 안내번호, 수동분배 No. 는 수동분배 처방의 안내번호, 수동분배 버저음은 0/1 = 수동분배 버저음을 울리지 않고/울리고, 포장수는 분수 ×일수 결국 이 분포에서의 총포장수, 약제수는 이후에 계속 약제데이터의 수를 나타낸다. 이제, 교환번호, 환자명(한글), 환자명(한자), 용법, 분수(분포수), 일수는 처방테이터(도 13, 도 8)의 각 데이터와 동일하다.
도 16중에, 약제피이더 번호는 약제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약제피이더의 번호이고, 처방데이터(도 13)내의 약제코드를 검색키로서 약제마스터 파일내의 약제피이더 번호를 취득한다. 약제명, 복용시기마다 1회량은 처방데이터(도 13)의 각 데이터와 동일하다. 약제 화면, 약제 식별기호, 보관선반번호, 수동분배개수, 수동분배 포장은 「약제피이더 번호 ≠000」이므로 데이터는 없다.
도 17중에 약제피이더 번호 「약제피이더 번호 = 000」이므로 수동분배 약제를 나타낸 약제명, 복용시기매 1회량은 처방데이터(도 13)의 각 데이터와 동일하다. 약제화상, 약제식별기호, 보관선반번호는 처방데이터(도 13)내의 약제코드를 검색키로서 수동살포 약제 데이터 파일(도 4)내의 각 데이터를 취득한다. 수동살포개수, 수동분배 포장수는 처방데이터(도 13)의 각 데이터와 동일하다.
도 18중에 약제피이더 번호는 약제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약제피이더의 번호를 나타내고, 처방데이터(도 13)내의 약제코드를 검색키로서 약제 마스트 파일내의 약제피이더 번호를 취측한다. 약제명, 복용시기마다 1회량은, 처방데이터(도 13)의 각 데이터와 동일하다. 약제화상, 약제식별기호, 보관 선반번호, 수동분배 개수, 수동분해 포장수는 「약제피이더 번호 ≠000」이므로 데이터는 없다.
도 15 내지 도 18에서는 환자번호등의 데이터의 뒤에 약제데이터가 3개 「자동분포의 정제 A」, 「수동분배의 정제 A」, 「자동분포의 캡슐제 B」와 계속한다.
그리고,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의 할당한 각 호기에 분할 포장코멘드(도 15∼도 18)를 송신한다(스텝 S10). 각 호기가 다망(多忙)한 상태의 경우는 분포코맨드 송신을 갖는 행열에 추가하여서 일정시간후에 병행적으로 송신한다.
그후에, 처방데이터 입력의 화면(도 8)에서 「종료」보턴을 클릭하여, 그 화면을 종료하여, 메뉴화면(도시생략)에 되돌아 온다(스텝 S11).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스텝 S1에 되돌아 와서 처방데이터 판독으로부터 반복한다.
다음에, 각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의 동작을 도 19에 표시한 플로우 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각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에서는, 입력조작유닛(1)으로부터 분할포장 코맨드(도 15∼도 18)를 수신하여(스텝 S21), 분포코맨드(도 15∼도 18)내에 수동분배 약제가 있는 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2). 「약제피이더 번호 = 000」이라면 수동분배 약제이다. 수동분배 약제가 없는 경우, 앞의 스텝 「약제를 공급해서 포장」(스텝 S28)에 전진힌다.
수동분배 약제가 없는 경우, 먼저, 분포코맨드(도 15∼도 18)내에서 「수동분배 버저음 = 1」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 「수동분배 버저음 = 1」이면, 버저(19)에서 에러음과 다른 버저음을 울리고, 수동분배를 알린다(스텝 S24). 예컨대, 에러음을 「삑삑삑…」, 수동분배 버저음을 「삐- 삐- 삐…」한다.
계속하여, 도 2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17)에 수동분배 처방의 지시를 표시한다(스텝 S25). 도 2에서는 수동분배하는 약제 「정제 A」의 약제화상, 약제식별기호, 보관선반번호, 수동분배개수, 수동분배 포장수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도 11의 줄의 교환한 대로 「일괄순번 = 1」의 수동분배 처방의 지시를 최초에 표시한다.
또, 도 2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18)에 수동분배 처방의 지시를 인쇄한다(스텝 S26). 그리고, 약제사가 약제수동 분배(15)에 약제를 수동분배하여, 키스위치(20)의 「세트」키를 눌러서 「세트끝남」이라 한다(스텝 S27). 도 21에서는 수동분배라는 약제 「정제 A」의 약제식별기호, 보관선반번호, 수동분배개수, 수동분배 포장수를 인쇄하고 있다. 이제, 프린터(18)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2)의 정면에 부착하여, 인쇄한 용지를 내보내는 방향에 따라 인쇄내용이 계속하도록 하기 때문에 수행(數行)에 걸쳐서 인쇄내용은 180도 회전시킨 전도인쇄(轉倒印刷)를 행한다. 여기서, 도 11의 줄의 교환대로 「일괄순번 = 1」, 「일괄순번 = 3」의 순번에서 수동분배 처방의 지시를 인쇄한다.
수동분배 약제세트라면, 약제피이더부(14)와 약제수동 분배부(15)에서 약제를 공급하여 약제포장부(16)에서 포장한다(스텝 S28). 이와 같이 분포코맨드에 관한 약제분할 포장의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스텝(S21)에 되돌아 와서 분포코맨드의 수신으로부터 반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약제분포장치에 의하면, 분포하는 약제량의 기준량에 대한 비율을 정수부와 소수부로 분할하여, 정수부에 해당하도록 약제를 상기 약제자동공급 수단으로부터 자동공급시켜, 소수부에 해당하는 약제를 상기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하게 하였으므로, 자동분포처리의 자동화의 정도가 높아지고, 작업자에 의한 수동분배 작업이 삭감되고,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한다.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화상, 약제식별기호, 또는 보관선반번호를 해당하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표시수단에 표시하게 하였으므로, 작업자에 의한 약제의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또, 작업자에 의한 약제를 딴것과 바뀌는 등 인위적인 미스가 예방이 된다.
처방데이터마다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개수 또는 수동분배 포장수를 계산하여, 해당하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하였으므로, 작업자에 의한 준비작업의 부담을 줄인다.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수동분배하는 약제식별기호, 보관선반번호, 개수, 또는 수동분배 포장수를 인쇄수단에서 인쇄하게 하였으므로, 작업자는 기억만으로 의지하지 않고 끝나서 작업부담을 줄인다. 또, 연속적으로 인쇄한 용지에 작업자명의 인감을 찍어두어서 조제작업의 기록이 가능하다. 이 기록은 조제미스가 발생한 경우의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수동분배하는 약제가 있는 것을 알림수단에서 알리도록 하였으므로, 미리 수동분배 작업의 필요성을 인식시킬 수가 있고, 작업의 중단을 없앨 수 있다.
복수의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자동공급하는 약제와 수동분배하는 약제를 구분하여 자동공급만으로 포장가능한 약제만을 우선 포장하게 하였으므로, 장치에의한 자동분포처리와 작업자에 의한 준비작업과의 시간적인 조화가 있어, 작업능률이 잘된다.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종류와 개수를 계산하여, 표시수단에 표시하게 하였으므로, 작업자에 의한 준비작업의 부담을 줄인다.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중, 수동분배 약제를 포장하는 유닛을 선택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작업자의 이동거리를 줄여서 작업성을 높이는 설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수동분배 처방의 수, 수동분배 포장수, 또는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종류와 개수를 집계하여 기록하게 하였으므로, 수동분배의 작업량의 정확한 파악과 평가가 가능하다.

Claims (9)

  1. 약제를 자동공급하는 약제자동 공급수단과, 미리 1포분씩 준비한 약제를 수동분배 공급하는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과,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약제를 분포하는 포장수단을 구비한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
    분포하는 약제량의 기준량에 대한 비율을 정수부와 소수부로 분할하여, 정수부에 해당하는 약제를 상기 약제자동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하여, 소수부에 해당하는 약제를 상기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에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자동 공급수단, 수동분배 약제공급수단 및 포장수단외에 표시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과,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약제를 포장시키는 입력조작유닛을 구비하고,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화상, 약제식별기호, 또는 보관선반번호를 해당하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표시수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처방데이터마다에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개수 또는 수동분배 포장수를 계산하여, 해당하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은 인쇄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수동분배 약제의 약제식별기호, 보관선반번호, 개수 또는 수동분배 포장수를 해당하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인쇄수단에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은 알림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수동분배하는 약제가 있는 것을 해당하는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의 알림수단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복수의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자동공급하는 약제와 수동분배하는 약제를 구분하여, 자동공급만으로 포장가능한 약제만을 우선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조작유닛은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고,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종류와 개수를 계산하여,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분할 포장기구 유닛중, 수동분배 약재를 포장하는 유닛을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수동분배처방의 수, 수동분배 포장수, 또는 수동분배하는 약제의 종류와 개수를 집계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분포장치.
KR1020000032845A 1999-06-15 2000-06-15 약제분포장치 KR200100778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819099A JP3599605B2 (ja) 1999-06-15 1999-06-15 薬剤分包装置
JP1999-168190 1999-06-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121A Division KR20040074674A (ko) 1999-06-15 2004-08-11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의 처방데이터 변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830A true KR20010077830A (ko) 2001-08-20

Family

ID=1586346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845A KR20010077830A (ko) 1999-06-15 2000-06-15 약제분포장치
KR1020040063121A KR20040074674A (ko) 1999-06-15 2004-08-11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의 처방데이터 변경방법
KR1020050033233A KR20050045969A (ko) 1999-06-15 2005-04-21 수동분배 약제데이터 작성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채택한약제분포시스템
KR1020050109082A KR100623737B1 (ko) 1999-06-15 2005-11-15 수동분배 약제데이터 작성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채택한약제분포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121A KR20040074674A (ko) 1999-06-15 2004-08-11 약제분포장치에 있어서의 처방데이터 변경방법
KR1020050033233A KR20050045969A (ko) 1999-06-15 2005-04-21 수동분배 약제데이터 작성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채택한약제분포시스템
KR1020050109082A KR100623737B1 (ko) 1999-06-15 2005-11-15 수동분배 약제데이터 작성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채택한약제분포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99605B2 (ko)
KR (4) KR200100778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00B1 (ko) * 2000-09-21 2008-07-1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분할 포장장치
KR101424845B1 (ko) * 2007-09-27 2014-08-0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분산 약제 공급 장치, 약제의 분산 방법, 및 약제 분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5656B2 (ja) * 2000-07-07 2010-06-23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分包装置
JP2002272814A (ja) * 2001-03-16 2002-09-24 Hachioji Yakuzai Center:Kk 計数調剤ミス防止システム
JP4621433B2 (ja) * 2003-03-24 2011-01-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JP4610397B2 (ja) * 2005-03-31 2011-01-12 富士通株式会社 処方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処方支援装置
JP5087643B2 (ja) * 2010-02-23 2012-12-05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分包装置
US20130170732A1 (en) * 2011-08-08 2013-07-04 Makoto Gotou Medicine pack inspecting system
JP5921025B2 (ja) * 2011-11-09 2016-05-24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分包装置
JP2013159389A (ja) * 2012-02-08 2013-08-19 Canon Marketing Japan Inc 錠剤供給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5724915B2 (ja) * 2012-03-16 2015-05-27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錠剤供給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18962B2 (ja) * 2012-04-24 2017-04-26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調剤システム
JP5673778B2 (ja) * 2012-11-20 2015-02-18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分包システム、錠剤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2274422B1 (ko) 2013-01-18 2021-07-0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 불출 장치, 약품 불출 방법, 약품 불출 프로그램, 기록 매체
JP5794328B2 (ja) * 2013-04-15 2015-10-14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錠剤供給装置、分包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318529B2 (ja) * 2013-10-04 2018-05-09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5880756B2 (ja) * 2015-03-31 2016-03-09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錠剤供給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37361B2 (ja) * 2016-02-22 2017-05-31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供給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6407315B2 (ja) * 2017-01-18 2018-10-17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調剤システム
JP6406385B2 (ja) * 2017-04-28 2018-10-17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分包システムおよび錠剤分包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680308B2 (ja) * 2018-04-17 2020-04-15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配薬管理システム、配薬管理方法、配薬管理プログラム
JP6763922B2 (ja) * 2018-09-13 2020-09-30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調剤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0002A (ja) * 1981-11-20 1983-05-28 株式会社東京商会 錠剤散剤分割機構
JPS6452468A (en) * 1987-08-25 1989-02-28 Tokyo Shokai Kk Drug portionwise packer
JPH03240603A (ja) * 1990-02-05 1991-10-28 Tokyo Shokai:Kk 薬剤分包機
JPH0640401A (ja) * 1992-11-14 1994-02-15 Tokyo Shokai:Kk 薬剤分包機の薬剤供給装置
JPH09140775A (ja) * 1994-01-04 1997-06-03 Tokyo Shokai:Kk 調剤業務用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010A (ja) * 1993-04-30 1994-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剤システム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0002A (ja) * 1981-11-20 1983-05-28 株式会社東京商会 錠剤散剤分割機構
JPS6452468A (en) * 1987-08-25 1989-02-28 Tokyo Shokai Kk Drug portionwise packer
JPH03240603A (ja) * 1990-02-05 1991-10-28 Tokyo Shokai:Kk 薬剤分包機
JPH0640401A (ja) * 1992-11-14 1994-02-15 Tokyo Shokai:Kk 薬剤分包機の薬剤供給装置
JPH09140775A (ja) * 1994-01-04 1997-06-03 Tokyo Shokai:Kk 調剤業務用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00B1 (ko) * 2000-09-21 2008-07-1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분할 포장장치
KR101424845B1 (ko) * 2007-09-27 2014-08-0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분산 약제 공급 장치, 약제의 분산 방법, 및 약제 분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737B1 (ko) 2006-09-13
KR20050113151A (ko) 2005-12-01
KR20040074674A (ko) 2004-08-25
JP3599605B2 (ja) 2004-12-08
JP2000354620A (ja) 2000-12-26
KR20050045969A (ko)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737B1 (ko) 수동분배 약제데이터 작성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채택한약제분포시스템
JP4243783B2 (ja) 調剤指示システム
KR100676630B1 (ko) 약국 자동화 관리 시스템
US5905652A (en) System for preparing materials for guiding a patient in taking medicine
JP3650776B2 (ja) 薬剤分包装置
JP2001000508A (ja) 薬剤分包装置
JP2971360B2 (ja) 処方箋調剤の投薬システム
JPH0457348B2 (ko)
JPH07303687A (ja) 処方箋調剤の手作業案内システム
JP4485656B2 (ja) 薬剤分包装置
KR100696812B1 (ko) 조제 제어장치
JP2916389B2 (ja) 処方箋調剤の投薬システム
JPH1131181A (ja) 薬剤指導書の作成システム
JPH02107258A (ja) 処方データ入力による自動錠剤分包オーダリング方式
JP2536388Y2 (ja) 薬剤分包機
JPS63318674A (ja) 処方箋処理装置
JP2691859B2 (ja) 調剤制御方法
JPS6350241B2 (ko)
JPH0852198A (ja) 処方箋調剤の薬袋作成システム
JPH03264065A (ja) 処方箋調剤の投薬システム
JP2022136605A (ja) 服薬支援装置、服薬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87643B2 (ja) 薬剤分包装置
JP4610397B2 (ja) 処方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処方支援装置
JPS63143067A (ja) 調剤制御装置
JPH07200707A (ja) 処方箋調剤の投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029

Effective date: 200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