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113B1 - 액체 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113B1
KR920002113B1 KR1019900700790A KR900700790A KR920002113B1 KR 920002113 B1 KR920002113 B1 KR 920002113B1 KR 1019900700790 A KR1019900700790 A KR 1019900700790A KR 900700790 A KR900700790 A KR 900700790A KR 920002113 B1 KR920002113 B1 KR 92000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detergent composition
surfactant
liquid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991A (ko
Inventor
파울 듀리바 에드워드
느구엔 꾸옹
도날드 리스카 그레고리
윌리암 하우리락 그레고리
죠셉 바라 2세 프란시스
Original Assignee
콜게이트 팔모리브 컴퍼니
로버트 씨이. 술리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게이트 팔모리브 컴퍼니, 로버트 씨이. 술리반 filed Critical 콜게이트 팔모리브 컴퍼니
Publication of KR90070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94High foam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6Mixtures of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rom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11D1/523Carboxylic alkylolamides, or dialkylolamides, or hydroxycarboxylic amides (R1-CO-NR2R3), where R1, R2 or R3 contain one hydroxy group per alk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 세제 조성물
본 발명은 접시, 포트, 팬, 유리제품 및 은식기류를 포함한 접시제품을 손으로 세척하는데 특히 유용한 약성 액성세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대기상태 즉, 낮은 온도 상태에서 접시로부터 기름오물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고, 안정적이며, 계속적인 거품을 제공하는 액체 접시 세척 세제합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제에 의한 거품의 발생은 소비자에게 세제의 세척력이 좋다는 것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저-중간 거품함량에 대하여 풍부하거나, 중간정도를 생각되든지, 거품을 오래 지속하여 되는 것 그 자체가 세척력의 충분한 척도가 아님은 명백하다.
기름기 있는 오물은 일반적으로 손으로 세척하여 제거하는데 가장 어려운 오물 형태중의 하나로 생각되어진다. 효과적인 기름기의 제거는 기름기를 용해하여 제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높은 온도의 물을 요구하는 것을 거의 항상 생각하고 있다.
명백히, 온화하고, 거품이 생기며, 액체인 손으로 하는 접시 세제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며, 이것은 대기온도에서 물을 사용하여 접시류로부터 다른 오물뿐만 아니라 기름기 있는 오물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고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지된 성분으로부터 제조되지만, 본 조성물은 독특한 합성과 비율로서 신규하고,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액성 접시세제는 다음과 같은 필수 성분을 포함한다.
(A) (1) C10-C15알킬 벤젠 황 음이온 표면활성제의 마그네슘 염 35 내지 65% : (2) C10-C16알킬 벤젠 황음이온 표면활성제의 알카리 금속염 0 내지 15% ; 알킬체인에 평균 9 내지 13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단일-또는폴리-글루코시드 약 35% 내지 65% 및 약 1 내지 3정도의 범위내에서 평균적인 중합화를 포함하는 약 30 내지 50%의 표면 활성제의 시스템; (B) 최소한 보다 높은 알카노산, 균형수의 낮은 알카노라미드를 포함하는 약 0.5 내지 6%의 거품 안정화 시스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고 포함되는 선택적이지만 가끔 유용한 성분이 포함된다; (C) 약 10%까지 자극성이 낮은 유기용제; (D) 약 8%까지 굴수성 유발물질; (E) 킬레이트 화합물화 또는 분리제, 염색제, 물감, 향수, 세균제, 살균제, 방부제, 햇빛타기방지제, PH-변형제, PH-완충제, 불투명화제, 산화방지제, 침전농축, 단백질 등등과 같은 어떠한 성분도 최대가 약 10%이고 전체가 약 20%까지인 다른 보조제.
여기에 주어진 모든 비율은 다른 표시가 없다면 중량 기준이다.
본 발명의 성분은 아래에 보다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A) 표면활성제의 계통
(1) 제1의 필수표면활성제 성분은 알킬 벤젠술폰산의 음이온 마그네슘 염, 바람직하게는 일차 C10내지 C16알킬 벤젠 술폰산염이다. 일차 알킬기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평균적으로 갖는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마그네슘 알킬 벤젠 술폰산염은 일차 도데실벤젠 술폰산의 마그네슘 염이다.
또한, 마그네슘 염은 예를 들어, 마그네슘산 중성 일차 도데실 벤젠 술폰산일 수 있고, 또는 달리 마그네슘염은 염화마그네슘, 마그네슘황산염 등을 나트륨 12-실 벤젠 술폰산염에 첨가시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방안으로, 마그네슘염 전해질이 초과되면, 조성물의 크라우드/크리어(cloud/clear)점을 상승시킬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은 굴수성유발물질의 첨가에 의하여 하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보상될 수 있다.
마그네슘 염 음이온 표면 활성제(1)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약 15% 내지 25%이고, 또는 전체 표면활성제 (A) (1), (2), (3)에 대하여 약 35% 내지 65%이다. 보다 바람직한 음이온 마그네슘 염 표면활성제의 양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약 15% 내지 22%, 특히 약 20% 내지 21%이고, 표면활성제 (A), (1), (2), (3)의 합에 대하여 약 37% 내지 58%, 특히 약 48% 내지 54%이다.
전체의 15% 이하에서 낮은 온도의 기름기를 제거하는데 개선이 불충분하고, 반면에 전체의 25% 이상에서, 조성물이 손으로 양호하게 자극되는 경향이 있다.
(2) 술폰산 시스템은 또한 전체 조성물의 약 5%까지, 또는 전체 표면활성제 성분의 약 15%까지 일차 C10-C15알킬 벤젠 술폰산 음이온 표면활성제의 적은 양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은 전체 조성물의, 0.5, 1.0, 2.0, 또는 3.0%와 같이, 각각 전체의 약 3% 또는 표면활성제의 약 8%까지이다. 알칼리 금속은 나트륨 또는 칼륨,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이다. 일차 알킬기는 바람직하게 평균 10내지 12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2개의 탄소원자, 즉 나트륨 일차 도데실 도데실 벤젠 술폰산염을 포함한다. 나트륨 염 음이온은 일반적으로 마그네슘염보다 약한 세제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름오물제거로 덜 효과적이고, 거품을 발생하는데 있어서 특히 오물이 있는 경우 효과가 낮았으며, 따라서 조성물 내에 상기 나트륨염 음이온의 함유는 가능한 한 어디에서든지 최소로 되거나 제거될 것이다.
그러나 마그네슘염 음이온이 마그네슘 전해질을 나트륨 알킬 벤젠 술폰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곳에서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잔여 나트륨이온을 제거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사실 이것은 마그네슘염을 그것의 존재를 원하는 때 조성물 속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편리한 수단이다.
(3)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또 다른 필수적인 표면활성제인 알킬 글루코사이드, 바람직하게는 알킬모노 글루코사이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지만 폴리글루코사이드이다.
알킬 모노- 및 폴리사카라이드는 그들의 유용한 세제력, 거품화, 및 점성의 완화 특징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알킬 모노 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경 약성 액체 조성물에 관한 특허 명세서의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4,732,703호 및 제4,732,696호에 포함되어 있다. 알킬 폴리 사카라이드는 미합중국 특허 제4,396,520호; 제4,536,318호; 제4,565,647호; 제4,599,177호; 제4,663,069호; 및 제 4,668,422호(모노 글루코사이드를 포함)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에 인용된 많은 특허 및 논문에 기술된 액체 세제조성물에 사용되어 진다.
본 발명에서, 알킬 사카라이드의 좁은 아속이 마그네슘염 표면활성제와 결합하여 사용될 때 낮은 온도에서 기름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높여줌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알킬 글리코사이드는 평균 9 내지 13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1개의 탄소원자의 알킬기 및 1 내지 약 3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3개의 글루코사이드 단위, 1.3, 1.4, 1.5, 2.0 또는 2.8과 같은 글루코사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글루코이드 친수성기를 갖는 것이다. 물론, 어떤 특별한 표면활성제 분자에 있어서 글루코사이드의 수는 정수가 될 것이다. 그러나, 알킬 글루코사이드 표면 활성제의 어떠한 실제적, 물리적 견본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글루코사이드의 단위내에 있고, 그리고 그것은 특별한 표면활성제 제품의 특성을 나타내는 평균값이다.
아킬기는 바람직하게 당 분자의 제1위치에 부착되고, 그러나 제1, 제3, 또는 제4위치에 부착될 수 있고, 따라서 글루코사이드보다 글루코실을 준다. 더욱이, 폴리글루코사이드에서, 부가되는 글루코사이드 단위체는 제2위치에서 앞의 글루코사이드에 현저하게 부착된다. 그러나, 제3, 제4, 및 제6위치에서 부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리고 덜 바람직하게, 알킬분자 및 글루코사이드 단위체와 결합하는 폴리알킬렌옥시드 체인(예; 폴리에틸렌옥시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는 다음과 같은 식을 갖는다.
R2O(CnH2nO)t(Z)x
여기서 Z는 글루코스에서 파생된다. R2는 약 9 내지 11개의 탄소로부터 얻어지는 알킬기이다. n은 2 또는 3, 바람직하게는 2이다. t는 0 내지 약 6, 바람직하게는 0이다. X는 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7이다. 이러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긴 체인 알코올(R2OH)가 바람직한 글루코사이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산 촉매제의 존재하에서 글루코스와 반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는 두 단계의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이것은 짧은 체인 알코올(C1-C6)가 글루코스 또는 폴리글루코사이드(X는 2 내지 4)와 반응되어 짧은 체인 알코올을 대치하고 원하는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를 얻기 위하여 긴 체인 알코올(R2OH)와 번갈아 반응할 수 있는 짧은 체인 알킬 글루코사이드(X는 2 내지 4)를 생성한다. 이러한 두 단계가 이용된다면, 최종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물질의 짧은 체인 알킬 글루코사이드 함량이 50%이하, 바람직하게는 10%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의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로 되어야 한다.
원하는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표면활성제에서 비반응 알코올의 양(자유 지방 알코올 함량)은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와 비반응된 알코올의 전체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약 2%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이다. 알킬 모노글루코사이드의 양은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의 전체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7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0%내지 50%이다. 몇 가지 용도에 있어서, 약 10%이하의 알킬 모노글루코사이드 함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하는 거품과 세제특성을 얻기 위한 알킬 글리코사이드의 양은 전체 조성물의 약 15% 내지 25%의 범위에 있거나, 표면활성제 A (1), (2) 및 (3)의 합이 약 35% 내지 65%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한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16% 내지 22%이고, 특히 18% 내지 20이고, 또는 전체 표면활성제양의 기준으로 약 40% 내지 60%, 특히 45% 내지 55%이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마그네슘 알킬벤젠 술폰산염 표면활성제 및 알킬 모노-또는 폴리글루코사이드 표면활성제의 상대적인 양은 특히 중요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약 1.3 : 1 내지 1 : 1.3의 범위에 있게 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 1 내지 1: 1.2의 범위에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 표면활성제 성분의 전체양은 전체 약 30% 내지 50%의 범위, 바람직하게 35%, 36%, 38%, 39% 또는 40%와 같이 약 33% 내지 42%가 될 것이다.
(B) 거품 안정화시스템
거품의 안정화 효과 뿐만 아니라 거품능력에 자체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거품 안정화 시스템은 2 내지 3개의 탄소원자의 저 알카놀과 10개 내지 16개의 탄소원자의 알카노산의 반응물인 고 알카노산의 저 알카로아미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저 알카놀의 80% 이상이 에탄올이고, 알카노산의 유사한 비율은 12 내지 14개의 탄소원자이다. 또한 유용한 다른 저 알카놀은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이다. 바람직한 알카노산은 라우릭산과 미리스틱산의 혼합물로서, 일반적으로 1 : 2 내지 2 : 1의 비율이며 각각의 약 50%가 바람직하다. 한편, 코커닛오일 또는 수소로 처리된 코커닛오일은 알카노산의 공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적당한 알카노산 알칼놀아미드는 모노에탄올아미드, 디에탄올아미드 및 모노 이소프로판올아미드를 포함한다.
특별한 예는 혼합된 라우릭/미리스틱 디엔탄올아미드, 라우릭/미라스틱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릭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릭 디에탄올아미드, 코코 디에탄올아미드, 코코 모노에탄올 아미드 등을 포함한다.
본 조성물의 알카노산 알카놀아미드함양의 일부 대신에, 트리알킬 아민옥시드 또는 저 알콕실레이트도 알카노산 알카놀아미드가 이용될 수 있다. 아민옥시드는 보통 디-저 알킬 고차 알킬 아민옥시드인에 여기서 저 알킬은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이고, 고알킬은 10내지 16,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알콕실레이트화 알카노산 알카놀아미드는 분자당 1 내지 10, 바람가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에톡시기를 가지고 있다. 알칸올과 지방산은 본 알카노산 알칸올아미드와 동일하다. 정상적으로, 알칸올아미드의 치환은 상기에 주어진 비율의 무게로 단지 5% 내지 40%의 함량으로 될 것이다. 알칸올 아미드는 몇몇 사용에 있어서 아민 옥시드에 의하여 완전히 치환되고, 알칸올 아미드 또는 혼합물을 에톡시화 한 것인데, 그러한 완전한 치환은 바람직하지 않다. 아민 옥시드에 의해 치환되지 않는다.
알카노산 알카놀아미드의 양은 0.5 내지 6%,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와 같은 조성물의 약 6%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3 또는 4%와 같은 조성물의 1 내지 5%일 수 있다.
마그네슘 염 표면활성제,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거품안정시스템을 필수성분으로 특별한 비율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접시, 유리제품, 식기류 포트, 팬등과 같은 접시제품을 손으로 따뜻하거나 더운물에서 뿐만 아니라 대기의 수온에서 효과적인 세척을 하는 순하고, 안정된 거품액체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분을 함유한 채 형성된다. 본 발명은 손에 순하고, 순수하며 균질의 것을 형성한다. 그러나 투명함과, 균질성은 가끔 예를 들어 유기용매 및/또는 다른 선택적인 첨가제는 또한 바람직한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는 양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없다.
(C) 유기용매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레 그릴콜,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같은 보통 저 알콜인, 미용학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유기용매는 적은 효과, 투명점을 낮추기 위해, 그리고 주요 수성매개물에서 쉽게 용해될 수 없는 어떠한 성분에 대해서도 그것이 효과적으로 용해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용매의 양은 보통 약 10%, 바람직하게 8%, 특히 2 내지 5%와 같이 조성물의 6%이하로 한정될 것이다. 에탄올은 바람직한 유기용매이다.
(D)굴수성 유발물질
조성물의 여러 가지 성분을 용해성이 있도록 도우고, 낮은 표백점을 유지시키고, 가능한 점성을 완화시키도록, 조성물에 친수성물질을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형적인 굴수성 유발물질은 요소 및 나트륨 크실렌, 술폰산염, 칼륨크실렌 술폰산염, 나트륨 큐민 술폰산염, 암모니움 크실렌 술폰산염 등과 같은 것 저알킬 아릴술폰산염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둘 또는 그 이상의 굴수성 유발물질의 혼합물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사용시 굴수성 유발물질은 일반적으로 약 8%이하, 1 또는 2 내지 6%와 같은 바람직하게는 약 6%이하로 존재한다.
(E)다른 선택적 기능 또는 믿을만한 첨가제
다른 여러 가지 물질은 또한 그들의 바람직한 기능 또는 믿을만한 효과를 위하여 본 조성물내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중에, 수용성 단백질과 같은 사람의 손에 대한 세제의 순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이러한 물질은 가끔 매우 유용하다.
물을 포함한 용매는 제품을 투명액체로 만드는 경향이 있지만, 그들을 불투명하게 하거나 그들을 진주빛으로 만드는 것이 때때로 바람직하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면 폴리에톡시 에탄올의 고 지방산 에스테르, 코코넛트 오일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및 나트륨 라우릴 에테르 황산염의 거의 동일한 혼합물과 같은 비헥산, 또는 진주빛 또는 진주화되는 조성물등 불투명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고 지방산은대개 10내지 18개의 탄소원자로 구성되고, 폴리에톡시 함량은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의 에톡시기로 구성될 것이다. 알칸올 아미드는 바람직하게 에탄올 아미드에 의해 혼합되고, 그러나 이소프로판올아미드와 혼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조성물의 부가되는 보조제 성분은 향수; 예를 들면 단일수소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테트라소디움, 에틸렌, 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테트라소디움,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트리소디움니트릴오트리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격리제 ; 예를 들면 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 테트라클로로사리시란닐리드, 헥사클로로펜, 클로로브로모살리시라니리드와 같은 멸균제; 예를 들면, 나트륨 카르복실메틸 셀루로스, 폴리아크릴 아미드, 아리쉬모스등과 같은 충진제; 물감; 물에 분산 가능한 색소; 나트륨 황산염, 헵타 하이드레이트 또는 안히드로스와 같은 마그네슘, 황산염, 나트륨 염소와 같은 염; 포름알데히드 또는 과산화수소, PH 변화제등과 같은 보존제를 포함한다.
부가되는 첨가제의 전체양은 대개 조성물의 약 20%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 넘지 않는다. 반면에 어떤 각각의 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10%, 특히 5%를 넘지 않을 것이며, 그리고 대개 2% 또는 3%이하일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그것에 이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보조제의 상기 기술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각각의 성분이 여러 가지 종류, 형의 성분으로 설명되어지지만 그것의 혼합물이 본 기술분야 공지된 다음 음이온 및 비이온세제를 갖는 것이 가능한 둘 또는 셋의 음이온 세제의 혼합물 또는 비이온 세제를 갖는 혼합물, 피부처리물질의 혼합물 및 용매의 혼합물과 같은 그들의 혼합물이 다른 것에 이용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n이 1 내지 10, 바람직하게 2 또는 3과 같이 1 내지 5, R은 10 내지 18개,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이고, M이 양이온,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 또는 암모니움, 또는 마그네슘인 R(OC2H4)n의 구조식을 갖는 C10-C18알킬에테르 에틸렌옥시 황산염의 최소양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모노 C8-C18알킬 디(C1-C4알킬 또는 C1-C2알칸올 아민)옥시드인 아민옥시드 비이온 포움 안정제와 함께 특정 조건하에서 나트륨 또는 마그네슘(C12-C18) 파라핀 술폰산염과 같은 파라핀 술폰산염 표면활성제가 좋은 거품의 형성과 기름기를 제거하는 특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에 기술된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히, 13% 내지 18% 파라핀 술폰산염, 4% 내지 6%의 마그네슘 황산염 헵타히드레이트, 2% 내지 4%의 아민옥시드, 9% 내지 13%의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1.2 내지 3의 글루코사이드 단위체를 갖는 C9-C11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그리고 0% 내지 8%의 알킬 에테르 황산염이 특히 효과적이다.
세제조성물의 점성은 검(gum) 및 셀루로스 파생물과 같은 충진제를 첨가함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제품의 점성 및 흐름 특성은 병에서 유출될 수 있고, 또한 쉽게 스플래쉬(splash)되거나 또는 유출되도록 얇지는 않다. 그것은 사용시 대개 적은 양의 액체세제가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 내지 1000 센티포아즈(cps)의 점성(Book field viscometer spindle no. 1, 12rpm)은 (100 내지 500cps에서 유용함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이 바람직하고, 약 200cps의 점성이 소비자에게 가장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어느 정도 예를 들면 100cps등의 낮은 점성에서도 소비자는 거의 동일한 인식을 갖는다.
상기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증가된 온도, 예를 들면 40˚내지 50℃까지 세제성분을 가열시키고, 그들을 물과 선택적으로 전체 또는 부분적인 에탄올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후, 다른 음이온 및 비이온세제, 요소, 아미드, 단백질 및 다른 보조제가 향수등과 같은 보다 휘발성이 있는 물질과 함께 첨가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실온에서 상기 조성물을 마지막으로 후에 냉각화시킨다. 정상적으로 세제를 불투명하게 하거나 진주빛으로 만들때, 진주빛화시키는 혼합물은 또한 약 실온에서 거의 마지막으로 첨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조성물의 상기 제조방법은 바람직하지만, 여러 가지 다른 공지된 기술이 또한 이용될 수 있는데, 그것은 독특한 세제조성물에 좌우된다.
상기 조성물의 PH는 일반적으로 거의 중성, 예를 들면 약 6 내지 8,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7.5가 될 것이다.
다음에 나타난 대표적인, 그러나 한정적이지 않는 실시예가 본 발명을 더욱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 것이다.
다음의 조성물이 제조된다.
1) APG 325는 Horigon Chemical 사제품으로 9 내지 10개 탄소원자를 갖는 비친수성 쇄장이고, 글리코 사이드단위가 평균 1.52이다. 상기 조성물의 시험 1,2의 각각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하여 측정된다.
(1) 유화작용 안정성
경도 50ppm(Ca : Mg=2:1), 100ppm의 HCO3에서 약 1% 표면활성제 용액에서 옥수수오일의 유화작용 안정성, 실험을 위하여 마졸라(Mazola) 옥수수오일 0.20g이 희석된 1%의 표묜활성제 용액에 첨가되어 유리병에 넣어진다. 유리병은 손으로 25회 뒤집어지면서 5.0분동안 지속된다. 혼탁도는 Hach 탁도계로 실험 전후에 점검되어, 혼탁도의 변화(NTU)가 계단된다. 혼탁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유화작용의 안정성은 더 좋다.
(2) Miniplate 실험
0.1%로 희석될 실험용액은 50ppm 경수에 일정한 교반하에서 포움 종단점(foam end point)까지 수소로 처리된 목화씨인 크리스코(crisco) 오물로 적정되었다. 이러한 실험은 포움이 없어질 때까지 즉, 세척물의 최상에서 더 이상 포움이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세제로 세척될 수 있는 전체 플레이트수를 측정한다.
(3) Tergotometer 포움 실험
0.1%로 희석된 실험용액은 돼지기름(Armour)으로 채워진 플랜체트(Planche t)(Armour)가 주기적으로 첨가되는 동안 표준 Tergotometer내에서 교반되어진다. 50ml의 포움높이로 감소되기 위해 요구되는 플랜체트의 수가 측정되어 진다.
상기 모든 실험절차에 있어서, 주위온도(75 내지 85℉, 25℃)에서 물은 희석 또는 세척을 위해 사용된다. 실험 1, 2의 조성물의 실험결과 및 두 개의 서로 다른 잘 팔리는 상업적인 경약성 액체 접시세척제에 대한 결과는 표1에 도시되어 있다.
[표 1]
제어번호1 : 음이온 표면활성제; 포움촉진제; 굴수성유발물질; 비유기성염, 에탄올; 물을 포함하는 수동접시 세제조성물의 주요상업 상표.
제어번호 2 : 음이온 표면활성제; 포움촉진제; 굴수성유발물질; 비유기성염, 에탄올; 물을 포함하는 수동접시 세제조성물의 제2 주요 상업 상표
[실시예 2]
다음과 같이 조성물이 제조된다.
그리고 실시예1에서 상기의 기술된 실험절차에 의하지만, 50ppm과 150ppm의 경도에서 물을 사용하였다. 부가하여, 조성물에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실험을 하였다.
(4) 기류 제거(CPU) 실험
본 실험은 플라스틱 비이커의 표면으로부터 기름오물(돼지기름)의 제거양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돼지기름의 0.55 내지 0.60g가 250ml플라스틱 비이커의 벽에 뿌려지고, 비이커는 그때 0.1%로 희석된 실험조성물의 용액의 250g으로 채워졌다. 실험조성물은 5분동안 200rpm으로 교반기로 기계적인 교반이 가해졌다. 투과율(% T)은 Brickman PC 800 색도계를 사용하여 490nm빛에서 광섬유측정으로 측정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 T의 값이 낮아질수록, 실험조정물의 기름 오일 제거능력은 더욱 더 좋아진다. 그러나 본 실험은 PC 800색도계로 흡수성이 제로(0)인 점에서 충분히 표준화되도록 초기에 투명해진 조성물에 대하여 명백하다.
(5)수정된 기름기 제거(CPU)실험
기름기 제거실험(5)에 대하여 기술되는 절차는 오물과 같은 햄버그기름과 수도꼭지에서 받은 물을 105℉에서 희석을 위해 사용함으로 수정될 수 있다.
(6) Baugmgurtner 오물제거
본 실험은 또한 기름기오물(돼지기름)을 실험표면(깨끗하게 한 유리 슬라이드 2.5cm×0.1cm)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50ppm 또는 150ppm경수에서 1%로 희석된 용액의 능력을 측정한다. 오물은 각각의 깨끗한 유리슬라이드에 약 0.2g내지 약 0.3g의 돼지기름을 뿌리므로 가해진다. 더러워진 슬라이드는 용해속에서 600회 상기 더러워진 슬라이드를 담그므로 1%의 용액에서 세척된다. 상기 용액은 대기온도(75℉)로 유지된다. 세척후, 슬라이드는 두시간 동안 건조자로 건조된다. 세척과정의 전후에서 돼지기름의 중량의 차이는 기름기의 제거의 측정로 취해지는데, 차이가 크면 클수록 세제조성물의 효과는 더 크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표 2에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실시예1에서 사용된 동일한 두 개의 상업제품(제어번호 1 및 제어번호 2)에 대하여 얻은 결과와 함께 나타나 있다.
[표 2]
기름기 제거, 희석에 대한 실험
1) 읽기에 너무 희미한 용매
2) 정확한 초기값에 대해 너무 희미한 용해
3) 측정되지 않음

Claims (5)

  1. 안정된 포움특성을 갖고, 대기온도에서 기름오물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액성 접시 세척세제 조성물에 있어서, (A) (1) C10-C16알킬벤젠 술폰산염 음이온 표면활성제의 마그네슘의 중량비 약 35 내지 65%, (2) C10-C16알킬벤젠 술폰산염 음이온 표면활성제의 알칼리 금속염 0 내지 약 15%, (3) 평균 9 내지13개의 탄소원자를 알칼쇄에 갖고 평균 약 1 내지 3의 범위내에서 중합화되는 알칼모노-또는 폴리글루코사이드의 중량 35 내지 65%로 구성되는 표면활성제 시스템의 중량 약 30 내지 50%; (B) 최소한 보다 높은 알카노산에 하나의 낮은 알카놀아미드를 포함하는 포움안정화시스템의 중량 약 0.5 내지 6%; (C) 약 10 중량% 까지의 자극성 낮은 유기용매, (D) 약 8중량 %의 굴수성 유발물질, (E) 킬레이트화 또는 분리화제, 염료제, 염료, 향료, 살균재, 멸균제, 방부제, 햇빛 타기 방지제(Sun Creening agents), PH완화제, PH완충제, 불투명화제, 황산화제, 충진제(thtickner), 단백질 및 균형제인 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택적인 첨가제의 전체중량 약 20%까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가 약 33 내지 42%; (B)가 약 1 내지 5%; (C)가 약 2 내지 5%, (D)가 약 1 내지 6%, (E)가 약 10%까지; (F)가 균형제인 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표면활성제(A)가 (1) 45% 내지 58%의 C10내지 C1+알킬벤젠술폰산염의 마그네슘염, (2)약 5%까지의C10내지 C12알킬벤젠술폰산염의 마그네슘염, (3) 약 40% 내지 60%의 알칼기에 약 9 내지 11개의 탄소원자 및 약 1.2 내지 3개의 글루코사이드 단위를 갖는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움안정화시스템(B)이 라우릭디에탄놀아미드, 라우릭 모노에탄놀아미드, 미리스틱 디에탄놀아미드, 미리스틱 디에탄놀아미드, 코코 디에탄놀아미드, 그리고 코코모노에탄놀아미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한 하나의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움안정화시스템(B)이 약 1 내지 5%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세제 조성물.
KR1019900700790A 1988-08-19 1989-08-14 액체 세제 조성물 KR920002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410888A 1988-08-19 1988-08-19
US234,108 1988-08-19
PCT/US1989/003469 WO1990002164A1 (en) 1988-08-19 1989-08-14 Light dut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991A KR900701991A (ko) 1990-12-05
KR920002113B1 true KR920002113B1 (ko) 1992-03-12

Family

ID=2287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790A KR920002113B1 (ko) 1988-08-19 1989-08-14 액체 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431050A1 (ko)
KR (1) KR920002113B1 (ko)
AU (1) AU634489B2 (ko)
BR (1) BR8907611A (ko)
DK (1) DK28491D0 (ko)
EG (1) EG18567A (ko)
ES (1) ES2016055A6 (ko)
FI (1) FI910764A0 (ko)
GR (1) GR1000487B (ko)
MX (1) MX169917B (ko)
MY (1) MY104167A (ko)
NZ (1) NZ230239A (ko)
PT (1) PT91475B (ko)
WO (1) WO1990002164A1 (ko)
ZA (1) ZA896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711B2 (ja) * 1989-07-25 1994-12-07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DE4036662A1 (de) * 1990-11-17 1992-05-21 Huels Chemische Werke Ag Fluessiges, schaeumendes reinigungsmittel
AU661682B2 (en) * 1991-04-15 1995-08-03 Colgate-Palmolive Company, The Light dut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DE59303769D1 (de) * 1992-05-18 1996-10-17 Henkel Kgaa Milde tensidgemische
AU2535097A (en) * 1996-03-21 1997-10-10 Colgate-Palmolive Company, The Light duty liquid cleaning compositions
US5696073A (en) * 1996-04-08 1997-12-09 Colgate-Palmolive Co. Light duty liquid cleaning composition
AU2661597A (en) * 1996-04-08 1997-10-29 Colgate-Palmolive Company, The Light duty liquid cleaning compositions
US5834417A (en) * 1996-06-13 1998-11-10 Colgate Palmolive Co. Light duty liquid cleaning compositions
US5714454A (en) * 1996-08-07 1998-02-03 Colgate-Palmolive Co. Light duty liquid cleaning compositions comprising alkyl sulroglycerides
AU3825697A (en) * 1996-08-08 1998-02-25 Colgate-Palmolive Company, The Light duty liquid cleaning compositions
US5780417A (en) * 1997-07-31 1998-07-14 Colgate-Palmolive Company Light duty liquid cleaning compositions
CN103045383A (zh) * 2012-12-26 2013-04-17 南京恒青楼宇设备有限公司青岛分公司 一种洗涤精
CN103045379A (zh) * 2012-12-26 2013-04-17 南京恒青楼宇设备有限公司青岛分公司 一种洗涤精
CN103045380A (zh) * 2012-12-28 2013-04-17 青岛润鑫伟业科贸有限公司 一种洗涤精
CN103045396A (zh) * 2012-12-28 2013-04-17 青岛润鑫伟业科贸有限公司 一种洗涤精
CN103045397A (zh) * 2012-12-28 2013-04-17 青岛润鑫伟业科贸有限公司 一种洗涤精
NL2011049C2 (en) * 2013-06-27 2015-01-05 Galiën Harmke Van Der Dust-suppressing composition and method there f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75201D1 (en) * 1981-07-13 1987-02-26 Procter & Gamble Foaming surfactant compositions
EP0070077B2 (en) * 1981-07-13 1992-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ght-duty detergent granule composition
DE3534082A1 (de) * 1985-09-25 1987-04-02 Henkel Kgaa Fluessiges reinigungs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G18567A (en) 1993-07-30
AU4197089A (en) 1990-03-23
MX169917B (es) 1993-07-30
GR890100505A (en) 1990-08-22
AU634489B2 (en) 1993-02-25
NZ230239A (en) 1991-05-28
BR8907611A (pt) 1991-07-30
MY104167A (en) 1994-02-28
KR900701991A (ko) 1990-12-05
ZA896048B (en) 1991-04-24
DK28491D0 (da) 1991-02-19
EP0431050A1 (en) 1991-06-12
FI910764A0 (fi) 1991-02-18
GR1000487B (el) 1992-07-30
ES2016055A6 (es) 1990-10-01
WO1990002164A1 (en) 1990-03-08
PT91475A (pt) 1990-03-08
PT91475B (pt) 199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113B1 (ko) 액체 세제 조성물
EP0509608B1 (en) Light dut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US5476614A (en) High foaming nonionic surfactant based liquid detergent
EP0554991B1 (en) Detergent compositions
JP3525172B2 (ja) 改良されたアルキルポリグリコシド界面活性剤混合物の調製法
US5480586A (en) Light duty liquid detergent compostion comprising a sulfosuccinamate-containing surfactant blend
US5073293A (en) Mil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glycoside and dicarboxylic acid surfactants
KR960015369B1 (ko) 페이스트형 세제 및 그의 제조 방법
JPS6189297A (ja) 非イオン界面活性剤を主成分する高起泡性液体洗剤
RU2073700C1 (ru) Жидкая мо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ытья посуды
EP0341071A2 (en) Detergent compositions
RU2095402C1 (ru) Пенящее жидкое мо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легченного режима работы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JPH07509740A (ja) 発泡性洗剤混合物
US5503779A (en) High foaming light duty liquid detergent
CN1124976A (zh) 可灌注的液态含水的清洁剂浓缩液ii
US5767050A (en) Light duty liquid cleaning compositions comprising partially esterified polyhydric alcohol solubilizing agent
PT1399530E (pt) Composição biocida dde limpeza
JPH05509111A (ja) ポンプ輸送可能な流動性液体の界面活性剤高濃度製剤
CH716229B1 (de) Mittel mit alkoxylierten Fettsäurealkylestern.
JP2001131579A (ja) 脂肪酸n−アルキルポリヒドロキシアミドと脂肪酸アミドアルコキシレートとよりなる界面活性剤混合物
AU6455196A (en) Foaming composition
JPH0699709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970001646B1 (ko) 화장제 조성물
JPH0699710B2 (ja) 洗浄剤組成物
JP2566821B2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