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993B1 -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993B1
KR101943993B1 KR1020180012380A KR20180012380A KR101943993B1 KR 101943993 B1 KR101943993 B1 KR 101943993B1 KR 1020180012380 A KR1020180012380 A KR 1020180012380A KR 20180012380 A KR20180012380 A KR 20180012380A KR 101943993 B1 KR101943993 B1 KR 10194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duct
bending
centra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상
Original Assignee
조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상 filed Critical 조희상
Priority to KR102018001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Duct)에 설치되어 덕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하여 보강함에 있어서, 다수의 지점에 응력이 분산하여, 자체 내구성과 사용 수명을 늘이고, 덕트의 보강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한 덕트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덕트(Duct)의 외면에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 상기 접합부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어, 단면이 '∩' 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상기 덕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받아 집중시키기 위한 중앙 돌출 보강부; 및 상기 접합부의 양단에 배치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중앙으로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받아 집중시키기 위한 선단 절곡 보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inforcement for duct}
본 발명은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덕트(Duct)에 설치되어 덕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하여 보강하기 위한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Duct)란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구조물을 의미하며, 단면이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된 것이 많이 사용되지만, 때로는 타원형으로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
덕트 속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그 주위의 온도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열의 이동을 막고자 할 때는 덕트의 둘레에 단열재(斷熱材) 등을 감기도 한다. 보통은 아연철판제가 많이 쓰이지만, 때로는 염화비닐 또는 유리섬유도 사용된다.
사각 덕트는 각형 덕트라고도 하며, 통상 일정한 길이, 예를 들어, 1.8m ~ 3.6m의 아연 도금 철판을 절단하여 구부리고 양단을 접합하여 몸체를 완성한 후, 덕트간의 결합을 위해 덕트의 양단에 연결용 플랜지를 형성하여 완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덕트 유니트들을 연결용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원하는 길이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원형 덕트는 스파이럴 덕트라고도 하며, 밴드 형태의 아연도금 철판을 원형으로 감아서 단면을 원형으로 만들고, 나선형으로 접하는 양단부를 연속적으로 접한다.
이와 같은 덕트는 최종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하여, 다수의 덕트 유니트가 결합되어 연장되거나, 진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밴딩되거나, 또는 주 덕트로부터 분기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덕트의 내부에 흐르는 고압 및 고속의 유체나 공기에 의해 덕트가 압력을 받게 되면, 덕트에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덕트 자체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덕트의 형상을 유지하고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덕트 유니트의 소정 위치에 덕트보강재가 설치된다.
덕트 유니트의 보강을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덕트의 보강재는 플랜지 바(Flange Bar) 방식과 앵글(Angle) 방식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59749호(2010.02.23 등록)는 덕트 유니트 몸체를 지지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덕트 유니트의 몸체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제 1 지지부와, 제 1 지지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브리지와, 브리지로부터 제 1 지지부와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제 1 지지부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부는 브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지지플랜지와, 제 1 지지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 1 리턴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제 2 지지부는 브리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지지플랜지와, 제 2 지지플랜지로부터 절곡되는 제 2 리턴플랜지로 이루어지는 덕트 보강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295호(2012.11.07 등록)는 덕트용 보강철판제조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철판이 공급되는 공급테이블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철판의 공급방향을 따라 제1보강트렌치홈을 형성하는 제1상부롤러 및 제1하부롤러가 제1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된 제1롤러부와; 상기 제1롤러부와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롤러부를 경유한 상기 철판에 제2보강트렌치홈을 형성하는 제2상부롤러 및 제2하부롤러가 제2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된 제2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상부롤러와 상기 제2상부롤러는 표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철판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롤러와 상기 제2하부롤러는 상기 가압돌기에 대응되는 수용홈이 일정깊이 함몰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보강트렌치홈의 형성간격을 조절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덕트용 보강철판 제조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덕트 보강재는 덕트의 응력을 분산하여 위한 보강홈을 '∧' 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홈의 모서리로 응력이 분산, 집중되면서 모서리 부위가 취약해질 수 있으며, 응력 분산이 고르게 되지 않아 덕트의 보강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59749호(2010.02.23 등록)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3295호(2012.11.07.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덕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덕트의 보강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한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덕트(Duct)의 외면에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 상기 접합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상기 덕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받아 집중시키기 위한 중앙 돌출 보강부; 및 상기 접합부의 양단에 배치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중앙으로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받아 집중시키기 위한 선단 절곡 보강부를 포함하는 덕트 보강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강재는, 상기 접합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사이로 통과시키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 가이드 롤러부;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로부터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양 선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를 성형하는 복수 쌍의 롤러로 형성된 성형 롤러부; 및 상기 성형 롤러부로부터 성형된 금속 플레이트를 전달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 롤러부를 포함하는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 롤러부는,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의 후측으로 이격 정렬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 및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부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양 선단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는, 중앙부에 '∩'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단 절곡부 형성롤러는, 중앙부에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부의 돌출에 대응하여 '∪'자 형상으로 파여진 요입홈 및 양 선단부에 선단으로 갈수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외면에 도트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체결 결합공을 형성하기 위한 결합공 형성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외면에 상기 결합공 형성 돌기의 돌출에 대응하도록 패여지는 결합공 형성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사이로 통과시키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 가이드 단계;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로부터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양 선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단계;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 단계를 포함하는 덕트 보강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단계 이후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체결 결합공을 형성하기 위한 결합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덕트 보강재의 다수의 지점에 응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덕트 보강재의 내구성과 사용 수명을 늘이고, 덕트의 보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성형 롤러부를 이용하여 금속 플레이트에 복합적인 성형 공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성형 공정 라인을 최소화하고, 성형시간 및 총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보강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덕트 보강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나타낸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나타낸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나타낸 후방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서 나타낸 후방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보강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덕트 보강재(1)에 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보강재(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덕트 보강재(1)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덕트 보강재(1)는, 덕트(Duct)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하여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접합부(10), 중앙 돌출 보강부(20) 및 선단 절곡 부강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접합부(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덕트(Duct)의 외면에 접합하며, 덕트에 접합 시에, 덕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접합부(10)는 '11'자 형상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접합부(10)는, 접합된 덕트(Duct)로부터 해당 덕트에 가해지는 자체 무게 또는 연결 설비의 무게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 전달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부(10)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체결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체결 결합공은, 이후에 상기 덕트 보강재(1)를 덕트에 접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합부(10)를 덕트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 피스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다.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20)는 상기 접합부(10)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단면이 '∩'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다.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20)는 상기 접합부(10)로 분산된 응력을 집중시키어, 덕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덕트의 강성을 보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20)는, 제1경사부(21), 제2경사부(22) 및 평판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경사부(21)는 상기 접합부(10)로부터 상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수평과 80도 내지 90도의 각도(b)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경사부(22)는 상기 제1경사부(21)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절곡 연장되어, 수평과 45도 내지 80도의 각도(c)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판부(23)는 상기 제2경사부(22)를 연결한다.
상기 선단 절곡 보강부(30)는, 상기 접합부(10)의 양단에 배치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단 절곡 보강부(30)는 중앙으로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받아 집중하여,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20)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선단 절곡 보강부(30)는, 단부가 수평과 1도 내지 45도의 각도(a)를 이루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덕트 보강재(1)는, 다수의 지점에 응력이 분산되어 집중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덕트 보강재(1)의 내구성과 사용 수명을 늘이고, 덕트의 보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10)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1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나타낸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나타낸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나타낸 후방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1)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서 나타낸 후방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1)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10)는 금속 플레이트를 투입하여 상기 덕트 보강재(1)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를 위해 상기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10)는 진입 가이드 롤러부(100), 성형 롤러부(200) 및 배출 가이드 롤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사이로 통과시키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진입을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10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 롤러부(200)는,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100)로부터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성형하여 덕트 보강재(1)를 제조한다.
상기 성형 롤러부(200)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20)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양 선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30)를 성형한다.
상기 성형 롤러부(200)는 복수 쌍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절곡 형상을 점차적으로 깊게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성형 롤러부(200)의 가장 전방에 위치한 롤러를 거친 금속 플레이트는, 중앙 돌출 보강부(20) 및 선단 절곡 보강부(30)의 절곡이 완만하게 성형되며, 후방에 배치된 롤러를 거칠수록 돌출 보강부(20) 및 선단 절곡 보강부(30)의 절곡이 가파르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성형 롤러부(200)는, 복수의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 및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는,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100)의 후측으로 이격되어 정렬된다,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는,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100)로부터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20)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는, 도 4와 같이, 상기 덕트 보강재(10)의 중앙 돌출 보강부(20)를 형성하기 위하여, '∩' 자 형상으로 돌출부(21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는, 도 4와 같이, 후술(後述)할 선단 절곡부 형성롤러(220)의 돌출면(220-2)에 대응하여, 양 선단부에 중신축 방면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1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는, 상기 덕트 보강재(10)의 제1경사부(21)를 형성하기 위한 제1경사부 형성면(210-a), 제2경사부(22)를 형성하기 위한 제2경사부 형성면(210-b) 및 평판부(23)를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 형성면(210-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는 각각 상기 돌출부(210-1)의 돌출의 높이와 상기 돌출부(210-1)의 돌출 각도가 상이하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부(210-1)의 돌출의 높이와 상기 돌출부(210-1)의 돌출 각도 점점 커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0)는,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부(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부(210)와 동시 회전하며,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양 선단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30)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0)는, 도 5와 같이, 중앙이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부(210)의 돌출부(210-1)의 형상에 대응하여 '∪'자 형상으로 파여진 요입홈(22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0)는, 상기 덕트 보강재(10)의 선단 절곡 보강부(30)를 형성하기 위하여, 양 선단부에 선단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돌출면(22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상기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외면에 도트(Dot)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체결 결합공을 형성하기 위한 결합공 형성 돌기(221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0) 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체결 결합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면에 도트(Dot) 형상으로 결합공 형성 돌기(221s)가 돌출된 후방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외면에 상기 결합공 형성 돌기(221s)의 돌출에 대응하도록 파여지는 결합공 형성 홈(211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는 가장 후방에 배치되어, 외면에 상기 결합공 형성 돌기(221)의 돌출에 대응하도록 결합공 형성홈(211h)이 파여진 후방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 가이드 롤러부(400)는 상기 성형 롤러부(200)로부터 성형된 금속 플레이트, 즉 완성된 덕트 보강재(1)를 전달받아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10)는, 성형 롤러부(200)를 이용하여 금속 플레이트에 복합적인 성형 공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공정 라인을 최소화하고 성형 및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보강재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덕트 보강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강재 제조방법은, 진입 가이드 단계(S100), 성형단계(S200), 결합공 형성단계(S300) 및 배출 가이드 단계(S400)를 포함한다.
먼저, 진입 가이드 롤러부(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사이로 통과시키며 성형 롤러부(200)를 향하여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진입을 안내한다(S100).
그리고, 상기 성형 롤러부(200)는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100)로부터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20)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양 선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30)를 성형한다(S200).
일 실시예에서, S2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성형 롤러부(200)는 형상이 상이한 복수 쌍의 롤러로 구성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 돌출 보강부(20)의 돌출 정도가 커지고 선단 절곡 보강부(30)의 절곡 형상이 가파라지도록 성형함으로써, 덕트 보강재(1)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S2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0)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20)를 형성하며, 상기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0)는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양 선단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후방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211) 및 후방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221)는, 성형된 금속 플레이트, 즉 덕트 보강재(1)의 접합부(10)에 복수의 체결 결합공을 형성한다(S300).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 가이드 롤러부(400)는, 타발된 금속 플레이트, 즉 제조된 덕트 보강재(1)를 배출한다(S400).
일 실시예에서, S400 단계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가이드 롤러부(400)의 후측으로 커팅장치를 배치하여, 상기 덕트 보강재(1)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뒤, 적재보관함 또는 적재 장치를 향하여 절단된 덕트 보강재(1)를 안내 및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덕트 보강재 제조방법은 다수의 지점에 응력이 분산되어 집중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내구성과 사용 수명을 늘이고, 덕트의 보강 효율을 높인 덕트 보강재(1)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성형롤러를 이용하여 금속 플레이트에 혼합된 성형 공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공정 라인을 최소화하여 공정의 차지면적을 축소하고, 성형 및 총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덕트 보강재
10: 접합부
20: 중앙 돌출 보강부
21: 제1경사부
22: 제2경사부
23: 평판부
30: 선단 절곡 보강부
10: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100: 진입 가이드 롤러부
200: 성형 롤러부
210: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
221: 후방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
221h: 결합공 형성 홈
220: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
221: 후방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
221s: 결합공 형성 돌기
300: 배출 가이드 롤러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사이로 통과시키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 가이드 롤러부;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로부터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양 선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를 성형하는 복수 쌍의 롤러로 형성된 성형 롤러부; 및 상기 성형 롤러부로부터 성형된 금속 플레이트를 전달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 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성형 롤러부는,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의 후측으로 이격 정렬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 및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부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양 선단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덕트(Duct)의 외면에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수평과 80도 내지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절곡 연장되어, 수평과 45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를 연결하는 평판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합부로 분산된 응력을 집중시키고 덕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키고 덕트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성형되며;
    상기 선단 절곡 보강부는, 단부가 수평과 1도 내지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중앙으로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받아 집중하고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키도록 성형되며;
    상기 성형 롤러부는 복수 쌍의 롤러를 포함하되, 가장 전방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 및 상기 선단 절곡 보강부의 절곡을 완만하게 성형하며, 후방에 배치된 롤러를 거칠수록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 및 상기 선단 절곡 보강부의 절곡을 가파르게 성형하여, 금속 플레이트의 절곡 형상을 점차적으로 깊게 성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4. 삭제
  5. 제3항에 기재된 진입 가이드 롤러부, 성형 롤러부 및 배출 가이드 롤러부로 구성된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덕트 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사이로 통과시키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진입 가이드 단계;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양 선단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단계;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성형 롤러부는, 상기 진입 가이드 롤러부의 후측으로 이격 정렬되어,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공급받아,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중앙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향으로 돌출되는 중앙 돌출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 및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절곡홈 형성 롤러부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양 선단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절곡되는 선단 절곡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선단 절곡부 형성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는, 상기 접합부로부터 상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수평과 80도 내지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경사부; 상기 제1경사부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절곡 연장되어, 수평과 45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를 연결하는 평판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합부로 분산된 응력을 집중시키고 덕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키고 덕트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성형되며;
    상기 선단 절곡 보강부는, 단부가 수평과 1도 내지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중앙으로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받아 집중하고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키도록 성형되며;
    상기 성형 롤러부는 복수 쌍의 롤러를 포함하되, 가장 전방에 위치한 롤러는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 및 상기 선단 절곡 보강부의 절곡을 완만하게 성형하며, 후방에 배치된 롤러를 거칠수록 상기 중앙 돌출 보강부 및 상기 선단 절곡 보강부의 절곡을 가파르게 성형하여, 금속 플레이트의 절곡 형상을 점차적으로 깊게 성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보강재 제조방법.
KR1020180012380A 2018-01-31 2018-01-31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43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80A KR101943993B1 (ko) 2018-01-31 2018-01-31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380A KR101943993B1 (ko) 2018-01-31 2018-01-31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993B1 true KR101943993B1 (ko) 2019-01-30

Family

ID=6527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380A KR101943993B1 (ko) 2018-01-31 2018-01-31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50827A (zh) * 2023-07-06 2023-08-08 承德国佑鸿路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具有定位功能的龙骨墙体生产折弯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49B1 (ko) 1999-12-02 2002-11-07 한국스파이로 주식회사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
KR200424764Y1 (ko) * 2006-06-13 2006-08-28 양해생 보강구조와 안전성을 갖는 조립식 앵글
JP2010243133A (ja) * 2009-04-10 2010-10-28 Yatome Kogyo Kk ダクト補強部材及び薄板ダクト
KR200463295Y1 (ko) 2012-07-19 2012-11-20 김미야 덕트용 보강철판제조장치
KR20140136826A (ko) * 2013-05-21 2014-12-01 (주) 태광공조 다기능 에어덕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49B1 (ko) 1999-12-02 2002-11-07 한국스파이로 주식회사 덕트 보강재 및 이를 적용한 덕트 유니트
KR200424764Y1 (ko) * 2006-06-13 2006-08-28 양해생 보강구조와 안전성을 갖는 조립식 앵글
JP2010243133A (ja) * 2009-04-10 2010-10-28 Yatome Kogyo Kk ダクト補強部材及び薄板ダクト
KR200463295Y1 (ko) 2012-07-19 2012-11-20 김미야 덕트용 보강철판제조장치
KR20140136826A (ko) * 2013-05-21 2014-12-01 (주) 태광공조 다기능 에어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50827A (zh) * 2023-07-06 2023-08-08 承德国佑鸿路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具有定位功能的龙骨墙体生产折弯装置
CN116550827B (zh) * 2023-07-06 2023-10-03 承德国佑鸿路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具有定位功能的龙骨墙体生产折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6193B2 (ja) 車両用電池搭載構造
US20100021258A1 (en) Air roll unit for container car
US7731241B2 (en) Assembly for fitting together exhaust pipes in multi-cylinder engine
US20140103670A1 (en) Vehicle body structure
EP3069964B1 (en) Underbody manufacturing method and vehicle underbody
KR101943993B1 (ko) 덕트 보강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4814757B2 (ja) ダクト
US20120168117A1 (en) Automotive HVAC Diffuser With Cooperating Wall Guide And Vane
US2016019989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formed product and press-forming apparatus
WO2010122411A1 (en) Lower structure of vehicle
CN102861522A (zh) 静态式混合元件
US7966800B2 (en) Reduced noise drag chain system
JP6277072B2 (ja) 梁補強構造
KR101734575B1 (ko) 차량의 시트 크로스 멤버
US9551488B2 (en) Flat burner
US4531340A (en) Beam splice for supporting grid systems
EP1637814A1 (en) Duct hollow flange
US10137421B2 (en) Static mixer
US20120231404A1 (en) Combustion device
JP4677219B2 (ja) 屈曲ダクト
JP2011177725A (ja) フレーム構造体の成形方法
US20100148009A1 (en) Connecting arrangement comprising a coupling element and two curved ribs of an aircraft or spacecraft
JP5559633B2 (ja) ダクトの製造方法
WO2009017337A1 (en) A reinforcing bar, a coupler of the reinforcing bar, and an assembly and a connection method thereof
US8651533B2 (en) Duct mat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