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842A -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플라스틱제 클립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플라스틱제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842A
KR20010050842A KR1020000058216A KR20000058216A KR20010050842A KR 20010050842 A KR20010050842 A KR 20010050842A KR 1020000058216 A KR1020000058216 A KR 1020000058216A KR 20000058216 A KR20000058216 A KR 20000058216A KR 20010050842 A KR20010050842 A KR 20010050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enter
plastic clip
cam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0249B1 (ko
Inventor
노다타이조오
Original Assignee
타카바야시 테루오
제에센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카바야시 테루오, 제에센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카바야시 테루오
Publication of KR20010050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3/00Braces
    • A41F3/02Strips, tongues, or the like, for attaching to the tro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9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 Y10T24/44376Spring or resiliently biased about pivo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9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 Y10T24/44376Spring or resiliently biased about pivot
    • Y10T24/44385Distinct spring
    • Y10T24/44402Distinct spring with operator for moving pivoted member
    • Y10T24/4441Camming or wedging element
    • Y10T24/44419Pivoted or rotated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이고 스마트한 플라스틱제 클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부협지판(1)의 끼워맞춤창(3)에 상부협지판(21)의 측면에서 보아 오목형상의 보조판(23)을 끼워 넣어서 가로봉부(27)를 지지선반(6)에 놓음과 아울러, 하부협지판(1)의 지지축(8)에 조작판(41)의 원호상 축받이 가로홈부(46)를 상부협지판(21)의 보조판(23)의 윗쪽에서 압압하여 끼워맞추고, 플라스틱 자체의 탄력에 의해 조작판(41)의 제2작동캠(48, 48)의 하단부에 상부협지판(21)의 보조판(23) 상면을 압접상태로 하여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를 끼움상태로 함과 동시에, 조작판(41)의 윗쪽으로의 회전조작에 의해 제1작동캠(47)의 하단부에 상부협지판(21)의 돌기부(28)의 접촉면(28a)을 후방으로 압압함으로써 가로봉부(27)를 지점으로 하여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를 개구상태로 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플라스틱제 클립{Method of operating plastic clip, and plastic clip using same method}
본 발명은 서스펜더의 물림쇠나 여성용 옷의 하부조임구의 선단에 부착하는 클립, 혹은 휴대전화의 스트랩에 연결되는 낙하방지용 컬링홀더의 단부(端部)에 부착되는 클립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플라스틱제 클립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각종 용도의 플라스틱제 클립으로서, 본 발명자의 발명에 관한 일본국 특허 제2704697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 제2905920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일본국 특허 제2704697호 공보에 개시된 플라스틱제 클립은 지금까지 한쌍의 끼움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던 금속제 핀이나 금속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자체의 탄력을 이용한 것으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협지판(61)과 상부협지판(62)의 선단부가 조작판(63)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플라스틱제 클립으로서, 하부협지판(61)에는 후방에 지지선반(64)을 설치하고, 상부협지판(62)에는 후방에 힌지(hinge;65)를 설치하고, 조작판(63)에는 횡단면 가로길이의 작동캠(66)을 설치하고, 하부협지판(61)과 상부협지판(62)의 후반부를 X상으로 크로스시켜서 조합시킬 때 크로스부와 후방부의 사이에 조작판(63)의 작동캠(66)을 가로길이상으로 끼워 넣고, 플라스틱제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협지판(61)과 상부협지판(62)의 선단부가 개구하도록 힌지(65)를 지지선반(64)의 상면에 일정의 압압상태로 결합시킨 것이다.
또, 일본국 특허 제2905920호 공보에 개시된 플라스틱제 클립은, 클립 자체의 높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함과 아울러 로크시의 각 부재간으로의 압력부여를 확실한 것으로 한 것으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상면에 개구부(67)와 그 양측부 하방에 측벽(68)을 설치하고, 그 양측벽(68)의 전방 아래쪽에 지지축(69)을 걸침과 아울러 양 측벽(68)의 내면에 역오목형상 축받이(70)를 설치한 상협지판(71)과 후방 하면에 가로홈형상 축받이(72)를 설치하고, 그 후단부 양측에 돌기(73)를 구비한 좁은 폭의 돌출부(74)를 가지고, 평면 중앙부에 탄성설편(75)을 윗쪽으로 돌출시킨 하협지판(76)과, 전방 아래쪽에 양 측벽(68)과 돌기부(74)의 사이에 끼우는 외측벽(77)을 구비한 상자체(78)의 그 양측벽(77)의 외면에 작동 절굿공이용 축(79)을 설치하고, 양 내측부 하면에 상기 돌기(73)가 끼워지는 결합 오목부(80)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부 내면에 압압판(81)을 상기 작동 절굿공이용 축(79)의 중심보다 조금 후방에 설치하고, 후단부에 벨트안내(82)를 설치한 작동 절굿공이(8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 제2704697호 공보에 개시된 플라스틱제 클립은 하부협지판(61)과 상부협지판(62)의 외면이 거의 동일하고 외관이 좋은 것이지만, 조작판(63)의 형태가 틀형상이기 때문에 강도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일본국 특허 제2905920호 공보에 개시된 플라스틱제 클립은 작동 절굿공이(83)의 형태를 틀형상이 아니라 거의 평면상으로 하여 강도를 높이고, 상협지판(71)과 하협지판(76)의 끼울 때의 압접점을 고안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또한 확실한 로크상태를 얻도록 한 것이지만, 작동 절굿공이(83)에서의 표리의 형태가 달라서 클립 전체로서는 상협지판(71)과 하협지판(76)의 외면을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여도 언밸런스가 발생하여 외관이 좋은 것으로는 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 각 종래품에 내재하는 문제점의 해결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연구·시작(試作)을 거듭한 결과, 상부협지판과 하부협지판에 있어서의 후부의 구성과 결합상태를 변경함과 아울러 조작판(작동 절굿공이)의 구성을 신규한 형태로 하고, 이들 상하 양 협지판에 대한 조작판에 의한 끼움압력의 부가법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또한 상하 양 협지판의 끼움상태의 때에 조작판의 작동캠을 리액션바의 역할을 완수하는 플라스틱제 상부협지판의 후벽부에 작용시키지 않도록, 후벽부의 주저않음을 막아서 플라스틱제 클립으로서의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라스틱제 클립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b)에 나타낸 하부협지판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b)에 나타낸 하부협지판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a)에 나타낸 상부협지판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1의 (a)에 나타낸 상부협지판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1의 (c)에 나타낸 조작판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c)에 나타낸 조작판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하부협지판에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을 짜 넣어서 조작판을 수형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의 플라스틱제 클립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가) 및 대략 직각(나)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E-E선 종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가) 및 대략 직각(나)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F-F선 종단면도,
도 11은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가) 및 대략 직각(나)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G-G선 종단면도,
도 12는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E-E선 종단면도,
도 13은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F-F선 종단면도,
도 14는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G-G-선 단면도,
도 15는 도 8에 나타낸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E-E선 단면도,
도 16은 도 8에 나타낸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F-F선 단면도,
도 17은 도 8에 나타낸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G-G선 단면도,
도 18은 종래의 플라스틱제 클립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클립 개구시의 중앙종단 측면도, (B)는 클립 개구시의 중앙 종단측면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다른 플라스틱제 클립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A)는 클립 개구시의 중앙종단측면도, (B)는 클립 폐구시의 중앙종단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협지판 3 : 끼워맞춤창
4 : 측벽 5 : 후벽
6 : 지지축 7 : 평탄면
8 : 지지축 9 : 방해블록
11 : 오목형상홈부 13 : 하부협지기어
21 : 상부협지판 23 : 보조판
25 : 융기부 26 : 후벽
27 : 가로봉부 28 : 돌기부
29 : 오목형상홈부 30 : 상부협지기어
41 : 조작판 44 : 배판
45 : 앞벽 46 : 축받이 가로홈부
47 : 제1작동캠 48 : 제2작동캠
49 : 중판 50 : 후벽
상기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발명에 의해서 해결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은, 하부협지판과 그 하부협지판에 놓인 상부협지판과 상기 상부협기판의 후부에 끼워 넣은 조작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클립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의 선단부를 조작판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하는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으로서, 하부협지판의 후방에는 대면하는 측벽을 형성함과 아울러 후부에는 지지선반을 갖는 후벽을 형성하고, 지지선반보다 전방 윗쪽 위치의 양 측벽 내면에는 상기 조작판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상부협지판의 후방에는 상기 양 측벽 사이에 끼워지는 측면에서 보아 오목형상의 보조판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판의 후벽은 상기 지지선반에 놓는 가로봉부를 가로로 설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가로봉부의 전면에는 전방을 향한 평면부를 형성하고, 조작판의 앞쪽 상부에는 상기 끼워맞춤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우는 받침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조작판의 앞쪽 하부에는 상기 받침끼워맞춤부를 상기 끼워맞춤부에 끼워서 하부협지판과 조작판을 동일방향으로 하였을 때의 조작판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에 상기 가로봉부의 평면부를 후방으로 압압하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1작동캠을 형성함과 아울러 회전중심보다 전방으로 상기 보조판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압압하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2작동캠을 형성하고, 제2작동캠이 회전중심의 아래쪽에 위치하였을 때에 보조판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압압하여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의 선단부가 닫히고, 상기 아래쪽 위치에서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범위에서는 끼움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켜, 제2작동캠이 상기 아래쪽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제1작동캠이 회전중심과 상기 가로봉부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범위에 있을 때에, 제1작동캠이 상기 가로봉부의 평면부를 후방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한 상기 가로봉부의 반력으로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의 선단부가 열려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플라스틱제 클립은, 하부협지판과 상기 하부협지판에 놓인 상부협지판과 상기 상부협지판의 후부에 끼워 넣은 조작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의 선단부를 조작판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하는 플라스틱제 클립으로서, 하부협지판의 후방에는 대면하는 측벽을 설치함과 아울러 후부에는 지지선반을 형성한 후벽을 설치하고, 지지선반보다 전방 윗쪽 위치의 양 측벽 내면에는 상기 조작판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설치하고, 상부협지판의 후방에는 상기 양 측벽 사이에 끼워지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오목형상의 보조판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판의 후벽은 상기 지지선반에 놓는 가로봉을 가로로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봉부의 전면에는 전방을 향한 평면부를 형성하고, 조작판의 앞쪽 상부에는 상기 끼워맞춤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우는 받침끼워맞춤부를 설치하고, 조작판의 앞쪽 하부에는 상기 받침끼워맞춤부를 상기 끼워맞춤부에 끼워서 하부협지판과 조작판을 동일방향으로 하였을 때의 조작판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에 상기 가로봉부의 평면부를 후방으로 압압하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1작동캠을 설치함과 아울러, 회전중심보다 전방으로 상기 보조판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압압하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2작동캠을 설치하고, 제2작동캠이 회전중심의 아래쪽에 위치하였을 때에 보조판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압압하여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의 선단부가 닫히고, 상기 아래쪽 위치에서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범위에 있을 때는 끼움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제2작동캠이 상기 아래쪽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제1작동캠이 회전중심과 상기 가로봉부와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범위에 있을 때에, 제1작동캠이 상기 가로봉부의 평면부를 후방으로 압압함에 의한 상기 가로봉부의 반력으로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의 선단부가 열려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제 클립에 있어서, 끼워맞춤부를 지지축으로 하고, 받침끼워맞춤부를 상기 지지축의 축받이부인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플라스틱제 클립은,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조작판(41)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플라스틱제 클립으로서, 하부협지판(1)의 후방에는 끼워맞춤창(3)을 설치하고, 상기 끼워맞춤창(3)의 양측부에는 측벽(4, 4)을 설치함과 아울러 후부에는 상기 측벽(4, 4)보다 낮은 후벽(5)을 설치하고, 상기 후벽(5)의 전면에는 하부협지판(1)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지지선반(6)을 설치하고, 지지선반(6)보다 전방 윗쪽 위치의 양 측벽(4, 4) 내면에는 지지축(8)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8)보다 낮은 위치의 지지축(8)과 지지선반(6)과의 사이의 양 측벽(4, 4) 내면에는 각각 볼록형상으로 돌출한 방해블록(9, 9)을 설치하고, 상부협지판(21)의 후방에는 상기 끼워맞춤창(3)에 끼워지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오목형상의 보조판(23)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판(23)의 저부(24) 상면 양측에는 상기 양측을 향하여 뻗은 융기부(25)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판(23)의 후벽은 기립한 양 후벽(26, 26)으로서 상기 양 후벽(26, 26) 사이에는 상기 지지선반(6)의 상면(7)에 대응하는 원호상 면(27a)과 전방을 향하는 접촉면(28a)을 갖는 가로봉부(27)를 가로로 설치하고, 조작판(41)의 후방에서는 끈 통과구멍(43)을 설치함과 아울러 전방에는 상기 양 측벽(4, 4) 사이에 끼워지는 배판(44)을 설치하고, 상기 배판(44)의 앞벽(45) 상면에는 상기 지지축(8)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호상 축받이 가로홈부(46)를 형성하고, 앞벽(45) 하면의 중앙에는 하단부(47a)가 상기 돌기부(26)의 접촉면(28a)에 압압상태로 접촉하는 제1작동캠(47)을 늘어뜨린 형상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1작동캠(47)의 양측 위치에는 하단부(48a, 48a)가 상기 융기부(25)에 압압상태로 접촉함과 아울러 후방단부(48b, 48b)가 상기 방해블록(9, 9)에 대응하는 제2작동캠(48, 48)을 늘어뜨린 형상으로 설치하며, 상부협지판(21)의 보조판(23)을 하부협지판(1)의 전방에서 지지축(8)의 아래로 향하여 통하게 하여 하부협지판(1)의 끼워맞춤창(3)에 끼워 넣고 상부협지판(21)의 가로봉부(27)를 하부협지판(1)의 지지선반(6)에 놓음과 아울러, 하부협지판(1)의 지지축(8)에 조작판(41)의 원호상 축받이 가로홈부(46)를 끼운 상태에서 조작판(41)의 앞벽(45)을 상부협지판(21)의 후방에서 지지축(8)의 아래로 향하여 눌러 넣고, 조작판(41)을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조작판(41)의 제2작동캠(48, 48)이 회전중심의 아래쪽에 위치하였을 때에 보조판(23)의 융기부(25)를 아래쪽으로 압압하여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닫히고, 상기 아래쪽 위치에서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범위에 있을 때는 끼움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제2작동캠(48, 48)이 상기 아래쪽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제1작동캠(47)이 회전중심과 상기 가로봉부(27)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범위에 있을 때에 제1작동캠(47)이 가로봉부(27)의 접촉면(28a)을 후방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한 가로봉부(27)의 반력으로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열려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제2작동캠(48, 48)의 후방단부(48b, 48b)가 방해블록(9, 9)에 접촉함으로써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과 조작판(41)의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조작판(41)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플라스틱제 클립에 있어서, 지지축(8)을 하부협지판(1)의 양 측벽(4, 4) 사이에 가설(架設)하고, 조작판(41)의 원호상 축받이 가로홈부(46)를 배판(44)의 앞벽(45) 상면을 횡단하여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조작판(41)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제 클립에 있어서, 하부협지판(1)의 선단부와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끼움상태일 때, 조작판(41)의 제1작동캠(47)과 상부협지판(21)의 접촉면(28a)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로봉부(27)의 주저앉음을 방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플라스틱제 클립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의 (a)는 상부협지판, 도 1의 (b)는 하부협지판, 도 1의 (c)는 조작판을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c)에 나타낸 조작판에 대해서는 이면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면을 위로 향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 도 2 및 도 3은 도 1의 (b)에 나타낸 하부협지판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의 (a)는 평면도, 도 2의 (b)는 측면도, 도 2의 (c)는 배면도, 도 3의 (a)는 저면도 및 도 3의 (b)는 A-A선 종단면도이다. 또, 도 4 및 도 5는 도 1의 (a)에 나타낸 상부협지판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의 (a)는 평면도, 도 4의 (b)는 측면도, 도 4의 (c)는 배면도, 도 5의 (a)는 저면도 및 도 5의 (b)는 B-B선 종단면도이다. 또, 도 6 및 도 7은 도 1의 (c)에 나타낸 조작판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의 (a)는 평면도, 도 6의 (b)는 측면도, 도 6의 (c)는 정면도, 도 7의 (a)는 저면도, 도 7의 (b)는 C-C선 종단면도 및 도 7의 (c)는 D-D선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플라스틱제 클립에 있어서의 하부협지판(1)은 도 1의 (b),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각부를 원호상으로 형성한 장방형상의 기판(2)의 후방에 끼워맞춤창(3)이 설치되고, 상기 끼워맞춤창(3)의 양측부에 측벽(4, 4)이 설치됨과 아울러 후부에는 상기 측벽(4, 4)보다 낮은 후벽(5)이 설치되고, 상기 후벽(5)의 전면(5a)에는 상기 전면(5a)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지지선반(6)이 설치되어서 상기 지지선반(6)의 상면 양측부에는 선단부가 상향으로 휜 평탄면(7, 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선반(6)보다 전방 윗쪽 위치에는 한쪽의 측벽(4)의 내면에서 다른쪽 측벽(4)의 내면을 향하여 지지축(끼워맞춤부)(8)이 가로로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8)보다 낮은 위치의 지지축(8)과 지지선반(6)의 사이의 양 측벽(4, 4) 내면에는 각각 방해블록(9, 9)이 볼록형상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축(8)은 상면이 양 측벽(4, 4)의 상단에 대략 일치하는 플랫면(8a)(도 2 참조)으로 된 둥근봉 형상이고 전면에는 전방을 향한 면(8b)을 갖는 돌기부(8c)(도 3 참조)가 길이방향에 따라서 뻗어 있고, 상기 후벽(5)의 상면 양단에는 상기 방해블록(9, 9)에 미치지 않는 높이의 발톱부(10, 10)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선반(6)의 양 평탄면(7, 7)의 사이에는 후벽(5)의 전면(5a)에서 전방을 향하여 뻗은 오목형상홈부(11)가 하부협지판(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위치되어 있고, 후벽(5)의 전면(5a)의 나머지 양단부에 위치하는 지지선반(6)과 측벽(4, 4)의 사이에는 지지선반(6)에 미치지 않는 높이에서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선반(12, 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13은 기판(2)의 전방 상면에 설치된 2열로 늘어선 하부협지기어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플라스틱제 클립에 있어서의 상부협지판(21)은, 도 1의 (a),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각부(角部)를 원호상으로 형성한 장방형상의 기판(22)의 후방에 상기 하부협지판(1)의 끼워맞춤창(3)에 끼워지는 측면에서 보아 오목형상의 보조판(23)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판(23)의 저부(24) 상면 양측에는 중앙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양측을 향하여 뻗는 단차를 갖는 융기부(25, 25)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판(23)의 후벽(26, 26)은 저부(24) 후방 양단부에서 기립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기립한 양 후벽(26, 26)은 상기 지지선반(6)의 평탄면(7, 7)과 대응하는 원호상 면(27a)(도 4 및 도 5 참조)을 갖는 가로봉부(27)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로봉부(27)의 상면 중앙에는 전방으로 튀어나온 접촉면(평탄면)(28a)을 갖는 돌기부(2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25, 25)는 단상면(25a, 25a)(도 4 참조)을 가지고 있고, 양 융기부(25, 25)를 제외한 보조판(23)의 저부(24) 상면의 중앙부분에는 후방으로 향하여 뻗은 오목형상홈부(29)가 상부협지판(2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위치되어 있고, 상기 가로봉부(27)는 종단면 형상이 상면 후단에서 전면 하단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형성된 대략 1/4원의 부채꼴이고, 원호상 면(27a)은 아래 후방을 향하고 있다. 또, 후벽(26, 26)의 폭은 하부협지판(1)의 경사선반(12, 12)의 폭보다 좁게 치수가 설정되어 있고, 후벽(26, 26)의 배면은 하부협지판(1)의 경사선반(12, 12)의 상면과 발톱부(10, 10)의 전면에 대응하는 받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30은 기판(22)의 전방 하면에 설치된 상기 하부협지판(1)의 2열의 하부협지기어(13, 13)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부협지기어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플라스틱제 클립에 있어서의 조작판(41)은 도 1의 (c),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장방형상의 기판(42)의 후방에는 끈 통과구멍(43)이 설치됨과 아울러, 전방에는 상기 하부협지판(1)의 양 측벽(4, 4) 사이에 끼워지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역오목형상의 배판(背板;44)이 설치되고, 상기 배판(44)의 앞벽(45) 상면에는 상기 하부협지판(1)의 지지축(8)에 회전가능하게 끼우는 원호상 축받이 가로홈부(받침끼워맞춤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앞벽(45) 하면의 중앙위치에는 하단부(47a)(도 6 참조)를 상기 상부협지판(21)의 돌기부(28)의 접촉면(28a)에 압압상태로 접촉하는 제1작동캠(47)이 늘어뜨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작동캠(47)의 양측위치에는 하단부(48a, 48a)를 상기 상부협지판(21)의 융기부(25, 25)의 단상면(25a, 25a)에 압압상태로 접촉하고, 절벽상의 후방단부(48b, 48b)를 상기 하부협지판(1)의 방해블록(9, 9)에 접촉하는 제2작동캠(48, 48)이 늘어뜨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판(44)의 중판(中板;49) 하면의 중앙부(49a)(도 7 참조)는 상기 상부협지판(21)의 돌기부(28)의 외표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윗쪽에 움푹 패인 받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판(44)의 중판(49) 하면 중앙부(49a)의 양이웃의 측부(49b, 49b)는 상기 상부협지판(21)의 가로봉부(27)의 외표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아래쪽으로 돌출한 받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판(44)의 중판(49) 하면의 나머지 양단부(49c, 49c)는 상기 하부협지판(1)의 방해블록(9, 9)의 외표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향 볼록형상으로 절결된 받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판(44)의 후벽(50) 하면에는 상기 하부협지판(1)의 후벽(5)의 상면에 대응하는 편홈부(50a)(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그 편홈부(50a)의 양끝이 되는 후벽(50) 하면 양 단부(50b, 50b)(도 7 참조)는 상기 하부협지판(1)의 발톱부(10, 10)의 외표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만형상으로 절결된 받침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작동캠(47)은 앞벽(45) 후단측이 약간 돌출한 편평한 하면을 가지고 조작판(4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폭으로 앞벽(45) 전단에서 앞벽(45) 후단에 걸쳐서 종단면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판(41)을 하부협지판(1)과 동일방향으로 한다면 하단부(47a)의 약간 돌출한 앞벽(45) 후단측(후단부: 도 6의 (b)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나타낸 곳)은 지지축(8)의 중심(조작판(41)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또, 상기 제2작동캠(48, 48)은 종단면 U자상의 제1작동캠(47)을 전후로 대략 2분할하여 상기 절벽상 후방단부(48b, 48b)를 분할면으로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작동캠(48, 48)의 전면은 앞벽(45) 전면 양측단에서 상기 방해블록(9, 9)의 튀어나온 치수와 동일 치수폭의 전며을 없앤, 제1작동캠(47)의 전면과 대략 동일면으로 되어 있고, 제2작동캠(48, 48)의 측부는 전단에서 후방단부(48b, 48b)의 축받이 가로홈부(46) 양단에 미치지 않는 위치까지 원호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잘라내고 있음과 아울러, 제2작동캠(48, 48)의 하면은 앞벽(45) 전단측을 약간 돌출시켜서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판(41)을 하부협지판(1)과 동일방향으로 한다면, 하단부(48a, 48a)의 약간 돌출된 앞벽(45) 전단측(전단부: 도 7의 (c)에 있어서 화살표 Y로 나타낸 곳)은 지지축(8)의 중심(조작판(41)의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협지판(21)의 보조판(23)은 상기 하부협지판(1)의 끼워맞춤창(3)에 여유를 가지고 끼워지는 외치수로 되어 있고, 상부협지판(21)의 보조판(23)을 하부협지판(1)의 전방에서 지지축(8)의 아래를 향하여 통과하여 하부협지판(1)의 끼워맞춤창(3) 내에 보조판(23)의 저부(24)가 수납되면, 상부협지판(21)의 가로봉부(27)의 원호상 면(27a)은 하부협지판(21)의 지지선반(6)의 평탄면(7, 7)에 접촉하여 놓인 상태로 됨과 아울러, 보조판(23)의 하면과 하부협지판(1)의 측벽(4, 4)의 하면은 일치하는 치수로 되어 있고, 상부협지판(21)의 양 후벽(26, 26)의 배면은 하부협지판(1)의 경사선반(12, 12)의 상면과 발톱부(10, 10)의 전면에 간격을 가지고 접촉한 상태로 되고,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는 대응함과 아울러, 하부협지판(1)의 하부협지기어(13, 13)와 상부협지판(21)의 상부협지기어(30)는 맞물리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 하부협지판(1)에 상부협지판(21)을 짜 넣은 상태로 상부협지판(21)의 후방에서 지지축(8)에 조작판(41)의 축받이 가로홈부(46)를 끼워 넣고 조작판(41)을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로 향하여 회전시키면, 제1작동캠(47)의 하단부(47a) 전단부가 하부협지판(1)의 돌기부(28)의 상단부에 접촉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돌기부(28)를 갖는 가로봉부(27)는 조작판(41)의 앞벽(45)을 가로봉부(27)에 대항하여 상부협지판(21)의 보조판(23) 내에 눌러 넣을 수 있는 플라스틱 자체의 탄력을 가지고 성형되어 있고, 축받이 가로홈부(46)의 두께는 지지축(8)과 방해블록(9, 9)의 가장 가까운 치수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 하부협지판(1)에 상부협지판(21)과 조작판(41)이 짜 넣어진 상태에서는 제1작동캠(47)은 상부협지판(21)의 오목형상홈부(29)에 수납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조작판(41)을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향하여 회전시키면, 제2작동캠(48, 48)의 하단부(48a, 48a) 전단부가 우선 상부협지판(21)의 융기부(25)의 상향으로 경사진 솟아오른면에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치수 설정되어 있고, 하단부(48a, 48a) 전단부가 회전중심의 아래쪽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상부협지판(21)의 융기부(25, 25)의 단상면(25a, 25a)에 얹혀서 보조판(23)을 아래쪽으로 압압하도록 치수 설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닫혀서 하부협지판(1)의 하부협지기어(13, 13)와 상부협지판(21)의 상부협지기어(30)가 맞물리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고, 하단부(48a, 48a) 전단부가 회전중심의 상기 아래쪽 위치를 초과함으로써 끼움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발생하도록 단상면(25a, 25a)은 하향으로 경사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판(41)이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는 상부협지판(21)의 기판(22)의 상면과 하부협지판(1)의 지지축(8)의 플랫면(8a)과 조작판(41)의 중판의 상면이 일치하는 치수로 설정되어 있고, 조작판(41)의 제1작동캠(47)의 배면(47b)(도 7의 (b) 참조)이 상부협지판(21)의 돌기부(28)의 접촉면(28a)에 닿지 않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 조작판(41)을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윗쪽으로 양하여 회전시키면 제2작동캠(48, 48)의 하단부(48a, 48a) 전단부가 상부협지판(21)의 융기부(25)의 솟아오른면에 접촉하여 보조판(23)을 압압상태에 있을 때에 제1작동캠(47)의 하단부(47a) 후단부가 회전중심과 상기 가로봉부(27)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작동캠(47)이 가로봉부(27)의 접촉면(28a)을 후방으로 압압하도록 치수 설정되어 있고, 하단부(47a) 후단부가 회전중심과 상기 가로봉부(27)의 사이의 위치를 넘음으로써 제1작동캠(47)이 가로봉부(27)의 접촉면(28a)을 후방으로 압압함에 의한 반력으로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열림과 아울러,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이 때, 제2작동캠(48, 48)은 무접촉 상태로 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고, 조작판(41)의 제2작동캠(48, 48)의 후방단부(48b, 48b)가 하부협지판(1)의 방해블록(9, 9)에 접촉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플라스틱제 클립은 예를 들면 상부협지판(21)의 치수를 폭 약 15㎜, 길이 약 25㎜로 하고, 하부협지판(1)의 치수를 폭 약 15㎜, 길이 27㎜로 하고, 후술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후반부의 두께를 약 7㎜, 조작판(41)을 포함한 전체길이를 약 39㎜로 하면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플라스틱제 클립에 사용하는 상기 각 부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탄력성이나 내구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면에 기초하여 조립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하부협지판에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을 짜넣어서 조작판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의 플라스틱제 클립의 평면도이고,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은 투시되어 있고, E-E선은 플라스틱제 클립의 길이방향 중심선, F-F선은 하부협지판의 평탄면과 상부협지판의 융기부 및 가로봉부와 조작판의 제2작동캠을 통하는 선, G-G선은 하부협지판의 방해블록 및 발톱부와 상부협지판의 후벽과 조작판의 제2작동캠을 통하는 선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가) 및 대략 직각(나)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E-E선 종단면도, 도 10은 도 8엔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가) 및 대략 직각(나)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F-F선 종단면도, 도 11은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가) 및 대략 직각(나)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G-G선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조작판의 E-E선 종단면도, 도 13은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F-F선 종단면도, 도 14는 도 8에 나타낸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이 예각의 위치관계에 있을 때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G-G선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8에 나타낸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E-E선 종단면도, 도 16은 도 8에 나타낸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F-F선 종단면도, 도 17은 도 8에 나타낸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 조작판의 G-G선 종단면도이다.
도 9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상부협지판(21)과 같이, 상부협지판(21)의 보조판(23)을 하부협지판(1)의 전방에서 지지축(8)의 아래로 향하여 통하게 하여 하부협지판(1)의 끼워맞춤창(3)에 상부협지판(21)의 보조판(23)을 끼워 넣고, 도 10에 나타낸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상부협지판(21)과 같이, 상부협지판(21)의 가로봉부(27)의 원호상 면(27a)을 하부협지판(1)의 지지선반(6)의 평탄면(7, 7)에 접촉시켜서 놓은 상태로 한 후, 도 9에 나타낸 (가)의 상태(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조작판(41)의 상태. 이하 동일)와 같이, 상부협지판(21)의 후방에서 지지축(8)에 조작판(41)의 축받이 가로홈부(46)를 끼워 넣어서 조작판(41)을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로 향하게 회전시킨다. 이 때, 제1작동캠(47)의 하단부(47a) 전단부가 하부협지판(1)의 돌기부(28)의 접촉면(28a) 상단부에 대면하여 접촉함과 아울러, 제2작동캠(48, 48)의 양측면이 방해블록(9, 9)의 내포방향 측면에 대하여 맞스치는 방향에 접촉하고 있고(도 11 참조), 이 상태에서 도 9의 (나)의 상태(실선으로 도시하는 조작판(41)의 상태, 이하 동일.)와 같이, 조작판(41)을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또한 아래로 향하여 회전시키고, 제1작동캠(47)의 하단부(47a)에 가로봉부(27)의 돌기부(28)를 후방으로 눌러서 가로봉부(27)를 후방으로 향하여 변형시킴과 아울러,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작동캠(48, 48)의 양측면을 방해블록(9, 9)의 내포방향 측면에 맞스치게 하면서 아래쪽으로 눌러 넣는다. 이 동작에 의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판(41)의 제1작동캠(47)은 축받이 가로홈부(46)가 상부협지판(21)의 지지축(8)에 끼워진 상태로 상부협지판(21)의 지지선반(6)과 하부협지판(1)의 지지축(8)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되고, 조작판(41)은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에 짜 넣어지게 된다.
조작판(41)이 짜 넣어진 후는 조작판(41)을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향하여 회전시켜 되돌려도 도 11의 (나)의 상태와 같이 조작판(41)의 제2작동캠(48, 48)의 후방단부(48a, 48a)가 방해블록(9, 9)에 닿기 때문에 벗겨지는 일은 없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판(41)을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서 도 9의 (나)의 상태와 같이, 제1작동캠(47)의 하단부(47a) 후단부를 회전중심과 가로봉부(27)의 중심인 지점을 연결한 선의 위치(회전중심과 가로봉부(27)의 사이의 위치)보다 윗쪽으로 위치시켜서 하단부(47a)를 상부협지판(21)의 돌기부(28)의 접촉면(28a)에 압압상태로 접촉시키면, 가로봉부(27)의 접촉면(28a)이 후방으로 압압됨으로써 가로봉부(27)의 원호상 면(27a)가 하부협지판(1)의 지지선반(6)의 평탄면(7, 7)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로봉부(27)가 후방으로 변형되고(도 10 참조), 제2작동캠(48, 48)은 무접촉 상태이기 때문에 제1작동캠(47)이 가로봉부(27)의 접촉면(28a)을 후방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한 가로봉부(27)의 반력으로 제1작동캠(47)에는 도 9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의 모멘트(moment)가 발생하여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열려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판(41)의 선단부에 상부협지판(21)의 융기부(25)가 접촉할 때까지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가로봉부(27)를 중심으로 하여 개구하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작동캠(48, 48)의 후방단부(48b, 48b)가 방해블록(9, 9)에 접촉하기 때문에 개방상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과 조작판(41)의 조합상태가 유지된다.
열린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의 사이에 피협지물을 삽입하고,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판(41)을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을 향하여 회전시키면, 제1작동캠(47)의 하단부(47a) 후단부가 회전중심과 가로봉부(27)의 중심인 지점과를 연결한 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제2작동캠(48, 48)의 무접촉상태에서 하단부(48a, 48a) 전단부가 융기부(25)의 솟아오른면을 압압하는 상태에 있고, 또한, 하단부(47a) 후단부가 상기 선상을 아래쪽으로 향하여 넘어서 제2작동캠(48, 48)의 하단부(48a, 48a) 전단부가 융기부(25)의 단상면(25a)에 얹히어 회전줌심의 아래쪽에 위치하였을 때에, 보조판(23)의 융기부(25)는 아래쪽으로 압압되어서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닫힌 상태로 된다. 이 때, 제1작동캠(47)은 무접촉 상태로 되고, 가로봉부(27)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제2작동캠(48, 48)의 하단부(48a, 48a) 전단부가 회전중심의 아래쪽 위치를 전방으로 향하여 넘음으로써 제1작동캠(47)은 무접촉 상태이기 때문에 제2작동캠(48, 48)에는 도 9에 있어서 시계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여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의 끼움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열리는 일은 없다.
이 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판(41)은 수평인 상태로 되어 있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판(41)의 편홈부(50a)는 하부협지판(1)의 후벽(5)에 끼워맞춘 상태로 상기 편홈부(50a)의 저면이 후벽(5)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부협지판(21)의 돌기부(28)는 조작판(41)의 중판(49) 하면의 중앙부(49a)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중앙부(49a)의 내표면이 돌기부(28)의 외표면에 간격을 가지고 접촉하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판(41)의 중판(49) 중앙부(49a)의 양이웃의 측부(49b, 49b)의 하면은 상부협지판(21)의 가로봉부(27)의 상면에 간격을 가지고 접촉하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협지판(21)의 후벽(26, 26)의 배면은 하부협지판(1)의 발톱부(10, 10)의 전면 및 경사선반(12, 12)의 사면에 접촉하고, 조작판(41)의 중판(49) 중앙부(49a)의 나머지 양단부(49c, 49c)는 방해블록(9, 9)의 상면에 간격을 가지고 접촉하며, 조작판(41)의 후벽(50)의 하면 양단부(50b, 50b)는 하부협지판(1)의 발톱부(10, 10)에 간격을 가지고 끼워 맞춘다.
또, 이 때 조작판(41)의 제1작동캠(47)의 배면(47b)과 상부협지판(21)의 돌기부(28)의 접촉면(28a)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도 15 참조), 끼움상태가 지속되어도 가로봉부(27)에 주저앉음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 조작판(41)을 짜 넣을 때, 제2작동캠(48, 48)의 하단부(48a, 48a)가 방해블록(9, 9)에 간섭하지만, 이 간섭은 제2작동캠(48, 48)의 측부에서 하단부(48a, 48a)에 걸쳐서 휘어짐에 의해 극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을 후반부에서 끼워 넣도록 함과 아울러, 개구의 지점을 클립의 후단 가까이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클립의 길이에 대하여 개구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또, 클립의 선단을 끼움상태로 하였을 때, 제1작동캠(47)의 배면(47b)과 상부협지판(21)의 돌기부(28)의 접촉면(28a)의 사이에 간격이 확보되기 때문에 상부협지판(21)의 가로봉부(27)의 주저앉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부협지판(21)과 하부협지판(1)의 전방 내면에 서로 맞물리는 협지기어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 협지기어를 대신하여 끼움용 고무판(도시하지 않음)을 상하의 각 협지판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 하부협지판(1)의 지지축(8)은 측벽(4, 4)의 내면에서 각각 돌출설치시키고, 조작판(41)의 축받이 가로홈부(46)는 앞벽(45)의 상면 양단부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 지지선반(6)은 후벽(5) 양단에 설치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을 후반부에 끼워 넣도록 함과 아울러 지점이 되는 가로봉부를 클립의 후단 가까이에 위치시켰기 때문에, 클립의 길이에 대하여 개구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또, 클립의 선단을 여는 수단으로서 별체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자체의 탄력을 이용한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비용은 물론 조립공정수가 삭감된 경제적인 이점을 갖는 플라스틱제 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부협지판 후방의 끼워맞춤창 부분은 상부협지판 후방의 보조판의 끼워 넣음으로 메우고, 상부협지판 후방의 오목부는 조작판 전방의 표면이 편평한 배판으로 메워져서 클립의 외주부에는 요철부가 없으므로 감촉이 좋고, 전체가 박형이고 디자인적으로도 스마트한 플라스틱제 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업이용성은 매우 크다고 말할 수 있다.

Claims (6)

  1. 하부협지판과, 상기 하부협지판에 놓인 상부협지판과, 상기 상부협지판의 후부에 끼워 넣은 조작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제 클립의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의 선단부를 조작판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하는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으로서,
    하부협지판의 후방에는 대면하는 측벽을 형성함과 아울러 후부에는 지지선반을 갖는 후벽을 형성하고, 지지선반보다 전방 윗쪽 위치의 양 측벽 내면에는 상기 조작판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상부협지판의 후방에는 상기 양 측벽 사이에 끼워지는 측면에서 보아 오목형상의 보조판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판의 후벽은 상기 지지선반에 놓는 가로봉부를 가로로 설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가로봉부의 전면에는 전방을 향한 평면부를 형성하고, 조작판의 앞쪽 상부에는 상기 끼워맞춤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우는 받침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조작판의 앞쪽 하부에는 상기 받침끼워맞춤부를 상기 끼워맞춤부에 끼워서 하부협지판과 조작판을 동일방향으로 하였을 때의 조작판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에 상기 가로봉부의 평면부를 후방으로 압압하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1작동캠을 형성함과 아울러,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상기 보조판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압압하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2작동캠을 형성하고, 제2작동캠이 회전중심의 아래쪽에 위치하였을 때에 보조판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압압하여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의 선단부가 닫히고, 상기 아래쪽 위치에서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범위에서는 끼움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켜, 제2작동캠이 상기 아래쪽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제1작동캠이 회전중심과 상기 가로봉부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범위에 있을 때에, 제1작동캠이 상기 가로봉부의 평면부를 후방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한 상기 가로봉부의 반력으로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의 선단부가 열려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
  2. 하부협지판과, 상기 하부협지판에 놓인 상부협지판과, 상기 상부협지판의 후부에 끼워 넣은 조작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과의 선단부를 조작판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하는 플라스틱제 클립으로서,
    하부협지판의 후방에는 대면하는 측벽을 설치함과 아울러 후부에는 지지선반을 형성한 후벽을 설치하고, 지지선반보다 전방 윗쪽 위치의 양 측벽 내면에는 상기 조작판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설치하고, 상부협지판의 후방에는 상기 양 측벽 사이에 끼워지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오목형상의 보조판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판의 후벽은 상기 지지선반에 놓는 가로봉부를 가로로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봉부의 전면에는 전방을 향한 평면부를 형성하고, 조작판의 앞쪽 상부에는 상기 끼워맞춤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우는 받침끼워맞춤부를 설치하고, 조작판의 앞쪽 하부에는 상기 받침끼워맞춤부를 상기 끼워맞춤부에 끼워서 하부협지판과 조작판을 동일방향으로 하였을 때의 조작판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에 상기 가로봉부의 평면부를 후방으로 압압하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1작동캠을 설치함과 아울러,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상기 보조판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압압하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제2작동캠을 설치하고,
    제2작동캠이 회전중심의 아래쪽에 위치하였을 때에 보조판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압압하여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의 선단부가 닫히고, 상기 아래쪽 위치에서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범위에 있을 때는 끼움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제2작동캠이 상기 아래쪽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제1작동캠이 회전중심과 상기 가로봉부와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범위에 있을 때에, 제1작동캠이 상기 가로봉부의 평면부를 후방으로 압압함에 의한 상기 가로봉부의 반력으로 하부협지판과 상부협지판의 선단부가 열려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끼워맞춤부가 지지축이고 받침끼워맞춤부가 상기 지지축의 축받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클립.
  4.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조작판(41)의 회전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플라스틱제 클립으로서,
    하부협지판(1)의 후방에는 끼워맞춤창(3)을 설치하고, 상기 끼워맞춤창(3)의 양측부에는 측벽(4, 4)을 설치함과 아울러 후부에는 상기 측벽(4, 4)보다 낮은 후벽(5)을 설치하고, 상기 후벽(5)의 전면에는 하부협지판(1)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지지선반(6)을 설치하고, 지지선반(6)보다 전방 윗쪽 위치의 양 측벽(4, 4) 내면에는 지지축(8)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8)보다 낮은 위치의 지지축(8)과 지지선반(6)과의 사이의 양 측벽(4, 4) 내면에는 각각 볼록형상으로 돌출한 방해블록(9, 9)을 설치하고,
    상부협지판(21)의 후방에는 상기 끼워맞춤창(3)에 끼워지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오목형상의 보조판(23)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판(23)의 저부(24) 상면 양측에는 상기 양측을 향하여 뻗은 융기부(25)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판(23)의 후벽은 기립한 양 후벽(26, 26)으로서 상기 양 후벽(26, 26) 사이에는 상기 지지선반(6)의 상면(7)에 대응하는 원호상 면(27a)과 전방을 향하는 접촉면(28a)을 갖는 가로봉부(27)를 가로로 설치하고,
    조작판(41)의 후방에서는 끈 통과구멍(43)을 설치함과 아울러 전방에는 상기 양 측벽(4, 4) 사이에 끼워지는 배판(44)을 설치하고, 상기 배판(44)의 앞벽(45) 상면에는 상기 지지축(8)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호상 축받이 가로홈부(46)를 형성하고, 앞벽(45) 하면의 중앙에는 하단부(47a)가 상기 돌기부(26)의 접촉면(28a)에 압압상태로 접촉하는 제1작동캠(47)을 늘어뜨린 형상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1작동캠(47)의 양측 위치에는 하단부(48a, 48a)가 상기 융기부(25)에 압압상태로 접촉함과 아울러 후방단부(48b, 48b)가 상기 방해블록(9, 9)에 대응하는 제2작동캠(48, 48)을 늘어뜨린 형상으로 설치하며,
    상부협지판(21)의 보조판(23)을 하부협지판(1)의 전방에서 지지축(8)의 아래로 향하여 통하게 하여 하부협지판(1)의 끼워맞춤창(3)에 끼워 넣고 상부협지판(21)의 가로봉부(27)를 하부협지판(1)의 지지선반(6)에 놓음과 아울러, 하부협지판(1)의 지지축(8)에 조작판(41)의 원호상 축받이 가로홈부(46)를 끼운 상태에서 조작판(41)의 앞벽(45)을 상부협지판(21)의 후방에서 지지축(8)의 아래로 향하여 눌러 넣고, 조작판(41)을 지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조작판(41)의 제2작동캠(48, 48)이 회전중심의 아래쪽에 위치하였을 때에 보조판(23)의 융기부(25)를 아래쪽으로 압압하여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닫히고, 상기 아래쪽 위치에서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범위에 있을 때는 끼움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제2작동캠(48, 48)이 상기 아래쪽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제1작동캠(47)이 회전중심과 상기 가로봉부(27)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보다 윗쪽에 위치하는 범위에 있을 때에 제1작동캠(47)이 가로봉부(27)의 접촉면(28a)을 후방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한 가로봉부(27)의 반력으로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열려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제2작동캠(48, 48)의 후방단부(48b, 48b)가 방해블록(9, 9)에 접촉함으로써 하부협지판(1)과 상부협지판(21)과 조작판(41)의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클립.
  5. 제4항에 있어서, 지지축(8)이 하부협지판(1)의 양 측벽(4, 4)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있고, 조작판(41)의 원호상 축받이 가로홈부(46)가 배판(44)의 앞벽(45) 상면을 횡단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클립.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하부협지판(1)의 선단부와 상부협지판(21)의 선단부가 끼움상태일 때, 조작판(41)의 제1작동캠(47)과 상부협지판(21)의 접촉면(28a)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로봉부(27)의 주저앉음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제 클립.
KR10-2000-0058216A 1999-10-06 2000-10-04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플라스틱제 클립 KR100380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598099A JP3479875B2 (ja) 1999-10-06 1999-10-06 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の開閉方法及びその方法を採用した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
JP99-285980 1999-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842A true KR20010050842A (ko) 2001-06-25
KR100380249B1 KR100380249B1 (ko) 2003-04-16

Family

ID=1769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216A KR100380249B1 (ko) 1999-10-06 2000-10-04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플라스틱제 클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27757B1 (ko)
EP (1) EP1090562B1 (ko)
JP (1) JP3479875B2 (ko)
KR (1) KR100380249B1 (ko)
CN (1) CN1219476C (ko)
DE (1) DE60024199T2 (ko)
HK (1) HK1035847A1 (ko)
TW (1) TW4801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4398B2 (ja) * 2000-06-07 2004-01-06 株式会社第一クリエイト プラスチック製挟持具
JP3852007B2 (ja) * 2003-04-21 2006-11-29 j−sen株式会社 クリップ用爪型カバーと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とを組み合わせたクリップセット
KR100573434B1 (ko) 2004-09-06 2006-04-26 제에센 카부시키가이샤 클립용 커버 및 장식커버와 플라스틱제 클립과 조합한클립 세트 및 손톱커버
CN100401939C (zh) * 2004-09-28 2008-07-16 株式会社德柯斯 塑料夹具、组合指甲状套和塑料夹具的夹具组合
US20060196014A1 (en) * 2005-03-01 2006-09-07 Amoroso Sharyn K Dining napkin training clip for children
TWM346421U (en) * 2008-08-07 2008-12-11 Tien Chung Ent Co Ltd Safety soother clip
FR2937837A1 (fr) * 2008-11-06 2010-05-07 Ari Bentolila Dispositif accessoire de mode qui s'adapte sur des vetements pour lesquels un ajustement de la longueur est recherche
TWM367004U (en) * 2009-06-15 2009-10-21 Tien Chung Ent Co Ltd Safety pacifier clipper
US8245358B2 (en) * 2010-08-11 2012-08-21 Tien Chung Ent. Co., Ltd. Pacifier clip
KR101200887B1 (ko) * 2011-11-30 2012-11-13 금규태 클립형 상의 빠짐 방지장치
JP6344635B2 (ja) * 2013-04-10 2018-06-20 コーリン株式会社 クリップ及び該クリップを取り付けた情報表示札
US8806726B1 (en) * 2013-05-22 2014-08-19 Tien Chung Ent. Co., Ltd. Pacifier clip
GB201415872D0 (en) * 2014-09-08 2014-10-22 Gallagher John G Secure Clip With Easy Operation
CN104373430A (zh) * 2014-10-31 2015-02-25 无锡同心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夹持器
US11143220B2 (en) * 2017-01-13 2021-10-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ther clip
CN106837951A (zh) * 2017-04-13 2017-06-13 苏州市职业大学 一种省力夹子
MY195143A (en) * 2019-03-19 2023-01-11 Thaib Najiyah A Clamping Device
CN110367651A (zh) * 2019-08-09 2019-10-25 襄阳先义电力科技有限公司 防坠落条带调节扣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758A (en) * 1976-04-23 1976-11-23 Kohshoh Limited Clip
US4489466A (en) * 1983-03-09 1984-12-25 Illinois Tool Works Inc. Suspender fastener
JP2704697B2 (ja) * 1992-12-17 1998-01-26 ジェー線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
JP2905920B2 (ja) * 1996-03-25 1999-06-14 ジェー線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
JP3048611U (ja) 1997-11-04 1998-05-22 株式会社丸善製作所 クリップ
JP2981744B1 (ja) 1998-11-05 1999-11-22 ジェー線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07919A (ja) 2001-04-17
TW480158B (en) 2002-03-21
CN1219476C (zh) 2005-09-21
EP1090562A3 (en) 2002-03-13
CN1292238A (zh) 2001-04-25
EP1090562A2 (en) 2001-04-11
HK1035847A1 (en) 2001-12-14
EP1090562B1 (en) 2005-11-23
KR100380249B1 (ko) 2003-04-16
JP3479875B2 (ja) 2003-12-15
DE60024199D1 (de) 2005-12-29
DE60024199T2 (de) 2006-07-27
US6327757B1 (en) 2001-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249B1 (ko) 플라스틱제 클립의 개폐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플라스틱제 클립
EP1262115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with locking device
US5730342A (en) Mobile telephone fastening
EP0434414B1 (en) IC carrier
EP1161892B1 (en) A plastic clipping device
EP0895320B1 (en) Flexible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2981744B1 (ja) 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
EP0115826A2 (en) Spring mount hinge for eyeglasses bows
US6273739B1 (en) Memory card connector
JP2704697B2 (ja) 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
KR20010012401A (ko) 띠형 장신구의 중간 버클
JP6344635B2 (ja) クリップ及び該クリップを取り付けた情報表示札
JP2597192Y2 (ja) 用箋挾
JP2639628B2 (ja) プラスチック製クリップ
JPS6117546Y2 (ko)
CN213664021U (zh) 二次定位锁合式手镯
CN217641067U (zh) 一种轻触开关
JP2000175800A (ja) ハンガ―の肩幅調節装置
JPH0230860Y2 (ko)
JPH04213093A (ja) 時計側用ブレスレット・ストランド取り付け装置
JPH0518848Y2 (ko)
JPH0783723B2 (ja) 腕時計のバンドの端部連結構造
GB2240962A (en) Badge pins
JPH0855535A (ja) スイッチ構造
JPH11127921A (ja) バンドとケース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