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3836A -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 - Google Patents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836A
KR20010053836A KR1019990054358A KR19990054358A KR20010053836A KR 20010053836 A KR20010053836 A KR 20010053836A KR 1019990054358 A KR1019990054358 A KR 1019990054358A KR 19990054358 A KR19990054358 A KR 19990054358A KR 20010053836 A KR20010053836 A KR 20010053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upport
flange
reinforcement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9749B1 (ko
Inventor
유언배
Original Assignee
유언배
한국스파이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언배, 한국스파이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언배
Priority to KR101999005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74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Abstract

덕트 유니트의 몸체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부와, 제 1 지지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브리지와, 브리지로부터 제 1 지지부와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제 1 지지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제 1 지지부는 브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지지플랜지와, 제 1 지지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 1 리턴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제 2 지지부는 브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지지플랜지와, 제 2 지지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 2 리턴플랜지로 이루어지는 덕트 보강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에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덕트를 보강할 수 있고, 종래보다 절반정도의 두께를 갖는 철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코스트가 저렴하고,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덕트 보강재의 두께가 종래의 앵글방식에 비해 절반정도이므로, 덕트 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기계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DUCT ARMATURE AND DUCT UNIT BY THE USE OF DUCT ARMA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공조 설비중 덕트(Duct)에 설치되는 덕트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 유니트의 몸체에 내부 및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설치작업성이 향상된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생산하는 공장이나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 또는 작업자가 작업하는 공간의 쾌적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온도, 습도 및 청정도가 조정된 공기를 공급하는데에는 덕트가 사용된다.
덕트는 일반적으로 0.5mm ~ 1.2mm 두께의 아연도금 철판으로 구성되며, 단면의 형상에 따라 크게 사각 덕트와 원형 덕트로 구분된다.
사각 덕트는 각형 덕트라고도 하며, 통상 일정한 길이, 예를 들어, 1.8m ~ 3.6m의 아연 도금 철판을 절단하여 구부리고 양단을 접합하여 몸체를 완성한 후, 덕트간의 결합을 위해 덕트의 양단에 연결용 플랜지를 형성하여 완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덕트 유니트들을 연결용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원하는 길이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형 덕트는 스파이럴 덕트라고도 하며, 밴드 형태의 아연도금 철판을 원형으로 감아서 단면을 원형으로 만들고, 나선형으로 접하는 양단부를 연속적으로 접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최종 목적지까지 진행하는데에는 다수의 덕트 유니트가 결합되어 연장되거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밴딩되거나 주 덕트로부터 분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덕트의 내부에 흐르는 고압 및 고속의 유체나 공기에 의해 덕트가 압력을 받게 되면, 덕트에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덕트 자체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덕트의 형상을 유지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덕트 유니트의 소정 위치에 덕트 보강재가 설치된다.
덕트 유니트의 보강을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덕트의 보강재는 플랜지 바(Flange Bar) 방식과 앵글(Angle) 방식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랜지 방식의 덕트 보강재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앵글 방식의 덕트 보강재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플랜지 바 방식의 덕트 보강재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자인 플랜지 바(20)가 몸체(1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절단되어 몸체(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플랜지 바(20)는 몸체(10)에 고정되는 지지부(24)와 지지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보강부(25)로 이루어지며, 지지부(24)에는 결합공(22)이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10)에 형성된 관통공(12)과 플랜지 바(20)에 형성된 결합공(22)을 정합하여 리벳으로 결함함으로서 플랜지 바(20)를 몸체(10)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앵글 방식의 덕트 보강재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의형태가 "??"자인 앵글 보강재(30)가 몸체(10)의 폭보다 연장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몸체(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앵글 보강재(20)는 몸체(10)에 고정되는 지지부(34)와 지지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보강부(35)로 이루어지며, 지지부(34)에는 결합공(32)이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10)에 형성된 관통공(12)과 앵글 보강재(20)에 형성된 결합공(32)을 정합하여 리벳으로 결함함으로서 앵글 보강재(20)를 몸체(10)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앵글 보강재(20)는 단부가 서로 정확히 맞추어지도록 절단되고 용접되어, 각각 네 모서리에 용접부(38)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덕트 보강재에서, 플랜지 바 방식은 각각의 플랜지 바가 각형 덕트의 4 면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덕트에 작용하는 압력에 충분한 보강을 할 수 없으며, 특히, 덕트의 대각선 방향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서는 보강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앵글 방식에서는 앵글 보강재를 덕트의 4 면의 길이에 맞게 절단하고 인접하는 앵글 보강재를 용접해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며, 앵글 보강재가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앵글 보강재의 두께가 두꺼워 덕트의 제작과정에서 여러 가지의 규격을 구비하는 덕트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기계화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플랜지 바 방식과 앵글방식에 있어서는 대부분 덕트 보강재의 설치가 주로 건축현장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는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자재 이용의 효율성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덕트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효과적으로 보강력이 작용하고 설치가 용이한 덕트 보강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랜지 방식의 덕트 보강재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앵글 방식의 덕트 보강재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강재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5 : 연결용 플랜지
20 : 플랜지 바 30 : 앵글
40, 40' : 덕트 보강재 42, 42' : 제 2 지지부
45, 45' : 브리지 46, 46' : 제 1 지지부
100 : 덕트 유니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덕트 유니트의 몸체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부와, 제 1 지지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브리지와, 브리지로부터 제 1 지지부와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제 1 지지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제 1 지지부는 브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지지플랜지와, 제 1 지지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 1 리턴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제 2 지지부는 브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지지플랜지와, 제 2 지지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 2 리턴플랜지로 이루어지는 덕트 보강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가지며 양단에 연결용 플랜지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한 덕트 보강재들의 길이가 몸체의 폭과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 2 지지부가 교대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브리지들의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지지부가 몸체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덕트 유니트가 개시된다.
일실시예로 브리지들간 및 제 1 지지부와 몸체의 외표면은 프레스 조인트되거나 스폿 용접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덕트 보강재의 브리지의 높이는 덕트 유니트의 연결용 플랜지보다 작거나 동일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강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강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강재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강재(40)는 덕트 유니트의 몸체 외표면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부(46)와, 제 1 지지부(46)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브리지(45)와, 브리지(45)로부터 제 1 지지부(46)의 반대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 2 지지부(42)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제 1 지지부(46), 브리지(45) 및 제 2 지지부(42)는 일체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두께 1.2㎜ ∼ 1.6㎜의 아연도 철판이 사용될 수 있다.
덕트 보강재(40)의 높이는 브리지(45)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며, 덕트 유니트의 연결용 플랜지의 높이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20㎜ ∼ 45㎜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지지부(42, 46)의 폭은 15㎜ ∼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덕트 보강재(40)의 길이는 덕트 유니트의 폭이나높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브리지(45)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지지부(46)는 제 1 지지플랜지(47)와 제 1 지지플랜지(47)로부터 절곡된 제 1 리턴플랜지(48)로 이루어지고, 제 2 지지부(42)는 제 2 지지플랜지(44)와 제 2 지지플랜지(44)로부터 절곡된 제 2 리턴플랜지(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지지부(42, 46)는 브리지(45)의 2배의 두께를 갖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강재(40)는 덕트 유니트(100)의 몸체(10)를 둘러싸도록 고정된다. 먼저, 덕트 보강재(40)의 제 1 지지부(46)가 프레스 조인트 등의 방법에 의해 몸체(1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고정방법으로는 상기한 프레스 조인트 이외에 스폿 용접이나 리벳팅이 사용될 수도 있다. 덕트 보강재(40)의 길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폭 W보다 크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양단이 몸체(10)의 가장자리로부터 덕트 보강재(40)의 브리지(45)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크게 형성된다. 이때, 제 2 지지부(42)는 한쪽 방향 D1을 향하도록 한다. 이어 상부면에 인접하는 측면에 덕트 보강재를 설치하는데, 제 2 지지부(42)의 방향이 반대방향 D2를 향하도록 한 다음에 설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하는 덕트 보강재(40, 40')간의 결합구조를 보여준다. 몸체(10)의 상부면에 고정된 덕트 보강재(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브리지(45')의 높이만큼 몸체(10)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측면에 덕트 보강재(40')를 위치시키면 브리지들(45, 45') 상호간에 정확하게 정합된다. 이 상태에서 덕트 보강재(40')의 제 1 지지부(46')를 몸체(10)의 측면에 고정시키고, 브리지들(45, 45')을 프레스 조인트(5)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몸체(10)의 4 면을 둘러싸도록 덕트 보강재를 설치하면, 덕트 보강재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덕트 보강재들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제 1 지지부들(46, 46')은 몸체(10)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안정되고, 브리지들(45, 45')은 서로 결합되므로 고정되며, 제 2 지지부들(42, 42')은 몸체(10)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안정된 제 1 지지부들(42, 42')에 맞닿아 안정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몸체(10)와 일체적으로 결합된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몸체(10) 내부에 고압 및 고속으로 공기나 유체가 흘러 몸체(1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몸체(10)는 외표면에 직접 고정된 제 1 지지부와 상호 결합된 브리지들에 의해 2중으로 보강되므로 보강효과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조코스트가 저렴하고,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즉, 덕트 보강부의 제 1 및 제 2 지지부는 이중으로 형성되고 브리지들은 서로 맞닿아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2배의 두께를 갖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절반정도의 두께를 갖는 철판을 사용할 수 있어 재료비가 저감된다. 또한, 덕트 유니트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규격화된 덕트 보강재를 제작하고 덕트 외부에서 프레스 조인트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덕트 보강재의 두께가 종래의 앵글방식에 비해 절반정도이므로, 덕트 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기계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 보강재에 따르면, 덕트에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덕트를 보강할 수 있고, 종래보다 절반정도의 두께를 갖는 철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코스트가 저렴하고,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덕트 보강재의 두께가 종래의 앵글방식에 비해 절반정도이므로, 덕트 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기계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덕트 유니트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덕트 유니트의 몸체의 외표면에 설치되는 덕트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로부터 상기 제 1 지지부와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제 1 지지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브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지지플랜지와, 상기 제 1 지지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 1 리턴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브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지지플랜지와, 상기 제 2 지지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 2 리턴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보강재.
  2.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가지며 양단에 연결용 플랜지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제 1 항에 기재된 덕트 보강재들의 길이가 상기 몸체의 폭과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부가 교대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브리지들의 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지지부가 상기 몸체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들간 및 상기 제 1 지지부와 몸체의 외표면은프레스 조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유니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의 높이는 상기 연결용 플랜지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유니트.
KR1019990054358A 1999-12-02 1999-12-02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 KR100359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358A KR100359749B1 (ko) 1999-12-02 1999-12-02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358A KR100359749B1 (ko) 1999-12-02 1999-12-02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836A true KR20010053836A (ko) 2001-07-02
KR100359749B1 KR100359749B1 (ko) 2002-11-07

Family

ID=1962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358A KR100359749B1 (ko) 1999-12-02 1999-12-02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7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85B1 (ko) * 2018-05-03 2019-03-05 (주)삼일강업 덕트 유니트
WO2019212121A1 (ko) * 2018-05-03 2019-11-07 ㈜삼일강업 덕트 유니트 보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30B1 (ko) 2008-04-01 2010-05-10 (주)화용씨티에스 플랫덕트 슬리브 구조
KR200482140Y1 (ko) 2012-07-27 2016-12-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덕트 지지용 체결장치
KR101943993B1 (ko) 2018-01-31 2019-01-30 조희상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35240B1 (ko) * 2018-06-29 2019-11-15 (주)삼일강업 다이아몬드비딩이 구비된 덕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946Y1 (ko) * 1985-03-12 1988-03-16 조방형 닥트(duct)연결 장치
JPH0254989U (ko) * 1988-10-13 1990-04-20
JPH04117977U (ja) * 1991-04-05 1992-10-22 株式会社フジタ 空調用ダクトの接続金具
JP2531335Y2 (ja) * 1992-10-20 1997-04-02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ダクトの補強材
JPH07305887A (ja) * 1994-05-11 1995-11-21 Fuji Kucho Kogyo Kk 角ダクトの仮接続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85B1 (ko) * 2018-05-03 2019-03-05 (주)삼일강업 덕트 유니트
WO2019212121A1 (ko) * 2018-05-03 2019-11-07 ㈜삼일강업 덕트 유니트 보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9749B1 (ko)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626B1 (ko) 건물 유닛에 있어서의 접합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4814757B2 (ja) ダクト
KR20200114876A (ko) 모듈화된 리브보강 ㄷ강판과 클립강판을 이용한 보 강판거푸집
KR100359749B1 (ko)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
US8020926B2 (en) Vehicular structural frame assembly
KR100245268B1 (ko) 트러스가 부착된 데크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248233Y1 (ko) 덕트의 플랜지
JP3577408B2 (ja) 鉄骨梁構造
JP4520401B2 (ja) 柱・梁構造
CN108457373B (zh) 负荷支撑部件
JPH0339534A (ja) 柱・梁接合部構造
KR102331524B1 (ko) 파형 하부보강철근을 갖는 장부 맞춤 비탈형 보 거푸집 및 이의 제작방법
JP2019210633A (ja) デッキプレートとそれに用いられるデッキプレート固定金具
JPH04203147A (ja) 長尺パネルの箱桁
JP4029340B2 (ja) 鉄骨骨組構造
JPH03250129A (ja) 柱・梁接合金物の製作方法
JP3707941B2 (ja) ユニット建物とその施工方法
JPH115052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及び梁間の接合方法
KR200246468Y1 (ko) 절곡부를 갖는 전장품외함
JP2914255B2 (ja) 鉄道車両構体
KR200214199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 베이스 구조
KR20060026238A (ko) 채널수단과 내화보드를 이용한 강재보 시공방법
JP2001214527A (ja) 補強梁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
JP2000297493A (ja) スラブ構造
JP2006336451A (ja) 複合ビ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