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787A - 피시엠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피시엠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787A
KR20010047787A KR1019990052159A KR19990052159A KR20010047787A KR 20010047787 A KR20010047787 A KR 20010047787A KR 1019990052159 A KR1019990052159 A KR 1019990052159A KR 19990052159 A KR19990052159 A KR 19990052159A KR 20010047787 A KR20010047787 A KR 20010047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signal
unit
data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680B1 (ko
Inventor
나경문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6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031P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96Connection circuit/link/trunk/junction, bridge, router, gatew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가입자의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와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라인과 신호 라인으로 가입자 데이터와 신호를 트렁크부로 입력하고 상기 트렁크부로부터 중계선을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데이터 라인과 신호 라인으로 입력받는 제1 가입자부와,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가입자 데이터를 트렁크부로 입력하고 상기 트렁크부로부터 중계선을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데이터를 데이터 라인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1 가입자부의 신호 라인을 공유하는 복수개의 가입자부를 구비한 가입자 부와; 상기 가입자부와 연결되어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중계선을 통해 상대측 가입자에게 전송하고, 상대측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상기 가입자부에 전송하는 트렁크부와; 상기 가입자부와 트렁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하여, 신호 라인을 감소시켜 설계 비용을 절감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피시엠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subscriber signal in PCM transmission equipment}
본 발명은 PCM(Pulse Code Modulation, 펄스 부호 변조)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 보드를 많이 수용하여 트렁크(Trunk) 보드와 가입자 보드 사이의 신호 라인이 증가하여 시스템에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도록 신호 라인을 감소시켜 설계 비용을 절감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한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10은 가입자의 단말기이고, 20은 시스템의 마더 보드인 가입자신호 처리부이며, 30은 상기 가입자(10)로부터 데이터와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복수개의 가입자부이고, 40은 상기 복수개의 가입자부(30)에서 각각 데이터 라인과 신호 라인으로 가입자 데이터와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복수개의 가입자부(30)로 중계선을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각각 데이터 라인과 신호 라인으로 입력하는 트렁크부이며, 50은 상기 가입자부(30)와 트렁크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도2는 도1에서 가입자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와 접속하는 가입자 접속부(31)와; 상기 가입자 접속부(31)와 연결되어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2)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2)와 연결되어 가입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33)와; 상기 가입자 접속부(31)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2)와 데이터 처리부(33)와 연결되어 가입자의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34)로 구성된다.
도3은 도2에서 신호처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분주부와 논리합소자로 이루어져 클럭을 분주하는 클럭부(35)와; 가입자(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수신신호 검출부로 이루어진 수신부(36)와; 상기 가입자(10)에게 송신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신호 발생부와 논리합소자로 이루어진 송신부(37)로 구성된다.
도4는 도1에서 트렁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렁크부(40)의 중계선 인터페이스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41)와; 상기 컨트롤부(41)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입자부(3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E1 프레이밍을 수행하는 E1 프레이머(42)와; 상기 컨트롤부(41)에 국부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오실레이터(4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입자 단말기(10)에서 발생한 데이터 및 신호 정보는 가입자부(30)의 데이터 처리부(33)와 신호처리부(34)를 거쳐 트렁크부(40)의 E1 프레이머(42)를 통해 상대측 가입자에게 위 과정의 역순으로 전송된다.
이때 제1 가입자부(30)에 접속된 가입자 데이터 및 신호 정보는 UP_S1과 UP_D1을 통하여 트렁크부(40)로 전송되고, 상대측 트렁크부(40)의 DOWN_S1, DOWN_D1을 통하여 상대측 가입자에게 전송된다. 그리고 제2 가입자부(30)에 접속된 가입자 데이터 및 신호 정보는 UP_S2, UP_D2, DOWN_S2, DOWN_D2를 거쳐 전송된다.
이 경우 가입자 송신 데이터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32)와 데이터 처리부(33)를 거쳐 UP_D 라인을 통하여 트렁크부(40)로 전송되고, 가입자 송신 신호는 신호처리부(34)에서 발생시켜 UP_S 라인을 통하여 트렁크부(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대측 트렁크부(40)의 DOWN_D는 가입자부(30)의 데이터처리부(33)를 거쳐 가입자에게 전달되며, DOWN_S는 신호처리부(34) 내의 수신부(36)에서 신호를 검출하여 가입자 접속부(31)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가입자의 송수신 데이터 정보는 데이터 처리부(33)에서 발생되는 8비트 정보를 그대로 전송하지만, 가입자의 신호 정보는 송신 신호의 경우 가입자 상태를 감시하여 신호처리부(34) 내의 송신부(37)의 송신 신호 발생부에서 8비트 신호를 한 타임슬롯 만큼 UP_S 라인을 통하여 트렁크부(40)로 보내고, 수신 신호의 경우 트렁크부(40)의 DOWN_S 라인을 통하여 받은 8비트 신호 중 A, B 비트만 수신부(36) 내의 수신 신호 검출부를 통해 추출하여 가입자 접속부(31)를 통제하게 된다.
그래서 도3의 수신부(36)의 수신신호 검출부에서는 2M 클럭과 A_EN, B_두에 의하여 DOWN_S로부터 RX_A[1:4]와 RX_B[1:4]를 검출한다. 여기서 A_EN과 B_EN는 A, B 비트 만큼만 인에이블 신호가 열리는 신호이다.
또한 송신부(37)에서 논리합소자에 입력되는 TSC[1:4]는 [1:4]번 가입자 채널의 타임슬롯이고, TX_A[1:4]는 [1:4]번 가입자의 A 비트 신호 정보이며, TX_B[1:4]는 [1:4]번 가입자의 B 비트 신호 정보이다. 그래서 송신신호 발생부에서는 입력 TX_A[1:4]와 TX_B[1:4]에 따라 A, B 비트가 결정되고 C, D 비트는 0, 1로 고정되어 반복적으로 출력하게 되고, 논리합 소자에서 출력되는 UP_S[1:4]의 경우는 TSC[1:4]에 따라 가입자 보드[1:4]의 신호 정보가 출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제1 가입자 보드에 접속된 가입자는 UP_D1, UP_S1, DOWN_D1, DOWN_S1 라인을 거쳐야만 트렁크 보드와 데이터 및 신호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고, 제2 가입자 보드에 접속된 가입자는 UP_D2, UP_S2, DOWN_D2, DOWN_S2 라인을 통해서만 트렁크 보드와 데이터 및 신호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제3 및 제4 가입자 보드에 접속된 가입자는 UP_D/S[3:4], DOWN_D/S[3:4]를 통해서만 데이터 및 신호 정보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이 가입자 보드를 많이 수용하면 할수록 트렁크 보드와 가입자 보드 사이의 신호를 가입자 보드가 한 개 증가할 때마다 신호 라인은 4개씩 증가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가입자 보드가 증가하면 시스템 마더 보드인 가입자 신호 처리 장치의 라인수가 증가하게 되어 설계 비용 및 라인간의 간섭으로 인한 노이즈가 증가하여 시스템 성능 및 기능에 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 보드를 많이 수용하여 트렁크 보드와 가입자 보드 사이의 신호 라인이 증가하여 시스템에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도록 신호 라인을 감소시켜 설계 비용을 절감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는,
가입자의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와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라인과 신호 라인으로 가입자 데이터와 신호를 트렁크부로 입력하고 상기 트렁크부로부터 중계선을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데이터 라인과 신호 라인으로 입력받는 제1 가입자부와,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가입자 데이터를 트렁크부로 입력하고 상기 트렁크부로부터 중계선을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데이터를 데이터 라인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1 가입자부의 신호 라인을 공유하는 복수개의 가입자부를 구비한 가입자 부와; 상기 가입자부와 연결되어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중계선을 통해 상대측 가입자에게 전송하고, 상대측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상기 가입자부에 전송하는 트렁크부와; 상기 가입자부와 트렁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도1에서 가입자부의 상세블록도이며,
도3은 도2에서 신호처리부의 상세블록도이고,
도4는 도1에서 트렁크부의 상세블록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6은 도5에서 가입자부의 상세블록도이며,
도7은 도6에서 신호처리부의 상세블록도이고,
도8은 도7에서 신호의 타이밍도이며,
도9는 도5에서 트렁크부의 상세블록도이고,
도10은 도9에서 신호 컨버터부의 상세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입자 100 : 가입자신호 처리부
200 : 가입자부 300 : 트렁크부
400 : 제어부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의 단말기(10)로부터 데이터와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라인과 신호 라인으로 가입자 데이터와 신호를 트렁크부(300)로 입력하고 상기 트렁크부(300)로부터 중계선을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데이터 라인과 신호 라인으로 입력받는 제1 가입자부와,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가입자 데이터를 트렁크부(300)로 입력하고 상기 트렁크부(300)로부터 중계선을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데이터를 데이터 라인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1 가입자부의 신호 라인을 공유하는 복수개의 가입자부를 구비한 가입자 부(200)와; 상기 가입자부(200)와 연결되어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중계선을 통해 상대측 가입자에게 전송하고, 상대측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상기 가입자부(200)에 전송하는 트렁크부(300)와; 상기 가입자부(200)와 트렁크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도6은 도5에서 가입자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의 단말기(10)와 접속하는 가입자 접속부(210)와; 상기 가입자 접속부(210)와 연결되어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20)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20)와 연결되어 가입자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230)와; 상기 가입자 접속부(210)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20)와 데이터 처리부(230)와 연결되어 가입자의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40)로 구성된다.
도7은 도6에서 신호처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을 분주시키는 클럭분주부(251)와, 입력된 클럭을 논리합하여 상기 가입자부(200)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논리합소자(252 ~ 259)를 구비한 클럭부(250)와; 가입자로부터 수신된 정보에서 가입자 신호 정보를 추출하는 수신신호 검출부(261)를 구비한 수신부(260)와; 가입자 정보와 상기 클럭부(250) 내의 논리합소자(252 ~ 259)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논리곱하는 논리곱소자(271)와, 가입자의 송신 정보에서 상태 감시 정보를 입력받고 동기를 맞추어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송신신호 발생부(272)와, 상기 논리곱소자(271)와 송신신호 발생부(272)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상기 가입자부(200)에서 출력되는 가입자의 신호 정보를 출력하는 논리합소자(273)를 구비한 송신부(270)로 구성된다.
도9는 도5에서 트렁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렁크부(300)의 중계선 인터페이스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310)와; 상기 컨트롤부(3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입자부(200)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E1 프레이밍을 수행하는 E1 프레이머(320)와; 상기 컨트롤부(310)에 국부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오실레이터(330)와; 상기 가입자부(200)에서 가입자의 신호 정보를 입력받아 가입자의 신호정보에 따라 상기 E1 프레이머(320)의 프레이밍 동작이 가입자 별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신호 컨버터부(340)로 구성된다.
도10은 도9에서 신호 컨버터부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을 분주시키는 클럭분주부(351)와, 입력된 클럭을 논리합하여 상기 트렁크부(300)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논리합소자(352 ~ 359)를 구비한 클럭부(350)와; 상기 가입자부(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서 가입자 신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E1 프레이머(320)가 요구하는 형태의 신호를 만들어 보내는 수신신호 검출부(361)를 구비한 수신부(360)와; 상기 가입자부(200)의 송신 정보에서 상태 감시 정보를 입력받고 동기를 맞추어 송신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신호 발생부(271)를 구비한 송신부(3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가입자 보드와 트렁크 보드 사이에는 한 가입자 보드에 대하여 송수신 데이터 라인 2개, 송수신 라인 2개 등 모드 4개의 라인이 있어야 하고, 4개의 가입자 보드에는 16개의 데이터/신호 라인이 필요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4개의 가입자 보드에 대해서 8개의 데이터 라인과 2개의 신호라인만 있으면 가입자 데이터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래서 가입자의 데이터 정보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전송되고, 가입자 신호 정보는 제1 내지 제4 가입자 보드가 모두 UP_S, DOWN_S 두 라인을 통하여 신호 정보를 주고받는다.
그리고 제1 가입자부의 송신 신호는 제1 가입자부의 상태 감시 정보인 TX_A1, TX_B1 신호를 신호처리부(240) 내의 송신부(270) 내의 송신신호 발생부(272)에서 2M, 8K 클럭에 동기를 맞추어 4번 복사해서 출력하고, 이것을 한 타임슬롯의 8비트 중 상위 7, 8 비트 동안 유효한 값을 읽을 수 있는 A1_EN, B1_EN 신호로 읽어 UP_S로 보낸다. 이 경우 상위 7, 8 비트 외의 나머지 비트(1 ~ 6 비트)는 모두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제2 가입자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송신신호 발생부(272)에서 출력된 신호인 TX_A2, TX_B2를 같은 타임 슬롯의 8 비트 중 상위 5, 6 비트 동안 유효한 값을 읽을 수 있는 A2_EN, B2_EN 신호로 읽어 UP_S로 보내고, 역시 5, 6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는 모두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또한 제3 및 제4 가입자부의 경우 하위 3, 4 비트, 하위 1, 2 비트 동안 유효한 값을 읽을 수 있는 A3_EN, B3_EN, A4_EN, B4_EN 신호로 읽어 UP_S로 보내면 UP_S 라인에는 하나의 타임슬롯에 가입자 4개의 송신 신호 정보가 실려서 트렁크부(300)로 보내진다.
이렇게 전달된 UP_S 신호는 트렁크부(300) 내의 신호컨버터부(340)의 수신부(360)에서 수신신호 검출부(361)를 통하여 제1 내지 제4 가입자부(200)의 송신 신호 정보를 검출하여 종래의 8비트 신호 정보와 동일한 형태로 제1 내지 제4의 E1 프레이머(320)로 보내져 전송로 구간을 거쳐 상대측 트렁크 보드로 전송된다.
또한 E1 프레이머(320)에서 수신된 제1 내지 제4 가입자부(200)의 신호 정보 CRX[1:4]는 트렁크부(300)의 내의 신호 컨버터부(340) 내의 송신부(370)에서 각 가입자 보드의 A, B 비트 정보를 2M, 8K 클럭의 동기에 맞추어 추출하고 제1 가입자부의 수신정보는 한 타임슬롯의 상위 7, 8 비트에, 제2 내지 제4 가입자부의 수신정보는 (6, 5), (4, 3), (2, 1) 비트에 실어 DOWN_S에 포함하여 각 가입자 보드로 보내고, 각 가입자 보드에서는 신호 처리부(240)의 수신부(260)에서 신호 정보를 추출하여 가입자 접속부(210)를 통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8은 도7에서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그래서 가입자부(200) 내의 신호처리부(240) 내의 송신부(270)의 송신신호 발생부(272)에서는 가입자 신호 정보인 TX_A, TX_B를 2M, 8K 클럭에 동기를 맞추어 반복해서 출력하게 되고, TSC[1:4], A[1:4]_EN, B[1:4]_EN을 입력받는 논리곱소자(271)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4 가입자부(200)의 신호 정보를 UP_S에 실어서 트렁크부(300)로 보내게 된다.
또한 수신부(260) 내의 수신신호 검출부(261)에서는 가입자 신호 정보인 RX_A, RX_B를 2M 클럭과 A[1:4]_EN, B[1:4]_EN에 의하여 DOWN_S로부터 가입자부(200)의 신호를 검출하여 가입자 접속부(210)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트렁크부(300) 내의 신호 컨버터부(340) 내의 송신부(370)는 송신신호 발생부(371)에서 각각의 E1 프레이머(320)로부터 CRX[1:4]를 받아 각 가입자 보드의 A, B 신호를 TSC[1:4], A[1:4]_EN, B[1:4]_EN과 2M 클럭의 동기에 맞추어 DOWN_S에 실어 각 가입자 보드(200)로 보낸다.
또한 수신부(360) 내의 수신신호 검출부(361)에서는 2M 클럭과 A[1:4]_EN, B[1:4]_EN, TSC[1:4]에 의하여 UP_S로부터 가입자 보드(200)의 신호를 검출하여 E1 프레이머(320)가 요구하는 형태의 CTX[1:4] 신호를 만들어 각각의 E1 프레이머(320)로 보내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입자 보드를 많이 수용하여 트렁크 보드와 가입자 보드 사이의 신호 라인이 증가하여 시스템에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도록 신호 라인을 감소시켜 설계 비용을 절감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는 가입자 신호의 처리를 위한 시스템의 마더 보드 설계시 신호 라인이 종래의 1/4로 줄어들어 설계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신호 라인이 줄어들어 각 신호 라인들간의 간섭 및 노이즈가 줄게 되어 전체 시스템이 노이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성능 및 기능의 장애를 감소시키고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가입자의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와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라인과 신호 라인으로 가입자 데이터와 신호를 트렁크부로 입력하고 상기 트렁크부로부터 중계선을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데이터 라인과 신호 라인으로 입력받는 제1 가입자부와,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가입자 데이터를 트렁크부로 입력하고 상기 트렁크부로부터 중계선을 통해 입력된 가입자의 데이터를 데이터 라인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제1 가입자부의 신호 라인을 공유하는 복수개의 가입자부를 구비한 가입자 부와;
    상기 가입자부와 연결되어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중계선을 통해 상대측 가입자에게 전송하고, 상대측 가입자의 데이터와 신호를 상기 가입자부에 전송하는 트렁크부와;
    상기 가입자부와 트렁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입자 접속부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데이터 처리부와,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 상기 가입자부에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클럭을 분주시키는 클럭분주부와, 입력된 클럭을 논리합하여 상기 가입자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논리합소자를 구비한 클럭부와;
    가입자로부터 수신된 정보에서 가입자 신호 정보를 추출하는 수신신호 검출부를 구비한 수신부와;
    가입자 정보와 상기 클럭부 내의 논리합소자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논리곱하는 논리곱소자와, 가입자의 송신 정보에서 상태 감시 정보를 입력받고 동기를 맞추어 송신신호를 발생하는 송신신호 발생부와, 상기 논리곱소자와 송신신호 발생부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상기 가입자부에서 출력되는 가입자의 신호 정보를 출력하는 논리합소자를 구비한 송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부는,
    상기 트렁크부의 중계선 인터페이스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컨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입자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의 E1 프레이밍을 수행하는 E1 프레이머와;
    상기 컨트롤부에 국부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오실레이터와;
    상기 가입자부에서 가입자의 신호 정보를 입력받아 가입자의 신호정보에 따라 상기 E1 프레이머의 프레이밍 동작이 가입자 별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신호 컨버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컨버터부는,
    클럭을 분주시키는 클럭분주부와, 입력된 클럭을 논리합하여 상기 트렁크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논리합소자를 구비한 클럭부와;
    상기 가입자부로부터 수신된 정보에서 가입자 신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E1 프레이머가 요구하는 형태의 신호를 만들어 보내는 수신신호 검출부를 구비한 수신부와;
    상기 가입자부의 송신 정보에서 상태 감시 정보를 입력받고 동기를 맞추어 송신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신호 발생부를 구비한 송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KR10-1999-0052159A 1999-11-23 1999-11-23 피시엠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KR10042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159A KR100428680B1 (ko) 1999-11-23 1999-11-23 피시엠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159A KR100428680B1 (ko) 1999-11-23 1999-11-23 피시엠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787A true KR20010047787A (ko) 2001-06-15
KR100428680B1 KR100428680B1 (ko) 2004-04-30

Family

ID=1962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159A KR100428680B1 (ko) 1999-11-23 1999-11-23 피시엠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03Y1 (ko) * 2010-08-06 2012-01-30 윤종두 통전 레일
KR20200124956A (ko) * 2019-04-25 2020-11-04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cm 데이터를 처리하는 ccfp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77565D1 (en) * 1982-12-22 1988-09-01 Siemens Ag Communications installation, in particular a private branch exchange with subscriber and trunk groups and interface modules
JPH05153653A (ja) * 1991-11-26 1993-06-18 Nec Corp 無線多元接続集線システム
KR100305759B1 (ko) * 1998-12-28 2001-11-30 서평원 셀확장을위한이중인터페이스보드가구비된덱트시스템
KR20010045781A (ko) * 1999-11-08 2001-06-05 윤종용 무선가입자망에서 다수 가입자를 정합하는 가입자정합장치및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03Y1 (ko) * 2010-08-06 2012-01-30 윤종두 통전 레일
KR20200124956A (ko) * 2019-04-25 2020-11-04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cm 데이터를 처리하는 ccfp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8680B1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6724A (en) Input/output data port with a parallel and serial interface
KR0177733B1 (ko) 데이타 전송장치의 클럭동기 회로
US4642805A (en) Digital link for telephone station sets
KR100428680B1 (ko) 피시엠 전송장비의 가입자신호 처리장치
CN106209292A (zh) 一种利用过采样方法实现stm‑1的sdh光接口的方法与装置
JPH07297803A (ja) データ速度変換装置
AU592641B2 (en) Data transfer between data processing equipment
CN100484122C (zh) V35接口与时分复用接口之间的时钟信号转换电路
US6195702B1 (en) Modem for maintaining connection during loss of controller synchronism
KR100201410B1 (ko) 디지탈 키세트의 데이타 송수신 장치
KR960000539B1 (ko) 동기데이타링크제어/고레벨데이타링크제어(sdlc/hdlc)통신에서의 데이타프레임 동기비트생성장치
JPS61280145A (ja) デ−タ交換接続方式
KR940008107B1 (ko) 데이타 전송장치
KR0164101B1 (ko) 광 케이블 텔레비젼 전송망에서의 가입자 접속/단말 장치간 통신을 위한 신호 프레임 통신장치
KR100202993B1 (ko) 통신포트와 백보드상의 코넥터간 정합장치
KR0137088Y1 (ko) 통신장비 엔에이에스, 시이피티, 디에스 1간 라인신호 변환장치
KR20020056340A (ko) 광역통신망에서의 연동을 위한 라우터 접속장치
KR0122879Y1 (ko) 캐스케이드에서의 직렬데이타 송수신 장치
JPH0421231A (ja) シリアル入出力通信方法
KR100388269B1 (ko) 이종 t3 프레임을 위한 제어 데이타 통신 장치
KR0128896B1 (ko) 캐스캐이드로 접속된 원격 송수신장치
KR19980073080A (ko) 데이터 처리 접속 장치에서 마스킹신호 생성 회로
KR20010039219A (ko) 팩스 모뎀 시스템에서 샘플링 클럭신호의 동기화 장치
JPS60199258A (ja) デイジタル通信方式
JPS6236935A (ja) 同期制御切替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