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8892A -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8892A
KR20010058892A KR1019990066268A KR19990066268A KR20010058892A KR 20010058892 A KR20010058892 A KR 20010058892A KR 1019990066268 A KR1019990066268 A KR 1019990066268A KR 19990066268 A KR19990066268 A KR 19990066268A KR 20010058892 A KR20010058892 A KR 20010058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audio
data
level
atten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6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8892A/ko
Publication of KR2001005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8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2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distor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오디오 단속음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감쇠보상할 때 오디오출력의 레벨에 관계없이 감쇠조정명령에 따라 감쇠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오디오출력 파형이 날카롭게 변하여 단속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감쇠조정명령에 따라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 레벨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 레벨에 해당할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감쇠보상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단계로 궤환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제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감쇠보상할 때, 감쇠보정명령이 있은 다음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 레벨에 해당하는 지를 모티터링하여 데이터의 감쇠보상 시점을 조정함으로써, 디지털 오디오의 재생시에 스캔(scan)이나 스킵(skip) 기능을 사용할 때 불쾌한 단속음의 발생을 막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INTERRUPTED NOISE ELIMINATION METHOD IN DIGITAL AUDIO}
본 발명은 오디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오디오의 재생시에 오디오 데이터를 감쇠(attenuation) 조정할 때, 데이터의 감쇠보상 시점을 조정하는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오디오의 재생시에 스캔(scan)이나 스킵(skip) 기능을 사용할 경우, 재생장치 내부의 디코더에서는 오디오의 감쇠보상을 수행하여 출력을 원하는 레벨로 조절하게 된다.
도1은 종래 디지털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는 디에스피(DSP)부(1)와; 상기 디에스피부(1)의 신호처리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부(2)와; 상기 버퍼부(2)에서 버퍼링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을 해제하는 디코더(3)와; 상기 디코더(3)에서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오디오출력 버퍼부(4)와; 마이컴(7)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오디오출력 버퍼부(4)의 출력을 믹싱하여 가공하는 오디오출력 혼합기(5)와; 상기 오디오출력 혼합기(5)에서 가공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에스피(DSP)부(1)는 디지털 음성 혹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매체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고, 버퍼부(2)는 상기 디에스피부(1)의 신호처리된 데이터를 버퍼링한 다음 디코더(3)로 출력하여 이의 압축을 해제한다.
그러면, 오디오출력 버퍼부(4)는 상기 압축이 해제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레벨을 유지하면서 일시 저장한 다음 오디오출력 혼합기(5)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오디오출력 혼합기(5)는 마이컴(7)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오디오출력 버퍼부(4)의 출력을 믹싱하여 가공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는 상기 오디오출력 버퍼부(4)에서 가공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데, 여기서 상기 마이컴(7)이 상기 오디오출력 혼합기(5)에 오디오 데이터의 감쇠(attenuation)조정명령을 출력하면, 도4a와 같이 감쇠조정명령이 내려진 시점에서 오디오 레벨이 조정된다.
그러면, 감쇠조정명령에 의해 감쇠보상이 되는 시점에서 완만한 파형이 날카롭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부분이 그대로 외부에 출력될 경우 사용자는 이를 단속음으로 듣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감쇠보상할 때 오디오출력의 레벨에 관계없이 감쇠조정명령에 따라 감쇠보상을 수행함으로써, 오디오출력 파형이 날카롭게 변하여 단속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의 재생시에 오디오 데이터를 감쇠보상할 때, 오디오출력의 레벨을 모니터링하여 데이터의 감쇠보상 시점을 조정하도록 하는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디지털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종래 디지털오디오의 감쇠조정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동작흐름도.
도3은 본 발명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동작흐름도.
도4a는 도1에서, 감쇠보상에 의한 출력 파형을 보인 파형도.
도4b는 도3에서, 감쇠보상에 의한 출력 파형을 보인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에스피부 2 : 버퍼부
3 : 디코더 4 : 오디오출력 버퍼부
5 : 오디오출력 혼합기 6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7 : 마이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감쇠조정명령에 따라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 레벨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 레벨에 해당할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감쇠보상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단계로 궤환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감쇠조정명령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 감쇠조정명령이 없을 경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감쇠조정명령이 있을 경우 오디오 데이터를 모니터링(monitoring)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 레벨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 레벨에 해당할 경우 오디오 레벨을 조정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단계로 궤환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와 동일한데,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는 디에스피(DSP)부(1)와; 상기 디에스피부(1)의 신호처리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버퍼부(2)와; 상기 버퍼부(2)에서 버퍼링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을 해제하는 디코더(3)와; 상기 디코더(3)에서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오디오출력버퍼부(4)와; 마이컴(7)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오디오출력 버퍼부(4)의 출력을 믹싱하여 가공하는 오디오출력 혼합기(5)와; 상기 오디오출력 혼합기(5)에서 가공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디에스피(DSP)부(1)는 디지털 음성 혹은 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매체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고, 버퍼부(2)는 상기 디에스피부(1)의 신호처리된 데이터를 버퍼링한 다음 디코더(3)로 출력하여 이의 압축을 해제한다.
그러면, 오디오출력 버퍼부(4)는 상기 압축이 해제된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레벨을 유지하면서 일시 저장한 다음 오디오출력 혼합기(5)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오디오출력 혼합기(5)는 마이컴(7)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오디오출력 버퍼부(4)의 출력을 믹싱하여 가공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6)는 상기 오디오출력 버퍼부(4)에서 가공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출력 혼합기(5)는 상기 마이컴(7)의 감쇠조정명령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여 감쇠조정명령이 없을 경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계속해서 외부로 출력하고, 감쇠조정명령이 발생할 경우 오디오 데이터의 모니터링(monitoring) 결과에 따라 감쇠보상 시점을 결정한다.
즉,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영이 시점을 기준레벨로 설정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이레벨에 해당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오디오 데이터가 이 레벨에 해당하게 되면 감쇠보상을 하여 오디오 레벨을 조정하며, 이때 감쇠보상 레벨은 상기 감쇠조정명령의 입력시 모니터링된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이 된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의 모니터링은 마이컴(7) 혹은 오디오출력 혼합기(5)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기준레벨은 실험에 의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이 영이 되는 부근의 소정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를 감쇠보상할 때, 감쇠조정명령이 있은 다음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 레벨에 해당하는 지를 모티터링하여 데이터의 감쇠보상 시점을 조정함으로써, 디지털 오디오의 재생시에 스캔(scan)이나 스킵(skip) 기능을 사용할 때 불쾌한 단속음의 발생을 막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감쇠조정명령에 따라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 레벨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소정 레벨에 해당할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감쇠보상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단계로 궤환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소정 레벨은 오디오 데이터가 영이 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감쇠보상 레벨은 상기 감쇠조정명령의 입력시 모니터링된 오디오 데이터의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
KR1019990066268A 1999-12-30 1999-12-30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 KR20010058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268A KR20010058892A (ko) 1999-12-30 1999-12-30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6268A KR20010058892A (ko) 1999-12-30 1999-12-30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892A true KR20010058892A (ko) 2001-07-06

Family

ID=1963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6268A KR20010058892A (ko) 1999-12-30 1999-12-30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88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40B1 (ko) * 2004-02-13 2007-03-2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정전형 액츄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40B1 (ko) * 2004-02-13 2007-03-2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정전형 액츄에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09201A (ja) 改良型信号符号化/復号化システム
KR20010058892A (ko) 디지털오디오의 단속음 제거방법
JPH04365210A (ja) 車載音響再生装置
JP3279267B2 (ja) 音声出力調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31934A (ja) 音声信号処理装置
KR100469568B1 (ko) 버퍼 모니터링을 통한 오디오 잡음 감쇄 제어 장치 및 그방법
JP2001077645A (ja)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音声信号処理方法
JPH05292592A (ja) 音質補正装置
JP2001057697A (ja) 音場補正装置
EP2128978B1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KR100188661B1 (ko) 특수 재생 모드에서의 스위칭 노이즈 개선 방법 및장치
JPH10177395A (ja) 信号処理方法
JPH05183364A (ja)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3247526B2 (ja) オーディオ信号のレベル調整装置
KR19980058968U (ko) 오디오 무신호시 오디오신호 녹화뮤트장치
JP3364010B2 (ja) オーディオ装置
KR20000040844A (ko) 다이나믹 레인지 보상장치
KR960016847B1 (ko)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
JPS6231856B2 (ko)
JPH06338735A (ja) ミキシング装置
JP2005166188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及び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
KR0137418Y1 (ko) 음성편집기능이 구비된 캠코더
JPH11284463A (ja) 音響装置
JP2006279194A (ja) ミキシング装置
JPS6327197A (ja) 音程ピツチの変化によるハウリング防止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