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734B1 -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734B1
KR100203734B1 KR1019960066844A KR19960066844A KR100203734B1 KR 100203734 B1 KR100203734 B1 KR 100203734B1 KR 1019960066844 A KR1019960066844 A KR 1019960066844A KR 19960066844 A KR19960066844 A KR 19960066844A KR 100203734 B1 KR100203734 B1 KR 100203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mpoo composition
weight
parts
composition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8278A (ko
Inventor
민두식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6006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7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0.1 내지 5 중량부의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 및 0.1 내지 20 중량부의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함께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모발에 뛰어난 컨디셔닝 효과를 가지며 기포력이 우수하고 안정하며, 빌드업(build-up)현상이 개선된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모발에 뛰어난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내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샴푸 조성물에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 및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함유시켜 모발에 대하여 뛰어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고 기포력이 우수하고 안정하며 빌드업현상을 개선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샴푸를 사용함으로서 세정 효과와 함께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는 샴푸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고, 그 결과로서 단 1회 샴푸 사용으로 세정 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는 샴푸 조성물이 흔하게 제품화되어있다.
이러한 샴푸 조성물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샴푸 조성물의 세정력을 낮추어 모발내에 존재하는 천연 오일 성분을 남김으로써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려 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세정시 제거되지 않은 천연 오일 성분 때문에 모발의 끈적임등 개운치 못한 감을 주었다.
둘째, 라놀린 유도체와 같은 유성 성분을 샴푸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려한 것인데, 이들 유성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기포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최근의 미국 특허 공개 제5409628호에는 양이온성 폴리머, 콜라겐 또는 그 유도체 또는 폴리실록산등을 컨디셔닝제로 사용하여 샴푸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는 기술이 발표되어 있다. 이 샴푸 조성물은 사용감등의 면에서는 상기의 샴푸 조성물들보다 개선되었지만 기 흡착된 양이온성 폴리머 또는 폴리실록산등이 탈착이 용이하지않고 빌드업되어 모발이 뻣뻣해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선행 기술의 샴푸 조성물들이 가진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연구한 결과,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 및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샴푸 조성물에 동시에 함유시킴으로써 컨디셔닝 효과 및 기포력이 우수하며 빌드업이 감소하고 안정해짐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는 1종 이상의,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이 함유된다.
R1COO-R2(Ⅰ)
상기식에서, R1은 탄소수 10 내지 18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나타내며, R2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측쇄 알킬기를 나타낸다.
일반식(Ⅰ)의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의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올레이트, 이소프로필리놀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는 1종 이상의,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가 함유된다.
R3O-(G)m(Ⅱ)
상기식에서, R3은 탄소수가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인 측쇄 또는 직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나타내고, G는 사카라이드를 나타내며, 특히 5 내지 6개의 탄소로 구성된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글루코스, 크실로스, 락토스, 프럭토스, 만노스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m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0으로서, 중합도를 나타낸다.
일반식(Ⅱ)의 알킬폴리글루코시드의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라우릴폴리글루코스, 데실폴리글루코스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는 1종 이상의, 일반식(Ⅲ)로 표시되는 음이온 계면 활성제가 사용된다.
R4O(CH2CH2O)n-SO3M (Ⅲ)
상기식에서, R4는 탄소수가 8 내지 20인 알킬기를 나타내며, n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며, M은 1가 또는 2가의 알칼기 금속염으로써,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늄 이온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일반식(Ⅲ)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트리메틸암모늄이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가 중합된 4급 암모늄염의 반응생성물(Polyquaternium, 상품명 : Polymer JR 400, Polymer JR 30M)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는 0.1 내지 5 중량부의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 및 0.1 내지 20 중량부의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사용하는데, 이 적정 사용 범위보다 적게 사용하면 컨디셔닝 효과 및 기포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이 적정 사용 범위보다 많이 사용하게 되면 안정성이 저하되고, 사용량 증가에 비해 컨디셔닝 효과 및 기포력 상승이 미미하다.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과 알킬폴리글루코시드의 사용 비율은 최적의 품질과 안정성을 고려할 때 1 : 1 내지 1 : 4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추가로 5 내지 20 중량부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데, 5 중량부이하로 사용하게 되면 기포력 및 세정력이 미약하고 20 중량부이상으로 사용하게 되면 컨디셔닝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추가로 0.05 내지 1 중량부의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데, 0.05 중량부이하로 사용하게 되면 컨디셔닝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고 1 중량부이상으로 사용하게 되면 빌드업현상이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세정제 조성물에 통상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부제, 점증제 또는 점도 조정제, pH 조정제, 향료, 염료등이 임의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방부제의 예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상품명 : Kathon CG, 제조회사: 미국 롬앤하스사)이 있으며, 점증제 또는 점도 조정제로는 하이드록시프르필메틸셀룰로즈,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즈,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등이 사용되고, pH 조정제에는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등이 있으며, 염료로는 수용성 타르색소등이 사용되고, 이 이외에도 향료가 사용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아래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내지 7의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순서 :
1. 상기 표 1에 따라 양이온성 폴리머 및 점증제를 물에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킨후, 50℃가 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2. 50℃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재가열하였다.
3. 65 내지 70℃에서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 및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투입하고 30분동안 교반하면서 용해시킨후 45℃로 냉각하였다.
4. 색소, 향료, 방부제를 투입하고 30분동안 교반하면서 용해시킨다.
5. pH 조정제로 pH를 6.0 내지 6.5 사이의 범위로 조절한 후 100 중량부가 될 때까지 물을 첨가시켰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제조 순서중 3번 단계에서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의 투입량이 바뀐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제조 순서중 3번 단계에서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제조 순서중 3번 단계에서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을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제조 순서중 1번 단계에서 양이온성 폴리머의 투입량을 변경시킨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제조 순서중 3번 단계에서 폴리실록산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의 제조 순서중 3번 단계에서 콜라겐 유도체를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의 제조 순서중 3번 단계에서 폴리실록산 및 콜라겐 유도체를 추가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의 제조 순서중 3번 단계에서 폴리실록산의 투입량을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6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실시예에서 제조한 샴푸 조성물의 컨디셔닝 효과, 기포력, 빌드업 및 안정성에 대해 다음의 시험예 1 내지 4의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예 1]
컨디셔닝 효과(정전기 시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정전기 시험을 실시하였다.
길이 15.5cm, 무게 2g의 시험포(Wool 포)를 상기 샴푸 조성물 10 중량부의 시험 용액에 5분간 정치시킨 후, 40℃의 물로 각각 1분간씩 2회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그리고, 이를 25℃, 상대습도 43%인 항온항습실에서 24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정전기 Tester(京大化硏式 REP type : 日本 大榮)를 이용하여 정전기를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로서,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 및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모든 조성물보다 정전기 발생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기포력 시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샴푸 조성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로스-마일즈(Ross-Miles) 기포력 측정법으로 기포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40℃로 가열된 0.25%의 시료 1000g으로, 정제수로 세척한 실린더를 1회 세척한 후 실린더 하부에 시료 50㎖를 충진하였다. 200㎖의 시료를 30초동안 낙하시킨 후 기포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이 조작을 3회 반복하여 재현성을 확인하고 그 평균을 구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 및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모든 조성물에 비해 기포력이 대체로 동등하거나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 빌드업 시험]
빌드업 현상은 세정 조성물을 계속 사용시 세정되지 않고 모발에 남아있는 성분의 양, 즉 제품의 사용전과 사용후의 무게 차이를 측정하여 평가하는데, 그 방법은 아래와 같다.
10g의 모발 타래를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잘 세척하고 25℃, 상대습도 40%의 항온 항습하에서 건조시킨 후 초기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하였다. 이 모발 타래를 20% 샴푸 조성물 수용액에 5분간 침적시키고 교반한 후, 미온수로 잘 세척하고 25℃, 상대습도 40%의 항온 항습하에서 잘 건조시키고,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을 20회 반복한 후 최종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초기 무게와 최종 무게의 차이를 구하여 빌드업 현상을 평가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 및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물에 비해 빌드업 현상이 현저히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안정성 시험
250㎖의 PET 용기에 각 샴푸 조성물을 절반을 채운 후 아래의 보관 방법으로 보관 후, 상분리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보관방법 1 : 0℃의 항온기내에 6개월간 보관
보관방법 2 : 40℃의 항온기내에 6개월간 보관
보관방법 3 : 50℃의 항온기내에 1개월간 보관
상기 결과로부터,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 및 알킬폴리글루코시드를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교예의 조성물에 비해 안정성이 대체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교예의 조성물에 비해 뛰어난 컨디셔닝 효과와 기포력을 가지면서도 빌드업 현상이 현저히 억제되고 상안정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지방산에스테르 오일 0.1 내지 5 중량부 및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 0.1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R1COO-R2(Ⅰ)
    R3O-(G)m(Ⅱ)
    상기식에서, R1은 탄소수가 10 내지 18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가 3 내지 18의 측쇄 알킬기를 나타내며, R3은 탄소수가 8 내지 18인 측쇄 또는 직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를 나타내고, G는 사카라이드를 나타내며, m은 중합도로서, 1 내지 10의 숫자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G가 글루코스, 크실로스, 락토스, 프럭토스 및 만노스중에서 선택된 모노사카라이드를 나타내는 샴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5 내지 20 중량부로 추가로 함유된 샴푸 조성물.
    R4O(CH2CH2O)n-SO3M (Ⅲ)
    상기식에서, R4는 탄소수가 8 내지 20인 알킬기를 나타내며, n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며, M은 나트륨, 칼륨,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1가 또는 2가의 알칼리 금속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암모늄 이온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트리메틸암모늄 치환된 에폭사이드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가 중합된 4급 암모늄염의 반응생성물을 0.05 내지 1 중량부 추가로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KR1019960066844A 1996-12-17 1996-12-17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203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844A KR100203734B1 (ko) 1996-12-17 1996-12-17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844A KR100203734B1 (ko) 1996-12-17 1996-12-17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278A KR19980048278A (ko) 1998-09-15
KR100203734B1 true KR100203734B1 (ko) 1999-06-15

Family

ID=1948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844A KR100203734B1 (ko) 1996-12-17 1996-12-17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265B1 (ko) * 2000-02-08 2007-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265B1 (ko) * 2000-02-08 2007-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투명 농축 샴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278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8256B2 (ja) 毛髪洗浄剤組成物
AU598816B2 (en) Hair rinse conditioner
US4298494A (en) Shampoo
EP0224796B1 (en) Detergent composition
US4867971A (en) Low pH shampoo containing climbazole
EP0150323B1 (en) Shampoo composition
US4061602A (en)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a cationic derivative of a natural gum (such as guar) as the active conditioning ingredient
US4765975A (en) Hair conditioning
US4777039A (en) Pearlescent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5888488A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US4144326A (en) Oil free, water-soluble, clear creme rinse for hair
NO177923B (no) Forbedret hårkondisjoneringshampo
US4749515A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SA99200743B1 (ar) تركيبات مكيفة
JPH07509443A (ja) 酸性の髪手入れ用製剤
JPH08510442A (ja) コンディショニング効果の改善された洗剤混合物
EP0026073B1 (en) Detergent-oil bath additives and process
KR100203734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PL199366B1 (pl) Kompozycja kondycjonująca włosy zawierająca związek silikonowy i sposób kondycjonowania włosów
US4591498A (en) Shampoo composition
JP3644566B2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3526314B2 (ja) シャンプー組成物
EP1000606B1 (en) Weak acid skin cleanser containing an alkali salt of N-acyl-amino acid
JPH01165512A (ja) 洗浄剤組成物
JPH022540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