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892B1 - 용탕 성분 추정 장치, 용탕 성분 추정 방법, 및 용탕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탕 성분 추정 장치, 용탕 성분 추정 방법, 및 용탕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892B1
KR102348892B1 KR1020207026277A KR20207026277A KR102348892B1 KR 102348892 B1 KR102348892 B1 KR 102348892B1 KR 1020207026277 A KR1020207026277 A KR 1020207026277A KR 20207026277 A KR20207026277 A KR 20207026277A KR 102348892 B1 KR102348892 B1 KR 10234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molten metal
carbon
oxygen
cal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200A (ko
Inventor
히로토 가세
신지 도미야마
유키오 다카하시
쇼타 아마노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blowing
    • C21C5/35Blowing from above and through the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blo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8Removal of waste gases or dust
    • C21C5/40Offtakes or separating apparatus for converter waste gases or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73Measuring and samp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8Arrangement of controlling, monitoring, alarm or the lik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3Monitoring the temperature or a characteristic of the charg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27D2019/0012Monitoring the composition of the atmosphere or of one of their components
    • F27D2019/0015Monitoring the composition of the exhaust gases or of one of its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 성분 추정 장치는, 정련 설비에 투입되는 탄소량 및 산소량과 정련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량 및 산소량을 추정하는 물질 수지 계산부와, 정련 설비 내에 잔존하는 산소량 및 탄소량의 적어도 일방을 추정하는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와, 배기 가스의 유량의 계측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배기 가스의 성분 농도의 계측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슬래그 중의 FeO 농도의 계산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및 용탕 중의 탄소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각각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보정 파라미터로서 산출하고, 산출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보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용탕 및 슬래그 중의 성분 농도를 추정하는 보정 계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용탕 성분 추정 장치, 용탕 성분 추정 방법, 및 용탕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용탕 성분 추정 장치, 용탕 성분 추정 방법, 및 용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는, 예비 처리 설비, 전로, 및 2 차 정련 설비 등의 정련 설비에 있어서, 고로로부터 출선된 용선의 성분 농도 및 온도를 조정한다. 그 중에서도 전로 프로세스는, 전로 내에 산소를 불어넣는 것에 의해 용탕 중의 불순물 제거 및 승온을 실시하는 프로세스로서, 강의 품질 관리 및 정련 비용 합리화 등의 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전로에 있어서의 용탕의 성분 농도 및 온도의 제어에 있어서는, 상취 산소의 유량 및 속도, 상취(上吹) 랜스 높이, 저취(低吹) 가스의 유량, 석회나 철광석 등의 부원료의 투입량 및 투입 타이밍 등이 조작량으로서 사용된다. 이들 조작량은, 용탕 및 슬래그의 성분 농도에 따라 최적화되어야 한다. 그런데, 용탕 중의 산화 반응은 격렬하고, 용탕이 고온이 되기 때문에, 용탕 및 슬래그의 성분 농도를 시시각각 계측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노 내 물리 반응 모델이나 정련 설비에 있어서의 계측 정보를 사용하여 용탕 및 슬래그의 성분 농도를 리얼 타임으로 추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전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성분 농도 및 유량, 그리고 조업 데이터를 사용하여 발화점 반응의 연산을 실시하고, 산출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슬래그 메탈 계면 반응의 연산을 실시함으로써, 취련 처리 중의 슬래그 중 FeO 농도를 축차 추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로에 있어서 용탕의 성분 농도의 추정에 사용되는 배기 가스의 계측 정보의 오차는 크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배기 가스의 유량치는, 오리피스 (스로틀) 나 벤투리관을 배기 가스관에 설치하고, 그 전후의 압력 강하로부터 추정되는 경우가 많지만, 배기 가스의 압력, 온도, 및 유량은 빈번히 크게 변동되기 때문에, 계측치의 오차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부터, 특허문헌 2 에는, 철강 정련 프로세스의 배기 가스의 유량에 관하여, 계측치를 보정하는 계수를 과거 실적에 기초하여 계산하고, 취련 처리 도중의 용탕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추가로 그 계수를 보정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용탕의 탄소 농도를 리얼 타임으로 추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319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72913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발화점 반응의 연산에 있어서 탈탄 속도 및 철의 산화 속도를 산출할 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오차가 큰 배기 가스의 유량 및 성분 농도의 계측치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전로 프로세스에서는 물리 모델에서는 다 나타내지 못하는 미지의 외란에 의해 모델 계산치가 참값과 어긋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상에 의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방법으로는, 발화점 및 메탈 슬래그 계면 반응 모델에 의해 계산되는 슬래그 중 FeO 농도의 추정 정밀도가 자주 악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특허문헌 2 에는 배기 가스의 계측 정보의 보정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그 방법은 배기 가스 중의 탄소량과 용탕 중의 탄소 감소량에 기초하여 배기 가스의 유량을 보정하는 것으로, 그 때에 용탕의 중간 샘플링에 의한 성분 분석 정보를 이용하고 있다. 전로 프로세스에서는, 용탕 성분의 샘플링은 취련 처리 종반에 1 회 또는 수회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의 방법에서는, 용탕의 중간 샘플링을 실시할 때까지의 용탕 성분의 추정 정밀도의 악화, 또 그것에 의해 중간 샘플링 실행 타이밍이 목표치와 어긋나, 중간 샘플링 이후의 조작 액션이 늦어진다는 문제가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탕 및 슬래그 중의 성분 농도를 고정밀도, 또한 연속적으로 추정 가능한 용탕 성분 추정 장치 및 용탕 성분 추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성분 농도를 갖는 용탕을 수율이 양호하게 제조 가능한 용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 성분 추정 장치는, 정련 설비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개시 전 또는 취련 처리 중의 용탕의 온도 및 성분 농도에 대한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정련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 및 성분 농도에 대한 제 2 계측 결과가 입력되는 입력 장치와, 상기 정련 설비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반응에 관한 모델식 및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모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제 2 계측 결과와, 상기 모델식 및 상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탄소 및 산소의 수지 (收支) 밸런스 계산을 실시함으로써, 정련 설비에 투입되는 탄소량 및 산소량과 상기 정련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량 및 산소량을 추정하는 물질 수지 계산부와, 상기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모델식 및 상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슬래그 중 FeO 량 및 용탕 중 탈탄량의 적어도 일방을 계산함으로써, 정련 설비 내에 잔존하는 산소량 및 탄소량의 적어도 일방을 추정하는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와, 상기 입력 장치에 입력된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상기 물질 수지 계산부 및 상기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의 추정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배기 가스의 유량의 계측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상기 배기 가스의 성분 농도의 계측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슬래그 중의 FeO 농도의 계산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및 상기 용탕 중의 탄소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각각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보정 파라미터로서 산출하고, 산출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보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용탕 및 슬래그 중의 성분 농도를 추정하는 보정 계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 성분 추정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산부는, 상기 제 1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초기 용탕 중 탄소량과 투입 부원료에 의해 정련 설비 내에 공급되는 탄소량으로부터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정련 설비 외로 배출되는 탄소량을 감산한 양과 상기 제 4 보정 파라미터의 차로서 나타내지는 탄소 수지 오차, 상기 정련 설비에 공급된 산소량으로부터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용탕 중 탄소 산화, 정련 설비 내 일산화탄소 산화, 및 용탕 중 불순물 금속 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을 감산한 값과 상기 모델식에 의해 계산된 용탕 중 철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의 차로서 나타내지는 산소 수지 오차, 및 상취 송산량 (送酸量) 및 투입 부원료에 의해 공급된 산소량으로부터 불순물 금속 산화 및 철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을 감산한 양 중, 용탕 중 탄소 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의 비율로서 나타내지는 1 차 연소 효율과 상기 1 차 연소 효율의 표준치의 차로서 나타내지는 1 차 연소 수지 오차의 항을 포함하는 평가 함수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제 1, 상기 제 2, 상기 제 3, 및 상기 제 4 보정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 성분 추정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산부는, 상기 제 1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초기 용탕 중 탄소량과 투입 부원료에 의해 정련 설비 내에 공급되는 탄소량으로부터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정련 설비 외로 배출되는 탄소량을 감산한 양과 상기 제 4 보정 파라미터의 비로서 나타내지는 탄소 수지 오차, 상기 정련 설비에 공급된 산소량으로부터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용탕 중 탄소 산화, 정련 설비 내 일산화탄소 산화, 및 용탕 중 불순물 금속 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을 감산한 값과 물리 반응 모델에 의해 계산된 용탕 중 철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의 비로서 나타내지는 산소 수지 오차, 및 상취 송산량 및 투입 부원료에 의해 공급된 산소량으로부터 불순물 금속 산화 및 철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을 감산한 양 중, 용탕 중 탄소 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의 비율로서 나타내지는 1 차 연소 효율과 상기 1 차 연소 효율의 표준치의 비로서 나타내지는 1 차 연소 수지 오차의 항을 포함하는 평가 함수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제 1, 상기 제 2, 상기 제 3, 및 상기 제 4 보정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 성분 추정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함수가, 상기 탄소 수지 오차의 제곱치, 상기 산소 수지 오차의 제곱치, 및 상기 1 차 연소 수지 오차의 제곱치를 항으로서 포함하는 가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 성분 추정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함수에 있어서의 각 항의 가중을 나타내는 정수 (定數) 가, 계산 대상 차지 중의 계산 대상 시각 이전에 산출된 용탕 성분 추정 정보 및 보정된 배기 가스 계측 정보의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 성분 추정 방법은, 정련 설비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개시 전 또는 취련 처리 중의 용탕의 온도 및 성분 농도에 대한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정련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 및 성분 농도에 대한 제 2 계측 결과가 입력되는 입력 스텝과, 상기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제 2 계측 결과와, 상기 정련 설비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반응에 관한 모델식 및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탄소 및 산소의 수지 밸런스 계산을 실시함으로써, 정련 설비에 투입되는 탄소량 및 산소량과 상기 정련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량 및 산소량을 추정하는 물질 수지 계산 스텝과, 상기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모델식 및 상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슬래그 중 FeO 량 및 용탕 중 탈탄량의 적어도 일방을 계산함으로써, 정련 설비 내에 잔존하는 산소량 및 탄소량의 적어도 일방을 추정하는 물리 반응 모델 계산 스텝과, 상기 입력 스텝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상기 물질 수지 계산 스텝 및 상기 물리 반응 모델 계산 스텝에 있어서의 추정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배기 가스의 유량의 계측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상기 배기 가스의 성분 농도의 계측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슬래그 중의 FeO 농도의 계산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및 상기 용탕 중의 탄소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각각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보정 파라미터로서 산출하고, 산출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보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용탕 및 슬래그 중의 성분 농도를 추정하는 보정 계산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 성분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용탕 중의 성분 농도에 기초하여 용탕 중의 성분 농도를 원하는 범위 내로 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 성분 추정 장치 및 용탕 성분 추정 방법에 의하면, 용탕 및 슬래그 중의 성분 농도를 고정밀도, 또한 연속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용탕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원하는 성분 농도를 갖는 용탕을 수율이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용탕 성분 추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용탕 성분 추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3 은, 취련 처리 중의 탈탄 산소 효율과 취련 진행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용탕 성분 추정 장치 및 그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탕 성분 추정 장치의 구성〕
먼저,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용탕 성분 추정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용탕 성분 추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용탕 성분 추정 장치 (1) 는, 철강업의 정련 설비 (2) 에서 처리되고 있는 용탕 (101) 및 슬래그 (103) 의 성분 농도를 추정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정련 설비 (2) 는, 전로 (100), 랜스 (102), 및 덕트 (104) 를 구비하고 있다. 전로 (100) 내의 용탕 (101) 상에는 랜스 (102) 가 배치되어 있다. 랜스 (102) 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의 용탕 (101) 을 향하여 고압 산소 (상취 산소) 가 분출된다. 이 고압 산소에 의해 용탕 (101) 내의 불순물이 산화되어 슬래그 (103) 내에 받아들여진다 (취련 처리). 전로 (100) 의 상부에는, 배기 가스 도연용의 덕트 (104) 가 설치되어 있다.
덕트 (104) 의 내부에는, 배기 가스 검출부 (105) 가 배치되어 있다. 배기 가스 검출부 (105) 는, 취련 처리에 수반하여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 및 배기 가스 중의 성분 (예를 들어, CO, CO2, O2, N2, H2O, Ar 등) 을 검출한다. 배기 가스 검출부 (105) 는, 예를 들어 덕트 (104) 내에 형성된 벤투리관의 전후의 차압에 기초하여 덕트 (104) 내의 배기 가스의 유량을 계측한다. 또, 배기 가스 검출부 (105) 는, 배기 가스 중의 각 성분 농도 [%] 를 계측한다. 배기 가스의 유량 및 성분 농도는, 예를 들어 수 초 주기로 계측된다. 배기 가스 검출부 (105) 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는 제어 단말 (10) 로 이송된다.
전로 (100) 내의 용탕 (101) 에는, 전로 (100) 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공 (106) 을 통하여 교반 가스 (저취 가스) 가 불어넣어진다. 교반 가스는, Ar 등의 불활성 가스이다. 불어넣어진 교반 가스는, 용탕 (101) 을 교반하고, 고압 산소와 용탕 (101) 의 반응을 촉진한다. 유량계 (107) 는, 전로 (100) 에 불어넣어지는 교반 가스의 유량을 계측한다. 취련 처리 개시 직전 및 취련 처리 후에는, 용탕 (101) 의 온도 및 성분 농도의 분석이 실시된다. 또, 용탕 (101) 의 온도 및 성분 농도는, 취련 처리 도중에 한 번 또는 복수 회 계측되고, 계측된 온도 및 성분 농도에 기초하여 고압 산소의 공급량 (송산량) 및 속도 (송산 속도) 나 교반 가스의 유량 (교반 가스 유량) 등이 결정된다.
용탕 성분 추정 장치 (1) 가 적용되는 취련 처리 제어 시스템은, 제어 단말 (10), 용탕 성분 추정 장치 (1), 및 표시 장치 (20) 를 주된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제어 단말 (10) 은,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용탕 (101) 의 성분 농도가 원하는 범위 내가 되도록 송산량, 송산 속도, 및 교반 가스 유량을 제어함과 함께, 송산량, 송산 속도, 및 교반 가스 유량의 실적치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용탕 성분 추정 장치 (1) 는,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용탕 성분 추정 장치 (1) 는, 입력 장치 (11), 모델 데이터베이스 (모델 DB) (12), 연산 처리부 (13), 및 출력 장치 (17) 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장치 (11) 는, 정련 설비 (2) 에 관한 각종의 계측 결과 및 실적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용 인터페이스이다. 입력 장치 (11) 에는, 키보드,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데이터 수신 장치, 및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 (GUI) 등이 있다. 입력 장치 (11) 는, 실적 데이터나 파라미터 설정치 등을 외부로부터 받아, 그 정보의 모델 DB (12) 에 대한 기록이나 연산 처리부 (13) 에 대한 송신을 실시한다. 입력 장치 (11) 에는, 정련 설비 (2) 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개시 전 및 취련 처리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용탕 (101) 의 온도와 성분 농도에 대한 계측 결과가 입력된다. 온도와 성분 농도에 대한 계측 결과는,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에 의한 수동 입력이나 기록 매체로부터의 판독 입력 등에 의해 입력 장치 (11) 에 입력된다. 또, 입력 장치 (11) 에는, 제어 단말 (10) 로부터 실적 정보가 입력된다. 실적 정보는, 배기 가스 검출부 (105) 에 의해 계측된 배기 가스의 유량 및 성분 농도에 대한 정보, 송산량 및 송산 속도의 정보, 교반 가스 유량의 정보, 원료 (주원료, 부원료) 투입량의 정보, 용탕 (101) 의 온도 정보 등이 포함된다.
모델 DB (12) 는, 정련 설비 (2) 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반응에 관한 모델식의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기억 장치이다. 모델 DB (12) 는, 취련 처리 반응에 관한 모델식의 정보로서, 모델식의 파라미터를 기억하고 있다. 또, 모델 DB (12) 에는, 입력 장치 (11) 에 입력된 각종 정보, 및 연산 처리부 (13) 에 의해 산출된 취련 처리 실적에 있어서의 계산·해석 결과가 기억된다.
연산 처리부 (13) 는, CPU 등의 연산 처리 장치로서, 용탕 성분 추정 장치 (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연산 처리부 (13) 는, 물질 수지 계산부 (14),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 (15), 및 보정 계산부 (16) 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물질 수지 계산부 (14),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 (15), 및 보정 계산부 (16) 는, 예를 들어 연산 처리부 (13) 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연산 처리부 (13) 는, 물질 수지 계산부 (14) 용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물질 수지 계산부 (14) 로서 기능하고,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 (15) 용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 (15) 로서 기능하고, 보정 계산부 (16) 용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보정 계산부 (16) 로서 기능한다. 또한, 연산 처리부 (13) 는, 물질 수지 계산부 (14),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 (15), 및 보정 계산부 (16) 로서 기능하는 전용의 연산 장치나 연산 회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물질 수지 계산부 (14) 는, 조업 실적 정보, 용탕 성분 분석 정보, 배기 가스 정보, 및 모델 DB (12) 에 기억되어 있는 모델 정보에 기초하여, 성분의 물질 수지 밸런스 계산을 실시한다. 물질 수지 밸런스 계산은, 전로 (100) 내에 대한 각 성분의 투입량 및 전로 (100) 로부터의 각 성분의 배출량을 계산하는 것이다. 각 성분의 투입량은, 전로 (100) 에 대한 주원료 및 부원료 투입량, 랜스 (102) 로부터의 공급 산소, 및 전로 (100) 외로부터의 혼입 공기량으로부터 산출된다. 각 성분의 배출량은, 배기 가스 유량 및 배기 가스 성분 농도로부터 산출된다.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 (15) 는, 모델 DB (12) 에 기억되어 있는 모델 정보와 조업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슬래그 (103) 중의 FeO 생성·환원 반응량, 및 용탕 (101) 중의 탈탄량을 계산하고, 용탕 (101) 중의 철의 산화량, 즉 슬래그 (103) 중의 FeO 로서 전로 (100) 내에 잔존하는 산소량, 및 용탕 (101) 중에 잔존하는 탄소량을 추정한다.
보정 계산부 (16) 는, 물질 수지 계산부 (14) 와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 (15) 에 있어서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배기 가스 유량의 보정 파라미터, 배기 가스 중 CO, CO2 농도의 보정 파라미터,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 (15) 에 의한 슬래그 (103) 중 FeO 농도 추정치의 보정 파라미터, 계산 시점에 있어서의 용탕 (101) 중 탄소 농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각종 보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용탕 (101) 중 탄소 농도 및 슬래그 (103) 중 FeO 농도를 추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탕 성분 추정 장치 (1) 는, 이하에 나타내는 용탕 성분 추정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용탕 및 슬래그 중의 성분 농도를 고정밀이고 연속적으로 추정한다. 이하, 도 2 에 나타내는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용탕 성분 추정 처리를 실행할 때의 용탕 성분 추정 장치 (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용탕 성분 추정 처리〕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용탕 성분 추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플로 차트는, 취련 처리가 개시된 타이밍으로 개시가 되고, 용탕 성분 추정 처리는 스텝 S1 의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 S1 의 처리에서는, 연산 처리부 (13) 가, 용탕 (101) 의 계측·분석치를 취득한다. 연산 처리부 (13) 는, 용탕 (101) 의 샘플에 대한 온도 계측 및 성분 분석에 의해 얻어진 계측·분석 결과를 취득한다. 이로써, 스텝 S1 의 처리는 완료되고, 용탕 성분 추정 처리는 스텝 S2 의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 S2 의 처리에서는, 연산 처리부 (13) 는, 조작량 정보, 배기 가스 계측·분석 정보 (배기 가스 정보), 및 부원료 투입량 정보를 제어 단말 (10) 로부터 취득한다. 통상적인 전로 취련 조업에서는, 조작량 정보 및 배기 가스 계측·분석 정보는 일정 주기로 수집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2 sec 주기로 배기 가스 계측·분석 정보가 수집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조작량 정보의 취득 시간과 배기 가스 계측·분석 정보의 취득 시간 사이에 큰 시간 지연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간 지연을 고려하여 (지연 시간분만큼 배기 가스 계측·분석 정보를 앞당겨) 데이터를 작성한다. 또, 배기 가스 유량의 계측치 및 CO, CO2 의 분석치가 노이즈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 평균 계산 등의 평활화 처리를 실시한 값으로 계측치 및 분석치를 치환해도 된다. 이로써, 스텝 S2 의 처리는 완료되고, 용탕 성분 추정 처리는 스텝 S3 의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 S3 의 처리에서는, 물질 수지 계산부 (14) 가, 스텝 S1 및 스텝 S2 의 처리에 있어서 취득한 정보 및 모델 DB (12) 의 정보를 사용하여, 탄소 및 산소의 수지 밸런스 계산 (물질 수지 모델 계산) 을 실시한다. 전로 (100) 내에 투입되는 탄소량 및 전로 (100) 외로 배출되는 탄소량은 각각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 와 같이 나타내진다. 또한, 이후 언급이 없는 한, % 및 각종 유량은 mass% 및 유량원 단위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96437522-pct00001
Figure 112020096437522-pct00002
여기서, 투입 탄소량 Cin [%] 은 주원료 중의 탄소량과 투입 부원료 중의 탄소량의 합의 용탕 (101) 중 농도 환산치로 되어 있고, ρpig [%] 는 투입 용선 중 탄소 농도, ρi Cscr [%] 은 투입 스크랩 (종목 i) 중 탄소 농도, ρj Caux [%] 는 투입 부원료 (종목 j) 중 탄소 농도이고, Wpig [t] 는 투입 용선 중량, Wi scr [t] 은 투입 스크랩 (종목 i) 중량, Wj aux [t] 는 부원료 (종목 j) 투입 적산 중량, Wcharge [t] 는 전로 (100) 에 투입된 용탕 중량이다. 투입 스크랩 종목 i 및 투입 부원료 종목 j 에 있어서의 탄소 농도 ρi Cscr, ρj Caux 는 모델 DB (12) 에 기억되어 있고, 물질 수지 계산부 (14) 는, 대상 차지로 이용되는 종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배출 탄소량 Cout [%] 는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탄소량의 용탕 (101) 중 농도 환산치이고, VCO OG [Nm3/t], VCO2 OG [Nm3/t] 는 각각 배기 가스 중 CO, CO2 의 계산 시각까지의 적산 유량이다. 투입 탄소량으로부터 배출 탄소량을 감산한 양이 전로 (100) 내에 잔존하는 탄소량이고, 이것은 즉 용탕 (101) 중의 탄소 농도에 상당한다. 또한, 용탕의 입출 탄소량은 전체 투입량과 비교하여 미소한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한편, 전로 (100) 내에 투입되는 산소량 및 전로 (100) 외로 배출되는 산소량은 각각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3) 및 수학식 (4) 와 같이 나타내진다.
Figure 112020096437522-pct00003
Figure 112020096437522-pct00004
여기서, 투입 산소량 O2 in [Nm3/t] 은 랜스 (102) 로부터의 상취 산소 적산량 VO2 blow [Nm3/t], 투입 부원료 중의 산소 적산량, 및 전로 (100) 외에서 노 내로 혼입되는 공기 중의 산소 적산량의 합으로 되어 있고, ρj Oaux [(Nm3/t)/t] 는 투입 부원료 (종목 i) 중 산소 함유량의 환산치이다. 투입 부원료 종목 j 에 있어서의 산소 함유량 ρj Oaux 는 모델 DB (12) 에 기억되어 있고, 물질 수지 계산부 (14) 는, 대상 차지로 이용되는 종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또, 투입 산소량 계산에 있어서 배기 가스 분석 N2 농도 및 배기 가스 분석 Ar 농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 혼입 공기 중의 산소량은, 배기 가스 중 O2, CO, CO2 이외의 미분석 배기 가스량 Vrem OG [Nm3/t] 로부터 저취 가스량 Vbot [Nm3/t] 를 감산한 양이 혼입 공기 중의 N2 에 상당하는 것을 가정하고, 상기 서술한 수학식 (3) 의 제 3 항과 같이 산출해도 된다.
배출 산소량 O2 out [Nm3/t] 는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산소량으로부터 계산되고, VO2 OG [Nm3/t] 는 배기 가스 중 O2 의 계산 시각까지의 적산 유량이다. 투입 산소량으로부터 배출 산소량을 감산한 양이 전로 (100) 내에 잔존하는 산소량이고, 이것은 용탕 (101) 중의 Si, Mn, P 등의 금속 불순물의 산화 및 철의 산화에 사용된다. 그 중에서, 금속 불순물의 산화량에 대해서는, 모델 DB (12) 에 기억되어 있는 불순물 금속의 산화 반응 모델에 의해 계산되고, 예를 들어 용탕 (101) 중 Si 산화에 사용되는 산소량 VO2 Si [Nm3/t] 는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5) 와 같이 나타내진다.
Figure 112020096437522-pct00005
여기서, ρpig Si [%] 는 투입 용선 중 Si 농도, ρi Siscr [%] 은 투입 스크랩 (종목 i) 중 Si 농도, ρj Siaux [%] 는 투입 부원료 (종목 j) 중 Si 농도이고, ASi 는 Si 의 산화 반응 속도 정수이다. 또, 수학식 (5) 와 동일하게 하여, Mn, P 등의 용탕 (101) 중의 각종 금속 불순물 산화에 사용되는 산소량도 계산할 수 있고, 그 합계를 VO2 met [Nm3/t] 로 나타낸다. 이로써, 스텝 S3 의 처리는 완료되고, 용탕 성분 추정 처리는 스텝 S4 의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 S4 의 처리에서는,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 (15) 가, 스텝 S1 및 스텝 S2 의 처리에 있어서 취득한 정보 및 모델 DB (12) 의 정보를 사용하여, 슬래그 (103) 중의 FeO 생성·환원 반응량, 및 용탕 (101) 중 탈탄량을 계산하고, 용탕 (101) 중의 철의 산화량, 즉 슬래그 (103) 중의 FeO 로서 전로 (100) 내에 잔존하는 산소량, 및 용탕 (101) 중에 잔존하는 탄소량을 추정한다. FeO 생성 속도 vFeO [㎏/min] 는, FeO 생성·환원 반응을 나타내는 항으로 이루어지는 물리 반응 모델 (FeO 생성·환원 반응 모델) 에 의해 계산되고,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6) 과 같이 나타내진다.
Figure 112020096437522-pct00006
여기서, C1 및 C2 는 각각 FeO 생성 계수 및 FeO 환원 계수, vO2 blow [Nm3/Hr] 는 랜스 (102) 로부터의 송산 속도, R [Nm3/s/㎡] 및 R0 [Nm3/s/㎡] 은 산소 부하 및 기준 산소 부하, Thsp [℃] 는 발화점 온도, H [m] 는 용탕 (101) 의 욕 깊이, D [m] 는 용탕 (101) 의 욕계, ε [㎾/t] 는 랜스 (102) 로부터의 송산 및 저취 가스에 의한 용탕 (101) 의 교반 동력 밀도, Tbulk [℃] 는 용탕 (101) 의 온도, B 는 슬래그 (103) 의 염기도 (슬래그 성분 중의 SiO2/CaO 비) 이고, 제 1 항이 FeO 생성 반응 속도, 제 2 항이 FeO 환원 반응 속도이다. C1 및 C2 에 대해서는, 스텝 S1 및 스텝 S2 의 처리에 있어서 취득한 정보를 이용, 혹은 모델 DB (12) 에 기억되어 있는 과거 차지의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해도 된다.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7) 과 같이, 산출한 FeO 생성 반응 속도를 적분하여 적산함으로써, FeO 축적량 FeO [㎏/t] 가 계산되고, 전로 (100) 내에 잔존하는 산소량이 산출된다.
Figure 112020096437522-pct00007
또, 용탕 (101) 중의 탈탄량은, 취련 처리 중의 탈탄 산소 효율을 나타내는 물리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취련 처리 중의 탈탄 산소 효율 dC/dO2 [10-3 %/(Nm3/t)] 는, 랜스 (102) 로부터의 송산량 및 부원료 투입에 의해 공급된 산소량에 대한 용탕 (101) 중의 탄소 농도의 감소 효율을 나타낸다. 도 3 은, 취련 처리 중의 탈탄 산소 효율과 취련 진행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련 처리의 초기에서는, 탈탄 산소 효율 dC/dO2 는, 취련 진행도 T' 에 대해 기울기 a 로 상승하고, 최대치 (dC/dO2)max 에 도달한다. 그 후, 용탕 (101) 중의 탄소 농도가 임계 농도 (0.4 % 정도) 에 도달하면, 탈탄 산소 효율 dC/dO2 는 취련 진행도 T' 에 대해 기울기 b 로 저하된다. 여기서, 탈탄 산소 효율 dC/dO2 의 상승 및 저하의 기울기 a, b, 절편 c 및 최대치 (dC/dO2)max 는 스텝 S1 및 스텝 S2 의 처리에 있어서 취득한 정보를 이용, 또는 모델 DB (12) 에 기억되어 있는 과거 차지의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 용탕 (101) 중의 탄소 농도가 저농도 영역 (<0.25 % 정도) 에 있는 경우에는, 이하의 수학식 (8) 에 나타내는 탈탄 산소 효율 dC/dO2 와 용탕 (101) 중의 탄소 농도 Cs 의 관계 (탈탄 모델) 를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0096437522-pct00008
수학식 (8) 에 나타내는 탈탄 모델에서는, 탈탄 산소 효율 dC/dO2 는 용탕 (101) 중의 탄소 농도 Cs [%] 에 의존한다. 또, Wslg [㎏/t] 는 슬래그 (103) 의 중량이고, m1, m2, m3 은 정수이다. 이로써, 스텝 S4 의 처리는 완료되고, 용탕 성분 추정 처리는 스텝 S5 의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 S5 의 처리에서는, 보정 계산부 (16) 가, 스텝 S3 및 스텝 S4 의 처리에 있어서 산출한 정보 및 모델 DB (12) 의 정보를 사용하여, 배기 가스 유량의 보정 파라미터, 배기 가스 중 CO, CO2 농도의 보정 파라미터, 물리 반응 모델 계산에 의한 슬래그 (103) 중 FeO 농도 추정치의 보정 파라미터, 및 용탕 (101) 중 탄소 농도를 산출한다.
〔보정 파라미터 계산예〕
구체적으로는, 보정 계산부 (16) 는, 이하의 수학식 (9) 에 나타내는 평가 함수 J 또는 이하의 수학식 (10) 에 나타내는 평가 함수 J 를 최소로 하는 비선형 계획 문제를 풂으로써 보정 파라미터 α, β, ΔFeO, [C] 를 계산한다. 또한, α 는 곱의 형식으로 배기 가스 유량을 보정하는 파라미터, β 는 곱의 형식으로 배기 가스 중 CO, CO2 농도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ΔFeO 는 합의 형식으로 스텝 S4 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슬래그 (103) 중 FeO 추정량을 보정하는 파라미터, [C] 는 계산 시각에 있어서의 용탕 (101) 중 탄소 농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또, ()temp 는 계산 시각 근방의 일정 기간에 있어서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보정 파라미터 α, β 의 도입에 의해, 수학식 (3), 수학식 (4) 로 나타낸 O2 in, O2 out 은, 이하에 나타내는 수학식 (11), (12) 와 같이 나타내진다. 또, 수학식 (9), 수학식 (10) 에서 사용되는 O2eff [Nm3/t] 는 이하의 수학식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스 (102) 로부터의 송산량 및 부원료 투입으로부터 공급된 산소량으로부터 불순물 금속 연소 및 철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을 감산한 양, 즉 용탕 (101) 중 탄소 산화 및 발생한 CO 를 산화시켜 CO2 를 생성하는 반응에 사용되는 산소량 (유효 산소량) 이다.
Figure 112020096437522-pct00009
Figure 112020096437522-pct00010
Figure 112020096437522-pct00011
Figure 112020096437522-pct00012
Figure 112020096437522-pct00013
수학식 (9) 에 나타내는 평가 함수 J 는, 이후에 기술하는 제 6 항목에 있어서의 오차의 지표가 되는 항의 가중합으로 되어 있다. 제 1 항은, 투입 탄소량으로부터 배출 탄소량을 감산한 전로 (100) 내에 잔류하는 탄소량과 [C] 의 차의 제곱치이고, 이 항이 0 이 되는 것은 전로 (100) 내에서 탄소 질량 수지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항은, 투입 산소량으로부터 배출 산소량 및 불순물 금속 산화 사용 산소량을 감산한 양과 물리 반응 모델에 기초하는 FeO 추정량으로부터 계산되는 용탕 (101) 중 철산화에 사용되는 산소량의 차의 제곱치이고, 이 항이 0 이 되는 것은 전로 (100) 내에서 산소 질량 수지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 3 항은, 유효 산소량 중 용탕 (101) 중 탄소의 산화 (1 차 연소) 에 사용된 산소량의 비율로 나타내는 1 차 연소 효율과 1 차 연소 효율의 표준치 Rpri 의 차의 제곱치이고, 이 항이 0 에 가까워지는 것은, 조작량 및 배기 가스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1 차 연소 효율이 표준치에 가까워지는 것을 나타낸다. 제 4 항은 α, β 와 α, β 표준치 αave, βave 의 차의 제곱치이고, 이 항이 0 에 가까워지는 것은 α, β 가 표준치에 가까워지는 것을 나타낸다. 제 5 항은, 보정 파라미터 ΔFeO 의 제곱치이고, 산출되는 슬래그 중 FeO 농도가 물리 반응 모델로부터 괴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항이다. 제 6 항은, 계산 시점 근방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정보 및 투입 산소 정보로부터 계산된 탈탄 산소 효율과, 물리 반응 모델에 기초하는 탈탄 산소 효율의 차의 제곱치이고, 이 항이 0 이 되는 것은 실측된 탈탄량이 물리 모델에 맞는 것을 나타낸다.
또, 수학식 (10) 에 나타내는 평가 함수 J 도 동일하게, 이후에 기술하는 제 6 항목에 있어서의 오차의 지표가 되는 항의 가중합으로 되어 있다. 제 1 항은, 투입 탄소량으로부터 배출 탄소량을 감산한 전로 (100) 내에 잔류하는 탄소량과 [C] 의 비로부터 1 을 감산한 값의 제곱치이고, 이 항이 0 이 되는 것은 전로 (100) 내에서 탄소 질량 수지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항은, 투입 산소량으로부터 배출 산소량 및 불순물 금속 산화 사용 산소량을 감산한 양과 물리 반응 모델에 기초하는 FeO 추정량으로부터 계산되는 용탕 (101) 중 철산화에 사용되는 산소량의 비로부터 1 을 감산한 값의 제곱치이고, 이 항이 0 이 되는 것은 전로 (100) 내에서 산소 질량 수지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 3 항은, 유효 산소량 중 용탕 (101) 중 탄소의 산화 (1 차 연소) 에 사용된 산소량의 비율로 나타내는 1 차 연소 효율과 1 차 연소 효율의 표준치 Rpri 의 비로부터 1 을 감산한 값의 제곱치이고, 이 항이 0 에 가까워지는 것은, 조작량 및 배기 가스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1 차 연소 효율이 표준치에 가까워지는 것을 나타낸다. 제 4 항은 α, β 와 α, β 표준치 αave, βave 의 비로부터 1 을 감산한 값의 제곱치이고, 이 항이 0 에 가까워지는 것은 α, β 가 표준치에 가까워지는 것을 나타낸다. 제 5 항은, 보정 파라미터 ΔFeO 의 제곱치이고, 산출되는 슬래그 중 FeO 농도가 물리 반응 모델로부터 괴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항이다. 제 6 항은, 계산 시점 근방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 정보 및 투입 산소 정보로부터 계산된 탈탄 산소 효율과, 물리 반응 모델에 기초하는 탈탄 산소 효율의 비로부터 1 을 감산한 값의 제곱치이고, 이 항이 0 이 되는 것은 실측된 탈탄량이 물리 모델에 맞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수학식 (9), (10) 에 있어서 Rpri, αave, βave 는, 모델 DB (12) 에 기억되어 있는 과거 차지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실적 중 추정 대상 차지와 동일한 취련 처리 형태의 실적으로부터 결정된다. 또, Rpri 가 조작량이나 취련 처리 조건 등에 의해 기술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의 예에 있어서, 평가 함수 J 의 각 항의 분모에 있는 가중 인자 (σ1 ∼ σ6) 는 유저가 설정하는 파라미터이다. 가중 인자는 상기 각 항목 각각에 대한 오차의 크기의 평가 함수 J 에 대한 영향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취련 처리에 있어서 반응의 페이즈에 따라 각 항의 가중 인자를 변경함으로써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용탕 중 탄소 농도가 저농도 영역 또는 탈탄 산소 효율이 저하되는 영역에서는, 수학식 (9) 에 대해 제 6 항목의 가중 인자 σ6 을 작은 값으로 변경하여 제 6 항목의 오차의 평가 함수 J 에 대한 영향을 크게 함으로써, 용탕 중 탄소 농도를 저농도에서도 정밀도가 양호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계산 대상 시각 이전에 산출된 용탕 성분 추정 정보 및 보정된 배기 가스 계측 정보의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평가 함수 J 의 각 항의 가중 인자를 취련 처리 중으로 전환함으로써 추정 정밀도는 향상된다.
평가 함수 J 를 제약 조건 하에서 최소화하는 비선형 계획 문제에는 다종의 알고리즘이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콘노 히로시, 야마시타 히로시 저 : 비선형 계획법, 일본 과학 기술 연맹) 참조), 그것들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보정 파라미터 α, β, ΔFeO, [C] 를 계산할 수 있다. 이로써, 스텝 S5 의 처리는 완료되고, 용탕 성분 추정 처리는 스텝 S6 의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 S6 의 처리에서는, 보정 계산부 (16) 가, 스텝 S5 의 처리에서 산출한 각종 보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용탕 (101) 중 탄소 농도 및 슬래그 (103) 중 FeO 농도를 추정한다. 이후, 연산 처리부 (13) 는, 보정 계산부 (16) 에 의한 용탕 (101) 중 탄소 농도 및 슬래그 (103) 중 FeO 농도의 추정 결과를 출력 장치 (17) 로 이송한다. 출력 장치 (17) 는, 연산 처리부 (13) 로부터 이송된 용탕 (101) 중 탄소 농도의 추정 결과를 제어 단말 (10) 및 표시 장치 (20) 에 출력한다. 제어 단말 (10) 은, 용탕 (101) 중 탄소 농도의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정련 설비 (2) 의 조작량 (예를 들어 송산량이나 부원료의 투입량 및 투입 타이밍 등) 을 조절한다. 표시 장치 (20) 는, 용탕 (101) 중 탄소 농도 및 슬래그 (103) 중 FeO 농도의 추정 결과를 표시한다. 이로써, 스텝 S6 의 처리는 완료되고, 용탕 성분 추정 처리는 스텝 S7 의 처리로 진행된다.
스텝 S7 의 처리에서는, 연산 처리부 (13) 가, 취련 처리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의 결과, 취련 처리가 종료된 경우, 연산 처리부 (13) 는, 일련의 용탕 성분 추정 처리를 종료하고, 연산 처리부 (13) 는 스텝 S8 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취련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연산 처리부 (13) 는 스텝 S2 의 처리로 돌아온다.
스텝 S8 의 처리에서는, 연산 처리부 (13) 가, 대상 차지의 실적 데이터 및 연산 처리부 (13) 에 있어서의 계산 결과를 모델 DB (12) 에 보존한다. 또한, 대상 취련 처리 종료시의 용탕 (101) 중 탄소 농도나 슬래그 (103) 중 FeO 농도의 계측치가 얻어져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사용하여 최적인 각종 보정 파라미터 및 초기 파라미터 조건을 산출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정 항목으로서 취급하고 있지 않은 요소, 예를 들어 투입 용선 중 탄소 농도 분석치 ρpig 나 부원료 투입 적산 중량 Wj aux 등에 대해 오차 요인이 있는 경우, 스텝 S8 의 처리에 있어서, 취련 처리 종료시의 용탕 (101) 성분, 슬래그 (103) 성분을 만족하는 보정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모델 DB (12) 에 보존함으로써, 이후의 차지에 있어서의 초기 보정 파라미터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로써, 스텝 S8 의 처리는 완료되고, 일련의 용탕 성분 추정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용탕 성분 추정 처리에서는, 용탕 성분 추정 장치 (1) 가, 물리 반응 모델식, 용탕의 성분 농도의 계측 결과, 및 정련 설비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유량 및 성분 농도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취련 처리 중의 탄소 수지 밸런스 및 산소 수지 밸런스가 연속적으로 유지되도록, 배기 가스의 유량 및 성분 농도의 계측치, 물리 반응 모델 계산치를 보정하는 보정 파라미터를 축차 산출하므로, 취련 처리 중에 연속적으로 고정밀도의 용탕 및 슬래그 중의 성분 농도의 추정치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한 본 발명의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기술 (記述)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속적으로 취득 가능한 전로 계측 정보로서 배기 가스 정보를 사용했지만, 예를 들어 용탕 온도에 관련된 계측 정보가 얻어지는 경우, 노 내 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량에 기초하는 열 수지 모델과 조합 관계식을 최적화 계산에 삽입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용탕 온도 추정이 가능해지고, 또한 용탕 및 슬래그의 성분 농도의 추정 정밀도의 향상도 전망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당업자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용탕 및 슬래그 중의 성분 농도를 고정밀도이고 연속적으로 추정 가능한 용탕 성분 추정 장치 및 용탕 성분 추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 : 용탕 성분 추정 장치
2 : 정련 설비
10 : 제어 단말
11 : 입력 장치
12 : 모델 데이터베이스 (모델 DB)
13 : 연산 처리부
14 : 물질 수지 계산부
15 :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
16 : 보정 계산부
17 : 출력 장치
20 : 표시 장치
100 : 전로
101 : 용탕
102 : 랜스
103 : 슬래그
104 : 덕트
105 : 배기 가스 검출부
106 : 통기공
107 : 유량계

Claims (7)

  1. 정련 설비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개시 전 또는 취련 처리 중의 용탕의 온도 및 성분 농도에 대한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정련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 및 성분 농도에 대한 제 2 계측 결과가 입력되는 입력 장치와,
    상기 정련 설비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반응에 관한 모델식 및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모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제 2 계측 결과와, 상기 모델식 및 상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탄소 및 산소의 수지 밸런스 계산을 실시함으로써, 정련 설비에 투입되는 탄소량 및 산소량과 상기 정련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량 및 산소량을 추정하는 물질 수지 계산부와,
    상기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모델식 및 상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슬래그 중 FeO 량 및 용탕 중 탈탄량의 적어도 일방을 계산함으로써, 정련 설비 내에 잔존하는 산소량 및 탄소량의 적어도 일방을 추정하는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와,
    상기 입력 장치에 입력된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상기 물질 수지 계산부 및 상기 물리 반응 모델 계산부의 추정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배기 가스의 유량의 계측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상기 배기 가스의 성분 농도의 계측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슬래그 중의 FeO 농도의 계산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및 상기 용탕 중의 탄소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각각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보정 파라미터로서 산출하고, 산출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보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용탕 및 슬래그 중의 성분 농도를 추정하는 보정 계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 성분 추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산부는,
    상기 제 1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초기 용탕 중 탄소량과 투입 부원료에 의해 정련 설비 내에 공급되는 탄소량으로부터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정련 설비 외로 배출되는 탄소량을 감산한 양과 상기 제 4 보정 파라미터의 차로서 나타내지는 탄소 수지 오차,
    상기 정련 설비에 공급된 산소량으로부터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용탕 중 탄소 산화, 정련 설비 내 일산화탄소 산화, 및 용탕 중 불순물 금속 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을 감산한 값과 상기 모델식에 의해 계산된 용탕 중 철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의 차로서 나타내지는 산소 수지 오차, 및
    상취 송산량 및 투입 부원료에 의해 공급된 산소량으로부터 불순물 금속 산화 및 철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을 감산한 양 중, 용탕 중 탄소 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의 비율로서 나타내지는 1 차 연소 효율과 상기 1 차 연소 효율의 표준치의 차로서 나타내지는 1 차 연소 수지 오차의 항을 포함하는 평가 함수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제 1, 상기 제 2, 상기 제 3, 및 상기 제 4 보정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 성분 추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산부는,
    상기 제 1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초기 용탕 중 탄소량과 투입 부원료에 의해 정련 설비 내에 공급되는 탄소량으로부터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정련 설비 외로 배출되는 탄소량을 감산한 양과 상기 제 4 보정 파라미터의 비로서 나타내지는 탄소 수지 오차,
    상기 정련 설비에 공급된 산소량으로부터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계산되는 용탕 중 탄소 산화, 정련 설비 내 일산화탄소 산화, 및 용탕 중 불순물 금속 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을 감산한 값과 물리 반응 모델에 의해 계산된 용탕 중 철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의 비로서 나타내지는 산소 수지 오차, 및
    상취 송산량 및 투입 부원료에 의해 공급된 산소량으로부터 불순물 금속 산화 및 철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을 감산한 양 중, 용탕 중 탄소 산화에 의해 소비된 산소량의 비율로서 나타내지는 1 차 연소 효율과 상기 1 차 연소 효율의 표준치의 비로서 나타내지는 1 차 연소 수지 오차의 항을 포함하는 평가 함수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제 1, 상기 제 2, 상기 제 3, 및 상기 제 4 보정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 성분 추정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함수가, 상기 탄소 수지 오차의 제곱치, 상기 산소 수지 오차의 제곱치, 및 상기 1 차 연소 수지 오차의 제곱치를 항으로서 포함하는 가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 성분 추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함수에 있어서의 각 항의 가중을 나타내는 정수가, 계산 대상 차지 중의 계산 대상 시각 이전에 산출된 용탕 성분 추정 정보 및 보정된 배기 가스 계측 정보의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 성분 추정 장치.
  6. 정련 설비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개시 전 또는 취련 처리 중의 용탕의 온도 및 성분 농도에 대한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정련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유량 및 성분 농도에 대한 제 2 계측 결과가 입력되는 입력 스텝과,
    상기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제 2 계측 결과와, 상기 정련 설비에 있어서의 취련 처리 반응에 관한 모델식 및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탄소 및 산소의 수지 밸런스 계산을 실시함으로써, 정련 설비에 투입되는 탄소량 및 산소량과 상기 정련 설비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량 및 산소량을 추정하는 물질 수지 계산 스텝과,
    상기 제 1 계측 결과와 상기 모델식 및 상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슬래그 중 FeO 량 및 용탕 중 탈탄량의 적어도 일방을 계산함으로써, 정련 설비 내에 잔존하는 산소량 및 탄소량의 적어도 일방을 추정하는 물리 반응 모델 계산 스텝과,
    상기 입력 스텝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제 2 계측 결과로부터, 상기 물질 수지 계산 스텝 및 상기 물리 반응 모델 계산 스텝에 있어서의 추정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배기 가스의 유량의 계측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상기 배기 가스의 성분 농도의 계측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슬래그 중의 FeO 농도의 계산치를 보정하는 파라미터, 및 상기 용탕 중의 탄소량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각각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보정 파라미터로서 산출하고, 산출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보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용탕 및 슬래그 중의 성분 농도를 추정하는 보정 계산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 성분 추정 방법.
  7. 제 6 항에 기재된 용탕 성분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용탕 중의 성분 농도에 기초하여 용탕 중의 성분 농도를 원하는 범위 내로 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의 제조 방법.
KR1020207026277A 2018-03-19 2019-03-08 용탕 성분 추정 장치, 용탕 성분 추정 방법, 및 용탕의 제조 방법 KR102348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50330 2018-03-19
JP2018050330 2018-03-19
PCT/JP2019/009329 WO2019181562A1 (ja) 2018-03-19 2019-03-08 溶湯成分推定装置、溶湯成分推定方法、及び溶湯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200A KR20200118200A (ko) 2020-10-14
KR102348892B1 true KR102348892B1 (ko) 2022-01-07

Family

ID=6798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277A KR102348892B1 (ko) 2018-03-19 2019-03-08 용탕 성분 추정 장치, 용탕 성분 추정 방법, 및 용탕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770279B1 (ko)
JP (1) JP6583594B1 (ko)
KR (1) KR102348892B1 (ko)
CN (1) CN111868268B (ko)
BR (1) BR112020019000A2 (ko)
TW (1) TWI681059B (ko)
WO (1) WO2019181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4823B2 (ja) * 2020-02-06 2023-07-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精錬装置及び精錬方法
KR102487540B1 (ko) * 2021-09-03 2023-01-11 (주)테크다스 구리 제련공장의 매트 구리성분비(Cu%) 제어 시스템
CN118103530A (zh) 2021-11-29 2024-05-28 杰富意钢铁株式会社 炉内状态推断装置、炉内状态推断方法以及钢水制造方法
JP7405312B1 (ja) 2022-05-09 2023-12-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真空脱ガス処理の状態推定方法、操業方法、溶鋼の製造方法及び真空脱ガス処理の状態推定装置
CN117906376B (zh) * 2024-03-18 2024-05-24 泰安中联水泥有限公司 一种回转窑碳排放量监测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8349A (ja) 2015-06-18 2017-01-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湯状況推定装置および溶湯状況推定方法
JP2017089001A (ja) 2015-11-02 2017-05-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湯状況推定装置、溶湯状況推定方法、及び溶湯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2913A (ja) 1996-04-05 1997-10-21 Nippon Steel Corp 溶鋼炭素濃度推定方法
TW200613566A (en) * 2004-10-29 2006-05-01 Kobe Steel Ltd Process for producing molten iron and apparatus therefor
CN1316044C (zh) * 2005-11-17 2007-05-16 钢铁研究总院 转炉炼钢过程与终点控制系统
CN101308154B (zh) * 2008-07-16 2012-03-07 河北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转炉炼钢钢水连续定碳方法
CN101993970B (zh) * 2009-08-25 2012-09-26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转炉炉渣状态检测控制装置及方法
CN103160640B (zh) * 2013-02-26 2014-10-15 河北钢铁股份有限公司邯郸分公司 一种转炉炼钢过程中动态检测炉渣中锰、磷、硫含量的方法
CN105074016A (zh) * 2013-04-10 2015-11-18 杰富意钢铁株式会社 修正装置、修正方法以及钢铁精炼方法
KR101657930B1 (ko) * 2013-09-30 2016-09-19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전로 취련 설비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6314484B2 (ja) 2014-01-14 2018-04-2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銑脱りん方法
CN104630410B (zh) * 2015-02-10 2016-07-06 东北大学 一种基于数据解析的转炉炼钢质量实时动态预测方法
CN115494010A (zh) * 2017-03-03 2022-12-20 余杨 一种钢水成分和温度连续检测系统及方法
CN107164597A (zh) * 2017-04-12 2017-09-15 宣化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无副枪无炉气检测一键式转炉自动炼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8349A (ja) 2015-06-18 2017-01-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湯状況推定装置および溶湯状況推定方法
JP2017089001A (ja) 2015-11-02 2017-05-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湯状況推定装置、溶湯状況推定方法、及び溶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1059B (zh) 2020-01-01
EP3770279A1 (en) 2021-01-27
KR20200118200A (ko) 2020-10-14
JPWO2019181562A1 (ja) 2020-04-30
EP3770279B1 (en) 2022-08-10
JP6583594B1 (ja) 2019-10-02
CN111868268A (zh) 2020-10-30
BR112020019000A2 (pt) 2020-12-29
WO2019181562A1 (ja) 2019-09-26
EP3770279A4 (en) 2021-04-07
CN111868268B (zh) 2022-03-29
TW201940704A (zh)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892B1 (ko) 용탕 성분 추정 장치, 용탕 성분 추정 방법, 및 용탕의 제조 방법
JP2017008349A (ja) 溶湯状況推定装置および溶湯状況推定方法
JP6687080B2 (ja) 溶湯温度補正装置、溶湯温度補正方法、及び溶湯の製造方法
JP2018150589A (ja) 精錬プロセス状態推定装置、精錬プロセス状態推定方法、及び溶湯の製造方法
JP6376200B2 (ja) 溶湯状況推定装置、溶湯状況推定方法、及び溶湯の製造方法
JP6414045B2 (ja) 溶湯成分推定装置及び溶湯成分推定方法
JP5854171B2 (ja) 補正装置、補正方法及び鉄鋼精錬方法
KR102437794B1 (ko) 용탕 성분 추정 장치, 용탕 성분 추정 방법 및 용탕의 제조 방법
JP2018178199A (ja) 溶鋼中りん濃度推定方法、転炉吹錬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043949B2 (ja) T.Fe推定方法、T.Fe制御方法、転炉吹錬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658804B2 (ja) 初期成分濃度補正装置、初期成分濃度補正方法、精錬プロセス状態推定方法、及び、転炉の操業方法
JP2007238982A (ja) 転炉吹錬終点制御方法
JP7392897B2 (ja) 炉内状態推定装置、炉内状態推定方法及び溶鋼製造方法
JP6331601B2 (ja) 製鋼用転炉における吹錬制御方法
RU2817694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рафинирова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рафинирования
JP6795133B1 (ja) 転炉型脱燐精錬炉の吹錬制御方法及び吹錬制御装置
JP2012149341A (ja) 溶湯成分推定方法及び溶湯成分推定装置
JP7156560B2 (ja) 精錬処理制御装置及び精錬処理制御方法
TWI841072B (zh) 爐內狀態推定裝置、爐內狀態推定方法及鋼水製造方法
JPWO2017163902A1 (ja) 溶銑予備処理方法及び溶銑予備処理制御装置
JP7376787B2 (ja) 溶鋼中りん濃度推定装置、統計モデル構築装置、溶鋼中りん濃度推定方法、統計モデル構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433846B2 (ko)
JPH05339617A (ja) 転炉吹錬方法
JP2000355710A (ja) 転炉吹止Mn推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