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789A -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789A
KR20010077789A KR1020000005843A KR20000005843A KR20010077789A KR 20010077789 A KR20010077789 A KR 20010077789A KR 1020000005843 A KR1020000005843 A KR 1020000005843A KR 20000005843 A KR20000005843 A KR 20000005843A KR 20010077789 A KR20010077789 A KR 20010077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cy
shampoo composition
concentrated shampoo
shampoo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265B1 (ko
Inventor
김진영
최수규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2000000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265B1/ko
Publication of KR2001007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8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mphoteric or zwitter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 ℃ 이하의 저온에서도 현탁이 일어나지 않고, 투명성을 유지하는 농축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을 2 내지 4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을 4 내지 8 중량%,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4 내지 6 중량%, 및 음이온, 또는 음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30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RO-(G)m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가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인 측쇄 또는 직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나타내고,
G는 5 내지 6 개의 탄소로 구성된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글루코스, 크실로스, 락토스, 프락토스, 만노스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사카라이드를 나타내며,
m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로서 중합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CLEARLY CONCENTRATED SHAMPOO COMPOSITION}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저온에서도 투명성을 유지하는 농축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축 샴푸의 조성물에 염화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PEG 400 또는 PEG-8로 나타냄) 및 알킬폴리글루코시드의 적정량을 함유시켜 0 ℃ 이하의 저온에서도 현탁이 일어나지 않고 투명성을 유지하는 농축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농축 샴푸란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일반 샴푸의 2 내지 3 배 되는 것으로 적은 양으로도 충분한 세정 및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로서 국내에서는 아직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해외 시장에서는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종류의 샴푸라 할 수 있다.
농축 샴푸에서의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은 특히 투명 농축 샴푸의 경우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높아 저온에서 보관시 계면활성제 및 기타 조성물들이 과포화 상태가 되어 마이셀이 결정화가 되면서 샴푸의 투명성이 현탁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것이다. 대개의 경우 투명 샴푸는 투명한 용기에 담겨져 있어 제품의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온도 저하로 제품이 현탁되어 외관이 변하는 것은 제품의 품질에 큰 결점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저온에서도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적절한 가용화제의 첨가나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비율, 즉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조정하여 용해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저온에서의 투명성 유지에 대하여는 일반화된 기술이나 특허 역시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 제품화 되어 있는 농축이 아닌 많은 일반 투명 샴푸 조차도 저온에서 보관, 유통시 투명성을 잃고 현탁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면활성제가 기존 샴푸의 2 내지 3 배 되는 투명 농축 샴푸로서 0 ℃ 이하에서의 저온에서도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농축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화나트륨을 2 내지 4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을 4 내지 8 중량%,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4 내지 6 중량%, 및 음이온, 또는 음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30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RO-(G)m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가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인 측쇄 또는 직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나타내고,
G는 5 내지 6 개의 탄소로 구성된 글루코스, 크실로스, 락토스, 프락토스, 만노스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사카라이드이고,
m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로서 중합도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알킬폴리글루코시드의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라우릴폴리글루코스, 데실폴리글루코스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투명 농축 샴푸에 대해 연구하던 중 투명 농축 샴푸의 저온에서의 현탁 문제 해결에 주요 관심을 두게 되었고 본 발명의 청구 범위인 상기의 특정 영역에서 계면활성제의 용해도가 매우 높아지며 특히 저온에서도 그 투명성이 유지됨을 발견하였다.
농축 샴푸의 제조 과정에서 계면활성제의 높은 농도로 인한 점도 증가로 인해 점도 하강제로 염화나트륨(염화나트륨은 보통 점증제로 많이 사용되나 그 함량이 1 내지 2 중량% 이상으로 높아지면 오히려 점도를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을 사용하였고,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역시 점도 하강제로 사용할 수 있는 용제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크래프트 포인트가 낮아 저온에서도 투명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그 종류별, 함량별로 검토한 결과 상기 화학식 1의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4 내지 6 중량% 투입하고 점도 하강제로서 염화나트륨과 점도 하강제 또는 가용화제의 기능을 가진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함량으로 함께 투입했을 때 저온에서도 투명도가 유지되는 농축 샴푸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아지면 계면활성제의 용해도가 떨어지고 따라서 과포화 상태가 되어 마이셀이 결정화되면서 현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 청구 범위의 함량으로 염화나트륨과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을 투입했을 때 계면활성제의 용해도가 크게 증가함으로써 저온에서의 투명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이들 염화나트륨과 폴리에틸렌 400은 투입량에 따라 마이셀의 크기 또는 구조 및 용해도에 영향을 크게 미쳐 본 발명의 청구 범위 이상으로 투입했을 경우 다시 계면활성제의 용해도가 떨어지며 저온에서의 투명성이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음이온 또는 음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30 내지 40 중량% 투입하며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서 계면활성제의 양이 일정할 때 염화나트륨과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의 양이 변화함에 따라 샴푸의 점도가 변화하며 따라서 이들의 양을 조절하여 원하는 점도의 샴푸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비교예 및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 비율로 물에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나트륨과 코카미도프로필베테인,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을 넣은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55 ℃ 까지 가온한다. 염화나트륨을 넣고 10 분간 교반하여 완전 용해시킨다. 라우릴글루코오스를 투입 후 45 ℃ 까지 냉각시킨다. 45 ℃에서 디메티콘코폴리올, 수용성콜라겐,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청섹 1호, 향을 투입 후 30 분간 교반한다.
(단위: 중량%)
원료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60%) 50.0 50.0 50.0 50.0 50.0 50.0 50.0 45.0
코카미도프로필베테인(30%) 4.0 4.0 4.0 4.0 4.0 4.0 10.0 20.0
염화나트륨 4.0 - 2.0 2.0 2.0 2.0 3.0 4.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 7.0 2.0 5.0 4.0 5.0 5.0 7.0
라우릴글루코오스(30%) 15.0 15.0 15.0 5.0 15.0 20.0 20.0 15.0
디메티콘코폴리올 5.0 5.0 5.0 5.0 5.0 5.0 5.0 5.0
수용성콜라겐 0.1 0.1 0.1 0.1 0.1 0.1 0.1 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0.2 0.2 0.2 0.2 0.2 0.2
청색 1호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8 0.8 0.8 0.8 0.8 0.8 0.8 0.8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상기 표 1의 샴푸들에 대하여 사용감과 상온 및 저온에서의 투명도를 하기의 시험예의 방법으로 테스트 하였다.
시험예 1: 사용감 평가
관능 평가; 상기의 샴푸를 사용하여 기포감 및 컨디셔닝 효과 등을 비교한다.
시험예 2: 상온 투명도 평가
시험예 3: 저온 투명도 평가
상기의 샴푸들을 0 ℃의 항온조에 보관하며 각각 1 일, 1 주, 1 개월 경시 후의 투명도를 확인한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3을 수행하고 그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사용감 평가 기포가 다소 끈적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온 투명도 평가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투명
0 ℃ 1 일 경시 현탁됨 현탁됨 현탁됨 현탁됨 투명 투명 투명 투명
0 ℃ 1 주 경시 현탁됨 현탁됨 현탁됨 현탁됨 투명 투명 투명 투명
0 ℃ 1 개월 경시 현탁됨 현탁됨 현탁됨 현탁됨 투명 투명 투명 투명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감과 상온 투명도는 비교예 및 실시예 모두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비교예 1 내지 4는 저온 보관시 모두 현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축 샴푸 조성물은 상온 뿐 만 아니라 저온(0 ℃)에서 경시되어도 투명성을 유지한다.

Claims (1)

  1. 염화나트륨을 2 내지 4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을 4 내지 8 중량%,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4 내지 6 중량%, 및 음이온, 또는 음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30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화학식 1]
    RO-(G)m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가 5 내지 30인 측쇄 또는 직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나타내고,
    G는 사카라이드를 나타내며,
    m은 1 내지 10이다.
KR1020000005843A 2000-02-08 2000-02-08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 KR100676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843A KR100676265B1 (ko) 2000-02-08 2000-02-08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843A KR100676265B1 (ko) 2000-02-08 2000-02-08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789A true KR20010077789A (ko) 2001-08-20
KR100676265B1 KR100676265B1 (ko) 2007-01-30

Family

ID=1964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843A KR100676265B1 (ko) 2000-02-08 2000-02-08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2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2070A3 (en) * 2008-11-07 2010-12-16 Unilever Plc Concentrated shampoo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8747B1 (en) * 1991-04-05 1995-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s with silicone conditioning agent
KR0147889B1 (ko) * 1994-06-22 1998-08-17 김정순 분산제로서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함유한 향비듬 샴푸조성물
KR100203734B1 (ko) * 1996-12-17 1999-06-15 성재갑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564223B1 (ko) * 1998-12-30 2006-06-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2070A3 (en) * 2008-11-07 2010-12-16 Unilever Plc Concentrated shampoo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265B1 (ko)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6334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n aqueous dispersion of pearlescent agent
EP1043010B1 (en)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US4717501A (en) Pearl luster dispersion
EP0449904A1 (de) Fliessfähiges perlglanzkonzentrat
CA2497910A1 (en) Coolant solution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KR920002113B1 (ko) 액체 세제 조성물
JPS5910720B2 (ja) 低刺激性洗浄剤組成物
CN107106440A (zh) 洗发剂组合物
NL8203129A (nl) Vloeibaar detergentmengsel.
EP0910328B1 (de) Wässrige perlglanzkonzentrate
KR100676265B1 (ko)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
JPH0334800B2 (ko)
JP4173962B2 (ja) 真珠光沢を有する洗浄剤組成物および分散性良好な真珠光沢濃縮物
US4959206A (en) Pearling agent dispersion
DE19752067A1 (de) Fließfähige, wäßrige Perlglanzdispersion mit Behensäure als perlglanzgebender Komponente und Alkylethersulfat als Dispergiermittel
JPH05345717A (ja) 皮膚化粧料
JP2618311B2 (ja) 乳液状洗浄剤組成物
JPH035414A (ja) 洗浄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510002A (ja) 水性洗剤組成物を調製するための混合順序
JPH093498A (ja) 貯蔵安定性の濃縮水性界面活性剤組成物
JPS61137812A (ja) パ−ル光沢を有する洗浄剤組成物
JPH10182343A (ja) パール光沢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2684213B2 (ja) 真珠光沢剤分散液
JPS5838798A (ja) 真珠光沢性濃縮物、該濃縮物の製法、並びにシヤンプ−
JPS63161083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