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08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084A
KR20010062084A KR1020000072660A KR20000072660A KR20010062084A KR 20010062084 A KR20010062084 A KR 20010062084A KR 1020000072660 A KR1020000072660 A KR 1020000072660A KR 20000072660 A KR20000072660 A KR 20000072660A KR 20010062084 A KR20010062084 A KR 20010062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suspension rod
holding member
load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4673B1 (ko
Inventor
곤도후미따께
후꾸나가다께시
나까니시미노루
아오끼히데아끼
기시모또게이지
요꼬따니가즈노부
가꾸따니가즈시게
요시다시게끼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6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자기 왜곡 소자를 이용한 압력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에, 보다 우수한 부착 구조가 요구되고 있었다. 현수봉(12)과 케이싱(10)의 연결부에 현수봉(12)을 케이싱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24)를 설치한다. 보유 지지 부재(24)에는 현수봉(12)을 거쳐서 세탁 탈수조의 중량이 주어지도록 압력 센서(1)를 설치한다. 보유 지지 부재(24)에는 압력 센서(1)의 외형에 대응한 수용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력 센서(1)는 보유 지지 부재(24)에 고정되어 있다. 이 압력 센서(1)에 대해 현수봉(12)의 선단 압박부(45)가 세탁 탈수조의 하중을 가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 탈수조가 현수봉에 의해 케이싱 내에서 현수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세탁기에 있어서의 센서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자동 세탁기에는 세탁 탈수조 내에 있는 세탁물량에 따른 운전이 가능하도록 세탁 탈수조 내에 있는 세탁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있다. 또한, 전자동 세탁기에는 중량 센서와는 별도로 세탁 탈수조 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중량 센서로서는 예를 들어 세탁 탈수조와 케이싱을 연결하는 현수봉에 설치된 센서가 있다. 이 센서는 현수봉과 케이싱 사이에 개재되어 현수봉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압축 변형하는 코일 스프링과, 이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에 설치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와, 이 코어가 내부를 진퇴 가능하게 되어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에 설치된 코일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중량 센서는 코일 스프링이라 하는 가동 부품이 포함되어 있는 관계상, 경년 변화에 의해 검지 정밀도가 저하하거나, 코일 스프링이 세탁 탈수조의 진동을 증폭시키는 경우가 있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자기 왜곡 소자라 하는 솔리드 소자를 이용한 압력 센서에 의해, 세탁 탈수조 내의 세탁물의 중량이나 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세탁기를 먼저 제안했다(일본 특허 출원 평11-96130호).
자기 왜곡 소자를 이용한 압력 센서를 세탁기의 어느 부위에 설치하고, 어떠한 부착 구조를 채용하는지에 대해서는 보다 우수한 부착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세탁 탈수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중량, 및 세탁 탈수조 내의 물의 중량, 환언하면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개량된 센서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압력 센서의 외관도.
도2는 도1의 A-A에서 절단한 압력 센서의 종단면도.
도3은 압력 센서에 있어서의 외하중의 크기와 코일로부터 취출되는 인덕턴스와의 관계의 일예를 도시한 그래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동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5는 상기 전자동 세탁기의 주요부의 전기 계통 구성도.
도6은 상기 전자동 세탁기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의 (a)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평면도, (b)는 정면측 종단면도, 및 (c)는 측면측 종단면도.
도9는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현수봉의 상단부측의 형상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보유 지지 부재에 압력 센서 및 현수봉이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현수봉 상단부측의 다른 굴곡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13은 보유 지지 부재의 또 다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 종단면도.
도14는 도13에 도시한 보유 지지 부재가 압력 센서 및 현수봉을 보유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해도.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17의 (a)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평면도, (b)는 정면측 종단면도, 및 (c)는 측면측 종단면도.
도18은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현수봉의 상단부측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19는 보유 지지 부재에 압력 센서 및 현수봉이 보유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해도.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21은 도20의 A-A에서 절단한 종단면도.
도22는 도20의 B-B에서 절단한 종단면도.
도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력 센서
2 : 자기 왜곡 소자
3 : 상부 핀
6 : 코일
7 : 요우크
10 : 케이싱
11 : 외조
12 : 현수봉
13 : 내조
23 : 부착편
24 : 보유 지지 부재(방진 스프링 시트)
38 : 상부면
39 : 수용 오목부
40 : 코일용 오목부
41 : 막대용 구멍
42 : 공극
43 : 축선
44 : 선단부
48 : 루프형 절곡부
49 : 상부 변
50 : 돌기
60 : 코일 스프링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 탈수조와, 세탁 탈수조를 둘러싸는 케이싱과, 세탁 탈수조가 케이싱 내에서 현수 상태가 되도록 상단부측이 케이싱에 연결되고, 하단부측이 세탁 탈수조에 연결된 복수의 현수봉과, 각 현수봉과 케이싱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현수봉을 케이싱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유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세탁 탈수조의 중량의 일부가 현수봉을 거쳐서 주어지는 압력 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탁기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의 보유 지지 부재에는 압력 센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해, 압력 센서의 외형에 대응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수용 오목부는 보유 지지 부재의 상부면에 개구하여 형성되고, 상방으로부터 압력 센서의 적어도 하방부를 수용할 수 있고, 압력 센서를 보유 지지 부재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압력 센서는 외력이 가해지는 자기 왜곡 소자와, 자기 왜곡 소자의 주위에 권취되어 자기 왜곡 소자의 자기 특성의 변화를 인덕턴스의 변화로서 검지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현수봉의 상단부측은 현수봉의 선단부에 의해 압력 센서에 중량이 주어지도록, 선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현수봉의 선단부는 현수봉의 축선 상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현수봉의 상단부측에는 압력 센서를 둘러쌀 수 있는 루프형 굴곡부가 구비되고, 루프형 굴곡부의 상부 변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 선단부에 의해 압력 센서에 중력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는 현수봉의 상단부측의 굴곡부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는 세탁 탈수조가 비어 있을 때의 초기 하중이 상기 압력 센서에 주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현수봉을 거쳐서 주어지는 초기 하중을 받아내는 스프링이 압력 센서에 병렬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1의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현수봉의 상단부측 및 압력 센서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즉, 현수봉의 상단부측 및 압력 센서는 모두 하나의 보유 지지 부재라는 공통의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와 현수봉의 상단부측과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현수봉을 거쳐서 세탁 탈수조의 중량을 압력 센서에 양호하게 또한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구성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에 압력 센서의 외형에 대응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압력 센서는 세탁기가 운전 중에 발생하는 진동 등을 받더라도, 보유 지지 부재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압력 센서를 보유 지지 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또, 압력 센서가 상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등에, 필요에 따라서 나사 등으로 고정 상태를 보완해도 좋다. 청구항 2의 구성에서는 비용이 저렴하고, 게다가 조립이 용이하다.
청구항 3의 구성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의 수용 오목부는 상부면측으로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 오목부에 대해 압력 센서를 수용하기 쉽고, 조립이 보다 용이하며, 게다가 압력 센서가 양호하게 중량을 받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기 왜곡 소자와 자기 왜곡 소자의 주위에 권취된 코일로 구성함으로써, 자기 왜곡 소자의 자기 특성의 변화를 코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인덕턴스 변화로서 감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코일이 노출되어 있어도 좋고, 코일의 외형이 압력 센서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압력 센서를 보유 지지 부재의 수용 오목부에 수용함으로써, 코일도 보유 지지 부재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코일을 노출 구조로 한 압력 센서는 압력 센서를 둘러싸는 센서 케이스( 요우크)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청구항 5의 구성에서는 현수봉의 상단부측의 현수봉 선단부는 하방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으므로, 현수봉을 거쳐서 세탁 탈수조의 중량의 일부를 압력 센서에 양호하게 부여할 수 있다.
현수봉 상단부의 굴곡은 현수봉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선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2회 굽힘의 굴곡 형상이라도 좋으며,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축선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방으로 구부러지며, 또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횡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선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4회 굽힘의 굴곡 형상이라도 좋다.
전자의 경우는 하방을 향한 현수봉 선단부가 현수봉의 축선 상에는 없으므로, 보유 지지 부재에 대해 압력 센서의 부착 및 현수봉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청구항 6과 같은 굴곡 형상에서는 현수봉의 축선 상에 압력 센서를 위치시킬 수 있어, 현수봉의 축선 상에서 하방을 향한 현수봉 선단부에 의해 압력 센서에 중량이 가해진다. 그러므로 현수봉에는 중량이 균형좋게 걸리며, 그런 이유로 현수봉을 거쳐서 압력 센서에 양호하게 중량이 부여된다.
현수봉의 상단부측은 청구항 7과 같이, 루프형의 굴곡부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루프형의 굴곡부를 이용하면, 현수봉에 걸리는 하중이 양측으로부터 압력 센서에 전해지므로, 현수봉의 휨 등의 영향이 없으며, 현수봉에 걸리는 중량이 전부 압력 센서에 가해져 압력 센서의 측정 감도가 더욱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과 같이, 보유 지지 부재에 현수봉의 상단부측의 굴곡부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가 현수봉에 걸리는 중량을 받아내는 일이 없으며, 현수봉에 걸리는 중량이 양호하게 압력 센서에 부여된다.
청구항 9의 구성에 따르면, 현수봉을 거쳐서 주어지는 세탁 탈수조의 중량 중, 세탁 탈수조에 물 및 세탁물이 들어가 있지 않은 비어 있을 때의 초기 중량은 압력 센서에는 주어지지 않아 스프링에 의해 받아낼 수 있다. 그리고 세탁 탈수조에 세탁물이 넣어짐으로써, 초기 하중 이상의 하중, 즉 세탁물의 중량이 초기 하중에 더해지므로, 더해진 세탁물의 중량은 스프링으로는 받아낼 수 없어 압력 센서에부여된다. 이와 같이 압력 센서에 병렬적으로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세탁 탈수조가 비어 있을 때의 초기 하중을 스프링에 흡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 압력 센서의 가장 검지 감도가 높은 특성 부분을 세탁물의 중량 검지에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세탁물의 중량 검지가 가능해진다.
즉, 압력 센서에 있어서의 외하중의 크기와 압력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인덕턴스와의 관계는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외하중이 작은 영역일수록 동일 외하중 변화에 대한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크다. 따라서, 압력 센서는 가해지는 하중이 작은 때 일수록 검지 감도가 높다. 그렇기 때문에, 세탁 탈수조가 비어 있을 때의 초기 하중은 압력 센서에 부여하지 않는 쪽이 압력 센서에 의해 세탁물의 중량을 보다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구성에서는 이러한 압력 센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압력 센서에 스프링을 병설하고 있다.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고, 코일 스프링이 압력 센서의 주위를 둘러싸는 바와 같은 배치로 하면 좋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 탈수조와, 세탁 탈수조를 둘러싸는 케이싱과, 세탁 탈수조가 케이싱 내에서 현수 상태가 되도록 상단부측이 케이싱에 연결되고, 하단부측이 세탁 탈수조에 연결된 복수의 현수봉과, 각 현수봉과 케이싱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현수봉을 케이싱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복수의 보유 지지 부재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유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압력을 받는 하중 받침부를 갖는 압력 센서와, 압력 센서가 고정된 보유 지지 부재에 보유 지지되는 현수봉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현수봉에 매달리는 세탁 탈수조의 중량을 압력 센서에 부여하는 하중 부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보유 지지 부재에 의해 현수봉의 상단부측 및 압력 센서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즉, 현수봉의 상단부측 및 압력 센서는 모두 보유 지지 부재라고 하는 공통의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와 현수봉의 상단부측과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현수봉을 거쳐서 세탁 탈수조의 중량을 압력 센서에 양호하게 또한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압력 센서로의 세탁 탈수조의 중량, 즉 하중은 하중 부여 수단에 의해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에 부여된다. 하중 부여 수단은 현수봉의 상단부에 현수봉과 일체적으로, 또는 현수봉과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현수봉에 매달리는 세탁 탈수조의 중량이 하중 받침부에 부여된다.
또, 압력 센서는 복수의 보유 지지 부재의 하나에 설치하면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달성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보유 지지 부재, 예를 들어 보유 지지 부재가 4개이면, 그 대각상의 보유 지지 부재 혹은 4개의 보유 지지 부재 모두에 압력 센서를 설치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라도 좋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는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하중 부여 수단은 하중 받침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압박면과 압박면에 형성된 하중 받침부가 결합 가능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중 받침부가 결합 가능한 오목부에 의해 진동 등으로 하중 부여 수단이 압력 센서에 대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는 구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중 부여 수단과 압력 센서의 위치 관계가 동일 직선형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하중 부여 수단으로부터의 하중을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현수봉의 상단부에 구비된 하중 부여 수단은 현수봉의 축선 상에 있어서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중이 현수봉의 축선 상에 있어서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에 주어지므로, 현수봉에 매달리는 세탁 탈수조의 중량을 정확하게 압력 센서에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하중 부여 수단은 현수봉의 상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압력 센서가 고정되는 보유 지지 부재에는 현수봉 상단부의 굴곡 부분이 현수봉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방지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회전 방지 안내부에 의해 진동 등으로 현수봉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로부터 안정된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압력 센서가 고정되는 보유 지지 부재에는 보유 지지 부재가 케이싱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방지용 갈고리가 설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보유 지지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압력 센서에 접속된 배선이 휘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로부터 안정된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압력 센서가 고정되는 보유 지지 부재는 하중 부여 수단이 끼워 맞추어지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하중 부여 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직선형으로 신장하는 현수봉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한 가늘고 긴 원통형의 다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다리의 길이를 적당한 길이로 설정함으로써, 다리의 내경과 다리에 삽입 관통된 현수봉의 외경과의 치수차에 기인하는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부여 수단이 흔들려 압력 센서에 의한 검출 정밀도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은 하중 부여 수단은 현수봉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현수봉을 똑바로 할 수 있으므로, 방진 스프링 시트 등의 보유 지지 부재를 현수봉의 상단부로부터 통하여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현수봉의 상단부를 굴곡하는 등에 의해, 현수봉의 상단부에 일체적으로 하중 부여 수단을 마련한 경우, 조립이 곤란해지지만 하중 부여 수단을 현수봉과는 별개로 형성하여 연결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박면을 가공할 때 등에, 현수봉을 가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압박 기구를 가공하는 쪽이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은 압박 기구는 현수봉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가 현수봉의 축선으로부터 조금 어긋나 있어도 압박 기구가 회전함으로써,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를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은 압박 기구는 역 U자형을 이루고, 압력 센서의 상방 및 양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압박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압박 기구를 역 U자형으로 함으로써, 현수봉로부터의 하중을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에 양호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발명은 현수봉의 상단부에는 현수봉의 길이 방향에 대략직교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압박 기구의 한쌍의 하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그들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 현수봉과 압박 기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핀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핀에 의해 압박 기구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으므로, 압박 기구의 오목부와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와의 중심조절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발명은 압력 센서가 고정되는 보유 지지 부재에는 압박 기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9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압박 기구가 핀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압박 기구가 압력 센서에 대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1에 기재된 발명은 하중 부여 수단은 현수봉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를 압박하기 위한 판형의 압박판을 포함하고, 압박판은 현수봉의 축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보유 지지 부재에 압력 센서 및 현수봉의 상단부를 조립할 때에, 그 조립 작업이 하기 쉽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 탈수조의 중량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에, 검지 정밀도 좋게 압력 센서를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압력 센서의 검지 정밀도가 향상되어 세탁에 요하는 수량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세탁물의 중량에 따른 세탁 내용을 실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동 세탁기에 이용되는 압력 센서에 대해 설명을 한다. 도1은 압력 센서(1)의 외관도이며, 도2는 도1의 A-A에서 절단한 압력 센서(1)의 종단면도이다. 압력 센서(1)는 원통 형상의 자기 왜곡 소자 또는 초(超)자기 왜곡 소자(2)를 갖는다. 자기 왜곡 소자는 투자율이 작고 저항이 큰 소자로써, 초자기 왜곡은 그 성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하에서는 자기 왜곡 소자(2)라 하기로 한다. 자기 왜곡 소자(2)의 상부에는 원통형의 상부 핀(3)이, 그리고 자기 왜곡 소자(2)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하부 핀(4)이 배치되어 있으며, 자기 왜곡 소자(2)와 그것을 상하에 끼우는 상부 핀(3) 및 하부 핀(4)에 의해 중앙 축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축부에 보빈(5)이 끼워지고, 보빈(5)을 거쳐서 자기 왜곡 소자(2), 상부 핀(3) 및 하부 핀(4)의 축부를 둘러싸도록 코일(6)이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보빈(5)의 바닥부 및 양측부에 연장되는 단면 U자형의 요우크(케이스)(7)가 구비되고, 요우크(7)의 상부는 덮개(8)로 연결되어 있다. 덮개(8)의 중앙에는 상부 핀(3)과 접촉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으로부터 상부 핀(3)의 헤드부가 돌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자기 왜곡 소자(2), 상부 핀(3), 덮개(8), 요우크(7) 및 하부 핀(4)을 도는 자기 루프가 구성되어 있다.
자기 왜곡 소자(2)는 기계적인 압축, 신장, 비틀림 등의 외하중을 받아 변형하면 그 힘의 속도나 크기에 따라서 자기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하중에 의해 투자율이 변화한다. 따라서, 도1 및 도2에 도시한 압력 센서(1)에서는 상부 핀(3)의 헤드부에 외하중이 가해지면, 자기 왜곡 소자(2)에 압력이 가해져 자기 왜곡 소자(2)를 둘러싸는 코일(6)의 자기 인덕턴스가 변화한다.
도3은 압력 센서(1)에 있어서의 외하중의 크기와 코일(6)로부터 취출되는 인덕턴스와의 관계의 일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에 명백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1)는 외하중이 작은 영역일수록 동일 외하중 변화량에 대한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크다. 즉, 검지 감도가 높다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동일한 자기 왜곡 소자(2)이면, 코일(6)의 권취수가 많을수록 인덕턴스는 커지므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특성을 나타내는 곡선의 구배는 급격해진다.
이러한 특성의 압력 센서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자동 세탁기의 중량 센서로서 사용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동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이 세탁기의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외조(11)가 4개(도4에서는 2개만이 보이고 있음)의 현수봉(12)에 의해 현수 지지되어 있으며, 외조(11)의 내부에는 주위벽에 다수의 탈수 구멍을 갖는 내조(13)가 주축(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내조(13)의 바닥부에는 세탁물을 교반하기 위한 펄세이터가 배치되어 있으며, 외조(11)의 하부면에 부착된 모터(16)의 회전 동력은 모터 풀리(17), V 벨트(18), 주풀리(19) 및 동력 절환 기구(20)를 거쳐서 내조(13)와 펄세이터(14)에 전달된다.
현수봉(12)의 하단부측은 외조(11)의 바닥벽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착편(21)을 관통하고, 그 선단부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방진체(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의 상단부는 부착편(21)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외조(11)의 하중이 부착편(21)을 거쳐서 방진체(22)에 가해지면, 코일 스프링이 신축하여 외조(11)의 진동을 흡수한다. 한편, 현수봉(12)의 상단부측은 케이싱(10)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부착편(23)에 결합된 보유 지지 부재인 방진 스프링 시트(2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4개의 현수봉(12) 중 1개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24)에는 현수봉(12)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는 압력 센서(1)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0)의 상부 후방에는 급수 기구로서 그 도중에 급수 밸브(25)가 설치된 수돗물 공급관(26)이 배치되어 있다. 수돗물 공급관(26)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세제 용기 및 유연 마무리제 용기를 구비하는 주수구(27)로부터 내조(13) 내로 주수된다.
도5는 이 세탁기의 주요부의 전기 계통 구성도이다. 보유 지지 부재(24)에 설치된 압력 센서(1)의 코일(6)은 LC 발진기(31)에 접속되고, LC 발진기(31)는 코일(6)의 인덕턴스(L1)와 컨덴서에 의한 공진에 의해 인덕턴스(L1)에 따른 주파수의 발진을 발생하게 하고, 주파수 검출부(32)는 그 발진 주파수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30)에 입력한다. 따라서, 제어부(30)로는 압력 센서(1)의 코일(6)의 인덕턴스에 대응한 주파수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30)는 CPU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조작부(33)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아 모터(16)의 동작, 주수 밸브(25) 및 배수 밸브(34)의 개폐 동작 등을 제어한다.
도6은 이 세탁기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6에 따라서, 세탁의 개시로부터 세탁 운전의 개시까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세탁물을 내조(13)에 투입하여 조작부(33)에 의해 세탁의 개시를 지시하면, 제어부(30)는 우선 부하량의 검지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 즉, 세탁물이 내조(13)에 투입되면, 그 세탁물의 중량만큼만 현수봉(12)에 가해지는 중량이 증가하므로,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이 받는 외하중이 증가한다. 그러면, 인덕턴스(L1)가 변화하고, LC 발진기(31)에서의 발진 주파수가 변화한다. 제어부(30)는 주파수 검출부(32)로부터 그 발진 주파수를 판독하고, 예를 들어 주파수와 부하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부하량을 산출한다. 이러한 테이블은 미리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제어부(3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30)는 검지된 부하량에 따른 세탁 수위나 수류의 세기를 결정하고(스텝 S2), 급수 밸브(25)를 개방하여 외조(11) 내에 급수를 개시한다(스텝 S3). 외조(11) 내에 물이 저장되면, 그 물의 중량에 의해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에 가해지는 외하중은 더욱 증가한다. 제어부(30)는 주파수 검출부(32)로부터 판독한 발진 주파수가 상기 세탁 수위에 상당하는 물의 중량에 대응하는 주파수가 되었다면(스텝 S4에서 예), 급수 밸브(25)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한다(스텝 S5).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수류에 대응한 회전 속도가 되도록 모터(16)를 회전 구동하여 펄스 발생기(14)를 회전시켜 세탁을 개시한다.
이상과 같이, 이 세탁기에서는 압력 센서(1)를 이용하여 부하량의 검지를 행하는 동시에, 수량을 중량으로 환산하여 수위의 검지도 행하고 있으므로, 수위 센서의 탑재는 불필요해진다.
또, 통상 세탁물에 의한 부하량은 최대라 해도 7 내지 8㎏ 정도이지만, 세탁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수량은 수십ℓ가 되므로, 물의 중량은 최대 수십 ㎏이 되어 부하량보다도 훨씬 크고 그 필요 검지 범위도 넓다. 이 물의 중량의 검지 정밀도는 조악해도 좋은데 대해, 부하량의 검지 정밀도는 0.5 내지 1.0㎏ 정도의 높은 것이 요구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1)의 특성은 외하중이 작을수록 검지 감도가 높다. 즉, 부하량 검지시에는 높은 감도를 얻을 수 있고, 수위 검지시에는 검지 감도가 낮아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에 합치하고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1)가 부하량 및 수위의 검지에 적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의 하나인 보유 지지 부재(24)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케이싱(10)의 부착편(23)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보유 지지 부재(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진 스프링 시트를 구성하는 것이며, 본체(35)와 본체(3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본체(35)보다도 가는 원통형의 다리(36)를 갖는다. 부착편(23)에 형성된 결합 구멍(37)에 다리(36)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24)는 부착편(23)에 부착된다.
도8의 (a)는 도7에 도시한 보유 지지 부재(24)의 평면도, (b)는 정면측 종단면도, 및 (c)는 측면측 종단면도이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보유 지지 부재(24)의 본체(35)는 상부면(38)이 편평한 원주형을 이루고 있다. 상부면(38)에는 수용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39)의 평면 형상은 압력 센서(1)(도1, 도2 참조)의 평면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수용 오목부(39)는 압력 센서(1)의 하방부를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해, 압력 센서(1)의 하방부의 외형에 일치한 내부 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1)는 코일(6)이 노출 상태이며, 요우크(7)의 폭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래서, 수용 오목부(39)에는 요우크(7)로부터 돌출한 코일(6)을 수용하기 위한 코일용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 오목부(39)로 하면, 수용 오목부(39)에 압력 센서(1)를 끼워 넣는 것만으로, 압력 센서(1)를 보유 지지 부재(24)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보유 지지 부재(24)에 압력 센서(1)를 설치할 때, 나사나 누름 부재 등이 불필요해 조립성이 좋고, 게다가 간단하게 보유 지지 부재(24)에 압력 센서(1)를 고정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보유 지지 부재(24)에는 수용 오목부(39)에다가, 현수봉(12)의 상단부측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막대용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막대용 구멍(41)은 다리(36)로부터 본체(35)로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이며, 이 구멍(41)은 수용 오목부(39)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24)의 본체(35)에는 현수봉의 상하 이동에 필요한 공극(42)이 형성되어 있다.
도9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보유 지지 부재(24)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현수봉(12)의 상단부측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현수봉(12)의 상단부측은 현수봉(12)의 축선(43)에 대해 우선 우측 횡방향으로 굴곡되고, 또한 상방으로 굴곡되고, 더욱이 좌측 횡방향으로 굴곡된 후, 그 선단부(44)가 축선(43) 상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4회 굴곡된 굴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선단부(44)에는 폭이 넓은 압박부(45)가 구비되어 있다.
도9에 도시한 현수봉(12)이 도7 및 도8에서 도시한 보유 지지 부재(24)에 의해 보유 지지되고, 또한 압력 센서(1)가 보유 지지 부재(24)에 설치된 상태의 도해도를 도10에 도시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봉(12)의 선단부(44)의 압박부(45)가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의 헤드부에 접촉한다. 그리고 현수봉(12)에 외조(11) 및 내조(13)로 구성되는 세탁 탈수조나 그 속에 수용된 세탁물이나 물의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압박부(45)에 의해 상부 핀(3)의 헤드부가 가압된다.
보유 지지 부재(24)의 상술한 공극(42)은 현수봉(12)의 굴곡 형상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1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24)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11의 (a)는 평면도, (b)는 정면측 종단면도, (c)는 측면측 종단면도, (d)는 사시도이다. 도11에 도시한 보유 지지 부재(24)에도 그 상부면(38)에 개구한 수용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오목부(39)의 형상은 평면 형상이 대략 정방형으로 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39)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의 형상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이 보유 지지 부재(24)는 평면 형상이 대략 정방 형상의 압력 센서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다.
도11에 도시한 보유 지지 부재(24)에서는 본체(35)의 좌우 양측에 공극(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굴곡 형상의 현수봉(12)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도12에 도시한 현수봉(12)은 그 상단부측에 압력 센서(1)를 둘러쌀 수 있는 루프형 굴곡부(48)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루프형 굴곡부(48)의 상부 변(49)의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50)의 하단부에 압박부(45)가 구비되어 있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루프형 굴곡부(48)를 갖는 현수봉(12)을 이용하면, 현수봉(12)에 가해지는 하중이 양측으로부터 압력 센서(1)에 가해지므로, 현수봉(12)의 휨 등의 영향이 없으며 현수봉(12)에 가해지는 하중이 전부 압력 센서(1)에 가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루프형 굴곡부(48)는 금속 선재를 굴곡시켜 형성해도 좋고, 다이캐스트 등으로 형성한 것을 현수봉(12)의 상단부에 용접해도 좋다.
도13은 보유 지지 부재(24)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 종단면도이다. 도13에 도시한 보유 지지 부재에도 그 상부면(38)에 수용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지만, 수용 오목부(39)는 보유 지지 부재(24)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현수봉(12)이 삽입 관통되는 막대용 구멍(41)에 인접하여 수용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유 지지 부재(24)에 따르면, 도14에 도시한 상태에서 압력 센서(1) 및 현수봉(12)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현수봉(12)의 상단부는 축선(43)에 대해 횡방향으로 절곡되어지고, 또한 하방으로 절곡되어 그 선단부(44)에 압박부(45)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보유 지지 부재(24)에 압력 센서(1) 및 현수봉(12)의 상단부를 조립할 때에, 그 조립 작업이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현수봉 상단부측의 굴곡도 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부착 구조의 도해적인 단면도이다. 도15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압력 센서, 3은 압력 센서(1)의 상부 핀, 12는 현수봉, 24는 보유 지지 부재, 39는 보유 지지 부재(24)에 형성된 압력 센서(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 42는 보유 지지 부재(24)에 형성된 공극이며, 이들은 도10에 도시한 센서 보유 지지 구조의 구성과 같은 것이다.
이 실시 형태의 특징은 보유 지지 부재(24)에 압력 센서(1)와 병렬적으로 코일 스프링(6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오목부(39)에 압력 센서(1)의 하방부가 수용되어 있다. 압력 센서(1)의 외경과 수용 오목부(39)의 내경은 대응하게 되어 있고, 압력 센서(1)는 수용 오목부(39)에 수용됨으로써 고정 보유 지지된다. 코일 스프링(60)은 수용 오목부(39)에 수용되어 고정 보유 지지된 압력 센서(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보유 지지 부재(24)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현수봉(12)의 선단부(44)에는 도10의 실시예보다도 면적이 넓은 압박부(61)가 부착되어 있다. 압박부(61)는 코일 스프링(60)의 상부에 결합하고 있다. 현수봉(12)에 세탁 탈수조 등의 하중에 의해 하부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그 선단부(44)는 압박부(61)를 하방으로 밀어 내리므로, 압박부(61)에 의해 코일 스프링(60)이 수축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압박부(61)가 코일 스프링(60)을 수축하여 압박부(61)의 하부면(62)이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에 접촉한 때의 현수봉(12)에 가해지고 있는 하중이 세탁 탈수조에 물 및 세탁물이 들어가지 않은 비어 있는 상태의 하중이 되도록 코일 스프링(60)의 스프링력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세탁 탈수조의 초기 하중[이 초기 하중은 외조(11), 내조(13), 펄세이터(14), 모터(16), 동력 절환 기구(20) 등의 중량 중 1개의 현수봉(12)이 부담하는 하중임.]은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받아내어져 흡수되고, 이 초기 하중은 압력 센서(1)에는 부여되지 않는다. 그러나 초기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 압박부(61)의 하부면(62)이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이 상태로부터 추가되는 하중은 압력 센서(1)에 부여되게 된다.
압력 센서(1)에 가해지는 외하중의 크기와 압력 센서(1)의 코일로부터 취출되는 인덕턴스와의 관계는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하중이 작은 영역일수록 동일 외하중 변화에 대한 인덕턴스의 변화량이 크다. 도15의 구성에 따르면, 세탁 탈수조의 초기 하중을 코일 스프링(60)에 의해 받아내어 흡수하여, 압력 센서(1)에는 세탁 탈수조의 초기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세탁 탈수조에 세탁물이 투입된 때, 그 세탁물의 중량이 압력 센서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중량 검지 정밀도가 보다 향상된다.
도15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같이, 압력 센서(1)에 코일 스프링(60)을 병설하는 구성은 도11 및 도12를 조합한 바와 같은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또한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24)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케이싱(10)의 부착편(23)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보유 지지 부재(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진 스프링 시트를 구성하는 것이며, 본체(35)와 본체(3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본체(35)보다도 가는 원통형의 다리(36)를 갖는다. 부착편(23)에는 보유 지지 부재(24)의 다리(36)를 끼워 넣기 위한 결합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35)의 하부면에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의 회전 방지용 갈고리(46)가 하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도17의 (b) 참조]. 부착편(23)의 회전 방지용 갈고리(4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결합 구멍(37)을 측변(47) 측으로 개방하는 결합 홈(5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방지용 갈고리(46)와 결합 홈(51)을 결합시킴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24)가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로써, 압력 센서(1)에 접속된 배선이 휘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압력 센서(1)로부터 안정된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회전 방지용 갈고리(46)가 결합 홈(51)에 결합하도록 결합 구멍(37)에 다리(36)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보유 지지 부재(24)는 부착편(23)에 부착된다.
도17의 (a)는 도16에 도시한 보유 지지 부재(24)의 평면도, (b)는 정면측 종단면도, 및 (c)는 측면측 종단면도이다. 도16 및 도17을 참조하면, 보유 지지 부재(24)의 본체(35)는 상부면(38)이 편평한 원주형을 이루고 있다. 상부면(38)에는 수용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39)의 평면 형상은 압력 센서(1)(도1, 도2 참조)의 평면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수용 오목부(39)는 압력 센서(1)의 하방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므로, 압력 센서(1)의 하방부의 외형에 일치한 내부 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1)는 코일(6)이 노출 상태이며, 요우크(7)의 폭보다도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그래서, 수용 오목부(39)에는 요우크(7)로부터 돌출한 코일(6)을 수용하기 위한 코일용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 오목부(39)로 하면, 수용 오목부(39)에 코일(1)을 끼워 넣는 것만으로, 코일(1)을 보유 지지 부재(24)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보유 지지 부재(24)에 코일(1)을 설치할 때에, 나사나 누름 부재 등이 불필요해 조립성이 좋고, 게다가 간단하게 보유 지지 부재(24)에 압력 센서(1)를 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보유 지지 부재(24)에는 수용 오목부(39)에 더하여, 현수봉(12)의 상단부측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막대용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막대용 구멍(41)은 다리(36)로부터 본체(35)로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이며, 이 구멍(41)은 수용 오목부(39)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보유 지지 부재(24)의 본체(35)에는 현수봉의 상하 이동에 필요한 공극(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극에 의해, 현수봉(12)의 굴곡 형상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19 참조).
공극(42)은 막대용 구멍(41)의 상단부 근방을 반경 방향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35)의 외주면으로부터는 공극(42)의 개구(52)를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한쌍의 회전 방지 안내부(53)가 돌출하고 있다(도16, 도17 참조). 이들 회전 방지 안내부(53)에 의해, 진동 등으로 현수봉(12)의 상단부 근방의 굴곡 부분이 현수봉(12)의 중심축(43)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1)로부터 안정된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18은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보유 지지 부재(24)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현수봉(12)의 상단부측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현수봉(12)의 상단부측은 현수봉(12)의 축선(43)에 대해 우선 우측 횡방향으로 굴곡되고, 또한 상방으로 굴곡되고, 더욱이 좌측 횡방향으로 굴곡된 후, 그 선단부(44)가 축선(43) 상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4회 굴곡된 굴곡 형상부(72)로 되어 있다. 이 굴곡 형상부(72)는 하중 부여 수단을 이루고 있으며, 현수봉(12)의 축선(42) 상에 있어서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에 하중을 부여한다.
선단부(44)에는 폭이 넓은 압박부(45)가 구비되어 있다. 압박부(45)의 하부면은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의 헤드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압박면을 이루고 있고, 하부면의 대략 중앙에는 상부 핀(3)이 결합 가능한 구면 형상의 오목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54)에 의해, 진동 등으로 압박부(45)가 압력 센서(1)에 대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54)가 구면 형상이므로, 압박부(45)와 압력 센서(1)의 위치 관계가 동일 직선형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압박부(45)로부터의 하중을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도18에 도시한 현수봉(12)이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보유 지지 부재(24)로 보유 지지되고, 또한 압력 센서(1)가 보유 지지 부재(24)에 설치된 상태의 도해도를 도19에 도시한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봉(12)의 선단부(44)의 압박부(45)에 형성된 오목부(54)가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의 헤드부에 결합한다. 그리고 현수봉(12)에 외조(11) 및 내조(13)로 구성되는 세탁 탈수조나 그 속에 수용된 세탁물이나 물의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압박부(45)에 의해 상부 핀(3)의 헤드부가 가압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 부재(24)의 다리(36)의 길이는 본체(35)의 두께의 3배 정도로 되어 있다. 이로써, 막대용 구멍(41)의 직경과 막대용 구멍(41)에 삽입 관통된 현수봉(12)의 외경과의 치수차에 기인하는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압박부(45)가 흔들려 압력 센서(1)에 의한 검출 정밀도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24)에 의해 현수봉(12)이 보유 지지되고, 또한 압력 센서(1)가 보유 지지 부재(24)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0의 (a)는 평면도, 도20의 (b)는 측면도이다. 또, 도21은 도20의 A-A에서 절단한 종단면도이며, 도22는 도20의 B-B에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의 헤드부는 현수봉(12)의 상단부에 연결된 압박 기구(55)에 의해 압박된다. 압박 기구(55)는 대략 역 U자형으로써, 상부판(56)과 상부판(56)의 대향하는 2측 변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한쌍의 다리판(57)을 가지고 있다. 압박 기구(55)를 역 U자형으로 함으로써, 압박 기구(55)로부터의 하중을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압박 기구(55)는 압력 센서(1)의 상방 및 양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압박 기구(55)의 상부판(56)의 하부면은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의 헤드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압박면을 이루고 있고, 하부면의 대략 중앙에는 상부 핀(3)이 결합 가능한 구면 형상의 오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 기구(55)에 오목부(58)를 형성하는 경우, 현수봉(12)에 오목부(54)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현수봉(12)은 상단부측에 굴곡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다. 통상, 보유 지지 부재(24)와 현수봉(12)의 조립은 보유 지지 부재(24)를 현수봉(12)에 통과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따라서, 현수봉(12)에 굴곡 부분이 존재하면, 보유 지지 부재(24)를 현수봉에 통과시킬 수가 없어 현수봉(12)을 굴곡 부분과 직선 부분으로 분할해야만 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굴곡 부분을 지니지 않은 현수봉(12)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현수봉(12)의 상단부에는 현수봉(12)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관통 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압박 기구(55)의 한쌍의 다리판(57)의 하단부 근방에는 관통 구멍(59)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59, 63)에 막대 형상의 핀(64)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현수봉(12)과 압박 기구(55)가 연결된다. 핀(64)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핀(64)에 의해 압박 기구(55)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으므로, 압박 기구(55)의 오목부(58)와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과의 중심 조절을 행할 수 있다. 단, 압박 기구(55)는 핀(64)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현수봉(12)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보유 지지 부재(24)의 본체(35)의 상부면(38)으로부터는 압박 기구(55)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한쌍의 안내부(65)가 상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이들 안내부(65)에는 압박 기구(55)의 한쌍의 다리판(57)이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지고, 압박 기구(5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안내부(65)에 의해 압박 기구(55)가 핀(64)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압박 기구(55)가 압력센서(1)에 대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력 센서(1)는 한쌍의 나사(66)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24)에 고정되어 있다. 압력 센서(1)의 요우크(7)의 하부판에는 그 대향하는 한쌍의 긴 변으로부터 돌출하는 각각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부착편(67)이 설치되어 있다. 부착편(67)에는 각각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66)를 본체(35)에 체결 부착함으로써, 압력 센서(1)가 보유 지지 부재(24)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본체(35)의 하부면에는 상술한 회전 방지용 갈고리(46)가 하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도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보유 지지 부재(24)에 의해 현수봉(12)이 보유 지지되고, 또한 압력 센서(1)가 보유 지지 부재(24)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현수봉(12)의 상단부에는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의 헤드부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판(68)이 연결되어 있다. 압박판(68)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금속판(69)을 거쳐서 상부 핀(3)의 헤드부를 압박한다. 압박판(68) 및 금속판(69)에는 각각 현수봉(12)의 상단부측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막대용 구멍(70, 71)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에는, 우선 본체(35) 및 다리(36)를 현수봉(12)의 상단부로부터 통과시킨 후, 금속판(69) 및 압박판(68)을 이 순서로 현수봉(12)의 상단부로부터 통과시키고, 현수봉(12)의 상단부의 관통 구멍(5b)에 핀(64)을 삽입 관통한다. 압력 센서(1)는 본체(35)의 상부면과 금속판(69)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된다.금속판(69)의 상부 핀(3)의 헤드부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부 핀(3)이 결합 가능한 구면 형상의 오목부(54)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35)의 하부면에는 상술한 회전 방지용 갈고리(46)가 하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실시 형태와 달리, 압력 센서(1)의 상부 핀(3)이 축선(43)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보유 지지 부재(24)에 압력 센서(1) 및 현수봉(12)의 상단부를 조립할 때에, 그 조립 작업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 탈수조의 중량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부착하는 경우에, 검지 정밀도 좋게 압력 센서를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압력 센서의 검지 정밀도가 향상되어 세탁에 요하는 수량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세탁물의 중량에 따른 세탁 내용을 실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세탁 탈수조와,
    세탁 탈수조를 둘러싸는 케이싱과,
    세탁 탈수조가 케이싱 내에서 현수 상태가 되도록 상단부측이 케이싱에 연결되고, 하단부측이 세탁 탈수조에 연결된 복수의 현수봉과,
    각 현수봉과 케이싱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현수봉을 케이싱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유 지지 부재에 설치되고, 세탁 탈수조의 중량의 일부가 현수봉을 거쳐서 부여되는 압력 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보유 지지 부재에는 압력 센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해, 압력 센서의 외형에 대응한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는 보유 지지 부재의 상부면에 개구하여 형성되고, 상방으로부터 압력 센서의 적어도 하방부를 수용할 수 있어 압력 센서를 보유 지지 부재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외력이 가해지는 자기 왜곡 소자와 자기왜곡 소자의 주위에 권취되어 자기 왜곡 소자의 자기 특성의 변화를 인덕턴스의 변화로서 검지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봉의 상단부측은 현수봉의 선단부에 의해 압력 센서에 중량이 부여되도록 선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봉의 선단부는 현수봉의 축선 상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봉의 상단부측에는 압력 센서를 둘러쌀 수 있는 루프형 굴곡부가 구비되고, 루프형 굴곡부의 상부 변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 선단부로 압력 센서에 중력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는 현수봉의 상단부측의 굴곡부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는 세탁 탈수조가 비어 있을 때의 초기 하중이 상기 압력 센서에 부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현수봉을 거쳐서 부여되는 초기 하중을 받아내는 스프링이 압력 센서에 병렬적으로 설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세탁 탈수조와,
    세탁 탈수조를 둘러싸는 케이싱과,
    세탁 탈수조가 케이싱 내에서 현수 상태가 되도록 상단부측이 케이싱에 연결되고, 하단부측이 세탁 탈수조에 연결된 복수의 현수봉과,
    각 현수봉과 케이싱의 연결부에 구비되고, 현수봉을 케이싱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복수의 보유 지지 부재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유 지지 부재에 고정되고, 압력을 받은 하중 받침부를 갖는 압력 센서와,
    압력 센서가 고정된 보유 지지 부재에 보유 지지되는 현수봉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현수봉에 매달리는 세탁 탈수조의 중량을 압력 센서에 부여하는 하중 부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는 상방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하중 부여 수단은 하중 받침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압박면과, 압박면에 형성된 하중 받침부가 결합 가능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현수봉의 상단부에 구비된 하중 부여 수단은 현수봉의 축선 상에 있어서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10항에 있어서, 하중 부여 수단은 현수봉의 상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압력 센서가 고정되는 보유 지지 부재에는 현수봉 상단부의 굴곡 부분이 현수봉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방지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가 고정되는 보유 지지 부재에는 보유 지지 부재가 케이싱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방지용 갈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가 고정되는 보유 지지 부재는 하중 부여 수단이 끼워 맞추어지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하중 부여 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직선형으로 신장하는 현수봉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한 가늘고 긴 원통형의 다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10항에 있어서, 하중 부여 수단은 현수봉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압박 기구는 현수봉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압박 기구는 역 U자형을 이루고, 압력 센서의 상방 및 양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압박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16항에 있어서, 현수봉의 상단부에는 현수봉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압박 기구의 한쌍의 하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 현수봉과 압박 기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가 고정되는 보유 지지 부재에는 압박 기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10항에 있어서, 하중 부여 수단은 현수봉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를 압박하기 위한 판형의 압박판을 포함하고,
    압박판은 현수봉의 축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압력 센서의 하중 받침부에 하중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00072660A 1999-12-03 2000-12-02 세탁기 KR100724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529199A JP3416599B2 (ja) 1999-12-03 1999-12-03 洗濯機のセンサ取り付け構造
JP99-345291 1999-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084A true KR20010062084A (ko) 2001-07-07
KR100724673B1 KR100724673B1 (ko) 2007-06-28

Family

ID=1837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660A KR100724673B1 (ko) 1999-12-03 2000-12-02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16599B2 (ko)
KR (1) KR100724673B1 (ko)
CN (1) CN1215216C (ko)
TW (1) TW47852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578B1 (ko) * 2002-11-28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전도도 센서
ATE548494T1 (de) * 2006-04-13 2012-03-1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Maschine zum waschen und/oder trocknen von wäsche
WO2015039390A1 (zh) * 2013-09-23 2015-03-2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CN104846584B (zh) * 2015-04-29 2017-12-2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脱水控制方法
CN110607652A (zh) * 2018-06-15 2019-12-2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吊装组件和具有其的波轮洗衣机
WO2020200875A1 (en) 2019-04-03 2020-10-08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hous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086U (ja) * 1991-09-18 1993-04-06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3561074B2 (ja) * 1996-03-27 2004-09-02 京セラ株式会社 フェライト焼結体及びこれを用いた圧力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673B1 (ko) 2007-06-28
JP2001162084A (ja) 2001-06-19
CN1298977A (zh) 2001-06-13
CN1215216C (zh) 2005-08-17
TW478529U (en) 2002-03-01
JP3416599B2 (ja) 200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673B1 (ko) 세탁기
KR100564442B1 (ko) 탑로딩방식 드럼 세탁기
EP1036875B1 (en) Sensor for detecting both water level and vibration in washing machine
US8516893B2 (en) Modified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operating parameters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featuring a relatively movable component
US9816217B2 (en) Damper with displacement sensor for laundry appliance
JP2002119790A (ja) 洗濯機
JP5061304B2 (ja) 水位検出装置
EP1458921B1 (en) Washing machine
US6089053A (en)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anchoring means for the washing assembly
JP2000288289A (ja) 洗濯機、及び回転容器を備える装置
KR20090069579A (ko) 스프링 압축시험용 치구
KR0162194B1 (ko) 전자동 세탁기의 하부 부착형 멀티센서
JP2002148127A (ja) 磁歪素子を含む重量センサおよびその重量センサを有する洗濯機
KR101171882B1 (ko) 물 이용 기기용 수위감지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회로기판 조립체
KR100513502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다기능 감지장치
KR100338262B1 (ko) 수위/진동 감지 시스템
JP3611531B2 (ja) 振動検出装置
KR910000845Y1 (ko) 전자동 세탁기의 마그네트 고정장치
RU2078860C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бора платин, управляющих работой вязальных игл н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гладковязальной машине
KR100535678B1 (ko) 세탁기의 진동감지방법
KR200157230Y1 (ko) 세탁기의 상부판 결합장치
KR200293894Y1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센서
JP2003038890A (ja) 洗濯機
KR20180135735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수위진동센서
KR940007526Y1 (ko) 와(渦)전류형 지시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