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742B1 -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상기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상기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742B1
KR102509742B1 KR1020180050883A KR20180050883A KR102509742B1 KR 102509742 B1 KR102509742 B1 KR 102509742B1 KR 1020180050883 A KR1020180050883 A KR 1020180050883A KR 20180050883 A KR20180050883 A KR 20180050883A KR 102509742 B1 KR102509742 B1 KR 102509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ine
motor
support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670A (ko
Inventor
양강주
박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씨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to KR102018005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742B1/ko
Priority to CN201980029324.9A priority patent/CN112055767B/zh
Priority to PCT/KR2019/005211 priority patent/WO2019212232A1/ko
Publication of KR2019012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모터 단자부를 포함하고,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모터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전원 연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상기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DRIVING DEVICE OF PART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개시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을 구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 장치에는 세탁기, 탈수기, 의류건조기 등이 알려져 있다.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cabinet)과, 캐비닛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tub)와,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세탁조(또는 탈수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의 일 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펄세이터와, 세탁조 및/또는 펄세이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력의 전달 여부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펄세이터에 상단이 결합된 세탁축과 세탁조에 상단이 결합된 탈수축의 이중 축 구조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클러치가 알려져 있다. 클러치는 하강 이동 시 모터의 로터(회전자)와 결합하여, 클러치에 결합된 탈수축 및 로터에 결합된 세탁축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는 상승 이동 시 로터와 이격되어, 세탁축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의 일 측에 배치되어, 클러치가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공급하는 클러치의 구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 클러치의 구동 장치는 로드(rod)의 일단에 연결되어 로드를 이동시키고, 동작 연결 구조는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로드의 움직임을 클러치의 상하 움직임으로 변경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의 다른 예로, 터브 내의 세탁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관과, 배수관의 개폐 여부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밸브가 동작하도록 구동력을 공급하는 밸브의 구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 밸브의 구동 장치는 이동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고, 이동 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밸브의 개폐 여부가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해결 과제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의 정확성 및 편의성을 향상하시키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해결 과제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부품이 훼손될 가능성을 낮추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해결 과제는 완성된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품 구동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모터 단자부를 포함하고,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모터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전원 연결선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조 및 펄세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메인 모터와, 상기 회전력의 전달 여부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모터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를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속 모터; 상기 부속 모터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부속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부속 모터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모터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전원 연결선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개폐 여부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모터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를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모터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전원 연결선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베이스 케이스 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모터를 배치시키는 모터 배치 단계; 상기 모터의 반대 측에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상기 모터를 덮어주되, 상기 모터의 제1 모터 단자부 및 제2 모터 단자부에 각각 연결된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이 각각 상기 지지부의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제1 연결선 가이드 및 제2 연결선 가이드를 통해 상기 지지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베이스 케이스에 배치시키는 지지부 배치 단계;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반대 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1 연결선의 일 부분 및 상기 제2 연결선의 일 부분을 꺾어, 상기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을 각각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연결시키는 연결선 벤딩(bending)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통해,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통해,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정확한 위치 설정으로 완성된 부품 구동 장치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통해,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전원 연결선의 훼손이나 불필요한 구부러짐 등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통해,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내 모터 단자부와 단자가 기설정한 위치에 정확히 배치될 수 있고, 모터와 전원 연결선과 단자의 조립이 편리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른 로드(2)의 동작을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일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다른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베이스 케이스(110), 구동부(300) 및 전원 연결선(520)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베이스 케이스(110), 구동부(300), 지지부(200) 및 전원 연결부(500)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 상태에서 베이스 케이스(110)가 제외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른 스위치(530)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른 밸브 동작부(600)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도 9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10')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10')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 언급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기(건조시스템 구비된 세탁기 포함), 의류 건조기, 탈수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닛(미도시)과, 상기 케비닛 내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개폐 여부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물을 담는 세탁조와, 수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펄세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조 및 상기 펄세이터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상기 세탁조 및 상기 펄세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메인 모터와, 상기 메인 모터의 상기 회전력의 전달 여부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러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세탁조 및 상기 펄세이터 중 어느 하나만 회전시키거나 둘 모두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언급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는 상기 클러치 및 상기 밸브 등을 구동시키는 장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아래의 도 2에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클러치의 구동 장치(10)가 개시되고, 도 10에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밸브의 구동 장치(10')가 개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부품 구동 장치(10)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 내에 배치되는 구동부(미도시)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상기 케비닛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부품 구동 장치(10)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예를 들어, 클러치)을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주동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예를 들어, 클러치)를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이 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주동부(400)에 전달되어, 주동부(40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케이스(100)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다른 구성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100)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상기 터브의 하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베이스 케이스(110)와 커버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케이스(120)는 제1 축 방향(X1)에 배치되고, 베이스 케이스(110)는 제2 축 방향(X2)에 배치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축 방향(X1, X2)은 도 3에서 후술하는 전원 연결선(520)이 후술하는 지지부(200)를 가로지르는 양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양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제1 축 방향(X1)으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축 방향(X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축 방향(X1, X2)은 전원 연결선(520)이 지지부(200)를 관통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부품 구동 장치(10)의 제1 축 방향(X1)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하방이 되도록 부품 구동 장치(10)가 세탁물 처리 장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부품 구동 장치의 배치 방향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100)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100)는 상기 내부 공간 내에 후술하는 구동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상기 내부 공간 내에 후술하는 전원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와 커버 케이스(120)는 서로 결합된다. 커버 케이스(120)의 케이스 결합부(122, 123)가 각각 베이스 케이스(110)의 케이스 결합 대응부(112, 113)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 결합부(122, 123)와 케이스 결합 대응부(112, 113)는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다른 구성에 결합하기 위해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체결 홀(100h)을 형성할 수 있다. 서로 포개지는 베이스 케이스(110)의 베이스 체결부(111)와 커버 케이스(120)의 커버 체결부(121)를 관통하는 체결 홀(100h)이 형성될 수 있다.
주동부(400)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주동부(400)는 케이스(100)의 제1 축 방향(X1)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주동부(400)는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주동 회전축(Oa)은 축 방향(X1, X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주동부(400)는, 후술하는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주동부(400)는 회전하며 케이스(100)에 슬라이딩(sliding)하게 구비된다. 본 개시에서, 주동 회전축(Oa)은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주동 회전축(Oa)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동 회전축(Oa) 상에 배치되는 샤프트가 구비될 수도 있고, 주동 회전축(Oa)을 따라 돌출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주동부(400)는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동 바디(410)를 포함한다. 주동부(400)는 주동 회전축(O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주동 돌기(430)를 포함한다. 주동 돌기(430)는 주동 바디(410)에서 돌출된다. 주동 돌기(430)는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된다.
주동부(400)는 주동 돌기(430)의 돌출 말단에 형성된 주동 걸림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걸림부(440)는 주동 돌기(430)의 돌출 방향(X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주동 걸림부(440)는 주동 돌기(430)를 중심으로 180도 이상 270도 미만의 각도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른 로드(2)의 동작을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부품 구동 장치(10)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부품 구동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라 로드(2)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본 개시에서, 주동부(400)에 연결되어 주동부(400)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이 왕복 이동하는 방향을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주동부(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성이 밀리는 방향을 제1 방향(D1)으로 정의하고 당겨지는 방향을 제2 방향(D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는 부품 구동 장치(10)의 제1 축 방향(X1) 측면을 바라본 입면도들이다. 도 2(a) 및 도 2(c)는 주동부(400)가 로드(2)를 제1 방향(D1)으로 밀어낸 상태인 제1 상태를 보여주고, 도 2(b)는 주동부(400)가 로드(2)를 제2 방향(D2)으로 당겨준 상태인 제2 상태를 보여준다.
로드(2)의 홀에 주동 돌기(4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주동 걸림부(440)에 로드(2)가 걸림되어 로드(2)가 주동 돌기(4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클러치가 탈수축과 세탁축의 이중 축 구조를 따라 하강한 상태로서, 상기 클러치가 상기 메인 모터의 로터(회전자)와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세탁조에 결합된 상기 탈수축과,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로터에 결합된 상기 세탁축이 함께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클러치가 상기 이중 축 구조를 따라 상승한 상태로서, 상기 클러치가 상기 메인 모터의 로터와 이격된다. 여기서, 상기 탈수축은 고정되고 상기 세탁축만 회전한다.
도 2(a)의 제1 상태의 주동부(400)가 소정의 회전 방향(R1)으로 180˚ 회전하여, 도 2(b)의 제2 상태로 변경된다. 주동부(400)가 상기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면서, 주동 돌기(430)는 로드(2)의 일단을 제2 방향(D2)으로 당겨주고, 로드(2)의 타단에 연결된 별도의 구성 요소에 의해 상기 클러치를 동작시킨다.
도 2(b)의 제2 상태의 주동부(400)가 소정의 회전 방향(R2)으로 180˚ 회전하여, 도 2(c)의 제1 상태로 변경된다. 소정의 회전 방향(R2)은 소정의 회전 방향(R1)과 같은 방향일 수 있다. 주동부(400)가 상기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하면서, 주동 돌기(430)는 로드(2)의 일단을 제1 방향(D1)으로 밀어주고, 로드(2)의 타단에 연결된 별도의 구성 요소에 의해 상기 클러치를 동작시킨다.
도 3은 도 1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일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다른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부품 구동 장치(10)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00)에는 복수의 쌍의 베이스 체결부(111)와 커버 체결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에는 복수의 베이스 체결부(111a, 111b, 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120)에는 복수의 베이스 체결부(111a, 111b, 111c)와 각각 대응되게 결합하는 커버 체결부(121a, 121b, 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120)에는 주동부(400)가 관통하는 홀(120h)이 형성된다. 홀(120h)은 커버 케이스(120)의 제1 축 방향(X1)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케이스(120)를 기준으로 제1 축 방향(X1)으로 주동 돌기(430)가 위치하고 제2 축 방향(X2)으로 캠부(460)가 위치하도록, 주동부(400)가 배치된다.
케이스(100)에 주동부(40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주동부(400)와 접촉하여 주동부(400)의 회전을 안내하는 주동 가이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가이드부(125)는 홀(120h)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주동 가이드부(125)는 커버 케이스(120)에서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후술할 단자(510)를 수용하는 단자 하우징(124)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 하우징(124)은, 케이스(100)의 외부로부터 단자의 대응 구성이 단자(510)에 접속 가능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한다.
부품 구동 장치(10)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을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구동부(300)는 케이스(100) 내에 배치되는 모터(310)를 포함한다. 이 모터(310)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주동부(400)에 전달된다. 이 모터(310)는 상기 메인 모터와 구별하기 위해 "부속 모터"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310)는 직류 모터일 수 있다.
케이스(100)는 모터(310)가 배치되는 모터 배치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는 지지부(200)와 함께 모터(310)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는 복수의 기어(330)가 배치되는 기어 배치 공간(110a)을 형성할 수 있다.
모터(310)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예를 들어, 클러치 또는 밸브)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모터(310)는 전원 연결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한다. 모터(310)는 발생된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의 축(312)을 포함한다. 모터의 축(312)은 모터 회전축(Om)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개시에서, 모터 회전축(Om)은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구동부(300)는 모터의 축(312)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모터 기어(320)를 포함한다. 모터 기어(320)는 모터 회전축(Om)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모터 기어(320)는 웜 기어일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는 모터 기어(3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서로 순차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330)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어(330)는, 모터 기어(320)의 회전 속도보다 감속된 회전 속도로 주동부(40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감속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타팅 기어(331) 및 제1 내지 제4 전달 기어(332, 333, 335, 336)는 감속 기어이다. 이 경우, 복수의 기어 중 서로 맞물리는 2개의 기어 중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의 회전 속도보다 회전력을 전달 받는 기어의 회전 속도가 작아진다.
복수의 기어(330) 각각은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 중 어느 하나(Og2)는 주동 회전축(Oa)과 일치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은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기어 회전축(Og1, Og2, Og3)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어 회전축(Og1, Og2, Og3) 상에 배치되는 샤프트가 구비될 수도 있고, 기어 회전축(Og1, Og2, Og3)을 따라 돌출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기어(330)는,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 중 어느 하나(Og2)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2개 이상의 기어(332, 334, 336)로 이루어진 제1 기어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330)는,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 중 다른 하나(Og3)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2개 이상의 기어(333, 335)로 이루어진 제2 기어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330)는 모터 기어(320)에 맞물려 회전하는 스타팅(starting) 기어(331)를 포함한다. 스타팅 기어(331)는 기어 회전축(Og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330)는 주동부(400)와 일체로 회전 하는 엔딩(ending) 기어(336)를 포함한다. 엔딩 기어(336)는 기어 회전축(Og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지지부(200)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어느 한 전달 기어(445)와 맞물려 회전한다.
복수의 기어(330)는 스타팅 기어(331)의 회전력을 엔딩 기어(336)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달 기어(332, 333, 334, 3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달 기어(332, 333, 334, 335)는, 스타팅 기어(33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전달 기어(332)와, 제1 전달 기어(33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전달 기어(333)와, 제2 전달 기어(333)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 전달 기어(334)와, 제3 전달 기어(334)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4 전달 기어(3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기어 회전축(Og1, Og2, Og3)의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샤프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샤프트(350) 각각은 복수의 기어(330) 중 일부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샤프트(350)는, 기어 회전축(Og1)을 따라 연장된 제1 샤프트(351)와, 기어 회전축(Og2)을 따라 연장된 제2 샤프트(352)와, 기어 회전축(Og3)을 따라 연장된 제3 샤프트(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351)는 스타팅 기어(331)를 관통한다. 제2 샤프트(352)는 제1 전달 기어(332)와 제3 전달 기어(334)를 관통한다. 제3 샤프트(353)는 제2 전달 기어(333)와 제4 전달 기어(335)를 관통한다.
샤프트(350)의 적어도 일단이 케이스(100)에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351, 353)의 타단은 지지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352)의 타단은 엔딩 기어(336)에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주동부(400)의 회전을 안내하는 주동 가이드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가이드부(125)는 커버 케이스(120)에 형성될 수 있다. 주동부(400)는 주동 가이드부(125)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가이드부(125)는 링 형의 리브로 형성될 수 있고. 주동부(400)의 슬라이딩부(470)는 상기 링 형의 리브가 삽입되는 링 형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주동부(400)는 복수의 기어(3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주동부(400)는 복수의 기어(3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주동 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결합부(420)는 엔딩 기어(336)와 결합된다. 주동 결합부(420)에 의해 엔딩 기어(336)의 회전력이 주동부(400)에 전달된다. 주동부(400)는 엔딩 기어(336)와 일체로 회전한다.
본 개시에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와 "일체로 회전"한다는 것은,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 회전 속도 및 동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결합(또는 연결)되어 같이 회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1 구성요소가 제3 구성요소에 결합(또는 연결)되고 제3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결합(또는 연결)되어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주동부(400)는 모터(310)의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460)를 포함한다. 캠부(460)의 외주면은 부분에 따라 주동 회전축(Oa)으로부터 이격 거리가 달라진다.
또한, 주동부(400)는 주동 바디(410)가 엔딩 기어(336)로부터 축 방향(X1, X2)으로 분리되지 않게 막아주는 체결부재(49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490)는 엔딩 기어(336)에 체결된다.
또한, 주동부(400)는 주동 결합부(420), 주동 돌기(430) 및 슬라이딩부(470)가 배치되는 주동 바디(410)를 포함한다. 주동 결합부(420)는 주동 바디(41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주동 돌기(430)는 주동 바디(410)에서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470)는 주동 바디(410)의 제2 축 방향(X2)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주동 바디(410)는 중앙에 주동 회전축(Oa)을 따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을 구획하는 내주면 상에 주동 결합부(420)가 형성된다. 주동 결합부(420)는 축 방향(X1, X2)으로 연장되고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엔딩 기어(336)의 엔딩 결합부(336b)는 상기 주동 결합부(420)의 복수의 홈에 맞물리는 형상의 복수의 이(teeth)를 형성한다.
전원 연결부(500)는 전원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단자(510)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510)는 제1 단자(511)와 제2 단자(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511)와 제2 단자(512)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전원 연결선(520)에 의해, 부품 구동 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500)는 스위치의 단락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스위치부(531, 53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싱 단자(5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500)는 모터(310)와 상기 단자(511, 5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원 연결선(5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원 연결선(520)은 지지부(200)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연결선(520)은 CP 와어어(CP wire)일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500)는 지지부(200)에 배치되는 스위치(5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530)는 캠부(460)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530)는 캠부(460)의 회전에 따라 접촉 여부가 변경되는 복수의 스위치부(531, 532)를 포함할 수 있다.
부품 구동 장치(10)는 케이스(100)와 결합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지지부(200)는 전원 연결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엔딩 기어(336)가 관통하는 가이드 홀(200h)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홀(200h)을 통해 엔딩 결합부(336b)가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제2 축 방향(X2)에는 엔딩 종동 기어부(336a)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지지부(200)는 케이스(100)의 내부를 주동 회전축(Oa)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지지부(200)는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지지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바디(210)는 주동 회전축(Oa)을 가로지르며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지지 바디(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리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220)는 지지 바디(210)에서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와 커버 케이스(120)는 지지부(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한다. 베이스 케이스(110)는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된 케이스 돌기(118)를 포함하고, 지지부(200)는 케이스 돌기(118)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돌기 삽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케이스 돌기(118)와 복수의 돌기 삽입부(230)가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에 지지부(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커버 케이스(120)는 지지부(200)의 제1 축 방향(X1) 측면을 덮으며 베이스 케이스(110)와 결합한다.
도 5는 도 3의 베이스 케이스(110), 구동부(300) 및 전원 연결선(520)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모터(310)는 회전하는 모터 축(312)이 돌출되는 모터 바디(318)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모터(310)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모터 바디(318)와 접촉하는 모터 배치부(114)를 포함한다. 모터 배치부(114)는 베이스 케이스(110)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 배치부(114)는 모터 바디(318)에 접촉하여 모터(310)가 케이스(100)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막아준다.
모터(310)는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모터 단자부(315)를 포함한다. 복수의 모터 단자부(315)는, 도 7에 도시하는 제1 모터 단자부(315a) 및 제2 모터 단자부(315b)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10)는 모터 바디(318)에서 돌출되는 모터 걸림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모터 단자부(315)가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모터 걸림부(311)가 걸림되는 걸림 홈(114a)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 홈(114a)은 베이스 케이스(110)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 걸림부(311)는 모터 바디(318)에서 모터 회전축(Om)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모터 걸림부(311)는 모터 바디(318)에서 모터 축(312)이 돌출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모터 걸림부(311)가 걸림 홈(114a)에 걸림됨으로써, 모터 바디(318)가 케이스(100)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어느 한 전달 기어(335)와 맞물리는 엔딩 종동 기어부(336a)를 포함할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주동부(400)와 결합되는 엔딩 결합부(336b)를 포함할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엔딩 종동 기어부(336a)를 통해 전달 기어(33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고, 엔딩 결합부(336b)를 통해 주동부(40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엔딩 종동 기어부(336a)와 엔딩 결합부(336b)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336c)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36c)의 제1 축 방향(X1)에 엔딩 결합부(336b)가 위치하고 제2 축 방향(X2)에 엔딩 종동 기어부(336a)가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36c)는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엔딩 기어(336)의 슬라이딩부(336c)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기어 가이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고). 기어 가이드부(211)는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기어 가이드부(211)는 엔딩 기어(336)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베이스 케이스(110), 구동부(300), 지지부(200) 및 전원 연결부(500)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 상태에서 베이스 케이스(110)가 제외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지지부(200)는 모터(3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모터(310)의 제1 축 방향(X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자(511), 제2 단자(512) 및 센싱 단자(515)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510)는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모터(310)의 반대 측. 즉 제1 축 방향(X1)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단자(511, 512, 515)는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단자(511, 512, 515)는 지지부(200)의 제1 축 방향(X1)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원 연결선(520)은, 상기 제1 모터 단자부와 제1 단자(5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선(521)과, 상기 제2 모터 단자부와 제2 단자(5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선(5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원 연결선(520) 각각은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모터(310)의 반대 측에서 꺾여 연장되는 일 부분(521a, 5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선(521)은 상기 꺾여 연장되는 일 부분(5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선(521)은 상기 일 부분(521a)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부분(5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부분(521b)은 지지부(200)를 가로지른다.
제2 연결선(522)은 상기 꺾여 연장되는 일 부분(5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선(522)은 상기 일 부분(522a)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부분(5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부분(522b)은 지지부(200)를 가로지른다.
스위치(530)는 복수의 스위치부(531, 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부(531, 532) 중 어느 하나는 제1 단자(511)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센싱 단자(515)와 연결된다. 복수의 스위치부(531, 532)는 캠부(460)와 접촉하는 동작 스위치부(532)와, 캠부(460)와 이격된 고정 스위치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스위치부(532)는 캠부(460)에 접촉하는 캠 접촉부(532a)를 포함할 수 있다. 캠부(460)의 회전에 따라 동작 스위치부(532)가 동작함으로써, 동작 스위치부(532)와 고정 스위치부(531)의 접촉 여부가 변경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스위치(530)가 고정되는 스위치 배치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배치부는, 고정 스위치부(531)가 고정되는 제1 스위치 배치부(241)와, 동작 스위치부(532)가 고정되는 제2 스위치 배치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단자(510)가 고정되는 단자 배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배치부(250)는, 제1 단자(511)가 고정되는 제1 단자 배치부(251)와, 제2 단자(512)가 고정되는 제2 단자 배치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배치부(250)는 센싱 단자(515)가 고정되는 센싱 단자 배치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복수의 전원 연결선(520)을 안내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선 가이드(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선 가이드(270)는 지지부(2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선 가이드(270)는 지지부(20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00)의 가장자리 부분은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지지부(200)의 둘레 부분을 의미한다. 복수의 연결선 가이드(270)는, 제1 연결선(521)을 안내하는 제1 연결선 가이드(271)와, 제2 연결선(522)을 안내하는 제2 연결선 가이드(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선 가이드(271)는 제1 연결선(521)을 안내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선 가이드(272)는 제2 연결선(522)을 안내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선 가이드(271) 및 제2 연결선 가이드(272) 중, 어느 하나는 지지부(200)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지지부(200)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지지부(200)의 관통 방향(X1, X2)으로 연장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선(521) 및 제2 연결선(522) 중, 상기 연결선 가이드의 상기 홈에 의해 안내되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길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연결선(521) 및 제2 연결선(522) 중 상대적으로 짧은 어느 한 연결선을 먼저 상기 연결선 가이드의 상기 홀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긴 나머지 한 연결선을 상기 연결선 가이드의 상기 홈에 걸림시킬 수 있어, 복수의 전원 연결선(520)과 지지부(200)를 편리하게 위치시키며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선이 홀을 통과하는 것이 홈에 걸림되는 것보다 어려운 제조 작업인 바, 상대적으로 짧은 연결선이 홀을 통과하고, 어느 한 연결선만 홀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조 작업의 어려움을 덜어주면서도, 지지부(200)와 전원 연결선(520)을 정확히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제1 단자(511)와 제1 연결선 가이드(271) 사이의 거리는 제2 단자(512)와 제2 연결선 가이드(272)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선(521)의 상기 일 부분(521a)이 제2 연결선(522)의 상기 일 부분(522a)보다 짧다.
제1 연결선(521)이 제2 연결선(522)보다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선 가이드(271)는 제1 연결선(521)이 지지부(200)를 가로지르도록 안내하는 홀을 형성하고, 제2 연결선 가이드(272)는 지지부(200)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제2 연결선(522)이 걸림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모터 단자부(315a)는 제1 연결선 가이드(271)의 홈 또는 홀의 연장 방향(X1, X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모터 단자부(315b)는 제2 연결선 가이드(272)의 홈 또는 홀의 연장 방향(X1, X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원 연결선(520)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고, 전원 연결선(520)의 벤딩(bending)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모터 단자부(315a)가 제1 연결선 가이드(271)의 홈 또는 홀의 연장 방향(X1, X2)에 위치하고, 제2 모터 단자부(315b)는 제2 연결선 가이드(272)의 홈 또는 홀의 연장 방향(X1, X2)에 위치하도록, 모터 배치부(114) 및 걸림 홈(114a)이 모터(310)의 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500)는 상기 꺾여 연장되는 일 부분(521a, 522a)이 걸림되는 홈을 형성하는 연결선 걸림부(541, 54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선 걸림부(541, 542)는, 제1 연결선(521)의 상기 일 부분(521a)이 걸림되는 제1 연결선 걸림부(541)와, 제2 연결선(522)의 상기 일 부분(521b)이 걸림되는 제2 연결선 걸림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선 걸림부(541)는 제1 단자(511)와 제1 연결선(5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 연결선 걸림부(542)는 제2 단자(512)와 제2 연결선(5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른 스위치(530)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8을 참고하여, 스위치(530)와 캠부(460)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스위치(530) 및 캠부(460)가 배치된 부분에서, 부품 구동 장치(10)를 주동 회전축(Oa)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들이다. 도 8(a) 및 도 8(c)는 도 2와 관련하여서 설명한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캠부(460)와 스위치(530)의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 8(b)는 도 2와 관련하여서 설명한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캠부(460)와 스위치(530)의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 8(a)의 제1 상태의 캠부(460)가 소정의 회전 방향(R1)으로 180˚ 회전하여, 도 8(b)의 제2 상태로 변경된다. 캠부(460)가 상기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면서, 캠부(460)의 외주면이 동작 스위치부(532)의 캠 접촉부(532a)를 주동 회전축(O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고, 동작 스위치부(532)는 주동 회전축(O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며 고정 스위치부(531)와 접촉한다. 이 때, 센싱 단자(515)와 제1 단자(511)가 전기적으로 단락됨으로써 주동부(40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제2 상태에서 주동부(4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8(b)의 제2 상태의 캠부(460)가 소정의 회전 방향(R2)으로 180˚ 회전하여, 도 8(c)의 제1 상태로 변경된다. 캠부(460)가 상기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하면서, 동작 스위치부(532)의 탄성력에 의해 캠 접촉부(532a)는 주동 회전축(O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작 스위치부(532)는 고정 스위치부(531)와 이격된다. 이 때, 센싱 단자(515)와 제1 단자(511)가 전기적으로 개방됨으로써 주동부(40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제1 상태에서 주동부(4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모터(310)가 직류 모터인 경우, 동작 스위치부(532)와 고정 스위치부(531)의 접촉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 모터(310)가 정지되도록 기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시간은 주동부가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각(예를 들어, 예각 범위 내의 각도)을 더 회전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10')의 사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구동 장치(10)와 공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부품 구동 장치(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구동 장치(10')를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품 구동 장치(10')의 케이스(100)는 베이스 케이스(110)와 커버 케이스(120')와 가이드 케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케이스(170)는 커버 케이스(120')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 케이스(120')는 세탁수의 관로부(70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연결부(167)를 포함한다.
도 10은 도 9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른 밸브 동작부(600)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주동 회전축(Oa)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로부(700), 밸브 동작부(600) 및 부품 구동 장치(10')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여, 부품 구동 장치(10')는 밸브(630)를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주동부(400')를 포함한다.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라, 관로부(700)를 개폐하도록 밸브 동작부(600)가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왕복 이동한다. 부품 구동 장치(10')는 밸브(630)를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10)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고하여, 부품 구동 장치(10')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는 부품 구동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라 밸브 동작부(600)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본 개시에서, 주동부(400')에 연결되어 주동부(400')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이 왕복 이동하는 방향을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주동부(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성이 밀리는 방향을 제1 방향(D1)으로 정의하고 당겨지는 방향을 제2 방향(D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0(a)는 주동부(400')가 링크(610)를 제1 방향(D1)으로 밀어낸 상태인 제1 상태를 보여주고, 도 10(b)는 주동부(400')가 링크(610)를 제2 방향(D2)으로 당겨준 상태인 제2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태는 밸브(630)가 관로부(700)를 닫은 상태로서, 관로부(700) 내의 세탁수의 흐름이 차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상태는 밸브(630)가 관로부(700)를 열어준 상태로서, 관로부(700) 내로 세탁수(WF)가 흘러가게 된다.
도 10(a)의 제1 상태의 주동부(400')가 소정의 회전 방향(R1)으로 180˚ 회전하여, 도 10(b)의 제2 상태로 변경된다. 주동부(400')가 상기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면서, 주동 돌기(430)는 링크(610)의 일단을 제2 방향(D2)으로 당겨주고, 링크(610)의 타단에 연결된 밸브(630)가 관로부(700)를 열어준다. 여기서, 링크(610)의 제1 방향(D1) 말단의 링크 걸림부(617)의 후크(617a)가 밸브(630)의 이동 부재(631)에 걸려, 이동 부재(633)를 제2 방향(D2)으로 당겨준다.
도 10(b)의 제2 상태의 주동부(400')가 소정의 회전 방향(R2)으로 180˚ 회전하여, 도 10(a)의 제1 상태로 변경된다. 주동부(400')가 상기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하면서, 주동 돌기(430)는 링크(610)의 일단을 제1 방향(D1)으로 밀어주고, 링크(610)의 타단에 연결된 밸브(630)가 관로부(700)를 닫아준다. 여기서, 일단이 링크(610)에 지지단 탄성 부재(620)의 타단이 밸브(630)의 이동 부재(633)를 제1 방향(D1)으로 밀어준다.
도 11은 도 9의 부품 구동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밸브 동작부(600)는 상기 밸브(630)와, 주동 돌기(430)에 연결된 링크(61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610)의 일단에는 제1 및 제2 방향(D1, D2)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종동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 종동부(611)의 홈 또는 홀을 따라 주동 돌기(430)가 종동부(611)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밸브(630)는, 링크(610)에 제1 및 제2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부재(631)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630)는 이동 부재(631)에 결합되고 이동 부재(631)의 이동에 따라 관로부(700)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633)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동작부(600)는, 일단이 링크(61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이동 부재(631)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케이스(120')는 밸브 동작부(60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동작 가이드(166)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가이드(166)는 링크(610) 및 이동 부재(631)가 제1 및 제2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홀(166h)을 형성할 수 있다. 동작 가이드(166)는 링크(610) 및 이동 부재(631)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가이드 면(126a)을 포함할 수 있다.
부품 구동 장치(10')의 제1 축 방향(X1)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측방이 되도록 부품 구동 장치(10')가 세탁물 처리 장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부품 구동 장치의 배치 방향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상기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13(a)는 도 12의 모터 배치 단계(S10)에서 부품 구동 장치의 부품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2의 지지부 배치 단계(S20)에서 베이스 케이스(110)와 지지부(200)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c)는 도 12의 연결선 벤딩(bending) 단계(S30)에서 부품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조방법은 베이스 케이스(110) 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모터(310)를 배치시키는 모터 배치 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지지부(200)를 베이스 케이스(110)에 배치시키는 지지부 배치 단계(S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모터(310)의 반대 측(X1)으로 돌출된 제1 연결선(521)의 일 부분(521a) 및 제2 연결선(522)의 일 부분(522a)을 꺾는 연결선 벤딩 단계(S30)를 포함한다. 모터 배치 단계(S10)와 지지부 배치 단계(S20)와 연결선 벤딩 단계(S30)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연결선 벤딩 단계(S30) 후, 커버 케이스(120)가 지지부(200)를 덮도록 베이스 케이스(110)와 결합하는 커버 케이스 결합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와 커버 케이스(120)는 지지부(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와 커버 케이스(120)는 후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커버 케이스 배치 단계(S40) 후, 주동부(400)를 엔딩 기어(336)와 결합시키는 주동부 배치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부 배치 단계(S50)에서, 커버 케이스(120)의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된 엔딩 결합부(336b)와 주동부(400)의 주동 결합부(42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주동부(400)의 슬라이딩부(470)와 커버 케이스(120)의 주동 가이드부(125)가 서로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여, 모터 배치 단계(S10)에서 베이스 케이스(110)의 모터 배치부(114)에 모터 바디(318)가 안착될 수 있다. 모터 배치 단계(S10)에서 베이스 케이스(110)의 걸림 홈(114a)에 모터 걸림부(311)가 걸림될 수 있다.
지지부 배치 단계(S20)에서, 모터(310)의 반대 측(X1)에 제1 단자(511) 및 제2 단자(512)가 위치하도록, 지지부(200)로 모터(310)를 덮어줄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00)는 제1 단자(511)와 제2 단자(512)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 배치 단계(S20)에서, 제1 모터 단자부(315a) 및 제2 모터 단자부(315b)에 각각 연결된 제1 연결선(521) 및 제2 연결선(522)이 각각 지지부(200)를 가로지르도록, 지지부(200)를 베이스 케이스(110)에 배치시킨다. 제1 연결선(521) 및 제2 연결선(522) 각각은 축 방향(X1, X2)으로 지지부(200)를 가로지를 수 있다. 지지부 배치 단계(S20)에서, 제1 연결선(521) 및 제2 연결선(522) 각각은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제1 연결선 가이드(271) 및 제2 연결선 가이드(272)를 통해 지지부(200)를 가로지르도록, 지지부(200)를 베이스 케이스(110)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 배치 단계(S20)에서, 베이스 케이스(110)의 지지 돌기(118)가 지지부(200)의 돌기 삽입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200)를 베이스 케이스(110)에 배치하면, 지지부(200)의 가장자리는 베이스 케이스(110)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질 수 있다.
제1 연결선(521)보다 제2 연결선(522)이 길 수 있다. 여기서, 제2 연결선 가이드(272)는 지지부(200)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지지부(200)의 관통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선 가이드(271)는 지지부(200)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b)의 점선 a1을 참고하여, 지지부 배치 단계(S20)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제1 연결선(521)을 제1 연결선 가이드(271)의 홀로 관통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선(521)을 제1 연결선 가이드(271)의 홀로 관통한 상태에서 제2 연결선(522)이 제2 연결선 가이드(272)의 홈에 걸림되지 않더라도, 모터(310) 또는 지지부(200)를 회전시켜 제2 연결선(522)이 제2 연결선 가이드의 홈에 걸림되게 할 수 있다. 제2 연결선(522) 및 제2 연결선 가이드(272)의 홈이 점선 a2에 위치할 때, 제2 연결선(522)이 제2 연결선 가이드(272)의 홈에 걸림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310) 또는 지지부(200)를 상기 홀에 삽입된 제1 연결선(52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2 연결선(522)이 상기 홈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연결선 벤딩 단계(S30)에서, 제1 연결선(521) 및 제2 연결선(522)을 꺾어, 제1 연결선(521) 및 제2 연결선(522)을 각각 제1 단자(511) 및 제2 단자(512)에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연결선(521)은 제1 연결선 가이드(271)의 제1 축 방향(X1) 말단부에 의해 눌림으로써, 꺾어질 수 있다. 제2 연결선(522)은 제2 연결선 가이드(272)의 제1 축 방향(X1) 말단부에 의해 눌림으로써, 꺾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선(521)의 일 부분(521a)은 제1 연결선 걸림부(541)에 걸림되고, 제2 연결선(522)의 일 부분(522a)은 제2 연결선 걸림부(542)에 걸림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10' : 부품 구동 장치, 100: 케이스, 200: 지지부, 300: 구동부, 310: 모터, 320: 모터 기어, 330: 복수의 기어, 350: 복수의 샤프트, 400: 주동부, 430: 주동 돌기, 500: 전원 연결부, Oa: 주동 회전축, Og1, Og2, Og3: 기어 회전축, Om: 모터 회전축

Claims (19)

  1.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모터 단자부를 포함하고,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모터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전원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선을 안내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선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선은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선 가이드는,
    상기 제1 연결선을 안내하는 제1 연결선 가이드; 및 상기 제2 연결선을 안내하는 제2 연결선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선 가이드 및 상기 제2 연결선 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지지부의 관통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 중, 상기 홈에 의해 안내되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긴,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 각각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반대 측에서 꺾여 연장되는 일 부분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꺾여 연장되는 일 부분이 걸림되는 홈을 형성하는 연결선 걸림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선 가이드 및 상기 제2 연결선 가이드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터 단자부는 제1 모터 단자부 및 제2 모터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제1 모터 단자부와 상기 제1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선은 상기 제2 모터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모터 단자부는, 상기 제1 연결선 가이드의 홈 또는 홀의 연장 방향에 위치하고,
    제2 모터 단자부는, 상기 제2 연결선 가이드의 홈 또는 홀의 연장 방향에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반대 측에서 꺾여 연장되는 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선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반대 측에서 꺾여 연장되는 일 부분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연결선 가이드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2 연결선 가이드 사이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1 연결선 가이드는 상기 제1 연결선이 상기 지지부를 가로지르도록 안내하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연결선 가이드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제2 연결선이 걸림되는 홈을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지지부와 함께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베이스 케이스; 및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케이스와 결합하는 커버 케이스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하는 모터 축이 돌출되는 모터 바디; 및
    상기 모터 바디에서 돌출되는 모터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모터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상기 모터 바디와 접촉하는 모터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터 단자부가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모터 걸림부가 걸림되는 걸림 홈을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 및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캠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15. 세탁조 및 펄세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메인 모터와, 상기 회전력의 전달 여부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모터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를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속 모터;
    상기 부속 모터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부속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부속 모터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모터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전원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선을 안내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선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선은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선 가이드는,
    상기 제1 연결선을 안내하는 제1 연결선 가이드; 및 상기 제2 연결선을 안내하는 제2 연결선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선 가이드 및 상기 제2 연결선 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지지부의 관통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 중, 상기 홈에 의해 안내되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긴,
    세탁물 처리 장치.
  16.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개폐 여부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모터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를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모터 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전원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선을 안내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선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선은 제1 연결선 및 제2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선 가이드는,
    상기 제1 연결선을 안내하는 제1 연결선 가이드; 및 상기 제2 연결선을 안내하는 제2 연결선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선 가이드 및 상기 제2 연결선 가이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지지부의 관통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 중, 상기 홈에 의해 안내되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긴,
    세탁물 처리 장치.
  17. 베이스 케이스 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모터를 배치시키는 모터 배치 단계;
    상기 모터의 반대 측에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상기 모터를 덮어주되, 상기 모터의 제1 모터 단자부 및 제2 모터 단자부에 각각 연결된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1 연결선보다 긴 제2 연결선이 각각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는 제1 연결선 가이드 및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지지부의 관통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형성하는 제2 연결선 가이드를 통해 상기 지지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베이스 케이스에 배치시키는 지지부 배치 단계;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의 반대 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1 연결선의 일 부분 및 상기 제2 연결선의 일 부분을 꺾어, 상기 제1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을 각각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에 연결시키는 연결선 벤딩(bending)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배치 단계에서, 제1 연결선을 상기 제1 연결선 가이드의 홀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상기 모터 또는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 연결선이 상기 제2 연결선 가이드의 홈에 걸림되게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 벤딩 단계 후, 커버 케이스가 상기 지지부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 케이스와 결합하는 커버 케이스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80050883A 2018-05-02 2018-05-02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상기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KR102509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83A KR102509742B1 (ko) 2018-05-02 2018-05-02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상기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CN201980029324.9A CN112055767B (zh) 2018-05-02 2019-04-30 洗涤物处理设备用部件驱动装置、包含该装置的洗涤物处理设备及所述部件驱动装置的制造方法
PCT/KR2019/005211 WO2019212232A1 (ko) 2018-05-02 2019-04-30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상기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83A KR102509742B1 (ko) 2018-05-02 2018-05-02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상기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670A KR20190126670A (ko) 2019-11-12
KR102509742B1 true KR102509742B1 (ko) 2023-03-15

Family

ID=6838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883A KR102509742B1 (ko) 2018-05-02 2018-05-02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상기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09742B1 (ko)
CN (1) CN112055767B (ko)
WO (1) WO201921223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567A (ja) * 2002-10-28 2004-05-20 Nakagaw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用電動モータ内蔵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276A (ko) * 2002-07-11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배수모터의 배수구조
KR20040046237A (ko) * 2002-11-26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동력전달 모드 전환방법
CN202001700U (zh) * 2011-03-14 2011-10-05 常州乐士雷利电机有限公司 一种开闭控制装置
CN202327307U (zh) * 2011-11-16 2012-07-11 常州乐士雷利电机有限公司 一种阀开闭控制器
KR101344282B1 (ko) * 2012-04-02 2013-12-23 주식회사 에스 씨디 프릭션 기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용 도어 잠금 장치
CN202789601U (zh) * 2012-06-29 2013-03-13 日本电产株式会社 风扇
CN103276566B (zh) * 2013-06-18 2015-11-04 合肥日上电器有限公司 洗衣机排水阀牵引器
KR101588199B1 (ko) * 2013-09-12 2016-01-26 우리산업 주식회사 모터의 단자 연결구조
JP6446196B2 (ja) * 2014-07-28 2018-12-2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排水弁駆動装置
CN106899136B (zh) * 2015-12-21 2019-12-06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执行器
CN206226191U (zh) * 2016-11-25 2017-06-06 广东金力变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直流电机的接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1567A (ja) * 2002-10-28 2004-05-20 Nakagaw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用電動モータ内蔵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2232A1 (ko) 2019-11-07
CN112055767B (zh) 2023-01-17
CN112055767A (zh) 2020-12-08
KR20190126670A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966B1 (ko) 세탁기의 클러치 어셈블리
EP3626877B1 (en) Washing machine
WO2006037799A1 (en) Locking device for a moving element, particularly for a drum of a top-loading washing machine
KR102509742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상기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KR10241021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141972A (ko)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KR102560924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US20090211307A1 (en) Washing machine
KR20100083508A (ko)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EP2634304B1 (en) Laundry machine with connector support
KR102168505B1 (ko) 배수 모터
KR102616617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2537307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CN110886067B (zh) 洗涤物处理设备用驱动装置及包括该装置的洗涤物处理设备
KR20210142283A (ko) 세탁기
EP2660380B1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KR200467488Y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100020590A (ko) 드럼 세탁기
CN110036151B (zh) 电磁阀及包括该电磁阀的排水电机
KR100781252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배수모터 구조
US20230407545A1 (en) Washing machine including damper for damping vibration of tub
KR101375719B1 (ko) 드럼세탁기
EP2357273B1 (en) Bobbin case removing and attaching mechanism for loop taker
KR10241021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232033Y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