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428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428A
KR20010062428A KR1020000076462A KR20000076462A KR20010062428A KR 20010062428 A KR20010062428 A KR 20010062428A KR 1020000076462 A KR1020000076462 A KR 1020000076462A KR 20000076462 A KR20000076462 A KR 20000076462A KR 20010062428 A KR20010062428 A KR 20010062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substrate
clip
hole
f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8189B1 (ko
Inventor
이치마루다카히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6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two resilient parts on its opposite ends in order to connect two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과제) 2개의 부재를 확실하게 연결고정할 수 있고, 또한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착탈할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관통구멍(21)을 가지는 기판(2)과, 기판(2)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다리부(4)와, 다리부(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로크부(42)와, 기판(2)의 관통구멍(21)내에 형성된 제 2 로크부(3)와, 기판(2)의 상면측에 형성된 상판(5)과, 상판 (5)에 형성된 로크해제구멍(52)을 구비하며, 상기 로크해제구멍(52)을 통해서 상기 제 2 로크부(3)을 압압함에 의해서, 로크구멍과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여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연결고정하기 위한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2개의 부재를 확실하게 연결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용이하게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동차의펜더에 펜더 프로텍터를 부착하는 경우등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의 펜더와 펜더 프로텍터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제의 클립(a)과 태핑나사(e)를 사용하여 부착하여 왔다.
즉, 상기 클립(a)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대략 평평한 S자 형상의 수지제 클립본체(a1)에 상하로 관통되는 나사구멍(a2)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나사구멍(a2)과 연통하는 단축(短軸) 원통형상의 탭부(a3)를 상기 클립본체(a1)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립본체(a1)의 제 1 공간부(a4)에 펜더 프로텍터(c)를 삽입하되 이 프로텍터(c)의 로크구멍(c1)과 상기 나사구멍(a2)을 일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클립본체(a1)의 제 2 공간부(a5)에 펜더(b)의 연결부(b1)를 삽입하되 이 연결부 (b1)에 형성된 로크구멍(b2)과 상기 나사구멍(a2)을 일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태핑나사(e)를 상기 나사구멍(a2) 및 로크구멍(b2,c1)을 통해서 상기 탭부(a3)에 나사끼움함으로서,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를 연결고정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클립(a)에 의한 연결고정작업은,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를 상기 클립본체(a1)에 삽입한 상태에서 클립본체(a1)의 나사구멍(a2)과 상기 양 로크구멍(b2,c1)을 일치시키고,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나사(e)를 끼우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는 매우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한다. 또, 수리나 메인티넌스를 위해서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를 착탈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번잡한 작업이 작업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것이 된다.
또, 클립(a) 외에 상기 나사(e)를 필요로 하고, 게다가 상기 나사의 조임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불리함과 아울러 나사의 조임작업시에 드라이버등의 공구로 펜더(b)를 손상시킬 우려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펜더를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나사(e)에 의한 조임정도가 너무 강하게 되면, 펜더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한편, 태핑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차 부품을 연결하는 클립도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9-19647호에 개시된 클립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클립(d)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간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 1쌍의 협지판(挾持板)(d1,d2)을 연결부(d3)로 일체로 연결함과 아울러, 일측 협지판(d1)의 하면에 다리부(d4)를 일체로 돌출형성한 것이다.
상기 클립(d)은 자동차 보디(f)에 형성된 부착구멍(f1)에 상기 다리부(d4)를 압입하되 다리부(d4)의 외주면에 형성된 로크편(d41)을 부착구멍(f1)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서 자동차 보디(f)에 고정하고, 상기 양 협지판(d1,d2) 사이에 라디에이터 그릴(g)의 가장자리부를 압입하여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g)을 양 협지판(d1,d2) 사이에 끼워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g)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절결형상의 오목부(g1)내에 상기 연결부(d3)를 삽입하여 라디에이터 그릴 (g)을 자동차 보디(f)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클립(d)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그릴(g)의 오목부(g1)내에 클립(d)의 연결부(d3)가 삽입됨으로써 횡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라디에이터 그릴(g)을 자동차보디(f)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클립(d)은 라디에이터 그릴(g)을 단지 상기 양 협지판(d1,d2)으로 끼워 유지하는 것으로, 어디까지나 라디에이터 그릴(g)을 자동차 보디(f)에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립(d)에 의한 연결구조에서는 라디에이터 그릴(g)을 자동차 보디(f)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없으며, 최종적으로는 나사고정 등의 체결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립(d)을 사용하여 펜더와 펜더 프로텍터를 연결할 경우에는, 이들 양 부재를 위치결정한 상태로 임시로 고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하더라도 양 부재를 확실하게 연결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최종적으로는 나사고정등의 체결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남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동차의 펜더에 펜더 프로텍트를 부착하는 경우등과 같이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연결고정할 경우에, 나사등에 의한 체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확실하게 2개의 부재를 연결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양 부재를 착탈할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발명에 관한 클립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C)는 (B)의 C-C선 단면도
도 2는 상기 클립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펜더와 펜더 프로텍터를 연결고정할 때의 수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클립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펜더와 펜더 프로텍터를 연결고정할 때의 수순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상기 클립을 사용하여 연결고정한 자동차의 펜더와 펜더 프로텍터를 분리할 때의 수순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제 2 발명에 관한 클립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도 6은 상기 클립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펜더와 펜더 프로텍터를 연결고정할 때의 수순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상기 클립을 사용하여 연결고정한 자동차의 펜더와 펜더 프로텍터를 분리할 때의 수순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클립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종래의 다른 클립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펜더와 펜더 프로텍터를 연결고정할 때의 수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 제 1 발명의 클립 1b - 제 2 발명의 클립
2 - 기판 21 - 관통구멍
3 - 로크체(제 2 로크부) 31 - 연결편
4 - 다리부 42 - 로크부(제 1 로크부)
5 - 상판 52 - 로크해제구멍
53 - 로크해제편 54 - 로크해제돌기부
b - 펜더(타측 부재) b1 - 판형상 연결부
b2 - 로크구멍 c - 펜더 프로텍터(일측 부재)
c1 - 로크구멍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발명으로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연결고정하는 클립에 있어서, 중앙부에 적어도 1개의 관통구멍을 가지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변형가능한 제 1 로크부와;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내에 배치되며,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에 의해서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부가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돌출된 제 2 로크부와; 상기 기판의 상면측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간되도록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에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에 대응하여 형성된 로크해제구멍;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클립이고, 일측 부재에 형성된 로크구멍에 상기 다리부를 압입하되 상기 로크구멍의 이면측 내주연부에 상기 제 1 로크부를 걸어맞춰서 클립을 일측 부재에 고정함과 아울러, 타측 부재의 판형상 연결부를 상기 기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삽입하되 상기 판형상 연결부에 형성된 로크구멍에 상기 제 2 로크부를 걸어맞춰서 타측 부재를 클립에 고정함에 의해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연결고정하고, 또 상기 상판의 로크해제구멍을 통해서 상기 제 2 로크부를 압압함에 의해서 상기 제 2 로크부와 상기 로크구멍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제 1 발명의 클립은, 일측 부재에 형성된 로크구멍에 상기 다리부를 삽입하되 상기 다리부에 형성된 상기 제 1 로크부를 상기 로크구멍의 이면측 내주연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일측 부재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 상기 타측 부재에 형성된 판형상 연결부를 상기 기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삽입하되 상기 판형상 연결부에 형성된 로크구멍에 상기 기판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크부를 걸어맞춤으로써 타측 부재를 상기 클립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립에 의하면, 태핑나사등의 체결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펜더와 펜더 프로텍터등의 2개의 부재를 상기 클립만으로 확실하게 연결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로크부가 탄성변형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2 로크부도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을 통해서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개의 부재를 연결할 때에는, 상기 다리부를 일측 부재의 로크구멍에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제 1 로크부가 일단 탄성변형한 후에 다시 원래의 상태로 탄성복귀하게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로크구멍의 이면측 내주연부에 걸어맞춰지게 되고, 또 타측 부재의 판형상 연결부를 상기 기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제 2 로크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연결편이 일단 탄성변형한 후에 다시 원래의 상태로 탄성복귀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 2 로크부가 자동적으로 판형상 연결부의 로크구멍과 걸어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에 의하면, 일측 부재의 로크구멍에 상기 다리부를 압입함과 아울러 타측 부재의 판형상 연결부를 상기 기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압입하는 극히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양 부재를 확실하게 연결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립에 의해서 연결고정된 2개의 부재의 연결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를 분리할 경우에는,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상판의 로크해제구멍을 통해서 상기 제 2 로크부를 압압함에 의해서, 상기 제 2 로크부와 상기 로크구멍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용이하게 양 부재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립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부재를 확실하게 연결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용이하게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클립에 의하면, 자동차의 펜더에 펜더 프로텍트를 부착하는 경우등과 같이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연결고정할 경우, 나사등에 의한 체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확실하게 2개의 부재를 연결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양 부재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발명으로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연결고정하는 클립에 있어서, 중앙부에 적어도 1개의 관통구멍을 가지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변형가능한 제 1 로크부와;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내에 배치되며,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에 의해서 상기기판과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부가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돌출된 제 2 로크부와; 상기 기판의 상면측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간되도록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에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하면측에 상기 제 2 로크부를 향하여 돌출된 로크해제돌기부를 가지는 탄성변형가능한 로크해제편;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클립이고, 일측 부재에 형성된 로크구멍에 상기 다리부를 압입하되 상기 로크구멍의 이면측 내주연부에 상기 제 1 로크부를 걸어맞춰서 클립을 일측 부재에 고정함과 아울러, 타측 부재의 판형상 연결부를 상기 기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삽입하되 상기 판형상 연결부에 형성된 로크구멍에 상기 제 2 로크부를 걸어맞춰서 타측 부재를 클립에 고정함에 의해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연결고정하고, 또 상기 상판의 로크해제편을 압압하여 상기 로크해제편의 하면측에 형성된 상기 로크해제돌기부로 상기 제 2 로크부를 압압함에 의해서, 상기 제 2 로크부와 상기 로크구멍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발명의 클립은, 상기한 제 1 발명의 클립의 상판에 형성된 로크해제구멍 대신에, 하면측에 상기 제 2 로크부를 향하여 돌출된 로크해제돌기부를 가지는 탄성변형가능한 로크해제편을 상판에 형성한 것이고, 그 외의 구성은 상기한 제 1 발명의 클립과 같다.
즉, 상기 제 2 발명의 클립은, 상기 제 2 로크부와 상기 로크구멍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여 2개의 부재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경우에, 상기 로크해제편을 압압하여 이것을 탄성변형시킴으로써, 그 하면측에 형성된 상기 로크해제돌기부가 상기 제 2 로크부를 압압하여 상기 제 2 로크부와 로크구멍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클립에 의하면, 양 부재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경우에, 드라이버등의 공구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지 상기 로크해제편을 손가락등으로 압압한다는 극히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양 부재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양 부재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제 1 발명에 관한 클립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클립(1a)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더 프로텍터(c)를 펜더(b)에 연결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2는 대략 '집'모양으로 된 판형상 기판이고, 이 기판(2)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1의 (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관통구멍(21)내의 중앙부에는 블럭형상의 로크체(제 2 로크부)(3)가 탄성변형가능한 2개의 연결편(31,31)을 통해서 기판(2)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체(제 2 로크부)(3)는 그 전단면 상부{도 1의 (B),(C)에 있어서의 좌측면 상부)가 경사지게 절결된 테이퍼면(32)으로 되어 있으며, 이 테이퍼면(32)을 포함하는 상기 로크체(3)의 상측이 기판(2)의 상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기판(2)의 하면 중앙부에는 상기 관통구멍(21)과 연통하는 사각 통형상의 다리부(4)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다리부(4)의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벽면에는 각각 'ㄷ'자형상의 슬릿(4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릿(41)의 내측이 탄성변형가능한 로크편(제 1 로크부)(42)으로 되어 있다. 이 로크편(제 1 로크부)(42)은 그 선단측을 상측(기판측)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측의 외면이 단면 산(山)형상으로 형성되어 다리부(4)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기판(2)의 상측에는, 도 1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변의 중앙부가 원호형상으로 돌출된 대략 삼각형상의 상판(5)이 상기 기판(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간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상판(5)은 상기 기판(2)의 경사진 양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세워 형성한 벽부(51,51)에 의해서 기판(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이 상판(5)에는 상기 기판(2)의 관통구멍(21)에 대응하는 원형의 로크해체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22는 펜더 프로텍트(c)의 단부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지는 갈고리형상의 걸림편이다.
또, 상기 클립(1a)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상기한 각 부분이 일체로 성형된다.
이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립(1a)를 사용하여 펜더(b)에 펜더 프로텍터(c)를 부착할 때의 작업 수순 및 클립(1a)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더 프로텍터(c)에 형성된 사각형 로크구멍 (c1)에 상기 클립(1a)의 다리부(4)를 압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다리부(4)의 로크편(제 1 로크부)(42,42)의 선단에 형성된 산(山)형상의 돌기부가 로크구멍(c1)의 내주연부에 의해서 내측으로 압압되어 일단 다리부(4)내로 후퇴하게 되며, 그 후 로크구멍(c1)을 통과하면 다시 탄성복귀하여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구멍(c1)의 반대측 내주연부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립(1a)이 펜더 프로텍터(c)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립(1a)의 기판(2)과 상판(5) 사이에 펜더(b)의 판형상연결부(b1)를 압입한다. 이 때,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판형상 연결부(b1)의 선단이 기판(2)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로크체(제 2 로크부)(3)의 테이퍼면(32)에 맞닿게 되나, 이 테이퍼면(32)의 캠작용에 의해서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크체(제 2 로크부)(3)가 하측으로 압압되어 상기 연결부 (31,31){도 1의 (C) 참조}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하측으로 눌려 내려가게 된다. 그 후 판형상 연결부(b1)가 더 압입되어 상기 판형상 연결부(b)에 형성된 로크구멍 (b2)과 로크체(제 2 로크부)(3)가 일치하게 되면, 로크체(제 2 로크부)(3)의 압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연결편(31,31)이 원래의 상태로 탄성복귀하게 됨으로써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체(제 2 로크부)(3)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로크구멍 (b2)에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펜더 프로텍터(c)에 고정된 클립(1a)이 펜더(b)에 고정됨으로써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가 연결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클립(1a)은 상기 로크편(제 1 로크부)(42,42)과 로크구멍(c1)의 내주연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펜더 프로텍터(c)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로크체(제 2 로크부)(3)와 로크구멍(b2)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펜더(b)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태핑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본 클립(a1)만에 의해서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를 확실하게 연결고정할 수 있다. 또, 펜더 프로텍터(c)의 로크구멍(c1)에 상기 다리부(4)를 압입함과 아울러, 펜더(b)의 판형상 연결부(b1)를 상기 기판(2)과 상기 상판(5) 사이에 압입하는 극히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펜더(b)에 펜더 프로텍터(c)를 연결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클립(1a)에 의해서 연결고정된 상기 펜더(b)와 상기 펜더 프로텍트(c)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를 분리할 경우에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라이버등의 공구(h)로 상기 상판(5)의 로크해제구멍(52)을 통해서 상기 로크체(제 2 로크부)(3)를 압압하여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체(제 2 로크부)(3)를 하측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상기 로크체(제 2 로크부)(3)와 상기 펜더(b)의 판형상 연결부(b1)에 형성된 로크구멍(b2)과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펜더(b)측 또는 펜더 프로텍터(c)측을 조작하여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판형상 연결부(b1)를 클립(1a)내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로크구멍(b2)과 로크체(제 2 로크부)(3)가 어긋나게 된 상태에서 공구(h)를 상기 로크해제구멍(52)에서 빼내어 도 4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체(제 2 로크부)(3)가 상기 판형상 연결부(b1)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한다.
계속해서, 도 4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판형상 연결부(b1)를 클립 (1a)에서 빼내도록 조작함으로써, 도 4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의 연결상태를 완전히 해제하여 양 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클립(1a)은 드라이버등의 공구(h)를 사용하여 상기 상판(5)의 로크해제구멍(52)을 통해서 상기 로크체(제 2 로크부)(3)를 압압함에 의해서, 상기 로크체(제 2 로크부)(3)와 상기 로크구멍(b)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여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용이하게 양 부재(b,c)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본 클립(1a)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를 확실하게 연결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용이하게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b,c)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클립(1a)에 의하면, 자동차의 펜더(b)에 펜더 프로텍터(c)를 부착할 경우, 나사등에 의한 체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확실하게 이들 양 부재(b,c)를 연결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양 부재(b,c)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도 5는 제 2 발명에 관한 클립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클립(1b)도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클립(1a)과 마찬가지로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클립(1b)은,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클립(1a)의 상판(5)에 형성된 로크해제구멍(52)(도 1 참조) 대신에, 하면측에 로크체(제 2 로크부)(3)를 향하여 돌출된 로크해제돌기부(54)를 가지는 탄성변형가능한 로크해제편(53)을 상판(5)에 형성한 것이고, 그 외의 구성은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클립(1a)과 같다.
즉, 본 클립(1b)은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5)에 'ㄷ'자형상의 슬릿(55)을 기판(2)의 관통구멍(21)에 대응하여 형성하고, 이 슬릿(55)의 내측을 탄성변형가능한 로크해제편(53)으로 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로크해제편(53)은 그 선단부가 후측{도 5의 (A)에 있어서의 우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선단부가 부분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이 선단부의 하면측이 상기 상판(5)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로크해제돌기부(54)로 되어 있다.
상기 클립(1b)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클립(1a)과 마찬가지로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를 연결고정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연결고정된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를 그 연결상태를 해제하여 분리할 때, 상기 로크해제편(53)에 의해서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클립(1a)보다도 더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7의 (A)에 나타낸 상태에서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b,c)를 분리할 경우에는, 우선 상기 로크해제편(53)의 선단부를 손가락등으로 강하게 압압(P)하여 로크해제편(53)을 하측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크해제편(53)의 로크해제돌기부 (54)가 로크구멍(b2)내의 로크체(제 2 로크부)(3)를 압압하여 상기 로크체(제 2 로크부)(3)를 하측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상기 로크체(3)와 상기 펜더(b)의 판형상 연결부(b1)에 형성된 상기 로크구멍(b2)과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펜더(b)측 또는 펜더 프로텍터(c)측을 조작하고,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판형상 연결부(b1)를 클립(1b)내에서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로크구멍(b2)과 로크체(제 2 로크부)(3)가 어긋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로크해제편(53)의 누름(P)을 해제하여 도 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체(제 2 로크부)(3)가 상기 판형상 연결부(b1)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한다.
계속해서, 도 7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판형상 연결부(b1)를 클립 (1a)에서 빼내도록 조작함으로써, 도 7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더(b)와 펜더프로텍터(c)의 연결상태를 완전히 해제하여 양 부재를 분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클립(1b)에 의하면,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경우에, 드라이버등의 공구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로크해제편(53)을 손가락등으로 압압한다는 매우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상기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펜더(b)와 펜더 프로텍터(c)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b,c)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클립(1b)의 그 외의 구성, 연결고정시의 작업 수순 및 그 때의 동작 등은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클립(1a)과 같으므로, 도 5 내지 도 7에 있어서의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클립(1a)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클립(1b)도 자동차의 펜더(b)에 펜더 프로텍터(c)를 부착할 경우, 나사등에 의한 체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확실하게 이들 양 부재(b,c)를 연결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드라이버등의 공구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손가락으로 로크해제편(53)을 압압한다는 더욱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양 부재(b,c)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클립으로서 제 1 및 제 2 실시예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클립(1a,1b)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 구성부분의 형상이나 배치형태는 연결고정할 2개의 부재의 형상이나 연결형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클립은 상기한 각 실시예와 같이 펜더에 펜더 프로텍터를 부착하는 경우등의 자동차 부품의 연결고정에 매우 적합하게사용되는 것이나, 그 용도는 자동차 부품의 연결고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2개의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연결고정하는 경우라면,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립에 의하면, 자동차의 펜더에 펜더 프로텍터를 부착하는 경우등과 같이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연결고정할 경우에, 나사등에 의한 체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이한 작업에 의해서 확실하게 2개의 부재를 연결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간이한 조작에 의해서 양 부재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연결고정하는 클립에 있어서,
    중앙부에 적어도 1개의 관통구멍을 가지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변형가능한 제 1 로크부와,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내에 배치되며,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에 의해서 상기 기판과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부가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돌출된 제 2 로크부와,
    상기 기판의 상면측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간되도록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에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에 대응하여 형성된 로크해제구멍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클립이고,
    일측 부재에 형성된 로크구멍에 상기 다리부를 압입하되 상기 로크구멍의 이면측 내주연부에 상기 제 1 로크부를 걸어맞춰서 클립을 일측 부재에 고정함과 아울러, 타측 부재의 판형상 연결부를 상기 기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삽입하되 상기 판형상 연결부에 형성된 로크구멍에 상기 제 2 로크부를 걸어맞춰서 타측 부재를 클립에 고정함에 의해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연결고정하고,
    또, 상기 상판의 로크해제구멍을 통해서 상기 제 2 로크부를 압압함에 의해서 상기 제 2 로크부와 상기 로크구멍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연결고정하는 클립에 있어서,
    중앙부에 적어도 1개의 관통구멍을 가지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면에 돌출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변형가능한 제 1 로크부와,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내에 배치되며, 탄성변형가능한 연결편에 의해서 상기기판과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부가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돌출된 제 2 로크부와,
    상기 기판의 상면측에 상기 기판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이간되도록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에 상기 기판의 관통구멍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하면측에 상기 제 2 로크부를 향하여 돌출된 로크해제돌기부를 가지는 탄성변형가능한 로크해제편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클립이고,
    일측 부재에 형성된 로크구멍에 상기 다리부를 압입하되 상기 로크구멍의 이면측 내주연부에 상기 제 1 로크부를 걸어맞춰서 클립을 일측 부재에 고정함과 아울러, 타측 부재의 판형상 연결부를 상기 기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삽입하되 상기판형상 연결부에 형성된 로크구멍에 상기 제 2 로크부를 걸어맞춰서 타측 부재를 클립에 고정함에 의해서 일측 부재와 타측 부재를 연결고정하고,
    또, 상기 상판의 로크해제편을 압압하여 상기 로크해제편의 하면측에 형성된 상기 로크해제돌기부로 상기 제 2 로크부를 압압함에 의해서, 상기 제 2 로크부와 상기 로크구멍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여 양 부재의 연결고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00-0076462A 1999-12-16 2000-12-14 클립 KR100408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7281 1999-12-16
JP35728199A JP4320493B2 (ja) 1999-12-16 1999-12-16 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428A true KR20010062428A (ko) 2001-07-07
KR100408189B1 KR100408189B1 (ko) 2003-12-01

Family

ID=1845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462A KR100408189B1 (ko) 1999-12-16 2000-12-14 클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320493B2 (ko)
KR (1) KR100408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269B1 (ko) * 2018-08-08 2019-06-28 (주)동희산업 연료탱크용 보호커버 고정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691A (ja) * 2006-01-13 2007-07-26 Murata Mach Ltd 板材接合方法および板材複合部品
EP2663170A3 (en) * 2012-05-10 2016-07-13 Johnson Controls GmbH Fastening means, fasten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fastening arrangement
TWI733898B (zh) * 2017-09-12 2021-07-21 日商發爾特克股份有限公司 緊固件
JP7235281B2 (ja) * 2018-11-05 2023-03-08 株式会社パロマ コン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306U (ja) * 1982-07-26 1984-02-0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クリツプ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269B1 (ko) * 2018-08-08 2019-06-28 (주)동희산업 연료탱크용 보호커버 고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20493B2 (ja) 2009-08-26
KR100408189B1 (ko) 2003-12-01
JP2001173614A (ja) 2001-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8444A (en) Plastic push-on nut
EP1957323B1 (en) Fastener
US5302070A (en) Bolt engaging structure
US5788268A (en) Spring retainer air bag mounting device
JPH0737256Y2 (ja) コネクタ装置
US20070189875A1 (en) Part mounting mechanism
JP2004225900A (ja) 二部品からなる内部トリムリテーナ
US6511029B2 (en) Bracket for mounting an accessory on vehicle body
JPS58191651A (ja) 自動車用バンパ−バ−
KR100408189B1 (ko) 클립
JP4283136B2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JP3859242B2 (ja) 外装部品の取付具の構造
JPH08240207A (ja) 部品の仮止め用クリップ及び該クリップを用いた部品の仮止め構造
KR10032163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마운팅용 클립
JP4577468B2 (ja) クリップ
JPH066273Y2 (ja) ロックナットのロック構造
KR200156428Y1 (ko) 자동차용 번호판램프체결구조
JPH01269784A (ja) パイプ保持具の仮止め用クリップ
JPH0429124Y2 (ko)
JPH066274Y2 (ja) ロックナットのロック構造
KR200322231Y1 (ko) 자동차 도어래치에 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클립
KR0137278Y1 (ko)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결합구조
JPH0725448Y2 (ja) 二部材の連結構造
JPH0332820Y2 (ko)
JPH0716897Y2 (ja) ロックナット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