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28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283A
KR20210142283A KR1020200058922A KR20200058922A KR20210142283A KR 20210142283 A KR20210142283 A KR 20210142283A KR 1020200058922 A KR1020200058922 A KR 1020200058922A KR 20200058922 A KR20200058922 A KR 20200058922A KR 20210142283 A KR20210142283 A KR 20210142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haft
pulley
washing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남
엄영진
김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2283A/ko
Priority to PCT/KR2021/005781 priority patent/WO2021235754A1/ko
Publication of KR2021014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283A/ko
Priority to US18/056,865 priority patent/US2023008049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는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부에 세탁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탈수축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세탁축 및 탈수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클러치,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풀리와,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제2풀리를 포함하는 풀리, 상기 제2풀리에 결합되고,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네트를 센싱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SA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구동모터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마그네트의 위치가 개선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크게 드럼세탁기와 전자동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동 세탁기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수조와, 수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회전조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 및 탈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양 방향 고정구조를 갖는 교류 전원 모터(AC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교류 전원 모터의 경우 속도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속도조절기를 추가로 조립하여야 하지만, 구형 모델이나 저가 모델에는 해당 사양을 적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교류 전원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세탁 및 탈수 간 RPM감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마그네트가 고정된 브라켓이 클러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풀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마그네트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클러치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부에 세탁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탈수축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세탁축 및 탈수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클러치,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풀리와,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제2풀리를 포함하는 풀리, 상기 제2풀리에 결합되고,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네트를 센싱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링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풀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와, 상기 브라켓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단변과 장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단변이 상기 브라켓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2풀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홀을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2풀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센서가 고정되는 센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고정부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의 거리는 2 ~ 4㎜일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탈수축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스프링 클러치와,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양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도록 하는 슬리브 클러치와, 상기 슬리브 클러치를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 클러치와, 드레인 모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슬리브 클러치가 양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레버 클러치를 회전시키는 브레이크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상기 스프링 클러치 내부의 하단에 수용되고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는 클러치 보스와, 상기 클러치 보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프링 클러치 내부의 상단에 수용되고 상기 탈수축과 연결되는 케이스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클러치는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외주면 하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하단부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클러치 보스에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1슬리브 클러치와,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외주면 상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상단부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케이스 기어에 연결되거나 연결에 해제되도록 하는 제2슬리브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상기 레버 클러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리브 클러치를 회전시키는 제1암 클러치와, 상기 레버 클러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슬리브 클러치를 회전시키는 제2암 클러치를 포함하는 암 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클러치는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외주면 하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하단부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클러치 보스에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상단부는 내경이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케이스 기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상기 레버 클러치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 클러치를 회전시키는 암 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부에 세탁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탈수축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세탁축 및 탈수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클러치,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풀리와,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제2풀리를 포함하는 풀리, 링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풀리 상부에 결합되고, 테두리에 복수의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2풀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센서가 고정되는 센서 고정부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풀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와, 상기 브라켓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각각은 단변과 장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단변이 상기 브라켓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고정부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의 거리는 2 ~ 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효율적으로 감지하여 세탁 및 탈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축 및 탈수축이 관통되는 클러치의 하부에 제2풀리가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클러치가 스프링 클러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러치의 하부 끝단이 제1슬리브 클러치에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러치의 상부 끝단이 제2슬리브 클러치에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클러치와 브레이크 레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클러치가 슬리브 클러치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풀리 상부에 마그네트가 고정된 브라켓이 결합되고, 하우징에 센서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풀리 상부에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제2풀리에 후크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제2풀리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클러치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세탁모드일 때 레버 클러치에 의해 슬리브 클러치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상태일 때 스프링 클러치의 내경이 확대되어 스프링 클러치가 클러치 보스 및 케이스 기어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탈수모드일 때 레버 클러치에 의해 슬리브 클러치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의 상태일 때 스프링 클러치의 내경이 축소되어 스프링 클러치가 클러치 보스 및 케이스 기어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축 및 탈수축이 관통되는 클러치의 하부에 제2풀리가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풀리 상부에 마그네트가 고정된 브라켓이 결합되고, 하우징에 센서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세탁모드일 때 레버 클러치에 의해 슬리브 클러치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상태일 때 스프링 클러치의 내경이 확대되어 스프링 클러치가 클러치 보스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탈수모드일 때 레버 클러치에 의해 슬리브 클러치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도 24의 상태일 때 스프링 클러치의 내경이 축소되어 스프링 클러치가 클러치 보스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클러치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과 풀리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31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가 회전방지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의 제1회전레버가 일정각도만큼 추가적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탈수모드를 수행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세탁모드를 수행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마련되는 수조(20)와, 수조(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회전조(30)와, 회전조(30) 내부에 세탁축(70)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펄세이터(40)와, 회전조(30)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조(30)와 펄세이터(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와, 구동모터(50)와 세탁축(70)을 연결하는 풀리(60)와, 회전조(30)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동모터(50)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선택적으로 회전조(30)에 전달되도록 하는 클러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세탁물 투입구(1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5)가 마련될 수 있다.
수조(20)는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조(20)는 현가장치(21)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되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 시 또는 탈수 시 캐비닛(10) 또는 수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감쇠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조(30)는 내부가 빈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조(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조(30)의 측면에는 회전조(30)의 내부와 외부로 세탁수가 통과하도록 다수의 통공(31)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조(30)의 하부에는 탈수축(80)과 연결되어 구동모터(50)의 회전력을 회전조(30)로 전달하는 플랜지 샤프트(33)가 결합될 수 있다.
펄세이터(40)는 회전조(30) 내부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조(30)내부로 유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펄세이터(40)는 세탁축(70)에 의해 구동모터(5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50)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세탁축(70)으로 전달되어 세탁축(70)이 회전되면 펄세이터(40)는 세탁축(7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조(30)는 플랜지 샤프트(33)가 탈수축(80)에 의해 구동모터(5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50)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탈수축(80)으로 전달되어 탈수축(80)이 회전되면 탈수축(8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풀리(60)는 구동모터(50)와 세탁축(70)을 연결하여 구동모터(50)에 의해 세탁축(7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풀리(60)는 구동모터(50)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풀리(61)와, 세탁축(70)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풀리(63)와, 제1풀리(61)와 제2풀리(63)를 연결하는 벨트(6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50)가 구동되어 제1풀리(61)가 회전되면, 벨트(65)에 의해 제2풀리(63)가 회전되어 세탁축(70)이 회전될 수 있다.
클러치(100)는 회전조(30)의 하부에 마련되며, 구동모터(50)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선택적으로 탈수축(80)을 통해 회전조(3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축 및 탈수축이 관통되는 클러치의 하부에 제2풀리가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클러치가 스프링 클러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러치의 하부 끝단이 제1슬리브 클러치에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클러치의 상부 끝단이 제2슬리브 클러치에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클러치와 브레이크 레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 클러치가 슬리브 클러치에 접촉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100)는 세탁축(70) 및 탈수축(8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하우징(110)과,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탈수축(80)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스프링 클러치(120)와, 스프링 클러치(1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양 방향으로 회전되며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도록 하는 슬리브 클러치(130)와, 슬리브 클러치(130)를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 클러치(140)와, 드레인 모터(150)에 의해 작동되어 레버 클러치(140)를 회전시키는 브레이크 레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하우징(110)은 수조(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수조(2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세탁축(70) 및 탈수축(80)은 하우징(110)의 중앙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120)는 슬리브 클러치(1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120)의 하부와 상부 양 끝단은 슬리브 클러치(13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120)의 양 끝단이 슬리브 클러치(130)에 연결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슬리브 클러치(1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경은 축소되거나 확대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스프링 클러치(120)의 하부 끝단인 제1끝단(121)은 제1슬리브 클러치(1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슬리브 클러치(131)는 스프링 클러치(120)의 제1끝단(121)이 연결되는 제1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링 클러치(120)의 상부 끝단인 제2끝단(123)은 제2슬리브 클러치(135)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슬리브 클러치(135)는 스프링 클러치(120)의 제2끝단(123)이 연결되는 제2연결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슬리브 클러치(131) 및 제2슬리브 클러치(13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프링 클러치(120)는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부에는 클러치 보스(170)와 케이스 기어(18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클러치 보스(170)는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부에서 하단에 수용될 수 있다. 클러치 보스(170)는 세탁축(7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0)가 구동되어 세탁축(70)이 회전되면 세탁축(70)과 함께 클러치 보스(170)가 회전될 수 있다.
케이스 기어(180)의 하부 일부는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부에서 상단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부에서 케이스 기어(180)의 하부는 클러치 보스(17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 기어(180)는 탈수축(80)과 연결될 수 있다.
슬리브 클러치(130)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경이 확대되면, 스프링 클러치(120)는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클러치 보스(170) 및 케이스 기어(180)와 분리되어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120)가 클러치 보스(170) 및 케이스 기어(180)와 분리되면 클러치 보스(170)와 케이스 기어(180)는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0)에 의해 세탁축(70)이 회전될 때, 클러치 보스(170)는 회전되지만 케이스 기어(180)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축(70)만 회전되고 케이스 기어(180)와 연결된 탈수축(80)은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세탁기는 세탁축(70)에 의해 펄세이터(40)만 회전되는 세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도 1 참조)
슬리브 클러치(130)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경이 축소되면, 스프링 클러치(120)는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클러치 보스(170) 및 케이스 기어(180)와 접촉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120)가 클러치 보스(170) 및 케이스 기어(180)와 접촉되면 클러치 보스(170)와 케이스 기어(180)는 스프링 클러치(1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0)에 의해 세탁축(70)이 회전될 때, 세탁축(70)과 함께 회전되는 클러치 보스(170)에 의해 케이스 기어(180)가 회전될 수 있다. 케이스 기어(180)가 회전되면, 케이스 기어(180)와 연결된 탈수축(80)이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축(70)과 함께 탈수축(80)이 회전되기 때문에, 세탁기는 펄세이터(40)와 회전조(30)가 동시에 회전되는 탈수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슬리브 클러치(130)는 스프링 클러치(120)의 외주면 하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1슬리브 클러치(131)와, 스프링 클러치(120)의 외주면 상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2슬리브 클러치(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리브 클러치(131)는 스프링 클러치(120)의 하부 끝단인 제1끝단(121)이 연결되는 제1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슬리브 클러치(135)는 스프링 클러치(120)의 상부 끝단인 제2끝단(123)이 연결되는 제2연결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클러치(130)가 스프링 클러치(120)의 외주면 하단부를 감싸는 제1슬리브 클러치(131)와, 스프링 클러치(120)의 외주면 상단부를 감싸는 제2슬리브 클러치(135)로 구성되어 스프링 클러치(120)의 하단부는 클러치 보스(170)와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고, 스프링 클러치(120)의 상단부는 케이스 기어(180)와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의 용량이 큰 경우에도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레버 클러치(140)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레버 클러치(140)는 브레이크 레버(160)에 연결될 수 있다. 레버 클러치(140)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41)과, 회전축(141)에 마련되는 레버 스프링(143)을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160)는 회전축(141)에 연결될 수 있다. 레버 클러치(140)는 브레이크 레버(160)에 의해 회전되며 슬리브 클러치(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 클러치(140)에는 슬리브 클러치(130)와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면서 슬리브 클러치(130)를 회전시키는 암 클러치(190)가 결합될 수 있다. 암 클러치(190)는 제1슬리브 클러치(131)와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는 제1암 클러치(191)와, 제2슬리브 클러치(135)와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는 제2암 클러치(19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160)는 드레인 모터(15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드레인 모터(150)가 구동되면 브레이크 레버(160)에 의해 레버 클러치(140)는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드레인 모터(150)가 정지되면 레버 클러치(140)는 레버 스프링(143)에 의해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풀리 상부에 마그네트가 고정된 브라켓이 결합되고, 하우징에 센서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풀리 상부에 브라켓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제2풀리에 후크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제2풀리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풀리(63)의 상부에는 브라켓(4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400)은 링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400)은 제2풀리(6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410)와, 브라켓(40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마그네트(500)가 고정되는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5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500)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3개로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500)가 3개 일 때 구동모터(5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최저 제어 rpm인 25rpm을 기준으로 측정시간이 짧을 수 있다. 마그네트(500)는 단변과 장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500)는 마그네트 고정부(420)에 고정될 때, 단변이 브라켓(400)의 중심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그네트(500)의 오조립으로 인한 인식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마그네트(500)는 N극과 S극을 갖는데, N극이 단변에 위치하도록 하고 S극이 장변에 위치하도록 하면 모든 마그네트(500)의 N극이 브라켓(400)의 중심을 향하도록 일치시킬 수 있다. 마그네트 고정부(420)는 마그네트(500)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400)에 형성된 복수의 후크(4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2풀리(63)에는 복수의 결합홀(64)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400)은 제2풀리(63)의 상부에서 복수의 후크(410)가 복수의 결합홀(64)을 관통하도록 하여 제2풀리(63)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후크(410)는 복수의 결합홀(64)을 관통한 후 복수의 결합홀(64)에 결합됨으로써 브라켓(400)이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도 16참조)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클러치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600)는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홀(611)을 포함하는 결합부(610)와, 결합부(610)로부터 제2풀리(63)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마그네트(500)를 감지하는 센서(620)가 고정되는 센서 고정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20)는 브라켓(4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센서 고정부(630)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센서(620)와 마그네트(500) 사이의 거리(D)는 2 ~ 4㎜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센서부(600)가 결합되는 센서부 결합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도 ? 참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세탁모드일 때 레버 클러치에 의해 슬리브 클러치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상태일 때 스프링 클러치의 내경이 확대되어 스프링 클러치가 클러치 보스 및 케이스 기어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탈수모드일 때 레버 클러치에 의해 슬리브 클러치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상태일 때 스프링 클러치의 내경이 축소되어 스프링 클러치가 클러치 보스 및 케이스 기어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가 세탁모드일 때는 드레인 모터(150, 도 1 참조)가 정지된 상태로 레버 클러치(140)에 결합된 암 클러치(190)가 슬리브 클러치(130)와 접촉되어 제1슬리브 클러치(131) 및 제2슬리브 클러치(13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일 수 있다. 제1슬리브 클러치(131) 및 제2슬리브 클러치(1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경이 확대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경이 확대되면, 스프링 클러치(120)는 클러치 보스(170) 및 케이스 기어(180)와 분리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120)가 클러치 보스(170) 및 케이스 기어(180)와 분리되면, 클러치 보스(170)와 케이스 기어(18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클러치 보스(170)와 케이스 기어(180)가 서로 분리되면 구동모터(50)에 의해 제2풀리(63)가 회전되어 세탁축(70)이 회전될 때, 클러치 보스(170)는 세탁축(70)과 함께 회전되지만, 케이스 기어(180)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 기어(180)의 회전이 방지되면, 탈수축(80)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세탁축(70)과 연결된 펄세이터(40)만 회전되어 세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가 탈수모드일 때는 드레인 모터(150, 도 1 참조)가 구동되어 브레이크 레버(160)에 의해 레버 클러치(140)가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레버 클러치(140)가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레버 클러치(140)에 결합된 암 클러치(190)가 제1슬리브 클러치(131) 및 제2슬리브 클러치(135)로부터 분리되며 제1슬리브 클러치(131) 및 제2슬리브 클러치(13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슬리브 클러치(131) 및 제2슬리브 클러치(13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경이 축소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120)의 내경이 축소되면, 클러치 보스(170)와 케이스 기어(180)는 스프링 클러치(1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클러치 보스(170)와 케이스 기어(180)가 연결되면, 구동모터(50)에 의해 제2풀리(63)가 회전되어 세탁축(70)이 회전될 때, 세탁축(70)과 함께 회전되는 클러치 보스(170)에 의해 케이스 기어(180)가 회전될 수 있다. 케이스 기어(180)가 회전되면, 케이스 기어(180)와 연결된 탈수축(80)이 회전되어 세탁축(70)과 탈수축(80)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세탁축(70)과 탈수축(80)이 동시에 회전되면, 세탁축(70)과 연결된 펄세이터(40)와, 탈수축(80)과 연결된 회전조(30)가 동시에 회전되어 탈수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탈수모드가 모두 수행된 후, 세탁모드로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는 드레인 모터(150, 도 1 참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드레인 모터(150)가 정지되면, 레버 스프링(143)에 의해 레버 클러치(14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레버 클러치(140)가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레버 클러치(140)에 결합된 암 클러치(190)가 슬리브 클러치(130)와 접촉되며 슬리브 클러치(1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슬리브 클러치(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클러치(120)는 내경이 확대되어 클러치 보스(170) 및 케이스 기어(180)와 분리될 수 있다. 클러치 보스(170)와 케이스 기어(180)가 서로 분리되면 구동모터(50)에 의해 제2풀리(63)가 회전되어 세탁축(70)이 회전될 때, 클러치 보스(170)는 세탁축(70)과 함께 회전되지만, 케이스 기어(180)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 기어(180)의 회전이 방지되면, 탈수축(80)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세탁축(70)과 연결된 펄세이터(40)만 회전되어 세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축 및 탈수축이 관통되는 클러치의 하부에 제2풀리가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200)는 세탁축(70) 및 탈수축(8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하우징(210)과,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탈수축(80)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스프링 클러치(220)와, 스프링 클러치(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양 방향으로 회전되며 스프링 클러치(220)의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도록 하는 슬리브 클러치(230)와, 슬리브 클러치(230)를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 클러치(240)와, 드레인 모터(250)에 의해 작동되어 레버 클러치(240)를 회전시키는 브레이크 레버(26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3 참조)
클러치(200)는 슬리브 클러치(230)가 1개로 마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클러치(100)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슬리브 클러치(230)가 1개로 마련되기 때문에, 슬리브 클러치(230)와 접촉되는 암 클러치(290)가 1개만 마련되고, 이에 따라 암 클러치(290)가 결합되는 레버 클러치(240)의 형상이 일부 상이한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이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클러치(100)와 동일할 수 있다.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2풀리(63)에 브라켓(400)이 결합되는 구성 및 하우징(210)에 센서부(600)가 결합되는 구성도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클러치(100)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프링 클러치(220)는 슬리브 클러치(2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220)의 하부 끝단은 슬리브 클러치(23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220)의 하부 끝단이 슬리브 클러치(230)에 연결되어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슬리브 클러치(2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프링 클러치(220)의 하부 내경은 축소되거나 확대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220)의 상부는 슬리브 클러치(230)의 회전과 관계없이 항상 케이스 기어(28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 클러치(2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프링 클러치(220)의 하부만 클러치 보스(270)에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슬리브 클러치(230)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 클러치(220) 하부의 내경이 확대되면, 스프링 클러치(220)는 스프링 클러치(2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클러치 보스(270)와 분리되어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220)가 클러치 보스(270) 와 분리되면 클러치 보스(270)와 케이스 기어(180)는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0)에 의해 세탁축(70)이 회전될 때, 클러치 보스(270)는 회전되지만 케이스 기어(280)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축(70)만 회전되고 케이스 기어(280)와 연결된 탈수축(80)은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세탁기는 세탁축(70)에 의해 펄세이터(40)만 회전되는 세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도 1 참조)
슬리브 클러치(230)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 클러치(220) 하부의 내경이 축소되면, 스프링 클러치(220)는 스프링 클러치(2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클러치 보스(270)와 접촉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220)가 클러치 보스(270)와 접촉되면 클러치 보스(270)와 케이스 기어(280)는 스프링 클러치(2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0)에 의해 세탁축(70)이 회전될 때, 세탁축(70)과 함께 회전되는 클러치 보스(270)에 의해 케이스 기어(280)가 회전될 수 있다. 케이스 기어(280)가 회전되면, 케이스 기어(280)와 연결된 탈수축(80)이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축(70)과 함께 탈수축(80)이 회전되기 때문에, 세탁기는 펄세이터(40)와 회전조(30)가 동시에 회전되는 탈수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슬리브 클러치(230)가 1개로 마련되기 때문에 2개로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220)의 상부는 내경이 축소된 상태로 케이스 기어(28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프링 클러치(220)의 하부만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클러치 보스(270)에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기 때문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는 큰 용량의 세탁기보다는 작은 용량의 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세탁모드일 때 레버 클러치에 의해 슬리브 클러치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상태일 때 스프링 클러치의 내경이 확대되어 스프링 클러치가 클러치 보스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탈수모드일 때 레버 클러치에 의해 슬리브 클러치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상태일 때 스프링 클러치의 내경이 축소되어 스프링 클러치가 클러치 보스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가 세탁모드일 때는 드레인 모터(250, 도 1 참조)가 정지된 상태로 레버 클러치(240)에 결합된 암 클러치(290)가 슬리브 클러치(230)와 접촉되어 슬리브 클러치(2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일 수 있다. 슬리브 클러치(2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링 클러치(220) 하부의 내경이 확대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220) 하부의 내경이 확대되면, 스프링 클러치(220)는 클러치 보스(270)와 분리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220)가 클러치 보스(270)와 분리되면, 클러치 보스(270)와 케이스 기어(28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클러치 보스(270)와 케이스 기어(280)가 서로 분리되면 구동모터(50)에 의해 제2풀리(63)가 회전되어 세탁축(70)이 회전될 때, 클러치 보스(270)는 세탁축(70)과 함께 회전되지만, 케이스 기어(280)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 기어(280)의 회전이 방지되면, 탈수축(80)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세탁축(70)과 연결된 펄세이터(40)만 회전되어 세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4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가 탈수모드일 때는 드레인 모터(250, 도 1 참조)가 구동되어 브레이크 레버(260)에 의해 레버 클러치(240)가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레버 클러치(240)가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레버 클러치(240)에 결합된 암 클러치(290)가 슬리브 클러치(230)로부터 분리되며 슬리브 클러치(23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슬리브 클러치(2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링 클러치(220) 하부의 내경이 축소될 수 있다. 스프링 클러치(220) 하부의 내경이 축소되면, 클러치 보스(270)와 케이스 기어(280)는 스프링 클러치(2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클러치 보스(270)와 케이스 기어(280)가 연결되면, 구동모터(50)에 의해 제2풀리(63)가 회전되어 세탁축(70)이 회전될 때, 세탁축(70)과 함께 회전되는 클러치 보스(270)에 의해 케이스 기어(280)가 회전될 수 있다. 케이스 기어(280)가 회전되면, 케이스 기어(280)와 연결된 탈수축(80)이 회전되어 세탁축(70)과 탈수축(80)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세탁축(70)과 탈수축(80)이 동시에 회전되면, 세탁축(70)과 연결된 펄세이터(40)와, 탈수축(80)과 연결된 회전조(30)가 동시에 회전되어 탈수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탈수모드가 모두 수행된 후, 세탁모드로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는 드레인 모터(250, 도 1 참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드레인 모터(250)가 정지되면, 레버 스프링(243)에 의해 레버 클러치(24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레버 클러치(240)가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레버 클러치(240)에 결합된 암 클러치(290)가 슬리브 클러치(230)와 접촉되며 슬리브 클러치(2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슬리브 클러치(2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클러치(220)의 하부는 내경이 확대되어 클러치 보스(270)와 분리될 수 있다. 클러치 보스(270)와 케이스 기어(280)가 서로 분리되면 구동모터(50)에 의해 제2풀리(63)가 회전되어 세탁축(70)이 회전될 때, 클러치 보스(270)는 세탁축(70)과 함께 회전되지만, 케이스 기어(280)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케이스 기어(280)의 회전이 방지되면, 탈수축(80)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세탁축(70)과 연결된 펄세이터(40)만 회전되어 세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클러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과 풀리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1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가 회전방지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레버의 제1회전레버가 일정각도만큼 추가적으로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3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탈수축(80)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링(310)과, 커플링(310)의 반경 방향으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클러치모터(320)와, 클러치모터(320)와 연결되어 클러치모터(3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커플링(310)의 반경 방향으로 인장되는 링크유닛(330)과, 링크유닛(330)과 연결되며 클러치모터(320)에서 발생된 인장력에 의해 회전하여 커플링(31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레버(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풀리(63)의 상부에 복수의 마그네트(500)가 고정된 브라켓(4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과, 마그네트(500)를 센싱하여 구동모터(5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600)가 하우징(390)에 결합되는 구성은 모두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커플링(310)은 회전방지부(90)와 제2풀리(63)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탈수축(8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커플링(310)은 세탁축(70) 및 탈수축(80)이 관통되는 관통홀(311)과, 커플링(3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치형부(313) 및 제2치형부(315)와, 관통홀(311)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1세레이션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311)은 세탁축(70) 및 탈수축(80)이 관통되도록 마련되며, 세탁축(70)은 탈수축(8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펄세이터(40)와 연결되고, 탈수축(80)은 외주면에 관통홀(311)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1세레이션부(317)와 치합되는 제2세레이션부(81)가 마련되어 회전조(30)와 연결될 수 있다. 세탁축(70)은 제2풀리(63)에 축결합되기 때문에 제2풀리(63)가 회전되면 항상 회전되지만, 탈수축(80)은 커플링(310)의 제1세레이션부(317)와 탈수축(80)의 제2세레이션부(81)가 치합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커플링(310)이 회전될 때만 커플링(310)과 함께 회전하여 회전조(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커플링(310)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는 커플링(310)이 제2풀리(63) 에 밀착되어 커플링(310)에 마련된 제2치형부(315)와 제2풀리(63)에 마련된 동력전달 치형부(67)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치형부(315)와 동력전달 치형부(67)가 치합되어 있을 때는 제2풀리(63)가 회전되면, 제2풀리(63)의 회전력이 커플링(310)으로 전달되어 커플링(310)이 회전할 수 있다. 커플링(310)이 회전되면 탈수축(80)이 회전되어 회전조(30)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회전조(30)와 펄세이터(40)가 동시에 회전되어 탈수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커플링(31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는 커플링(310)과 제2풀리(63)의 동력전달 치형부(67)의 밀착이 해제되어 제2풀리(63)의 회전력은 커플링(310)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며, 커플링(310)은 회전방지부(90)에 밀착되어 커플링(310)에 마련된 제1치형부(313)와 회전방지부(90)에 마련된 회전방지 치형부(91)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커플링(310)과 제2풀리(63)의 동력전달 치형부(67)의 밀착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1치형부(313)가 회전방지 치형부(91)에 치합되어 있을 때는 커플링(310)의 회전이 방지되어 탈수축(80)의 회전도 방지되어 회전조(30)는 회전되지 않고 펄세이터(40)만 회전되는 세탁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링크유닛(330)은 와이어(W)에 의해 클러치모터(320)와 연결되어 클러치모터(320)에서 발생된 인장력을 회전레버(370)로 전달하여 회전레버(37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링크유닛(330)은 와이어(W)에 의해 클러치모터(320)와 연결되는 링크(340)와, 링크(34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350)와, 링크(340)가 가이드(350)에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제1복귀스프링(36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340)는 가이드(350)에 의해 가이드되어 직선 운동되는 몸통부(341)와, 몸통부(341)의 일단에 와이어(W)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연결부(342)와, 몸통부(341)의 타단에 제1복귀스프링(360)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제1지지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341)에는 링크(340)가 가이드(350)에 직선 운동 가능하게 삽입된 후 가이드(350)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이탈방지 돌기(344)와, 회전레버(370)의 일측이 삽입되어 링크(3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레버(370)가 회전되도록 하는 삽입홀(346)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지지부(343)는 제1복귀스프링(360)의 일단을 지지하여 링크(340)가 커플링(310)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 운동될 때 제1복귀스프링(360)이 압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지지부(343)에는 링크(340)가 직선 운동할 때 회전이 방지되도록 회전방지 돌기(345)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350)는 하우징(39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351)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링크(34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53)의 일측은 링크(340)가 삽입되어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링크(340)의 제1지지부(343)보다 큰 지름을 갖는 개구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타측에는 제1복귀스프링(360)의 타단이 지지되는 제2지지부(355)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지지부(355)는 삽입된 링크(340)의 제1지지부(343)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제1지지부(343)보다 작은 지름의 개구를 갖도록 마련되어 제1복귀스프링(360)의 타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링크(340)가 직선 운동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제2지지부(355)에는 가이드부(353)로 삽입된 링크(340)의 이탈방지 돌기(344)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이탈방지 돌기(344)와 대응되는 개수의 삽입홈(357)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340)의 이탈방지 돌기(344)가 삽입홈(357)을 통과하도록 링크(340)를 가이드부(353)로 삽입한 후, 링크(34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링크(340)의 이탈방지 돌기(344)가 제2지지부(355)에 걸려 링크(340)가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상에는 두 개의 이탈방지 돌기(344)가 마련되고 삽입홈(357)도 이탈방지 돌기(344)와 대응되는 개수를 갖도록 두 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부(353)에는 링크(340)가 직선 운동하는 동안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방지 가이드부(359)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방지 가이드부(359)는 가이드부(353)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링크(340)가 직선 운동되는 방향으로 길게 홈이 파인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340)의 이탈방지 돌기(344)가 삽입홈(357)을 통과하도록 링크(340)를 가이드부(353)로 삽입한 후, 회전방지 돌기(345)의 위치가 회전방지 가이드부(359)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링크(340)를 회전시켜 주면, 링크(340)의 이탈방지 돌기(344)가 제2지지부(355)에 걸려 링크(340)가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게 되며 회전방지 돌기(345)가 회전방지 가이드부(359)에 삽입되어 회전방지 가이드부(359)를 따라 직선 운동되기 때문에 링크(340)가 직선 운동하는 동안 링크(34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제1복귀스프링(360)은 가이드(350)의 가이드부(353)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은 링크(340)의 제1지지부(343)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타측은 가이드(350)의 제2지지부(355)에 탄성 지지되어 링크(340)가 클러치모터(320)에서 발생된 인장력에 의해 커플링(310)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 운동될 때는 압축되고, 클러치모터(320)에서 발생되는 인장력이 해제되면 압축력에 의해 링크(340)가 인장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되도록 하여 링크(340)가 클러치모터(320)에서 인장력이 발생되기 전의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회전레버(370)는 클러치모터(3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인장력이 발생되면 커플링(310)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 운동되는 링크(340)에 의해 회전되어 커플링(31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레버(370)는 링크(340)의 삽입홀(346)에 일측이 삽입되어 링크(340)에 연결되는 제1회전레버(371)와, 제1회전레버(371)가 회전방지부(90)에 마련되는 회전홀(9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회전레버(371)의 타측에 마련되는 회전축(373)과, 일측이 회전축(37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커플링(310)을 지지하는 제2회전레버(375)와, 회전축(373)에 마련되어 제1회전레버(371)와 제2회전레버(375)가 각각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37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레버(371)와 제2회전레버(375)에는 각각 토션스프링(377)에 의해 제1회전레버(371)와 제2회전레버(375)가 서로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범위가 제한되도록 하는 제1스토퍼(371a)와 제2스토퍼(375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회전레버(371)는 링크(340)가 커플링(310)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 운동되면,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회전레버(371)가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회전레버(375)는 토션스프링(377)에 의해 힘을 받기 때문에 제1회전레버(371)와 마찬가지로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클러치모터(3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인장력이 발생될 때, 제2회전레버(377)가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제2회전레버(377)에 의해 지지되는 커플링(310)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클러치모터(320)에서 발생된 인장력은 직접 링크(340)로 전달되어 링크(340)를 직선 운동시키기 때문에 손실없이 회전레버(370)로 전달되어 회전레버(3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레버(370)는 회전력에 의해 커플링(31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클러치모터(320)에서 발생된 인장력은 손실없이 회전레버(370)의 회전력으로 전환되어 커플링(31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플링(31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커플링(310)과 회전방지부(90)가 밀착된 상태에서 세탁 중 진동 등에 의해 커플링(310)이 회전방지부(90)로부터 밀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커플링(310)과 회전방지부(90)가 밀착되어 커플링(310)의 제1치형부(313)와 회전방지부(90)의 회전방지 치형부(91)가 치합된 상태에서도 제1회전레버(371)가 일정 각도만큼 추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토션스프링(377)에 의해 회전되는 제2회전레버(375)가 계속해서 커플링(310)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탈수모드를 수행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세탁모드를 수행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클러치모터(3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40)가 제1복귀스프링(360)에 의해 커플링(310) 반경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제1회전레버(371)와 제2회전레버(375)는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회전레버(375)가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을 받기 때문에, 커플링(310)은 제2회전레버(375)에 의해 수직력을 전달받지 않으며, 회전방지부(90)와 커플링(310) 사이에 마련되는 제2복귀스프링(38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풀리(63)와 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커플링(310)이 제2풀리(63)와 밀착된 상태에서는 커플링(310)의 제2치형부(315)와 제2풀리(63)의 동력전달 치형부(67)가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풀리(63)의 회전력은 커플링(310)으로 전달되어 커플링(3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커플링(310)은 탈수축(8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세탁축(70)은 제2풀리(63)에 축결합되어 제2풀리(63)와 함께 항상 회전되기 때문에, 클러치모터(3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탁축(70)과 탈수축(80)이 동시에 회전되는 탈수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클러치모터(320)에 전원이 인가되어 클러치모터(320)에서 인장력이 발생되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모터(320)와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된 링크(340)가 커플링(310)의 반경 방향으로 인장되어 직선 운동될 수 있다. 링크(340)가 커플링(310)의 반경 방향으로 직선 운동되면, 링크(340)에 일측이 연결된 제1회전레버(371)가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회전레버(371)가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회전레버(375)는 토션스프링(377)에 의해 제1회전레버(371)를 향해 접히는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제1회전레버(371)와 마찬가지로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레버(375)가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커플링(310)을 지지하는 제2회전레버(375)의 타측은 커플링(31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커플링(310)에 수직력을 전달할 수 있다. 커플링(310)이 수직력을 전달받아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커플링(310)과 제2풀리(63)의 밀착이 해제되어 커플링(310)의 제2치형부(315)와 제2풀리(63)의 동력전달 치형부(67)는 치합 상태가 해제되어 제2풀리(63)의 회전력은 커플링(310)에 전달될 수 없다. 또한, 커플링(31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커플링(310)과 회전방지부(90)가 밀착되면 커플링(310)의 제1치형부(313)와 회전방지부(90)의 회전방지 치형부(91)가 치합되어 커플링(310)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커플링(310)의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탈수축(80)은 회전되지 않고, 제2풀리(63)에 축결합된 세탁축(70)만 회전되는 세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클러치모터(320)에 인가된 전원이 해제되면, 링크(340)는 제1복귀스프링(360)에 의해 커플링(310)의 반경 방향 반대쪽으로 직선 운동하며 제1회전레버(371)가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제1회전레버(371)가 회전되면 제1스토퍼(371a)와 제2스토퍼(375a)가 접촉된 상태에서 제2회전레버(375)가 회전축(17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레버(375)가 회전축(37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커플링(310)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이 해제되면, 커플링(310)은 제2복귀스프링(39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세탁축(70)과 탈수축(80)이 동시에 회전되는 탈수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세탁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캐비닛 11 : 세탁물 투입구
13 : 도어
20 : 수조 21 : 현가장치
30 : 회전조 31 : 통공
33 : 플랜지 샤프트
40 : 펄세이터
50 : 구동모터
60 : 풀리 61 : 제1풀리
63 : 제2풀리 64 : 결합홀
65 : 벨트 67 : 동력전달 치형부
70 : 세탁축
80 : 탈수축
90 : 회전방지부 91 : 회전방지 치형부
93 : 회전홀
100, 200, 300 : 클러치
110, 210 : 하우징 111 : 센서부 결합홀
120, 220 : 스크링 클러치 121 : 제1끝단
123 : 제2끝단
130, 230 : 슬리브 클러치 131 : 제1슬리브 클러치
133 : 제1연결부 135 : 제2슬리브 클러치
137 : 제2연결부
140, 240 : 레버 클러치 141 : 회전축
143 : 레버 스프링
150, 250 : 드레인 모터
160, 260 : 브레이크 레버
170, 270 : 클러치 보스
180, 280 : 케이스 기어
190, 290 : 암 클러치 191 : 제1암클러치
193 : 제2암클러치
310 : 커플링 311 : 관통홀
313 : 제1치형부 315 : 제2치형부
317 : 제1세레이션부
320 : 클러치모터
330 : 링크유닛
340 : 링크 341 : 몸통부
342 : 와이어 연결부 343 : 제1지지부
344 : 이탈방지 돌기 345 : 회전방지 돌기
346 : 삽입홀
350 : 가이드 351 : 결합부
353 : 가이드부 355 : 제2지지부
357 : 삽입홈 359 : 회전방지 가이드부
360 : 제1복귀스프링
370 : 회전레버 371 : 제1회전레버
371a : 제1스토퍼 373 : 회전축
375 : 제2회전레버 375a : 제2스토퍼
377 : 토션스프링
380 : 제2복귀스프링
390 : 하우징
W : 와이어
400 : 브라켓 410 : 후크
420 : 마그네트 고정부
500 : 마그네트
600 : 센서부 610 : 결합부
611 : 결합홀 620 : 센서
630 : 센서 고정부

Claims (20)

  1.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부에 세탁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탈수축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세탁축 및 탈수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클러치;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풀리와,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제2풀리를 포함하는 풀리;
    상기 제2풀리에 결합되고,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네트를 센싱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링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풀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와, 상기 브라켓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단변과 장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단변이 상기 브라켓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제2풀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홀을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2풀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센서가 고정되는 센서 고정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고정부의 끝단에 고정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의 거리는 2 ~ 4㎜인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탈수축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스프링 클러치와,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고, 양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도록 하는 슬리브 클러치와,
    상기 슬리브 클러치를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 클러치와,
    드레인 모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슬리브 클러치가 양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레버 클러치를 회전시키는 브레이크 레버를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스프링 클러치 내부의 하단에 수용되고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는 클러치 보스와, 상기 클러치 보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프링 클러치 내부의 상단에 수용되고 상기 탈수축과 연결되는 케이스 기어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클러치는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외주면 하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하단부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클러치 보스에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1슬리브 클러치와,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외주면 상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상단부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케이스 기어에 연결되거나 연결에 해제되도록 하는 제2슬리브 클러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레버 클러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슬리브 클러치를 회전시키는 제1암 클러치와, 상기 레버 클러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슬리브 클러치를 회전시키는 제2암 클러치를 포함하는 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클러치는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외주면 하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하단부 내경이 축소되거나 확대되어 상기 클러치 보스에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클러치의 상단부는 내경이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케이스 기어에 연결되는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레버 클러치에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 클러치를 회전시키는 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6.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 내부에 세탁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탈수축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세탁축 및 탈수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클러치;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풀리와, 상기 세탁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세탁축을 회전시키는 제2풀리를 포함하는 풀리;
    링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2풀리 상부에 결합되고, 테두리에 복수의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브라켓;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제2풀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센서가 고정되는 센서 고정부를 포함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풀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후크와, 상기 브라켓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가 고정되는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각각은 단변과 장변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단변이 상기 브라켓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고정부에 고정되는 세탁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마그네트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고정부의 끝단에 고정되는 세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의 거리는 2 ~ 4㎜인 세탁기.
KR1020200058922A 2020-05-18 2020-05-18 세탁기 KR20210142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922A KR20210142283A (ko) 2020-05-18 2020-05-18 세탁기
PCT/KR2021/005781 WO2021235754A1 (ko) 2020-05-18 2021-05-10 세탁기
US18/056,865 US20230080493A1 (en) 2020-05-18 2022-11-18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922A KR20210142283A (ko) 2020-05-18 2020-05-18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83A true KR20210142283A (ko) 2021-11-25

Family

ID=7870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922A KR20210142283A (ko) 2020-05-18 2020-05-18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80493A1 (ko)
KR (1) KR20210142283A (ko)
WO (1) WO2021235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041B1 (ko) * 2019-08-14 2024-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동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탑로더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466Y1 (ko) * 1994-03-08 1999-07-15 전주범 세탁기의 모우터 회전속도 감지장치
JP3181227B2 (ja) * 1996-08-21 2001-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全自動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KR20020058548A (ko) * 2000-12-30 2002-07-12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20050037692A (ko) * 2003-10-20 2005-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267062B1 (ko) * 2014-02-21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0493A1 (en) 2023-03-16
WO2021235754A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0403B2 (en) Top loaded washing machine having drum with horizontal axis of rotation
US6332343B1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US11015279B2 (en) Clutch assembly of washing machine
US9611582B2 (en) Clutch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050223754A1 (en) Washing machine
KR20030088638A (ko) 세탁기 구동부의 방진구조
US20150184330A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power control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10238583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7025102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09186B1 (ko) 드럼 세탁기
KR20120043262A (ko) 세탁기
US10683600B2 (en) Washing machine
KR100832648B1 (ko) 드럼세탁기 도어용 힌지장치
KR20210142283A (ko) 세탁기
CN108474166B (zh) 滚筒式洗衣机
KR102183460B1 (ko) 세탁기
JP2000271387A (ja) 脱水兼用洗濯機
KR102365999B1 (ko) 세탁기
JP7510643B2 (ja) 風呂水供給装置及び洗濯機
KR100469250B1 (ko) 세탁기 구동부의 방진구조
KR200143518Y1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KR0125498Y1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JP3564316B2 (ja) 脱水兼用洗濯機
KR0125497Y1 (ko) 세탁기의 구동장치
KR20210076384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