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307B1 -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307B1
KR102537307B1 KR1020180050885A KR20180050885A KR102537307B1 KR 102537307 B1 KR102537307 B1 KR 102537307B1 KR 1020180050885 A KR1020180050885 A KR 1020180050885A KR 20180050885 A KR20180050885 A KR 20180050885A KR 102537307 B1 KR102537307 B1 KR 102537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ain
moving member
guid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672A (ko
Inventor
양강주
박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씨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to KR102018005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307B1/ko
Priority to CN201980029334.2A priority patent/CN112074636B/zh
Priority to PCT/KR2019/005213 priority patent/WO2019212234A1/ko
Publication of KR2019012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는, 세탁수의 관로부에 연결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력을 전달 받아 주동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주동부; 상기 주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동부가 회전할 때 상기 주동 회전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크; 상기 링크에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부를 닫고, 상기 이동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부를 여는 밸브; 및 일단이 상기 링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면을 가진 동작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WASHING WATER PIPE SECTION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세탁수 관로부를 개폐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 장치에는 세탁기, 탈수기, 의류건조기 등이 알려져 있다.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cabinet)과, 캐비닛 내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tub)와,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세탁조(또는 탈수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터브 내의 세탁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관과, 배수관의 개폐 여부를 변경하도록 동작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본 개시의 해결 과제는 세탁수 관로부의 개폐를 안정적이고 정확히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해결 과제는 세탁수 관로의 개폐 동작을 효율적으로 안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는, 세탁수의 관로부에 연결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력을 전달 받아 주동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주동부; 상기 주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동부가 회전할 때 상기 주동 회전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크; 상기 링크에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부를 닫고, 상기 이동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부를 여는 밸브; 및 일단이 상기 링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면을 가진 동작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세탁수 처리 장치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관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상기 관로부에 연결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력을 전달 받아 주동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주동부; 상기 주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동부가 회전할 때 상기 주동 회전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크; 상기 링크에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부를 닫고, 상기 이동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부를 여는 밸브; 및 일단이 상기 링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면을 가진 동작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세탁수 관로부의 개폐 동작이 기설정된대로 안정적이고 정확히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나의 상기 동작 가이드를 통해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을 모두 가이드할 수 있어, 효율적인 가이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일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다른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케이스(100)에 구동부(300)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입면도이고, 도 4(b)는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를 도 4(a)의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른 밸브 동작부(600)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 S2-S2'를 따라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를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 언급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기(건조시스템 구비된 세탁기 포함), 의류 건조기, 탈수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닛(미도시)과, 상기 케비닛 내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관의 일부는 밸브(630)가 배치되는 관로부(700)이다. 본 개시에 언급되는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는 상기 밸브(630)을 구동시키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사시도이다.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는 세탁수의 관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는 관로부(700)에 연결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상기 케비닛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는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는, 관로부(700)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는 밸브 동작부(미도시)와, 밸브 동작부(600)를 동작시키도록 회전하는 주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의 모터(미도시)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주동부(미도시)에 전달되어, 주동부(40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케이스(100)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다른 구성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상기 터브의 하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관로부(700)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베이스 케이스(110)와 바디 케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가이드 케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60)는 제1 축 방향(X1)에 배치되고, 베이스 케이스(110)는 제2 축 방향(X2)에 배치된다. 가이드 케이스(170)는 바디 케이스(160)의 제1 축 방향(X1)에 배치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축 방향(X1, X2)은 도 2에서 후술하는 주동 회전축(Oa)이 연장되는 양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양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제1 축 방향(X1)으로 정의하고 다른 하나를 제2 축 방향(X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제1 축 방향(X1)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측방이 되도록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가 세탁물 처리 장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배치 방향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100)는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100)는 상기 내부 공간 내에 후술하는 구동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상기 내부 공간 내에 후술하는 전원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주동부(400)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와 바디 케이스(160)는 서로 결합된다. 바디 케이스(160)와 가이드 케이스(170)는 서로 결합된다.
케이스(100)에는 세탁물 처리 장치의 다른 구성에 결합하기 위해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체결 홀(100h)을 형성할 수 있다. 서로 포개지는 베이스 케이스(110)의 베이스 체결부(111)와 바디 케이스(160)의 커버 체결부(161)를 관통하는 체결 홀(100h)이 형성될 수 있다.
주동부(400)는 바디 케이스(160)의 제1 축 방향(X1)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케이스(170)는 주동부(400)를 덮어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일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다른 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각각의 구성 요소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로부(700)는 밸브(630)의 상류측에서 세탁수를 안내하는 관로 상류부(710)와 밸브(630)의 하류측에서 세탁수를 안내하는 관로 하류부(720)를 포함한다. 관로부(700)는 관로 상류부(710)와 관로 하류부(720)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밸브 배치부(730)를 포함한다.
밸브 배치부(730)의 내부에 밸브(630)가 배치되는 밸브 배치 공간(730h)이 형성된다. 밸브 배치 공간(730h)은 세탁수가 흘러가는 유로의 연장선상에 배치된다.
관로부(700)는 케이스(100)와 결합하는 관로 결합부(73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의 연결 체결부(167b)와 관로 결합부(731)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00)의 연결부(167)가 밸브 배치 공간(730h)의 개구부를 닫아줄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복수의 쌍의 베이스 체결부(111a, 111b, 111c)와 커버 체결부(161a, 161b, 161b)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에는 복수의 베이스 체결부(111a, 111b, 111c)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60)에는 복수의 베이스 체결부(111a, 111b, 111c)와 각각 대응되게 결합하는 커버 체결부(161a, 161b, 161b)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60)에는 주동부(400)가 관통하는 홀(160h)이 형성된다. 홀(160h)은 바디 케이스(160)의 제1 축 방향(X1)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60)를 기준으로 제1 축 방향(X1)으로 주동 돌기(430)가 위치하고 제2 축 방향(X2)으로 캠부(460)가 위치하도록, 주동부(400)가 배치된다.
케이스(100)에 주동부(40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주동부(400)의 회전을 안내하는 주동 가이드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가이드부(165)는 주동부(400)의 슬라이딩부(470)와 접촉한다. 주동 가이드부(165)는 홀(160h)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주동 가이드부(165)는 바디 케이스(160)에서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후술할 단자(510)를 수용하는 단자 하우징(164)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 하우징(164)은, 케이스(100)의 외부로부터 단자의 대응 구성이 단자(510)에 접속 가능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한다.
케이스(100)는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홀(166h)을 형성하는 동작 가이드(166)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가이드(166)는 가이드 홀(166h)을 구획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인 가이드 면(166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면(166a)은 제1 및 제2 방향(D1, D2)을 중심으로 한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본 개시에서, 주동부(400)에 연결되어 주동부(400)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밸브 동작부(600)가 왕복 이동하는 방향을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주동부(400)의 회전에 의해 밸브 동작부(600)가 밀리는 방향을 제1 방향(D1)으로 정의하고, 당겨지는 방향을 제2 방향(D2)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동작 가이드(166)는 레일부(166b)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166b)를 따라 이동 부재(631)의 레일 대응부(631e)가 슬라이딩(sliding)할 수 있다. 레일부(166b)는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부(166b)는 가이드 홀(166h)을 구획하는 면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동작 가이드(166) 및 연결부(167)는 바디 케이스(160)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67)의 중앙부에 동작 가이드(166)가 배치될 수 있다. 동작 가이드(166)는 전체적으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원통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60)는 주동부(400)의 가장자리를 이격되어 둘러싸는 측벽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62)는 바디 케이스(160)의 제1 축 방향(X1) 측면에서 돌출된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62)는 연결부(167)에 연결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60)는 가이드 케이스(170)와의 결합을 위해 구성된 바디 결합 대응부(168, 16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케이스 결합부(178, 179)는 각각 바디 결합 대응부(168, 169)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케이스(170)는 측벽부(162)의 제1 축 방향(X1)에서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케이스(170)는 링크(610) 및 이동 부재(631) 중 링크(610)만 접촉하여 링크(610)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가이드(171)를 포함한다. 보조 가이드(171)는 링크(610)에 접촉하는 보조 가이드 면(171a)을 포함한다. 보조 가이드(171)는 보조 케이스(100)의 제1 축 방향(X1)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가이드 면(171a)은 제1 축 방향(X1)으로 함몰되어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연장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 면(171a)은 가이드 면(166a)의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케이스(170)는 보조 가이드(171) 및 가이드 케이스 결합부(178, 179)가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17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72)는 보조 가이드(171)와 함께 주동부(400)의 제1 축 방향(X1)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을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구동부(300)는 케이스(100) 내에 배치되는 모터(310)를 포함한다. 이 모터(310)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주동부(400)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310)는 직류 모터일 수 있다.
케이스(100)는 모터(310)가 배치되는 모터 배치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는 지지부(200)와 함께 모터(310)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는 복수의 기어(330)가 배치되는 기어 배치 공간(110a)을 형성할 수 있다.
모터(310)는 밸브 동작부(600)를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모터(310)는 전원 연결부(5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한다. 모터(310)는 발생된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의 축(312)을 포함한다. 모터의 축(312)은 모터 회전축(Om)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개시에서, 모터 회전축(Om)은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구동부(300)는 모터의 축(312)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모터 기어(320)를 포함한다. 모터 기어(320)는 모터 회전축(Om)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모터 기어(320)는 웜 기어일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는 모터 기어(3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서로 순차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330)를 포함한다. 복수의 기어(330)는, 모터 기어(320)의 회전 속도보다 감속된 회전 속도로 주동부(40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복수의 감속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기어 중 서로 맞물리는 2개의 기어 중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의 회전 속도보다 회전력을 전달 받는 기어의 회전 속도가 작아진다.
복수의 기어(330) 각각은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 중 어느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 중 어느 하나(Og2)는 주동 회전축(Oa)과 일치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은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기어 회전축(Og1, Og2, Og3)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어 회전축(Og1, Og2, Og3) 상에 배치되는 샤프트가 구비될 수도 있고, 기어 회전축(Og1, Og2, Og3)을 따라 돌출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부(300)는 기어 회전축(Og1, Og2, Og3)의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샤프트(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샤프트(350) 각각은 복수의 기어(330) 중 일부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샤프트(350)는, 기어 회전축(Og1)을 따라 연장된 제1 샤프트(351)와, 기어 회전축(Og2)을 따라 연장된 제2 샤프트(352)와, 기어 회전축(Og3)을 따라 연장된 제3 샤프트(35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주동부(400)의 회전을 안내하는 주동 가이드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가이드부(165)는 바디 케이스(160)에 형성될 수 있다. 주동부(400)는 주동 가이드부(165)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부(400)의 슬라이딩부(470)는 주동부(4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470)는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주동 가이드부(165)는 주동부(400)의 슬라이딩부(470)에 접촉하는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주동 가이드부(165)는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주동부(400)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주동부(400)는 회전하며 케이스(100)에 슬라이딩(sliding)하게 구비된다. 본 개시에서, 주동 회전축(Oa)은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주동 회전축(Oa)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동 회전축(Oa) 상에 배치되는 샤프트가 구비될 수도 있고, 주동 회전축(Oa)을 따라 돌출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주동부(400)는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주동부(400)는 복수의 기어(3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주동부(400)는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동 바디(410)를 포함한다. 주동부(400)는 주동 회전축(O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주동 돌기(430)를 포함한다. 주동 돌기(430)는 주동 바디(410)에서 돌출된다. 주동 돌기(430)는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된다.
주동부(400)는 복수의 기어(3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주동 결합부(420)를 포함한다. 주동 결합부(420)는 주동 바디(41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주동 바디(410)는 중앙에 주동 회전축(Oa)을 따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을 구획하는 내주면 상에 주동 결합부(420)가 형성된다.
주동부(400)는 주동 가이드부(165)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47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470)는 주동 바디(410)의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외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주동부(400)는 모터(310)의 상기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460)를 포함한다. 캠부(460)의 외주면은 부분에 따라 주동 회전축(Oa)으로부터 이격 거리가 달라진다.
또한, 주동부(400)는 주동 바디(410)가 후술할 엔딩 기어(336)로부터 축 방향(X1, X2)으로 분리되지 않게 막아주는 체결부재(49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490)는 엔딩 기어(336)에 체결된다.
전원 연결부(500)는 전원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단자(510)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510)는 제1 단자(511)와 제2 단자(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511)와 제2 단자(512)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전원 연결선(520)에 의해,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500)는 스위치의 단락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스위치부(531, 53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싱 단자(5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500)는 모터(310)와 상기 단자(511, 5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전원 연결선(5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원 연결선(520)은 지지부(200)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전원 연결선(520)은, 모터(310)의 일 단자(미도시)와 제1 단자(5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선(521)과, 모터의 다른 단자(미도시)와 제2 단자(5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선(5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부(500)는 지지부(200)에 배치되는 스위치(5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530)는 캠부(460)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530)는 캠부(460)의 회전에 따라 접촉 여부가 변경되는 복수의 스위치부(531, 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부(531, 532) 중 어느 하나는 제1 단자(511)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센싱 단자(515)와 연결된다. 복수의 스위치부(531, 532)는 캠부(460)와 접촉하는 동작 스위치부(532)와, 캠부(460)와 이격된 고정 스위치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캠부(460)의 회전에 따라 동작 스위치부(532)가 동작함으로써, 동작 스위치부(532)와 고정 스위치부(531)의 접촉 여부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동부(400)의 회전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는 전원 연결부(5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지지부(200)는 전원 연결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케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엔딩 기어(336)가 관통하는 가이드 홀(200h)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홀(200h)을 통해 후술할 엔딩 결합부(336b)가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후술할 엔딩 기어(336)의 슬라이딩부(336c)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기어 가이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가이드부(211)는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지지부(200)는 케이스(100)의 내부를 주동 회전축(Oa)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지지부(200)는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며 배치되는 지지 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케이스(110)와 바디 케이스(160)는 지지부(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한다. 베이스 케이스(110)는 제1 축 방향(X1)으로 돌출된 케이스 돌기(118)를 포함하고, 지지부(200)는 케이스 돌기(118)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돌기 삽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케이스 돌기(118)와 복수의 돌기 삽입부(230)가 구성될 수 있다.
밸브 동작부(600)는 주동부(400)의 회전에 의해 동작한다. 밸브 동작부(600)를 설명하기 위해, 밸브 동작부(600)의 중심을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밸브 이동축(Ov)을 정의할 수 있다.
밸브 동작부(600)는 주동부(40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링크(610)를 포함한다. 링크(610)는 주동 돌기(430)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링크(610)는 주동 돌기(430)가 삽입되는 홈 또는 홀(611a)을 형성하는 종동부(6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종동부(611)는 홈(611a)을 형성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없이 종동부(611)가 홀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종동부(611)의 홈 또는 홀(611a)은 주동 회전축(Oa) 및 제1 방향(D1)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 또는 홀(611a)은 제1 방향(D1)으로의 폭보다 주동 회전축(Oa) 및 제1 방향(D1)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홈 또는 홀(611a)은 제1 축 방향(X1)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링크(610)는 이동 부재(631)의 삽입구(631a)로 삽입되는 링크 삽입부(615)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삽입부(615)는 링크의 슬라이딩부(613)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링크 삽입부(615)는 밸브 이동축(Ov)을 중심으로 한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링크(610)는 가이드 면(16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610)의 슬라이딩부(613)는 링크 삽입부(615)의 제2 방향(D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610)의 슬라이딩부(613)는 밸브 이동축(Ov)을 중심으로 한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링크(610)는 링크 삽입부(615)와 슬라이딩부(613)을 연결하는 면을 형성하는 단차부(614)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614)의 밸브 이동축(Ov)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폭은 삽입구(631a)의 밸브 이동축(Ov)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단차부(614)는 이동 부재(631)의 제2 방향(D2) 말단을 마주볼 수 있다.
링크(610)는 이동 부재(631)의 걸림 홀(631d1)을 제1 방향(D1)으로 통과하는 링크 걸림부(617)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걸림부(617)는 링크 삽입부(615)에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링크 걸림부(617)의 제1 방향(D1) 말단부에 후크(617a)가 형성된다. 후크(617a)는 링크 걸림부(617)가 걸림 홀(631d1)을 통해 제2 방향(D2)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이동 부재(631)에 걸릴 수 있다. 후크(617a)는 밸브 동작부(600)의 작동 상태에 따라 이동 부재(631)에 걸림된 상태 및 이격된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다(후술하는 도 5 참고).
밸브 동작부(600)는 링크(610)와 이동 부재(631) 사이에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하게 구성되는 탄성 부재(620)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620)는 삽입구(631a)를 통해 이동 부재(63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620)의 일단은 링크 삽입부(615)의 제1 방향(D1) 말단에 지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620)의 타단은 이동 부재(631)의 걸림 홀(631d1) 주변(걸림 대응부(631d))에 형성된 부분에 지지될 수 있다. 링크(61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 시 탄성 부재(620)는 탄성 압축 변형되고, 링크(61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 시 탄성 부재(620)는 늘어나며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밸브 동작부(600)는 링크(610)의 동작에 따라 관로부(700)를 개폐하는 밸브(630)를 포함한다. 밸브(630)는 링크(610)와 탄성 부재(620)에 의해 연결된 이동 부재(631)와, 이동 부재(631)와 결합하여 관로부(700)를 직접 개폐하는 개폐 부재(6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부재(631)는 가이드 면(16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613b)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613b)는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613b)는 밸브 이동축(Ov)을 중심으로 한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방향(D2) 측에 형성된 삽입구(631a)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구(631a)는 슬라이딩부(613b)의 제2 방향(D2)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631)는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관통하는 걸림 홀(631d1)을 형성하는 걸림 대응부(631d)를 포함할 수 있다(후술하는 도 5 참고). 걸림 홀(631d1)은 밸브 이동축(Ov)을 따라 걸림 대응부(631e)를 관통한다. 걸림 대응부(631e)는 삽입구(631a) 내에 배치된다.
이동 부재(631)는 개폐 부재(633)와 결합하는 걸림부(631c)를 포함한다. 걸림부(631c)에 의해 개폐 부재(633)가 동작할 수 있다. 걸림부(631c)는 슬라이딩부(631b)의 제1 방향(D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631c)는 밸브 이동축(Ov)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631c)는 밸브 이동축(Ov)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동 부재(631)는 레일부(166b)와 맞물리는 레일 대응부(631e)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대응부(631e)는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개폐 부재(633)는 이동 부재(631)에 결합된다. 개폐 부재(633)는 이동 부재(631)의 이동에 따라 관로부(700)를 개폐한다.
개폐 부재(633)는 이동 부재(631)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633h)을 형성할 수 있다. 개폐 부재(633)는 제2 방향(D2)으로 내부 공간(633h)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 공간(633h)의 개구부를 통해 이동 부재(631) 및 링크(610)가 이동할 수 있다.
개폐 부재(633)는 관로부(700)의 내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면부(6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633b)는 개폐 부재(633)의 제1 방향(D1)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개폐 부재(633)는 밸브 이동축(Ov)을 중심으로 한 둘레를 형성하는 측면부(633a)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633a)의 제1 방향(D1) 말단은 전면부(633b)와 연결되고, 제2 방향(D2) 말단은 케이스(100)의 연결부(167)에 고정될 수 있다. 측면부(633a)는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주름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a)는 도 2의 케이스(100)에 구동부(300)가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입면도이고, 도 4(b)는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를 도 4(a)의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여, 구동부(3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기어(330)는,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 중 어느 하나(Og2)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2개 이상의 기어(332, 334, 336)로 이루어진 제1 기어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330)는, 복수의 기어 회전축(Og1, Og2, Og3) 중 다른 하나(Og3)를 중심으로 회전하되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2개 이상의 기어(333, 335)로 이루어진 제2 기어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330)는 모터 기어(320)에 맞물려 회전하는 스타팅(starting) 기어(331)를 포함한다. 스타팅 기어(331)는 기어 회전축(Og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330)는 주동부(400)와 일체로 회전 하는 엔딩(ending) 기어(336)를 포함한다. 엔딩 기어(336)는 기어 회전축(Og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지지부(200)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어느 한 전달 기어(445)와 맞물려 회전한다.
본 개시에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와 "일체로 회전"한다는 것은,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동일한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 회전속도 및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결합(또는 연결)되어 같이 회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1 구성요소가 제3 구성요소에 결합(또는 연결)되고 제3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결합(또는 연결)되어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복수의 기어(330)는 스타팅 기어(331)의 회전력을 엔딩 기어(336)로 전달하는 복수의 전달 기어(332, 333, 334, 3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달 기어(332, 333, 334, 335)는, 스타팅 기어(33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전달 기어(332)와, 제1 전달 기어(33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전달 기어(333)와, 제2 전달 기어(333)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3 전달 기어(334)와, 제3 전달 기어(334)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4 전달 기어(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351)는 스타팅 기어(331)를 관통한다. 제2 샤프트(352)는 제1 전달 기어(332)와 제3 전달 기어(334)를 관통한다. 제3 샤프트(353)는 제2 전달 기어(333)와 제4 전달 기어(335)를 관통한다.
샤프트(350)의 적어도 일단이 케이스(100)에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351, 353)의 타단은 지지부(200)에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352)의 타단은 엔딩 기어(336)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주동부(400)는 복수의 기어(3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주동 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결합부(420)는 엔딩 기어(336)와 결합된다. 주동 결합부(420)에 의해 엔딩 기어(336)의 회전력이 주동부(400)에 전달된다. 주동부(400)는 엔딩 기어(336)와 일체로 회전한다.
주동 결합부(420)는 축 방향(X1, X2)으로 연장되고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으로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엔딩 기어(336)의 엔딩 결합부(336b)는 주동 결합부(420)의 복수의 홈에 맞물리는 형상의 복수의 이(teeth)를 형성한다.
엔딩 기어(336)는 어느 한 전달 기어(335)와 맞물리는 엔딩 종동 기어부(336a)를 포함할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주동부(400)와 결합되는 엔딩 결합부(336b)를 포함할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엔딩 종동 기어부(336a)를 통해 전달 기어(33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고, 엔딩 결합부(336b)를 통해 주동부(40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엔딩 기어(336)는 엔딩 종동 기어부(336a)와 엔딩 결합부(336b)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336c)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36c)의 제1 축 방향(X1)에 엔딩 결합부(336b)가 위치하고 제2 축 방향(X2)에 엔딩 종동 기어부(336a)가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336c)는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외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른 밸브 동작부(600)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주동 회전축(Oa)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로부(700) 및 밸브 동작부(600)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는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의 주동부(400)의 회전에 따라 밸브 동작부(600)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 5(a)는 주동부(400)가 링크(610)를 제1 방향(D1)으로 밀어낸 상태인 제1 상태를 보여주고, 도 5(b)는 주동부(400)가 링크(610)를 제2 방향(D2)으로 당겨준 상태인 제2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제1 상태는 밸브(630)가 관로부(700)를 닫은 상태로서, 관로부(700) 내의 세탁수의 흐름이 차단된다. 상기 제2 상태는 밸브(630)가 관로부(700)를 열어준 상태로서, 관로부(700) 내로 세탁수(WF)가 흘러가게 된다.
도 5(a)의 제1 상태의 주동부(400)가 소정의 회전 방향(R1)으로 180˚ 회전하여, 도 5(b)의 제2 상태로 변경된다. 주동부(400)가 상기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면서, 주동 돌기(430)는 링크(610)의 일단을 제2 방향(D2)으로 당겨주고, 링크(610)의 타단에 연결된 밸브(630)가 관로부(700)를 열어준다. 여기서, 링크(610)의 제1 방향(D1) 말단의 링크 걸림부(617)의 후크(617a)가 밸브(630)의 이동 부재(631)에 걸려, 이동 부재(633)를 제2 방향(D2)으로 당겨준다.
도 5(b)의 제2 상태의 주동부(400)가 소정의 회전 방향(R2)으로 180˚ 회전하여, 도 5(a)의 제1 상태로 변경된다. 주동부(400)가 상기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하면서, 주동 돌기(430)는 링크(610)의 일단을 제1 방향(D1)으로 밀어주고, 링크(610)의 타단에 연결된 밸브(630)가 관로부(700)를 닫아준다. 여기서, 일단이 링크(610)에 지지단 탄성 부재(620)의 타단이 밸브(630)의 이동 부재(633)를 제1 방향(D1)으로 밀어준다.
도 6은 도 5의 라인 S2-S2'를 따라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10)를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를 참고하여, 주동부(400)는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주동 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링크(610)는 주동부(400)와 연결되어, 주동부(400)가 회전할 때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방향(D1)은 주동 회전축(Oa)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이다. 이동 부재(631)는 링크(610)에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밸브(630)는 이동 부재(631)가 제1 방향(D1)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관로부(700)를 닫는다(도 5(a) 참고). 여기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이동 부재(631)가 제1 방향(D1)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밸브(630)는 이동 부재(631)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관로부를 연다(도 5(b) 참고). 밸브(630)는 이동 부재(631)가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관로부(700)를 열도록 구성된다.
탄성 부재(620)의 일단은 링크(610)에 의해 지지된다. 탄성 부재(620)의 타단은 이동 부재(631)에 의해 지지된다.
링크(61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때, 링크(610)는 탄성 부재(620)의 일단을 제1 방향(D1)으로 밀어주고, 탄성 부재(620)의 타단은 이동 부재(631)를 제1 방향(D1)으로 밀어준다. 링크(61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도중 이동 부재(631)가 상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면, 그 이후에는 링크(610)가 제1 방향(D1)으로 더 이동하더라도, 이동 부재(631)는 소정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탄성 부재(620)가 압축된다. 이 때, 링크(610)의 후크(617a)는 이동 부재(631)의 걸림 대응부(631d)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된다.
이동 부재(631)가 상기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고 후크(617a)가 걸림 대응부(631d)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링크(610)가 제2 방향(D2)으로 소정 범위까지 이동하더라도, 이동 부재(631)는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며, 탄성 부재(620)는 늘어난다. 링크(610)가 제2 방향(D2)의 상기 소정 범위 이상 이동하면, 후크(617a)가 걸림 대응부(631d)에 접촉하여 이동 부재(631)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한다.
동작 가이드(166)의 가이드 면(166a)은 링크(610) 및 이동 부재(6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링크(610) 및 이동 부재(631)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가이드 면(166a)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상태에서 링크(610)에 접촉하고 제2 상태에서 이동 부재(631)에 접촉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면(166a)의 제2 방향(D2) 측에 배치된 표면은 제1 상태에서 링크(610)의 슬라이딩부(613)에 접촉하고 제2 상태에서 이동 부재(631)의 슬라이딩부(631b)에 접촉한다.
이동 부재(631)의 슬라이딩부(631b)의 외표면은 링크(610)의 슬라이딩부(613)의 외표면의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된다. 하나의 단면 상에서, 밸브 이동축(Ov)과 슬라이딩부(631b)의 외표면까지의 거리는 밸브 이동축(Ov)과 슬라이딩부(613)의 외표면까지의 거리와 같을 수 있다.
링크 삽입부(615)의 외표면은, 밸브 이동축(Ov)에 대해, 링크(610)의 슬라이딩부(613)의 외표면 및 이동 부재(631)의 슬라이딩부(631b)의 외표면보다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단차부(614)는 링크 삽입부(615)의 외표면과 슬라이딩부(613)의 외표면 사이를 연결하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일부(166b) 및 레일 대응부(631d) 중, 어느 하나는 제1 및 제2 방향(D1, D2)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부(166b)가 상기 리브를 형성하고, 레일 대응부(631d)가 상기 홈을 형성한다. 링크(610)는 레일부(166b)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걸림 대응부(631d)는 이동 부재(631)의 내부를 가로지르며 배치될 수 있다. 걸림 대응부(631d)는 이동 부재(631)의 내부를 제1 및 제2 방향(D1, D2)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걸림 대응부(631d)는 제1 방향(D1)으로 관통하는 걸림 홀(631d1)을 형성한다. 걸림 홀(631d1)은 밸브 이동축(Ov)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대응부(631d)는 걸림 홀(631d1)의 주위에서 제1 방향(D1)으로 돌출된 돌출부(631d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31d2)는 걸림 홀(631d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링크 걸림부(617)는 이동 부재(631)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631d2)가 걸림되는 후크 홈(617b)을 형성할 수 있다. 후크 홈(617b)은 제1 방향(D1)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링크(610)가 제2 방향(D2)의 상기 소정 범위 이상 이동하면, 돌출부(631d2)가 후크 홈(617b)에 걸림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링크(610)와 이동 부재(631)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링크(610)가 이동 부재(631)를 제2 방향(D2)으로 당겨줄 수 있다.
후크 홈(617b)은 후크(617a)의 제2 방향(D2)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617a)는 밸브 이동축(Ov)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100: 케이스, 166: 동작 가이드, 200: 지지부, 300: 구동부, 400: 주동부, 430: 주동 돌기, 500: 전원 연결부, 600: 밸브 동작부, 610: 링크, 620: 탄성 부재, 630: 밸브, 631: 이동 부재, 633: 개폐 부재, 700: 관로부, Oa: 주동 회전축, Og1, Og2, Og3: 기어 회전축, Om: 모터 회전축, Ov: 밸브 이동축

Claims (14)

  1. 세탁수의 관로부에 연결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력을 전달 받아 주동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주동부;
    상기 주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동부가 회전할 때 상기 주동 회전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크;
    상기 링크에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부를 닫고, 상기 이동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부를 여는 밸브; 및
    일단이 상기 링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면을 가진 동작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가이드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을 구획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 면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가이드 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부의 외표면은 상기 링크의 슬라이딩부의 외표면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이동 부재의 제2 방향 측에 형성된 삽입구로 삽입되는 링크 삽입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삽입부의 외표면은, 상기 이동 부재의 중심을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밸브 이동축에 대해, 상기 링크의 슬라이딩부의 외표면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부의 외표면보다 가깝게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슬라이딩부는 상기 링크 삽입부의 제2 방향 측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관통하는 걸림 홀을 형성하는 걸림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걸림 홀을 제1 방향으로 통과하는 링크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대응부는 상기 걸림 홀의 주위에서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걸림부는 상기 이동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가 걸림되고 제1 방향으로 함몰된 후크 홈을 형성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 중 상기 링크만 접촉하여 상기 링크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가이드 면을 가진 가이드 케이스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 면은 상기 가이드 면의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가이드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레일부와 맞물리는 레일 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 및 상기 레일 대응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레일부와 이격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이동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관로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부는 상기 주동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주동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주동 돌기가 삽입되는 홈 또는 홀을 형성하는 종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부의 상기 홈 또는 홀은 상기 주동 회전축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주동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주동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동부는 상기 주동 가이드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14.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관로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에 연결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력을 전달 받아 주동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주동부;
    상기 주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동부가 회전할 때 상기 주동 회전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링크;
    상기 링크에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부를 닫고, 상기 이동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부를 여는 밸브; 및
    일단이 상기 링크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여 상기 링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면을 가진 동작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가이드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을 구획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 면이고,
    상기 링크는 상기 가이드 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부의 외표면은 상기 링크의 슬라이딩부의 외표면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20180050885A 2018-05-02 2018-05-02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2537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85A KR102537307B1 (ko) 2018-05-02 2018-05-02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CN201980029334.2A CN112074636B (zh) 2018-05-02 2019-04-30 洗涤物处理设备用洗涤水管路部开闭装置及包含该装置的洗涤物处理设备
PCT/KR2019/005213 WO2019212234A1 (ko) 2018-05-02 2019-04-30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85A KR102537307B1 (ko) 2018-05-02 2018-05-02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672A KR20190126672A (ko) 2019-11-12
KR102537307B1 true KR102537307B1 (ko) 2023-05-26

Family

ID=6838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885A KR102537307B1 (ko) 2018-05-02 2018-05-02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37307B1 (ko)
CN (1) CN112074636B (ko)
WO (1) WO201921223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30B1 (ko) * 2011-11-04 2012-04-20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배수모터와 플런저 밸브가 일체화 된 세탁기 배수장치
KR101353324B1 (ko) * 2011-08-19 2014-01-20 삼천산업 주식회사 세탁기의 배수밸브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365B2 (ja) * 1991-12-20 1997-0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たく機の排水制御装置
KR20030092201A (ko) * 2002-05-27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배수밸브 어셈블리
JP4603826B2 (ja) * 2004-06-29 2010-12-22 中川電化産業株式会社 モータ駆動式排水弁
CN203878374U (zh) * 2014-06-19 2014-10-15 南京中川电化有限公司 一种排水电机与柱塞阀一体的洗衣机排水装置
CN105177936B (zh) * 2015-08-06 2017-10-13 徐定善 波轮单桶洗衣机排水阀
KR101716704B1 (ko) * 2015-09-17 2017-03-16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세탁기용 버블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324B1 (ko) * 2011-08-19 2014-01-20 삼천산업 주식회사 세탁기의 배수밸브 구동장치
KR101137530B1 (ko) * 2011-11-04 2012-04-20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배수모터와 플런저 밸브가 일체화 된 세탁기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2234A1 (ko) 2019-11-07
KR20190126672A (ko) 2019-11-12
CN112074636B (zh) 2023-05-30
CN112074636A (zh)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30321A (ja) 洗濯機
KR10241021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37307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용 세탁수 관로부 개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2643352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80258574A1 (en) Washing Machine
KR102560924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2509742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용 부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상기 부품 구동 장치의 제조방법
KR102616617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용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2168505B1 (ko) 배수 모터
KR10096024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CN114502791B (zh) 添加剂供应单元及包括其的洗衣机
KR100878929B1 (ko)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CN110886067B (zh) 洗涤物处理设备用驱动装置及包括该装置的洗涤物处理设备
CN113862968A (zh) 一种筒体组件及洗衣设备
KR20210142283A (ko) 세탁기
JP6199300B2 (ja) ケーブル装置
KR20210144434A (ko) 가전기기
KR20100020590A (ko) 드럼 세탁기
KR100650788B1 (ko) 드럼 세탁기 운반용 고정장치
KR20200059015A (ko) 도어 열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160117950A (ko) 지지장치 및 상기 지지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120043261A (ko) 세탁기
KR102410218B1 (ko) 의류처리장치
CN114502792B (zh) 添加剂供应单元及包括其的洗衣机
KR20190072209A (ko) 세탁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