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610A - 와이어 고정구 - Google Patents

와이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610A
KR20010067610A KR1020010008796A KR20010008796A KR20010067610A KR 20010067610 A KR20010067610 A KR 20010067610A KR 1020010008796 A KR1020010008796 A KR 1020010008796A KR 20010008796 A KR20010008796 A KR 20010008796A KR 20010067610 A KR20010067610 A KR 20010067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se
base
grip means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974B1 (ko
Inventor
이상균
Original Assignee
이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균 filed Critical 이상균
Priority to KR10-2001-000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974B1/ko
Publication of KR2001006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lay Rack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등의 천정에 와이어를 매달기위한 와이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는 원통형이며 하부에 테이퍼부(12)가 형성된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에 내장되며 하단의 체결부(27)가 외부로 돌출되는 와이어그립수단(21)과,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의 체결부(27)에 체결되는 스톱퍼(31)와,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을 가압하도록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과 지지부재(33) 사이에 다소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는 스프링(35)과, 상기 건물 등의 천정에 나사(39)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41)와, 상기 케이스(11)와 베이스(4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고정구{APPARATUS FOR GRIPPING WIRE}
본 발명은 건물 등의 천정에 와이어를 매달거나 와이어에 매달리는 와이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베어링볼을 가진 와이어그립수단에 의해 3점 고정방식으로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건물 등의 천정에 와이어를 달아매기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천정(3)에 고리(5)를 고정하고, 와이어(7)의 단부를 둥굴게 만들어 상기 와이어(7)를 고리(5)에 끼우므로서 상기 와이어(7)를 매달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와이어 고정이 불완전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천정에 고정된 고리의 고정력이 약하여 무거운 것을 매달 수 없고, 미관이 아름답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3개의 베어링볼을 가진 와이어그립수단에 의해 3점 고정방식으로 와이어를 고정하므로서 작업이 용이하고, 천정에 매달리는 고정력이 강하고, 미관이 아름다우며, 와이어가 불시에 고정수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어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의 일례는 원통형이며 하부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하단의 체결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와이어그립수단과, 상기 와이어그립수단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스톱퍼와, 상기 와이어그립수단을 가압하도록 상기 와이어그립수단과 지지부재 사이에 다소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건물 등의 천정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베이스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는 스프링에 의해 와이어그립수단이 케이스의 테이퍼부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3개의 베어링볼이 케이스의 테이퍼부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므로서, 3 방향에서 3개의 베어링볼이 와이어를 가압하여 와이어를 완전히 록킹하고, 그 후 작업자가 케이스 하부로 돌출된 와이어그립수단의 체결부를 밀어 올리면, 와이어그립수단의 베어링부 외주면과 케이스의 테이퍼부 내주면에 간극이 발생하여 베어링볼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므로서, 와이어의 록킹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는 베이스의 둘레에 홈이 형성되어레일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는 베이스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는 원통 또는 원기둥 형태의 물품을 지지하도록 베이스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 케이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판 형태의 베이스가 소정의 물품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장착부에 케이스가 핀절점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는 피지지체를 측부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의 측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케이스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매달기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와이어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베어링볼의 록킹 및 해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케이스 21 : 와이어그립수단
26a, 26b, 26c : 베어링볼 31 : 스톱퍼
33 : 지지부재 35 : 스프링
37 : 연결부재 39 : 나사
41, 63, 81, 91, 101, 111 : 베이스
10, 60, 70, 80, 90, 100, 110 : 와이어 고정구
도 2 내지 도 7은 와이어를 매달기 위한 와이어 고정구에 관한 것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와이어에 매달려 소정의 물품을 지지하는 와이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10)는 원통형이며 하부에 테이퍼부(12)가 형성된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에 내장되며 하단의 체결부(27)가 외부로 돌출되는 와이어그립수단(21)과,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의 체결부(27)에 체결되는 스톱퍼(31)와,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을 가압하도록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과 지지부재(33) 사이에 다소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는 스프링(35)과, 상기 건물 등의 천정에 나사(39)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41)와, 상기 케이스(11)와 베이스(4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7)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는 내주면에 나선(13)이 형성되어 지지부재(23)가 나선을 따라 삽입되어 테이퍼부(12) 앞에서 고정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연결부재(25)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재(23) 위에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은 와이어(50)가 통과하는 중공부(16)가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부 원통부(23)와 상기 상부 원통부(23) 보다 외경이 크며 테이퍼진 베어링부(24)와, 상기 베어링부(24)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부(27)로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부(24)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으며, 3개의 구멍(25a, 25b, 25c)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멍(25a, 25b, 25c) 각각에 베어링볼(26a, 26b, 26c)이 장착된다.
상기 3개의 베어링볼(26a, 26b, 26c)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50)를 록킹하고, 록킹을 해제한다.
도 5에서, (a)는 베어링볼(26a, 26b, 26c)이 와이어(50)를 록킹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b)는 베어링볼(26a, 26b, 26c)의 록킹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a)의 B-B 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c)는 베어링볼(26a, 26b, 26c)이 와이어(50)를 록킹 해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d)는 베어링볼(26a, 26b, 26c)의 록킹 해제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c)의 C-C 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 도시된 바와같이, 스프링(35)에 의해 와이어그립수단(21)이 케이스(11)의 테이퍼부(12)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베어링볼(26a, 26b, 26c)이 케이스(11)의 테이퍼부(12)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므로서, 3 방향에서 베어링볼(26a, 26b, 26c)이 와이어(50)를 가압하여 와이어(50)를 완전히 록킹한다. 그 후 작업자가 케이스(11) 하부로 돌출된 와이어그립수단(21)의 체결부(27)를 화살표(28) 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도 5의 c 및 d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어그립수단(21)의 베어링부(24) 외주면과 케이스(11)의 테이퍼부(12) 내주면에 간극이 발생하여 베어링볼(26a, 26b, 26c)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므로서, 와이어(50)의 록킹이 해제된다.
상기 스톱퍼(31)는 와이어그립수단(21)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그립수단(21)의 체결부(27)에 체결되어 케이스(11)의 하단부에 밀착되므로서, 와이어그립수단(21)의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부재(23)에 드라이버로 용이하게 채결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십자홈(도시하지 않음) 또는 일자홈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9)는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케이스(13)의 내주면에 체결되고, 소정 길이의 상단부가 돌출되어 베이스(41)에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41)는 중앙에 나사구멍(42)이 형성되고, 본체 하부에서케이스(11)의 외경과 같은 직경을 가지며 나선이 형성된 연결부(43)가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먼저 베이스(41)를 검물 등의 천정에 나사(39)로 고정시키고, 케이싱(11)에서 돌출된 와이어그립수단(21)의 체결부(27)를 눌러 와이어(50)를 삽입하고, 눌렀던 와이어그립수단(21)의 체결부(27)를 놓으면 (26a, 26b, 26c)이 와이어(50)를 록킹하게 된다. 그 후, 작업자는 와이어그립수단(21)이 부지불식간에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스톱퍼(31)를 와이어그립수단(21)의 체결부(27)에 완전히 체결하고, 케이스(11)에서 돌출된 연결부재(37)를 베이스(41)에 체결하여 천정에 고정된 베이스(41)에 케이스(11)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63) 둘레에 홈(65)이 형성되어 레일(63)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70)는 전체 길이가 짧은 것으로, 케이스(71)가 원통형이며 하부면이 막힌 상태에서 작은 구멍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71)에 내장되는 와이어그립수단(73)은 하단의 돌출부(73)가 케이스(71)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고, 베어링볼(79)이 장착되는 베어링부(77)의 상단에 스프링(78)이 안착되고, 상기 케이스(71)의 상단 외주면이 연결부재(81)의 내주면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재(81)의 상부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11)에 체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70)의 작동 원리 및 설치는 제 1 실시예의 와이어고정구와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80)는 베이스(81)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81)가 제품을 지지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와이어 고정구와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90)는 파이프 등과 같이 원통 또는 원기둥 형태의 물품을 지지하도록 베이스(91)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91) 외주면에 케이스(93)가 장착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와이어 고정구와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100)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103)이 형성된 판 형태의 베이스(101)가 소정의 물품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101)의 장착부(105)에 케이스(107)가 핀절점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와이어 고정구와 같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110)는 피지지체(도시하지 않음)를 측부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101)의 측부에 오목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1)의 상부면에 케이스(115)가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와이어 고정구와 같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는 베어링볼에 의해 와이어가 완전 고정되므로 와이어가 불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이 용이하고, 천정에 매달리는 고정력이 강하며, 미관이 아름다운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구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원통형이며 하부에 테이퍼부(12)가 형성된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에 내장되며 하단의 체결부(27)가 외부로 돌출되는 와이어그립수단(21)과,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의 체결부(27)에 체결되는 스톱퍼(31)와,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을 가압하도록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과 지지부재(33) 사이에 다소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는 스프링(35)과, 상기 건물 등의 천정에 나사(39)에 의해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케이스(11)와 베이스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내주면에 나선(13)이 형성되어 지지부재(23)가 나선을 따라 삽입되어 테이퍼부(12) 앞에서 고정되고,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연결부재(25)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부재(23)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그립수단(21)은 와이어(50)가 통과하는 중공부(16)가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부 원통부(23)와, 상기 상부 원통부(23) 보다 외경이 크며 테이퍼진 베어링부(24)와, 상기 베어링부(24)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체결부(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24)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으며, 3개의 구멍(25a, 25b, 25c)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멍(25a, 25b, 25c) 각각에 베어링볼(26a, 26b, 26c)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구.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스프링(35)에 의해 와이어그립수단(21)이 케이스(11)의 테이퍼부(12)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베어링볼(26a, 26b, 26c)이 케이스(11)의 테이퍼부(12) 내주면에 의해 가압되므로서, 3 방향에서 베어링볼(26a, 26b, 26c)이 와이어(50)를 가압하여 와이어(50)를 완전히 록킹하고, 그 후 작업자가 케이스(11) 하부로 돌출된 와이어그립수단(21)의 체결부(27)를 밀어 올리면, 와이어그립수단(21)의 베어링부(24) 외주면과 케이스(11)의 테이퍼부(12) 내주면에 간극이 발생하여 베어링볼(26a, 26b, 26c)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므로서, 와이어(50)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31)는 와이어그립수단(21)의 체결부(27)에 체결되어 케이스(11)의 하단부에 밀착되므로서, 와이어그립수단(21)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와이어 고정구.
  7.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둘레에 홈(65)이 형성되어 레일(63)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구.
  8.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원통 또는 원기둥 형태의 물품을 지지하도록 베이스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 케이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103)이 형성된 판 형태의 베이스가 소정의 물품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의 장착부(105)에 케이스(107)가 핀절점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피지지체를 측부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의 측부에 오목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케이스(115)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구.
KR10-2001-0008796A 2001-02-21 2001-02-21 와이어 고정구 KR10044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796A KR100441974B1 (ko) 2001-02-21 2001-02-21 와이어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796A KR100441974B1 (ko) 2001-02-21 2001-02-21 와이어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610A true KR20010067610A (ko) 2001-07-13
KR100441974B1 KR100441974B1 (ko) 2004-07-23

Family

ID=1970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796A KR100441974B1 (ko) 2001-02-21 2001-02-21 와이어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66B1 (ko) * 2007-12-28 2008-08-26 주식회사 빌드썬 와이어 고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6709A (zh) * 2013-05-10 2013-08-28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吊顶转换层与网架球的连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5394A (en) * 1978-04-13 1979-10-20 Arakawa Giken Kogyo Kk Apparatus for stretching wire
JPH08166047A (ja) * 1994-12-12 1996-06-25 Yasuo Matsuda ワイヤ緊張装置
JP3544726B2 (ja) * 1994-12-12 2004-07-21 康雄 松田 ワイヤ緊張装置
JP3650452B2 (ja) * 1995-12-19 2005-05-18 荒川技研工業株式会社 ワイヤ張装具
JP3809970B2 (ja) * 1996-07-22 2006-08-16 康雄 松田 ワイヤ緊張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866B1 (ko) * 2007-12-28 2008-08-26 주식회사 빌드썬 와이어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1974B1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27047A1 (en) Article hanging system, slidable wire holder, detachable wire holder, wire hook and wire gripper
US4736855A (en) Display apparatus
US4650164A (en) Internally clamped handrail system
US20100037554A1 (en) Cable locking device and method
US6786116B2 (en) Pole apparatus having interchangeable tool heads
KR100441974B1 (ko) 와이어 고정구
JPH0731926B2 (ja) 照明器具の取付構造
CA2402076A1 (en) Rotatable hook mount for utility light
JPH0447454Y2 (ko)
JP2003297113A (ja) 吊り下げ照明器具およびその連結構造
KR200361704Y1 (ko) 조명기기의 고정장치
JPS6114837Y2 (ko)
JPH0518088A (ja) 外装タイルの乾式施工方法
JP3570199B2 (ja) 照明器具
JPH0716381Y2 (ja) 吊下げ具
JP6611285B1 (ja) 壁掛けバー及びその取付構造
EP0733812B1 (en) Blind fastener device
JPS6326071Y2 (ko)
IT9015106U1 (it) Dispositivo serra-cavo
JPH042606Y2 (ko)
JPH0219072Y2 (ko)
KR20100033138A (ko) 호스 릴 고정장치
JPH0615065Y2 (ja) 吊下げ具
JPH11283430A (ja) 照明器具用吊具
JPH021670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