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929B1 -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929B1
KR100878929B1 KR1020070056091A KR20070056091A KR100878929B1 KR 100878929 B1 KR100878929 B1 KR 100878929B1 KR 1020070056091 A KR1020070056091 A KR 1020070056091A KR 20070056091 A KR20070056091 A KR 20070056091A KR 100878929 B1 KR100878929 B1 KR 100878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box
washing machine
box
cam
rot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817A (ko
Inventor
설용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92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는, 세탁기의 박스 안치홈에 삽입된 세제박스를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견인핀과, 상기 박스 안치홈의 일측벽에 결합되는 것으로 세제박스의 인출 방향을 따라 레일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박스 안치홈의 일측벽에 구비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연동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견인핀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시 위치 변위를 보상하기 위한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회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는, 자동 및 수동을 겸하여 세제박스의 안정된 인출입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 향상에 따른 제품 경쟁력 및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세탁기, 세제박스, 자동, 수동, 인출입

Description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Apparatus to draw out Of Detergent box for washing machine}
도 1은 일반적인 드럼형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박스 인출장치가 적용된 드럼형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의 적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인출장치에 의한 세제박스의 인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탁기 3 : 세제박스
4 : 박스 안치홈 5 : 도어
7 : 조작패널 9 : 세제박스
10 : 인출장치 11 : 견인핀
13 : 가이드 레일 20 : 구동원
21 : 구동모터 22 : 구동캠
23 : 회동체 24 : 종동캠
29 : 회동링크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제박스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과 수동을 겸하여 세제박스의 인출 동작을 안정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헹굼·탈수·건조의 과정을 통해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장치로서, 제어방식에 따라 전자동식·반자동식·수동식으로 분류되며, 세탁공정의 세탁·헹굼·탈수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전자동식, 연속하여 2공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반자동식, 세탁공정이 모두 따로 따로 이루어지는 것을 수동식이라 한다.
또한, 세탁방식에 따른 분류로는 의류에 대해 기계력이 가해지는 방식에 따라 분류된 것으로, 분류식(噴流式)은 세탁조의 옆쪽에 있는 회전날개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는 수류를 일으켜 의류를 회전시키는 방식이고, 와류식은 세탁조의 바닥에 회전날개를 달아 소용돌이 모양의 수류를 일으키는 방식이며, 교반식은 세탁조의 바닥 중앙에 3∼4개의 대형 날개가 달린 교반날개가 있어 이 교반날개를 좌· 우 교대로 교반시켜 의류를 왕복 운동시켜 세척하는 방식이고, 끝으로 회전식은 원통모양의 세탁조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류를 위로 들어올렸다가 떨어뜨려 그 충격력으로 세척하는 방식으로서 업무용의 대형 세탁기 및 세액에 유기용제를 이용하는 드라이 클리닝기에도 이 방식이 이용된다.
한편,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탁기는 세탁조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비틀어 세탁하는 방식의 세탁조 회전형(통돌이형)과 세탁조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이 낙하하는 힘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방식의 드럼형으로 구분되며, 이들 세탁기는 급수 유로 상에 분말세제와 표백제 및 섬유 유연제 등이 수용된 후 적절한 시기에 세탁조 내부로 세제와 표백제 및 유연제 등을 공급하기 위한 세제박스가 구비된다.
도 1은 일반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드럼형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세탁물을 투입하여 세탁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탁조(110)를 구비하며, 이 세탁조(110)의 입구는 도어(11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100)의 전면 일측에는 각종 조작버튼과 엘시디 표시창으로 된 조작패널(150)이 구성되고, 이 조작 패널(150)의 일측으로는 분말 및 액상으로 된 세제, 표백제, 섬유 유연제 등을 수용하여 세탁시 선택적으로 세탁조(11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제박스(13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과 수동을 겸하여 세탁기의 세제박스에 대한 안정되고 정확한 인출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는, 세탁기의 박스 안치홈에 삽입된 세제박스를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견인핀과, 상기 박스 안치홈의 일측벽에 결합되는 것으로 세제박스의 인출 방향을 따라 레일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박스 안치홈의 일측벽에 구비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연동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견인핀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시 위치 변위를 보상하기 위한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회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원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직결되어 일체로 연동 회전하는 구동캠과, 상기 회동링크의 일측끝단과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관형상의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내부에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면서 직선 이동은 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체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기 구동캠과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종동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캠과 종동캠 중 어느 하나는 일측면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양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곡면돌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곡면돌부에 끼워 맞춤되게 대향하는 일측면 중앙부가 요입되게 내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곡면홈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캠은 상기 세탁기의 세제박스홈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동체는 개방된 입구측으로 종동캠이 배치되고 그 후방측으로 코일 스프링으로 된 탄성체가 배치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캠과 구동모터의 상호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회전방향 검출을 위한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 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박스 인출장치가 적용된 드럼형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세탁물을 투입하여 세탁을 실시하기 위한 공간인 세탁조(3)와, 이 세탁조(3)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도어(5)를 구비하며, 이외에도 전면 상부측에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기 위한 각종 기능버튼 및 세탁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램프 및 엘시디창을 포함하는 조작패널(7)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패널(7)의 일측으로는 분말세제, 액상세제, 표백제, 섬유 유연제 등을 보관한 상태에서 적절한 시기에 세탁조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세제박스(9)를 수용하기 위한 박스 안치홈(4)이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박스 안치홈(4)은 상기 세제박스(9)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크기로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세제박스(9)는 일정량의 세제를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 하는 세제보관홈(9a)과, 상기 세탁기(1)의 박스 안치홈(4)상에서 상기 세제박스(9)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겨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홈(9b)이 형성되며, 이러한 세제박스(9)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세탁기(1)에서 상기 세제박스(9)는 인출장치(10)에 의해 자동과 수동을 겸하여 안정된 인출동작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의 적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인출장치에 의한 세제박스의 인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출장치(10)는 세탁기(1)의 박스 안치홈(4)에 삽입된 세제박스(9)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세제박스(9)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견인핀(11)과, 상기 견인핀(11)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세제박스(9)를 박스 안치홈(4)에서 안정되게 출몰시키거나 또는 삽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박스 안치홈(4)의 일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인 가이드 레일(13)과, 상기 박스 안치홈(4)의 일측벽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받아 정·역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원(20)과, 상기 구동원(20)에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상기 견인핀(11)의 일단이 삽 입되는 슬라이드홀(29h)이 형성된 회동링크(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견인핀(11)은 상기 세제박스(9)의 일측면에 일체로 돌출 구비되는 부재로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세제박스(9)가 박스 안치홈(4)에서 출몰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위치 즉, 상기 세제박스(9)의 후방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견인핀(11)은 상기 세제박스(9)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에 의해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로 성형된 핀 부재를 나사체결 방식으로 세제박스(9)에 결합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 레일(13)은 상술한 박스 안치홈(4)의 일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세제박스(9)가 안정된 인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지지하는 부재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홀(13a)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3)은 양끝단부에 결합되는 브라켓트(13b)를 통해 상기 박스 안치홈(4)의 일측벽에 고정 설치되며, 이때의 상기 브라켓트(13b)는 상기 가이드 레일(13)이 상기 박스 안치홈(4)에서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브라켓트(13b)는 나사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박스 안치홈(4)의 일측벽에 나사체결로 고정될 수 있다.
구동원(20)은 상기 박스 안치홈(4)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위치 신호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역 회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세제박스(9)를 전·후 방향으로 직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크게 구동모터(21)와, 이 구동모터(21)에 직결되어 일체로 연동 회전하는 구동캠(22)과, 상기 구동캠(22)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면서 그 일단이 회동링크(29)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동체(23)와, 상기 회동체(23)의 내부에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면서 직선 이동은 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체(25)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구동캠(22)과 탄력적으로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종동캠(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원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스위치 또는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기적으로 배선된다. 이러한 구동모터(21)는 타이머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동작되도록 제어되거나 또는 별도의 감지기(홀소자, MR소자) 등과 같은 센서에 의해 세제박스(9)의 인출 상태를 감지하여 그 전원이 단속되도록 제어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구동모터(21)의 제어기술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21)는 소정의 비율로 감속을 실시함과 동시에 토크를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모터와 감속기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모터(21)는 출력축(미도시)에 구동캠(22)이 일체로 연동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동캠(22)과 종동캠(24)은 탄력적으로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링크(29)가 구동원(20)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세제박스(9)에 가해지는 수동 조작력에는 상호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종동캠(24)의 조립 구조를 살펴보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방된 관형상을 갖는 회동체(23)의 내부에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면서 직선 이동은 가능하게 종동캠(24)이 구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회동체(23)는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직선유도 안내홈(미부호)을 형성하고, 상기 종동캠(24)은 외주면에 상기 직선유도 안내홈에 슬라이드 끼움되는 돌기(미부호)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종동캠(24)은 상기 회동체(23)의 개방된 입구측에 배치되고 그 후방측으로 탄성체(25)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구동캠(22)과 종동캠(24) 중 어느 하나는 일측면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양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곡면돌부(미부호)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곡면돌부에 끼워 맞춤되게 대향하는 일측면 중앙부가 내측으로 요입되게 테이퍼가 형성된 곡면홈(미부호)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캠(22)에 곡면돌부를 형성하였고, 상기 종동캠(24)에는 곡면홈을 형성하였으나, 상기 종동캠에 곡면돌부를 형성하고 구동캠에 곡면홈을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원(20)은 상기 구동캠(22)과 종동캠(24)이 탄성 체(25)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호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구동모터(21)에서 출력되는 회전 구동력에 일체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자동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세탁기(1)의 세제박스(9)에 작용하는 수동 조작력 즉, 사용자가 세제박스(9)를 손으로 잡아당기거나 강제로 밀 때 발생하는 수동조작력이 작용하면 상기 구동캠(22)과 종동캠(24)이 상호 슬립되는 것에 의해 연결 상태가 해제되어 수동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회동링크(29)는 상기 구동원(20)을 구성하는 회동체(23)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일체로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동링크(29)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홀(29h)이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슬라이드홀(29h)은 상술한 세제박스(9)의 견인핀(11) 일단이 삽입된다. 즉, 상기 회동링크(29)는 슬라이드홀(29h)은 상기 세제박스(9)의 수평 이동시 상기 견인핀(11)의 위치 변위를 보상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는 장공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회동링크(29)는 그 하측 끝단이 상기 구동원(20)을 구성하는 회동체(23)에 연결되어 일체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의 작동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인출장치(10)에 의한 세제박스(9)의 자동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기(1)의 박스 안치홈(4)내에 세제박스(9)가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장치(1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세탁기(1)의 조작패널(7)에 제공되는 스위치(미부호)를 조작하면, 상기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21)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구동캠(22)이 일방향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캠(22)은 종동캠(24)과 탄력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일체로 일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캠(22)과 종동캠(24)은 탄성체(25)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호 회전방향으로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 구동력보다 탄성체(25)의 탄성 지지력이 크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캠(22)과 종동캠(24)은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종동캠(24)이 구동모터(21)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일방향 회전됨에 따라 상기 종동캠(24)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회동체(23) 및 이 회동체(23)의 일단부가 결합된 회동링크(29)가 도 5와 같은 상태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세제박스(9)를 박스 안치홈(4)의 외부로 노출되게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전환시키면 상기 회동링크(29)가 도 6과 같은 상태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세제박스(9)를 박스 안치홈(4)의 내부로 삽입 이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출장치(10)의 수동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세제박스(9)를 박스 안치홈(4)내로 밀어넣거나 또는 잡아당겨 인출시키는 조작력을 가하면, 상기 세제박스(9)의 견인핀(11)이 삽입된 회동링크(29)가 연동하여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링크(29)의 하단일측에 결합된 구동원(20)을 구성하는 회동체(23)는 일체로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회동체(23)의 내부에 설치된 종동캠(24) 역시 일방향 또는 역방향 연동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종동캠(24)에 가해지는 수동 조작력은 탄성체(25)의 탄성 지지력보다 크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종동캠(24)과 구동캠(22)은 곡면 접촉되어 있는 구조에 의해 상호 슬립되어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종동캠(24)이 탄성체(25)를 압축시키면서 후퇴 이동하게 된다.
즉, 회동링크(29)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력은 탄성체(25)의 탄성 지지력에 비해 크므로 상기 종캐모가 구동캠(22)이 상호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슬립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종동캠(24)만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캠(22)은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구동원(2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21)의 역전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캠(24)과 구동캠(22)이 상호 이격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수동 조작력에 의한 세제박스(9)의 안정된 인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는, 자동 및 수동을 겸하여 세제박스의 안정된 인출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 향상에 따른 제품 경쟁력 및 소비자의 만족도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세탁기의 박스 안치홈에 삽입된 세제박스를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견인핀과;
    상기 박스 안치홈의 일측벽에 결합되는 것으로 세제박스의 인출 방향을 따라 레일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박스 안치홈의 일측벽에 구비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력을 생성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연결되어 연동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견인핀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세제박스의 수평이동시 상기 견인핀의 위치 변위를 보상하기 위한 슬라이드홀이 형성된 회동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핀은 상기 레일홀과 상기 슬라이드홀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한 상기 회동링크의 회동시 상기 레일홀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직결되어 일체로 연동 회전하는 구동캠과;
    상기 회동링크의 일측끝단과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관형상의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내부에 회전 방향으로 구속되면서 직선 이동은 가능하게 구비 되고 탄성체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기 구동캠과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종동캠;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과 종동캠 중 어느 하나는 일측면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양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곡면돌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곡면돌부에 끼워 맞춤되게 대향하는 일측면 중앙부가 요입되게 내측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곡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캠은 상기 세탁기의 박스안치홈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동체는 개방된 입구측으로 상기 종동캠이 배치되고 그 후방측으로 코일 스프링으로 된 상기 탄성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KR1020070056091A 2007-06-08 2007-06-08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KR100878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091A KR100878929B1 (ko) 2007-06-08 2007-06-08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091A KR100878929B1 (ko) 2007-06-08 2007-06-08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817A KR20080107817A (ko) 2008-12-11
KR100878929B1 true KR100878929B1 (ko) 2009-01-19

Family

ID=4036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091A KR100878929B1 (ko) 2007-06-08 2007-06-08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1432B (zh) * 2014-01-09 2017-02-15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衣机抽屉盒及洗衣机
CN110761044A (zh) * 2019-09-20 2020-02-07 滁州市友邦涂装有限公司 一种洗衣机前面板及其喷涂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4898A (en) 1979-10-12 1981-05-15 Sharp Kk Agitation type washing machine
KR910003202A (ko) * 1989-07-25 1991-02-27 케슬, 로데 세제용 함(函)을 갖는 세탁기
EP0465800A1 (de) 1990-07-10 1992-01-15 Bosch-Siemens HausgerÀ¤te GmbH Waschmaschine mit einer Waschmittelscha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4898A (en) 1979-10-12 1981-05-15 Sharp Kk Agitation type washing machine
KR910003202A (ko) * 1989-07-25 1991-02-27 케슬, 로데 세제용 함(函)을 갖는 세탁기
EP0465800A1 (de) 1990-07-10 1992-01-15 Bosch-Siemens HausgerÀ¤te GmbH Waschmaschine mit einer Waschmittelsch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817A (ko)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1697B2 (en) Automatic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3394337B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etergent dispenser
US10246811B2 (en) Washing machine
EP3489405A1 (en) Washing machine
EP2886696A1 (en) Washing machine
EP2251477B1 (en) Washing machine
AU201522742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876197B1 (en) Washing machine with drawer assembly
KR20150094326A (ko) 세탁기
KR100832648B1 (ko) 드럼세탁기 도어용 힌지장치
KR100878929B1 (ko)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KR20070059437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결합구조.
KR20120043262A (ko) 세탁기
KR101160197B1 (ko) 다단 서랍 개폐장치의 다단 서랍 자동 개폐방법
KR100991473B1 (ko) 세탁기
KR100843440B1 (ko)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KR101069874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결합구조
KR20070063994A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함 장착구조
CN211446291U (zh) 洗衣机的洗涤腔结构
KR20070088914A (ko) 세제박스의 개폐구조
CN211598208U (zh) 一种电动推拉门
CN211006005U (zh) 洗衣桶
KR100303532B1 (ko) 세제공급장치를갖는세탁기
KR101114338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안내 장치
KR101233248B1 (ko) 드럼세탁기용 세탁물 끼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