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8097A -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8097A
KR20010048097A KR1019990052635A KR19990052635A KR20010048097A KR 20010048097 A KR20010048097 A KR 20010048097A KR 1019990052635 A KR1019990052635 A KR 1019990052635A KR 19990052635 A KR19990052635 A KR 19990052635A KR 20010048097 A KR20010048097 A KR 20010048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secondary
secondary battery
separator
lithium ion
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452B1 (ko
Inventor
김승기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5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452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4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목적 :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구성 :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는 기공의 분포를 사선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기공의 분포를 사선의 형태로 구성한 세퍼레이터 및 정극과 부극을 포함한다. 상기 기공의 방향은 머신 디렉숀 기준으로 30∼40°이다.
효과 :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그 기공이 사선 모양으로 분포되도록 하여 횡단 강도를 보완할 수 있으며, 또한 세퍼레이터의 찢어짐으로 인한 급격한 내부 쇼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지의 발화, 파열 및 폭발을 방지할 수 있어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Separator for Li-ion secondary battery and Li-ion secondary battery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주목되고 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하고, 동작시간을 연장시키거나 제품을 경량화 할 수 있어 고전압, 고전지 용량이 가능하여 휴대전화, 휴대용 퍼스날컴퓨터 등의 전원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리튬-천이금속 산화물을 정극으로 사용하고, 리튬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탄소질 재료를 부극으로 사용하며, 그 사이에 유기용매에 리튬염을 가한 액체 전해질을 주입하여, 상기 정극과 부극간의 리튬이온의 이동에 의한 기전력을 이용하여 전지의 충·방전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전극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리튬이온 이자전지의 전극군(10)은 시트상의 정극(12), 부극(14) 및 세퍼레이터(16)로 나누어지며, 세퍼레이터(16)를 사이에 두고 정극(12)과 부극(14)이 함께 권취되어 젤리 롤을 형성한다.
여기서, 세퍼레이터는 정극과 부극을 분리하여 단락을 방지하고, 전지 반응에 필요한 전해액을 흡수하여 높은 이온전도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리튬이온 전지의 경우에는 급격한 온도 상승이나 외부로부터의 과도한 충격 등의 극한 환경에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는, 전해액으로 유기전해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다른 비수계(非水系) 소형 이차전지와는 다른 세퍼레이터 특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화학 안전성, 두께, 기계적 특성, 전류차단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전지의 설계 시스템에 맞는 최적의 세퍼레이터를 적용하는바, 그 일 예로 전지 내부 온도가 올라갈 경우 기공 크기가 작아지거나 막혀 저항을 급속도록 증가시킴으로써 반응을 억제하는 셔트-다운(shut-down) 기능을 갖는 세퍼레이터가 있다.
이러한 세퍼레이터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크게 건식법과 습식법으로 나누어진다. 건식법은 일축연신에 의하여 기공을 형성하며, 습식법은 유기입자가 포함된 상태로 이축연신한 후, 이 입자를 녹임으로써 기공이 형성된다.
도 2와 같이 건식법에 의한 세퍼레이터(16)는 습식법에 비하여 횡단 방향(transverse direction)의 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데, 이는 일축연신으로 인한 기공(16a)의 배열형태와 관계가 있다.
건식법으로 제조된 세퍼레이터(16)를 리튬이온 전지에 적용할 경우에는, 안전성 평가 항목중 기계적 강도를 요하는 압축 실험이 있는데, 이때 상기 세퍼레이터는 약한 충격에 의해서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 방향으로 찢어지는 손상부(16b)를 갖게 되므로, 전지의 내부 쇼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화, 파열 및 폭발의 위험성까지 수반하므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 충격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므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는 기공의 분포를 사선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공의 분포를 사선의 형태로 구성한 세퍼레이터 및 정극과 부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공의 방향은 머신 디렉숀(machine direction) 기준으로 30∼40°이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폴리올레핀계의 단일 또는 복합 재질을 사용하며, 전기 정극 활물질로는 LiCoO2, LiMnO2. LiNiO2 중에서 선택한 1종의 리튬금속산화물을 사용하며, 부극 활물질로는 탄소를 함유하는 탄소질재료를 사용한다.
도 1은 전지의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세퍼레이터의 기공배열을 2 만배 확대한 모양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3은 종래의 세퍼레이터의 압축실험에 의하여 찢어짐을 보이는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기공 분포를 2 만배 확대한 모양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극 12 : 양극 극판
14 : 음극 기판 16 : 세퍼레이터
18 : 양극 Al 탭 20 : 음극 Ni 탭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은 설명의 명료성을 들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리튬이온 이차 전지의 제조과정은, Al, Ni 또는 동박으로 이루어진 양·음극 기재에 페이스트 상으로 된 양·음극 활물질 슬러리를 각각 일정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로에서 건조시키고 롤 프레싱하여 일정두께의 양음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음극 기재를 얻는다.
얻어진 양음극 기재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 다음, 세퍼레이터와 함께 밀착시켜 전극군을 형성하고, 밀착된 전극군의 선단부에 맨드렐(mandrel)을 끼워 스파이럴 모양으로 권취한 후, 양극 기재에는 양극탭을, 음극기재에는 음극리드를 접속한다.
그리고 전극군의 양단부에 절연링을 대면시킨 후, 캔에 넣고 음극리드를 캔의 내부 하단면에 용접 혹은 음극을 캔 내면에 직접 적촉시킨 다음, 캔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캔의 개구에 절연가스킷을 덧대고 그 안쪽에 상기 양극탭과 접속되는 안전변이 내장된 캡어셈블리를 위치시킨 후 캔을 크림핑하여 밀봉하므로 제조되어진다.
도 1에서와 같이, 리튬이온 이자전지의 전극군(10)은 시트상의 정극(12), 부극(14) 및 세퍼레이터(16)로 나누어지며, 세퍼레이터(16)를 사이에 두고 정극(12)과 부극(14)이 함께 권취되어 젤리 롤 상을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건식법에 의한 세퍼레이터(16)는 기공이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고 있으므로 그 강도가 약하여 약한 충격에도 쉽게 찢어진다. 즉, 종래의 세퍼레이터(16)는 안전성 평가 항목중 기계적 강도를 요하는 압축 실험에서, 압축판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이 횡단 방향으로 찢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찢어짐이 일축연신으로 인한 기공의 배열형태와 관계가 있는 점에 착안하여, 기공의 분포를 사선 형태로 하여 횡단 강도를 보강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의 단일 또는 복합 필름을 일축연신하여 다공성 판을 제조하고, 상기 다공성 판을 약간 비스듬히 슬리팅하여 사선 모양의 기공(162)을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기공(162)의 방향은 머신 디렉숀(machine direction; 권취 방향) 기준으로 30∼40°로 하는 것이 강도 증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전지의 정극 활물질로는 LiCoO2, LiMnO2. LiNiO2 중에서 선택한 1종의 리튬금속산화물을 사용하며, 부극 활물질로는 탄소를 함유하는 탄소질재료를 사용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그 기공이 사선 모양으로 분포되도록 하여 횡단 강도를 보완할 수 있으며, 또한 세퍼레이터의 찢어짐으로 인한 급격한 내부 쇼트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지의 발화, 파열 및 폭발을 방지할 수 있어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기공의 분포를 권취 방향에 대하여 사선 형태로 구성하고, 정극 및 부극과 함께 권취되므로 전극군을 형성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의 사선 경사도는 3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3. 권취 방향에 대하여 사선 형태로 기공이 분포된 세퍼레이터, 정극 및 부극을 함께 권취하여 형성된 전극군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의 사선 경사도는 3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폴리올레핀계의 단일 또는 복합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극 활물질로는 LiCoO2, LiMnO2. LiNiO2 중에서 선택한 1종의 리튬금속산화물을 사용하며, 부극 활물질로는 탄소를 함유하는 탄소질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19990052635A 1999-11-25 1999-11-25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이차전지 KR100696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635A KR100696452B1 (ko) 1999-11-25 1999-11-25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635A KR100696452B1 (ko) 1999-11-25 1999-11-25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097A true KR20010048097A (ko) 2001-06-15
KR100696452B1 KR100696452B1 (ko) 2007-03-16

Family

ID=1962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635A KR100696452B1 (ko) 1999-11-25 1999-11-25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6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8929B2 (en) 2009-09-02 2013-10-29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eparators having crossing pores and rechargeable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2063A (ja) * 1986-09-12 1988-04-01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H0652844A (ja) * 1992-07-29 1994-02-2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アルカリ蓄電池用セパレータ
JP3011309B2 (ja) * 1994-05-12 2000-02-21 宇部興産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タ及びその製法
JP3351243B2 (ja) * 1996-07-02 2002-1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型アルカリ蓄電池とその製造法
JPH11297297A (ja) * 1998-04-10 1999-10-29 Ube Ind Ltd 多孔質フイ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多孔質フイ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8929B2 (en) 2009-09-02 2013-10-29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eparators having crossing pores and rechargeable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6452B1 (ko) 200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750B1 (ko)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KR100686813B1 (ko) 이차 전지
US7378185B2 (en) Prismatic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porous heat resistant layer
US8758917B2 (en) Secondary battery
KR20090106841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JP2000077061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010011900A (ko) 리튬 이차전지
JP4329326B2 (ja) 温度保護素子ユニット付き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パック
KR101288650B1 (ko)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이차전지
JP4218792B2 (ja) 非水二次電池
US11069935B2 (en) Cell and battery
JPH11154500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H08148184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0357505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2246068A (ja) 非水系二次電池
CN110380141A (zh) 电芯及电化学装置
KR100696452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이차전지
JP2000294229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100670451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JPH11121040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H11204096A (ja) 非水電解液電池及び非水電解液電池パック
KR101883535B1 (ko) 안전성이 강화된 이차 전지용 분리막
JPH10112305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59709A (ko) 권취형 전극 조립체
JP3774095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輸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