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058A - 평행한 두 기판을 용이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있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 Google Patents

평행한 두 기판을 용이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있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058A
KR20010067058A KR1020000045237A KR20000045237A KR20010067058A KR 20010067058 A KR20010067058 A KR 20010067058A KR 1020000045237 A KR1020000045237 A KR 1020000045237A KR 20000045237 A KR20000045237 A KR 20000045237A KR 20010067058 A KR20010067058 A KR 20010067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nnector
insulator
contac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4740B1 (ko
Inventor
마사오 히구찌
마사카즈 마쯔다
요시아끼 이시야마
카즈아끼 이바라끼
히로끼 아베
Original Assignee
나가토시 다쯔미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토시 다쯔미,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토시 다쯔미
Publication of KR2001006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절연체에 결합된 복수의 도전성 접촉부재를 가진 접속기에서, 각 접촉부재는 제 1 및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하는 특이한 구조를 가진다. 제 1 기판은 서로 대향한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진다. 제 2 기판은 제 1 및 2 표면 사이에 공간을 두고 제 2 표면과 마주보는 주표면을 가진다. 특이한 구조에서, 기저부는 공간에 위치하며 절연체에 의해 홀딩된다. 제 1 탄성부는 제 1 표면과 마주하기 위해 기저부로부터 연장한다. 제 1 접촉부는 제 1 표면상에 배열된 전극 패턴(pattern) 중 하나와 접촉하는 제 1 탄성부로부터 연장한다. 제 2 탄성부는 기저부로부터 연장한다. 제 2 접촉부는 주표면상에 배열된 전극 패턴 중 하나와 접촉하는 제 2 탄성부로부터 연장한다.

Description

평행한 두 기판을 용이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BOARD-TO-BOARD CONNECTOR CAPABLE OF READILY ELECTRICALLY CONNECTING TWO PARALLEL BOARDS TO EACH OTHER}
본 발명은 이동전화, 이동 단말기 및 디지털 스틸 카메라 같은 소형의 전자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개시된 방법에서 상기 소형의 전자 장치는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 LCD 기판 및 주기판을 포함한다. LCD 기판 및 주기판을 서로 접속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제안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 기판 대 기판 접속기(20)는 제 1 또는 LCD 기판(21) 및 제 2 또는 주기판(22)을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하기 위해 엘라스토머(elastomer) 접속기(20)를 포함한다. 접속기(20)는 탄성을 가진 절연체(23) 및 소정의 간격으로 절연체(23)의 표면에 고정된 다수의 접촉부재(24)를 포함한다. 절연체(23)는 원통의 일부가 평행 6 면체 몸체부와 결합하도록 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기판(21)은 제 1 표면(21a) 및 제 1 표면(21a)과 마주보는 제 2 표면(21b)을 가진다. 전극 패턴(25)은 소정의 간격으로 제 2 표면(21b) 상에 배치된다. 제 2 기판(22)은 전극 패턴(26)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주표면(22a)을 가진다.
도 2 를 참조하면, 접속기(20)는 서로 평행한 제 1 과 제 2 기판(21 및 22) 사이에 삽입된다. 즉, 제 1 기판(21)은 접속기(2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는 반면제 2 기판(22)은 제 1 과 제 2 기판(21 및 22) 사이에 공간을 두고 접속기(20)의 하부면 상에 위치한다. 이런 배치에서, 전극 패턴(25 및 26)은 각각 접촉부재(24)와 접촉한다. 그로 인해, 제 1 기판(21)의 전극 패턴(25)은 접속기(11)의 접촉부재(24)를 통해서 제 2 기판(22)의 전극 패턴(26)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러나, 접속기(20)는 하나의 터미널(terminal) 당 접촉력이 약하며 접촉저항이 불안정하다. 실리콘 고무가 절연체의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형상 변형이 크다. 그로 인해 위치 정밀도를 개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게다가, LCD 기판 상의 전극 패턴들 사이의 단락 및 주기판 상의 전극패턴들 사이의 단락이 일어나는 원인이 된다. 게다가, 내구성이 약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LCD 기판의 공정 단계 및 생산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LCD 기판 및 주기판을 접속하기 위해 FPC 및 땜납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상술된 형태의 기판 대 기판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각 기판 상의 전극 패턴들 사이의 단락으로부터 충분히 안전한 상술된 형태의 기판 대 기판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구성 및 재가동성을 가진 상술된 형태의 기판 대 기판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소형의 상술한 형태의 기판 대 기판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접속 전의 두 기판과 함께 종래기술에서 기판 대 기판 접속기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2 는 접속 후의 기판과 함께 도 1 의 기판 대 기판 접속기의 투시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접속기의 정면, 상부 및 우측면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3B 는 도 3A 의 기판 대 기판 접속기의 정면, 하부 및 우측면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4A 는 도 3A 및 3B 의 기판 대 기판의 접속기의 평면도이다.
도 4B 는 도 4A 의 기판 대 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도 4B 에서 V-V 라인에 따른 절개도이다.
도 6 은 도 5 와 유사하게 기판 대 기판 접속기가 두 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 절개도이다.
도 7 은 도 5 와 유사하게 지그를 삽입한 접속기가 기판 대 기판 접속기 내로 기판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절개도이다.
도 8A 는 도 3A, 3B, 4A 및 4B 에 도시된 기판 대 기판 접속기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한 두 기판의 접속 구조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8B 는 도 8A 의 ⅧB-ⅧB 라인에 따른 확대 절개도이다.
도 8C 는 기판 중 하나가 고정 부재인 훅(hook)으로 맞물린 것을 나타낸 확대 절개도이다.
도 9 는 도 8A 의 접속 구조의 결합 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두 기판을 서로 접속하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의 절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두 기판을 서로 접속하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의 절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0 : 기판 대 기판 접속기 21 : 제 1 기판
21a : 제 1 표면 21b : 제 2 표면
22 : 주기판 23, 31 : 절연체
25,26 : 전극 패턴 32 : 접속 부재
32a : 기저부 32b : 제 1 탄성부
32c : 제 1 접촉부 32d : 제 2 탄성부
32e : 제 2 접촉부 32f : 연결부
35 : 클립 36 : 고정부재
36a : 구멍 36b : 연결부
36c : 훅 37 : 프레임
37a : 돌출부 38 : 리세스
본 발명에 따라, 제 1 및 제 2 기판 서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기판 대 기판 접속기가 제공되며, 제 1 기판은 제 1 표면 및 제 1 방향에서 제 1 표면과 마주보는 제 2 표면을가지며, 제 2 기판은 제 2 표면과 마주보는 주표면을 가지며 제 2 표면과 주표면 사이에 제 1 방향으로 공간을 두며, 제 1 기판은 제 1 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전극 패턴을 가지며, 제 2 기판은 주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전극 패턴을 가진다. 기판 대 기판 접속기는 절연체 및 절연체에 결합된 복수의 도전성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각 도전성 접촉부재는 공간을 두고 배치되며 절연체에 의해 홀딩되는 기저부를 포함하며, 제 1 탄성부는 제 1 기판을 향하기 위해 기저부로부터 연장하며, 제 1 접촉부는 제 1 전극 패턴 중 하나와 접촉하기 위해 제 1 탄성부로부터 제 1 표면을 향해 연장하며, 제 2 탄성부는 기저부와 주표면 사이의 기저부로부터 연장하며, 제 2 접촉부는 제 2 전극 패턴 중 하나와 접촉하기 위해 제 2 탄성부로부터 주표면을 향해 연장한다.
도 3 에서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기판 대 기판 접속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참조번호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기판 대 기판 접속기는 제 1 또는 LCD 기판(21)을 제 2 또는 주기판(2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기판(22)은 통상적으로 사각형 형상이다. 뒤에 설명될 방법에서, 제 1 및 제 2 기판(21 및 22)은 서로 마주보며 제 1 방향(A1)으로 제 1 과 제 2 기판 사이에 공간(S)을 갖는다.
기판 대 기판 접속기는 공간(S)에 배치된 절연체(31) 및 절연체(31)와 결합되며 제 1 방향(A1)에 수직한 제 2 방향(A2)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전성 접촉부재(32)를 포함한다. 각 접촉부재(32)는 서로 결합된 U 자형 부분(33) 및 헤어핀 모양 부분(34)을 가지고 형성된다.
특히, 각 접촉부재(32)는 기저부(32a), 제 1 탄성부(32b), 제 1 접촉부(32c) 및 제 2 접촉부(32e)를 포함한다. 기저부(32a)는 공간(S)에 위치하며 절연체(31) 에 의해 홀딩되고 제 1 및 제 2 방향(A2 및 A3)에 수직한 제 3 방향(A3)로 연장한다. 제 1 탄성부(32b)는 기저부(32a)로부터 제 1 기판(21)의 제 1 표면(21a)을 향해 확장한다. 제 1 접촉부(32c)는 제 1 탄성부(32b)의 탄성력에의해 제 1 전극 패턴(25)과 접촉하기 위해 제 1 탄성부(32b)로부터 제 1 표면(21a)을 향해 연장한다. 제 2 탄성부(32d)는 기저부(32a)와 제 2 기판(22)의 주표면(22a) 사이의 기저부(32a)로부터 연장한다. 제 2 접촉부(32e)는 제 2 탄성부(32d)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전극 패턴 중 하나와 접촉하기 위해 제 2 탄성부(32d)로부터 제 2 기판(22)의 주표면을 향해 연장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기판(21 및 22)은 서로 확실히 접속된다. 제 1 접촉부(32c)가 제 1 탄성부(32b)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기판(22) 상의 전극 패턴(26)과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접속기는 제 1 기판(21)으로부터 쉽게 떼어질 수 있다. 심지어 제 1 기판과 제 2 기판(21 과 22) 사이의 거리 또는 공간(S)이 온도 또는 기타 변화의 결과로 변화되어도, 접촉부재(32)가 탄성력을 가지므로 접속기는 그런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 각 접촉부재(32)는 제 1 접촉부(32c)에 접속된연결부(32f)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32f)는 제 1 방향(A1)으로 접속기 삽입 지그(jig)(41)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형태를 가진다. 특히, 연결부(32f)는 낫 모양이며 각 접촉부재(32)의 제 1 접촉부(32c)의 말단에서 형성된다.
제 1 기판(21)이 U 자형 부분(33) 내로 삽입되기 전에, 접속기 삽입 지그(41)의 돌출부(41a)는 연결부(32f)와 맞물려서 도 7 에 도시된 대로 U 자형 부분(33)을 넓힌다. 따라서, 제 1 기판은 확실하게 절연체(31)에 부착된다. 게다가, 제 1 기판(21) 상의 전극패턴(25)은 각 접촉부재(32)의 제 1 접촉부에 의해 거의 손상받지 않는다. 기판 대 기판 접속기는 제 1 기판(21)에 절연체(31)를 고정하기 위해 제 1 방향(A1)으로 제 1 기판과 절연체(31)를 클립핑하기 위한 한 쌍의 클립(35)을 더 포함한다. 폴리이미드(polyimide)같은 절연 코팅이 제 1 기판(21) 상의 전극 패턴(25)에 접촉되기 위해 각 클립(35)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클립(35)를 통해서 제 1 기판(21) 상의 전극 패턴(25)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A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설명은 기판 대 기판 접속기를 사용하는 접속 구조일 것이다.
기판 대 기판 접속기로 제 1 및 제 2 기판(21 및 22)을 접속하기 위해, 고정부재(36) 및 프레임이 사용된다. 고정부재(36)는 통상적으로 사각형이며 양 측면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36a) 및 제 1 방향(A1)으로 프레임(37)과 맞물리기 위해 네 모퉁이에 형성된 연결부(36b)를 가진다. 프레임(37)은 통상적으로 사각형이며 양 측면의 중심에 형성된 돌출부(37a)를 갖는다.
기판 대 기판 접속기는 클립(35)에 의해 제 1 기판에 우선 고정된다. 다음으로, 제 1 기판(21)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프레임(37) 상에 장착된다. 이 경우, 기판 대 기판 접속기는 프레임(37)의 정면 상의 리세스(recess)(38)에 위치한다. 이어, 프레임(37)은 제 1 기판(22) 상에 위치한다. 결과로서, 제 1 기판(21), 프레임(37) 및 제 2 기판(22)는 적층된다. 이런 상태에서, 프레임(37)은 제 1 과 제 2 기판(21 과 22) 사이에서 공간(S)을 형성하기 위해 그 사이에 삽입된다. 게다가, 고정부재(36)는 제 1 기판(21) 상에 장착된다. 이 경우, 고정부재(36)의 구멍(36a)은 프레임(37)의 돌출부(37a)에 고정된다. 구멍(36a)은 제 2 연결부로 명명될 모서리를 정의한 구멍을 가진다.
게다가, 고정부재의 연결부(36b)는 제 2 기판의 양 측면의 두 부분에 형성된 리세스(22c)로 삽입된다. 이런 상태에서, 각 연결부(36b) 상에 형성된 훅(36c)은 도 8C 에 도시된 대로 탄성에 의해 제 2 기판(22)의 하부면에 맞물린다. 훅(36c)은 제 1 연결부로 명명될 것이다.
결국 도 9 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특히, 각 접촉부재(32)의 제 1 접촉부(32c)는 제 1 기판(21) 상의 전극 패턴(25)과 접촉하는 반면 각 접촉부재(32)의 제 2 접촉부(32e)는 제 2 기판(22) 상의 전극 패턴(26)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기판(21 및 22)은 기판 대 기판 접속기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기판 대 기판 접속기에 관해 설명될 것이다.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낸다.
기판 대 기판 접속기에서, 절연체(31), 헤어핀 형상 부분(34), U 자형 부분(33)의 하부 및 제 2 접촉부(32e)는 제 1 과 제 2 기판(21 과 22)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기판(21)은 절연체 및 U 자형 부분(33)의 하부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제 1 기판(21)이 상기 둘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서만 지지되도록 설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접속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낸다.
기판 대 기판 접속기에서, 절연체(31)는 제 1 방향(A1)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U 자형 부분(31)을 가진다. 제 1 기판(21)은 U 자형 부분(31a)의 홈(31b)으로 삽입된다. 즉, U 자형 부분(31a)은 제 1 기판(21)의 말단부 위로 끼워진다. 게다가, U 자형 부분(31)은 클립(35)에 의해 클립핑 또는 핀칭(pinch)된다. 따라서, 제 1 기판(21)은 절연체에 의해 홀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 및 주기판을 접속하기 위해 FPC 및 땜납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각 기판 상의 전극 패턴들 사이의 단락으로부터 충분히 안전하며 내구성 및 재가동성을 가진 소형의 기판 대 기판 접속기를 제공할 수 있고 LCD 기판의 공정 단계 및 생산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Claims (8)

  1. 제 1 및 제 2 기판을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하기 위한 기판 대 기판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제 1 표면 및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1 표면과 마주보는 제 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2 표면과 마주보는 주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표면과 주표면 사이에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1 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전극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주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 2 전극 패턴을 가지며, 상기 기판 대 기판 접속기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도전성 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접촉부재는,
    상기 공간에 배치되며 절연체에 의해 지지되는 기저부;
    상기 제 1 표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1 탄성부;
    상기 제 1 전극 패턴 중 하나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제 1 탄성부로부터 상기 제 1 표면을 향해 연장된 제 1 접촉부;
    상기 기저부와 상기 주표면 사이에서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탄성부;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 중 하나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제 2 탄성부로부터 상기 주표면을 향해 연장된 제 2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도전성 접촉부재는 상기 제 1 접촉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접속기 삽입 지그와 맞물리기 위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 대 기판 접속기는 상기 제 1 기판에 상기 절연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기판과 상기 절연체를 클리핑하기 위한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제 1 기판과 접촉하기 위해 절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제 1 기판의 말단부 위로 끼워지는 U 자형 부분을 가지며, 상기 U 자형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상기 기판 대 기판 접속기는 상기 제 1 기판에 상기 절연체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U 자형 부분을 클리핑하기 위한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과 제 2 기판 사이에 삽입되는 프레임 및 상기 제 1 기판 상에 중첩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제 2 기판과 연결하기 위해 제 1 연결부를 가지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해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촉부재는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기저부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KR10-2000-0045237A 1999-08-04 2000-08-04 평행한 두 기판을 용이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있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KR100384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140599 1999-08-04
JP1999-221405 1999-08-04
JP1999-278390 1999-09-30
JP27839099A JP2001110488A (ja) 1999-08-04 1999-09-30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058A true KR20010067058A (ko) 2001-07-12
KR100384740B1 KR100384740B1 (ko) 2003-05-22

Family

ID=2652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237A KR100384740B1 (ko) 1999-08-04 2000-08-04 평행한 두 기판을 용이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있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12263B1 (ko)
EP (1) EP1075048B1 (ko)
JP (1) JP2001110488A (ko)
KR (1) KR100384740B1 (ko)
CN (1) CN100369330C (ko)
DE (1) DE60000849T2 (ko)
DK (1) DK1075048T3 (ko)
MY (1) MY121161A (ko)
SG (1) SG93876A1 (ko)
TW (1) TW4577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02996T2 (de) * 1999-03-08 2004-03-11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Verbinder zur montage auf leiterplatten
US6468891B2 (en) * 2000-02-24 2002-10-22 Micron Technology, Inc. Stereolithographically fabricated condu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 components and assemblies including such conductive elements, and methods
FR2814858B1 (fr) * 2000-10-02 2002-12-20 Cit Alcatel Connecteur a ressort pour la connexion electrique de pistes d'un ecran d'affichage avec un circuit electrique
US6506059B2 (en) 2001-03-29 2003-01-14 Avx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s for display devices
US6842333B2 (en) * 2001-09-13 2005-01-1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LCD and touch screen
JP2003198161A (ja) * 2001-12-26 200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リップ型リード、及び、当該クリップ型リードにより半導体装置又は副基板を実装した主基板
US6913477B2 (en) * 2002-03-01 2005-07-05 Mobilewise, Inc. Wirefree mobile device power supply method & system with free positioning
US7040902B2 (en) * 2003-03-24 2006-05-09 Che-Yu Li & Company, Llc Electrical contact
US20050173098A1 (en) * 2003-06-10 2005-08-11 Connors Matthew J. Three dimensional vapor chamber
US20050139995A1 (en) * 2003-06-10 2005-06-30 David Sarraf CTE-matched heat pipe
JP4587958B2 (ja) * 2003-08-18 2010-11-24 グンゼ株式会社 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電子機器
TWM259337U (en) * 2003-11-21 2005-03-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507789B2 (ja) 2004-09-21 2010-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の固定構造、電子機器
US7297005B1 (en) * 2006-06-27 2007-11-20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pedestal
BR122021016044B1 (pt) 2010-05-08 2022-07-19 Bruin Biometrics, Llc Aparelho para detecção de umidade subepidérmica (sem)
US8547699B1 (en) 2010-11-09 2013-10-01 Adtran, Inc. Enclosure for outside plant equipment with interconnect for mating printed circuit boards, printed circuit board device and method of repairing outside plant equipment
DE102011114936B4 (de) * 2011-10-06 2018-01-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onikmodul und Kontaktelement hierzu
JP6116056B2 (ja) * 2013-08-07 2017-04-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182740B2 (en) 2015-04-24 2019-01-22 Bruin Biometric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amaged tissue using sub-epidermal moisture measurements
KR101689470B1 (ko) * 2015-06-12 2016-12-23 김동욱 가스레인지 후드의 여과장치
DE102015212163B4 (de) * 2015-06-30 2024-05-29 Robert Bosch Gmbh Kontaktfeder für eine Anzeigevorrichtung, 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nzeigevorrichtung
CN106410517B (zh) * 2015-07-29 2019-04-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GB2545425B (en) * 2015-12-14 2019-03-27 Ge Aviat Systems Ltd Distributed wiring board connections
MX2019004926A (es) 2017-02-03 2019-06-20 Bruin Biometrics Llc Medicion del edema.
KR102283395B1 (ko) 2017-02-03 2021-07-30 브루인 바이오메트릭스, 엘엘씨 당뇨병성 족부 궤양에 대한 감수성의 측정
EP4241670A3 (en) 2017-02-03 2023-12-27 BBI Medical Innovations, LLC Measurement of tissue viability
GB2592547B (en) 2017-11-16 2022-02-23 Bruin Biometrics Llc Strategic treatment of pressure ulcer using sub-epidermal moisture values
JP6387214B1 (ja) 2017-12-22 2018-09-05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9157290A1 (en) 2018-02-09 2019-08-15 Bruin Biometrics, Llc Detection of tissue damage
GB2591899B (en) 2018-10-11 2022-03-09 Bruin Biometrics Llc Device with disposable element
US11594834B2 (en) * 2020-04-30 2023-02-28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MX2023009108A (es) 2021-02-03 2023-08-09 Bruin Biometrics Llc Métodos de tratamiento de daño tisular inducido por presión en estadio profundo y tempran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8960A (en) * 1969-07-03 1971-08-10 George P Deacon Radiant ceiling heating unit
FR2475809A1 (fr) 1980-02-07 1981-08-14 Socapex Barrette de connexion pour carte enfichable, et connecteur muni de telles barrettes
US4530554A (en) 1983-12-27 1985-07-23 Northern Telecom Limited High density low profile multiple contact connector
US4769908A (en) * 1985-11-04 1988-09-13 Amp Incorporated Method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US4738625A (en) 1986-09-29 1988-04-1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panels
JPH0638353B2 (ja) * 1988-07-18 1994-05-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子部品用ソケット
US5561322A (en) * 1994-11-09 1996-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chip package with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US5906496A (en) * 1996-12-23 1999-05-25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Miniature card edge clip
US5888076A (en) 1997-06-13 1999-03-30 Japan Aviation Elecronics Industry, Limited LCD panel connector for use in connection between an LCD panel and a circuit board
US6091474A (en) * 1997-06-26 2000-07-18 Ericsson, Inc. Display assembly
US6089876A (en) * 1997-08-15 2000-07-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lip connector
US6151219A (en) * 1999-02-01 2000-11-2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Electronic card with sheet metal and overmolded plastic frame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9330C (zh) 2008-02-13
DE60000849D1 (de) 2003-01-09
EP1075048A1 (en) 2001-02-07
DE60000849T2 (de) 2003-07-03
EP1075048B1 (en) 2002-11-27
DK1075048T3 (da) 2003-03-24
TW457751B (en) 2001-10-01
US6312263B1 (en) 2001-11-06
SG93876A1 (en) 2003-01-21
MY121161A (en) 2005-12-30
JP2001110488A (ja) 2001-04-20
CN1283883A (zh) 2001-02-14
KR100384740B1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740B1 (ko) 평행한 두 기판을 용이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있는 기판 대 기판 접속기
KR100776894B1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안정된 접속이 가능한 전기접속 부재및 그것을 사용하는 커넥터
US5888076A (en) LCD panel connector for use in connection between an LCD panel and a circuit board
KR870007586A (ko) 클램프 접점 소자를 갖춘 에지 접속기
US6855013B2 (en) LCD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091474A (en) Display assembly
US5702269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3051347A (ja) 電気コネクタ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US5299955A (en) Battery terminal mounting means for a portable electrical device
JP4270451B2 (ja) コネクタ
JPH03133070A (ja) 表面実装用電子部品
JP2000244148A (ja) 電子部品用コネクタ及び基板コネクタ
JPH11185913A (ja) Bga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KR200444934Y1 (ko) 인쇄회로기판
KR880000319Y1 (ko) 기판 연결부재
KR0119886Y1 (ko) 액정표시소자 조립체
KR900001428Y1 (ko) 커넥터용 치구가 부착된 표시소자
JP2002042925A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2217515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lcd電気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H08116148A (ja) 回路基板とfpcとの接続構造
JPH0719979U (ja) コネクタ
JPH07169540A (ja) Pcカード用コネクタ
JPS581220A (ja) 集積回路素子
JPH02216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