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468Y1 - 절곡부를 갖는 전장품외함 - Google Patents

절곡부를 갖는 전장품외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468Y1
KR200246468Y1 KR2020010019597U KR20010019597U KR200246468Y1 KR 200246468 Y1 KR200246468 Y1 KR 200246468Y1 KR 2020010019597 U KR2020010019597 U KR 2020010019597U KR 20010019597 U KR20010019597 U KR 20010019597U KR 200246468 Y1 KR200246468 Y1 KR 200246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elding
bent
bracke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신
Priority to KR2020010019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468Y1/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장품외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장품외함의 플레이트를 일정폭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함으로서 용접시 플레이트가 고온의 열에 의하여 휘거나 구부러지는 등 변형되는 문제점을 예방함으로서 원가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내측에 구비된 보강용 브라켓에 의하여 작업시 편리를 제공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미려한 외형디자인감을 유발시킴으로서 제품의 생산성과 품질수준을 높이고자 고안해 낸 것이다.

Description

절곡부를 갖는 전장품외함{The outside case for battlefield goods which has beanding parts}
본 고안은 분전함이나 전기 제어기 패널에 주로 사용되는 전장품외함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공정을 간단히 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미려한 디자인감을 유발하고자 고안한 것이다.
종래의 전장품외함은 주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및 측면 플레이트로 구분되는 것이며 상기 플레이트를 조립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분을 상호 용접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합시 강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접합플레이트의 내측에는 보강용 앵글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접합부를 용접시키는 것이나 이와 같이 용접시는 용접상태가 고르지 않으며 용접후의 bead를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별도의 마무리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상기 그라인더의 작업으로 인하여 용접부가 점차 얇아져 균열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재차 용접시공을 함으로서 별도의 제작공임이 추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호 용접함에 있어 용접열로 인하여 플레이트의 외형이 변형되어 치수유지에 어려운 단점이 내포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부품구조와 용접위치를 변경시킴으로서 용접 시공 후 플레이트의 변형요인을 제거하며 표면이 거칠어지는 문제점과 그에 따른 그라인더의 마무리작업에 의한 번거로움을 해소하였으며 측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분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용접홈을 제공한 후 용접을 함으로서 플레이트가 휘거나 변형되는 근본적인 문제점등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이며, 또한 보강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된 통공과 패널을 상호 결속시켜 줌으로서 내부 부품 등의 고정이 용이한 도움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측면플레이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용부인 보강 브라켓에 관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개략 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전장품외함 2-측면 플레이트 3-상부플레이트
4-하부플레이트 5-용접공 6-절곡부
7-공간부 8-보강브라켓 9-체결공
10-패널 11-앵글
양측 가장자리부에 용접공(5)이 구비된 플레이트를 절곡시킨 측면 플레이트(2)는 전후면에 이단의 꺽임부를 갖고 좌우측에 용접공(5)이 구비된 상부 플레이트(3) 및 상부플레이트(3)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중앙에 공간부(7)를 갖는 하부플레이트(4)의 용접공(5)과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용접봉을 이용하여 용접을 함으로서 일체로 제공되는 전장품외함(1)으로서 내측에 구비되는 보강용 브라켓(8)은 측면과 상면에 별도의 패널(10)을 체결시켜 줌으로서 내부에 부착되는 각종 부품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전술한 바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 측면 플레이트(2)의 일측에 용접하기 용이한 반원형의 용접공(5)이 복수개로 나열되어 있으며 상기 가장자리부 일단을 90도 절곡시켜 절곡부(6)를 형성한 상태의 측면 플레이트(2)가 구비되는 것이고 상부 플레이트(3)와 하부 플레이트(4)는 좌우측 끝단에 측면 플레이트(2)와 맞물릴 수 있는 반원형의 용접공(5)이 복수개로 일직선상에 나열되며 전면부와 후면부의 플레이트 끝단부는 이단의 꺽임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하부 플레이트(4)는 상부플레이트(3)와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중앙에는 사각형상의 공간부(7)를 갖는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의 내부에 부착시키는 보강브라켓(8)은 양끝단부에 복수개의 체결공(9)이 구비되며 삼단의 꺽임부를 갖는 구조로서 측면플레이트(2)와 상부플레이트(3)의 내측에 부착시킨 것으로 ''형상으로 구비되어 측면 플레이트의 내측폭과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는 것으로 부품조립용 패널(10)과 볼트 체결시 도움을 제공하는 체결공(9)이 일직선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고안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내측에 구비된 보강용 브라켓이 상부 및 측면플레이트(2)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측면과 상면 플레이트(3)를 임의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측면 플레이트(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보강용 브라켓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보강용 브라켓과 측면 및 상판패널(10)의 결합상태를 확대 도시한 확대 단면도로서 브라켓과 패널(10)이 볼트에 의하여 조합되는 것을 도시하며, 도 5는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전장품외함을 임의 절개하여 나타낸 개략 사시도로서 보강용 앵글(11)이 단순히 상부와 측면 플레이트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내부에 여러 가지 부품들을 체결시 수반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예를 열거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첨부된 청구범위에 국한되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다른 실시예로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레이트를 용접시 외부 표면에 용접자국 및 bead가 남지 않음과 동시에 브라켓에 체결되는 패널의 전면부에 각종 부품을 부설시킴으로서 미려한 외적 디자인감을 유발시킴으로서 산뜻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으며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플레이트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어 제품의 손상으로 인한 원자재와 공임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내부에 부품을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 하, 좌, 우 측면에 부품체결용 프레이트를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는 구조의 브라켓이 외함의 변형을 막아주며 강도를 완벽하게 보강해주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작업의 편리성이 수반되며 기존제품에 비하여 내부공간 활용도가 3배이상으로 증가되는 효과를 거둘수있게되어 외함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하부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를 용접시켜 사용하는 전장품 외함의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하부 양측 가장자리부에 일직선상으로 반원형의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용접공이 구비된 플레이트를 절곡시킨 후 전후면에 이단의 꺽임부를 갖는 측면 플레이트와; 좌우측 가장자리부에 반원형의 용접공이 일직선상으로 구비되고 전후면에 꺽임부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으로서 중앙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하부플레이트를 상호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측면플레이트와 체결되는 상하부 플레이트의 결합부 내측에 ''형상의 보강 브라켓을 구비한 후 브라켓과 패널을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공을 이용하여 용접을 하므로서 사상공정을 최소화하고 절곡부의 변형을 방지하며 ''형상의 보강 브라켓을 이용하여 내부에 기기취부용 패널을 상면과 좌, 우 각면에 볼트를 이용하여 손쉽게 장착시키고 이패널에 각종 기기를 취부하여 공간활용을 최대화한 절곡부를 갖는 전장품외함.
KR2020010019597U 2001-06-29 2001-06-29 절곡부를 갖는 전장품외함 KR200246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597U KR200246468Y1 (ko) 2001-06-29 2001-06-29 절곡부를 갖는 전장품외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597U KR200246468Y1 (ko) 2001-06-29 2001-06-29 절곡부를 갖는 전장품외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468Y1 true KR200246468Y1 (ko) 2001-10-17

Family

ID=7310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597U KR200246468Y1 (ko) 2001-06-29 2001-06-29 절곡부를 갖는 전장품외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4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709A (ko) * 2002-11-12 2002-12-16 이용학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함체의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709A (ko) * 2002-11-12 2002-12-16 이용학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함체의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6468Y1 (ko) 절곡부를 갖는 전장품외함
JP2000013931A (ja) 機器収納用筐体
JP5348594B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構造
ITMI20000004U1 (it) Profilato per intelaiature di armadi serramenti o simili
KR200381805Y1 (ko) 조립식 물탱크의 코너 보강구조
JP2000050980A5 (ko)
JP2881556B2 (ja) フレーム組立用隅金具及びフレーム
KR100359749B1 (ko)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
JPH04228741A (ja) 鉄骨躯体の耐火被覆構造
KR101639300B1 (ko) 조립식 캐비닛 골격용 라운딩 커넥터
JP4217559B2 (ja) フレーム構造物
KR100536424B1 (ko) 물탱크용 볼트조립식 스테인레스 판넬과 그 제작방법
KR0151613B1 (ko) 선체의 이중저 블록슬릿 조립공법
JPS6325032Y2 (ko)
JP3184446U (ja) 防音パネル用枠体
JPH11300556A (ja) 工作機械ベッド
KR0133083Y1 (ko) 선반용 선반대
JP5953611B2 (ja) 鋼板製枠体
KR200162896Y1 (ko) 일체형 홴코일유닛의 판금구조
KR910007929Y1 (ko) 청정장식재 설치구조
KR20040089405A (ko) 조립식 선반틀
JPH08207991A (ja) パネル組立式水槽及びその底板構造
JPS6012388A (ja) 船首部バルバスバウの建造方法
JPH0629160Y2 (ja) 自動車の後側部結合構造
KR960015729B1 (ko) 철판을 절곡하여 제조되는 랙기어(rack 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