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822A -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건축 마무리용 패널 및 이들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건축 마무리용 패널 및 이들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822A
KR20010062822A KR1020000083780A KR20000083780A KR20010062822A KR 20010062822 A KR20010062822 A KR 20010062822A KR 1020000083780 A KR1020000083780 A KR 1020000083780A KR 20000083780 A KR20000083780 A KR 20000083780A KR 20010062822 A KR20010062822 A KR 20010062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building finishing
particle diameter
syras
co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863B1 (ko
Inventor
신토메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추후기재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기재,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치호 filed Critical 추후기재
Publication of KR2001006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8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Finishing Wal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산재 백주(白洲)를 사용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건축 마무리용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건조 시라스(A)의 무가공 원형 그대로를 소재로 하며 건조 시라스(A) 50 내지 65%, 결합재(B) 30 내지 40%, 점토재(C) 3 내지 10%, 시라스 벌룬(D) 5 내지 10%, 접착 보강제(E) 0.08 내지 2%, 착색 안료(F) 0.1 내지 3% 및 촌사(寸莎)류(G) 1 내지 5%를 조성분(組成分)으로서 조합하여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1)를 구성한다. 또한,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1)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耐水)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下地) 위에 도포하여 각종 디자인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건축 마무리용 패널을 구성한다.

Description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건축 마무리용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Paint material for constructional finishing and panel for constructional finishing and method of preparing these}
본 발명은 화산재 백주(白洲)(이하, 시라스라고 호칭한다)를 사용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건축 마무리용 패널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시라스의 풍부한 매장량을 활용하려고 건축분야에서도 연구되고 있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시라스를 2차적으로 가공한 것을 건축 재료로서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시라스를 원형 그대로 무가공으로 상품화한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나 건축 마무리용 패널은 존재하지 않았다.
즉, 시라스란 속칭 백색 사질 퇴적물이며 남큐슈에 널리 분포하는 백색의 거칠고 다공질인 화산 분출물 및 이에 유래하는 2차 퇴적물의 총칭이다. 이러한 시라스는 고온 마그마의 냉각에 의해 결정 분화작용이 발생하여 마그마중의 주 성분 SiO2, Al203, Fe203, FeO, MgO, CaO, Na20, K20 등이 서로 모여 광물로서 결정 석출되어 즉시 폭발적으로 분출하여 형성된 것이며, 약 3할의 결정 광물과 나머지 약 7할의 비결정질 화산 유리질로 이루어져 있다. 비결정질 화산 유리는 마그마중의 휘발성 성분이 급격히 방출되어 다공질의 경석(輕石)상을 이루고, SiO265 내지 73%, Al20312 내지 16%, CaO 2 내지 4%, Na20 3 내지 4%, K20 2 내지 4% 및 철분 1 내지 3%를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결정 광물은 사장석(斜長石)이 가장 많으며 이외로 자소휘석(紫蘇輝石), 석영, 보통 휘석, 자철공 등이 다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시라스를 급속 가열하면 물에 뜨는 것이 있으며 이것은 시라스 유리의 연화와 수분의 증발이 동시에 일어나서 발포하여 중공 구상화하는 소위 시라스 벌룬(1970년, 큐슈고교기쥬쓰시켄겐큐쇼 개발)이 형성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시라스 벌룬의 크기는 약 30 내지 600μm이며 저가격, 불연성, 저부피밀도, 고융점, 저열전도율, 저유전율, 무해, 유독 가스의 무발생 등의 특징을 가지며, 최근에는 600 내지 3000μm인 시라스 벌룬도 생산되고 있다. 시라스 벌룬의 주력 용도로서는 경량이며 두꺼운 도포가 가능한 공업용 도료 등에 있으며, 최근에 경량이며 비교적 강도가 필요하지 않은 천정재 등의 건축용으로 본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미분쇄 시라스를 사용하는 고분자 복합재료의 개발도 진전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건축 마무리용 벽재로서 미장 마무리용 벽재나 벽 도포용 벽재 등으로서 흙벽과 회흙칠이 있다. 이러한 흙벽은 점토에 모래를 넣어 균열을 방지시킨, 중벽(中壁)용으로서 도쿄 볏짚, 황벽(荒壁)용으로서 부패시킨 검은 볏짚, 뿌리 볏짚, 마닐라 삼, 카본 섬유 등을 혼합한 것이며, 회흙칠은 소석회를 원료로 하여 해태, 촌사, 볏짚, 종이 등을 혼련시켜 혼합시킨 것이다. 기타, 식물성 플랭크톤인 이른바 조류(藻類)의 퇴적토인 규조토가 벽 하지재나 내화 벽돌, 벽 마무리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흙벽의 자경성(自硬性) 소재로서 점토 이외에 석회, 돌로마이트 플라스타, 시멘트 등이 있으며 이들 재료를 점토에 혼합하여 굳어지는 성질을 강하게 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시라스를 2차적으로 가공한 것이 대부분이며, 풍부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시라스를 원형 그대로 무가공으로 직접 상품화한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것은 시라스의 물에 대한 유동성이 대단히 높다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자료는 시라스 지표면이 빗물 등에 의해 침식되어 지표면이 마찰되어 깎여서 깊은 골이 무수히 출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자료는 시라스의 물에 대한 유동성이 높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물에 대해 높은 유동성을 갖는 시라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시라스의 원산지인 가고시마켄 등에서 오랫동안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상품화에 이르지 못한 실정이다.
그리고, 시라스를 사용하는 도포재 등이 상품화되지 않은 최대 요인의 하나는 벽 등에 시라스를 도포하여 부착시키는 경우, 시라스 표면에 균열이 생기는 것이다.
또한, 다른 하나는 시라스의 소위 물 흐름 현상이다. 이것은 시라스에 소정량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킨 것을 하지 보드 등에 도포하여 부착시키는 경우, 시라스의 건조 과정에서 건조되지 않고 함유되어 있는 물이 표면으로부터 대량으로 흘러 내리는 현상이다.
이러한 시라스의 균열 현상 및 물 흐름 현상으로 인해, 시라스가 갖는 본래의 특징을 살려 건축용 마무리용 도포재나 건축 마무리용 패널로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다.
한편, 종래의 화학물질이나 유기질 재료의 사용은 화학물질 과민증에 대한 대책이나 시크 하우스 대책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고갈화되어 있는 모래의 대체 건축 재료로서의 활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상이다.
추가하여, 종래에는 시공할 때에 알칼리성에 의한 인체에의 악영향에 대한 대책이나 실내의 기둥, 주변 테두리, 액자 테두리, 건목(巾木) 등의 접점에서의 나무의 변색 또는 얼룩 등의 발생의 방지대책, 그리고 하지 보드의 연결 부분의 처리에 대한 균열 발생의 방지대책이나 보드면에 하지 처리로서 접착 보강제를 미리 시행하는 것으로 박리시키지 않도록 하는 등의 시공상 특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부터 존재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이며 화산재 시라스의 자연적인 풍부한 자원을 무가공 원형 그대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시라스 본래의 특징이 있는 부드러운(soft) 느낌, 거친(rough) 느낌 등의 바탕 느낌을 외견상 떠올릴 수 있으며, 또한 화학물질 과민증에 대항 방지대책, 시크 하우스 방지대책이 되며, 또한 고갈화되어 있는 모래의 대체 건축 재료로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에너지 절약화, 자원 절약화, 무공해화, 무독화, 저가격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무기질성, 신전성(伸展性), 착색성, 내화성, 방화성, 방음성, 조습성, 항균성, 축열단열성(蓄熱斷熱性), 냄새소거성, 통기성 등을 갖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및 건축 마무리용 패널과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과 시라스의 분리를 주 원인으로 하여 생기는 소위 시라스의 균열 현상, 물 흐름 현상을 보수성(保水性)이 높은 점토재 등을 혼입시켜 해소하여 시라스의 도포재 등으로서의 상품화를 실현하는 것이고, 이는 큐슈고교기쥬쓰시켄겐큐쇼, 가고시마켄 고교기쥬쓰센터(특히 센터내의 소재 개발부), 미야자키켄 고교기쥬쓰센터 등에서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
시장에서도 10톤 3000엔 전후로 거래되는 시라스가 본 발명을 활용함으로써 10킬로그램 1만엔 전후로 거래되어 매우 높은 시장 활성효과가 생기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시라스 지표면(地表面)이 비 등에 의해 침식된 상태를 나타내는 자료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2): 하지
(3): 건축 마무리용 패널
(A): 건조 시라스 (B): 결합재
(C): 점토재 (D): 시라스 벌룬
(E): 접착 보강제 (F): 착색 안료 (G): 촌사류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로서 건조 시라스의 무가공 원형 그대로를 소재로 함으로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및 결합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결합재 및 점토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및 촌사류(寸莎類)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추가하여,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촌사류 및 시라스 벌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촌사류, 시라스 벌룬 및 착색 안료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외에,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촌사류, 시라스 벌룬, 착색 안료 및접착 보강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결합재, 점토재, 촌사류, 시라스 벌룬, 착색 안료 및 접착 보강제 중의 어느 하나의 단독과 건조 시라스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한편, 결합재, 점토재, 촌사류, 시라스 벌룬, 착색 안료 및 접착 보강제 중의 2개 이상을 조합한 것과 건조 시라스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50 내지 65%, 결합재 30 내지 40%, 점토재 3 내지 10%, 시라스 벌룬 5 내지 10%, 접착 보강제 0.08 내지 2%, 착색 안료 0.01 내지 3% 및 촌사류 1 내지 5%를 조성분(組成分)으로서 조합(調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6에 대하여 점토재가 1 내지 1.7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가소성을 부여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10에 대하여 결합재가 4 내지 5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부착성을 부여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추가하여, 건조 시라스는, 망형 체 등에 의해 입자직경이 약 5mmψ 이하로 조정되어 혼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건조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는 주로 대 입자직경, 중 입자직경 및 소 입자직경의 건조 시라스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대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2.3mmψ 내지 1.1mmψ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중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1.0mmψ 내지 0.2mmψ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외에, 소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0.1mmψ 이하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결합재는 시멘트 또는 석고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한편, 결합재는 시멘트, 석고재, 소석회, 합성수지 에멀젼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접착 보강제는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테르, 수용성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점토재는 습기를 띠면 가소성을 나타내며 건조되면 강성을 나타내는 규산염 수화물 광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으로서는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시라스 벌룬, 접착 보강제, 착색 안료 및 촌사류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50 내지 65%, 결합재 30 내지 40%, 점토재 3 내지 10%, 시라스 벌룬 5 내지 10%, 접착 보강제 0.08 내지 2%, 착색 안료 0.01 내지 3% 및 촌사류 1 내지 5%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6에 대하여 점토재가 1 내지 1.7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가소성을 부여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10에 대하여 결합재가 4 내지 5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부착성을 부여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추가하여, 건조 시라스는, 망형 체 등에 의해 입자직경이 약 5mmψ 이하로 조정되어 혼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건조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는 주로 대 입자직경, 중 입자직경 및 소 입자직경의 건조 시라스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외에, 대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2.3mmψ 내지 1.1mmψ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중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1.0mmψ 내지 0.2mmψ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한편, 소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0.1mmψ 이하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결합재는 시멘트 또는 석고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결합재는 시멘트, 석고재, 소석회, 합성수지 에멀젼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접착 보강제는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테르, 수용성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로스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추가하여, 점토재는 습기를 띠면 가소성을 나타내며 건조되면 강성을 나타내는 규산염 수화물 광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건축 마무리용 패널로서는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시라스 벌룬, 접착 보강제, 착색 안료 및 촌사류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 위에 도포하여 각종 디자인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50 내지 65%, 결합재 30 내지 40%, 점토재 3 내지 10%, 시라스 벌룬 5 내지 10%, 접착 보강제 0.08 내지 2%, 착색 안료 0.01 내지 3% 및 촌사류 1 내지 5%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켜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 위에 도포하여 각종 디자인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6에 대하여 점토재가 1 내지 1.7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가소성을 부여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10에 대하여 결합재가 4 내지 5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부착성을 부여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추가하여, 건조 시라스는, 망형 체 등에 의해 입자직경이 약 5mmψ 이하로 조정되어 혼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건조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는 주로 대 입자직경, 중 입자직경 및 소 입자직경의 건조 시라스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외에, 대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2.3mmψ 내지 1.1mmψ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중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1.0mmψ 내지 0.2mmψ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한편, 소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0.1mmψ 이하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결합재는 시멘트 또는 석고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결합재는 시멘트, 석고재, 소석회, 합성수지 에멀젼 등으로 이루어진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접착 보강제는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테르, 수용성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로스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추가하여, 점토재는 습기를 띠면 가소성을 나타내며 건조되면 강성을 나타내는 규산염 수화물 광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는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시라스 벌룬, 접착 보강제, 착색 안료 및 촌사류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 위에 도포하여 각종 디자인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 후에 건조시키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50 내지 65%, 결합재 30 내지 40%, 점토재 3 내지 10%, 시라스 벌룬 5 내지 10%, 접착 보강제 0.08 내지 2%, 착색 안료 0.01 내지 3% 및 촌사류 1 내지 5%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 위에 도포하여 각종 디자인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 후에 건조시키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결합재는 시멘트 또는 석고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결합재는 시멘트, 석고재, 소석회, 합성수지 에멀젼 등으로 이루어진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추가하여, 건조 시라스 6에 대하여 점토재가 1 내지 1.7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가소성을 부여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 10에 대하여 결합재가 4 내지 5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부착성을 부여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외에, 건조 시라스는, 망형 체 등에 의해 입자직경이 약 5mmψ 이하로 조정되어 혼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건조시킨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는 주로 대 입자직경, 중 입자직경 및 소 입자직경의 건조 시라스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한편, 대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2.3mmψ 내지 1.1mmψ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중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1.0mmψ 내지 0.2mmψ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소 입자직경은, 입자직경이 약 0.1mm 이하인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접착 보강제는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테르, 수용성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로스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추가하여, 점토재는 습기를 띠면 가소성을 나타내며 건조되면 강성을 나타내는 규산염 수화물 광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및 건축 마무리용 패널과 이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무가공 원형 그대로에 의한 자연소재 만으로 조성된 건조 시라스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포름알데히드 등의 화학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고 화학물질 과민증에 대한 방지대책, 시크 하우스 방지대책, 또한 고갈화되고 있는 모래의 대체 건축 재료로서 활용할 수 있게 하며 건강한 주택 건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 지역산업의 활성화에도 공헌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시라스 50 내지 65%, 결합재 30 내지 40%, 점토재 3 내지 10%, 시라스 벌룬 5 내지 10%, 접착 보강제 0.08 내지 2%, 착색 안료 0.01 내지 3% 및 촌사류 1 내지 5%를 조성분으로 하므로 원료 제조나 현장에 따른 시공시에 전력이나 화석연료 등의 큰 에너지나 비용이 필요하지 않으며 공해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무기질이므로 자외선이나 열에 강하며 또한 화재, 수해, 태풍 등에 의한 자연재해에 대하여도 강하고, 추가하여, 시라스가 다공질의 경석상이므로 통기성을 가지며 집의 구조 자체를 결로(結露) 등으로부터 보호시켜 습기의 제거나 곰팡이 등을 억제하는 항균성을 발휘시킨다.
또한, 결합재는 건조 시라스의 결합재로서 기능하며, 점토재는 현장 시공에서의 작업성 면에서 가소성을 부여시키며, 시라스 벌룬은 벽재 표면의 마무리 느낌을 가벼우면서 부드럽게 만든다.
한편, 접착 보강제는 시공할 때에 인두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만드는 동시에 건조한 상태에서 표면의 분말화를 방지시키며 촌사류는 결합재와 균열 방지재로서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 시라스(A)가 주성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건조 시라스(A)는 그 자체에 손을 대지 않고 무가공으로 소재의 원형 그대로의 것이다. 그리고, 건조 시라스(A)는 결합재(B)와 함께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1)로서 사용된다. 결합재(B)는 시멘트, 석고재, 소석회, 합성수지 에멀젼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 건조 시라스(A)는 결합재(B), 점토재(C), 시라스 벌룬(D), 접착 보강제(E), 착색 안료(F) 및 촌사류(G) 중의 어느 하나의 단독으로 또한, 이들 중의 2이상을 조합한 것과 함께 사용한다.
이러한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1)는 건조 시라스(A) 5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53%, 결합재(B) 3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5%, 점토재(C) 3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시라스 벌룬(D)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7%, 접착 보강제(E) 0.08 내지 2%, 바람직하게는 1%, 착색 안료(F) 0.0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1% 및 촌사류(G)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2%를 각각 혼합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시라스(A)는, 망형 체 등에 의해 입자직경이 약 5mmψ이하로 조정되어 혼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건조시킨다. 결합재(B)는 건조 시라스(A)의 결합재로서 예를 들면, 석고 플라스터 등이 사용되고, 점토재(C)는 작업성 면에서 가소성을 부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시라스 벌룬(D)으로는 표면의 마무리를 가벼우면서 부드러운 느낌으로 만드는 것이 사용된다. 접착 보강제(E)로는 인두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만드는 동시에 건조한 상태에서 표면의 분말화를 방지시키기 위한 식물성 해태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접착 보강제(E)는 예를 들면, 면화(棉花)재 0.03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5% 및 예를 들면, 해초를 삶아 분말상으로 한 진두발 0.05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9%의 혼합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촌사류(G)로는 결합재이며 또한, 균열 방지재로서 예를 들면, 마(麻) 촌사나 볏짚 촌사 등이 사용된다.
또한, 기조합(旣調合) 원료 제품으로서 제조하는 경우, 건조 시라스(A) 53%, 점토재(C) 4%, 시라스 벌룬(D) 7%, 접착 보강제(E) 1%, 착색 안료(F) 1% 및 촌사류(G) 2%를 조성분으로서 미리 조합하여 포대에 채우거나 병에 채우는 등으로 하여 둔다. 또한, 결합재(B)의 35%는 별도 포대에 채워 놓고 시공 현장에서 양쪽을 함께 혼합하고 직접 물을 가하여 혼련시킴으로써 인두 등으로 도포한다.
상기한 결합재(B)로서 석고 플라스터는 수축하여 균열이 생기는 등에 대하여 비교적 강도를 갖는 자경성(自硬性) 시멘트이며 주성분은 소석고이다. 이러한 소석고는 반수(半水) 석고이며 물과 혼련시키면 수화반응을 일으켜 결정수가 생겨 2 수화물 석고로 된 다음, 결정수 이외의 잉여수가 발산하여 경화된다. 석고 플라스터는 소석고를 주원료로 하며 경화 지연재를 첨가하며 경화시간을 조정한 현장 조합 플라스터와 이러한 현장 조합 플라스터에 미리 강모래, 규사, 경량 골재, 탄산칼슘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기조합 플라스터가 있으며, 각각 용도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점토재(C)로서는 습기를 띠면 가소성을 나타내며 건조되면 강성을 나타내는 규산염 수화물 광물인, 예를 들면,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티탄 등을 조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점토를 채용하고 있다. 이것은 점착성, 가소성 및 분산성이 특히 우수하며 pH 5.9, 소성 지수 22.1 및 점도 74μ 97% 패스(pass)를 갖는다.
상기한 접착 보강제(E)로서는 천연의 셀룰로스(펄프 섬유)를 원료로 하여 이러한 셀룰로스의 수산기의 수소원자의 일부를 메틸기, 하이드록시프로필기, 하이드록시에틸기 등으로 치환함으로써 수소결합을 소실시켜 셀룰로스 분자간에 물이 들어가기 쉬운, 보수성(保水性)이 높은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테르, 수용성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로스 등을 채용한다. 이때에 벽재의 표면에 대하여 가능한 한 윤기가 나거나 광택을 갖지 않도록 하는, 예를 들면, 점토 약 400 내지 4000mPa·s 등의 점토 등급의 것을 채택하면 양호하다.
상기한 착색 안료(F)로서는 내알칼리성을 갖는 무기질 안료나 유기질 안료, 또한 일부 무기질 및 유기질 안료와의 혼합체 등이 있으며, 시멘트, 석회, 석고 플라스터 등의 입자 사이에 개재하거나 부착시킴으로써 목적하는 색깔을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산화티탄, 루타일형 산화티탄, 산화크롬, 산화아연, 연백, 황산바륨, 백악, 탄소, 카올린, 활석, 벤토나이트, 벤갈라, 황연,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제2철, 군청, 코발트청, 코발트보라, 징크크로메이트 및 이들의 실리콘 처리물 등의 무기질 안료 또는 퀴나크리돈, 워치앙레드, 디옥사진바이올레트 등의 유기질 안료 등이 착색 안료(F)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건조 시라스(A) 자체에 더한층 경화성과 부착성을 부여시키기 위해 건조 시라스(A), 예를 들면, 10에 대하여 결합재(B)를 4 내지 5의 비의 양으로 조합시킨다. 이때에 결합재(B)와 점토재(C)의 양이 많고 점성이 너무 강하면 도포 마무리 상태에서 표면에 작은 균열이 발생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재(B)와 점토재(C)를 지극히 소량으로 억제하도록 한다. 그리고, 건조 시라스(A) 자체가 조(粗)입자로부터 미세 입자에 폭넓게 걸치므로 입자끼리의 연결 효과를 높히는 목적으로 상기한 보강제로서 촌사류(G)를 사용하여 균열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건조 시라스(A) 자체에 가소성을 부여시키기 위해 건조 시라스(A), 예를 들면, 6에 대하여 점토재(C)를 1 내지 1.7의 비의 양으로 조합시킨다.
또한, 건조 시라스는 주로 대 입자직경, 중 입자직경 및 소 입자직경의 건조 시라스로 이루어지고, 대 입자직경의 경우, 입자직경이 약 2.3mmψ 내지 1.1mmψ이고, 중 입자직경의 경우, 입자직경이 약 1.0mmψ 내지 0.2mmψ이고, 소 입자직경의 경우, 입자직경이 약 0.1mmψ 이하이다. 그리고, 건조 시라스 자체는, 대 입자직경의 건조 시라스를 약 5%, 중 입자직경의 건조 시라스를 약 28% 및 소 입자직경의 건조 시라스를 약 57%로 배분함으로써 바람직한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나 건축 마무리용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사용의 하나의 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시공 현장에서 건조 시라스(A) 53%, 결합재(B) 35%, 점토재(C) 4%, 시라스 벌룬(D) 7%, 접착 보강제(E) 1%, 착색 안료(F) 1% 및 촌사류(G) 2%를 조성분으로서 미리 조합한 기조합 원료 제품에 직접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인두 등으로 도포한다. 이때에 건조 시라스(A) 원래의 색깔이 백회색이므로 착색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으며, 예를 들면, 안료 착색재로서는 시판하고 있는 통상적인 미장이용 안료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마무리 표면의 모양은 기본적으로 인두 등으로 두께 약 5mm 정도로 도포한 다음, 경화의 정도를 가늠한 후, 인두, 로울러, 빗 등을 이용하여 마찰, 표시, 압박, 회전 등으로서 형성한다. 그리고,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1)로서는 실내의 벽 마무리재, 외벽 마무리재, 토간, 상재, 천장 등에 널리 응용할 수 있다. 이때에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1)를 인두 등을 사용하여 도포 부착시킬 수 있으며 스프레이 건 등을 사용하여 분무할 수 있다. 또한, 솔 등을 사용하여 도포 부착시킬 수 있으며 이의수단은 묻지 않는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 시라스(A), 결합재(B), 점토재(C), 시라스 벌룬(D), 접착 보강제(E), 착색 안료(F) 및 촌사류(G)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2) 위에 도포하여 각종 디자인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3)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건축 마무리용 패널(3)을 구성하고 있으면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화산재 시라스의 자연적인 풍부한 자원을 무가공 원형 그대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시라스 본래의 특징있는 부드러운 느낌, 거친 느낌 등의 바탕 느낌을 외견상 떠오르게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1)와 건축 마무리용 패널(3)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화학물질 과민증에 대한 방지대책, 시크 하우스 방지대책으로 되며, 또한, 고갈화되고 있는 모래의 대체 건축 재료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화, 자원 절약화, 무공해화, 무독화 및 저가격화에 추가하여, 무기질성, 신전성, 착색성, 내화성, 방화성, 방음성, 조습성, 항균성, 축열단열성, 소취성, 통기성 등의 유효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본 발명이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무가공 원형 그대로에 의한 자연 소재만으로 조성된 건조 시라스(A)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이며, 포름알데히드 등의 화학물질을 함유하지 않으며 화학물질 과민증에 대한 방지대책, 시크 하우스 방지대책이 되고, 또한, 고갈화되고 있는 모래의 대체 건축 재료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건강 주택 건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인구가 적은 곳에서 지역산업의 활성화에도 공헌할 수 있다. 특히, 거의 중성으로 시공할 경우, 인체에 대한 악영향이 거의 없다. 또한 실내의 기둥이나 주변 테두리, 액자 테두리, 건목(巾木) 등의 접점에서 나무의 변색, 얼룩 등의 발생이 매우 적다. 그리고, 하지 보드의 연결 부분의 처리에 크래프트지를 폭 약 5cm로 단지 접착시킴으로써 균열을 발생시키지 않는 고안이 가능하다. 또한, 균열의 방지는 시공할 때에 수분의 침투와 건조를 좌우하는 촌사류(G)의 양의 조정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하지(2)로서의 보드면에 하지 처리로서 접착 보강제를 미리 실시하지 않아도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1)가 박리될 염려가 없다.
이외에, 건조 시라스(A)는 다공질, 백색 및 경량이므로 가옥의 마무리재로서 대단히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시라스(A)는 무가공 원형 그대로 사용하므로 이의 채취가 용이하며 건축용 마무리 도포재(1)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시라스(A)는 이의 입자 분포가 안정적이며 각종 경화제와의 상용성이 양호해진다.
추가하여, 건조 시라스(A)는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매우 양호하다.
또한, 건조 시라스(A) 50 내지 65%, 결합재(B) 30 내지 40%, 점토재(C) 3 내지 10%, 시라스 벌룬(D) 5 내지 10%, 접착 보강제(E) 0.08 내지 2%, 착색 안료(F) 0.01 내지 3% 및 촌사류(G) 1 내지 5%를 조성분으로 하므로 원료 제조나 현장에 따른 시공시에 전력이나 화석연료 등의 큰 에너지나 비용이 필요하지 않고,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1)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으며, 공해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무기질이므로 자외선이나 열에 강하며 또한 화재, 수해, 태풍 등에 의한 자연재해에 대해서도 강하며, 추가하여, 시라스가 다공질의 경석상이므로 통풍성을 가지며, 집의 구조 자체를 결로 등으로부터 보호시켜 습기의 조절이나 곰팡이 등을 억제하는 항균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결합재(B)는 건조 시라스(A)에 대하여 결합제로서 기능한다. 또한,점토재(C)는 습기를 띠면 가소성을 나타내며 건조되면 강성을 나타내는 규산염 수화물 광물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상, 여러가지 가공에서 가소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시라스 벌룬(D)는 벽재 표면의 마무리를 가벼우면서 부드러운 느낌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보강제(E)는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테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로스 등을 사용함으로써 인두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건조한 상태에서 벽재 표면의 분말화 현상을 방지하여 인체, 옷 등으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하여, 촌사류(G)는 결합재로서 기능하며, 또한, 벽재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건조 시라스(A), 결합재(B), 점토재(C), 시라스 벌룬(D), 접착 보강제(E), 착색 안료(F) 및 촌사류(G)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2) 위에 도포하여 각종 디자인에 따른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3)을 구성하는 경우, 시공 현장에서의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과 시라스의 분리를 주된 원인으로 하여 생기는 소위 시라스의 균열 현상 및 물 흐름 현상을 보수성이 높은 점토재 등을 혼입시킴으로써 해소하여 시라스의 도포재 등으로서의 상품화를 처음으로 실현한 것으로, 큐슈고교기쥬쓰시켄겐큐쇼, 가고시마켄 고교기쥬쓰센터(특히 센터내의 소재 개발부), 미야자키켄 고교기쥬쓰센터 등에서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
추가하여, 시장에서도 10톤 3000엔 전후로 거래되는 시라스가 본 발명을 활용함으로써 10킬로그램 1만엔 전후로 거래되며 매우 높은 시장 활성 효과가 수득된다.

Claims (60)

  1. 건조 시라스의 무가공 원형 그대로를 소재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2. 건조 시라스 및 결합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3. 건조 시라스, 결합재 및 점토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4.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및 촌사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5.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촌사류 및 시라스 벌룬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6.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촌사류, 시라스 벌룬 및 착색 안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7.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촌사류, 시라스 벌룬, 착색 안료 및 접착 보강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8. 결합재, 점토재, 촌사류, 시라스 벌룬, 착색 안료 및 접착 보강제 중의 어느 하나와 건조 시라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9. 결합재, 점토재, 촌사류, 시라스 벌룬, 착색 안료 및 접착 보강제 중의 두 가지 이상의 조합물과 건조 시라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10. 건조 시라스 50 내지 65%, 결합재 30 내지 40%, 점토재 3 내지 10%, 시라스 벌룬 5 내지 10%, 접착 보강제 0.08 내지 2%, 착색 안료 0.01 내지 3% 및 촌사류 1 내지 5%를 조성 성분으로 하여 조합하여 이루어진,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11. 제3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 6에 대하여 점토재가 1 내지 1.7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가소성을 부여시킨,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12. 제2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 10에 대하여 결합재가 4 내지 5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부착성을 부여시킨,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가, 망형 체 등에 의해 입자 직경이 약 5mmψ 이하로 조정되어 혼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건조시킨 것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가 주로 입자 직경이 큰 것, 입자 직경이 중간인 것 및 입자 직경이 작은 것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큰 것의 입자 직경이 1.1mmψ 내지 약 2.3mmψ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16. 제14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중간인 것의 입자 직경이 0.2mmψ 내지 약 1.0mmψ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17. 제14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작은 것의 입자 직경이 약 0.1mmψ 이하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18. 제2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재가 시멘트 또는 석고재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19. 제2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재가 시멘트, 석고재, 소석회, 합성 수지 에멀젼 등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20. 제7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 보강제가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테르, 수용성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등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21. 제3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토재가 습기를 띠면 가소성을 나타내며 건조되면 강성을 나타내는 규산염 수화물 광물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22.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시라스 벌룬, 접착 보강제, 착색 안료 및 촌사류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23. 건조 시라스 50 내지 65%, 결합재 30 내지 40%, 점토재 3 내지 10%, 시라스 벌룬 5 내지 10%, 접착 보강제 0.08 내지 2%, 착색 안료 0.01 내지 3% 및 촌사류 1 내지 5%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 6에 대하여 점토재가 1 내지 1.7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가소성을 부여시킨,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 10에 대하여 결합재가 4 내지 5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부착성을 부여시킨,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가, 망형 체 등에 의해 입자 직경이 약 5mmψ 이하로 조정되어 혼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건조되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27. 제22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가 주로 입자 직경이 큰 것, 입자 직경이 중간인 것 및 입자 직경이 작은 것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28. 제22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큰 것의 입자 직경이 1.1mmψ 내지 약 2.3mmψ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29. 제22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중간인 것의 입자 직경이 0.2mmψ 내지 약 1.0mmψ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30. 제22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작은 것의 입자 직경이 약 0.1mmψ 이하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31.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결합재가 시멘트 또는 석고재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32.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결합재가 시멘트, 석고재, 소석회, 합성 수지 에멀젼 등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33.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접착 보강제가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테르, 수용성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로스 등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3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점토재가 습기를 띠면 가소성을 나타내며 건조되면 강성을 나타내는 규산염 수화물 광물인,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의 제조방법.
  35.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시라스 벌룬, 접착 보강제, 착색 안료 및 촌사류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 위에 도포한 다음, 각종 디자인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
  36. 건조 시라스 50 내지 65%, 결합재 30 내지 40%, 점토재 3 내지 10%, 시라스 벌룬 5 내지 10%, 접착 보강제 0.08 내지 2%, 착색 안료 0.01 내지 3% 및 촌사류 1 내지 5%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 위에 도포한 다음, 각종 디자인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
  37. 제35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 6에 대해 점토재가 1 내지 1.7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가소성을 부여시킨, 건축 마무리용 패널.
  38. 제35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 10에 대하여 결합재가 4 내지 5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부착성을 부여시킨, 건축 마무리용 패널.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가, 망형 체 등에 의해 입자 직경이 약 5mmψ 이하로 조정되어 혼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건조되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
  40. 제35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가 주로 입자 직경이 큰 것, 입자 직경이 중간인 것 및 입자 직경이 작은 것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
  41. 제35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큰 것의 입자 직경이 1.1mmψ 내지 약 2.3mmψ인, 건축 마무리용 패널.
  42. 제35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중간인 것의 입자 직경이 0.2mmψ 내지 약 1.0mmψ인, 건축 마무리용 패널.
  43. 제35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작은 것의 입자 직경이 약 0.1mmψ 이하인, 건축 마무리용 패널.
  44.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결합재가 시멘트 또는 석고재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
  45.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결합재가 시멘트, 석고재, 소석회, 합성 수지 에멀젼 등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
  46.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접착 보강제가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테르, 수용성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로스 등인, 건축 마무리용 패널.
  4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점토재가 습기를 띠면 가소성을 나타내며 건조되면 강성을 나타내는 규산염 수화물 광물인, 건축 마무리용 패널.
  48. 건조 시라스, 결합재, 점토재, 시라스 벌룬, 접착 보강제, 착색 안료 및 촌사류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 위에 도포한 다음, 각종 디자인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고, 이어서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49. 건조 시라스 50 내지 65%, 결합재 30 내지 40%, 점토재 3 내지 10%, 시라스 벌룬 5 내지 10%, 접착 보강제 0.08 내지 2%, 착색 안료 0.01 내지 3% 및 촌사류 1 내지 5%에 적절한 양의 물을 가하여 혼련시키고, 석고 보드, 베니어판, 콘크리트판, 모르타르용 내수 합판, 석면판 등의 하지 위에 도포한 다음, 각종 디자인에 의한 표면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고, 이어서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결합재가 시멘트 또는 석고재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51.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결합재가 시멘트, 석고재, 소석회, 합성 수지 에멀젼 등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52. 제48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 6에 대하여 점토재가 1 내지 1.7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가소성을 부여시킨,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53. 제48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 10에 대하여 결합재가 4 내지 5의 비의 양으로 조합됨으로써 건조 시라스 자체에 경화성과 부착성을 부여시킨,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54. 제48항, 제49항, 제52항 및 제5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가, 망형 체 등에 의해 입자 직경이 약 5mmψ 이하로 조정되어 혼합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건조되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55. 제48항, 제49항, 제52항 및 제5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시라스가 주로 입자 직경이 큰 것, 입자 직경이 중간인 것 및 입자 직경이 작은 것으로 이루어지는,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56. 제48항, 제49항, 제52항 및 제5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큰 것의 입자 직경이 1.1mmψ 내지 약 2.3mmψ인,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57. 제48항, 제49항, 제52항 및 제5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중간인 것의 입자 직경이 0.2mmψ 내지 약 1.0mmψ인,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58. 제48항, 제49항, 제52항 및 제5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직경이 작은 것의 입자 직경이 약 0.1mmψ 이하인,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59.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접착 보강제가 비이온성의 수용성 셀룰로스 에테르, 수용성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로스 등인,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6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점토재가 습기를 띠면 가소성을 나타내며 건조되면 강성을 나타내는 규산염 수화물 광물인, 건축 마무리용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000083780A 1999-12-29 2000-12-28 건축 마감용 도포재 원료, 건축 마감용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779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77390 1999-12-29
JP37739099 1999-12-29
JP2000-113855 2000-04-14
JP2000113855 2000-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822A true KR20010062822A (ko) 2001-07-07
KR100779863B1 KR100779863B1 (ko) 2007-11-27

Family

ID=2658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780A KR100779863B1 (ko) 1999-12-29 2000-12-28 건축 마감용 도포재 원료, 건축 마감용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13050B1 (ko)
KR (1) KR100779863B1 (ko)
CN (1) CN100389155C (ko)
AT (1) ATE335054T1 (ko)
DE (1) DE60029736T2 (ko)
MY (1) MY133607A (ko)
SG (1) SG104933A1 (ko)
TW (1) TW5084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377A (zh) * 2019-05-28 2019-09-10 吴义付 一种防水涂料及其防水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2207C (zh) * 2004-05-25 2007-06-20 成都冠星科技有限公司 钢结构建筑专用三防板材及其制造方法
KR101052580B1 (ko) 2010-07-29 2011-07-28 신강하이텍(주) 건물 내벽면 미장 마감재
CN102528928B (zh) * 2011-10-11 2013-12-11 福建裕和皓月生物工程材料有限公司 建筑无机涂料的化纤骨架材料高度分散方法、产品及应用
CN103819130B (zh) * 2014-02-28 2016-02-24 营口盼盼环保硅藻材料有限公司 一种火山灰内墙装饰材料的制造方法
KR101479643B1 (ko) * 2014-09-19 2015-01-08 주식회사 삼경엠에스엠 무독성 접착성분을 포함하는 실내건축용 견운모 마감재 조성물
CN104725901B (zh) * 2015-03-20 2018-08-10 江苏古德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硅藻泥及其生产方法
TWI769701B (zh) * 2021-02-09 2022-07-01 嚴翔開發有限公司 建築外牆防水顆粒塗層結構及其施作方法
CN114319619A (zh) * 2021-11-19 2022-04-12 浙江绿城房屋服务系统有限公司 内保温墙体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3898A (en) * 1976-02-10 1977-08-31 Nippon Synthetic Chem Ind Foaming fire protective material
SU833876A1 (ru) * 1977-12-29 1981-05-30 Всесоюзн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объединение "Союзжелезобетон"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пАНЕлЕй HA СТЕНдАХ
GB1604733A (en) * 1978-05-30 1981-12-16 Prodorite Ltd Method of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 surfaces
JPS5865773A (ja) * 1981-10-15 1983-04-1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火塗料
JPS6036574A (ja) * 1983-08-08 1985-02-25 Gikenshiya:Kk 塗料
JPS60145975A (ja) * 1984-01-10 1985-08-01 フジタ工業株式会社 おこし状コンクリ−トから構成されたpc板の表面仕上げ方法
JPS60260458A (ja) * 1984-06-02 1985-12-23 株式会社技研社 シラスを主成分とする水硬性成形物
JPH01252593A (ja) * 1988-03-31 1989-10-09 Kubota Ltd セメント賦形体の塗装方法
JPH0259482A (ja) * 1988-08-23 1990-02-28 Daiken Trade & Ind Co Ltd 無機質化粧板の製造方法
JPH061926A (ja) * 1992-06-16 1994-01-11 Daiken Trade & Ind Co Ltd 調湿性を有する塗材
JPH06100796A (ja) * 1992-09-22 1994-04-12 Ito Sangyo:Yugen 塗材及び遮熱断熱工法
US5362320A (en) * 1993-09-13 1994-11-08 Whatcott Burton K Sandable low shrinkage mortar patching/coating compound
KR0144583B1 (ko) * 1995-05-20 1998-07-15 손연호 내화 및 흡음용 피복 조성물 및 이의 시공 방법
DE19723436A1 (de) * 1997-06-04 1998-12-10 Schwenk Kg E Bindemittelzusammensetzung
JP3283799B2 (ja) * 1997-08-26 2002-05-20 株式会社 高千穂 左官仕上用壁材原料と左官仕上用壁材、また、これらの製造方法
GB9903938D0 (en) * 1999-02-22 1999-04-14 Univ Keele Cementitious compositions
US6171655B1 (en) * 1999-04-16 2001-01-09 Takachiho Corp. Method of preparing constructional finished wall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9377A (zh) * 2019-05-28 2019-09-10 吴义付 一种防水涂料及其防水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3050A2 (en) 2001-07-04
EP1113050B1 (en) 2006-08-02
ATE335054T1 (de) 2006-08-15
MY133607A (en) 2007-11-30
SG104933A1 (en) 2004-07-30
DE60029736D1 (de) 2006-09-14
DE60029736T2 (de) 2007-10-18
TW508400B (en) 2002-11-01
EP1113050A3 (en) 2003-08-20
KR100779863B1 (ko) 2007-11-27
CN1301794A (zh) 2001-07-04
CN100389155C (zh)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6535B1 (en) Material for constructional finished wallboard
CN106242457B (zh) 一种长效泥
KR100668469B1 (ko) 광물화식물섬유의 표면피막층 형성 방법 및 그에따른건축자재
CN105859198B (zh) 钢结构石膏基“机喷-双免-相变”围护保温复合墙系统制备方法
CN106242460B (zh) 一种室内装饰泥
CN103396050B (zh) 一种无机生态木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79863B1 (ko) 건축 마감용 도포재 원료, 건축 마감용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5669134A (zh) 一种以无机矿物为核心成份的粘合剂
EP3724149B1 (en) Geopolymeric coating system for fiber cement products
US6171655B1 (en) Method of preparing constructional finished wallboard
JP2001354875A (ja) 建築仕上用塗材及び建築仕上用パネルと、これらの製造方法
JP3283799B2 (ja) 左官仕上用壁材原料と左官仕上用壁材、また、これらの製造方法
CN101585684B (zh) 凹凸棒内墙腻子粉
CN105906239B (zh) 钢构“机喷-氟石膏-反射隔热涂料”围护保温复合墙系统
CN105859199B (zh) 钢构“机喷-免煅烧石膏-反射隔热涂料”围护保温复合墙系统
CN110526627B (zh) 一种建筑用盐衣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070089225A (ko) 미장 재료
JP2006348745A (ja) 建築仕上用塗材原料、これを用いた建築仕上用塗材、および建築仕上用パネル
JP3817693B2 (ja) 土薄塗り塗装工法
KR100757929B1 (ko) 황토 방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한 방수시공방법
CN109626949A (zh) 一种新型玻纤板材制造方法与平贴包覆开槽制造技术
KR20100078342A (ko) 정토를 이용한 건축마감재 및 그 시공방법
JP3415790B2 (ja) 建築仕上用壁ジョイント処理工法
TWI749787B (zh) 塗料層及其製造方法
CN220928497U (zh) 一种可用作饰面的uv琉晶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