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968U -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상태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상태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968U
KR19990020968U KR2019970034456U KR19970034456U KR19990020968U KR 19990020968 U KR19990020968 U KR 19990020968U KR 2019970034456 U KR2019970034456 U KR 2019970034456U KR 19970034456 U KR19970034456 U KR 19970034456U KR 19990020968 U KR19990020968 U KR 199900209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key
alarm
state
switch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968U/ko
Publication of KR19990020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968U/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화키를 점화키 홀더에 삽입한 상태로 운전자가 하차할 경우에 경고 램프가 등화됨과 동시에 경고음이 송출되도록 한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수조작하여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기능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스위치(110)와, 상기 기능 선택스위치(110)의 수조작 상태에 따라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석하는 것을 감지하는 이석 감지스위치(120)와, 점화키가 점화키 홀더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키 콘택트스위치(130)와, 도어의 록/언록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콘택트스위치(140)와, 상기 이석 감지스위치(120)와 키 콘택트스위치(130)의 감지값을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을 행하여 키 삽입 상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소자(AND)와, 상기 논리소자(AND)에서 출력되는 경보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 릴레이(RLY1)와, 상기 도어 콘택트스위치(140)의 감지 결과에 의한 출력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2 릴레이(RLY2)와, 상기 제 1 릴레이(RLY1)와 제 2 릴레이(RLY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어 점화키의 삽입 상태를 경보하는 경보 램프(151)와, 상기 제 1 릴레이(RLY1)와 제 2 릴레이(RLY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경보음을 송출하여 점화키의 삽입 상태를 경보하는 경보 부저(152)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화키를 점화키 홀더에 삽입한 상태로 운전자가 하차할 경우에 경고 램프가 등화됨과 동시에 경고음이 송출되도록 한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록/언록시에는 점화키가 사용되나 도어 록킹시에는 도어 록 로브 스위치를 이용하면 점화키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능하여진다.
이에, 차량을 운행하다 보면 운전자가 실수로 점화키를 점화키 홀더에서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록 로브 스위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록킹하는 경우가 간헐적으로 발생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에는 이와 같이 점화키를 점화키 홀더에서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를 록킹할 경우에 이를 경보하여 주는 경보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예비 점화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언록하거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언록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점화키를 점화키 홀더에 삽입한 상태로 운전자가 하차할 경우에 경고 램프가 등화됨과 동시에 경고음이 송출되도록 한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석하는 것을 감지하는 이석 감지수단과, 점화키가 점화키 홀더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키 삽입 감지수단과, 이석 감지수단과 키 삽입 감지수단의 감지값을 입력받아 논리 연산을 행하여 키 삽입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연산수단과, 이 논리 연산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점화키의 삽입 상태를 경보하는 경보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이석 감지수단은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에 설치된 복수의 전도돌기와, 탑승자의 착석과 이석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따라 하우징내에서 개구된 방향으로 승강하되 승강 상태에 따라 복수의 전도부재를 도전성있게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승강 전도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석 감지스위치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기능 선택스위치 120 : 이석 감지스위치
121 : 하우징 122 : 탄성부재
123a,b : 전도돌기 124 : 승강 전도부재
130 : 키 콘택트스위치 140 : 도어 콘택트스위치
151 : 경고 램프 152 : 경고 부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조작하여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기능을 선택하는 기능 선택스위치(110)와, 상기 기능 선택스위치(110)의 수조작 상태에 따라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석하는 것을 감지하는 이석 감지스위치(120)와, 점화키가 점화키 홀더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키 콘택트스위치(130)와, 도어의 록/언록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콘택트스위치(140)와, 상기 이석 감지스위치(120)와 키 콘택트스위치(130)의 감지값을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을 행하여 키 삽입 상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소자(AND)와, 상기 논리소자(AND)에서 출력되는 경보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 릴레이(RLY1)와, 상기 도어 콘택트스위치(140)의 감지 결과에 의한 출력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2 릴레이(RLY2)와, 상기 제 1 릴레이(RLY1)와 제 2 릴레이(RLY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어 점화키의 삽입 상태를 경보하는 경보 램프(151)와, 상기 제 1 릴레이(RLY1)와 제 2 릴레이(RLY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아 경보음을 송출하여 점화키의 삽입 상태를 경보하는 경보 부저(152)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이석 감지스위치(120)는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121)과, 상기 하우징(121)내에 설치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122)와, 상기 하우징(121)의 개구된 일측에 설치된 복수의 전도돌기(123a,123b)와, 탑승자의 착석에 따른 하중과 이석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122)의 작용력에 따라 상기 하우징(121)내에서 개구된 방향으로 승강하되 승강 상태에 따라 일체로 형상된 도전체(124a)가 상기 복수의 전도부재(123)를 도전성있게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승강 전도부재(124)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탑승자는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기능을 선택하고자 하면 기능 선택스위치(110)를 수조작하여 "온"상태로 스위칭시킨다.
이때, 탑승자(운전자)가 시트에 착석한 경우에는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이석 감지스위치(120)의 승강 전도부재(124)가 하강되어 복수의 전도돌기(123a,123b)는 상호 분리된 상태이다.
이후,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석하면 탑승자의 하중이 사라지므로 탄성부재(122)의 작용력에 의해 승강 전도부재(124)가 하우징(121)의 개구된 방향으로 상승되어 승강 전도부재(124)와 일체로 형상된 도전체(124a)에 의해 복수의 전도돌기(123a,123b)가 도전성있게 연결된다.
한편, 키 콘택트스위치(130)는 점화키가 점화키 홀더에 삽입되어 있으면 "온"상태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석한 상태이고 점화키가 점화키 홀더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논리소자(AND)의 두 입력단에는 동시에 논리 "하이"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논리소자(AND)는 논리곱 연산을 행하여 키 삽입 경보 신호 즉, 논리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에 의하여 제 1 릴레이(RLY1)가 평시 오픈 상태에서 크로스 상태로 스위칭된다.
또한, 도어 콘택트스위치(140)는 도어의 록/언록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데 록 상태이면 "온"상태로 스위칭되고, 언록 상태이면 "오프"상태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도어 콘택트스위치(140)가 "오프"상태 즉, 도어가 언록 상태이면 제 2 릴레이(RLY2)는 평시 크로스 상태를 유지하여 제 1 릴레이(RLY1)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경보 램프(151)와 경보 부저(152)로 공급한다.
그러면, 경보 램프(151)는 경보 점등됨과 동시에 경보 부저(152)는 경보음을 송출하여 점화키의 삽입 상태를 경보한다.
그러나, 도어 콘택트스위치(140)가 "온"상태 즉, 도어가 록 상태이면 제 2 릴레이(RLY2)는 평시 크로스 상태에서 오픈 상태로 스위칭되어 경보 램프(151)와 경보 부저(152)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따라서, 경보 램프(151)는 경보 점등되지 않음과 아울러 경보 부저(152)는 경보음을 송출하지 않게 되는데 이는 도어가 이미 록킹된 상태이므로 점화키의 삽입 상태를 경보할 필요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정차 상태에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점화키를 점화키 홀더에 삽입한 상태로 운전자가 하차할 경우에 경고 램프가 등화됨과 동시에 경고음이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점화키를 점화키 홀더에서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를 록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탑승자가 시트에서 이석하는 것을 감지하는 이석 감지수단과,
    점화키가 점화키 홀더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키 삽입 감지수단과,
    상기 이석 감지수단과 키 삽입 감지수단의 감지값을 입력받아 논리 연산을 행하여 키 삽입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연산수단과,
    상기 논리 연산수단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점화키의 삽입 상태를 경보하는 경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석 감지수단은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측에 설치된 복수의 전도돌기와,
    탑승자의 착석과 이석에 따른 하중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하우징내에서 개구된 방향으로 승강하되 승강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도부재를 도전성있게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승강 전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 상태 경보장치.
KR2019970034456U 1997-11-28 1997-11-28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상태 경보장치 KR199900209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456U KR19990020968U (ko) 1997-11-28 1997-11-28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상태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456U KR19990020968U (ko) 1997-11-28 1997-11-28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상태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968U true KR19990020968U (ko) 1999-06-25

Family

ID=6969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456U KR19990020968U (ko) 1997-11-28 1997-11-28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상태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96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383B1 (ko) * 2004-12-15 2010-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그니션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383B1 (ko) * 2004-12-15 2010-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그니션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0223A (ja) 電子式バッテリ安全スイッチ
US4652768A (en) Rear door safety lock arrangement
US4914314A (en) Anti-theft device for motor vehicles using an electronic engine control
KR102677784B1 (ko) 전자 도어 잠금 시스템
WO1994001894A1 (en) Security batteries for automotive vehicles
JPH10102859A (ja) 車両のドアロック装置
KR19990020968U (ko) 자동차의 점화키 삽입상태 경보장치
JP2006196251A (ja) インターロック回路
US5585781A (en) Electric current control circuit for switches
JP4526699B2 (ja) 自動車における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970003141Y1 (ko) 자동차용 배터리 방전 경보 회로
JPH08216836A (ja) 車両の表示灯コントローラ及びこれを使用した車両の施錠確認システム
KR100187161B1 (ko) 트럭의 캡 틸팅 안전장치
KR200143799Y1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 표시 장치
KR100190403B1 (ko) 산소센서 및 진동센서의 원리를 응용한 도난경보 시스템
KR100475744B1 (ko) 2점 커넥터 구조의 회로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 또는트렁크 리드의 잠금장치
RU2002644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изации дл автомобил
KR100207913B1 (ko) 자동차 전장시스템의 자동제어장치
KR920004564Y1 (ko) 자동차용 오디오 시스템 도난 경보 장치
KR0164332B1 (ko) 자동차의 연료차단 및 도어록 제어장치
KR200188298Y1 (ko) 차량 이동 방지 장치
KR0177482B1 (ko)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차량도난 방지장치
JP3430538B2 (ja) 盗難防止装置
KR100214939B1 (ko) 해치백 차량 트렁크 오픈 확인 장치
EP1296419A2 (en) Power supply cut system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