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223B1 -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223B1
KR100564223B1 KR1019980061487A KR19980061487A KR100564223B1 KR 100564223 B1 KR100564223 B1 KR 100564223B1 KR 1019980061487 A KR1019980061487 A KR 1019980061487A KR 19980061487 A KR19980061487 A KR 19980061487A KR 100564223 B1 KR100564223 B1 KR 100564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l formula
shampoo composition
represented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4980A (ko
Inventor
민두식
최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8006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223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에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정제로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알킬암포디알킬카르복실레이트 0.1~20 중량부; 세정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알킬폴리글루코시드 0.1∼20 중량부; 및 컨디셔닝제로서 트리메틸암모늄이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가 중합된 4급 암모늄염의 반응 생성물(폴리쿼터늄-10) 0.1∼3 중량부를 포함하는 투명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정전기 발생이 억제되어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며, 기포력과 세정력은 종래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세정제로 하는 샴푸 조성물과 동등한 기포력과 세정력을 나타내며, 빌드업(build-up) 현상이 낮아서 계속 사용하여도 머리카락이 뻣뻣해지는 현상이 적으며,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고 저자극성의 투명 샴푸 조성물로서 유아 또는 어린이용 샴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모발에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알킬암포디알킬카르복실레이트와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세정제로하고, 트리메틸암모늄이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가 중합된 4급 암노늄염의 반응 생성물(이하 폴리쿼터늄-10 이라함)을 컨디셔닝제로 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은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와 투명도를 나타내며, 두피에 자극이 적다.
[종래 기술]
예전부터 샴푸 사용만으로도 세정효과와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함께 부여하는 샴푸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었고, 단 1 회의 샴푸 사용만으로도 모발에 세정 및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는 샴푸 조성물이 상용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샴푸 조성물에 대한 기술은 크게 2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는 라놀린 유도체와 같은 유성 성분을 함유시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이들 성분을 사용하는 것은 샴푸의 기포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를 나타낸다.
둘째는 미국특허 제5,409,62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컨디셔닝제로 양이온성 폴리머, 콜라겐 또는 그의 유도체, 폴리실록산 등을 함유시킴으로써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는 것인데, 음이온 세정제 골격에서 사용감을 향상시키고자 컨디셔닝 성분을 과량 사용하게 되어 사용감 등에서 상기 라놀린 유도체 유성성분을 포함한 컨디셔닝 샴푸보다 우수하나 기 흡착된 양이온성 폴리머나 폴리실록산들이 잘 탈착되지 않아서 계속 사용할 경우 머리카락이 뻣뻣해지는 빌드업(build-up)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디셔닝 샴푸는 오일, 실리콘 성분이 사용됨에 따라서 제품의 외관이 불투명하여 투명의 이미지를 갖는 유아 또는 어린이용 제품에는 적용하기가 어렵고 단지 성인용 제품으로만 적용되어 왔다.
한편, 투명 컨디셔닝 샴푸는 오일, 실리콘 등을 배제시키고 음이온계 세정제 골격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양이온성 폴리머나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상당량 포함시켜 사용하는 기술이 미국특허 제5,145,607호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이온성 폴리머는 과다 사용할 때 사용감이 끈적이거나 빌드업 현상이 초래되는 경향이 있고, 양이온 계면 활성제는 자극성 때문에 사용량 제한이 있어서 충분한 효과를 주기가 어렵다.
또한 통상적인 유아 또는 어린이 샴푸용으로 선호되는 투명 샴푸는 아실폴리글루타메이트 등의 저자극 음이온 세정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어서 비교적 자극이 적으나 정발효과가 낮아서 머리 빗질 및 정돈시 모발이 엉켜 별도의 순한 컨디셔너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음이온계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양쪽성 또는 비이온계 세정제와 양이온성 폴리머를 컨디셔닝제로하는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투명성이 우수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용 샴푸에도 적용이 가능한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쪽성 세정제로 알킬암포디알킬카르복실레이트 0.1∼20 중량부, 비이온계 세정제로 알킬폴리글루코시드 0.1~20 중량부 및 컨디셔닝제로서 양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10(poly quarternum-10) 0.1~3 중량부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킬암포디알킬카르복실레이트는 하기 일반식 (Ⅰ)로 나타내며, 이러한 양쪽성 계면 활성제가 1 종 이상 선택된다.
[일반식 Ⅰ]
상기 식에서,
R1CO 는 탄소수 8~18의 아실기 또는 코코일기이며,
n 는 1~2의 정수이며,
M 은 1가의 알카리 금속염으로서 나트륨, 칼륨, 트리에에탄올아민, 암모늄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는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는 일반식 (Ⅱ)로 나타내며, 이러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중에서 1 종 이상 선택된다.
[일반식 Ⅱ]
R2O-(G)n
상기식에서,
R2 는 탄소수가 5~30 이고, 측쇄, 직쇄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이며,
G 는 사카라이드기이며,
n 은 1 내지 10의 중합도이다.
상기 일반식 (Ⅱ)에서 R2의 평균 탄화수소 길이는 C8 내지 C18이 바람직하며, G 는 탄소수가 5 내지 6이고, 모노사카라이드 잔기로서 예를 들어 글루코스, 크실로스, 락토스, 프럭토스, 만노스 및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중합도 n 은 1.1 내지 2.0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Ⅱ)의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는 라우릴폴리글루코스, 데실폴리글루코스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컨디셔닝제로 포함되는 양이온성 폴리머인 폴리쿼터늄 -10은 트리메틸암모늄이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히드록시에틸셀루로즈가 중합된 4급 암모늄염의 반응 생성물로서 일반식 (Ⅲ)으로 나타낸다.
[일반식 (Ⅲ)]
상기 식에서,
x 는 1~5의 평균 부가 몰수이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알킬암포디알킬카르복실레이트와 알킬폴리글루코시드는 상기에서 제시한 양보다 적게 사용하면 기포효과와 세정효과가 낮으며, 많이 사용하면 안전성 및 컨디셔닝 효과가 저하되고 증가된 사용량에 비해 세정력과 기포력이 증가되지 않는다. 그리고 알킬암포디알킬카르복실레이트와 알킬폴리글루코시드의 사용비율은 최적의 품질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1 : 2 내지 10 : 1 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쿼터늄-10은 상기에서 제시한 양보다 적게 사용하면 컨디셔닝 효과가 급격히 낮아지고, 많이 사용하면 빌드업(build-up) 현상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세정 조성물의 기본적인 물성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증점제 또는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 방부제가 부가적으로 사용된다.
증점제 및 점도 조정제는 히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히드록시 메틸셀룰로오즈,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을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포함시켜서 점도가 2000∼10000 cps 가 되도록 맞춘다.
pH 조정제는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을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포함시켜 pH 가 5.0∼7.0 이 되도록 맞춘다.
이외에 염료로서 수용성 타르 색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방부제로서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과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지 본 발명이 이들 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에서 사용된 물성 측정 방법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시험하였다.
컨디셔닝 효과
컨디셔닝 효과는 정전기 실험을 통하여 파악되는 것으로서 그 방법은 길이 155 mm, 무게 2 g중량부의 실험포(wool포)를 시험대상 샴푸 조성물 10 g중량부에 5 분간 정치시킨 후 40 ℃의 물에 각각 1 분간 2 회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시킨다. 건조된 실험포를 상대습도 43 %, 온도 25 ℃의 항온 항습실에서 24 시간 동안 적치시킨후 정전기 테스터(일본대영 제조 경대화연식 REP TYPE)를 이용하여 정전기를 측정한다.
기포력
로즈-마일즈 기포력 측정법으로 각 샴푸 조성물의 기포력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1000 g중량부의 시험대상(샴푸 조성물 2.5 g 과 정제수 997.5 g을 혼합한 시료) 시료를 40 ℃까지 가온한 후 정제수로 세척한 500 ml 실린더를 대상 시료로 1 회 세척하고, 실린더 하부에 시료를 50 ml 충진한다. 충진 후 대상시료를 낙하시간 30 초 동안 200 ml를 낙하시키고 즉시 발생된 기포의 높이를 측정한다.
상기 조작은 3 회 반복하여 재현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평균값으로 보고한다.
세정력
세정력은 모발에 직접 시험할 경우 그 결과를 객관화시키기 어려우므로 모발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울(wool)포에 적색의 인공 유성오염을 처리하고 샴푸로 세정한 후의 색차를 비교하므로써 평가한다.
울(wool)포를 5 x 5 cm의 크기로 하여 인공 세범(sebum)과 수단(Ⅲ)으로 처리하는 인공 유성 오염을 시킨 후 물로 세척하여 건조시킨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오염된 울포의 색상을 측정한다.
오염된 울포를 시험 대상의 샴푸 용액에 포 5 장씩 5 분간 세척한후 각각 1 분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색차계를 이용하여 세척된 울포의 색상을 측정한다. 이러한 조작은 4 회 반복하여 ΔE(세척전 색차 측정값 - 세척후 색차 측정값)의 평균값으로 보고한다. ΔE 수치가 클수록 세정력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빌드업(build-up)
모발 흡착력이 강한 양이온성 폴리머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제품은 계속 샴푸시에 기흡착된 성분이 잘 떨어지지 않아 모발의 빌드업이 발생하여 모발이 뻣뻣해지고 가려움증을 유발시킨다. 모발의 빌드업 현상 측정은 객관성을 위하여 울포에 누적 침적되는 성분의 양을 측정하므로써 평가한다.
방법은 각 10 %의 대상 샴푸 조성물 용액에 5 x 5 cm의 크기의 울포 5 장을 침적하여 교반시킨 후 물로 씻고, 다시 음이온 염료(dye)용액 내에 침적하여 교반시킨 후 물로 씻어서 건조한후 색차계로 건조된 울포의 색차를 측정하고 평균값을 취한다. 상기 과정을 10회 반복하여 최종 색차값(ΔE10)과 초기 색차값(ΔE1)의 누적 색차값을 구하여 그 결과를 구한다. 빌드업값이 작을수록 빌드업이 낮게 발생함을 의미한다.
빌드업값 = ΔE10 ― ΔE1
안정성(세포 독성 시험)
안정성은 인체에 대한 안정성으로서 생체내 세포 수준에서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3T3 섬유아 세포를 플레이트에 배양시킨 후에 시험하고자 하는 시료를 1,000 ㎍/㎖, 800 ㎍/㎖, 600 ㎍/㎖, 400 ㎍/㎖, 200 ㎍/㎖, 100 ㎍/㎖, 80 ㎍/㎖, 60 ㎍/㎖, 40 ㎍/㎖, 20 ㎍/㎖의 농도별로 접종시켜 하루동안 배양하여 반수 치사 농도를 측정한다. 반수 치사 농도가 높을수록 자극성이 낮은 것이다.
실시예 1, 2, 3, 비교예 1, 2, 3, 4
표 1과 같이 30 중량부의 물에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폴리쿼터늄-10 (amerchol사 상품명 polymer JR series, polymer LR series), 증점제를 투입,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키고, 가온하여 50 ℃의 온도에서 알킬암포디알킬카르복실레이트, 알킬폴리글루코시드,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를 투입하고 30 분간 교반 용해한 후, 45 ℃의 온도까지 냉각하여 색소, 향료, 방부제를 투입하고 30 분간 교반 용해하고, pH조정제를 투입하여 용액의 pH를 5.0∼7.0 으로 조절한 후, 나머지 물을 투입하여 전체 조성물 총양을 100 중량부로 맞추어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3 은 투명한 색도를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 1의 조성에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과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는 30 % 농도 용액을 원액으로하며,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와 라우릴폴리글루코스는 50 % 농도 용액을 원액으로하며,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틸이소치아졸리논 방부제는 1.5 % 농도 용액을 원액으로 한다.
상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컨디셔닝 효과, 기포력, 세정력, 빌드업, 안전성을 시험하여 표 2 에 기재하였다.
[표 2]
상기 결과로부터 알킬암포디알킬카르복실레이트, 알킬폴리글루코시드, 폴리쿼터늄 1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비교예의 조성물들보다 전정기 발생이 억제되어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며, 기포력과 세정력은 동등 수준이며, 빌드업 현상이 현저히 억제되며, 인체 안전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정전기 발생이 억제되어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하며, 기포력과 세정력은 종래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세정제로 하는 샴푸 조성물과 동등한 기포력과 세정력을 나타내며, 빌드업 현상이 낮아서 계속 사용하여도 머리카락이 뻣뻣해지는 현상이 적으며,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고 저자극성의 투명 샴푸 조성물로서 유아 또는 어린이용 샴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4)

  1. a) 세정제로서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알킬암포디
    알킬카르실레이트 0.1 내지 20 중량부;
    b) 세정제로서 하기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알킬폴리
    클루코시드 0.1 내지 20 중량부; 및
    c) 컨디셔닝제로서 하기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트리메틸암모늄이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가 중합된 4급 암모늄염의 반응 생
    성물(폴리쿼터늄-10) 0.1 내지 3 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일반식( Ⅰ )로 표시되는 알킬암포디알킬카르복실레이트와 상기 일반식 (Ⅱ)로 표시되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가 1:2 내지 10: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샴푸 조성물:
    [일반식(Ⅰ)]
    상기 일반식(Ⅰ)의 식에서,
    R1CO 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아실기 또는 코코일기이며,
    n 는 1 또는 2의 정수이며,
    M은 1가의 알카리 금속염으로서 나트륨, 칼륨, 트리에에탄올아민 또는 암모늄이온이다;
    [일반식 (Ⅱ)]
    R2O-(G)n
    상기 일반식(Ⅱ)의 식에서,
    R2 는 탄소수가 5 내지 30 이고, 측쇄, 직쇄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이며,
    G 는 사카라이드기이며,
    n 은 1 내지 10의 정수이다;
    [일반식 (Ⅲ)]
    상기 일반식(Ⅲ)의 식에서,
    x 는 1 내지 5의 평균 부가 몰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알킬암포디알킬카르복실레이트가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또는 디소듐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인 샴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의 R2 는 탄소수가 8∼18이며, G 는 탄소수 5~6이며, 모노사카라이드 글루코스, 모노사카라이드 크실로스, 모노사카라이드 락토스, 모노사카라이드 프럭토스, 모노사카라이드 만노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중합도 n 은 1.1~2.0 인 샴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가 라우릴폴리글루코스 또는 데실폴리글루코스인 샴푸 조성물.
KR1019980061487A 1998-12-30 1998-12-30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564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87A KR100564223B1 (ko) 1998-12-30 1998-12-30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87A KR100564223B1 (ko) 1998-12-30 1998-12-30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80A KR20000044980A (ko) 2000-07-15
KR100564223B1 true KR100564223B1 (ko) 2006-06-19

Family

ID=1956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487A KR100564223B1 (ko) 1998-12-30 1998-12-30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265B1 (ko) * 2000-02-08 2007-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
KR102407154B1 (ko) * 2015-11-26 2022-06-10 (주)아모레퍼시픽 헤어 세정용 조성물
KR102040114B1 (ko) * 2017-11-16 2019-1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누적 흡착 방지 컨디셔닝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63749B1 (ko) * 2017-11-16 2021-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누적 흡착 방지 컨디셔닝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14140B1 (ko) * 2019-10-28 2021-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누적 흡착 방지 컨디셔닝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4882A1 (en) * 1990-09-21 1992-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ld shampoo compositions
US5554313A (en) * 1994-06-28 1996-09-10 Ici Americas Inc.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insoluble, nonvolatile silicone
WO1998018444A1 (en) * 1996-10-25 1998-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products
WO1998032420A1 (en) * 1997-01-27 1998-07-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produ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4882A1 (en) * 1990-09-21 1992-04-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ld shampoo compositions
US5554313A (en) * 1994-06-28 1996-09-10 Ici Americas Inc.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insoluble, nonvolatile silicone
WO1998018444A1 (en) * 1996-10-25 1998-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products
WO1998032420A1 (en) * 1997-01-27 1998-07-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80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7971A (en) Low pH shampoo containing climbazole
US3875071A (en) Antimicrobial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minopolyureylene resin
US4381259A (en) Shampoo composition employing anionic phosphoric acid ester surfactant and cationic polymer
EP0224796B1 (en) Detergent composition
US4312855A (en) Compositions containing aminopolyureylene resin
JP2749816B2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製剤
US4061602A (en)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a cationic derivative of a natural gum (such as guar) as the active conditioning ingredient
HU217992B (hu) Tisztálkodószer-készítmény
GB2027047A (en) Shampoo composition
GB2132627A (en) Hair cosmetic compositions
KR10056422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US5783535A (en)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midoether derivative mixture and a conditioning component
CA2064482A1 (en) Use of alkylglycoside sulfosuccinates for the production of cosmetic preparations and cleaning agents
US6303559B1 (en) Detergent composition
WO2015152572A1 (ko) 모발 세정용 조성물
JPH0776355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2317194A (ja) 洗浄剤組成物
JPH0776354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920002284B1 (ko) 샴푸 조성물
KR100203734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0154376B1 (ko) 샴푸 조성물
JP2651588B2 (ja) 洗浄剤組生物
KR0121110B1 (ko) 샴푸 조성물
JP2561125B2 (ja) 低刺激性洗浄剤組成物
WO2021104704A1 (de) Mittel zum färben von keratinischem material mit aminosilikon, pigment, polysaccharid und fettbestandte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