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255Y1 - 환 풍 기 - Google Patents

환 풍 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255Y1
KR840001255Y1 KR7905067U KR790005067U KR840001255Y1 KR 840001255 Y1 KR840001255 Y1 KR 840001255Y1 KR 7905067 U KR7905067 U KR 7905067U KR 790005067 U KR790005067 U KR 790005067U KR 840001255 Y1 KR840001255 Y1 KR 840001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uter case
support
support protrus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5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326U (ko
Inventor
순지 히라오까
마꼬도 니와
사도루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사바 쇼오이찌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바 쇼오이찌, 도오쿄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to KR7905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255Y1/ko
Publication of KR830000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 풍 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의 종단면도.
제2도는 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제3도는 요부의 확대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용설명을 위한 전체의 종단면도.
본 고안은 환풍기 본체에 이탈가능하게 장치되는 커버의 이탈방지구조를 개량한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환풍기에 있어서, 예를들면 주방용의 환풍기에서는, 본체에 커버를 조립수단에 의하여 이탈가능하게 장치하고, 청소할 때에 커버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커버를 조립할 때에 그 결합이 불충분하거나, 또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변화등에 의하여 결합상태가 저하되거나 하면, 회전시의 진동등에 의해서 커버가 이탈하여 떨어질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종래에는 커버를 본체에 연결하는 별개의 연결구를 장치하여서, 이탈되어도 커버가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종래 구성에 의하면, 커버를 조립할 때에 일일이 연결구를 분리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조작이 번거러움과 동시에 연결구는 별개이므로 분실할 염려마저 있어왔다.
그래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개의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커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커버의 분해조립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는 환풍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서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1)은 방벽등에 마련된 설치용 개구부(2)안에 끼워넣어 고정시킨 강판제의 외부케이스로서, 그 내부에 설치틀(3)을 사이에 두고 모우터(4)를 설치하여 고정시킴과 동시에, 이 모우터(4)에 송풍팬(5)을 연결하여 환풍기 본체(6)를 구성하고 있다.
(7)은 외부케이스(1)의 실의측 개구부에 선회개폐가능하게 설치된 3매의 셔터 (shutter)로서, 이들 셔터(7)는 모우터(4) 구동용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ON-OFF조작에 따라서 아래쪽이나 위쪽으로 이동하는 연결봉(8)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 스위치의 ON조작에 의하여 연결봉(8)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동시에 개방되고, OFF조작에 의하여 연결봉(8)이 위쪽으로 이동하면 동시에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9)는 외부케이스(1)의 실내측 개구부 외주에서 바깥쪽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서 형성시킨 4개의 플랜지로서, 이 플랜지(9)중 상하양쪽의 플랜지의 선단부에는 돌출부(10a)를 가지는 결합부(10)가 실내로 향해서 대략 직간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11)은 플라스틱성형에 의하여 벨마우드(bell mouth)(12)와 함께 일체로 형성시킨 커버로서, 그 선단부의 상하양쪽에는 외부케이스(1)의 결합부(10)에 대응하는 돌기부(13)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13)는 결합부(10)와 함께 조립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커버(11)를 외부케이스(1)의 플랜지(9)에 끼워지도록 눌러 삽입하여서, 돌기부(13)를 결합부(10)의 돌출부(10a)에 탄성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커버(1 1)가 외부케이스(1)에 이탈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11)의 장치상태에 있어서, 벨마우드(12)는 외부케이스(1)안에 삽입되어서 송풍팬(5)을 둘러싸고 있다.
또한, 상기 벨마우드(12)는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향해서 점차 직경이 작게되도록 경사진 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실외측 개구단부 최하부에는 편평한 돌출부 모양을 한 지지돌출부(14)를 실외측으로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일체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지지돌출부(14)의 선단부에는 지지돌기(14a)를 위로 향하게 하여 일체로 돌출시키고 있다.
한편, 환풍기 본체(6)쪽의 부재 예를들면 설치틀(3)의 하변부(3a)에는 수직으로 위로향한 걸림돌부출부(3b)를 절곡형성시킴과 동시에, 걸림돌출부(3b)에는 하변부 (3a)에까지 형성되는 걸림구멍(15)이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에 커버( 11)를 장치한 상태에 있어서는 지지돌출부(14)는 걸림구멍(15)을 관통하여서 선단의 지지돌기(14a)를 걸림돌출부(3b)의 뒤쪽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지지돌출부(14)의 지지돌기(14a)는 걸림구멍(15)의 위 테두리보다 약간밑에 있어, 커버(11)의 조립 및 이탈조작시 걸림구멍(15)을 통과할때, 걸림구멍(15)의 위테두리에는 걸리지 않게되어 있다. (16)은 벨마우드(12)의 최하부의 실내의 방향대략 중앙에서 지지돌출부(14)에 걸쳐서 서로 병행하도록 밑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형성된 지지점용 돌출부인 2개의 리브로서, 이것은 커버(11)의 조립 및 이탈조작 방향 즉 실내의 방향(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그 하단은 외부케이스(1)의 하면벽(1a)에 대하여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 외부케이스(1)의 하면벽(1a)내면에 대략 접하는 것같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소등을 위하여 커버(11)를 이탈시키고자 이것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돌기부(13)가 결합부(10)에서 벗겨지므로, 커버(11)를 외부케이스(1)에서 떼어낼 수가 있다. 그리고, 청소등을 끝낸뒤, 커버(11)를 외부케이스(1)에 장치하기 위하여, 먼저 리브 (16)의 선단부를 외부케이스(1)의 하면벽(1a)의 앞쪽끝부분에 올려놓고, 커버(11)를 뒤쪽으로 밀어넣으면 리브(16)는 외부케이스(1)의 하면벽(1a)위를 미끄러져 들어가 지지돌출부(14)가 자연히 걸림구멍(15)안으로 들어가도록 안내됨과 동시에, 돌기부(1 3)가 결합부(10)의 돌출부(10a)에 자연히 탄성결합되도록 안내되고, 이 결합부(10)에 대한 돌기부(13)의 결합에 의하여 커버(11)가 외부케이스(1)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하여서 커버(11)를 조립 및 이탈할 경우, 지지돌출부(14)는 걸림구멍(15)과 대략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있어서, 커버(11)의 조립 및 이탈시 단지 걸림구멍(15)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할 뿐이므로, 종래의 별개의 연결구를 설치한 것과는 달리, 커버(11)의 조립 및 이탈의 용이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그런데, 커버(11)의 장치시에, 그 결합이 불충분하거나, 혹은 장기간 사용등에 의하여 그 결합정도가 저하되거나 하면, 사용시의 진동등에 의해서 외부케이스(1)에 대한 커버(11)의 결합 특히 상부의 결합부(10)와 돌기부(13)와의 결합이 벗겨지는 일이 있다. 그러면, 벨마우드(12)의 리브(16)가 외부케이스(1)의 하면벽(1a)에 접촉되고, 그 접촉부분중 점 P를 중심으로 하여서 커버(11)전체가 자중량에 의해서 화살표 A방향으로 넘어진다. 이 커버(11)의 넘어짐에 의해서, 지지돌출부(14)가 걸림구멍(15)의 위 테두리부에 걸려서 커버(11)를 더이상 넘어지지 않게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돌기(14a )가 걸림구멍(15)의 위 테투리부에 걸리게 되어서 걸림구멍(15)에서 지지돌출부(14)가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커버(11)는 지지돌출부(14)를 사이에 두고 외부케이스(1)에 지지된 상태로 된다(제4도 참조). 커버(11)가 떨어져서 가열된 조리기구 등의 위에 떨어진다고 하는 염려는 전혀 없다. 또한, 하부의 결합부(10)와 돌기부(13)와의 결합에 의해서 커버(11)의 탈락은 방지된다.
그런데, 외부케이스(1)의 크기는 방벽등에 마련되는 송풍기 설치를 위한 개구부 (2)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서 정해지고, 송풍팬(5)은 외부케이스(1)의 크기를 기준으로 이것보다도 비교적 작은 바깥지를 치수로 설정된다. 한편, 벨마우드(12)의 지름치수는 송풍팬(5)의 송풍효율을 최량으로 하기 위하여 송풍팬(5)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서 가능한한 그 바깥지를 치수에 가깝도록 하는 편이 좋다고 하는 문제때문에 벨마우드(12)와 외부케이스(1)와의 사이에는 비교적 큰 간격이 필연적으로 생긴다. 따라서, 지금 리브(16)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외부케이스(1)에 대한 커버(11)의 결합이 벗겨지면, 커버(11)가 벨마우드(12)와 외부케이스(1)와의 간격만큼 아래쪽으로 떨어지고, 그때문에 커버(11)가 걸리게 되는 동작을 기대할 수 없게되어 버리고, 나아거서는 커버(11)의 탈락방지에 대한 유효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중대한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벨마우드(12)에 리브(16)를 밑으로 향하도록 돌출시켜서 이 리브(16)의 하편이 외부케이스(1)의 하면벽(1a)에 거의 접촉하도록 하였으므로, 커버(11)의 결합이 벗겨졌을 경우, 커버(11)는 즉시 점 P를 지점으로 하여서 화살표 A방향으로 넘어지도록 되고, 따라서, 지지돌출부(14)는 확실하게 걸림구멍(15)의 위테두리부에 걸리게 되어 커버(11)의 탈락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또한, 지지점용 돌출부로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리브(16)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막대모양의 들기라도 좋으며, 요는 커버(11)의 장치상태에 있어서 외부케이스(1)의 하면벽(1a)에 거의 접촉되고, 커버(11)의 결합이 벗겨졌을때 커버(11)가 넘어져 선회하는 지점으로 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 지지점용 돌출부는 커버의 장치상태에 있어서 외부케이스의 하면벽에 접하고 있는 것이라도 된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외부케이스에 대한 커버의 결합이 자연히 벗겨졌을 경우, 커버가 지지점용 돌출부를 지지점용으로 하여서 넘어지는 것에 의하여 지지돌출부가 걸림구멍의 테두리부에 걸리게 되어서 커버의 그이상의 넘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돌기가 걸림구멍의 테두리부에 걸리게 되어서 걸림구멍에서 지지돌출부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므로 커버의 탈락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커버의 조립 및 이탈조작시에 있어서는 지지돌출부는 단지 걸림구멍을 관통할 뿐이므로, 별개의 연결구를 사용하였든 종래와는 달리, 커버의 탈락방지를 위한 특별조작을 하등 필요로 하지 않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지니는 환풍기를 제공한다.

Claims (1)

  1. 외부케이스(1)안에 모우터(4) 및 이것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팬(5)을 설치하여서 구성되는 환풍기본체(6)와 상기 외부케이스안에 삽입되어서 상기 송풍팬(5)을 둘러싸게 되는 벨마우드(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외부케이스에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조립 및 이탈이 가능하게 부착된 커버(11)와를 구비한 환풍기에 있어서, 상기 벨마우드에 돌출되고 선단부에 지지돌기(14a)가 형성된 지지돌출부(14)와, 이 지지돌출부(14)에 대응하여 상기 환풍기 본체쪽의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11)의 조립 및 이탈시 지지돌출부(14)가 관통하게 되는 걸림구멍(15)과, 상기 벨마우드(12)의 하부위치에 밑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커버(11)가 벗겨져 넘어질때 지지점으로 작용하여 지지돌출부(14)가 걸림구멍(15)의 위테두리에 걸리게 함으로써 더이상 커버(11)가 넘어지지 않고 또한 지지돌출부(14)가 걸림구멍(15)에서 빠져나가지 않게되며 하단이 상기 바깥틀(1)의 하면벽에 거의 접하는 지지점용 리브(16)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KR7905067U 1979-08-23 1979-08-23 환 풍 기 KR840001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5067U KR840001255Y1 (ko) 1979-08-23 1979-08-23 환 풍 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5067U KR840001255Y1 (ko) 1979-08-23 1979-08-23 환 풍 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26U KR830000326U (ko) 1983-04-30
KR840001255Y1 true KR840001255Y1 (ko) 1984-07-16

Family

ID=7247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5067U KR840001255Y1 (ko) 1979-08-23 1979-08-23 환 풍 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2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26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3680A (en) Exhaust fan with removable face cover
JP2009019811A (ja) 天井据付け型空気調和機のねじカバー装置
KR840001255Y1 (ko) 환 풍 기
JP5588848B2 (ja) 送風装置
GB2079372A (en) Axial flow fans
JP4985000B2 (ja) 換気装置
JP4108902B2 (ja) 換気機器
JPH1183111A (ja) 天井用換気扇
JPS5941467Y2 (ja) 換気扇
JP2552496B2 (ja) エアフィルタ−の取付装置
KR20030067256A (ko) 공기조화기의 탑 커버 고정구조
JP2563706B2 (ja) 換気扇
KR200315687Y1 (ko) 슬라이드식 공기 흐름 차단 밴드가 취부된 렌지 후드
KR20010001964U (ko) 에어컨 실내기의 도어그릴 개폐구조
JPS5820836Y2 (ja) ウインドフアン
KR940007913Y1 (ko) 로터리 팬히터의 송풍덕트
JPS596183Y2 (ja) 換気扇
JPS6315696Y2 (ko)
KR200182548Y1 (ko) 공기조화기의 전면그릴 착탈구조
JPS64517Y2 (ko)
JP2000283539A (ja) パイプ用換気扇のルーバー取付装置
JPS5926176Y2 (ja) ベントキヤツプ
JP2522476Y2 (ja) フィルタ付換気扇
KR900005390Y1 (ko) 에어콘용 콘트롤 박스와 그릴의 결합구조
JP3065064B1 (ja) 空気調和機の前面パネ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