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9809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9809A
KR20010049809A KR1020000041225A KR20000041225A KR20010049809A KR 20010049809 A KR20010049809 A KR 20010049809A KR 1020000041225 A KR1020000041225 A KR 1020000041225A KR 20000041225 A KR20000041225 A KR 20000041225A KR 20010049809 A KR20010049809 A KR 20010049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ngagement
leg
leg por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5387B1 (ko
Inventor
나카무라히데하루
나카가와요시히데
무라타겐이치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4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Abstract

마루 설치용으로 사용하는 공기 청정기를 테이블 등 다른 장소에 배치하여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흡기구(2)로부터 내부로 흡입한 공기를 정화하여 배기구(4)로부터 분출하도록 한 본체(1)와, 이 본체(1)를 마루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착탈 자유로운 다리부(18)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상기 다리부(18)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마루면에 대하여 설치 가능하게 한 설치수단인 리브(15)를 설치한다.
그에 의해 다리부를 이용하여 마루면에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리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설치수단에 의해 본체를 테이블 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마루면 설치용의 다리부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로서, 마루면에 설치한 경우에, 실내에 부유하는 담배연기 등을 효율 좋게 흡입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부에 다리부를 장착하여 본체를 마루면으로부터 될 수 있으면 높게 위치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것은, 마루면 설치용으로서는 효과가 있지만, 다리부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설치장소 자체가 처음부터 높은 위치에 있는 테이블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다리부가 상당한 장해로 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마루용으로 사용되는 공기 청정기를 테이블 등의 다른 장소에 있어서도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설치장소에 적합한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공기 청정기의 우측 단면도.
도 2는, 동 공기 청정기의 본체의 저면도.
도 3은, 동 공기 청정기의 다리부의 배면도.
도 4는, 동 공기 청정기의 정면도.
도 5는, 동 공기 청정기의 좌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기 청정기 본체(본체) 2. 흡기구
4. 배기구 15. 리브(설치수단)
16. 걸어 맞춤 오목부
17. 걸림구멍(탄성 걸어 맞춤 수단)
18. 다리부 19. 걸어 맞춤 돌출부
20. 탄성편(탄성 걸어 맞춤수단)
21. 돌기(탄성 걸어 맞춤수단) 22. 해제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흡기구로부터 내부에 흡입한 공기를 정화하여 배기구로부터 분출하도록 한 본체와, 이 본체를 마루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착탈 자유로운 다리부를 설치한 공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다리부를 분리한 상태에도 마루면에 대하여 설치 가능하게 하는 설치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해, 마루면에 설치한 때에는 다리부를 사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효율 좋게 공기의 정화를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마루면 보다 높은 설치장소인 테이블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리부를 분리한 상태로 설치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본체의 마루면에 설치한 리브이다.
이에 의해, 다리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본체의 마루면 전체가 설치면에 접하는 일 없이 리브 선단이 접하기 때문에, 본체를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저면에 걸어 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부의 상면에 걸어 맞춤 오목부와 끼워 맞춤하는 걸어 맞춤 돌출부를 돌출시키며,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춤 돌출부 사이에 탄성 걸어 맞춤 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본체의 일면측으로부터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춤 돌출부의 걸어 맞춤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 의해, 다리부를 마루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본체를 다리부 위에 설치하므로서 본체에 다리부를 장착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해제수단에 의해 걸어 맞춤 상태를 해제하고, 본체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것에서 다리부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다.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본체 혹은 다리부의 일면측을 벽면에 맞접함 시킨 때에, 벽면에 닿지 않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벽면에 따르도록 설치하였을 때, 벽면에 충돌하는 것 등에 의해 본체와 다리부의 걸어 맞춤상태가 잘못되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와 걸어 맞춤 오목부는,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한개소의 걸어 맞춤 돌출부와 걸어 맞춤 오목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도, 다른 부분은 걸어 맞춤되어 있으므로 본체가 부주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고, 이들의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공기 청정기 본체(1)(이후, 간략화를 위해 "본체"라 한다)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에 그릴(격자)상의 흡기구(2)가 형성된 전면커버(3)와, 상면에 그릴상의 배기구(4)가 형성된 후면커버(5)와, 전면에 조작표시부(6)가 형성된 상면케이스(7)로 외곽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커버(3)는 측면의 클램프버튼(3a)을 누르는 것에 의해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 내부에는 팬케이스(8)가 설치되어 있으며, 흡기구(2)로부터 배기구(4)에 이르는 송풍로를 형성한다.
이 팬케이스(8)의 흡기구측에는, 흡기구(2)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 유니트(9)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팬케이스(8)의 배기구(4)측에, 시로코 팬(10)과 이 시로코 팬(10)을 회전시키는 모터(11)가 설치되어 있다.
상면케이스(7)내에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제어부가 탑재된 제어기판(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표시부(6)가 접속되어, 모터(11) 등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표시부(6)의 일각에는, 실내공기중의 연기나 환원성 가스 등에 의한 공기 오염을 검지하기 위한, 예를 들면 반도체 가스센서 등으로 구성된 오염 센서(13)나, 적외선 등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14)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의 오염 정도 등에 따른 자동 운전이나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으로부터의 원격조작 운전 등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작표시부(6) 혹은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면 케이스(7)내의 제어기판(12)상에 탑재된 제어부가 기동하여 운전을 개시한다.
운전을 개시하면, 모터(11)가 구동되어 시로코 팬(10)이 회전하고, 주위 공기는 흡기구(2)로부터 본체(1)내에 흡입되어, 필터 유니트(9)에 의해 분진 및 담배연기나 악취 등이 여과 탈취되고, 후면 커버(5) 상면의 배기구(4)로부터 청정화 된 공기가 배출된다.
상기 본체(1)의 저면(1c)에는 환상의 리브(15)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1)를 직접 설치면에 설치하는 경우에, 본체(1)는 그 저면(1c) 전체면이 설치면에 접하지 않고 리브(15)의 선단이 설치면에 맞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 리브(15)의 내측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의 후면(1b)측의 좌우 2개소에 걸어 맞춤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오목부(16)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의 후면(1b)측의 벽면에 걸림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18은, 본체(1)의 하부에 장착되는 다리부로서, 그 상면에는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16)에 끼워 맞춤하는 걸어 맞춤 돌출부(19)가 2개소 돌출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돌출부(19)에는 각각 바깥쪽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편(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편(20)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21)가 탄성편(20)의 탄성력으로 걸어 맞춤 오목부(16)의 상기 걸림구멍(17)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 탄성편(20)의 하부에는 해제수단(22)이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해제수단(22)을 본체(1)의 후면(1b)측으로부터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돌기(21)와 걸림구멍(17)의 걸어 맞춤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해제수단(22)에는 손가락으로 누를 때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해제수단(22)은 다리부(18)의 후면 및 본체(1)의 후면(1b) 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리부(18)의 후면 혹은 본체(1)의 후면(1b)을 벽면에 맞접하게 한 때에 해제수단(22)이 벽면에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해제수단(22)은, 복수 개소(여기서는 2개소)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개소의 해제수단(22)을 조작하여도, 본체(1)가 다리부(18)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구성의 공기청소기를 마루면에 설치할 때에는, 다리부(18)를 마루면에 배치하고, 본체(1)를 다리부(18)에 탑재하므로서 탄성편(20)을 변형시킴과 동시에, 본체(1)의 걸어 맞춤 오목부(16)에 다리부(18)의 걸어 맞춤 돌출부(19)가 삽입되어, 본체(1)의 전후 및 좌우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본체(1) 저면(1c)의 리브(15)가 다리부(18)의 상면에 맞접한 때에 탄성편(20)의 탄성력에 의해 걸어 맞춤 오목부(16)의 걸림구멍(17)에 탄성편(20)의 돌기(21)가 걸어 맞춤하고, 본체(1)의 걸어 맞춤 오목부(16)에 다리부(18)의 걸어 맞춤 돌출부(19)가 끼워 맞춤하여, 본체(1)의 설치 및 다리부(18)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에 의해, 본체(1)로의 다리부(18)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마루면에 설치된 공기 청정기는, 사람의 발이나 그 외의 물체와 부딪치는 것에 의해 본체(1)를 넘어트리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본체(1)의 전면(1a)측으로 넘어트리고자 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리브(15)의 본체(1) 전면(1a)측의 부분이 다리부(18) 상면을 가압하여, 전면(1a)측으로 본체(1)가 넘어지고자 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 본체(1)의 후면(1b)측으로 본체(1)를 넘어트리고자 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탄성편(20)의 탄성력에 대한 반력에 의해, 걸어 맞춤 돌출부(19)가 걸어 맞춤 오목부(16)의 전면(1a)측의 벽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후면(1b)측으로의 넘어짐이 저지된다.
마루면에 설치된 공기 청정기를 테이블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본체(1)의 후면(1b)측으로부터 해제수단(22)을 누르는 것에 의해 본체(1)의 걸림구멍(17)으로부터 다리부(18)의 돌기(21)가 분리되어, 본체(1)와 다리부(18)의 걸어 맞춤 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1)를 상방으로 당겨 올리므로서, 본체(1)로부터 다리부(18)가 분리된다.
이 본체(1)의 저면(1c)에는 본체(1)를 설치 가능하게 하는 리브(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부(18)를 장착하는 일 없이, 본체(1)를 리브(15)로서 지지하여, 테이블 등에 직접 설치할 수가 있다.
이 때, 본체(1)를 설치면에 본체(1)의 저면(1c) 전체면이 아닌, 리브(15)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가 있다.
또, 본체(1)로부터 다리부(18)를 착탈 자유롭게 하는 것에서, 본체(1)에 다리부(18)를 장착하여 마루면에 설치하는 경우나, 다리부(18)를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1)만을 테이블 등에 설치하는 경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와 같이, 본체(1)에 걸어 맞춤 오목부(16)를 형성하고, 다리부(18)에 걸어 맞춤 오목부(16)에 끼워 맞춤하는 걸어 맞춤 돌출부(19)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체(1)에 걸어 맞춤 돌출부(19)를 형성하고, 다리부(18)에 걸어 맞춤 돌출부(19)에 끼워 맞춤하는 걸어 맞춤 오목부(16)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 본체(1)만을 설치하는 경우에, 본체(1)가 그 저면(1c)에 형성한 리브(15)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라, 본체(1)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된다.
또한, 걸어 맞춤 오목부(16)를 본체(1)의 후면(1b)측에 설치하였지만, 본체(1)의 다른 임의의 면 측에 설치하여, 임의의 면측으로부터 본체(1)와 다리부(18)의 걸어 맞춤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마루면에 설치하는 때에는 다리부를 사용하여 높은 위치에서 효율 좋게 공기의 정화가 될 수 있음과 동시에, 마루면 보다 높은 설치장소인 테이블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리부를 분리한 상태로 설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설치 형태를 다양화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다리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본체의 저면 전체가 직접 설치면에 접하는 일없이, 본체를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다리부의 본체로의 장착시에 본체를 상방으로부터 설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다리부를 장착할 수 있어,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해제수단 및 걸어 맞춤 수단에 의해 본체로부터 다리부를 분리할 수가 있기 때문에, 마루면이나 테이블 등의 설치장소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벽면에 충돌하는 등으로 하여도, 본체와 다리부와의 걸어 맞춤 상태가 잘못되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한개소의 걸어 맞춤 돌출부와 걸어 맞춤 오목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도, 다른 부분에서 걸어 맞춤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가 부주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안정되게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5)

  1. 흡기구로부터 내부에 흡입한 공기를 정화하여 배기구로부터 분출하도록 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마루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착탈 자유로운 다리부를 설치한 공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다리부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마루면에 대하여 설치 가능하게한 설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에 걸어 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부의 상면에 걸어 맞춤 오목부와 끼워 맞춤하는 걸어 맞춤 돌출부를 돌출시키며,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춤 돌출부 사이에 탄성 걸어 맞춤 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본체의 일면측으로부터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춤 돌출부의 걸어 맞춤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본체 혹은 다리부의 상기 일면측을 벽면에 맞접함시킨 때에, 벽면에 맞접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와 걸어 맞춤 오목부는 복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00-0041225A 1999-07-28 2000-07-19 공기 청정기 KR100375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340399A JP3604965B2 (ja) 1999-07-28 1999-07-28 空気清浄機
JP11-213403 1999-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809A true KR20010049809A (ko) 2001-06-15
KR100375387B1 KR100375387B1 (ko) 2003-03-10

Family

ID=1663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225A KR100375387B1 (ko) 1999-07-28 2000-07-19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04965B2 (ko)
KR (1) KR100375387B1 (ko)
CN (1) CN1120961C (ko)
TW (1) TW4292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5450B2 (ja) * 2008-11-28 2014-02-26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部品の係合構造および車両用内装部品
CN109282381A (zh) * 2018-08-24 2019-01-29 嘉兴美斯克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耐用型卫生间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41517A (ja) 2001-02-16
CN1120961C (zh) 2003-09-10
JP3604965B2 (ja) 2004-12-22
TW429298B (en) 2001-04-11
KR100375387B1 (ko) 2003-03-10
CN1282859A (zh) 2001-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026B1 (ko) 공기 청정기
EP2946825B1 (en) Air cleaner
US9630133B2 (en) Air cleaner
KR101891256B1 (ko) 포터블 후드
KR100375387B1 (ko) 공기 청정기
JP6567322B2 (ja) 空気調和機
JP3732628B2 (ja) 天井用換気扇
JP4985000B2 (ja) 換気装置
JP4657979B2 (ja) 空気調節機
JP6469523B2 (ja) 空気調和機
KR200481659Y1 (ko) 렌지후드 필터용 손잡이의 고정장치
JP2001038121A (ja) 空気清浄機
JP4108902B2 (ja) 換気機器
JPH11311430A (ja) 空気清浄装置
CN215777729U (zh) 一种多功能除尘机器人
JPS5941467Y2 (ja) 換気扇
KR101891254B1 (ko) 포터블 후드
KR101891255B1 (ko) 포터블 후드
KR101135787B1 (ko) 공기청정기의 높이조절장치
JP2001041515A (ja) 空気清浄機
JPH11311429A (ja) 気流ガイド機構及び空気清浄装置
KR840001255Y1 (ko) 환 풍 기
KR20000019929U (ko) 환기장치
TW202243636A (zh) 電氣設備
JP3777715B2 (ja) 温風暖房機の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