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375A -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375A
KR20010062375A KR1020000075898A KR20000075898A KR20010062375A KR 20010062375 A KR20010062375 A KR 20010062375A KR 1020000075898 A KR1020000075898 A KR 1020000075898A KR 20000075898 A KR20000075898 A KR 20000075898A KR 20010062375 A KR20010062375 A KR 20010062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unit
control
unit moun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595B1 (ko
Inventor
미츠즈카가츠야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6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22Part of keyboard not oper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26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with programm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2Actuators adjustable
    • H01H2221/034Coded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56Modular conce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68Actuators having a not operable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56Keyboard or overlay identification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4Programmable interface between a set of switches and a set of functions, e.g. for reconfiguration of a control panel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작업으로 스위치유닛을 새로 부착할 수 있는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 유닛장착부(3a 내지 3g)에 제어스위치(2)(SW-A 내지 SW-G)와 키톱(6a 내지 6g)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유닛을 장착한다. 각 스위치유닛의 종별은 각 키톱(6a 내지 6g)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위치구동부(9a 내지 9g)의 형상의 상위를 유닛장착부(3a 내지 3g)측에서 검출함으로써 행한다. 또 각 유닛장착부(3a 내지 3g)에 키톱(6a 내지 6g)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스위치(10a 내지 10g)를 설정하고, 제어부에서 상기 검출스위치(10a 내지 10g)로부터의 검출스위치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키톱(6a 내지 6g)의 유무를 판정하고, 유닛장착부(3a 내지 3g)에서 키톱(6a 내지 6g) 중 어느 하나가 제거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어부가 적어도 제거된 키톱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정지상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CONTROL DEVICE FOR APPARATUS MOUNTED ON A VEHICLE}
본 발명은 각종 제어내용을 지시하는 복수의 스위치유닛을 구비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떤 특정한 제어내용을 지시하는 스위치유닛이 다른 유닛장착부에 장착하여 조작된 경우에도 그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자동적으로 판별하여 그 제어내용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의 계기판의 패널면에는 룸내의 공기조절(air condition)을제어조정하는 복수의 수동스위치가 배치되어 있고, 그들 수동스위치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룸내의 냉난방의 전환이나, 룸내부 온도의 설정치의 변경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최근에 있어서는 상기 공기조용의 수동스위치군에 더하여 다양한 유저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계기판의 패널면에 옵션장비품을 조작하기 위한 1개 내지 복수개의 옵션용 수동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어 종별이 다른 복수개의 옵션용 수동스위치를 배치가능한 스위치장치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는 이와 같은 종류의 스위치장치는 옵션용 수동스위치를 구비한 복수개의 스위치유닛을 장착가능한 유닛장착부를 가지고 있고, 이 유닛장착부에 1개 내지 다른 종별의 복수개의 스위치유닛을 임의로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어떤 종별의 스위치유닛이 장착된 경우에도 그 스위치유닛으로부터의 스위칭신호를 제어기기의 제어부(CPU)에서 처리함으로써 그 스위치유닛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종류의 스위치장치 중에는 스위치유닛을 유닛장착부에 장착하였을 때에 그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자동적으로 판별하는 기능을 구비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도 알려져 있다.
기존의 스위치장치는, 각 스위치마다 스위치 온시에 다른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인식신호 발생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제어회로유닛에 인식신호를 받아 소정의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신호를 내는 스위치판별회로를 설치하고, 스위치를 카세트식으로 새로 부착함으로써 그 새로 부착한 스위치의 인식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스위치신호를 스위치판별회로에서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식신호 발생수단은 스위치의 종별마다 다른 내부배선을 가지는 것으로, 스위치의 접점을 온동작시켰을 때에, 다른 스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이 스위치신호는 그 스위치의 용도를 나타내기 위한 인식신호가 된다. 또 상기 스위치판별회로는 각 스위치의 출력단자에 대응하는 입력단자와 논리회로를 가지는 것으로,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치신호를 논리회로에서 처리함으로써 각 스위치의 기능에 대응하는 부하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스위치장치에 의하면 스위치의 부착이나 교환에 있어서, 제어회로유닛의 회로구성을 바꿀 필요는 없고, 다른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카세트식으로 교환하는 것만으로, 각 스위치의 기능에 대응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런데 그 한편으로, 상기 공지예에 관한 스위치장치는 스위치의 내부배선을 바꿈으로써 인식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다른 스위치신호가 출력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내부배선을 달리하는 스위치를 기능의 종류에 상당하는 수만큼 필요로 하여 범용품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프린트기판에 대한 스위치의 설치위치를 그 때마다 바꾸지 않으면 안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스위치측에 있어서는 내부배선의 조합에 한계가 있어 스위치판정회로측에 있어서도 스스로 논리회로의 조합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제어기능의 증가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본원출원인은 먼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몇개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제 1 제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는, 다른 회로정수를 가지는 식별소자가내장된 복수종별의 스위치유닛과, 어느 하나의 스위치유닛이 유닛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 식별소자의 회로정수에 의존하는 값을 검출하여 상기 장착된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판정하는 스위치유닛 판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2 제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는, 독립하여 접점의 전환을 행할 수 있는 복수의 구동핀을 가지는 복수세트의 스위치를 유닛장착부에 구비함과 동시에, 각 스위치장착부에 장착되는 키톱의 형상을 각 키톱별로 변경하여 각 키톱마다 다른 구동핀의 조합을 구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스위치로부터 다른 인식신호가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
제 3 제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는, 다른 다이오드접속회로가 내장된 복수종별의 스위치유닛과, 어느 하나의 스위치유닛이 유닛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 다이오드접속회로의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장착된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디지털방식으로 판정하는 스위치유닛 판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들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의하면, 스위치의 내부배선을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제 1 제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 및 제 3 제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의하면, 스위치유닛 판정부에서 판정가능한 신호를 식별소자나 다이오드접속회로를 변경함으로써 광범위하게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기능의 증가에도 대응할 수 있다.
그런데 본원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와 같이, 각 유닛장착부에 장착된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제어부가 자동적으로 인식하는 종래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는, 유닛장착부에 장착된 스위치유닛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된 상태로 제거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스위치유닛을 온조작함으로써 실행된 제어기능을 정지시키는 이외의 수단이 조금도 구비되어 있지 않고, 먼저 제거된 스위치유닛을 재차 유닛장착부에 다시 장착하여 오프조작하지 않는 한, 이 스위치유닛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상태를 해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본원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의하면, 1개의 유닛장착부에 스위치유닛이 장착된 경우, 이 스위치유닛의 종별이 자동적으로 제어부에 인식되고, 이 스위치유닛을 온조작함으로써 소정의 제어기능이 실행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유닛을 온조작한 후에 있어서, 유닛장착부에서 이 스위치유닛을 제거하여 동일한 유닛장착부에 다른 종별의 스위치유닛을 장착하면 새로 장착된 스위치유닛의 종별이 자동적으로 제어부에 인식되고, 이 새로 장착된 스위치유닛을 온조작함으로써 다른 제어기능이 실행되게 되나, 제거된 스위치유닛에 의해 실행된 제어기능은 그대로 계속 실행되기 때문에, 이를 정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거된 스위치유닛을 재차 유닛장착부에 다시 장착하여 오프조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종래의 이런 종류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유닛장착부로부터 제거하고자 하는 스위치유닛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가 아니면 스위치유닛을 새로 부착할 수 없고, 또한 제어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스위치유닛을 제거한 경우에는, 일단 스위치유닛을 원래로 되돌려 오프조작한 후가 아니면 스위치유닛을 새로 부착할 수 없는 등, 스위치유닛을 새로 부착하는 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로 하는 점은 더욱 간단한 작업으로 스위치유닛을 새로 부착할 수 있는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를 다른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키톱이 제거된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가 탑재되는 패널유닛의 사시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예의 변형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린트기판 2 : (SW-A 내지 SW-G) 제어스위치
3 : 하우징 3a 내지 39 : 유닛장착부
4a, 4b, 4c : 구동핀 5 : 스토퍼용 단부
6a 내지 6g : 키톱 7 : 스토퍼용 포올부
8 : 코일스프링 9a 내지 9g : 구동부
10a 내지 10g : 검출스위치 11 : 키톱유무판정부
12 : 검지수단 13 : 기억수단
14 : 기능판정수단 15 : 신호출력수단
16 : 패널유닛 20 : 커버
21 : 커버검출스위치 22 : 커버개폐판정부
23 : 걸어맞춤 단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먼저 제 1로, 각각 다른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종별의 스위치유닛과, 각 스위치유닛을 구성하는 제어스위치 및 키톱과, 상기 스위치유닛을 개별로 장착하는 복수개의 유닛장착부와, 이들 복수개의 유닛장착부의 각각에 설치된 검출스위치와, 상기 유닛장착부에 장착된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자동적으로 판정함과 동시에, 상기 유닛장착부로부터 상기 스위치유닛 또는 이 스위치유닛의 일부인 상기 키톱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검출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스위치신호를 검출하여 적어도 제거된 상기 스위치유닛 또는 상기 키톱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정지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닛장착부로부터 스위치유닛 또는 키톱이 제거되었을 때, 검출스위치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유닛장착부로부터 스위치유닛 또는 키톱이 제거된 것이 제어부에 인식되고, 자동적으로 적어도 제거된 스위치유닛 또는 키톱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정지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유저는 유닛장착부로부터 스위치유닛 또는 키톱을 제거함에 있어서 일일이 각 제어스위치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정지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또한 유닛장착부로부터 스위치유닛 또는 키톱을 제거한 후에 있어서, 재차 유닛장착부에 대한 상기 스위치유닛 또는 키톱의 장착이 필요하게 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유닛장착부에스위치유닛가 장착되었을 때, 이 스위치유닛의 종별이 자동적으로 제어부에 인식되는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스위치유닛을 새로 부착하는 것을 더 한층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2로 각각 다른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종별의 스위치유닛과, 상기 스위치유닛을 개별로 장착하는 복수개의 유닛장착부와, 이들 복수개의 유닛장착부의 앞면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1개의 커버와, 이 커버의 개폐를 검출하는 커버검출스위치와, 상기 유닛장착부에 장착된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자동적으로 판정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커버검출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커버검출스위치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유닛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스위치유닛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정지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닛장착부로부터 스위치유닛 또는 키톱을 제거함에 있어서는, 커버가 유닛장착부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커버를 개방하는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에 연동하는 커버검출스위치의 출력신호를 검지하여 유닛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스위치유닛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자동적으로 정지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면, 1개의 검출스위치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수 있어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더 한층 간략화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제 1 실시형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다른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키톱이 제거된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가 탑재되는 패널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프린트기판(1)상에 7개의 제어스위치(2)(이하, 필요에 따라 부호 SW-A 내지 SW-G를 부착함)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프린트기판(1)은 유닛장착부(3a 내지 3g)를 구성하는 하우징(3)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다. 1개의 제어스위치(SW-A)는 박스체의 상면으로부터 3개의 구동핀(4a, 4b, 4c)이 돌출하는 3연형의 모멘터리타입의 푸시스위치이며, 각 구동핀(4a, 4b, 4c)의 가압에 의해 각각 온동작되는 3개의 접점(도시 생략)이 내장되어 있다. 다른 제어스위치(SW-B 내지 SW-G)도 동일한 3연형의 푸시스위치이다.
상기 하우징(3)에는 각 제어스위치(2)에 대응하는 7개의 유닛장착부(3a 내지 3g)가 형성되고, 각 유닛장착부(3a 내지 3g)의 내벽에 스토퍼용 단부(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유닛장착부(3a 내지 3g)에는 상기 프린트기판(1) 및 제어스위치(2)와 함께 스위치유닛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7 키톱(6a 내지 6g)이 각각 슬라이드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이들 키톱(6a 내지 6g)의 측벽에는 상기 유닛장착부(3a 내지 3g)의 내벽에 형성된 스토퍼용 단부(5)에 걸어맞추기 위한 스토퍼용 포올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키톱(6a 내지 6g)의 하면과 하우징(3)의 바닥면과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8)이 설치되어 있고, 키톱(6a 내지 6g)은 이 코일스프링(8)에 의해 유닛장착부(3a 내지 3g)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항상 가세되고, 스토퍼용 포올부(7)가 스토퍼용 단부(5)에 접촉함으로써 각 유닛장착부(3a 내지 3g)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각 키톱(6a 내지 6g)의 하면에는 대응하는 제어스위치(2)의 각 구동핀(4a 내지 4c)의 1개 또는 복수를 동시에 가압조작할 수 있는 구동부 (9a 내지 9g)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제 1 키톱(6a)에 제어스위치(SW-A)의 구동핀(4c) 만을 가압가능한 구동부(9a)가 형성되고, 이하 마찬가지로 제 2 키톱(6b)에 제어스위치(SW-B)의 구동핀(4b)만을 가압가능한 구동부(9b)가, 제 3 키톱(6c)에 제어스위치(SW-C)의 구동핀(4a)만을 가압가능한 구동부(9c)가, 제 4 키톱(6d)에 제어스위치(SW-D)의 구동핀(4b)과 구동핀(4c)을 가압가능한 구동부(9d)가, 제 5 키톱(6e)에 제어스위치 (SW-E)의 구동핀(4a)과 구동핀(4c)을 가압가능한 구동부(9e)가, 제 6 키톱(6f)에 제어스위치(SW-F)의 구동핀(4a)과 구동핀(4b)을 가압가능한 구동부(9f)가, 제 7 키톱(6g)에 제어스위치(SW-G)의 구동핀(4a 내지 4c)의 모두를 가압가능한 구동부(9g)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3)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유닛장착부(3a 내지 3g)마다 키톱(6a 내지 6g)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스위치(10a 내지 10g)가 설정되어 있다. 이들 각 검출스위치(10a 내지 10g)는 유닛장착부(3a 내지 3g)에 키톱(6a 내지 6g)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1」의 검출스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유닛장착부(3a 내지 3g)로부터 키톱(6a 내지 6g)이 제거된 경우에「0」의 검출스위치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장착부(3a 내지 3g)에 장착된 키톱(6a 내지 6g)을 가압하면 그 가압조작에 따라 각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로부터는 각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의 온상태를 나타내는 각각 특유의 스위치신호「001」, 「010」, 「100」, 「011」, 「101」, 「110」, 「111」가 출력되고, 이들 스위치신호는 인식신호로서 제어부에 입력된다. 또 키톱(6a 내지 6g)이 가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각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의 오프상태를 나타내는 스위치신호「0 00」가 출력되고 제어부에 입력된다.
제어부에는 상기 키톱검출스위치(10a 내지 1Og)로부터의 검출스위치신호가 입력되는 키톱유무 판정부(11)와, 상기 각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로부터의 스위치신호를 검지하는 검지수단(12)과, 키톱(6a 내지 6g)마다 설정된 제어기능을 기억하는 기억수단(13)과, 이들 검지수단(12)의 검지결과와 기억수단(13)에 의거하여 키톱(6a 내지 6g)마다의 제어기능을 판정하는 기능판정수단(14)과, 이 기능판정수단(14)으로 판정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1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서는 각 스위치유닛의 각각 에 트랙션콘트롤용, 서스펜션콘트롤용, 운전석시이트히터용, 운전석백레스트히터용, 조수석시트히터용, 조수석백레스트히터용 및 미러수납용의 각 제어기능이 설정되고, 이들 제어기능과 각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의 관련테이블이 기억수단 (11)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유닛(16)의 내부에 조립되어 있고, 이 패널유닛(16)은 자동차 계기판의 패널면에 조립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에 구비된 모든 유닛장착부(3a 내지 39)에 스위치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 1 키톱(6a)의 천정면을 코일스프링(8)의 탈발력에 저항하여 가압조작하면 제 1 키톱(6a)은 유닛장착부(3a)의 내벽을 따라 프린트기판(1)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제 1 키톱 (6a)의 구동부(9a)가 제어스위치(SW-A)의 구동핀(4c)만을 가압한다. 이에 의하여 제어스위치(SW-A)의 하나의 접점이 구동핀(4c)에 의해 온동작되고, 제어스위치(SW-A)로부터 특유의 인식신호「001」가 제어부에 출력된다. 제어부에서는 검지수단 (12)이 이 인식신호「001」에 의거하여 제어스위치(SW-A)의 온조작을 검지하여 기능판정수단(14)이 기억수단(13)의 데이터로부터 제 1 키톱(6a)의 제어기능을 판정하고, 신호출력수단(15)이 이 판정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정지되어 있던 트랙션콘트롤이 실행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트랙션콘트롤이 실행되어 있는 상태로 있어서, 제어스위치(SW-A)가 다시 가압조작(제어정지조작)되면 트랙션콘트롤이 정지된다.
또 제 2 키톱(6b)을 가압조작하면 제 2 키톱(6b)의 구동부(9b)가 제어스위치 (SW-B)의 구동핀(4b)만을 가압하기 때문에 제어스위치(SW-B)로부터 특유의 인식신호「010」가 출력되고, 이 인식신호「010」에 의거하여 제어부의 신호출력수단(15)으로부터 서스펜션콘트롤에 대한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그 밖의 키톱(6C 내지 6g)을 가압조작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여 조작된 키톱(6c 내지 6g)에 설정된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는, 각 제어스위치 (SW-A 내지 SW-G)에 대응하는 각 키톱(6a 내지 6g)에 각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가 가지는 구동핀(4a 내지 4c)의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를 동시에 가압가능한 구동부(9a 내지 9g)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이들 구동핀(4a 내지 4c)과 구동부(9a 내지 9g)의 조합에 따라 각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로부터 서로 다른 스위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트랙션콘트롤의 제어기능을 도 1의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제어스위치(SW-B)에 가지게 하는 경우는, 각 제어스위치 (SW-A 내지 SW-G)나 제어부를 일체 변경하는 일 없이 단지 제 1 키톱(6a)을 유닛장착부(3b)에 조립하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작업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기적접속에 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키톱(6a 내지 6g)중의 어느 하나가 가압조작되고, 이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로부터 특유의 스위치신호가 출력되어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실행상태로 되어 있을 때, 새로 부착하기 위하여 이 키톱이 유닛장착부로부터 제거되면 이 제거된 키톱이 장착되어 있던 유닛장착부에 설정된 검출스위치의 검출스위치신호가「1」로부터「0」으로 반전되고, 제어부의 키톱 유무판정부 (11)에 의해 상기 키톱이 제거된 것을 검출하고 신호출력수단(15)으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출력에 의해 제어기능이 정지된다. 따라서 유저는 유닛장착부(3a 내지 3g)로부터 키톱(6a 내지 6g)을 제거함에 있어서, 일일이 그 키톱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실행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는 없고, 유닛장착부로부터 키톱을 제거한 후에 있어서 제거한 키톱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정지하기 때문에, 다시 키톱의 장착이 필요하게 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유닛장착부에 장착된 스위치유닛의 종별이 자동적으로 제어부에 인식되는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스위치유닛을 새로 부착하는 것을 더 한층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과는 달리, 어느 하나의 키톱이 제거된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모든 키톱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키톱을 새로 부착하는 작업이 행하여진 것을 더 확실하게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서는 유리이다.
(제 2 실시형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제 2 실시형태예를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는, 각 스위치장착부(3a 내지 3g)마다 키톱 검출스위치(10a 내지 10g)를 구비하는 구성대신에 하우징(3)의 앞면에 커버(20)를 개폐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커버(20)와 접하는 부분에 이 커버(20)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1」의 신호를 출력하고, 이 커버 (20)가 개방된 경우에 「0」의 신호를 출력하는 1개의 커버검출스위치(21)를 설정함과 동시에, 제어부에 상기 커버검출스위치(21)로부터의 커버검출 스위치신호가입력되는 커버개폐 판정부(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2 실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징(3)의 앞면에 커버(20)가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닛장착부(3a 내지 3g)로부터 키톱(6a 내지 6g)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유저는 필연적으로 커버(20)를 개방하지 않으면 안된다. 각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가 가압조작되고,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실행상태에 있을 때 커버(20)가 개방되면, 커버검출스위치(21)의 커버검출스위치신호가「1」로부터「0」으로 반전되고, 제어부의 커버개폐 판정부(22)에 의해 커버(20)가 개방된 것이 검출되어 신호출력수단(13)으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출력에 의해 제어기능이 정지된다. 따라서 유저는 유닛장착부(3a 내지 3g)로부터 키톱(6a 내지 6g)을 제거함에 있어서 일일이 그 키톱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실행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또한 커버(20)가 개방된 단계에서 자동적으로 모든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정지되기 때문에, 유닛장착부로부터 키톱을 제거한 후에 있어서,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를 오프조작하여 각 제어스위치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정지하기 위해 다시 키톱의 장착이 필요하게 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는 하우징(3)의 앞면에 커버(20)를 개폐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그 커버(20)의 개폐상태를 검지·판정하기 위한 커버검출스위치(21) 및 커버개폐 판정부(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키톱(6a 내지 6g)[도 8에는 키톱 (6a)만을 예시하고 있음]에는 커버(20)와 걸어맞추기 위한 걸어맞춤단부(2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2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키톱(6a 내지 6g)을 유닛장착부(3a 내지 3g)[도 8에는 유닛장착부(3a)만을 예시하고 있음]로부터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키톱(6a 내지 6g)의 부주의한 착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예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외에, 키톱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스위치의 수를 유닛장착부의 수에 관계없이 1개로 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감소와 배선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어 필요로 하는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를 저비용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예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는, 각 유닛장착부의 앞면에 커버(20)를 구비하기 때문에, 유닛장착부(3a 내지 3g)내로의 이물의 침입을 감소할 수 있어 제어스위치(2)의 동작불량이나 프린트기판의 단락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 신뢰성이 뛰어나다.
(그 밖의 실시형태예)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예를 열거한다.
(1)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유닛장착부(3a 내지 3g)로부터의 키톱(6a 내지 6g)의 제거를 검출하거나 또는 유닛장착부(3a 내지 3g)로부터 키톱(6a 내지6g)을 제거할 때의 예비적 동작을 검출하여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자동적으로 정지상태로 전환하였으나, 유닛장착부에 대하여 키톱과 제어스위치가 일체로 구성된 스위치유닛을 착탈하는 타입의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유닛장착부로부터의 상기 스위치유닛의 제거를 검출하거나 또는 유닛장착부(3a 내지 3g)로부터 상기 스위치유닛을 제거할 때의 예비적 동작을 검출하여 제어스위치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자동적으로 정지상태로 전환된다.
(2)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1개의 제어스위치(2)에 3개의 구동핀(4a 내지 4c)을 설치함으로써, 7개의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로부터 서로 다른 7종류의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구동핀의 수를 증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1개의 제어스위치에 n 개(n은 2 이상)의 구동핀을 설치하면 이들 구동핀과 각 키톱의 구동부와의 조합에 따라 (2n-1)종류의 다른 특유의 스위치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그 만큼 제어기능의 종류를 많게 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3개의 구동핀(4a, 4b, 4c)이 동일한 박스체로부터 돌출하는 3연형의 푸시스위치를 제어스위치(2)로서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3연형의 푸시스위치를 대신하여 1개의 구동핀을 가지는 단핀형의 푸시스위치를 3개 나열하여 1세트의 제어스위치(2)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구동핀의 수를 n 개로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4) 상기 실시형태예에 있어서는 제어부에 각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자동적으로 인식시키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구동핀(4a 내지 4c)을 가지는 제어스위치(SW-A 내지 SW-G)와, 상기 복수의 구동핀(4a 내지 4c)의 1개 또는 복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구동부(9a 내지 9g)를 구비한 키톱(6a 내지 6g)을 사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을 대신하여 복수종별의 스위치유닛의 각각에 다른 회로정수를 가지는 식별소자를 내장하고, 제어부에서 상기 식별소자의 회로정수에 의존하는 값을 검출한다는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5) 마찬가지로 제어부에 각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자동적으로 인식시키는 수단으로서, 복수종별의 스위치유닛의 각각에 다른 다이오드접속회로를 내장하고, 제어부에서 상기 다이오드접속회로에 의존하는 값을 검출한다는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6) 또한 제어부에 각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자동적으로 인식시키는 수단으로서 복수종별의 스위치유닛을 복수쌍의 쇼팅 가능한 랜드부를 포함하는 필요로 하는 회로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에 설치된 스위치와, 상기 복수쌍의 랜드부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쇼팅하는 쇼팅부재로 구성하여 쇼팅위치의 상위를 제어부에서 검출한다는 수단을 사용하는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유닛장착부에 스위치유닛가 장착되었을 때에,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장착된 스위치유닛의 종별이 자동적으로 판정되는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 유닛장착부로부터 스위치유닛 또는 그 스위치유닛의 일부인 키톱이 제거되었을 때 각 유닛장착부마다 설정된 검출스위치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유닛장착부로부터 제거된 제어스위치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정지상태로 전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유저는 유닛장착부로부터 스위치유닛 또는 키톱을 제거함에 있어서, 일일이 대응하는 제어기능이 정지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또한 유닛장착부로부터 스위치유닛 또는 키톱을 제거한 후에 있어서 다시 동일유닛장착부에 대한 동일 스위치유닛 또는 키톱의 장착이 필요하게 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상기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에 있어서의 스위치유닛을 새로 부착하는 것을 더 한층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각 유닛장착부의 앞면에 커버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 커버의 개폐를 검출하는 커버검출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커버검출 스위치로부터의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유닛장착부에 장착된 모든 제어스위치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정지상태로 전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외에 검출스위치의 수량을 최소개수로 할 수 있어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더 한층 간략화할 수 있다. 또 각 유닛장착부의 앞면에 커버를 구비하기 때문에 유닛장착부내로의 이물의 침입을 감소할 수 있고, 내구성, 신뢰성이 뛰어나다.

Claims (2)

  1. 각각 다른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종별의 스위치유닛과, 각 스위치유닛을 구성하는 제어스위치 및 키톱과,
    상기 스위치유닛을 개별로 장착하는 복수개의 유닛장착부와, 이들 복수개의 유닛장착부의 각각에 설치된 검출스위치와,
    상기 유닛장착부에 장착된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자동적으로 판정함과 동시에, 상기 유닛장착부로부터 상기 스위치유닛 또는 이 스위치유닛의 일부인 상기 키톱이 제거되었을 때, 상기 검출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스위치신호를 검출하여, 적어도 제거된 상기 스위치유닛 또는 상기 키톱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정지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
  2. 각각 다른 제어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종별의 스위치유닛과, 상기 스위치유닛을 개별로 장착하는 복수개의 유닛장착부와, 이들 복수개의 유닛장착부의 앞면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1개의 커버와, 이 커버의 개폐를 검출하는 커버검출스위치와, 상기 유닛장착부에 장착된 스위치유닛의 종별을 자동적으로 판정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커버검출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커버검출스위치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유닛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든 스위치유닛에 대응하는 제어기능을 정지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
KR10-2000-0075898A 1999-12-14 2000-12-13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 KR100388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54605 1999-12-14
JP35460599 1999-12-14
JP2000333378A JP3970512B2 (ja) 1999-12-14 2000-10-31 車載機器制御装置
JP2000-333378 2000-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375A true KR20010062375A (ko) 2001-07-07
KR100388595B1 KR100388595B1 (ko) 2003-06-25

Family

ID=2658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898A KR100388595B1 (ko) 1999-12-14 2000-12-13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04263B2 (ko)
EP (1) EP1109183B1 (ko)
JP (1) JP3970512B2 (ko)
KR (1) KR100388595B1 (ko)
DE (1) DE6003326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8354A2 (en) * 2001-09-20 2004-06-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igital audio system
JP4176541B2 (ja) * 2003-04-25 2008-11-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JP2008037206A (ja) * 2006-08-03 2008-02-21 Sumitomo Wiring Syst Ltd 電子制御ユニット
JP5183557B2 (ja) * 2009-04-13 2013-04-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
JP2015076362A (ja) * 2013-10-11 2015-04-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1113B2 (ja) * 1990-09-27 1999-11-02 株式会社東芝 キーボードインタフェース方式
JPH04139516A (ja) * 1990-10-01 1992-05-13 Canon Inc 電子機器
JP3315131B2 (ja) * 1991-08-27 2002-08-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車載用電子機器
JP3144453B2 (ja) * 1994-03-23 2001-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イッチ判別機能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及び操作用スイッチ
JPH106884A (ja) * 1996-06-26 1998-01-13 Alps Electric Co Ltd 車載機器制御装置
JPH10334765A (ja) * 1997-05-30 1998-12-18 Alps Electric Co Ltd 車載機器制御装置
JP3774307B2 (ja) * 1997-12-22 2006-05-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機器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9183B1 (en) 2007-02-07
JP2001236849A (ja) 2001-08-31
JP3970512B2 (ja) 2007-09-05
US20010004169A1 (en) 2001-06-21
DE60033262D1 (de) 2007-03-22
EP1109183A2 (en) 2001-06-20
EP1109183A3 (en) 2003-04-02
US6504263B2 (en) 2003-01-07
KR100388595B1 (ko) 2003-06-25
DE60033262T2 (de) 200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8305B2 (en) Elastomeric vehicle control switch
EP1463077B1 (en) Two-step switch device
US6163282A (en) Vehicle equipment control device
GB2416921A (en) Elastomeric vehicle control switch
KR100388595B1 (ko) 차량탑재기기 제어장치
US6118434A (en) Module structure
MXPA04006251A (es) Disposicion de interruptor configurable.
US6927962B2 (en) Submergence-responsive switching member driving circuit
US20060180453A1 (en) Double-pole change-over switch
JP2009026513A (ja) 入力装置
CN113565393A (zh) 开关门控制装置、开关门控制方法及服务机器人
US4769554A (en) Electrical switching mechanism for circuits in automotive vehicles
US6282973B1 (en) Selector for a vehicle transmission as well as switch module therefor
CN218602308U (zh) 一种开关检测装置
KR100599275B1 (ko) 브레이크스위치 에러 오감지 방지 구조
KR200319309Y1 (ko) 자동차용 파킹포지션스위치
KR200223586Y1 (ko) 변속 레버 위치 검출장치
KR19980037054U (ko) 멀티스위치
KR970023339A (ko) 전압절환스위치를 제거한 카 오디오
KR20240017184A (ko) 전자식 변속장치의 다기능 조작기구
KR19990020968U (ko)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상태 경보장치
JP2002127777A (ja) シフトコントローラ
KR19990020231A (ko) 해당 기능스위치만 점등되는 오디오
KR19990033731A (ko) 자동차 포그램프구동장치
KR20020062027A (ko) 시디 멀티 체인저의 트레이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