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813A - 감열인쇄장치 및 감열인쇄방법 - Google Patents

감열인쇄장치 및 감열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813A
KR20010072813A KR1020017002181A KR20017002181A KR20010072813A KR 20010072813 A KR20010072813 A KR 20010072813A KR 1020017002181 A KR1020017002181 A KR 1020017002181A KR 20017002181 A KR20017002181 A KR 20017002181A KR 20010072813 A KR20010072813 A KR 2001007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printing
printing medium
col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쿠다야스노리
나가이겐이치
사와모토노리히로
Original Assignee
아키오 스즈끼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24376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715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52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6867B2/ja
Application filed by 아키오 스즈끼,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키오 스즈끼
Publication of KR2001007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8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8Visual features other than those contained in record tracks or represented by sprocket holes the visual signals being auxiliary signals
    • G11B23/40Identifying or analogous means applied to or incorporated in the record carrier and not intended for visual display simultaneously with the playing-back of the record carrier, e.g. label, leader, photograp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heating selectively by radiation or ultrasonic waves
    • B41J2/475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heating selectively by radiation or ultrasonic waves using thermosensitive substrates, e.g.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1Printing on disk-shaped media, e.g. C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회전인쇄장치(10)는 스텝핑모터(15) 및 서멀헤드(11) 등을 구비한다. 스텝핑모터(15)는, 열에너지가 인가되어 발색하는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M)를 그 축 주위로 회전시키고, 서멀헤드(11)는 원반인쇄매체(M)에 대향하여 그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회전인쇄장치(10)는 원반인쇄매체(M)의 표면의 원주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발색시키는 것으로, 감열기록매체(M)에 인쇄한다. 이에 의해서, 원반인쇄매체에 대하여 고화질의 화상인쇄가 가능한 소형의 감열인쇄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열인쇄장치 및 감열인쇄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printing}
CD-R은, 판독 전용의 CD 및 CD-ROM(Read 0nly Memory) 등과는 달리, 데이터를 한 번만 기록할 수 있는 추기형의 광디스크이다. 데이터를 기록한 CD-R은, CD 및 CD-ROM과 완전히 마찬가지로, 그 재생장치에 의해서 재생가능하다. 염가인 점이나 취급의 용이성, 기록용량이 크다는 등의 이유로 100장 정도의 소규모인 소프트웨어의 출판 등에 이용되는 일이 많다.
CD 및 CD-ROM의 한 면은, 데이터의 기록이나 판독을 하는 기록면으로서 사용되고, 또 다른 한쪽의 면은, 일반적으로, 타이틀 등을 인쇄하는 인쇄면으로서 사용된다. CD 및 CD-ROM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동일 디자인의 것을 대량출판하기 위해서 대형의 인쇄장치에 의해서 인쇄를 하지만, CD-R의 경우는 소량출판이나 퍼스널용도에 사용되기 때문에, 소수마다 또는 1장마다 인쇄내용을 용이하게 작성, 변경할 수 있는 소형으로 염가인 프린터가 요망되고 있었다.
이러한 프린터에는 일본특개평5-238005 및 일본특개평6-31906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들 정보기록장치는, 픽업으로부터 광디스크의 기록면에 정보를 기록하여, 인쇄면에 대하여 잉크제트방식의 인쇄를 한다. 광디스크에의 인쇄는, 광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잉크제트노즐을 이동시켜,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행해진다.
이러한 정보기록장치는, 잉크제트방식의 인쇄이기 때문에 잉크카트리지, 및 잉크제트헤드에 잉크를 도입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정보기록용의 픽업을 구비하고 있고, 장치가 대형이며 복잡하다. 또한, 잉크제트헤드와 픽업이 동일장치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잉크제트헤드로부터 비산된 잉크가, 픽업에 부착하기도 하여 정보의 기록을 방해하는 일이 있다. 또한, 잉크카트리지의 교환, 및 잉크제트헤드주변의 청소 등, 유지작업에 손이 많이 간다.
또한, 광디스크의 회전속도가 변동되면 농도얼룩이나 색어긋남 등이 발생하여 화상품질을 크게 손상시킨다.
본 발명은, CD-R(Compact Disk-Recordable) 등의 원반인쇄매체나 커트지, 연속용지 등의 장방형인쇄매체에 감열인쇄하는 감열인쇄장치 및 감열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회전인쇄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원반인쇄매체(M)로서 사용되는 감열인쇄(21)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감열인쇄시트(21)를 광디스크(20)에 첩착한 매체(19)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인쇄장치(10)의 기계적인 구성을 자세히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33)을 닫은 상태의 회전인쇄장치(1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우징(33)을 닫은 상태의 회전인쇄장치(1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회전인쇄장치(10)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회전인쇄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원반인쇄매체(M)의 인쇄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턴테이블(31)에 마찰부하를 부여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그 중앙단면도이다.
도 10은 접동부재(160)를 대칭으로 배치시킨 예를 개시하는 도이다.
도 11은 접동부재(160, 16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매체속도변동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접동부재(160, 16l)를 사용한 경우의 매체속도변동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3a는 인쇄매체를 평행이동시키는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B는, 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인쇄방식과는 별도의 방식에 의해서, 원반인쇄매체에 대하여 고화질의 화상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감열인쇄장치 및 감열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매체의 속도변동을 억제하여, 고품질의 화상인쇄를 실현할 수 있는 감열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의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감열인쇄하기 위한 서멀헤드와, 원반인쇄매체의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그 원반인쇄매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외부호스트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영역에 선택적으로 열을 공급함으로써, 원반인쇄매체에 감열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열인쇄를 하기 때문에, 번짐이 없는 고화질의 화상인쇄를 실현할 수 있다. 원반인쇄매체의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을 따라 주사를 행하기 때문에, 주사방식이 원반인쇄매체의 형상에 알맞고, 나아가 고화질의 인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에 대해 감열인쇄하기 때문에, 감열인쇄장치에는 잉크에 관련된 설비가 전혀 불필요하고, 소형으로 유지작업이 간단한 감열인쇄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회전구동수단이 원반인쇄매체를 그 자리에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원주방향의 부주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원반인쇄매체를 평행이동 시킬 필요가 없고, 그러기 위한 공간도 불필요하며, 또한 소형의 감열인쇄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발색파장을 가지는 단일의 발색층만으로, 원반인쇄매체의 감열발색층을 구성함으로써 흑색단일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발색파장이 다른 복수의 발색층으로 원반인쇄매체의 감열발색층을 구성함으로써 칼라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열발색레벨 및 발색파장이 다른 3개의 발색층으로 이루어지는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의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감열인쇄하기 위한 서멀헤드와, 원반인쇄매체의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그 원반인쇄매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과, 감열발색레벨이 가장 작은 발색층, 및 감열발색레벨이 2번째로 작은 발색층을 각각 정착하기 위한 2개의 정착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각 정착광원은, 직선형상의 음극관으로, 원반인쇄매체의 인쇄면에 대향하여 서멀헤드의 주주사라인을 끼고 배치되어, 외부호스트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영역에 선택적으로 열을 공급함으로써, 원반인쇄매체에 감열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선형상의 음극관을 서멀헤드의 주주사라인을 끼고 배치하기 때문에, 서멀헤드에 의한 감열인쇄를 방해하는 일이 없고, 또한 컴팩트한 배치가 실현되어 소형으로 염가인 감열인쇄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제1발색층의 발색 및 정착, 제2발색층의 발색 및 정착, 및 제3발색층의 발색을 순차 행함으로써 풀칼라인쇄를 하는 것을 생각한 경우에는 유효하다.
또한, 정착광원으로서 염가인 직선형상의 음극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염가인 감열인쇄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열발색층은, 옐로우발색층, 진홍색발색층 및 시안발색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반인쇄매체가 서멀헤드로부터의 열공급에 의해서, 옐로우, 진홍색 및 시안을 발색가능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풀칼라인쇄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를 그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감열기록하기 위한 서멀헤드와, 원반인쇄매체를 그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과, 서멀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감열발색층의 영역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광원을 구비하고, 서멀헤드의 통전기간과 정착광원의 통전기간이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멀헤드의 통전기간과 정착광원의 통전기간이 겹치기 때문에, 서멀헤드에 의한 기록공정의 일부와, 정착광원에 의한 정착공정의 일부를 동시 진행시킬 수 있어, 인쇄시간이 짧은 감열인쇄장치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의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서멀헤드로부터 열을 공급하면서, 원반인쇄매체를 그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열발색층에 감열기록하는 공정과,
서멀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감열발색층의 영역에 정착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하여 정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서멀헤드의 통전기간과 정착광원의 통전기간이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서멀헤드의 통전기간과 정착광원의 통전기간을 중복시킴으로써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열발색레벨 및 발색파장이 다른 제1∼제3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를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각 발색층에 대응하는 발열량으로 감열기록을 행하는 감열인쇄방법에 있어서,
제1발색층을 감열기록하는 제1기록공정과,
제1기록공정의 종료 전에 감열기록된 제1발색층의 영역에 정착광의 조사를개시하는 제1정착공정과,
제1정착공정의 종료 전에 제2발색층의 감열기록을 개시하는 제2기록공정과,
제2기록공정의 종료 전에 감열기록된 제2발색층의 영역에 정착광의 조사를 개시하는 제2정착공정과,
제2정착공정의 종료 전에 제3발색층의 감열기록을 개시하는 제3기록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감열인쇄 및 원반인쇄매체에 알맞은 주사방식에 의해서 고화질의 화상인쇄를 실현할 수가 있다.
특히 제1발색층의 발색 및 정착, 제2발색층의 발색 및 정착, 및 제3발색층의 발색을 순차 행함으로써, 풀칼라인쇄를 하는 것을 생각한 경우에는 유효하다.
또한, 제1기록공정의 종료 전에 제1정착공정을 개시함으로써, 어떤 기간만 제1기록공정과 제1정착공정을 동시진행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정착공정과 제2기록공정을 동시진행시킬 수 있고, 제2기록공정과 제2정착공정을 동시 진행시키는 수 있고, 제2정착공정과 제3기록공정을 동시진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풀칼라인쇄에 있어서, 인쇄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의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감열인쇄하기 위한 서멀헤드와, 서멀헤드를 원반인쇄매체에 대하여 압압하기 위한 헤드압압수단과, 원반인쇄매체를 지지하여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테이블과, 회전테이블에 접촉하여, 회전운동에 대한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접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동부재가 회전테이블에 접촉하여 회전운동에 대한 마찰부하(Lb)를 부여함으로써, 서멀헤드와 원반인쇄매체와의 사이의 마찰부하(La)의 변동(△La)비율이 △La/La로부터 △La/(La+Lb)로 감소한다. 그 만큼, 회전테이블의 구동에 필요한 모터토오크가 증가하지만, 원반인쇄매체의 회전속도변동을 억제할 수가 있고, 그 결과, 농도얼룩이나 색어긋남이 적은 고품질의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장방형인쇄매체의 폭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감열인쇄하기 위한 서멀헤드와, 서멀헤드를 장방형인쇄매체에 대하여 압압하기 위한 헤드압압수단과, 장방형인쇄매체를 지지하여 주주사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테이블과, 이동테이블에 접촉하여 직선운동에 대한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접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동부재가 이동테이블에 접촉하여 직선운동에 대하는 마찰부하(Lb)를 부여함으로써, 서멀헤드와 장방형인쇄매체와의 사이의 마찰부하(La)의 변동(△La)의 비율이 △La/La로부터 △La/(La+Lb)로 감소한다. 그 만큼, 이동테이블의 구동에 필요한 모터토오크가 증가하지만, 장방형인쇄매체의 속도변동을 억제할 수가 있고, 그 결과, 농도얼룩이나 색어긋남이 적은 고품질의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재는 헤드압압력에 대항하도록 배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멀헤드를 사용한 감열기록방식에서는 서멀헤드와 인쇄매체를 균일하게 밀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헤드압압수단에 의해서 소정의 압압력을 인가하고 있지만, 접동부재를 헤드압압력에 대항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백업롤러 등의 받이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회전인쇄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회전인쇄장치(10)는, 서멀헤드(11), 백업롤러(12) 및 음극관(13, 14)을 구비하여, 원반인쇄매체(M)에 대하여 인쇄를 행한다. 원반인쇄매체(M)는 열이 인가되어 발색하는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형상의 인쇄매체이다. 서멀헤드(11)는, 원반인쇄매체(M)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형식의 서멀헤드이다. 스텝핑모터(15)는 원반인쇄매체(M)을 그 축주위로 회전구동한다. 백업롤러(12)는, 그 표면이 고무로 덮여지고, 서멀헤드(11)에 의한 표면에서의 압압에 대하여 원반인쇄매체(M)을 배면에서 지지하는 롤러이고, 원반인쇄매체(M)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음극관(13, 14)은 원반인쇄매체(M)의 발색층을 정착시키는 파장의 자외선을 발한다.
이러한 회전인쇄장치(10)는, 원반인쇄매체(M)의 반경방향을 주주사방향으로 하고, 원반인쇄매체(M)의 원주방향을 부주사방향으로하여, 원반인쇄매체(M)의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배열하는 화소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발색시켜 인쇄를 행한다.
또, 도 1의 서멀헤드(11)를 원반인쇄매체(M)의 반경방향을 따라 주사가능한 직렬헤드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도 1의 백업롤러(12)는 후술하는 도 3의 턴테이블(31)로 대용가능하다. 이하, 턴테이블(31)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설명을 계속한다.
도 2a는 도 1의 원반인쇄매체(M)로 사용되는 감열인쇄시트(21)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감열인쇄시트(21)를 광디스크(20)에 첩착한 매체(19)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의 감열인쇄시트(21)는 일본특개평3-43293 및 일본특개평5-69566에 기재되는 다색감열기록시트와 동일한 단면구조를 가진다. 다색감열기록시트에 열을 인가하여, 발색시켜 인쇄하는 인쇄방식은 TA(Thermo-Auto Chrome)방식이라고 불린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인쇄장치(1O)도 TA방식의 인쇄장치이다.
감열인쇄시트(21)는 종이 등의 기재(22)의 표면에 감열발색층(23)을 형성한 것이고, 그 평면형상은 원반형상이다. 감열발색층(23)은, 옐로우발색층(23a), 진홍색발색층(23b) 및 시안발색층(23c)으로 구성되다.
옐로우발색층(23a)은 마이크로캡슐에 봉입된 옐로우색소재료와 커플러를 포함하고, 2OmJ/mm2이상의 열에너지가 인가됨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을 투과하여 양자가 반응하여 발색한다. 또한, 옐로우발색층(23a)은 파장420nm의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미반응의 옐로우색소재료가 분해되어, 그 이상 발색하지 않게 된다.
진홍색발색층(23b)은 마이크로캡슐에 봉입된 진홍색색소재료와 커플러를 포함하고, 4OmJ/mm2이상의 열에너지가 인가됨으로써, 마이크로캡슐을 투과하여 양자가 반응하여 발색한다. 또한, 진홍색발색층(23b)은 파장 365nm의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미반응의 진홍색색소재료가 분해되어, 그 이상 발색하지 않게 된다.
시안발색층(23c)은 마이크로캡슐에 봉입된 염료를 포함하고, 80mJ/mm2정도이상의 열에너지가 인가됨으로써 발색한다.
또, 도 1의 서멀헤드(11)는 2OmJ/mm2∼4OmJ/mm2의 열에너지, 40mJ/mm2∼80mJ/mm2의 열에너지 및 80mJ/mm2∼12OmJ/mm2의 열에너지의 어느 하나의 열에너지가 공급가능하다. 음극관(13)은 옐로우발색층(23a)을 정착하기 위해서, 파장 420nm의 자외선을 발한다. 음극관(14)은 진홍색발색층(23b)을 정착하기 위해서, 파장 365nm의 자외선을 발한다.
도 2b의 매체(19)는 CD-R 등의 광디스크(20)의 인쇄면(20a)에 접착층(24)을 개재하여 감열인쇄시트(21)를 첩착한 것이다.
광디스크(20)는 폴리카보네이트기판(30)의 위에 유기색소층(25)과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26)과 보호층(27)을 이 순으로 적층하여 구성된다.광디스크(20)에서는, 기록면(20b)에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유기색소층(25)을 상변화시켜, 데이터의 기록을 행한다. 회전인쇄장치(10)에서 사용가능한 광디스크(20)는 이러한 구성의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CD, CD-ROM, CD-RW (ReWritab1e) 등이어도 좋다. 또한 DVD(Digital Video Disk)-R0M, DVD-RAM (Random Access Memory), DVD-R, DVD-RW 등이어도 좋다.
원반인쇄매체(M)로서는, 도 2a의 감열인쇄시트(21)를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 도 2b의 매체(19)를 사용해도 좋다. 감열인쇄시트(21)를 사용한 경우, 인쇄 후에, 감열인쇄시트(21)를 광디스크(20)에 첩착할 수 있다. 또한, 감열발색층(23)은 광디스크(20)상에 증착 등에 의해 직접형성해도 좋다.
도 3은, 도 1의 회전인쇄장치(10)의 기계적인 구성을 자세히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과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회전인쇄장치(10)는 소위 그램셀구조로 되어있다. 회전인쇄장치(10)는, 턴테이블(31) 등을 격납하는 하우징(32)과 서멀헤드(11), 음극관(13, 14) 등을 격납하는 하우징(33)으로 되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32)과 하우징(33)을 열은 상태에서 서멀헤드(11)와 턴테이블(31)이 크게 이간되기 때문에, 원반인쇄매체(M)를 승재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다. 하우징(33)의 단부는, 하우징(32)의 단부에 축지되어 있고, 하우징(32)에 대하여 개폐자재하다. 하우징(32)의 단부 및 하우징(33)의 단부의 양쪽에 당접하도록, 비틀림코일용수철(40)이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33)은 하우징(32)에 대하여 여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하우징(33)의 축지된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레버(37)가 설치되고 있고,하우징(32)의 축지된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스토퍼(38)가 마련되어 있다. 레버(37)는 그 앞단부가 손톱형상을 이루고, 하우징(33)을 닫는 방향으로 넘으뜨리면, 레버(37)의 선단부가 스토퍼(38)에 당접한다. 또한 하우징(33)을 넘어뜨려 넣으면, 레버(37)는 스토퍼(38)에 의해서 밀어 올려지고, 레버(37)의 앞단부가 스토퍼(38)에 마련된 관통공에 감합한다. 이것에 의해서, 하우징(33)이 하우징(32)에 계지된다. 또한 레버(37)에는, 이것에 연동하는 파지부(39)가 설치되고 있고, 파지부(39)를 윗쪽으로 인상함으로써, 레버(37)의 앞단부를 스토퍼(38)의 관통공으로부터 잡아빼어, 다시 하우징(33)을 열 수 있다.
하우징(32)의 저부에는, 볼록모양의 보조부재(34)가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32)의 저부와 보조부재(34)의 볼록부는 서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지어 있고, 축부재(35)를 회전자재로 축지하고 있다. 축부재(35)는 스텝핑모터(15)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턴테이블(31)은 축부재(35)에 고정되어 축재부(35)와 함께 회전하고, 인쇄를 위해 원반인쇄매체(M)을 승재한다. 턴테이블(31)의 중앙부에는, 윗쪽으로 돌출하는 원형의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6)는, 광디스크(30)의 중심에 설치된 관통공에 감합하여, 광디스크(30)의 센터맞춤을 실현한다.
도 4는, 도 3의 하우징(33)을 닫은 상태의 회전인쇄장치(1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그 측면도이다. 하우징(33)에는, 서멀헤드(11) 및 음극관(13, 14) 등이 격납되고, 하우징(33)을 닫았을 때에, 이들이 턴테이블(31)상의 원반인쇄매체(M)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서멀헤드(11) 및 음극관(13, 14)은,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이룬다. 또한, 하우징(32, 33)은 모두 장방형의 평면형상을 이루고,하우징(33)의 장변에 평행하게 서멀헤드(11) 및 음극관(13, 14)이 배치된다. 또한, 음극관(13,14)은 서멀헤드(11)를 끼고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음극관의 단부는, 중앙부에 비교하여 광량이 저하된다. 광량의 저하가 보이는 단부는, 양단으로부터 약 5cm의 부분이다. 이 때문에, 원반인쇄매체(M)의 반경 또는 직경에 비하여 충분히 긴 음극관(13, 14)을 사용하고, 또한 음극관(13, 14)의 중앙부를 원반인쇄매체(M)에 대향시켜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서, 음극관(13, 14)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이 좋게 원반인쇄매체(M)에 조사할 수가 있어, 효율 좋게 감열발색층(23)을 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음극관(13, 14)은 이상적으로는 원반인쇄매체(M)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음극관(13, 14)의 형상, 단부의 광량저하 및 서멀헤드(11)의 배치 등에 의해서, 그와 같이 배치할 수는 없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음극관(13, 14)이 서멀헤드(11)를 끼고 배치됨으로써, 음극관(13, 14)이 서멀헤드(11)의 감열인쇄를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음극관(13, 14)을 가능한한 서멀헤드(11)에 접근시킴으로써, 음극관(13,14)으로부터의 광을 효율 좋게 원반인쇄매체(M)에 조사할 수가 있다.
음극관(13)과 음극관(14)과의 사이에는, 차광판(41a)이 설치된다. 서멀헤드(11) 및 음극관(13)의 사이에는, 차광판(41b)이 설치되고, 서멀헤드(11)에 의해서 발색해야 할 화소영역이, 음극관(13)에 의해서 정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서멀헤드(11) 및 음극관(14)의 사이에는, 차광판(41c)이 설치되고, 서멀헤드에 의해서 발색해야 할 화소영역이 음극관(14)에 의해서 정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음극관(13)과 원반인쇄매체(M)와의 사이에는, 개구부(42)를 가지는 차광판(43)이 설치되고, 음극관(14)과 원반인쇄매체(M)와의 사이에는, 개구부(44)를 가지는 차광판(43)이 설치된다. 원반인쇄매체(M)에는, 개구부(42)를 통과한 음극관(13)으로부터의 광이 조사되고, 개구부(44)를 통과한 음극관(14)으로부터의 광이 조사된다.
차광판(43 ,45)은, 하우징(33)을 닫았을 때에도, 원반인쇄매체(M)에서 약간 떨어지기 때문에, 개구부(42, 44)로부터의 광은, 개구면적 보다도 약간 넓어져서 원반인쇄매체(M)에 조사된다. 따라서, 개구부(42, 44)의 형상 및 배치는, 정착에 필요한 광량뿐만 아니라, 거기로부터의 광이 서멀헤드(11)의 인쇄영역에 조사되지 않도록 선택하지 않으면 안 된다.
도 6은 도 1의 회전인쇄장치(10)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스위치패널(51)은 I/F64의 접속을 전환하는 스위치, 및 접속상태를 표시하는 패널이다. 딥스위치(52)는, 센트로커넥터(65)의 전송속도, 및 서멀헤드(11)에 의한 인쇄농도 등의 초기 설정을 전환한다. 팬모터(54)는, 하우징(32) 또는 하우징(33)에 설치되고, 내외를 환기하는 팬을 구동한다.
자외선센서(55)는, 음극관(13, 14)으로부터의 자외선을 검출하는 포토다이오드이다. HP센서(56)는, 턴테이블(15)의 홈포지션을 검출한다. 매체센서(57)는, 턴테이블(15)상에 승재되는 원반인쇄매체(M)를 검출한다. 커버센서(58)는, 하우징(33)에 대하여 닫혀진 하우징(32)을 검출한다. 온도센서(59)는,서멀헤드(11)의 온도를 검출한다. I/O(Input/Output)회로(60)는, CPU(61)에의 스위치 및 센서류로부터의 입력과, CPU(61)로부터의 스위치 및 모터류로의 출력을 행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61)는, I/O 회로(60), 서멀헤드(11), I/F(64) 및 인버터(66)를 제어한다. 메모리(62)는, CPU(61)의 계산 또는 데이터전송를 위해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격납한다. I/F(64)는, 센트로커넥터(65)와 외부의 퍼스널컴퓨터 등의 사이에서 쌍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인버터(66)는, 음극관(13, 14)에 전력을 공급하여 그 전력을 조정한다.
도 7은 회전인쇄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고, 도 8a∼도 8f는 원반인쇄매체(M)의 인쇄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쇄가 시작되면, 미리 퍼스널컴퓨터로 작성된 인쇄화상의 데이터가 I/F(64) 및 CPU(61) 등을 개재하여, 서멀헤드(11)에 전송된다. 이와 함께, 스텝핑모터(15)에 통전이 시작되어, 스텝핑모터(15)는 일정의 회전수로 턴테이블(31)를 회전시킨다.
스텝핑모터(15)의 회전개시에 이어서, 도 8a에서 서멀헤드(11)로의 통전을 개시하여, 최소의 감열발색레벨의 열에너지를 원반인쇄매체(M)에 인가한다. 이에 의해서, 옐로우발색층(23a)이 발색된다.
다음에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옐로우발색층(23a)이 발색한 발색완료영역(75)의 선두라인(73)이, 광조사영역(71)의 최후부(71b)에 도달하였을 때에, 음극관(13)으로의 통전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서, 음극관(13)으로부터의 광이 원반인쇄매체(M)에 조사된다. 광조사영역(71)은, 음극관(13)으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는 영역이다. 다음에, 선두라인(73)이 1회전하여 다시 서멀헤드(11)에 도달하였을 때에, 서멀헤드(11)의 통전을 종료하여, 옐로우발색층(23a)의 발색을 종료한다.
다음에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옐로우발색층(23a)의 정착이 완료된 정착완료 영역(77)의 선두라인(74)이 서멀헤드(11)에 도달하였을 때에, 서멀헤드(11)로의 통전을 개시하여, 2번째로 작은 감열발색레벨의 열에너지를 원반인쇄매체(M)에 인가한다. 이에 의해서, 선두라인(74)으로부터 진홍색발색층(23b)의 발색이 시작된다. 다음에, 선두라인(73)이 다시 최후부(71b)에 도달하였을 때에, 음극관(13)으로의 통전을 종료하여, 옐로우발색층(23a)의 정착을 종료한다.
다음에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홍색발색층(23b)이 발색한 발색완료영역(79)의 선두라인(74)이, 광조사영역(72)의 최후부(72b)에 도달하였을 때에, 음극관(14)으로의 통전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서, 음극관(14)으로부터의 광이, 원반인쇄매체(M)에 조사되어, 진홍색발색층(23b)이 정착된다. 광조사영역(72)은, 음극관(14)으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는 영역이다. 다음에, 선두라인(74)이 서멀헤드(11)에 도달하였을 때에, 서멀헤드(11)로의 통전을 종료하여, 진홍색발색층(23b)의 발색을 종료한다.
다음에 도 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홍색발색층(23b)의 정착이 완료된 정착완료 영역(81)의 선두라인(78)이, 서멀헤드(11)에 도달하였을 때에, 서멀헤드(11)로의 통전을 개시하여, 최대의 감열발색레벨의 열에너지를 원반인쇄매체(M)에 인가한다. 이에 의해서, 선두라인(78)으로부터 시안발색층(23c)의 발색이 개시된다. 다음에, 선두라인(78)이 다시 광조사영역(72)의 최후부(72b)에 도달하였을 때에, 음극관(14)으로의 통전을 종료하여, 진홍색발색층(23b)의 정착을 종료한다.
다음에 도 8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두라인(78)이 서멀헤드(11)에 도달하였을 때에, 서멀헤드(11)로의 통전을 종료하여, 시안발색층(23c)의 발색을 종료한다. 이때, 원반인쇄매체(M)는 전부 시안발색층(23c)이 발색한 발색완료영역(82)에 의해서 덮여지고 인쇄는 완료된다.
이와 같이, 옐로우발색층(23a)의 발색 및 정착, 진홍색발색층(23b)의 발색 및 정착, 및 시안발색층(23c)의 발색을 순차 행하는 것으로, 풀칼라인쇄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멀헤드(11)에 대향하는 원반인쇄매체(M)의 열인가영역은, 음극관(13)에 대향하는 원반인쇄매체(M)의 광조사영역(71)에 포함되는 일없이, 떨어져서 배치된다. 떨어져서 배치됨으로써, 발색완료 영역(75)이 1회전하여 다시 서멀헤드(11)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발색완료 영역(75)이 광조사영역(71)에 도달하면, 옐로우정착공정을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옐로우발색공정의 도중에 옐로우정착공정을 개시할 수가 있고, 옐로우정착공정의 도중에 진홍색발색공정을 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멀헤드(11)에 의한 열인가영역이 음극관(14)에 의한 광조사영역(72)에 포함되는 일없이, 떨어져서 배치됨에 따라 진홍색발색공정의 도중에 진홍색정착공정을 개시할 수 있고, 진홍색정착공정의 도중에 시안발색공정을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색공정과 정착공정과를 동시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쇄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또, 시안발색공정의 후에, 다른 색의 발색공정은 행해지지 않고 시안발색층(23c)의 정착은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안발색층(23c)을 마이크로캡슐에 봉입된 염료로 구성하고, 광에 의한 정착이 불필요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인쇄장치(10)에는 옐로우발색층(23a)을 정착하기 위한 음극관(13), 및 진홍색발색층(23b)을 정착하기 위한 음극관(14)만이 필요하다.
도 9는 턴테이블(31)에 마찰부하를 부여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9a는 평면도, 도 9b는 중앙단면도이다. 원반인쇄매체(M)는 매체(M)의 외경과 동등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턴테이블(31)의 위에 재치된다. 턴테이블(31)의 중앙에는 원반인쇄매체(M)의 중심공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가지는 계합돌기가 마련되고, 원반인쇄매체(M)의 센터링를 행한다. 턴테이블(31)의 위에는, 매체(M)와의 그립력의 향상, 진동의 억제, 압압력(Ft)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한 고무시트(156)가 재치된다. 원반인쇄매체(M)는 턴테이블(31)과 클램프(130)와의 사이에서 압압력(Fc)으로 협지되고, 턴테이블(31)은 압압력(Fc)에 대항하도록 축부재(35)에 의해서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기어(158, 159)를 개재하여 모터(15)에 의해서 구동된다.
서멀헤드(11)는 원반인쇄매체(M)의 반경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장치커버에 부착된 용수철(1la)에 의해서 원반인쇄매체(M)을 향해서 압압력(Ft)으로 압압된다.
턴테이블(31)의 외주부에는, 회전축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원통부(31a)가 형성되고, 원통부(31a)의 단면과 접촉하여 회전운동에 대하는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해 접동부재(160)가 설치된다. 접동부재(160)는, 외주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작아도 큰 토오크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축부재(35)와 기어(158)와의 사이에도, 접촉에 의한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해서 접동부재(161)가 설치된다.
접동부재(160, 161)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나 소결금속 등의 재료, 즉, 충분한 마찰부하를 부여할 수 있고, 또한 턴테이블(31)의 회전운동에 대하여 매끄러운 접동을 실현할 수 있을 정도의 것으로 형성된다.
접동부재(161)는, 클램프(130)에 의한 압압력(Fc)에 대항하여, 지지력(Fb)으로 턴테이블(31)을 지지한다. 접동부재(160)는, 서멀헤드(11)의 압압력(Ft)에 대항하여, 지지력(Fb) 및 지지력(Fs)의 합력에 의해서 턴테이블(31)을 지지한다. 이러한 힘의 밸런스에 의해서 턴테이블(31)의 면이 쓰러짐을 지탱할 수 있고, 서멀헤드(11)와 원반인쇄매체(M)와의 사이의 균일한 밀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동부재(160, 161)를 사용하여 마찰부하를 부여함으로써, 서멀헤드(11)와 원반인쇄매체(M)와의 사이의 마찰부하변동이 감소하기 때문에, 원반인쇄매체(M)의 회전속도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큰 직경을 가지는 턴테이블(31)을 사용함으로써, 관성모멘트가 증가하여 회전속도변동을 저감화할 수 있다.
또, 도 9에서는 단일의 접동부재(160)를 서멀헤드(11)의 바로 아래에 배치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접동부재(160)를 서멀헤드(11)에 관해서 대칭으로 배치해도 좋다.
도 10은 접동부재(160)를 대칭으로 배치시킨 예를 개시하는 도면이다. 2개의 접동부재(160)는 서멀헤드(11)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회전각도 ±θ만큼만 회전한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의해서, 턴테이블(31)의 기울림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접동이 가능하고, 턴테이블(31)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1은 접동부재(160, 161)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매체속도변동을 예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12는 접동부재(160, 161)을 사용한 경우의 매체속도변동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 11을 보면, 시간(t0)으로부터 서멀헤드(11)의 통전을 개시하고, PWM(펄스폭변조)제어에 의해서 1라인씩 감열인쇄를 행한 경우, 원반인쇄매체(M)의 회전속도(ω)는, 헤드온기간은 증가하고 헤드오프기간은 감소한다고 하는 링깅현상이 관측된다. 이것은, 서멀헤드(11)의 발열에 의해서 서멀헤드(11)와 원반인쇄매체(M)와의 사이의 마찰이 급격히 감소하여 회전속도(ω)가 과도적으로 증가하고, 그 후 서멀헤드(11)의 오프에 의해서 마찰력이 급격히 되돌아와서 회전속도(ω)가 과도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다음에 도 12를 보면, 시간(t0)으로부터 서멀헤드(11)를 PWM제어로 구동한 경우라도, 접동부재(160, 161)에 의해서 마찰부하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도 11과 같은 매체속도의 링깅현상은 크게 억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은 인쇄매체를 평행이동시키는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면이고, 도 13a는 평면도, 도 13b는 정면도면이다. 장방형인쇄매체(N)는 매체(N)의 길이와 동등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이동테이블(175)의 위에 재치된다. 이동테이블(175)의 위에는, 매체(N)와의 그립력의 향상, 진동의 억제, 압압력(Ft)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한 고무시트(176)가 재치된다. 이동테이블(175)은 직선가이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직선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면중앙에는 래크(175b)가 형성되어, 기어(177, 178)를 개재하여 모터(15)에 의해서 반송된다.
서멀헤드(11)는 장방형인쇄매체(N)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장치본체에 부착된 용수철(11a)에 의해서 장방형인쇄매체(N)를 향해서 압압력(Ft)으로 압압된다.
이동테이블(175)의 양측부에는, 반송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리브(175a)가 형성되고, 각 리브(175a)의 단면과 접촉하여 직선운동에 대한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해 접동부재(180)가 설치된다.
접동부재(180)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수지나 소결금속 등의 재료, 즉, 충분한 마찰부하를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이동테이블(175)의 직선운동에 대해 원활한 접동을 실현할수 있을 정도의 것으로 형성된다.
접동부재(180)는, 서멀헤드(11)의 압압력(Ft)에 대항하여, 지지력(Fs)에 의해서 이동테이블(175)을 지지한다. 이러한 힘의 밸런스에 의해서 이동 테이블(175)의 면이 쓰러짐을 지탱할 수 있고, 서멀헤드(11)와 장방형인쇄매체(N)와의 사이의 균일한 밀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동부재(180)를 사용하여 마찰부하를 부여함으로써, 서멀헤드(11)와 장방형인쇄매체(N)와의 사이의 마찰부하변동이 감소하기 때문에, 장방형인쇄매체(N)의 반송속도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3에서는 단일의 접동부재(180)를 서멀헤드(11)의 바로 아래에 배치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복수의 접동부재(180)를 서멀헤드(11)에 관해서 대칭으로 배치해도 좋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구동수단에 의해서 원반인쇄매체를 회전시키고, 서멀헤드에 의해서 감열인쇄를 하는 것으로, 고화질의 화상인쇄가 가능한 소형의 감열인쇄장치가 실현된다.
또한, 직선형상의 음극관인 2개의 정착광원을, 서멀헤드를 끼고 배치함으로써, 이들을 컴팩트하게 배치하여, 소형으로 염가인 감열인쇄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감열발색층을 옐로우발색층, 진홍색발색층 및 시안발색층에 의해서 구성함으로써, 확실하게 풀칼라인쇄를 할 수 있다.
또한, 서멀헤드의 통전기간과 정착광원의 통전기간을 중첩함으로써, 인쇄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제1기록공정의 종료 전에 제1정착공정을 개시하고, 제1정착공정의 종료전에 제2기록공정을 개시하고, 제2기록공정의 종료 전에 제2정착공정을 개시하고, 제2정착공정의 종료 전에 제3기록공정을 개시함으로써, 풀칼라인쇄에 있어서 인쇄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인쇄매체를 부주사방향으로 반송하는 테이블에 접동부재를 접촉하여, 매체반송에 대한 마찰부하를 부여함으로써, 서멀헤드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마찰부하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인쇄매체의 속도변동을 억제할 수가 있고, 그 결과, 농도얼룩이나 색어긋남이 적은 고품질의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접동부재를 헤드압압력에 대항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백업롤러 등의 받이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의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감열인쇄하기 위한 서멀헤드와,
    원반인쇄매체의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그 원반인쇄매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외부호스트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영역에 선택적으로 열을 공급함으로써, 원반인쇄매체에 감열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
  2. 감열발색레벨 및 발색파장이 다른 3개의 발색층으로 이루어지는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의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감열인쇄하기 위한 서멀헤드와,
    원반인쇄매체의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그 원반인쇄매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과,
    감열발색레벨이 가장 작은 발색층, 및 감열발색레벨이 2번째로 작은 발색층을 각각 정착하기 위한 2개의 정착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각 정착광원은, 직선형상의 음극관이고, 원반인쇄매체의 인쇄면에 대향하여, 서멀헤드의 주주사라인을 끼고 배치되어,
    외부호스트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영역에 선택적으로 열을 공급함으로써, 원반인쇄매체에 감열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발색층은, 옐로우발색층, 진홍색발색층 및 시안발색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
  4.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를 그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감열기록하기 위한 서멀헤드와,
    원반인쇄매체를 그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수단과,
    서멀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감열발색층의 영역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광원을 구비하고, ·
    서멀헤드의 통전기간과 정착광원의 통전기간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
  5.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의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서멀헤드로부터 열을 공급하면서, 원반인쇄매체를 그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열발색층에 감열기록하는 공정과,
    서멀헤드에 의해서 기록된 감열발색층의 영역에 정착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하여 정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서멀헤드의 통전기간과 정착광원의 통전기간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방법.
  6. 감열발색레벨 및 발색파장이 다른 제1∼제3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를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각 발색층에 대응하는 발열량으로 감열기록을 행하는 감열인쇄방법에 있어서,
    제1발색층을 감열기록하는 제1기록공정과,
    제1기록공정의 종료 전에 감열기록된 제1발색층의 영역에 정착광의 조사를 개시하는 제1정착공정과,
    제1정착공정의 종료 전에 제2발색층의 감열기록을 개시하는 제2기록공정과, 제2기록공정의 종료 전에 감열기록된 제2발색층의 영역에 정착광의 조사를 개시하는 제2정착공정과,
    제2정착공정의 종료 전에 제3발색층의 감열기록을 개시하는 제3기록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방법.
  7.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원반인쇄매체의 반경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감열인쇄하기 위한 서멀헤드와,
    서멀헤드를 원반인쇄매체에 대하여 압압하기위한 헤드압압수단과,
    원반인쇄매체를 지지하여, 원주방향을 따른 부주사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테이블과,
    회전테이블에 접촉하여, 회전운동에 대하는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접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
  8. 감열발색층을 가지는 장방형인쇄매체의 폭방향을 따른 주주사방향으로 감열인쇄하기 위한 서멀헤드와,
    서멀헤드를 장방형인쇄매체에 대하여 압압하기 위한 헤드압압수단과,
    장방형인쇄매체를 지지하여, 주주사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테이블과,
    이동테이블에 접촉하여, 직선운동에 대한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접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감열인쇄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부재는 헤드압압력에 대항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인쇄장치.
KR1020017002181A 1998-08-28 1999-08-25 감열인쇄장치 및 감열인쇄방법 KR20010072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43764 1998-08-28
JP10243764A JP2000071525A (ja) 1998-08-28 1998-08-28 回転印刷装置
JP3052299A JP3266867B2 (ja) 1999-02-08 1999-02-08 印刷装置
JP11-30522 1999-02-08
PCT/JP1999/004568 WO2000012314A1 (fr) 1998-08-28 1999-08-25 Procede et dispositif d'impression therm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813A true KR20010072813A (ko) 2001-07-31

Family

ID=2636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181A KR20010072813A (ko) 1998-08-28 1999-08-25 감열인쇄장치 및 감열인쇄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08550A1 (ko)
KR (1) KR20010072813A (ko)
CN (1) CN1314845A (ko)
WO (1) WO2000012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296A (ja) 2000-05-23 2001-11-27 Noritsu Koki Co Ltd 印刷装置
JP3873784B2 (ja) 2002-03-13 2007-01-24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TWI238784B (en) 2002-04-26 2005-09-01 Casio Computer Co Ltd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TWI235713B (en) 2002-04-26 2005-07-11 Casio Computer Co Ltd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4151371B2 (ja) * 2002-10-08 2008-09-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装置
US6974661B2 (en) * 2003-01-24 2005-12-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US20070024694A1 (en) * 2005-07-27 2007-02-01 Hanks Darwin M Thermal print head
JP4970387B2 (ja) * 2008-08-21 2012-07-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装置
CN107323101B (zh) * 2017-07-30 2019-01-25 上海东北亚新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圆形织物印花数字喷墨印花机与印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2221U (ko) * 1988-09-09 1990-03-23
JPH06338079A (ja) * 1993-05-26 1994-12-06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媒体を用いた装置
JPH07220281A (ja) * 1994-02-01 1995-08-18 Hitachi Ltd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4845A (zh) 2001-09-26
EP1108550A1 (en) 2001-06-20
WO2000012314A1 (fr) 200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2631A (en) Thermal ribbon cassette and housing therefore
US5378072A (en) Transfer materials supplier
WO1999064242A2 (en) Compact disc and recordable compact disc thermal transfer printer
KR20010072813A (ko) 감열인쇄장치 및 감열인쇄방법
US8537652B2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label printer and method for printing labels on optical disk
TW200403155A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program
JP2000071525A (ja) 回転印刷装置
JP3266867B2 (ja) 印刷装置
US20070109381A1 (en) Optical disc recorder with printing device
JP2000103099A (ja) 回転印刷装置および回転印刷方法
JP2000071493A (ja) 回転印刷装置および回転印刷方法
EP1120262A1 (en) Rotary printer
JP2000118015A (ja) 回転印刷装置
JP2000108394A (ja) 印刷装置
JP2000108388A (ja) 回転印刷装置
JP3177220B2 (ja) 回転印刷装置および方法
JP2000118016A (ja) 回転印刷装置
WO2000063020A1 (en) 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on substrates
JP2000127473A (ja) 回転印刷用サーマルヘッドおよび回転印刷装置
JP2714490B2 (ja) 多色感熱記録装置
JP2000094723A (ja) 印刷装置
JP2987236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光定着器
US6342913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664824B2 (ja) 多色感熱記録装置
JPH0768811A (ja) 転写式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