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998A - 들것 - Google Patents

들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998A
KR20010050998A KR1020000060094A KR20000060094A KR20010050998A KR 20010050998 A KR20010050998 A KR 20010050998A KR 1020000060094 A KR1020000060094 A KR 1020000060094A KR 20000060094 A KR20000060094 A KR 20000060094A KR 20010050998 A KR20010050998 A KR 2001005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er
bracket
frame
patien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토쓰네타로
Original Assignee
호리이아사카즈
다카노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030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033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0358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07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03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3892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03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389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001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43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035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0775B2/ja
Application filed by 호리이아사카즈, 다카노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리이아사카즈
Publication of KR2001005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9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1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08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 A61G7/051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pivoting side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12Side-rails characterised by customised length
    • A61G7/0513Side-rails characterised by customised length covering particular sections of the bed, e.g. one or more partial side-rail sections along the b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5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tilting the whole seat backw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26Sliding sheets or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것 형태와 휠체어 형태로 변형 가능한 들것에 관한 것으로, 그 프레임 구조의 강성을 높이며 환자의 자세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높이고, 또 한 동작으로 형태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성이 우수한 것이다. 환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시트부를 이루는 무릎 위 부분(4)과, 상반신을 지지하는 등받이에 포함되는 허리 부분(3)과, 팔걸이를 이루는 팔걸이 부분(6)과, 하지부를 지지 가능한 무릎 아래 부분(5)의 적어도 4부분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무릎 위 부분(4), 허리 부분(3), 팔걸이 부분(6), 무릎 아래 부분(5)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이들의 위치 관계를 변화시킴으로써 팔걸이를 포함하여 평탄한 매트면이 형성되는 들것 형태와 매트가 절곡되고 팔걸이를 일으킨 휠체어 형태로 변형 가능하며, 들것 형태 또는 휠체어 형태 어느 자세에서나 환자를 싣고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들것{STRETCHER}
본 발명은 휠체어로서도 사용 가능한 들것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휠체어로 형태 변경이 가능한 들것의 프레임 연결 구조, 환자의 두부나 등을 서포트하기 위한 기구, 손으로 밀어 이동시킬 때 파지하는 레버 장치, 세이프티 바의 지지 구조 등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혼자서 일어나거나 이동하는 것이 곤란하여 간호자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나 환자 등 들것 이용자(본 명세서에서는 이들을 총칭하여 "환자"라고 함)의 자세에 따라 등 부분을 일으킬 수 있는 들것이나 등 부분을 일으키는 동시에 다리 부분을 아래로 구부림으로써 휠체어로 변형시킬 수 있는 들것이 있다(일본국 특개평(特開平) 10-52459호 공보). 이와 같은 들것에 의하면, 환자를 눕힌 상태에서 침대로부터 들것으로 옮겨 실은 후에 의자로 변형시키고 앉은 자세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들것은 이하에 설명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문제점으로 프레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 있다. 즉, 종래의 들것의 프레임은 복수의 파이프를 핀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허리나 무릎에 상당하는 부분 등에서 절곡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의 허리 부분에서는 상반신 측의 우측 파이프와 하반신 측의 우측 파이프를, 상반신 측의 좌측 파이프와 하반신 측의 좌측 파이프를 각각 따로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좌우의 파이프를 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에서는, 프레임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강성이 불충분하게 된다. 또, 파이프에 직접 구멍을 형성하여 핀을 관통시키고 있으므로 여러 해 사용함에 따라 구멍이 확대되어 절곡 부분이 덜그럭거릴 우려가 있어 내구성이 떨어진다.
또한, 환자의 전락(轉落)을 방지하고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 쉽게 하기 위한 팔걸이가 휠체어로 변형시켰을 때 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들것 형태에서는 분리되어 있던 별도의 부재인 팔걸이를 휠체어로 변형시킨 후에 일부러 장착하거나, 들것 형태일 때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내려져 있던 팔걸이를 들어올리고 고정하는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여 불편하다. 또, 들것으로부터 침대로 옮겨 실을 때 또는 그 반대로 옮겨 실을 때는 팔걸이 부분에도 체중이 걸리게 되기 때문에, 환자의 체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요구되지만, 종래의 프레임 구조는 1개의 지주로 지지하는 구조이거나 외팔보 지지 구조이므로 흔들흔들 거리거나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두 번째 문제점은 휠체어 형태로의 사용시의 환자의 안정성에 관한 것이다. 즉, 환자는 자신의 힘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도 있을 수 있으므로 휠체어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자세를 흐트러트리거나 전락되지 않도록 단단히 환자의 몸이나 두부를 지지하여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에서는 휠체어로 변형했을 때의 시트나 등받이 등의 경사가 일정하거나 몸을 지지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휠체어에 적합한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는 환자가 앞으로 자세를 흐트러트렸을 때 굴러 떨어지거나 할 위험이 있다.
세 번째 문제점은 종래의 들것에서는 환자 두부를 지지하는 것에 대하여 특별히 배려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예를 들어 1매의 판으로 이루어진 매트로 이루어지는 평탄한 들것에서는 환자가 부득이하게 두부를 낮게 한 자세가 된다. 이 자세는 두부로의 혈류 증가를 초래하거나 두부 측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을 초래하여, 비록 이동에 요하는 시간이 짧아도 지장이 있는 경우도 있는 가 하면 환자에게 불쾌감이나 불안감을 주는 경우도 있다. 또, 들것에 베개를 탑재하여 두부를 적절하게 지지하기도 하지만, 베개가 이동하여 머리가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베개를 분실하거나 하므로 불편하다. 그러나, 매트에 베개를 고정하면 침대로부터 환자를 옮겨 실을 때 방해가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두부 지지부를 설치한 들것도 개발되어 있지만, 목 아래를 지지하는 부분부터 편의상 구획되었을 뿐이며, 환자의 체격이나 증상에 관계없이 획일적인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문제는 일반적인 들것만의 것이 아니라 휠체어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들것에서도 마찬가지이며, 들것으로 사용할 때는 단일 평면을 형성하는 매트로 환자의 두부를 지지해야 하고 휠체어로 사용할 때는 후두부를 기대게 하여 두부를 지지하는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가 곤란하다.
네 번째 문제점은 들것의 이동이나 들것 상에서 환자를 옮겨 싣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환자를 눕힌 상태로 침대로부터 들것으로 옮겨 싣거나 또는 그 반대로 들것으로부터 침대로 옮겨 싣는 간호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트랜스퍼 바로 불리는 도구를 이용하여 환자를 옮겨 싣는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고려되어 있다(WO99/30662호 국제 공개 공보).
이 트랜스퍼 바를 이용하여 침대 등으로부터 들것으로 환자를 옮겨 실을 때는 들것의 침대와 접하지 않는 반대측 측부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트랜스퍼 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트랜스퍼 바를 지지하는 브라켓은 들것의 상방으로 돌출되므로 장착한 채로는 환자에 대한 처치나 치료시 등에 방해가 되거나 성가시게 느껴지므로 들것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할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브라켓을 일일이 착탈하는 것은 장착과 분리에 시간이 걸리며 분리한 브라켓을 수납하는 장소도 필요하게 된다. 또한, 들것으로부터 분리된 브라켓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들것을 밀어 이동하는 경우에 매트면과 동등한 높이나 이보다 낮은 프레임을 파지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간호자는 허리를 구부리고 앞으로 숙여 들것을 밀고 당겨야 하므로 허리 등에 부담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다섯 번째 문제점은 환자의 전락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세이프티 바에 관한 것이다. 즉, 세이프티 바는 옮겨 싣거나 할 때 등을 위해 분리 가능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지만, 옮겨 싣거나 할 때마다 분리하기 때문에 번잡하고 불편하다. 또, 분리한 세이프티 바의 보관이 번잡하고 분실하는 경우도 있다. 또, 세이프티 바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후퇴시키는 구조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세이프티 바와 그 지지 구조물의 폭 방향 위치에는 변동이 없기 때문에, 들것을 침대 등에 갖다 댈 때 매트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세이프티 바가 방해가 되어 침대 등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 강성이 높으며 내구성이 우수한 들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들것으로부터 휠체어 또는 그 반대로의 형태 변경이 한 동작으로 가능하며 들것 형태로 했을 때의 매트면을 확장할 수 있는 들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휠체어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에 환자의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데 우수한 들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환자의 두부를 적절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들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간호자 등이 밀어 이동할 때의 자세가 편안한 들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트랜스퍼 바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는 들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이프티 바를 필요에 따라 매트 옆에 세트할 수 있어 환자를 옮겨 실을 때 등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후퇴시킬 수 있는 들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들것의 일 실시예를 들것 형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들것을 휠체어 형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들것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상기 들것 상태를 헤드 레스트 측에서 본 정면도.
도 5는 상기 들것의 저면도.
도 6은 들것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들것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상기 프레임을 휠체어 형상으로 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휠체어 상태로 변형시킨 들것의 배면도.
도 10은 들것의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상기 프레임을 휠체어 형태로 변형시키는 동시에 후방으로 틸트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각도 조정 기구를 대차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상기 각도 조정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상기 각도 조정 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상방에서 본 단면도.
도 16은 상기 각도 조정 기구의 전측 지지부와 후측 지지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프레임의 측면도.
도 17 내지 도 24는 대차에 대한 프레임의 장착 위치가 고정된 들것의 실시예로, 도 17은 상기 들것을 휠체어 형태로 변형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18은 상기 프레임을 휠체어 형태에서 들것 형태로 변형시키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상기 프레임의 들것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상기 프레임의 들것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대차를 도시한 평면도,
도 22는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대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23은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대차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4는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대차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5는 들것의 헤드 레스트 주변의 측면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헤드 레스트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7은 지지 볼트의 두부 측의 브라켓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8은 헤드 레스트를 프레임에 장착하는 브라켓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29는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에 있는 헤드 레스트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30은 상방으로 이동한 헤드 레스트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31은 도 30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환자 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된 헤드 레스트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32는 도 30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환자와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된 헤드 레스트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33은 서포트 기구를 구비한 헤드 레스트의 평면도.
도 34는 도 33에 도시한 헤드 레스트의 정면도.
도 35는 도 33에 도시한 헤드 레스트의 배면도.
도 36은 가요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7은 도 36에 도시한 가요 기구의 정면도.
도 38은 도 36에 도시한 가요 기구의 배면도.
도 39는 고정적 중합 플레이트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40은 가동적 중합 플레이트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41은 고정적 중합 플레이트가 장착된 고정측 부재 및 경사 이동측 부재를 조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2는 도 41에 도시한 고정측 부재 및 경사 이동측 부재의 정면도.
도 43은 베이스판 상의 고정적 중합 플레이트 및 가동적 중합 플레이트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4는 프레임 및 헤드 레스트만의 들것의 평면도.
도 45는 레버 장치를 탑재한 들것의 들것 형태일 때의 사시도.
도 46은 레버 장치를 탑재한 들것의 휠체어 형태일 때의 사시도.
도 47은 레버 장치를 탑재한 들것의 측면도.
도 48은 레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9는 레버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0은 트랜스퍼 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51은 회전 불능인 상태의 변위 고정 수단을 도시한 중앙 종단면 측면도.
도 52는 회전 가능한 상태의 변위 고정 수단을 도시한 중앙 종단면 측면도.
도 53은 회전 불능인 상태의 변위 고정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54는 회전 가능한 상태의 변위 고정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55는 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6은 들것의 평면도.
도 57은 들것의 측면도.
도 58은 변위 고정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 측면도.
도 59는 변위 고정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 측면도.
도 60은 레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1은 레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2는 세이프티 바 지지 구조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63은 세이프티 바 지지 구조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
도 64는 세이프티 바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5는 회전축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6은 브라켓의 프레임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차와 그 위에 탑재되어 환자를 싣는 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들것에 있어서, 프레임을 환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시트부를 이루는 무릎 위 부분과, 오목부로부터 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를 이루는 허리 부분과, 팔걸이를 이루는 팔걸이 부분과, 하지부를 지지 가능한 무릎 아래 부분의 적어도 4부분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무릎 위 부분, 허리 부분, 팔걸이 부분 및 무릎 아래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이들의 위치 관계를 변화시킴으로써 팔걸이 부분 및 무릎 아래 부분을 포함하여 평탄한 매트면이 형성되는 들것 형태와 매트가 절곡되고 팔걸이를 일으킨 휠체어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하며, 들것 형태 또는 휠체어 형태 어느 자세에서나 환자를 싣고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분할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허리 부분에 대한 팔걸이 부분 및 무릎 위 부분의 각도, 무릎 위 부분과 무릎 아래 부분, 또 무릎 아래 부분과 팔걸이 부분의 각도를 각각 변화시켜 이들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평탄한 매트면을 형성하는 들것 형태와, 절곡되고 분리되어 시트, 등받이, 팔걸이 등을 형성하는 휠체어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또, 휠체어 형태에서 팔걸이 및 다리의 종아리 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을 들것 형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매트면이 넓어짐으로써 들것으로서 사용시의 편리함이 증대된다.
여기에서, 프레임은 허리 부분의 도중과 무릎 아래 부분의 도중을 대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측면에서 보아 허리 부분과 팔걸이 부분의 연결부와, 팔걸이 부분과 무릎 아래 부분의 연결부와, 무릎 아래 부분과 대차의 연결부와, 대차와 허리 부분의 연결부를 4개의 정점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4절(節) 회전 연쇄를 구성하고, 상기 대차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허리 부분을 후방으로 쓰러뜨리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평행사변형이 변형되어 4개의 각 부분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허리 부분을 전방으로 일으키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평행사변형이 복귀되어 팔걸이 부분이 상방으로 들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허리 부분을 후방으로 쓰러뜨려 들것 형태로 하려면, 팔걸이 부분이 당겨 내려지는 동시에 무릎 위 부분이 들리고, 동시에 무릎 아래 부분이 후방으로 경사짐으로써 대차와 프레임의 2점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선 상에서 팔걸이 부분을 포함하여 무릎 위 부분, 무릎 아래 부분 및 등받이를 이루는 허리 부분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평탄한 매트면을 형성한다. 한편, 휠체어 형태로 하는 경우에는, 허리 부분을 당겨 일으키는 동작만으로 평행사변형 형상이 복귀되어 팔걸이 부분을 대략 수평으로 들어올리므로, 허리 부분을 일으키는 동작과는 별도로 팔걸이 부분을 들어올리거나 장착하거나 할 필요가 없이 휠체어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들것에서 프레임의 우측과 좌측 각각의 연결부는 한쪽 연결부와 이에 대응하는 다른 쪽 연결부를 관통하는 1개의 심재(芯材)와, 이 심재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프레임이 장착되는 슬리브로 이루어지고, 심재를 중심으로 슬리브가 회전함으로써 프레임이 절곡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좌우의 프레임이 각각 장착된 슬리브가 심재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허리 부분이나 무릎 위 부분, 무릎 아래 부분, 팔걸이 부분이 각각 연결부에서 절곡되어 각 부분이 당겨 일으켜지거나 쓰러뜨려지거나 하므로, 좌우의 프레임 사이에서 비틀림을 수반하지 않고 매끄럽게 프레임이 변형된다. 또, 슬리브와 심재는 넓은 면적에서 접촉하므로 여러 해 사용에 의해서도 슬리브가 변형되거나 직경이 넓어질 우려가 없으므로, 연결부의 덜그럭거림이 없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즉, 각 연결부에서의 매끄러운 절곡 동작을 확보하면서 프레임의 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프레임의 연결부는 심재에 끼워 넣어져 있는 모든 슬리브의 합계 길이를 심재의 전장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하고 슬리브 탈락 방지용 플랜지 부재를 심재의 단면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프레임의 조립 시에 심재에 슬리브를 끼워 넣은 후 심재의 양단에 플랜지 부재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슬리브가 심재로부터 빠지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복수의 프레임 재가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슬리브는 플랜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심재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플랜지 부재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슬리브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어 슬리브의 덜그럭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들것의 프레임은 평행사변형의 4절 회전 연쇄를 고정 연쇄로 하는 록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록 기구를 해제한 상태에서는 4절 회전 연쇄의 변형에 의해 허리 부분을 일으키거나 쓰러뜨리거나 함으로써 들것 형태 또는 휠체어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록 기구를 고정하면 그때의 형상으로 연쇄가 고정되어 프레임의 변형이 저지된다. 즉, 록 기구에 의해 프레임을 임의의 형상,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록 기구는 복수로 구비되며 서로 상이한 설치 각도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 기구는 완전히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강성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복수의 록 기구를 서로 장착 각도를 변화시켜 설치함으로써 모든 록 기구가 동시에 완전히 연장되지 않아 프레임의 각도와는 관계없이 항상 프레임을 고정하는 데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들것은 프레임과 대차 사이에 프레임 전체를 대차에 대하여 경사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각도 조정 기구에 의해 대차에 대한 프레임 전체의 경사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프레임을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하고 휠체어 형태로 변형시킨 경우에 시트와 등받이 등과의 각도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환자가 전방으로 전락되거나 자세를 흐트러트리지 않도록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프레임 각도를 수평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전방이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휠체어로의 승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각도 조정 기구는 프레임과 대차 사이에 개재되어 프레임을 지지하는 동시에 대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부재와, 요동 가능한 지지 부재를 대차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는 경사각 가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경사각 가변 기구에 의한 지지 부재의 구속을 해방하면 지지 부재를 대차와의 사이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프레임 전체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경사 위치 또는 거기까지 도달하는 임의의 경사 위치, 예를 들면 약간 후방으로 경사진 위치에서 경사각 가변 기구에 의해 지지 부재를 고정하면 그 기울기로 프레임 전체의 경사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각도 조정 기구는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경사각 가변 기구의 록 기구를 해제함으로써 지지 부재의 고정을 해방하면, 프레임을 후방으로 경사지게 할 때 축압(畜壓)된 기체 스프링의 기체 압력에 의해 지지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밀려 복귀되는 힘이 부여되므로, 환자가 앉아 있어도 가벼운 힘으로 프레임 전체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경사각 가변 기구의 록으로 그 기울기로 유지된다.
또, 본 발명의 들것은 대차의 프레임을 지지하는 부분과 록 기구가 대차의 좌우 양측에 치우쳐 배치되고, 프레임과 대차 사이에 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짐 수용 공간에는 트레이나 바구니 등을 설치할 수 있어 간호 용품 등을 탑재하여 휴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들것은 프레임의 환자 두부를 지지하는 부분에 헤드 레스트(head rest)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이 들것에서는 환자의 두부를 바람직한 높이에서 적절한 자세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 어느 것에서나 몸에 부담이 되지 않는 상태로 두부가 지지된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들것에 요구되는 헤드 레스트는 환자를 옮겨 실을 때는 평탄하게 되어 옮겨 실을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환자가 들것 상에서 위를 향해 눕거나 또는 휠체어로 형태를 변경한 들것에 앉을 때는 각 환자의 자세나 증상, 체격 등에 맞추어 헤드 레스트의 높이나 각도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의 헤드 레스트는 높이 및 경사 조정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체격이나 증상이 각각 상이한 환자의 두부를 적합한 위치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고려되었다. 이러한 요망에 대응하기 위해 본 발명의 들것의 헤드 레스트는 프레임에 장착된 제1 브라켓과, 이 제1 브라켓과 적어도 일부가 중합되도록 헤드 레스트에 장착된 제2 브라켓과, 제1 및 제2 브라켓을 관통하는 동시에 이들 양 브라켓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거나 또는 저지하는 연결 수단에 의해 경사 조정이 가능하게 프레임에 장착하고, 연결 수단이 관통하는 어느 하나의 브라켓의 투공(透孔)을 프레임과 수직인 방향으로 긴 장공(長孔)으로 형성하여 헤드 레스트를 이 장공의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프레임으로부터 접근 이반이 가능하게 하며, 제1 및 제2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스텝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하나에 헤드 레스트가 프레임에 접근했을 때만 스텝부에 접촉하여 제1 및 제2 브라켓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저지하는 규제 핀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가 옮겨 탈 때는 헤드 레스트를 매트면과 평탄하거나 또는 평행하게 되는 위치(이하 이 위치를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라고 함)까지 들어가게 하여 고정해 두는 한편, 연결 수단을 늦춤으로써 가동 상태로 하여 장공의 범위 내에서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레스트는 프레임으로부터 접근 이반되어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로부터의 높이를 변경시키면 한쪽 브라켓의 스텝부에 접촉되어 있던 다른 쪽 브라켓의 규제 핀이 스텝부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제1 및 제2 브라켓 사이의 상대 회전의 규제가 풀려 경사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높이와 함께 경사를 조정하여 원하는 높이와 경사가 얻어졌을 때 연결 수단을 조임으로써 헤드 레스트를 환자의 자세나 증상 등에 대응한 적합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환자의 두부를 적절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헤드 레스트는 규제 핀과 한쪽 브라켓의 스텝부를 접촉시킴으로써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환자가 이 들것으로부터 침대로 다시 옮겨 탈 때는 헤드 레스트를 낮추는 것만으로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 즉 원래의 수평 또는 평탄한 상태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옮겨 탈 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이 헤드 레스트는 제1 및 제2 브라켓 사이에 적어도 1세트의 마찰판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브라켓 및 마찰판에 의해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마찰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 레스트를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헤드 레스트는 좌측부 및 우측부 중 적어도 하나를 환자의 두부 측으로 절곡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들것 형태에서는 헤드 레스트에 누워 있는 환자의 두부의 방향이나 위치를 일방향으로 또는 일정 위치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또 두부를 고정할 수 있어 환자의 증상 등에 맞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휠체어 형태인 경우에도 두부가 기울거나 하지 않도록 지지하여 편한 자세를 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헤드 레스트는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의 심재 또는 서포트 부재 자체의 적어도 지지면의 변형이 요구되는 부위를 복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심재 또는 서포트 부재끼리 가요(可撓) 기구로 연결하며, 가요 기구는 간격을 두고 평행 배치된 복수의 중합 플레이트를 가지는 고정측 부재와, 이 고정측 부재의 중합 플레이트와 교호로 중합되는 복수의 중합 플레이트를 가지는 경사 이동측 부재와, 고정측 부재 및 경사 이동측 부재의 각 중합 플레이트의 중합부를 관통하여 중합 플레이트를 조이는 연결축 및 중합 플레이트를 중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경사 이동측 부재가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심재의 일부에 각도를 부여하는 동시에 양 중합 플레이트끼리의 접촉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그 각도를 유지하며, 지지면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 헤드 레스트 기구의 경우, 중합 플레이트의 중합 영역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이 이 중합 플레이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분할 서포트 부재의 상호 동작시의 저항력이 되어 두부를 서포트하는 기구를 일정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 유지력을 상회하는 외력을 가함으로써 서포트 부재를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헤드 레스트의 지지면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위치에서 외력을 제외시키면 다시 유지력을 상회하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그 변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중합 플레이트는 연결축에 의한 조임과 함께 가압 수단에 의해서도 항상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느슨해짐에 따른 마찰력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압 수단은 예를 들면 연결축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가압 수단을 연결축과 일체적으로 형성한 가요 기구로 하여 중합 플레이트로 원하는 마찰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로는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이나 원추형 스프링 등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 수단은 가압력을 조정 가능하게 하여 중합 플레이트의 중합 부분의 마찰력을 가변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압력의 조정에 의해 마찰력을 변경함으로써 간호자 등이 환자의 상황, 예를 들면 증상이나 체중, 체격 등에 대응하거나 또는 스스로 사용하기 쉬운 굽힘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조정 수단에 의해 조임으로써 임의의 형태로 단단하게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가압력을 조정하는 수단을 밖으로 노출시켜 두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가압력을 조정하여 서포트 부재의 변형에 요하는 힘을 원하는 강도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헤드 레스트의 복수의 중합 플레이트의 일부는 중합 방향으로 약간 이동 가능하게 고정측 부재 또는 경사 이동측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고정측 부재의 중합 플레이트와 경사 이동측 부재의 중합 플레이트를 교호로 끼워 넣고 적층할 때 간극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의 중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 이 헤드 레스트는 두부 정상부 측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헤드 레스트의 신체 서포트 기능은 유지한 채 핸들부를 쥘 수 있으며, 또한 핸들부를 헤드 레스트 측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핸들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들것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들것의 프레임은 환자가 누워 있는 시트를 감아 환자를 누운 상태로 시트째 침대로부터 들것으로 옮겨 싣는 트랜스퍼 바(transfer ba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브라켓부와, 이 브라켓부를 지지하는 L자형의 회전축부와, 이 회전축부와 이 프레임을 동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는 변위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변위 고정 수단에 의해 L자형 축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라켓부를 기립시켜 트랜스퍼 바를 지지 가능한 바 지지 위치와 브라켓부를 쓰러뜨려 환자의 들것으로의 승강에 방해가 되지 않는 후퇴 위치로 전환하며 각 위치에서 각각 고정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를 침대로부터 누운 상태로 들것에 옮겨 싣는 경우에는, 브라켓부를 일으켜 바 지지 위치에서 고정함으로써 브라켓부에 트랜스퍼 바를 장착하여 환자 밑에 깔려 있는 시트를 감을 수 있다. 이 때, 환자는 시트째 끌어당겨져 들것 상에 옮겨 실린다. 또, 들것 형태 또는 휠체어 형태로 환자를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브라켓부를 후퇴 위치(본 명세서에서는 이 후퇴 위치를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와 구별하여 "브라켓 후퇴 위치"라고 함)에서 고정함으로써 매트면보다 아래로 후퇴시키므로 방해가 되지 않으며 성가시지도 않다. 또한, 브라켓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도 브라켓부는 레버 장치에 장착된 채이므로 브라켓부를 잃어버리거나 분리한 후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들것의 프레임은 들것을 손으로 밀 때 간호자 등이 파지하는 레버부와, 이 레버부와 이 프레임을 동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는 변위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변위 고정 수단에 의해 레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레버부를 기립시켜 간호자가 들것을 손으로 밀 때 레버부를 파지할 수 있는 핸들 위치와 레버부를 쓰러뜨려 환자의 들것으로의 승강에 방해가 되지 않는 후퇴 위치로 전환하며 각 위치에서 각각 고정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레버부를 기립시켜 핸들 위치에서 고정하면 간호자 등은 기립한 레버부를 잡고 들것을 밀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간호자 등은 앞으로 숙이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들것을 밀고 당길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레버부를 레버 후퇴 위치에서 고정하면 레버부가 매트면보다 낮아지므로 환자의 들것으로의 승강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부에는 환자가 누워 있는 시트를 감아 상기 환자를 누운 상태로 시트째 침대로부터 들것으로 옮겨 싣는 트랜스퍼 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브라켓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브라켓부에 트랜스퍼 바를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가 실려 있는 시트를 감아 환자를 침대로부터 들것으로 옮겨 실을 수 있다. 또한, 브라켓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도 브라켓부는 레버 장치에 장착된 채이므로 브라켓부를 잃어버리거나 분리한 후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들것에서, 레버부와 브라켓부 사이에 이 레버부와 브라켓부를 동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는 제2 변위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레버부가 핸들 위치에 있을 때 제2 변위 고정 수단에 의해 브라켓부를 레버부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브라켓부를 트랜스퍼 바를 지지 가능한 바 지지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레버부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제2 변위 고정 수단에 의해 브라켓부를 레버부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후퇴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각 위치에서 각각 고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레버부를 핸들 위치에 기립시키며 브라켓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라켓부를 바 지지 위치에 위치시켜 트랜스퍼 바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부 및 레버부를 수용할 때는 브라켓부 및 레버부를 회전시켜 레버부를 레버 후퇴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브라켓부를 하향으로 하여 후퇴시킬 수 있으므로, 레버부 및 브라켓부가 매트 상으로는 물론 매트 옆으로도 돌출되지 않으므로 침대 등에 들것을 밀착시키고 환자를 옮겨 실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레버부의 선단 또는 브라켓부의 선단에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간호자 등이 파지부를 잡고 들것을 밀 수 있으므로 잡기 용이하여 힘을 주기 쉬우므로 들것을 밀기 쉽다.
여기에서, 프레임과 레버부 또는 브라켓부, 또는 레버부와 브라켓부 사이에 설치되는 변위 고정 수단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동축 상에서 접근 이반이 가능하며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 부재의 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과,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다른 하나의 부재에 형성되어 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홈과 결합 돌기의 결합에 의해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며 홈과 결합 돌기의 결합 해제에 의해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홈과 결합 돌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었을 때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주위 방향으로는 회전 불능으로 연결되고, 제1 부재를 제2 부재로부터 떼어놓도록 당겼을 때는 결합이 해제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홈은 바람직하게는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내측에 형성되어 홈에 결합 돌기가 끼워 넣어질 때 사용자의 의복이나 손가락 등을 실수로 끼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홈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의 원주면까지 도달하며 외측으로부터 커버에 의해 덮여 감춰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커버에 의해 홈이 외측으로부터 덮여 감춰져 있으므로 홈과 결합 돌기 사이에 사용자의 의복이나 손가락 등을 실수로 끼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들것은 프레임의 팔걸이부의 측방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이 브라켓에 매트보다 상방으로 기립하여 환자의 전락(轉落) 등을 방지하는 사용 위치와 매트보다 하방으로 후퇴되어 환자를 옮겨 실을 때 방해가 되지 않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세이프티 바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브라켓과 세이프티 바 사이에 세이프티 바를 사용 위치에서 회전 불능으로 하는 고정 수단을 장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환자의 전락 등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세이프티 바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세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불필요할 때는 매트 밑으로 후퇴시켜 둘 수 있기 때문에 전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매트 상에 기립한 이 세이프티 바는 고정 수단으로 회전 불능으로 고정할 수 있어 외력이 가해져도 세이프티 바의 후퇴 위치로 반전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환자의 전락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프레임의 측부에 일체적으로 비치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하여 분실되는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이 세이프티 바의 고정 수단으로는 세이프티 바와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오목부 및 다른 하나에 설치된 오목부에 결합되어 항상 가압된 압출 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압출 핀을 당기는 것만으로 오목부와 핀의 결합이 해제되어 세이프티 바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세이프티 바가 회전하여 압출 핀과 오목부의 위치가 합치되면 압출 핀이 자동적으로 삽입되어 회전 불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오목부의 반대측에도 압출 핀의 선단이 약간 삽입되는 얕은 오목부를 형성해 두면, 후퇴 상태에 있는 세이프티 바가 휘청거리지 않으며, 또한 세이프티 바가 회전되려고 하면 자동적으로 압출 핀이 오목부로부터 탈출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 세이프티 바는 브라켓에 지지되는 회전축부에 대하여 오프셋이 부여되어 있고, 이 오프셋은 사용 위치에서의 세이프티 바가 들것의 측부보다 돌출되어 외측으로 기립되며 후퇴 위치에서는 들것의 측부보다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의 세이프티 바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매트 밑으로 감춰지도록 후퇴되어 이 들것을 침대 등과 간극 없이 밀착시킬 수 있으며 사용할 때는 매트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기립되므로 매트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세이프티 바는 브라켓 또는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는 세이프티 바의 회전축부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다른 하나가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브라켓에 대하여 세이프티 바를 삽입한 후에는 축방향 이동을 불능으로 하여 빠지지 않는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 세이프티 바는 세이프티 바의 회전축부에 브라켓을 장착한 후에 이 브라켓을 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세이프티 바를 프레임에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특수한 조립 방법이나 부재에 의하지 않고 조립 후의 세이프티 바가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의 일례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4에 본 발명의 들것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들것은 환자를 눕힌 상태 또는 앉힌 상태 어느 상태에서나 싣고 이동할 수 있도록 매트(27)를 평탄하게 한 들것 형태와 절곡된 휠체어 형태로 형태 변경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형태 변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 가능하게 조립한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에 의해 골조가 구성되고 그 위에 매트(27)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프레임(1)은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경합금제로 함으로써 들것의 필요 강도를 구비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은 반드시 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링크 등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매트(27)는 예를 들면 쿠션재를 코어재로 지지하고 이들을 피복재로 피복한 구조이다. 여기에서, 매트(27)는 들것 형태로 했을 때는 하나의 면을 구성하지만 휠체어 형태로 변화시켰을 때는 등받이, 시트 및 팔걸이로부터 다리의 일부(무릎 아래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부분)를 구성하는 부위로 3분할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3분할된 코어재와 쿠션재를 1매의 피복재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피복됨으로써 매트(27)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등받이(등 부분(2) 및 허리 부분(3))와 시트(무릎 위 부분(4))에 상당하는 부분은 봉합되고, 팔걸이(팔걸이 부분(6))와 무릎 아래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부분은 허리 부분(3) 및 무릎 위 부분(4)으로 분리되고 봉제되어 절곡 가능한 U자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프레임(1)은 4개의 캐스터(11b)를 가지는 대차(11)에 탑재되어 있다.
프레임(1)은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 부분(2) 및 허리 부분(3)으로 이루어지는 등받이와, 시트를 구성하는 무릎 위 부분(4), 무릎 아래 부분(5) 및 팔걸이 부분(6)으로 분할되고, 서로 회전 대우(對偶)를 구성하는 복수의 연결부(12, 13, 14)에서 절곡 가능한 동시에 미끄러짐 대우를 구성하는 슬리브(29)와 U자 파이프(4a)의 슬라이드 접촉 부분에서 마디의 길이가 바뀌도록 함으로써, 휠체어 형태로부터 들것 형태로 또는 그 반대로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등 부분(2)은 도 10 및 도 25에 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7)가 장착되는 2개의 파이프(2a, 2b)로 이루어지는 텔레스코픽형 신축 구조의 종 파이프와, 각 파이프(2a, 2b)를 옆으로 각각 연결하는 2매의 플레이트(2d)로 구성되어 있다. 허리 부분(3)은 2개의 종 파이프(3a)와, 이들 종 파이프(3a)를 연결하는 횡 파이프(3b)로 구성되어 있다. 무릎 위 부분(4)은 U자 형상으로 절곡된 U자 파이프(4a)로 구성되어 있다. 무릎 아래 부분(5)은 풋 레스트(8)가 접을 수 있게 힌지 등으로 장착되는 신축 가능한 2개의 파이프(5a, 5b)로 이루어지는 텔레스코픽형 신축 구조의 종 파이프와, 각 파이프(5a, 5b)를 옆으로 연결하는 2개의 횡 파이프(5d) 및 슬리브(28)와, 파이프(5a)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며 슬리브(28)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는 슬리브(56) 상에 장착된 U자 파이프(5c)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의 프레임 구조에서는 헤드 레스트(7)를 지지하는 파이프(2a, 2b)와 풋 레스트(8)를 지지하는 파이프(5a, 5b)를 함께 텔레스코픽형 신축 구조로 하고, 각 파이프의 신축에 의해 헤드 레스트(7)와 풋 레스트(8)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신축되는 2개의 파이프(2a, 2b) 및 파이프(5a, 5b) 사이에는 각각 위치 결정 장치(106, 107)가 구비되고, 임의의 위치에서 각 파이프(2a, 2b) 및 파이프(5a, 5b)의 신축을 고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 장치(106, 107)는 예를 들면 한쪽 파이프에 장착된 복수 매의 마찰판과 다른 쪽 파이프에 장착된 복수 매의 마찰판을 교호로 끼워 넣고 이들을 관통하는 체결 나사(108, 109)로 끼워 조임으로써 마찰력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프레임(1)은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 부분(2)의 헤드 레스트를 지지하는 부분의 종 파이프가 텔레스코픽형 신축 구조를 취하지 않고 똑바른 U자형의 1개의 종 파이프(2e)에 의해 구성되고, 종 파이프(2e)와 허리 부분(3)의 파이프(3a)가 동일한 슬리브(33)에 용접 접착 등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무릎 아래 부분(5)의 풋 레스트(8)를 지지하는 파이프도 텔레스코픽형 신축 구조를 취하지 않고 똑바른 U자형의 1개의 종 파이프(5e)에 의해 구성되고, 파이프(5e)가 슬리브(28)에 용접 접착 등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단순히 프레임 구조의 간략화로 본 발명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 도 17 내지 도 20에서는 프레임 설명의 편의상, 매트(27)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팔걸이 부분(6)은 좌우에 1개씩 설치된 종 파이프(6a)로 구성되어 있다. 허리 부분(3)의 횡 파이프(3b)와 무릎 아래 부분(5)의 U자 파이프(5c)에는 브라켓(9, 10)이 장착되어 있고, 이 브라켓(9, 10)을 대차(11)의 지지 부재(1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프레임(1) 전체가 대차(11)에 지지되어 있다. 등받이(등 부분(2)과 허리 부분(3)으로 구성됨)와 팔걸이 부분(6)은 제1 연결부(12)에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허리 부분(3)과 무릎 위 부분(4)은 제2 연결부(13)에 의해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팔걸이 부분(6)의 종 파이프(6a)와 무릎 아래 부분(5)의 U자 파이프(5c)는 제4 연결부인 조인트(14)에 의해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팔걸이부(6)의 종 파이프(6a)에는 낙하 방지용 세이프티 바(16)가 파이프(6a)와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프레임(1)에 의하면, 대차(11)의 일부를 이루는 지지 부재(11a)에 대한 허리 부분(3)의 요동 중심을 지점(支點)(A)으로 하고, 지지 부재(11a)에 대한 무릎 아래 부분(5)의 U자 파이프(5c)의 요동 중심을 지점(B)으로 하면, 프레임(1)은 지점(A)과 지점(B)을 중심으로 요동함으로써 휠체어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허리 부분(3)과 팔걸이 부분(6)의 제1 연결부(12)와, 팔걸이 부분(6)과 무릎 아래 부분(5)의 제4 연결부(14)와, 무릎 아래 부분(5)과 대차(11)의 연결부(B)와, 대차(11)와 허리 부분(3)의 연결부(A)를 4개의 정점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4절 회전 연쇄를 구성하고, 지점이 되는 연결부(A, B)를 중심으로 허리 부분(3)을 후방으로 쓰러뜨리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평행사변형이 변형되어 4개의 연결부(12, 14, A, B)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한편, 허리 부분(3)을 전방으로 일으키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평행사변형이 복귀되어 팔걸이 부분(6)이 들어올려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평행 4절 회전 연쇄를 고정 연쇄로 하여 프레임의 각도, 형태를 고정하고 일정 형상으로 유지하는 록 기구로서의 제1 및 제2 록 장치(15a, 15b)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1)의 연결 구조를 도 11에 도시한 제1 연결부(12)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연결부(12)에서는 1개의 심재(17)와 동축 상에 제1 슬리브(18)를 1개, 제2 슬리브(19)와 제3 슬리브(20)를 2개씩 설치하고, 심재(17)의 중앙에 제1 슬리브(18)를, 그 양측에 제2 슬리브(19)를, 또 제2 슬리브(19)의 양측에 제3 슬리브(20)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슬리브(18)에 등 부분(2) 및 허리 부분(3)을, 제2 슬리브(19)에 휠체어로 사용할 때 손으로 미는 핸들(44)을 장착하고 등 부분(2)의 일부를 이루는 파이프(2c)를, 제3 슬리브(20)에는 팔걸이 부분(6)의 종 파이프(6a)를 각각 장착하고 있다. 여기에서, 파이프(2c)와 파이프(2a)는 상단에서 용접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등 부분(2)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 모든 슬리브(18∼20)의 합계 길이는 심재(17)의 전장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슬리브(18∼20)의 합계 길이를 심재(17)의 전장보다 약간 짧게 하고 슬리브(18∼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파이프(2a, 2c, 3a) 및 핸들(44)은 경우에 따라서 슬리브(18, 19)를 연결한 1개의 슬리브에 소정의 각도로 장착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심재(17)는 예를 들면 파이프로 이루어지고(이하, 심 파이프라고 함), 그 양단면(17a)에는 슬리브(18∼20)의 탈락 방지용 플랜지 부재(21)가 장착되어 있다. 즉, 심 파이프(17)의 단부(端部) 내주면에는 너트(22)가 예를 들면 막음 용접되어 있다. 심 파이프(17)의 단면(17a)에 플랜지 부재(21)를 끼워 넣은 후 볼트(23)를 플랜지 부재(21)를 관통시켜 너트(22)에 체결함으로써 플랜지 부재(21)를 고정한다. 플랜지 부재(21)는 심 파이프(17)보다 약간 직경을 크게 성형되어 있고 슬리브(18∼20)의 탈락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기능한다.
슬리브(18∼20)는 심 파이프(17)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슬리브(18)에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용접 접착으로 일체화된 등받이의 좌우 파이프(2a, 3a) 및 파이프(2a)와 용접 접착된 슬리브(19) 상의 파이프(2c), 및 팔걸이 부분(6)의 파이프(6a)는 심 파이프(17)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등 부분(2) 및 허리 부분(3)으로 이루어지는 등받이와 팔걸이 부분(6)을 동일 축심 상에서 절곡시킬 수 있다. 이 때, 심 파이프(17)에 대하여 슬리브(18∼20)를 회전시키는 구조이므로 등받이와 팔걸이의 절곡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슬리브(18∼20)와 심 파이프(17)는 넓은 면적에서 접촉하기 때문에, 절곡 동작을 반복해도 직경의 확대나 변형이 적어 덜그럭거림이 생기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심 파이프(17)는 제1 연결부(12)를 관통하여 우측 파이프(2a, 3a, 6a)와 좌측 파이프(2a, 3a, 6a)를 연결하게 되어 제1 연결부(12)의 비틀림 강성이 증가하여 비틀림 등의 프레임(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심 파이프(17)로 어느 정도 굵은 것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레임(1)으로서 필요한 강성의 확보가 용이하다. 그리고, 이 프레임 연결 구조는 휠체어와 들것으로 변형 가능한 들것에 적용한 예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있지만, 형태가 변경되지 않는 들것이나 휠체어 등의 프레임 구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2 연결부(13) 및 제3 연결부(300도 제1 연결부(12)와 동일한 구조로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2 연결부(13)에도 프레임(1)의 좌우 연결부를 1개의 심 파이프가 관통하고 있고, 이 심 파이프에 허리 부분(3)의 파이프(3a)가 장착된 슬리브(24)와, 무릎 위 부분(4)의 U자 파이프(4a)가 장착된 슬리브(25)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12)와 동일하게, 제2 연결부(13)에서도 절곡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내구성이나 강성 면에서도 우수하다. 또, 이 심 파이프의 일단에는 제1 록 장치(15a)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슬리브(26)도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또, 심 파이프의 타단에는 제2 록 장치(15b)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연장부(26a)를 가지는 슬리브(26)를 심 파이프에 대하여 육각 구멍과 육각 축부의 결합 등을 이용하여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심 파이프와 슬리브(24)를 막음 용접 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등으로 일체화하고 심 파이프를 통하여 슬리브(24)와 제2 록 장치(15b)를 장착한 연장부(26a)를 가지는 슬리브(26)가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무릎 아래 부분(5)의 슬리브(28)와 슬리브(29) 및 슬리브(56)는 제1 및 제2 연결부(12, 13)와 마찬가지로, 심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제3 연결부(30)를 구성하고 있다. 파이프(5a)는 슬리브(28)에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장착되고, U자 파이프(5c)에 대하여 상방으로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U자 파이프(5c)는 슬리브(56)에 용접 접착되고, 심 파이프를 통하여 파이프(5a)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슬리브(29)에는 시트를 형성하는 무릎 위 부분(4)의 U자 파이프(4a)의 선단이 탑재되고 미끄러짐 대우를 구성하여 U자 파이프(4a)를 지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프레임(1)은 프레임 형상을 유지한 채 경사질 수 있도록 대차(11)에 대하여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11)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부재(11a)와, 이 지지 부재(11a)를 대차(11)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는 경사각 가변 기구(45)로 이루어지는 각도 조정 기구(40)를 통하여 프레임(1)이 대차(11)에 탑재되어 있다. 지지 부재(11a)는 프레임(1)의 2개의 브라켓(9, 10)에 연결되어 2개의 지점(A, B)을 양단에 형성하는 4절 회전 연쇄의 1절을 구성하고, 이 지지 부재(11a)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4절 회전 연쇄의 1절을 경사지게 하고 프레임(1)을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다.
각도 조정 기구(40)는 본 실시예에서 도 12 내지 도 16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a)의 하단 전측의 지지부(41)를 대차(11)의 사이드 멤버(11e)에 지지축(34)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지지 부재(11a)의 하단 후측의 지지부(42)를 각도 가변 기구(45)에 의해 지지하고, 지지축(34)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 부재(11a)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측 지지부(41)와 후측 지지부(42)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사이에 환자의 중심이 수용되어 체중이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도 가변 기구(45)는 지지 부재(11a)의 후측 지지부(42)에 형성된 가로로 긴 장공(38)과, 대차(11)의 사이드 멤버(11e) 내측에 샤프트(43)를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크랭크 레버(35)와, 크랭크 레버(35)의 일단에 고정되며 장공(38)을 관통하여 크랭크 레버(35)와 지지 부재(11a)를 연결하는 연결 핀(39)과, 대차(11)의 사이드 멤버(11e)와 크랭크 레버(35)의 타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록 기구를 가지는 액츄에이터(37) 예를 들면 유압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은 내부에 기체를 밀봉한 실린더 장치로, 밀봉 유체의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신축 가능한 록 해제 상태가 되고, 밀봉 유체의 이동을 금지함으로써 신축 불가능한 록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밀봉 유체의 이동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는 레버(37e)로 핀(37b)을 밀어 넣음으로써 개폐 조작된다. 레버(37e)는 손으로 미는 핸들(44) 근방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틸트 레버에 콘트롤 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도시하지 않은 틸트 레버의 조작에 의해 레버(37e)를 작동시켜 밸브를 개폐 조작하고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을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은 신축 가능 상태에서는 밀봉 기체의 압력에 의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반력을 발생시키는 기체 스프링으로 기능한다. 그리고, 기체 스프링(37)의 로드(37a)를 지지하고 핀(37b)을 조작하는 레버(37e)를 지지하는 브라켓(37c)은 볼트(37d)에 의해 대차(11)의 사이드 멤버(11e)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을 신축시킴으로써 크랭크 레버(35)가 요동하여 지지 부재(11a)의 후측 지지부(42)를 상하 이동시켜 지지축(34)을 중심으로 지지 부재(11a)를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도 13의 예에서는 지지 부재(11a)가 수평 상태로부터 A점을 낮추고 B점을 높이도록 요동한다. 즉, 프레임(1)을 휠체어 형태로 변형시킨 경우, 프레임(1)의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후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휠체어 형태의 들것에 착석하고 있는 사람의 신체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 몸 전체를 맡기도록 하여 앉을 수 있으므로 더욱 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프레임은 반드시 대차(11)에 대하여 경사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a)의 전측 지지부(41)를 지지축(34)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후측 지지부(42)도 고정축(111)으로 대차(11)에 연결함으로써 지지 부재(11a)를 대차(11)에 고정하여 대차(11)의 일부로서 프레임(1)을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의 프레임(1)은 대차(11)와 프레임(1)의 연결점인 지점(A, B)을 중심으로 하여 변형되는 것뿐이며, 프레임(1)이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의 형태로 대차(11)에 대하여 경사지지 않는다. 또, 대차(11)의 형태는 도면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를 겸하는 파이프 프레임(11d)으로 구성되는 대차(11)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파이프 프레임(11d) 상의 링 형상의 지점(A, B)에 프레임(1)의 브라켓(9, 1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프레임(1)이 변형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부재(11a)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11)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록 장치(15a, 15b)도 대차(11)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무릎 위 부분(4) 및 허리 부분(3)과 대차(11) 사이가 짐 수용 공간(31)이 된다. 이 수용 공간(31)에 도시하지 않은 트레이나 바구니 등을 설치함으로써 갈아입을 옷이나 간호 용품 등을 실어 휴대할 수 있다.
또, 프레임(1)의 좌우에 설치한 제1 및 제2 록 장치(15a, 15b)는 서로 장착 각도를 상이하게 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이 장착 상태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프레임(1)과 대차(11)만을 도시한 도 17 내지 도 20을 사용하여 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2 록 장치(15b)의 선단은 지지 부재(11a)에 형성된 연장부(11c)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기단(基端)은 제2 연결부(13)의 슬리브(24)와 일체 회전하는 슬리브(26)에 형성된 연장부(26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제1 록 장치(15a)의 선단은 제2 절곡 위치(13)의 슬리브(2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슬리브(26)에 형성된 연장부(26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기단은 대차(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브라켓(36)에 고정되어 있다. 즉, 제2 록 장치(15b)는 대략 수평으로, 제1 록 장치(15a)는 대략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좌우로 분배되어 제1 및 제2 록 장치(15a, 15b)의 장착 각도를 크게 상이하게 함으로써 프레임(1)의 각도를 변화시켜도 2개의 록 장치(15a, 15b)가 동시에 완전히 연장되지 않고, 어느 한쪽 예를 들면 제1 록 장치(15a)가 연장되었을 때는 반드시 다른 쪽 예를 들면 제2 록 장치(15b)를 어느 정도 축소시켜 둘 수 있다. 이 록 장치는 경우에 따라서는 1개여도 충분하지만 2개의 록 장치(15a, 15b)를 구비함으로써 1개의 경우에 비해 프레임(1)의 록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2개의 록 장치(15a, 15b)가 동시에 고장나는 것은 거의 생각할 수 없으므로 고장에 대한 신뢰성도 향상된다.
제1 및 제2 록 장치(15a, 15b)로는 본 실시예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계적 록 장치로 불리는 주지된 것이 사용되고 있고, 구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로드 주위를 감는 코일 스프링을 감아 조임으로써 로드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이다. 코일을 감는 것과 푸는 것은 콘트롤 케이블의 와이어를 통하여 레버 조작에 의해 행하도록 하고 있다. 레버 조작에 의해 2개의 록 장치(15a, 15b)는 동시에 움직임이 구속되거나 또는 신축이 허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들것에 의하면 다음과 같이 하여 들것 형태로부터 휠체어 형태로, 또는 그 반대로 한 동작으로 형태 변경을 완료할 수 있다. 먼저, 제1 및 제2 록 장치(15a, 15b)의 고정을 해제한 후 프레임(1)의 허리 부분(3)을 지점(A) 주위로 당겨 일으킴으로써 제1 연결점(12)을 지점(A) 주위로, 제4 연결점(14)을 지점(B) 주위로 각각 회전시켜 팔걸이 부분(6)을 들어올리는 동시에 무릎 아래 부분(4)을 경사지게 한다. 동시에, 허리 부분(3)의 지점(A)보다 아래 부분이 후방으로 당겨 내려지며, 또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내려지는 무릎 아래 부분(4)의 지점(B)보다 아래 부분이 슬리브(28) 상을 미끄러져 무릎 위 부분(4)을 전체적으로 강하시킨다. 즉, 변형되어 있던 4절 회전 연쇄가 평행사변형으로 복귀되어 시트가 되는 무릎 위 부분(4)과 팔걸이 부분(6) 및 등받이가 되는 등 부분(2)과 허리 부분(3)이 형성되어 도 2,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팔걸이를 가지는 휠체어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록 장치(15a, 15b)로 4절 회전 연쇄를 고정 연쇄로 하여 휠체어 형태를 유지한다.
또, 들것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2개의 록 장치(15a, 15b)를 해제한 후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 부분(2)을 후방으로 밀어 넘어뜨리면 제1 연결점(12)이 지점(A)을 중심으로, 제3 연결점(14)이 지점(B)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여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허리 부분(3)의 지점(A)보다 아래 부분이 전방으로 밀어내어지면서 상승하고, 무릎 위 부분(시트부)(4)을 구성하는 U자 파이프(4a)를 슬리브(28) 상에서 미끄러지게 하여 들어올린다. 따라서, 평행사변형의 4절 회전 연쇄가 변형되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으로부터 보아 무릎 아래 부분(5), 무릎 위 부분(4), 허리 부분(3) 및 등 부분(2)이 일직선 상에 수평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 동시에 제1 및 제4 연결점(12, 14) 사이의 팔걸이 부분(6)을 구성하는 종 파이프(6a)도 비스듬하게 강하하여 U자 파이프(5c)와 함께 수평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허리 부분(3) 및 무릎 위 부분(4)에 겹친다. 이로 인하여 또 허리 부분(3)과 무릎 위 부분(4) 양측에 팔걸이 부분(6)이 위치하므로 들것의 매트면 (112)을 넓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점(A)으로부터 제2 연결부(13)까지의 거리를 L1, 지점(A)으로부터 등 부분(2)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L2로 하면, L1과 L2의 거리의 비율은 예를 들면 1:5로 되어 있다. 허리 부분(3) 및 등 부분(2)을 전방으로 일으키는 경우에는, 통상 등 부분(2)의 선단 위치를 잡고 들어올리도록 한다. 거리(L2)는 거리(L1)보다 약 5배 길기 때문에, 지레 원리에 의해 들것에 환자가 누워 있어도 매우 가벼운 힘으로 허리 부분(3) 및 등 부분(2)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허리 부분(3) 및 등 부분(2)으로 이루어지는 등받이를 어느 정도의 각도까지 일으켜 허리 부분(3)을 무릎 위 부분(4)에 대하여 절곡시키면 제2 연결부(13)의 위치가 A점 및 B점의 위치보다 낮아지고, 허리 부분(3) 및 무릎 위 부분(4)이 경사진다. 이로 인하여, 들것에 누워 있는 환자의 몸이 수평으로 똑바르게 뻗은 상태로부터 제2 연결부(13)를 향하여 떨어지도록 절곡되고, 그 체중이 제2 연결부(13)를 내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하여, 허리 부분(3) 및 등 부분(2)을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 일으킨 후에는 더욱 가벼운 힘으로 허리 부분(3) 및 등 부분(2)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허리 부분(3)과 등 부분(2)을 원하는 각도로 요동시킨 후, 레버 조작에 의해 2개의 록 장치(15a, 15b)의 신축 동작을 구속함으로써 프레임(1)의 각도를 고정, 즉 프레임(1)을 고정할 수 있다.
도 8이나 도 17에 도시한 휠체어 형태에서는, 제2 록 장치(15b)가 거의 완전히 연장되어 있다. 록 장치(15b)가 완전히 연장되어 있는 경우, 프레임(1)의 록에 대하여 큰 강성을 얻기 어렵다. 한편, 제2 록 장치(15a)가 축소되어 있으면 프레임(1)의 록에 대하여 큰 강성을 얻는 것은 용이하다. 도 8 등에 도시한 휠체어 형태에서는 제2 록 장치(15b)는 연장되어 있지만, 제1 록 장치(15a)는 축소되어 있으므로 프레임(1)을 고정하는 데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이나 도 19 등에 도시한 들것 형태에서는 제1 록 장치(15a)가 연장되어 있지만 제2 록 장치(15b)는 축소되어 있으므로 프레임(1)을 고정하는 데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있다. 즉, 2개의 록 장치(15a, 15b)의 장착 각도를 변경시킴으로써 항상 충분한 록 강성을 얻을 수 있다.
휠체어 형태에서 틸트 레버의 조작에 의해 행하고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의 록을 해제한 후 손으로 미는 핸들(44)을 잡고 프레임(1)의 등 부분(2)을 전방으로 밀거나 또는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지지축(34)을 중심으로 프레임(1)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1a)가 경사지므로, 프레임(1)의 형상을 변형시키지 않고 그 상태로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수평 상태로부터 프레임(1) 전체를 후방으로 넘어뜨리면, 지지 부재(11a)의 후측 지지부(42)는 지지축(34)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이동한다. 즉, 지지 부재(11a)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을 밀어 축소하면서 크랭크 레버(35)를 요동시켜 지지축(3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방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을 고정하면, 크랭크 레버(35)가 요동할 수 없게 되므로 후측 지지부(42)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후측 지지부(42)의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지지 부재(11a)가 고정되어 프레임(1)의 틸트 각도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프레임(1)이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약간 가라앉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더욱 깊게 앉을 수 있어 환자의 홀드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 더욱 깊게 앉을 수 있으므로 몸 전체가 감싸지게 되어 더욱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다.
프레임(1)의 기울기를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는, 틸트 레버의 조작에 의해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을 해제하여 프레임(1)을 전방으로 들어올리면, 지지 부재(11a)의 후측 지지부(42)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축(3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일으켜 세워진다. 이에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이 전체적으로 수평 상태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는 휠체어로의 승강을 편안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을 고정한 후, 프레임(1)의 허리 부분(3) 및 등 부분(2)을 후방으로 넘어뜨리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면이 평탄하고 수평인 들것으로 복귀된다. 여기에서, 대차(11)의 고정은 브레이크 페달(110)을 밟음으로써 캐스터(11b)에 브레이크가 걸려 정지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틸트 조작에 대한 환자의 체중의 영향을 대차(11)의 좌우에 설치한 2개의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에 의해 없애도록 하고 있다. 도 16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환자의 체중을 60kg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크랭크 레버(35)의 요동 중심인 샤프트(43)로부터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과의 연결부까지의 거리와, 샤프트(43)로부터 연결 핀(39)까지의 거리 비는 0.7:1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의 반력을 F1로 하면, 연결 핀(39)을 들어올리는 힘(F2)은 F2=0.7·F1이 된다.
한편, 전측 지지부(41) 즉 지지축(34)과 후측 지지부(42) 즉 연결핀(39)의 위치는 표준적인 자세로 앉은 경우에 환자의 체중이 이들 전측 지지부(41)와 후측 지지부(42)의 중앙에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환자를 지지하는 힘(Fa)은 지지축(34)으로부터 연결 핀(39)까지의 거리의 절반인 위치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축(34)에 대하여 힘(F2)은 힘(Fa)보다 2배 떨어진 위치에 작용하므로 힘(Fa)은 Fa=0.5·F2=0.35·F1이 된다.
환자의 체중이 60kg인 경우를 가정하면, 85kg의 반력을 발생시키는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을 좌우 합계로 2개 장착함으로써 반력 F1=85×2=170kg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힘 F2=170×0.7=119kg이 되고, 힘 Fa=119×0.5=59.5kg에 의해 체중을 지지할 수 있다. 즉, 85kg의 반력을 발생시키는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37)을 2개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체중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힘(Fa)을 발생시켜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틸트 조작에 대하여 환자의 체중이 거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헤드 레스트(7) 지지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들것은 도 3 및 도 25 내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등 부분(2)을 구성하는 파이프(2b)의 환자의 두부가 실리는 부위에 헤드 레스트(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헤드 레스트(7)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판재나 플라스틱 보드, 강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7a)와 이 베이스(7a)에 지지된 쿠션부(7b) 및 이들을 피복하는 피복재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헤드 레스트(7)는 등 부분(2)의 파이프(2b)에 대하여 높이 및 경사를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b)에 용착 접착 등으로 장착되는 제1 브라켓(46)과, 헤드 레스트(7)의 베이스(7a)의 배면 측에 나사 고정 등으로 장착되는 제2 브라켓(47)과, 중합된 양 브라켓(46, 47)을 관통하여 이들을 조임으로써 고정하는 연결 수단(48)을 구비함으로써, 헤드 레스트(7)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의 헤드 레스트(7)의 쿠션부(7b)와, 들것으로 형태를 변경하였을 때의 매트(27)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레스트(7)와 매트(27)의 높이는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높이로 할 필요가 없고 예를 들면 헤드 레스트(7)의 쿠션부(7b)를 매트(27)보다 높이 설정하는 등, 사용 상황에 따라 헤드 레스트 높이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 이 헤드 레스트(7)가 장착되는 파이프(2b)는 도 3 및 도 2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것 형태일 때 파이프(2b)의 헤드 레스트(7)가 장착되는 부분이 파이프(2a)보다 낮아지도록 구부러져 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후퇴에 의해 헤드 레스트(7), 제1 브라켓(46), 제2 브라켓(47) 등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매트(27)와 헤드 레스트(7)가 동일한 높이로 탑재된다.
이들 제1 브라켓(46) 및 제2 브라켓(47)은 헤드 레스트(7)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대칭 배치한 제1 브라켓(46)은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2b)의 내측 면에 용접 접착되어 있다. 한편, 제2 브라켓(47)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제1 브라켓(46)의 내측에 대칭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브라켓(47)은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은 2 부분의 나사공(47a, 47b)을 가지고, 이 구멍(47a, 47b)을 이용하여 헤드 레스트(7)의 베이스(7a)의 배면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장착된다.
여기에서, 제1 브라켓(46)과 제2 브라켓(47)은 서로 직접 접촉하도록 인접시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양 브라켓(46, 47) 사이에 이들 마찰판이나 엘라스토머재 등을 개재시킴으로써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헤드 레스트(7)를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46)과 제2 브라켓(47) 사이에 프레임측 마찰판(54)과 헤드 레스트측 마찰판(55)으로 이루어지는 1세트의 마찰판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마찰판의 수는 2매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일 수도 있으며, 헤드 레스트(7)의 좌우에 배치되는 브라켓 세트의 적어도 한쪽에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프레임측 마찰판(54)은 제1 브라켓(46)에 대하여 이 브라켓(4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2개의 핀(46b)을 2개의 결합공(54b)에 통과시킴으로써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 이 마찰판(54)의 제1 브라켓(46)의 투공(46a)과 동축 상이 되는 위치에는 투공(54a)이 천공되어 있다. 또, 헤드 레스트측 마찰판(55)은 제2 브라켓(47)에 대하여 브라켓(47)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2개의 핀(53)을 2부분의 결합공(55b)에 통과시킴으로써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이 마찰판(55)의 제2 브라켓(47)의 투공(47a)과 동축 상이 되는 위치에는 투공(55a)이 천공되어 있다. 여기에서, 헤드 레스트측 마찰판(55)과 제2 브라켓(47)의 투공(47a, 55a)은 파이프(2b)와 수직인 방향(헤드 레스트의 높이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좌우의 파이프(2b)와 헤드 레스트(7)에 각각 장착된 1세트의 브라켓(46, 47)과 2매의 마찰판(54, 55)은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46)→마찰판(55)→마찰판(54)→브라켓(47)의 순으로 배치된 후 1개의 체결 볼트(49)와 파이프(51)로 이루어지는 연결 수단(48)에 의해 체결되어있다. 여기에서, 장공(47a)은 파이프(2b)에 대하여 헤드 레스트(7)가 접근 이반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파이프(2b)의 축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으로 할 수도 있다.
연결 수단(48)은 좌우의 프레임(2b)이 각각 배치된 제1 브라켓(46)과 제2 브라켓(47)을 사이에 끼워 이들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거나 또는 저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연결 수단(48)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제1 및 제2 브라켓(46, 47)을 관통하는 체결 볼트(49)와, 이 체결 볼트(49) 선단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여 조이는 체결 핸들(50)과, 체결 볼트(49)가 관통되는 좌우에 배치된 제2 브라켓(47, 47)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압 파이프(51) 및 체결 볼트(49)의 구형상(矩形狀)의 목부(49a)와 제1 브라켓(46)의 구형의 회전 정지공(46a)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정지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제1 및 제2 브라켓(46, 47) 및 마찰판(55)과 좌우의 제2 브라켓(47)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로서의 가압 파이프(51)를 통과하도록 체결 볼트(49)를 통과시킨 후 목부(49a)를 한쪽 제1 브라켓(46)의 구형 투공(46a)에 끼워 넣어 회전하지 않도록 세트한 후 핸들(50)을 감아 조이면, 가압 파이프(51)를 통하여 좌우의 브라켓 세트를 각각 강력하게 끼우고 조여 헤드 레스트(7)를 등 부분(2)의 파이프(2b)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50)을 약간 풀면 제1 브라켓(46)과 제2 브라켓(47)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경감되어 헤드 레스트(7)가 볼트(47)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경사진다.
그리고, 체결 볼트(49)는 제1 브라켓(46) 및 제2 브라켓(4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양단으로부터 나비형 나사 등을 회전시킴으로써 브라켓(46, 47)을 조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 가압 파이프(51)의 양단에도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제2 브라켓(47)과의 접촉 영역을 크게 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헤드 레스트(7)는 경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경사 조정 기구 이외에, 프레임(1)에 대하여 접근 이반하도록 헤드 레스트(7)를 상하 이동시키는 기구도 구비하고 있다. 이 상하 이동 기구는 제1 브라켓(46)의 투공(46a) 또는 제2 브라켓(47)의 투공(47a) 중 어느 하나를 헤드 레스트(7)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으로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브라켓(47)측의 투공(47a)을 장공으로 하고, 이 긴 투공(47a)의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헤드 레스트(7)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상하 이동 기구에 의하면, 헤드 레스트(7)는 경사 조정 기능과 함께 높이 조정 기능도 가지게 되어 어떤 높이에서도 경사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헤드 레스트(7)는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로 복귀시켰을 때 매트면(12)과 동일한 높이가 되며 환자를 옮겨 싣는 것에 따라 경사가 변하지 않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구는 예를 들면 상대 회전하는 제1 브라켓(46)과 제2 브라켓(47)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도 25에 도시한 상태)는 서로 결합하여 회전을 저지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브라켓(46)에 도 25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텝부(52, 52)를 형성하고, 이 스텝부(52, 52)에 제2 브라켓(47)의 규제 핀(53, 53)이 접촉하여 제2 브라켓(47)이 회전할 수 없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텝부(52)는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에서 규제 핀(53)과 접촉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형상은 제한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 형상의 규제 핀(53)에 맞추어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의 원호 형상으로 하여 면압(面壓)의 분산을 도모하고 있다.
또, 제1 브라켓(46)의 형상은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에서만 규제 핀(53, 53)과 접촉하고, 헤드 레스트(7)가 파이프(2b)로부터 멀어지도록 들어올려졌을 때는 제2 브라켓(47)의 회전 즉 규제 핀(53, 53)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형상으로 외측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1 브라켓(46)의 중심 상부를 투공(46a)을 중심으로 한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헤드 레스트(7)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지면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조정이 이루어질 때 제1 브라켓(46)의 스텝부(52, 52)와 제2 브라켓(47)의 규제 핀(53, 53)이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2 브라켓(47)의 경사, 즉 헤드 레스트(7)의 경사를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헤드 레스트(7)는 긴 투공(47a)의 상측 스트로크 단(端)에 도달하지 않아도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를 제외한 모든 위치에서 경사 조정 가능하게 된다. 또, 긴 투공(47a)의 어느 위치에서 헤드 레스트(7)의 경사 이동 범위가 어느 정도가 될 지는 스텝부(52)의 형상이나 규제 핀(53)의 상대 위치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헤드 레스트(7)는 도 1 및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들것으로 형태 변경한 경우,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로 낮춤으로써 매트(27)와 함께 하나의 평탄한 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로 형태 변경한 경우에는 등 부분(2)의 면과 평탄하게 된다. 이 때, 제2 브라켓(47)의 규제 핀(53, 53)과는 제1 브라켓(46)의 스텝부(52, 52)와의 접촉에 의해 헤드 레스트(7)는 다른 매트면(112)과 동일한 높이로 수평하게 유지되어 환자가 들것과 침대 사이에서 옮겨 탈 때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 경우, 연결 수단(48)을 조여 둠으로써 헤드 레스트(7)의 예측하지 않은 움직임도 저지된다.
또, 헤드 레스트(7)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핸들(50)을 돌려 체결 볼트(49)를 풀고 제1 브라켓(46)과 제2 브라켓(47) 사이의 상대 이동·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헤드 레스트(7)를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들어올리고 원하는 높이로 한다. 헤드 레스트(7)를 들어올리면 규제 핀(53, 53)이 스텝부(52, 52)로부터 떨어지므로 도 31 또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7)를 경사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높이 및 각도가 얻어진 부분에서 핸들(50)을 조여 제1 및 제2 브라켓(46, 47) 사이를 마찰력으로 고정하면 된다. 도 31과 같이 헤드 레스트(7)를 환자 측으로 경사지게 하면 후두부를 따라 넓은 지지면이 얻어지며, 도 32와 같이 반대측으로 경사지게 하면 후두부를 지지하는 영역은 적어지지만 높이를 확보하기 쉽다. 그리고, 헤드 레스트(7)는 휠체어 형태일 때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은 물론이다.
또, 헤드 레스트(7)는 예를 들면 들것 형태에서 핸들(50)을 풀면 자중으로 원래의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로 복귀된다. 이 경우, 규제 핀(53, 53)이 스텝부(52, 52)에 접촉하여 위치 결정 상태가 되기 때문에, 헤드 레스트(7)는 자연스럽게 수평 상태가 되어 매트면(112)과 평탄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환자의 신속하며 안전한 이동이 요구되는 상황하에서도 헤드 레스트(7)를 신속하며 확실하게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로 복귀시키고 환자를 옮겨 싣는 것이나 이동시키는 것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브라켓(46)에 설치한 스텝부(52, 52)에 대하여, 제2 브라켓(47)에 설치한 규제 핀(53, 53)을 접촉시킴으로써 헤드 레스트(7)를 위치 결정하였지만, 위치 결정하기 위한 양태는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측 마찰판(54)을 제1 브라켓(46)에 결합시키기 위해 설치한 결합 핀(46b, 46b)을 이용하여 헤드 레스트(7)를 위치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브라켓(47) 및 필요하면 헤드 레스트측 마찰판(55)에, 헤드 레스트(7)가 헤드 레스트 후퇴 위치에 있을 때만 2개의 결합 핀(46b, 46b)과 동시에 접촉하는 스텝부를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이에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헤드 레스트(7)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헤드 레스트(7)는 변형이 불가능한 1매의 판 형상으로 구성된 실시예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헤드 레스트 자체가 절곡 가능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7)의 심재가 파이프(2b)에 고정되는 중앙의 고정 심재(70)와 이 고정 심재(70)에 대하여 가동적으로 접속되는 양측의 가동 심재(71, 72)의 3개의 부위로 분할되고, 좌측 가동 심재(71) 및 우측 가동 심재(72)를 절곡 가능하게 가요 기구(73)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환자의 두부를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지지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헤드 레스트(7)에서 고정 심재(70)는 대략 구형상을 이루고 좌측 가동 심재(71)와 우측 가동 심재(72)는 대칭 형상의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며, 각 심재(70∼72)에는 가요 기구(73)의 고정측 부재(57) 또는 가동측 부재(58)를 장착하기 위한 투공(70a, 71a, 72a)이, 또한 고정 심재(70)에는 헤드 레스트(7)를 프레임(1)의 파이프(2b)에 장착하기 위한 투공(70b)이 천공되어 있다.
가요 기구(73)는 도 36 내지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심재(70)에 장착되는 고정측 부재(57)와 가동 심재(71) 또는 가동 심재(72)에 장착되는 가동측 부재(58)를 힌지 구조에 의해 절곡 가능하게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한쪽을 고정측, 다른 쪽을 가동측이라고 하지만, 고정측·가동측의 개념은 상대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고정측과 가동측의 2부재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들을 반대로 하여 생각할 수 있다.
고정측 부재(57)는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베이스 판(61)과, 이 베이스 판(61)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중합 플레이트(59, 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합 플레이트(59, 60)의 매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총 4매로 하고 있지만 이보다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 각 중합 플레이트(59, 60)에는 도 39 및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판(61)에 장착하기 위한 네일(nail)(59a, 60a)을 형성하고, 베이스 판(61)에는 이들 네일(59a, 60a)에 대응하는 장착공(61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장착공(61a) 중 베이스 판(61)의 단에 설치하는 것은 장착홈일 수도 있다.
복수의 중합 플레이트(59, 60)는 고정측 베이스 판(61)에 원하는 간격으로 평행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치 간격을 일정 피치로 하며 이 피치 간격은 중합 플레이트(59, 60)의 두께에 일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들 중합 플레이트(59, 60)는 모두 베이스 판(61)에 대하여 고정적이어도 상관없지만, 4매 중 내측에 위치하는 2매는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경사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고정측 부재(57) 및 가동측 부재(58) 4매씩의 중합 플레이트(59, 60)를 교호로 끼워 넣어 중합시킬 때 각 플레이트(59, 60)를 서로의 간극에 잠입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에 배치하는 2매의 중합 플레이트(59)는 베이스 판(61)에 고정하기 위해,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판(61)의 장착공(장착홈)(61a)에 끼워 위치 맞춤하고 베이스 판(61)에 용접 또는 기타 장착 수단에 의해 장착하는 데 적합한 돌기 형상의 네일(59a)을 가지고 있다. 한편, 내측에 배치하는 2매의 중합 플레이트(60)는 베이스 판(61)에 대하여 가동적으로 하기 위하여 베이스 판(61)에 용접 등으로 장착하지는 않고 결합 네일(60a)을 베이스 판(61)의 장착공(61a)에 걸도록 하여 결합시키고 있다. 이 결합 네일(60a)은 중합 플레이트(60)가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합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지만 고정측 베이스 판(6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갈고리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2부분의 훅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경우 도 36,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부재(57)와 가동측 부재(58) 각각의 가동 중합 플레이트(60)의 각 네일(60a)을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가요 기구(73)가 굴곡을 반복해도 결합 네일(60a)이 역 슬라이드하여 장착공(61a)으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들 중합 플레이트(59, 60)를 고정측 베이스 판(61)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면, 먼저 외측의 고정적인 중합 플레이트(59)를 베이스 판(61)에 장착한 경우에는 도 43 내지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또, 장착된 양 중합 플레이트(59)의 간극에는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적인 중합 플레이트(60)를 훅 형상의 결합 네일(60a)을 장착공(61a)에 끼워 넣고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장착한다. 가동 중합 플레이트(60)는 어느 하나의 고정 중합 플레이트(59)를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중합 플레이트(59, 60)에는 도 39 및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공(59b, 60b)을 형성하고 있다. 투공(59b, 60b)은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이동의 중심이 되는 연결축(64)을 관통시키기 위한 것이며, 고정측 부재(57)와 가동측 부재(58)를 각각의 투공(59b, 60b)이 일치하도록 중합시킨 후 연결축(64)을 삽입하고, 너트(66)로 조임으로써 고정측 부재(57)와 가동측 부재(58)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베이스 판(61)에 중합 플레이트(59, 60)를 장착하여 고정측 부재를 구성하며, 한쪽 가동측 부재(58)도 고정측 부재(57)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베이스 판(61)과 동일하게 장착공(장착홈)(62a)을 구비한 가동측 베이스 판(62)에, 고정측 부재(57)와 동일 형상의 중합 플레이트(59, 60)를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장착하여 가동측 부재(58)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 판(61, 62) 상의 투공(61b, 62b)은 도 33 내지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부재(57) 및 가동측 부재(58)를 헤드 레스트(7)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한 고정측 부재(57)와 가동측 부재(58)는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중합 플레이트(59)와 가동 중합 플레이트(60)를 교호로 중합하고, 연결축(64)에서 핀 결합함으로서 굴곡 가능한 힌지 형상의 가요 기구(73)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8,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부재(57)와 가동측 부재(58)를 180° 개방한 부분에서 양 베이스 판(61, 62)의 내측 테두리끼리 접촉하여 그 이상 열리는 것을 저지한다. 따라서, 이 굴곡 가능한 가요 기구(73)는 최대 개방 각도가 180°까지의 범위 내에서 경사를 조정할 수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헤드 레스트(7)의 서포트 기구로 사용한 경우, 헤드 레스트(7)의 양 가동 심재(71, 72)를 최대로 열었을 때 평탄한 상태로 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중합 플레이트(59)와 가동 중합 플레이트(60)를 스텝 형상으로 중합시킨 경우, 중합 부분의 접촉 마찰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단, 헤드 레스트(7)를 구성하는 가요 기구(73)이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 후에는 외력에 대하여 각도가 용이하게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합 플레이트(59, 60)를 중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63)을 설치하고 있다.
가압 수단(63)은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축(64)과 동축 상에 그 주위로 배치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와셔(washer)(65)를 개재시켜 너트(66)와 플레이트(59) 사이에 배치되어 중합 플레이트(59, 60)를 항상 가압하여 압접시킨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63)의 압축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가압력을 변화시키고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연결축(64)의 일단을 잘 풀리지 않는 더블 너트(66)로 체결하지만, 레버와 같은 가압력을 수동으로 조정 가능한 수단을 대신 설치함으로써 가압력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나타낸 코일 스프링은 가압 수단(63)의 바람직한 일례이기는 하지만 체결력을 조정할 수 있고 중합 플레이트(59, 60)를 압접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추형 스프링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등의 적용도 가능하다.
또한, 이 가요 기구(73)를 구비하는 헤드 레스트(7)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7)의 고정 심재(70)에 대하여 좌측 가동 심재(71) 및 우측 가동 심재(72)를 각각 독립적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가동 심재(71) 및 우측 가동 심재(72)를 각각 2개의 가요 기구(73)에 의해 중앙의 고정 심재(70)에 접속하고 있지만, 물론 각각 단일 가요 기구(73)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 가요 기구(73)마다 체결력 조정을 독립적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연결축(64)을 연결하거나 함으로써 양 조정을 동시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헤드 레스트(7)를 2분하여 V자형으로 경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헤드 레스트(7)에 의하면,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헤드 레스트 측부를 필요한 만큼 절곡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두부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좌측 가동 심재(71) 및 우측 가동 심재(72)는 각각 독립적으로 경사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간단히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양측이 중앙보다 내려가지 않으므로 두부가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는다. 또, 가압 수단(63)에 의해 중합 플레이트(59, 60)를 조이므로 가압력을 조정하여 원하는 마찰력을 얻음으로써 사용자 등에 의한 조임력의 조절, 이른 바 카스타마이즈(환자의 체중, 체격 차에 따른 절곡 강도를 얻는 것)도 용이하다. 또, 중합 플레이트(59, 60) 사이의 마찰력을 상회하는 외력으로 가동 심재(71) 또는 가동 심재(72)를 원하는 경사로 변경시킬 수 있고,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옮겨 실린 후에 신속하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헤드 레스트(7)의 형상은 디자인 상 또는 기능 상 필요에 따라 적당하게 결정되는 것이고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3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가동 심재(71, 72)를 환자의 두부 정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7) 주위에 파지부(69)를 꼭대기 부분에 구비하는 레버(68)를 장비한 경우에, 이 레버(68)와 헤드 레스트(7)의 측방 사이에 간호자 등이 레버(68)를 쥐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G)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레버(68)는 도시한 바와 같이 L자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이며,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위 고정 수단(76)을 통하여 핸들 바(67)의 양단에 핸들 바(67)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들것을 밀 때 이 레버(68)를 위를 향하여 90° 일으켜 파지부(69)를 잡고 밀고 당김으로써 그다지 앞으로 숙이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반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핸들 바(67)는 들것의 두부 또는 풋 레스트(8) 앞에 설치한 수평 파이프이며 들것의 반송을 보조하는 핸들부로 기능한다.
이와 같이, 헤드 레스트(7)를 전술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68)를 옆을 향하게 해도 파지부(69)가 헤드 레스트(7)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레버(68) 및 파지부(69)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헤드 레스트(7)의 측부에 수납 가능하다. 또, 레버(68)와 헤드 레스트(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G)이 레버(68)를 옆으로 향하게 한 상태인 채 잡는 경우에 잡은 손이 헤드 레스트(7)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레버(68)를 눕혔을 때 파지부(69)가 헤드 레스트(7)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레스트(7)를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는 것은 환자의 두부 서포트를 충분히 가능하게 하면서 레버(68)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며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특별히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 레스트(7)의 양측부를 단계없이 경사지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지만, 단계적으로 경사지게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일례를 들면, 중합 플레이트(59, 60)의 접촉 영역에서 연결축(64)을 중심으로 설치한 방사상 요철이며, 이 요철의 간격으로 경사 이동시의 단계 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요철 중 적어도 돌출된 부분을 산(山)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원활한 경사 이동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중합 플레이트(59, 60)를 모두 동일한 두께로 하고 베이스 판(61, 62)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 경우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플레이트 두께나 배치 간격이 일정할 필요는 없고 플레이트 두께를 불균일하게 형성한 경우에도 각 플레이트(59, 60)가 중합되는 플레이트 간격을 대응시키면 중합시켜 가요 기구(73)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 레스트(7)의 심재를 3분할하여 가요 기구(73)로 연결하고, 그 위에 배치되는 쿠션재나 피복재에 대해서는 일체화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헤드 레스트를 구성하는 것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3개의 독립된 서포트 부재를 2개 내지 그 이상의 가요 기구(73)로 경사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서포트 기구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당연히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가요 기구(73) 및 고정 심재(70), 양 가동 심재(71, 72)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기구를 헤드 레스트(7)로 이용한 한 형태를 설명하였다. 단, 이 서포트 기구는 다른 신체 지지, 이동용 기구에서 신체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전술한 헤드 레스트(7) 이외의 다른 형태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휠체어에서는 등 양측을 지지하는 사이드 서포트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등받이 양측에 서포트 폭의 조정이 가능한 한 쌍의 서포트 기구를 설치하게 된다. 또, 설치 부위나 형태를 적당하게 변경함으로써 경부(頸部)나 두부 또는 둔부를 서포트하는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또, 지지면의 변형이 요구되는 부위의 분할 수는 적용되는 기기나 부위에 따라 상이하지만, 고정적인 부재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이동 가능한 부재가 있으면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45 내지 도 66에 도시한 트랜스퍼 바를 적용 가능하게 한 들것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들것은 환자가 누워 있는 시트를 감아 침대 등의 위의 환자를 시트째 들것 상으로 옮겨 싣기 위한 트랜스퍼 바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78)과, 간호자 등이 앞으로 숙이지 않고 들것을 밀 수 있게 하는 레버부(75)를 구비하는 핸들 장치(74)를 들것의 측부에 가지고 있다.
레버부(75)는 도 48 및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90。로 절곡된 L자 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한쪽 단부가 프레임(1)의 일부 예를 들면 파이프(2b)의 선단 또는 파이프(5b)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핸들 바(67)에 제1 변위 고정 수단(76)을 통하여 장착되고, 이 단부를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타단부가 수평 상태와 수직 상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사이의 위치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변위 고정 수단(76)은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형의 레버부(75)를 연직 방향 상방으로 기립시키는 핸들 위치(H)와 수평 방향으로 눕히는(경우에 따라서는 연직 방향 하향으로 하는) 레버 후퇴 위치(Q)로 변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각 위치(H, Q)에서 고정한다. 이로 인하여, 레버부(75)를 핸들 위치(H)에서 고정함으로써 간호자는 앞으로 숙이지 않고 레버부(75)를 잡고 들것을 밀고 당길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레버부(75)를 레버 후퇴 위치(Q)에서 고정함으로써 레버부(75)가 환자의 들것으로의 승강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레버부(75)에는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퍼 바(7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브라켓부(78)가 제2 변위 고정 수단(79)이 개재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트랜스퍼 바(77)는 핸들(94)과, 벨크로 패스너 등의 면(面) 패스너로 기단부가 트랜스퍼 바(77)에 고정되는 복수의 스트랩(95)과, 스트랩(95)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시트를 끼우는 클립(96) 및 플러그(97)를 구비하고, 환자가 실려 있는 시트를 스트랩(95)의 클립(96)과 플러그(97)로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잡은 후 트랜스퍼 바(77)의 회전으로 스트랩(95)을 감음으로써 시트째 환자를 침대로부터 들것으로 옮겨 싣게 하는 것이다(도 50 참조).
이 제2 변위 고정 수단(79)은 브라켓부(78)의 레버부(75)의 선단에서의 동축 상의 회전을 허용하며 선택된 위치에서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 불능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브라켓부(78)는 레버부(75)가 핸들 위치(H)에 있는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트랜스퍼 바(77)를 지지 가능하게 하는 바 지지 위치(S)에 위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레버부(75)가 레버 후퇴 위치(Q)에 있을 때는 하향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각 위치(S, Q)에서 각각 고정한다. 이로 인하여, 레버부(75)를 핸들 위치(H)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브라켓부(78)를 바 지지 위치(S)에 위치시킴으로써(도 48에서 실선으로 도시함) 브라켓부(78)에 트랜스퍼 바(77)를 장착하여 환자를 옮겨 실을 수 있게 된다. 또, 브라켓부(78)를 원래 위치로 회전시켜 레버부(75)를 레버 후퇴 위치(Q)에 위치시킴으로써(도 48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함) 브라켓부(78) 및 레버부(75)가 들것의 측방에서 하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환자를 들것으로 옮겨 싣는 것이나 또는 들것으로의 승강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부(78)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레버 장치(74)에 장착된 채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후퇴되므로, 브라켓부(78)를 잃어버리거나 분리한 후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변위 고정 수단(76, 79) 각각은 두 부재를 동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는 것이며, 두 부재를 맞대는 단면 측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홈을 가지는 제1 부재와, 홈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가지는 제2 부재와, 이들 두 부재를 접근 이반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수단과, 이들을 항상 서로 끌어당기는 가압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변위 고정 수단(76, 79)이 도 56 및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부(75) 및 핸들 바(67)로부터 독립된 유닛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변위 고정 수단(76, 79)은 제1 부재인 핸들 바(67)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고 단면 측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홈(81)을 가지는 홈측 슬리브(85)와, 제2 부재인 레버부(75)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어 홈(81)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83)를 가지는 돌기 지지 부재(87) 및 상기 돌기 지지 부재(87)에 나사 고정 등으로 고정되는 돌기측 슬리브(88)와, 홈측 슬리브(85)에 나사 고정 등으로 고정되고 가압 수단(80)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 통(84)과, 상기 스프링 수용 통(8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여 돌기 지지 부재(87)에 나사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볼트(86)와, 상기 볼트(86)의 두부(86a)와 스프링 수용 통(84)의 바닥부(84a) 사이에 와셔(91)를 통하여 수용되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압축 코일(8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 지지 부재(87)와 돌기측 슬리브(88)는 별개의 부재가 아니라 일체의 성형품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홈(81)은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측 슬리브(85)의 단면(85a)으로부터 잘라낸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90。 간격의 4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홈(81)을 가지는 홈측 슬리브(85)와 결합 돌기(83)를 가지는 돌기측 슬리브(88)를 90。 간격으로 고정할 수 있다.
결합 돌기(83)는 돌기 지지 부재(87)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으로 구성되고, 2개의 결합 돌기(83)가 180。 떨어진 홈(81)에 각각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결합 돌기(83)가 1부분인 경우에 비해 홈(81)측의 제1 부재(84, 85)와 결합 돌기(83)측의 제2 부재(87, 88)의 회전 방향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들 제1 및 제2 변위 고정 수단(76, 79)의 유닛은 홈측 슬리브(85)와 돌기측 슬리브(88)가 각각 핸들 바(67)와 레버부(75) 또는 레버부(75)와 브라켓부(78)에 나사 고정 등으로 장착됨으로써 이들 두 부재 사이에 상대 회전하여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1 및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재로서 레버부(75)를, 제2 부재로서 프레임(1) 측의 핸들 바(67)를 적용한 제1 변위 고정 수단(76)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홈측 슬리브(85)를 핸들 바(67) 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돌기측 슬리브(88)를 레버부(75) 내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제1 변위 고정 수단(76)이 구성된다.
이 제1 변위 고정 수단(76)은 결합 돌기(83)가 홈(81)에 삽입됨으로써 레버부(75) 및 핸들 바(67)를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동시에 결합 돌기(83)가 홈(81)에 삽입된 상태가 가압 수단(80)에 의해 유지된다. 또, 레버부(75) 및 핸들 바(67)를 가압 수단(80)에 저항하여 당겨 분리하여 결합 돌기(83)를 홈(81)으로부터 빼내는 동시에 레버부(75)와 핸들 바(67)의 단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82)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레버부(75) 및 핸들 바(67)를 상대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임의로 선택되는 홈(81) 예를 들면 90。 회전시킨 부분의 홈(81)에서 다시 레버부(75)를 떼면 결합 돌기(83)가 홈(81)에 삽입되어 레버부(75)와 핸들 바(67)를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홈(81)은 핸들 바(67) 중에 삽입되는 홈측 슬리브(85)에 의해 핸들 바(67)의 내주면 측에 형성되므로 결합하는 홈(81)과 결합 돌기(83)가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이들 사이에 사용자의 의복이나 손가락 등을 실수로 끼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레버 장치(74)는 브라켓부(78)의 선단에 파지부(89)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레버부(75)가 핸들 위치(H)에 있을 때 파지부(89)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간호자 등은 파지부(89)를 잡고 들것을 밀 수 있게 된다. 파지부(89)는 도 48 및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잡기 쉬운 크기와 형상 예를 들면 편평한 볼 형상의 그립으로 하고 있다. 이 파지부(89)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로 브라켓부(7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지부(89)를 잡기 쉬운 크기와 형상으로 함으로써 간호자 등이 들것을 밀 때 힘을 주기 쉬워진다.
이하, 전술한 들것의 레버 장치(74)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들것 형태로 하여 이동시킬 때는 들것의 머리쪽 또는 다리쪽 중에서 간호자 등이 서는 쪽의 레버부(75)를 핸들 위치(H)로 당겨 올린다. 여기에서, 레버 후퇴 위치(Q)에 있는 레버부(75)를 핸들 위치(H)로 당겨 올려 고정하는 데는 레버부(75)를 일단 잡아당겨 90。 회전시킨 후 놓으면 된다. 그리고, 간호자 등은 상황에 따라 파지부(89) 또는 레버부(75) 등을 적당하게 잡고 들것을 밀고 당긴다. 이와 같이 레버부(75)는 프레임(1)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동시에 그 상단부의 파지부(89)가 더 높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간호자 등은 앞으로 숙이지 안고 직립한 편안한 자세로 들것을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호자 등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들것의 이동시에는 좌우의 세이프티 바(16)를 올려 둔다. 이에 따라서, 들것의 이동에 의해 환자가 전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들것을 정지시키고 환자의 승강을 행할 때는 적어도 환자가 승강하는 쪽의 레버부(75)를 레버 후퇴 위치(Q)에 위치시킨다. 또, 환자가 승강하는 쪽의 세이프티 바(16)를 내린다. 이에 따라서, 레버부(75) 및 세이프티 바(16)가 환자의 승강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대 위의 환자를 트랜스퍼 바(77)를 사용하여 들것에 누운 채로 옮겨 실을 때는 침대와 반대측의 레버부(75)를 핸들 위치(H)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그 브라켓부(78)를 바 지지 위치(S)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이들 브라켓부(78)에 트랜스퍼 바(77)를 지지시켜 침대 위의 시트를 감는다. 시트는 트랜스퍼 바(77)에 장착된 스트랩(95) 선단의 클립(96)에 플러그(97)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핸들(94)을 회전시켜 스트랩(95)을 트랜스퍼 바(77)에 감음으로써 환자를 시트째 들것 상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옮겨 싣는다. 이 때, 트랜스퍼 바(77)는 침대 측으로 끌어 당겨지지만, 바 지지 위치(S)에 있는 브라켓부(78)는 들것의 외측을 향하고 있으므로, 트랜스퍼 바(77)는 반드시 레버부(75)에 접촉되어 브라켓부(78)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들것을 휠체어 형태로 사용할 때는 도 46 및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레버부(75)를 레버 후퇴 위치(Q)에 위치시키며 또한 브라켓부(78)를 전후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환자의 승강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한다.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 통(84) 및 돌기 지지 부재(87)를 제1 및 제2 부재인 핸들 바 또는 레버부(75)에 직접 고정하며 핸들 바(67) 또는 레버부(75)의 내주면에 직접 홈(81)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홈(81)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간호자 등이 홈(81)과 결합 돌기(83) 사이에서 손가락을 끼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81)은 핸들 바(67)나 레버부(75) 등의 제1 또는 제2 부재를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 상기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81) 주위를 덮어 감추는 슬리브 형상의 커버(9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홈(81)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홈(81)과 결합 돌기(83)에 간호자 등의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2부분의 축 방향의 홈(81)과 결합 돌기(83)를 회전시키는 원주 방향의 공간을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원주면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1개의 홈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90。 간격으로 형성되는 4개의 홈(81) 중 인접한 2개씩을 연결하는 2개의 홈을 180。 간격으로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180。 간격으로 설치되는 2부분의 결합 돌기가 각각 90。의 범위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양 스트로크 단에서 각각 홈(81)에 결합됨으로써 회전 불능으로 고정된다.
또,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파지부(89)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파지부(89)는 경우에 따라서는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레버부(75)가 들것의 상방에 돌출되므로 간호자 등은 레버부(75)가 높은 위치를 가짐으로써 숙인 자세를 취하지 않고 들것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브라켓부(78)는 변위 고정 수단을 통하여 L자형의 레버부(75)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부(75)의 선단 부분을 들것의 내측을 향하여 절곡시키는 스텝부(75a)를 형성하여 그 스텝부(75a)에 브라켓부(78)를 고정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버부(75)를 회전시켜 수직으로 기립시키면 브라켓부(78)가 위를 향하여 트랜스퍼 바(77)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부(78)가 레버부(75)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라켓부(78)가 바 지지 위치(S)에 있을 때 레버부(75)를 그대로 레버 후퇴 위치(Q)로 쓰러뜨려도 브라켓부(78)가 들것의 외측이나 매트면(112)의 상방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브라켓부(78)를 레버부(75)에 대하여 변위시키는 변위 고정 수단(79)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브라켓부(78)에는 레버부(75)를 수직으로 기립시켰을 때 최고 위치가 되는 파지부(8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브라켓부(78)와 레버부(75) 양쪽을 가지고 있는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부(78)를 설치하지 않고 레버부(75)만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버부(75) 선단에 단독의 그립 형상의 파지부(89)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레버 장치(74)에 의해서도 레버부(75)가 들것 상방으로 돌출되므로 간호자 등은 레버부(75)가 높은 위치에 있어 자세를 구부리지 않고 들것을 밀고 당길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휠체어로 변화 가능한 들것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휠체어로 변하지 않는 들것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들것 이외의 경차량 예를 들면 캐스터를 가지는 이동식 욕조나 침대 등 비교적 낮은 프레임을 가지는 경차량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브라켓부(78) 또는 이에 레버부(75)를 구비하는 핸들 장치(74)는 고정식 또는 가동식 침대 등에 장착하여 트랜스퍼 바(77)의 지지 위치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브라켓부(78)는 적어도 하나의 변위 고정 수단을 개재시켜 침대 등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브라켓부와 침대 프레임 사이에 레버부와 이들을 연결하는 2개의 변위 고정 수단을 구비하여 장착된다. 그리고, 들것 등의 위에 누운 환자를 시트째 침대로 옮겨 실을 때 사용된다. 이 핸들 장치(74)에 의하면, 브라켓부(78)를 사용하지 않을 때도 브라켓부(78)를 침대에 장착한 채 옮겨 실을 때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후퇴시킬 수 있으므로 브라켓부(78)를 잃어버리거나 분리한 후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2 내지 도 68에 의해 들것의 세이프티 바(16)의 지지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들것은 양측 팔걸이부(6)의 프레임(6a)에 회전 가능한 세이프티 바(16)를 구비한다. 이 세이프티 바(16)는 도 3이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를 들것에 싣고 있을 때는 사용 위치까지 일으켜 환자의 전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환자를 들것으로 옮겨 실을 때와 같이 불편할 때는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 내리고 세이프티 바 후퇴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이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사용 위치와 세이프티 바 후퇴 위치로 전환되는 세이프티 바(16)는 프레임(1)의 파이프(6a)에 직접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1세트의 브라켓(99)을 통하여 파이프(6a)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고 양 브라켓(99)을 연결하는 축을 회전(선회) 중심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세이프티 바(16)의 형상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 위치에서 환자의 낙하나 신체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고 바의 폭이 회전 중심으로부터 회전 선단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하고 있지만, 이 형상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다른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바를 예를 들면 둥근 파이프 등 중공(中空) 부재로 형성하지만 이것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세이프티 바(16)의 회전 중심부에는 브라켓(99)에 결합되는 회전축(98)을 설치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63 및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축부(98a)가 내측을 향하는 동축 상의 1세트의 회전축(98)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들 축부(98a)는 서로 외측을 향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또 2개 1세트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요컨대, 본 실시예와 같이 바의 양단부에서 파이프(6a)에 장착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면 양단부에 1개씩 설치하는 것처럼, 세이프티 바(16)의 형상에 적합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 회전축(98)은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99)에 삽입되는 축부(98a)와, 이 축부(98a)를 지지하고 브라켓(99)의 단면에 일시적으로 접촉하는 기부(基部)(98b)로 이루어진다.
회전축(98)운 세이프티 바(16)의 일부로 일체 성형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형성·생산 등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조립식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축(98)의 기부(98b)에 둥근 구멍(98c)을 형성하고, 여기에 세이프티 파(16)의 단부를 압입(壓入) 등으로 끼워 넣어 일체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둥근 구멍(98c)을 나사 홈으로 하거나 세이프티 바(16)의 선단을 날카롭게 하거나 하여 세이프티 바(16)와 회전축(98)의 일체화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일체화 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브라켓(99)은 세이프티 바(16)를 들것의 측부에 조립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2,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세이프티 바(16)의 양단을 2개의 브라켓(9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브라켓(99)은 팔걸이부를 구성하는 파이프(6a)에 조립되고 세이프티 바(16)를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 등의 편의를 위해 이 브라켓(99)이 스페이서(99b)를 개재하여 나사(99c)로 장착되어 있다.
브라켓(99)은 도 62,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98)의 축부(98a)를 삽입시키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막힌 구멍과, 스페이서(99b)를 통하여 파이프(6a)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나사공(99d)과, 압출 핀(101)을 장착하기 위한 나사공(99a)을 가진다. 브라켓(99)의 단면은 세이프티 바(16) 측의 회전축(98)의 기부(98b)와 일시적으로 접촉하며, 세이프티 바(16)를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한편, 스페이서(99b)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62,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99c)를 관통시키는 2개의 구멍을 가지며, 브라켓(99)을 파이프(6a)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99b)의 양단면은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6a) 및 브라켓(99)의 외주면에 간극 없이 접촉시킬 수 있는 곡면이다.
이상과 같은 회전축(98) 및 브라켓(99)에 의하면, 세이프티 바(16)는 도 62 및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걸이부(6)를 구성하는 파이프(6a)에 조립되고,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회전축(98)을 연결하는 회전(선회)축을 중심으로 사용 위치와 세이프티 바 후퇴 위치 사이에서 반전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세이프티 바(16)는 적어도 사용 위치에서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 위치에 있는 세이프티 바(16)에 외력이 가해져도 쓰러지지 않고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98)의 축부(98a)에 형성한 오목부(100)와, 이 오목부(100)에 결합하는 압출 핀(101)에 의해 록 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록 수단은 적어도 한쪽 브라켓(99)에 설치되면 충분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7)에 가까운 쪽에 설치한다.
오목부(100)는 도 65 및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98a)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홈으로, 압출 핀(101)의 선단과 결합하여 회전축(98)의 회전을 불능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핀(101)을 브라켓(99)의 하면에 설치하는 데 대응하여, 세이프티 바(16)를 기립시켰을 때 아래를 향하는 위치에 오목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압출 핀(101)은 내장하는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선단이 돌출되도록 가압되고, 기단 측에는 손으로 잡아당기기 쉽게 하는 손잡이(10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브라켓(99)의 하부에 설치한 나사공(99a)에 나사식으로 삽입되어 핀(101)의 선단이 위를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풀림 방지 너트의 조임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100) 및 압출 핀(101)의 위치 관계나 개개의 배치는 적어도 기립 상태에서의 세이프티 바(16)를 회전 불능으로 고정할 수 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록 수단에 의하면, 세이프티 바(16)가 세이프티 바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압출 핀(101)이 회전축(98)의 원주면에 접촉하여 들어가 있으므로, 세이프티 바(16)를 당겨 일으키는 경우에는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리고,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이프티 바(16)가 사용 위치에 도달하여 기립했을 때는 오목부(100)를 향하여 압출 핀(101)이 돌출되어 자동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세이프티 바(16)에 외력이 가해져도 움직이지 않고 간호자 등이 손잡이(103)를 하측으로 당겨 압출 핀(101)을 들어가게 했을 때만 반전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세이프티 바(16)는 도 4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들것 형태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도 4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휠체어 형태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환자가 착석 상태로 자세를 유지할 수 없을 때도 측방으로부터의 전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축부(98a)의 오목부(100)의 안쪽 위치에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 핀(101) 선단의 반구면 부분만이 삽입되는 오목부(100)보다 얕게 작은 홈부(10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홈부(104)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이프티 바(16)가 세이프티 바 후퇴 위치에 있을 때만 압출 핀(101)의 선단과 가볍게 결합하므로 세이프티 바 후퇴 위치에 있는 세이프티 바(16)가 불필요하게 흔들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세이프티 바(16)에 당겨 일으키려는 힘이 부여될 때는 간단하게 결합이 해제된다. 이로 인하여 세이프티 바(16)를 당겨 일으킬 때의 조작이 용이하며 안정성이 높아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 본 실시예의 세이프티 바(16)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99)에 대하여 오프셋시켜 장착되어 있다. 즉, 세이프티 바(16)의 브라켓(99)에 장착되는 부위(16a)를 L자형으로 형성하여 브라켓(99)의 외주면에 대한 접선과 평행하며 멀어지도록 돌출시켜 축부(98a)에 대하여 편심시킨다. 이에 따라서,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이프티 바(16)는 세이프티 바 후퇴 위치(2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는 들것 아래로 들어가므로 들것을 침대나 다른 기기류에 밀착시켜 정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들것끼리 정렬할 때의 공간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용 위치(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는 들것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기립되므로 들것의 매트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세이프티 바 지지 구조에서는 세이프티 바(16)를 끼워 빠지지 않는 상태로 조립함으로써 세이프티 바(16)의 축 방향으로의 덜그럭거림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브라켓(99) 또는 세이프티 바(16)의 회전축(98)의 축부(98a)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다른 하나가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세이프티 바(16)의 양단에 미리 브라켓(99)을 장착한 상태에서, 양 브라켓(99)을 팔걸이부(6)의 파이프(6a)에 나사(99c)로 조여 고정함으로써 조립 후의 세이프티 바(16)가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며 브라켓(99)을 분리하지 않는 한 세이프티 바(16)를 분리할 수 없는 빠지지 않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일례이기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연결 구조, 헤드 레스트 구조 및 그 지지 구조, 프레임 틸트 구조, 세이프티 바 지지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등의 본 발명의 들것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이 이외의 기기 예를 들면 간호용 침대나 일반적인 침대, 휠체어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에서도 프레임 구조의 강성, 특히 비틀림 강성을 높이고 또 이용자의 두부 보존이나 자세 유지, 편한 자세의 확보나 안전성 등을 높일 수 있어 사용하기 편한 복지 기기류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들것 형태와 휠체어 형태로 변형 가능한 들것에 의하면, 프레임 구조의 강성을 높이며 환자의 자세 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높이고, 또 한 동작으로 형태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성이 우수하다.

Claims (31)

  1. 대차(臺車)와 그 위에 탑재되어 환자를 싣는 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들것(stretcher)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상기 환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시트부를 이루는 무릎 위 부분과, 상반신을 지지하는 등받이에 포함되는 허리 부분과, 팔걸이를 이루는 팔걸이 부분과, 하지부(下肢部)를 지지 가능한 무릎 아래 부분의 적어도 4부분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상기 무릎 위 부분, 허리 부분, 팔걸이 부분 및 무릎 아래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부분들의 위치 관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팔걸이 부분 및 무릎 아래 부분을 포함하여 평탄한 매트면이 형성되는 들것 형태와 매트가 절곡되고 팔걸이를 일으킨 휠체어 형태로 변형 가능하며, 상기 들것 형태 또는 휠체어 형태 어느 자세에서나 상기 환자를 싣고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허리 부분의 도중과 상기 무릎 아래 부분의 도중을 상기 대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측면에서 보아 상기 허리 부분과 팔걸이 부분의 연결부와, 상기 팔걸이 부분과 무릎 아래 부분의 연결부와, 상기 무릎 아래 부분과 대차의 연결부와, 상기 대차와 허리 부분의 연결부를 4개의 정점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4절(節) 회전 연쇄를 구성하고, 상기 대차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허리 부분을 후방으로 쓰러뜨리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평행사변형이 변형되어 상기 4개의 각 부분이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허리 부분을 전방으로 일으키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평행사변형이 복귀되어 상기 팔걸이 부분이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우측과 좌측 각각의 연결부는 한쪽 연결부와 이에 대응하는 다른 쪽 연결부를 관통하는 1개의 심재(芯材)와, 상기 심재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상기 프레임이 장착되는 슬리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심재를 중심으로 상기 슬리브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에 끼워 넣어져 있는 모든 슬리브의 합계 길이를 상기 심재의 전장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하고 상기 슬리브 탈락 방지용 플랜지 부재를 상기 심재의 단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사변형의 4절 회전 연쇄를 고정 연쇄로 하는 록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복수로 구비되며 서로 상이한 설치 각도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대차 사이에 상기 프레임 전체를 상기 대차에 대하여 경사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대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대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부재와, 요동 가능한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대차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는 경사각 가변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가변 기구는 록 기구를 가지는 기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상기 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과 상기 록 기구는 상기 대차의 좌우 양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대차 사이에 짐 수용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환자의 두부를 지지하는 부분에 헤드 레스트(head rest)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제1 브라켓과, 상기 제1 브라켓과 적어도 일부가 중합되도록 상기 헤드 레스트에 장착된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양 브라켓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거나 또는 저지하는 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헤드 레스트를 경사 조정이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장착하고, 어느 하나의 상기 브라켓의 투공(透孔)을 상기 프레임과 수직인 방향으로 긴 장공(長孔)으로 형성하여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장공의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접근 이반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스텝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 하나에 상기 헤드 레스트를 상기 프레임에 접근시켰을 때만 상기 스텝부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저지하는 규제 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 사이에 적어도 1세트의 마찰판을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는 좌측부 및 우측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환자의 두부 측으로 절곡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는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 부재의 심재 또는 상기 서포트 부재 자체의 적어도 지지면의 변형이 요구되는 부위를 복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심재 또는 상기 서포트 부재끼리 가요(可撓) 기구로 연결하며,
    상기 가요 기구는 간격을 두고 평행 배치된 복수의 중합 플레이트를 가지는 고정측 부재와, 상기 고정측 부재의 상기 중합 플레이트와 교호로 중합되는 복수의 중합 플레이트를 가지는 경사 이동측 부재와, 상기 고정측 부재 및 경사 이동측 부재의 각 중합 플레이트의 중합부를 관통하여 중합 플레이트를 조이는 연결축 및 상기 중합 플레이트를 중합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 이동측 부재가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심재의 일부에 각도를 부여하는 동시에 상기 양 중합 플레이트끼리의 접촉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그 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지지면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연결축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조정 가능하게 하여 상기 중합 플레이트의 중합 부분의 마찰력을 가변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합 플레이트의 일부는 중합 방향으로 약간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측 부재 또는 경사 이동측 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스트는 두부 정상부 측을 향하여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환자가 누워 있는 시트를 감아 상기 환자를 누운 상태로 시트째 침대로부터 들것으로 옮겨 싣는 트랜스퍼 바(transfer bar)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를 지지하는 L자형의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프레임을 동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는 변위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위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L자형 축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브라켓부를 기립시켜 상기 트랜스퍼 바를 지지 가능한 바 지지 위치와 상기 브라켓부를 쓰러뜨려 상기 환자의 상기 들것으로의 승강에 방해가 되지 않는 후퇴 위치로 전환하며 각 위치에서 각각 고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들것을 손으로 밀 때 간호자 등이 파지하는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와 상기 프레임을 동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는 변위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위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레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레버부를 기립시켜 상기 간호자가 들것을 손으로 밀 때 상기 레버부를 파지할 수 있는 핸들 위치와 상기 레버부를 쓰러뜨려 상기 환자의 상기 들것으로의 승강에 방해가 되지 않는 후퇴 위치로 전환하며 각 위치에서 각각 고정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에 상기 환자가 누워 있는 시트를 감아 상기 환자를 누운 상태로 시트째 침대로부터 들것으로 옮겨 싣는 트랜스퍼 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브라켓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와 상기 브라켓부 사이에 상기 레버부와 상기 브라켓부를 동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는 제2 변위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부가 상기 핸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변위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브라켓부를 상기 레버부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브라켓부를 상기 트랜스퍼 바를 지지 가능한 바 지지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레버부가 상기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변위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브라켓부를 상기 레버부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후퇴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각 위치에서 각각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의 선단 또는 상기 브라켓부의 선단에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5. 제20항, 제21항,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고정 수단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동축 상에서 접근 이반이 가능하며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의 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다른 하나의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홈과 상기 결합 돌기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며 상기 홈과 상기 결합 돌기의 결합 해제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의 원주면까지 도달하며 외측으로부터 커버에 의해 덮여 감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팔걸이부의 측방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 상기 매트보다 상방으로 기립하여 상기 환자의 전락(轉落) 등을 방지하는 사용 위치와 상기 매트보다 하방으로 후퇴되어 상기 환자를 옮겨 실을 때 방해가 되지 않는 후퇴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한 세이프티 바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브라켓과 상기 세이프티 바 사이에 상기 세이프티 바를 상기 사용 위치에서 회전 불능으로 하는 록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록 수단은 상기 세이프티 바와 상기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오목부와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항상 가압되어 상기 오목부에 결합되는 압출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바는 상기 브라켓에 지지되는 회전축부에 대하여 오프셋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오프셋은 사용 위치에서의 상기 세이프티 바가 들것의 측부보다 돌출되어 외측으로 기립되며 후퇴 위치에서는 들것의 측부보다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는 상기 세이프티 바의 회전축부 중 어느 하나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다른 하나가 서로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세이프티 바를 삽입한 후에는 축방향 이동을 불능으로 하여 빠지지 않는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바의 회전축부에 상기 브라켓을 장착한 후, 상기 브라켓을 상기 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세이프티 바를 상기 프레임에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것.
KR1020000060094A 1999-10-12 2000-10-12 들것 KR200100509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90307 1999-10-12
JP99-290171 1999-10-12
JP29017199 1999-10-12
JP29030799A JP3403362B2 (ja) 1999-10-12 1999-10-12 ストレッチャー
JP2000050358A JP4430776B2 (ja) 2000-02-25 2000-02-25 レバー装置
JP2000050360A JP2001238921A (ja) 2000-02-25 2000-02-25 セーフティーバー支持構造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2000050357A JP2001238911A (ja) 2000-02-25 2000-02-25 ストレッチャーのフレーム
JP2000-50358 2000-02-25
JP2000-100104 2000-02-25
JP2000-50357 2000-02-25
JP2000-50360 2000-02-25
JP2000-50355 2000-02-25
JP2000100104A JP4484304B2 (ja) 1999-10-12 2000-02-25 ストレッチャのフレーム
JP2000050355A JP4430775B2 (ja) 2000-02-25 2000-02-25 身体サポート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998A true KR20010050998A (ko) 2001-06-25

Family

ID=3299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094A KR20010050998A (ko) 1999-10-12 2000-10-12 들것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792633B1 (ko)
KR (1) KR2001005099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13B1 (ko) * 2006-04-07 2007-06-28 이상용 전동침대의 높이조절장치
KR100893189B1 (ko) * 2007-08-28 2009-04-16 이순환 탈부착형 이동식 들것
WO2011017482A3 (en) * 2009-08-05 2011-06-30 Deepak Raj Karwal Patient care and transport assembly
US10314754B2 (en) 2009-08-05 2019-06-11 B & R Holdings Company, Llc Patient care and transport assembly
KR20200012230A (ko) 2018-07-26 2020-02-05 박철은 신체 고정용 스트레쳐
KR20210013828A (ko) 2019-07-29 2021-02-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WO2021162214A1 (ko) * 2020-02-12 2021-08-19 주식회사 나인벨 의료용 전동 침대
KR20230002465U (ko) 2022-06-17 2023-12-28 (주)헤리코리아 휴대용 구급 운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2633B1 (en) * 1999-10-12 2004-09-21 Takano Co., Ltd. Stretcher
US7398571B2 (en) 2004-09-24 2008-07-15 Stryker Corporation Ambulance cot and hydraulic elevating mechanism therefor
EP1799171B1 (en) 2004-09-24 2014-04-16 Stryker Corporation Ambulance cot and hydraulic elevating mechanism therefor
US7174588B1 (en) * 2004-12-09 2007-02-13 Li-Chieh Chen Medical chair having synchronously adjusting function
US7364184B2 (en) * 2005-05-18 2008-04-29 Pam Delhotal Mobility assist devices
CA2520267A1 (en) * 2005-09-21 2007-03-21 Keilhauer (Partnership) Tiltable chair accomodating male and female user seating position preferences
AT8886U1 (de) * 2006-01-13 2007-02-15 Wratschko Und Partner Oeg Sitz liegemöbel
US8104121B2 (en) * 2006-02-01 2012-01-31 Ferno-Washington, Inc. Combination ambulance cot and chair
US9107787B2 (en) * 2006-05-18 2015-08-18 Brian J. Wechter Adaptation to an assistive device
US8152233B2 (en) * 2006-05-18 2012-04-10 Wechter Brian J Adaptation to an assistive device
US7661696B1 (en) * 2006-11-29 2010-02-16 Revolutionary Wheelchair, Inc. Wheeled chair
US20100148542A1 (en) * 2006-12-18 2010-06-17 Arnold Zidulka Multi-purpose chair
US8495774B2 (en) * 2008-09-12 2013-07-30 Piedmont 361, Llc Hospital chair beds with articulating foot sections
EP2415443B1 (en) * 2009-03-31 2015-12-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Bed
US10426677B2 (en) * 2010-01-20 2019-10-01 The Uab Research Foundation Reclining transport chairs
EP2525759B1 (en) 2010-01-20 2017-12-20 The UAB Research Foundation Transport chairs
US8516630B2 (en) * 2010-12-08 2013-08-27 University Of Massachusetts Convertible wheelchair
CN102525186B (zh) * 2012-01-15 2014-04-30 常熟英那金属制品有限公司 坐卧式家具的家具底架
EP2764856B1 (en) * 2012-07-05 2015-09-09 Panasonic Corporation Movable bed
CN103054674A (zh) * 2012-12-06 2013-04-24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三姿态体位转换轮椅
US9301895B2 (en) 2013-03-15 2016-04-05 Stryker Corporation Medical support apparatus
US9603764B2 (en) 2014-02-11 2017-03-28 Medline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cking caster
US10188567B2 (en) 2014-10-30 2019-01-29 Byron Wade Wurdeman Hospital chair beds with extendable/retractable foot sections
US10080438B2 (en) 2015-09-21 2018-09-25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US11020295B2 (en) 2015-12-22 2021-06-01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ing caregivers with patient care
US10813806B2 (en) 2016-05-24 2020-10-27 Stryker Corporation Medical support apparatus with stand assistance
US11020293B2 (en) 2016-08-01 2021-06-01 Stryker Corporation Multi-function person handling equipment
US11147726B2 (en) 2016-08-01 2021-10-19 Stryker Corporation Person support apparatus system
US10154930B2 (en) 2016-08-01 2018-12-18 Stryker Corporation EMS backboard
CN110520092B (zh) * 2016-12-12 2022-03-22 解决方案床铺公司 具有可展开/可缩回的脚部区段的医院椅子床
WO2018165319A1 (en) * 2017-03-07 2018-09-13 Movi Medical, Llc Reclining transport chairs
CN107174431A (zh) * 2017-05-23 2017-09-19 洛阳德威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移动折叠床的设计方法
RU182559U1 (ru) * 2017-10-30 2018-08-2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Вектор - медицинские системы" Универсальный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переходника к инвалидной коляске с рулевым управлением
US11241348B2 (en) * 2018-10-25 2022-02-08 Hill-Rom Services, Inc. Energy management for a stretcher or other occupant support
US10967763B2 (en) * 2019-03-21 2021-04-06 Pratt & Miller Engineering and Fabrication, Inc. Removable and convertible seat assembly
PL3795128T3 (pl) * 2019-09-17 2023-02-27 Mbl Poland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Wózek inwalidzki
CN112641569B (zh) * 2020-12-22 2022-12-20 成都熙福爱存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健康检测设备
CN114469560B (zh) * 2022-01-13 2023-05-09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高位截瘫病人用护理床
CN114699262B (zh) * 2022-03-24 2023-12-15 安徽卫家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远红外脉冲半身舱的穴位校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197A (en) * 1890-12-23 Adjustable chair
US683032A (en) * 1900-05-26 1901-09-24 Benjamin Franklin Combination chair and couch.
US1030936A (en) * 1912-04-26 1912-07-02 Joseph Soss Hinge.
US1280357A (en) * 1914-12-14 1918-10-01 Emil Zuckerman Hinge.
US1269403A (en) * 1917-09-20 1918-06-11 John Dianovszky Sr Hinge.
US1437060A (en) * 1922-04-08 1922-11-28 Walter F Koken Jointed reclining bar for adjustable chairs
US2074653A (en) * 1935-05-25 1937-03-23 Larsen James Wheel chair
US2130754A (en) * 1935-12-12 1938-09-20 Cornell Surgical chair
US2136088A (en) * 1937-08-17 1938-11-08 Frank A Hall & Sons Bed attachment
US2383340A (en) * 1944-06-06 1945-08-21 Pezzano Joseph Combination wheel chair, table, and bed
US2587068A (en) * 1947-10-17 1952-02-26 Lillie K Sanders Invalid lift and transfer apparatus
US2563700A (en) * 1948-06-14 1951-08-07 Joseph L Wolf Beach pillow
US2694437A (en) * 1952-06-30 1954-11-16 William P Glaser Combination wheel chair and stretcher
US2694216A (en) * 1952-08-05 1954-11-16 Schnur Mathew Hinge
US2786214A (en) * 1955-05-27 1957-03-26 Raymond L Armstrong Bed side guard
US3215469A (en) * 1962-03-05 1965-11-02 Helen E Beart Invalid chair
US3147039A (en) * 1962-06-27 1964-09-01 Smith Paul Invalid chair
GB1006957A (en) * 1963-05-31 1965-10-06 Evered &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ds
US3284126A (en) * 1964-05-14 1966-11-08 Salvatore J Piazza Bed-wheelchair
US3829159A (en) * 1972-05-30 1974-08-13 Pelton & Crane Co Treatment chair having improved movable arm support devices
US3936893A (en) * 1974-07-22 1976-02-10 Anderson Martha A Elevator means for the chair seat of a convertable wheel chair and bed
US4046418A (en) * 1976-07-21 1977-09-06 Royal Smith Wheelchairs
JPS573224Y2 (ko) 1976-10-20 1982-01-21
US4119342A (en) * 1977-04-29 1978-10-10 Jones Claude C Convertible chair structure
US4186456A (en) * 1978-07-14 1980-02-0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Rail system for bed or stretcher
JPS5526905A (en) * 1978-08-12 1980-02-26 Onishi Tetsuo Hair used both as bed or cart* etc* for patient or combination mechanism of wheelchair* etc*
US4691962A (en) * 1984-11-21 1987-09-08 Cambridge Technologies, Inc. Convertible wheelchair/litter
US4632450A (en) * 1984-11-21 1986-12-30 Cambridge Technologies, Inc. Convertible wheelchair/litter
US4795214A (en) * 1984-11-21 1989-01-03 Cambridge Technologies, Inc. Convertible wheelchair/litter
US4912787A (en) * 1987-03-30 1990-04-03 Beta Medical Products Hydraulic stretcher device
US4974905A (en) * 1987-08-10 1990-12-04 Davis John W Chair bed
US4949408A (en) * 1989-09-29 1990-08-21 Trkla Theodore A All purpose wheelchair
US5547245A (en) * 1993-05-12 1996-08-20 Knouse; Bobby W. Recliner chair
US5333887A (en) * 1993-11-16 1994-08-02 Joe Sharp Wheelchair/gurney
WO1999030662A1 (en) 1995-05-12 1999-06-24 Barton Medical Corporation Patient transport system
US5659910A (en) * 1995-08-04 1997-08-26 Weiss; Norman Wheelchair and bed with movable body supporting portions
JP3171562B2 (ja) 1996-08-09 2001-05-28 綱善 森川 リクライニング式車椅子
DE69829689T2 (de) * 1997-11-07 2005-09-08 Hill-Rom Services, Inc., Batesville Operationstischvorrichtung
US6154899A (en) * 1998-10-19 2000-12-05 Hill-Rom, Inc. Resident transfer chair
EP0997127A3 (en) * 1998-10-30 2001-01-17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al bed
US6792633B1 (en) * 1999-10-12 2004-09-21 Takano Co., Ltd. Stretcher
US6438777B1 (en) * 2000-01-27 2002-08-27 Tri-Medics, Inc. Surgical supporting device
TW461811B (en) * 2000-04-17 2001-11-01 Murata Machinery Ltd Multifunctional bed
US6499163B1 (en) * 2000-11-08 2002-12-31 Harold Stensby Apparatus convertible to a chair or treatment table
GB2383263B (en) * 2001-11-17 2005-11-16 Medi Plinth Healthcare Group L Bed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13B1 (ko) * 2006-04-07 2007-06-28 이상용 전동침대의 높이조절장치
KR100893189B1 (ko) * 2007-08-28 2009-04-16 이순환 탈부착형 이동식 들것
WO2011017482A3 (en) * 2009-08-05 2011-06-30 Deepak Raj Karwal Patient care and transport assembly
US8516637B2 (en) 2009-08-05 2013-08-27 B & R Holdings Company, Llc Patient care and transport assembly
US10314754B2 (en) 2009-08-05 2019-06-11 B & R Holdings Company, Llc Patient care and transport assembly
KR20200012230A (ko) 2018-07-26 2020-02-05 박철은 신체 고정용 스트레쳐
KR20210013828A (ko) 2019-07-29 2021-02-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WO2021162214A1 (ko) * 2020-02-12 2021-08-19 주식회사 나인벨 의료용 전동 침대
KR20230002465U (ko) 2022-06-17 2023-12-28 (주)헤리코리아 휴대용 구급 운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92633B1 (en) 2004-09-21
US20040205895A1 (en) 2004-10-21
US7003830B2 (en) 200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0998A (ko) 들것
US6976698B2 (en) Manually operable standing wheelchair
US7946783B2 (en) Adjustment mechanism and locking assembly
US5626389A (en) Lift seat
EP2104481B1 (en) Biomechanically derived crutch
US7921486B2 (en) Multi-position support for a folding patient lift device
US7871358B2 (en) Height adjustable shuttle treatment table/exercise device method and apparatus
US6449783B1 (en) Energy transferring toilet seat
JP7235250B2 (ja) 可撓性の脚部支持膜、脚部支持フレーム、並びに移動式患者直立起立補助器具
CN108289778A (zh) 患者搬运设备和方法
JP2008110149A (ja) チェア式トレーニング装置
US6615431B2 (en) Portable massage bed
US6067674A (en) Energy transferring toilet seat
US10376432B2 (en) Kneeling wheelchair frame
US11491061B2 (en) Transfer device
WO2020154560A1 (en) Transfer assist pull hand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3523631B2 (ja) ストレッチャー
JP3553917B2 (ja) 車椅子装置
JP3403362B2 (ja) ストレッチャー
US20240342026A1 (en) Knee support assembly for a wheelchair
WO2024215856A1 (en) Knee support assembly for a wheelchair
JP4482756B2 (ja) 立ち上がりやすい背上げ可能なベッド
JP2003334208A (ja) 牽引治療用ベッド
WO2024213564A1 (en) Knee support assembly for a wheelchair
WO2024102206A1 (en) Exercise machine employing one or more flexible exercise b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