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1707A - 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탄소의 이차연소비 예측방법 및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탄소의 이차연소비 예측방법 및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1707A
KR20010061707A KR1019990064237A KR19990064237A KR20010061707A KR 20010061707 A KR20010061707 A KR 20010061707A KR 1019990064237 A KR1019990064237 A KR 1019990064237A KR 19990064237 A KR19990064237 A KR 19990064237A KR 20010061707 A KR20010061707 A KR 20010061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concentration
exhaust gas
decarburiza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582B1 (ko
Inventor
이상룡
유주열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6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58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blowing
    • C21C5/34Blowing through the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3Monitoring the temperature or a characteristic of the charg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취구조를 갖는 복합취련용 전로의 노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를 활용하여 탄소의 이차연소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용강중 종점탄소농도의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CO 및 CO2가스의 양을 구하므로써, 이차연소비 및 용강중 종점탄소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전시간으로 발생하는 배가스의 연속정보를 이용하여 노구로 부터 흡입되는 공기량에 대하여 Ar, N2밸런스의 물질 밸런스식을 이용한여 흡입공기량에 대한 손실율식을 만들어 탄소의 2차연소비 및 용강중 탄소농도를 연속적으로 예측하는 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탄소의 이차연소비 예측방법 및 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METHOD FOR FORECASTING POST COMBUSTION RATIO OF CORBON IN CONVERTER FOR TOP AND BOTTOM BLOWING PROCESS AND METHOD FOR FORECASTING CARBON CONCENTRATION IN MOLTEN STEEL}
본 발명은 저취구조를 갖는 복합취련용 전로의 노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를 활용하여 탄소의 이차연소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정확하게 CO 및 CO2농도를 구하므로써 탄소의 이차연소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 및 용강중 탄소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취구조를 갖는 복합취련용 전로에서는 탈린조업 및 탈탄조업이 이루어지며, 특히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탈린조업시 이차연소비 및 용강중 탄소농도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용선의 탈린 조업 기술은 용선 예비처리 또는 일반 탈탄로를 탈린전로로 대체하여 전로에서 탈린하는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용선 예비 처리를 활용한 용선의 탈린 처리는 탈린 처리시 또는 용선의 장시간 이동으로 용선의 온도 하락이 심하기 때문에 전로에서 고 용선비(high Hot Metal Ratio) 및 열원재를 사용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열원을 확보하기 위해 전로에서 탈린시 이차 연소를 확대하여, 탈린하는 조업기술이 적용중이다.
특히, 탈린전로의 주반응이 이차 연소 반응이므로 열량을 정확하게 구하는 것이 중용하며, 열량계산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산화철을 냉각재를 과다하게 투입되거나, 탈린에 필요한 산소량을 과다하게 보정하여 열원이 부족 또는 탈린이 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탈린로 조업에서 이차연소비(CO2/CO+CO2)를 구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단순히 배가스 성분과 배가스 유량을 연속적으로 수집하여 CO,CO2,O2,N2량에 대해 N2벨런스(balance) 식을 활용하여 노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흡입량 및 로내부에서발생하는 이차연소비를 구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방법은 저취에서 발생되는 Ar, N2취련중 퍼징(Purging) 및 실링(Sealing)용 N2, Ar가스 등을 고려하고 있지 않고, 또한, 취련중 슬로핑(Slopping) 및 종점 불꽃 판정 등의 사유로 전로에서 스커트 오픈(Skirt Open) 조업을 하기 때문에 전로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량을 정확히 구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실제 노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차연소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용강의 〔C〕농도 제어방법에는 정적인 방법과 동적인 방법이 있다.
상기 정적인 방법에서는 서브 랜스(Sub_lance)에 의해 채취된 용강 시료의 응고 온도를 측정하여 용강의 응고 온도와 탄소의 상관 관계에서 도출한 값을 활용하여 용강의 [C〕농도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정적인 방법은 탈린 용선의 취지 시점의 탄소 농도영역이 4.0 ~ 3.5% 정도의 고〔C〕이므로 용선과 가깝기 때문에 응고 온도에 의한 천이〔C〕의 (용강 탄소농도)는 계산이 곤란하고, 또한 〔C〕분석은 일반적인 발광 분석으로 계산 정도가 미흡(ρ=0.025%)하고, IR 분석(습식분석)은 분석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동적인 방법으로는 취련중 발생하는 배가스를 활용하여, 배가스 유량과 배가스 성분을 활용하여 종점〔C〕를 예측하는 방법이 있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연속적으로 CO, CO2, O2농도와 배가스 유량을 연속적으로 정보를 입수하여 탈탄 속도를 구하고 탈탄 속도를 취련시간에 대해 적분함으로써 통 탈탄량을 구한다.
이 방법은 매 사이클 정보 입수시마다 CO 농도와 CO2를 신속하게 구하는 장점은 있지만 CO, CO2, O2농도를 계산하는데 활용하는 배가스 유량이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배가스의 유량의 경우 유량 범위는 7000 ~ 200,000Nm3/hr 로서 측정 범위가 넓기 때문에 유량계의 오차가 0.5%정도 발생하는데, 이렇게 유량계의 오차가 0.5%정도 발생하는 것을 가정한다면 이에 해당하는 용강의 탄소농도의 오차는 0.04%가 되므로 배가스만을 이용한 종점탄소 적중 범위인 ±0.03% 도달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방법에서는 배가스 유량계의 오차를 보완하기 위하여 조업실적으로부터 통계적인 방법으로 유량 오차 보정식을 활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지만 조업 조건의 변동에 따른 재현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연구 및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저취에서 발생되는 Ar, N2, 취련중 퍼징(Purging) 및 실링(Sealing)용 N2가스 등에 대하여 Ar 및 N2의 물질 밸런스 식을 보정하고, 또한 취련시 발생하는 슬로핑 등의 조업 변동에 의한 급격한 배가스 성분 변동에 대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가스에 대하여 손실율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하게 CO 및 CO2가스의 양을 구하므로써, 이차연소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보다 정확하게 CO 및 CO2가스의 양을 구하므로써, 용강중 탄소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방법에 의해 구한 공기 흡입량(속도)과 본 발명에 따라 구한 공기 흡입 량(속도)의 비교그래프
도 2는 종래방법에 의해 예측한 탄소의 이차연소비와 본 발명에 의해 예측한 이차 연소비와의 비교그래프
도 3은 일반용선 탈탄로, 탈린용선 탈탄로, 및 탈린용선 탈린로에 있어서 취련시간 에 따른 탈탄속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종래방법 및 본 발명의 종점예측탄소 농도와 실제 분석탄소농도와의 편차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저취구조를 갖는 복합취련용 전로의 노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를 활용하여 탄소의 이차연소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 식(12)에 의해 공기흡입량(CCWair)을 구하는 단계:
CCWair=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N2농도 + 배가스 Ar 농도)-(1-kk) x (저취 N2
+ 저취 Ar량)) / (공기중 N2농도 + 공기중 Ar 농도)
[여기서, (1-kk) =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N2농도 + 공기중 Ar 농도) - (공기중 N2농도 x 배가스의 Ar 농도)) / (공기중 N2농도 x 저취Ar량 - 저취 N2량 x 공기중 Ar 농도)]
상기와 같이 구한 공기흡입량(CCWair)을 이용하여 하기 식(13) 및 (14)에 의해CO량(Nm3) 및 CO2량(Nm3)을 각각 구하는 단계; 및
CO량(Nm3) =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CO 농도 - (공기흡입량 x 0.21 - 배가스유량 x
배가스 O2농도) x 2)/(1-kk) x dt
CO2량(Nm3) =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CO2농도 - (공기흡입량 x 0.21 - 배가스유량 x 배가스 O2농도) x 2)/(1-kk) x dt
상기와 같이 구한 CO량(Nm3) 및 CO2량(Nm3)을 이용하여 하기 식(15)에 의해,
이차 연소비 = CO량(Nm3) / (CO량(Nm3) + CO2량(Nm3))
이차연소비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탄소의 이차연소비를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취구조를 갖는 복합취련용 전로의 노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를 활용하여 용강중 탄소농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13) 및 (14)에 의해 각각 구한 CO량(Nm3) 및 CO2량(Nm3)을 이용하여 하기 식(16)에 의해 현재시점에서의 탈탄량을 구하는 단계;
현재시점에서의 탈탄량 = 배가스 유량 x (CO량 + CO2량) x 12/22.4
상기와 같이 구한 현재시점에서의 탈탄량을 이용하여 주기간 발생되는 탈탄량의 합계인 탈탄 누적량을 하기 식(17)에 의해 구하는 단계; 및
탈탄 누적량 = Σ 현시점의 누적탈탄〔C〕량 + 현재 시점 탈탄량 x dt
상기 현재시점에서의 탈탄량 및 탈탄 누적량을 이용하여 하기 식(19)에 의해 종점탄소량을 구하는 단계
Wremine_〔C〕= Winput_〔C〕- (Σ현시점의 누적탈탄〔C〕량 + 현재시점 탈탄량 x dt)
[여기서, Winput〔C〕: 용선, 냉선 등, 스크랩(scrap) 등 전로 장입량 x 각 장입물체의〔C〕농도를 나타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로의 강욕내의 탈탄 반응은 산소 제트(jet)와 강욕과의 상호 작용에 따라 화점 부근에서 Fe가 우선적으로 산화하여 생성된 FeO가 용철 입자와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응 계면적에 의한 탈탄량을 유추할 때 슬래그내에서 칩입자와 슬래그의 반응이 지배적이며,〔C〕에 대한 일차 반응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C〕+ O2= 2CO(g)
〔C〕+〔O〕= CO(g)
〔C〕+ (FeO) = CO(g) + Fe
또한, 〔C〕의 이차 반응은 로내에서 생성된 CO 가스와 O2가스가 하기 반응식(4)와 같이 반응하여 이차 연소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2차 연소(post_combustion)는 슬래그(Slag)/금속(Metal) 반응에서 생성된 CO 가스와 랜스로부터 유입된 O2가스와의 반응과 노구로 유입되는 O2가스와의 반응으로 구분한다.
2CO(g) + O2(g) = 2CO2(g)
상기 반응에 의해 생성된 CO,CO2등의가스는 OG 설비로 배출되며. 가스의 총반응량은 하기 식(5)로 표현할 수 있다.
Woff_gas= Wfurnace_gas+ Wair
[여기서, Woff_gas: 배가스의 총 가스량(kg)
Wfurnace_gas: 로내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가스량(kg)
Wair: 배가스로 흡입된 공기량(kg)]
또한, 상기 배가스량은 상부 가스 질량 분석계의 농도와 배가스 유량을 사용하여 하기 식(6)으로 구할 수 있다.
Woff_gas= Σ Qoff_flow(Nm3/sec) x wt%〔Wi〕/Mi x 22.4Nm3x dt
[ 여기서, wt%〔Wi]는 가스중에 함유된 성분의 함량, 〔Mi〕는 반응 가스 원자의 원자량, dt는 배가스 주기(sec)]
종래의 방법에서 공기 흡입량은 배가스 성분의 질소 농도와 하취 가스의 질소 농도의 관계를 활용하여 하기 식(7)과 같은 간편식을 사용하여 구했으나, 취련중 슬로핑(Slopping) 조업변동 사항 및 하취 가스로 Ar을 사용할 때에는 밸런스상으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Wair= Σ(Qoff_flowx %〔N2〕off_gas -Qar_bottom flowx %〔N2bottom+ Qn2purgex
%〔N2purge)/%〔N2ai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기 흡입량을 배가스의 N2와 Ar의 매스 밸런스(mass balance)를 활용하여 하기 식(8)과 같이 보정하고, 또한 취련 변동 사항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이 보정된 공기 흡입량(CWair)을 하기 식(12)와 같이 다시 보정하므로써 CO 및 CO2양을 보다 정확하게 구하므로써 결과적으로 이차연소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CWair= Σ (Qoff_flowx (%〔Ar〕off_gas+ %〔N2〕off_gas) - (Qar_bottom flowx
%〔Ar〕bottom+ Qn2bottom flowx %〔N2bottom+ Qn2purgex %〔N2purge))/
%〔N2air+ 〔Ar〕air) x dt
[여기서, %〔Ar〕off_gas은 배가스의 Ar 농도, %〔N2off_gas는 배가스 N2의 농도, Qar_bottom flow은 저취 Ar의 유량, %〔Ar〕bottom은 저취 Ar 가스의 농도, Qn2bottom flow은 저취 N2의 유량, %〔Ar〕bottom은 저취 Ar 가스의 농도, Wpurge는 취련중 부원료 투입시 퍼지 용으로 사용하는 질소의 량을 나타냄]
상기 식(8)은 취련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공기 흡입량을 구할 때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슬로핑이나 전로 스커트 등과 같은 취련 여건의 변동에 따라 발생된 가스가 노구 밖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손실율(1-kk)을 하기 식 (9)(10)의 매스 밸런스(mass balance)를 활용하여 하기 식(1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N2농도 = (1-kk) x 저취 N2량 + 흡입공기량 x 공기중 N2농도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Ar농도 = (1-kk) x 저취 Ar량 + 흡입공기량 x 공기중 Ar농도
(1-kk) =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N2농도 + 공기중 Ar 농도) - (공기중 N2농도 x
배가스의 Ar 농도)) / (공기중 N2농도 x 저취Ar량 - 저취 N2량 x 공기중 Ar 농도)
따라서, 다시 보정된 공기 흡입량(CCWair)은 하기 식(1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2]
CCWair=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N2농도 + 배가스 Ar 농도)-(1-kk) x (저취 N2
+ 저취 Ar량)) / (공기중 N2농도 + 공기중 Ar 농도)
본 발명과 종래방법에 있어서 취련시간에 따른 공기흡입속도의 변화를 도 1에 나타내었는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대비 본 발명의 공기 흡입 속도가 2.5Nm3가 느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방법의 공기 흡입량은 본 발명의 것에 비하여 취련 끝까지 1200Nm3정도 많게 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오차에 의해 이차연소의 열량 계산시 약 1.5배 정도의 오차를 가져오게 된다.
종래에는 단순하게 배가스 성분만을 이용한 CO량(Nm3) / (CO량(Nm3) + CO2량(Nm3) )의 비로서 이차연소비를 예측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공기 흡입량의 보정식을 활용하여 상기 식(12)에서 구한 공기 흡입량(CCWair)을 사용하여 로내의 CO량은 하기 식(13)으로, CO2량은 하기 식(14)로 구하게 되며, 이 값을 이용하여 로내의 이차 연소비를 하기 식(15)에 의해 구하므로써 이차연소비의 예측정도를 높이게 된다.
[수학식 13]
CO량(Nm3) =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CO 농도 - (공기흡입량 x 0.21 - 배가스유량 x
배가스 O2농도) * 2)/(1-kk) x dt
[수학식 14]
CO2량(Nm3) =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CO2농도 - (공기흡입량 x 0.21 - 배가스유량 x 배가스 O2농도) x 2)/(1-kk) x dt
[수학식 15]
이차 연소비 = CO량(Nm3) / (CO량(Nm3) + CO2량(Nm3))
도 2에는 종래방법에 있어서의 탄소의 2차 연소율 예측값과 본 발명의 2차 연소율 예측값이 나타나 있는데, 취련시간 2-8분사이의 이차연소율누계평균이 40-50%인 것을 감안 하면, 본 발명에 의해 2차 연소율을 예측하는 경우가 종래방법에 의한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용강의 탄소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재 시점의 탈탄량을 상기 식(13) 및 (14)에서 구한 C0, CO2량을 활용하여 하기 식(16)에 의해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학식 16]
현재 시점의 탈탄량 = 배가스 유량 x (CO량 + CO2량) x 12/22.4
다음에, 주기간 발생되는 탈탄량의 합계인 탈탄 누적량을 하기 식(17)과 같이 구한다,
[수학식 17]
탈탄 누적량 = Σ 현시점의 누적탈탄〔C〕량 + 현재 시점 탈탄량 x dt
다음에, 종점 제어를 결정하는 인자인 용강내 잔류〔C〕량(Wremine_〔C〕)을 하기 식 (18)의 〔C〕밸런스를 활용하여 하기 식(19)에 구하여 용강의 탄소농도를 예측하므로써 예측정도를 높일 수 있다.
[수학식 18]
Winput〔C〕= 용선, 냉선 등, 스크랩(scrap) 등 전로 장입량 x 각 장입물체의〔C〕농도
[여기서, Winput_〔C〕은 총 input〔C〕량]
[수학식 19]
Wremine_〔C〕= Winput_〔C〕- (Σ현시점의 누적탈탄〔C〕량 + 현재시점 탈탄량 x dt)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17)을 활용하여 현시점〔C〕량과 전의〔C〕량을 구하고, 배가스 주기 (예를 들면 4초)를 나누면 하기 식(20)과 같이 현시점의 탈탄속도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0]
현시점의 탈탄속도 = ΔC〔C〕량 / dt
[여기서, dt : 배가스 주기(예를들면 4)
ΔC〔C〕량 : 현시점〔C〕누적량 - 전에 시점의〔C〕누적량(〔C〕N-〔C〕N-1)]
도 3에는 일반 전로, 탈탄로, 탈린로의 탈탄 속도를 비교한 결과가 나타나 있는데,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탈린로의 탈탄 속도는〔C〕의 2차 연소 반응이 주도적이므로 일반로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이다.
본 발명 및 종래방법에 따라 전로에 남은 카본량과 취련후 종점 탄소의 분석 결과가 도 4에 나타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종점〔C]의 농도를 예측하는 경우에는 표준편차(계산 탄소량 - 실적 탄소량)가 종래방법의 0.05% 수준에서 0.0205% 수준으로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탈린후 탈탄로에 적용한 결과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수준인〔C〕의 표준편차가 0.018%로 매우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하게 CO 및 CO2가스의 양을 구하므로써, 이차연소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하게 CO 및 CO2가스의 양을 구하므로써, 용강중 탄소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저취구조를 갖는 복합취련용 전로의 노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를 활용하여 탄소의 이차연소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 식(12)에 의해 공기흡입량(CCWair)을 구하는 단계:
    (수학식 12)
    CCWair=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N2농도 + 배가스 Ar 농도)-(1-kk) x (저취 N2
    + 저취 Ar량)) / (공기중 N2농도 + 공기중 Ar 농도)
    [여기서, (1-kk) =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N2농도 + 공기중 Ar 농도) - (공기중 N2농도 x 배가스의 Ar 농도)) / (공기중 N2농도 x 저취Ar량 - 저취 N2량 x 공기중 Ar 농도)]
    상기와 같이 구한 공기흡입량(CCWair)을 이용하여 하기 식(13) 및 (14)에 의해 CO량(Nm3) 및 CO2량(Nm3)을 각각 구하는 단계; 및
    (수학식 13)
    CO량(Nm3) =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CO 농도 - (공기흡입량 x 0.21 - 배가스유량 x
    배가스 O2농도) x 2)/(1-kk) x dt
    (수학식 14)
    CO2량(Nm3) = (배가스 유량 x 배가스 CO2농도 - (공기흡입량 x 0.21 - 배가스유량 x 배가스 O2농도) x 2)/(1-kk) x dt
    상기와 같이 구한 CO량(Nm3) 및 CO2량(Nm3)을 이용하여 하기 식(15)에 의해,
    (수학식 15)
    이차 연소비 = CO량(Nm3) / (CO량(Nm3) + CO2량(Nm3))
    이차연소비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탄소의 이차연소비 예측방법
  2. 저취구조를 갖는 복합취련용 전로의 노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가스를 활용하여 용강중 탄소농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13) 및 (14)에 의해 각각 구한 CO량(Nm3) 및 CO2량(Nm3)을 이용하여 하기 식(16)에 의해 현재시점에서의 탈탄량을 구하는 단계;
    (수학식 16)
    현재시점에서의 탈탄량 = 배가스 유량 x (CO량 + CO2량) x 12/22.4
    상기와 같이 구한 현재시점에서의 탈탄량을 이용하여 주기간 발생되는 탈탄량의 합계인 탈탄 누적량을 하기 식(17)에 의해 구하는 단계; 및
    (수학식 17)
    탈탄 누적량 = Σ 현시점의 누적탈탄〔C〕량 + 현재 시점 탈탄량 x dt
    상기 현재시점에서의 탈탄량 및 탈탄 누적량을 이용하여 하기 식(19)에 의해 종점탄소량을 구하는 단계
    (수학식 19)
    Wremine_〔C〕= Winput_〔C〕- (Σ현시점의 누적탈탄〔C〕량 + 현재시점 탈탄량 x dt)
    [여기서, Winput〔C〕: 용선, 냉선 등, 스크랩(scrap) 등 전로 장입량 x 각 장입물체의〔C〕농도를 나타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
KR10-1999-0064237A 1999-12-29 1999-12-29 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탄소의 이차연소비 예측방법 및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 KR10042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237A KR100428582B1 (ko) 1999-12-29 1999-12-29 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탄소의 이차연소비 예측방법 및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237A KR100428582B1 (ko) 1999-12-29 1999-12-29 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탄소의 이차연소비 예측방법 및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707A true KR20010061707A (ko) 2001-07-07
KR100428582B1 KR100428582B1 (ko) 2004-04-30

Family

ID=1963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237A KR100428582B1 (ko) 1999-12-29 1999-12-29 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탄소의 이차연소비 예측방법 및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749A (ko) * 2016-03-23 2018-05-1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용선 예비 처리 방법 및 용선 예비 처리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815B2 (ja) * 1989-12-11 1994-06-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冷鉄源溶解法における二次燃焼率検出方法
JPH0689393B2 (ja) * 1990-04-16 1994-11-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含鉄冷材溶解法における溶鉄c濃度推定方法
JPH05263120A (ja) * 1992-03-19 1993-10-12 Sumitomo Metal Ind Ltd 転炉吹錬制御方法
JPH06274231A (ja) * 1993-03-24 1994-09-30 Sumitomo Metal Ind Ltd 転炉吹錬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0118989B1 (ko) * 1994-12-14 1997-09-30 김종진 배가스 및 신경망을 이용한 탄소농도 예측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로종점취련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749A (ko) * 2016-03-23 2018-05-1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용선 예비 처리 방법 및 용선 예비 처리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8582B1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892B1 (ko) 용탕 성분 추정 장치, 용탕 성분 추정 방법, 및 용탕의 제조 방법
US3377158A (en) Convert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JP5225308B2 (ja) 含クロム溶鋼の減圧脱炭精錬方法
JP2018150589A (ja) 精錬プロセス状態推定装置、精錬プロセス状態推定方法、及び溶湯の製造方法
KR100428582B1 (ko) 복합취련용 전로에서의 탄소의 이차연소비 예측방법 및용강중 탄소농도의 예측방법
JPH05263120A (ja) 転炉吹錬制御方法
JPS5858406B2 (ja) 転炉の操業方法
CN113076505B (zh) 一种转炉钢水脱碳速率计算方法
JPH06256832A (ja) 転炉吹錬方法
US4150973A (en) Method of controlling molten steel temperature and carbon content in oxygen converter
JPH05239524A (ja) 転炉吹錬制御方法
US20110203415A1 (en) Method of suppressing slag foaming in continuous melting furnace
CN115341069A (zh) 一种基于在线动态检测模型的转炉吹炼终点的钢液碳含量预测控制方法
JP6966029B1 (ja) 減圧下における溶鋼の脱炭精錬方法
JP7405312B1 (ja) 真空脱ガス処理の状態推定方法、操業方法、溶鋼の製造方法及び真空脱ガス処理の状態推定装置
RU2180923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плавки в электрической печи
JPH07118723A (ja) 転炉精錬法
KR100399223B1 (ko) 전로조업에서용강중탄소농도제어방법및제어장치
JP3126374B2 (ja) 溶鋼の真空脱炭処理制御方法
JPS62238312A (ja) 転炉吹錬制御方法
JPWO2023095647A5 (ko)
JPS5792121A (en) Method for estimation of phosphorus concentration of steel bath
JP3827852B2 (ja) 含クロム溶鋼の脱窒方法
TW202321468A (zh) 爐內狀態推定裝置、爐內狀態推定方法及鋼水製造方法
JP2005206877A (ja) 転炉吹錬時の炭素濃度の推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