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7066A -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 Google Patents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7066A
KR20010047066A KR1019990051109A KR19990051109A KR20010047066A KR 20010047066 A KR20010047066 A KR 20010047066A KR 1019990051109 A KR1019990051109 A KR 1019990051109A KR 19990051109 A KR19990051109 A KR 19990051109A KR 20010047066 A KR20010047066 A KR 2001004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inforcing bars
fixed frame
emergency evacuation
movab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구용
박세구
Original Assignee
박구용
박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구용, 박세구 filed Critical 박구용
Priority to KR101999005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47066A/ko
Priority to KR2019990025377U priority patent/KR200179344Y1/ko
Publication of KR2001004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06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8Earthquake withstanding shelters
    • E04H9/029Earthquake withstanding shelters arranged inside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지진발생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비상대피설비가 제안된다. 비상대피설비는, 실내의 벽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 고정프레임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한 이동프레임, 및 이동프레임이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신장된 상태 및 고정프레임과 중첩되어 벽면측으로 수축된 상태간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이동프레임이 신장된 상태에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대피공간이 형성된다. 고정프레임 및 이동프레임은, 아아치형상으로 만곡된 다수의 철근, 및 철근들의 상면을 덮는 금속 재질의 커버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강성이 강함과 동시에 그 중량이 적게 나가는 비상대피설비가 제공되어, 비상대피설비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비상대피설비가 적은 실내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appliance for providing a shelter from an earthquake}
본 발명은 지진 발생시 대피할 수 있는 비상대피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실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상대피설비에 관한 것이다.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에는 건물의 붕괴, 화재 발생, 및 인명피해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피해와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현대의 과학기술로는 지진의 발생 여부 및 그 강도에 대해서는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하여, 지진에 의한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진 발생시 대피요령의 숙지 및 지진에 대비한 비상설비의 구비가 요망된다.
일본이나 미국 서부 등과 같이 지진 발생의 빈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지진 발생시 대피요령 중의 하나로서, 지진의 조짐이 보일 경우 곧바로 문틀 밑으로 대피할 것을 권하고 있다. 그러한 이유는, 문틀과 같이 건물의 다른 부위에 비해 강성이 강한 프레임이 존재하는 부분은 건물이 무너질 경우에도 무너질 확률이 적어서, 붕괴되는 건물 더미에 의한 직접적인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건물이 완전히 붕괴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문틀 부위에는 사람이 생존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피요령은 지진에 의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은 될 수 있으나, 큰 규모의 지진에는 여전히 적절한 대비책이 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큰 빌딩과 같이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은 작은 규모의 빌딩 또는 일반 가정에서는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비상대피설비를 구비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개개인이 지진 대피용 설비를 구비하고자 하여도, 지진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고강성의 설비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그 중량 및 크기가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중량이 가볍고,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비상대피설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그러한 설비가 존재하지 않아 집안에 지진대피설비를 구비하기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지진 발생시 대피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며, 또한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실내에 설치하기가 용이한 지진 발생시 비상대피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설비의 고정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설비의 이동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설비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비상대피설비의 신장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기판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설비의 도어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간이의자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고정프레임 23 : 철근
25 : 고정부재 27 : 기판
28 : 가이드레일 30 : 이동프레임
33 : 철근 35 : 고정부재
37 : 기판 38 : 볼베어링
41, 42 : 도어 50 : 걸이
60 : 간이의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설비는, 실내의 벽면에 밀착배치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적어도 측방과 상방에 걸쳐 연장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측방과 상방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신장된 상태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중첩되어 벽면측으로 수축된 상태간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이 신장된 상태에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대피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아아치(arch)형상으로 만곡된 복수의 철근; 상기 철근들이 상호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철근들을 상대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아아치형상으로 만곡되어 상기 철근들의 상면을 덮는 금속 재질의 커버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저중량 및 고강성의 비상대피설비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도어에 밀착된 기립상태 및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수평상태간을 회동가능한 간이의자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대피설비 내에는,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는 다종의 구호물품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성이 강함과 동시에 그 중량이 적게 나가는 비상대피설비가 제공되어, 비상대피설비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비상대피설비가 적은 실내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설비 프레임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고정프레임(20)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이동프레임(30)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설비는 고정프레임(20) 및 이동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프레임(20)은 실내의 벽면에 밀착배치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이동프레임(30)은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고정프레임(20)은 다수의 철근(23), 철근(23)들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부재(25), 철근(23)의 하부에서 철근(23)을 지지하는 기판(27), 및 철근(23)을 덮는 커버플레이트(21)로 구성되어 있다. 철근(23)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아아치(arch)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만곡된 철근(23)들에 의해 고정프레임(20)은 실질적으로 측방 및 상방에 걸쳐 연장형성되게 된다.
고정부재(25)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아의 형상을 가지며, 철근(23)이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철근(23)들이 상호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부재(25)에 의해 상대고정된다.
커버플레이트(21)는 철근(23)들에 의해 형성된 고정프레임(2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띠 형상의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플레이트(21)는 고강성과 저중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커버플레이트(21) 또한 아아치형상으로 만곡되어 철근(23)들의 상면을 덮는다.
각 철근(23)의 두께는 25mm이고, 각 철근(23)들 사이의 간격은 100mm이다. 따라서 여섯 개의 철근(23)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20)의 폭은 500mm가 된다. 또한, 고정프레임(20)의 수평거리는 1,050mm이며, 고정프레임(20)의 높이는 1,200mm이다. 철근(23)의 두께와 철근(23)간의 간격은, 지진에 의한 건물 붕괴시에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하고 또한, 지나치게 크지 않은 중량을 갖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된 수치이다. 또한, 고정프레임(20)의 폭과 높이는 설치되는 실내의 공간상의 제약 및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정도로 요구되는 크기를 감안하여 설정된 수치이다.
이동프레임(30)은 고정프레임(20)과 중첩되도록 고정프레임(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동프레임(30)은 고정프레임(20)과 마찬가지로 또한 측방과 상방에 걸쳐 연장되도록 만곡된 다수의 철근(33), 철근(33)을 지지하는 고정부재(35), 철근(33)의 하부에서 철근을 지지하는 기판(37), 및 철근(33)을 덮는 커버플레이트(31)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상세한 구성은 전술한 고정프레임(20)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이동프레임(30)의 수평거리는 1,000mm이고 높이는 1,170mm로서, 고정프레임(20)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20)보다 다소 작게 설정되어 있다.
고정프레임(20)의 기판(27)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8)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28)에는 고정프레임(20)의 폭방향을 따라 가이드그루브(28a)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프레임(30)의 기판(37)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이 원형 홈(39)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39)에는 볼베어링(38)이 수용되어 있다. 이 볼베어링(38)은 가이드레일(28)의 가이드그루브(28a)에 수용되며, 이에 따라 이동프레임(30)이 가이드레일(28)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28)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0)이 설치된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신장된 상태,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0) 내에 수용되도록 벽면측으로 수축된 상태간을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동프레임(3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상태에서, 이동프레임(30)과 고정프레임(20)은 비상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대피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이동프레임(30)의 기판(37)의 하부 전방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36)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36)는 이동프레임(30)의 신장상태에서 기판(37)을 바닥면 상에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동프레임(30)의 전면에는 한 쌍의 도어(41, 42)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41, 42)는 각각 이동프레임(30)의 양 측면에 힌지(4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어(41, 42)에는 붕괴된 건물더미에 의해 그 개폐가 제한될 경우에도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작은 비상도어(41a, 42a)가 힌지(45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비상도어(41a, 41b)는 도어(41, 42)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며, 바람직하게는 도어(41, 42)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개폐된다. 또한, 도어(41, 42)의 상부에는 대피한 사람이 밖을 조망할 수 있도록 조망용 창(4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어(41, 42)의 내측면을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1, 42)의 내측면에는 비상대피설비 내에 대피한 사람이 비상시에 필요로 하는 도구 및 품목들이 구비되어 있다. 즉, 도어(41, 42)의 내측면에는 정전에 대비한 후레쉬(51),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라디오(53), 비상식량(55), 식수(57), 구급약(59), 소화기(67)등이 걸려있다. 이러한 다종의 구호물품들을 걸어놓기 위해서, 도어(41, 42)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걸이(50)들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41, 42)의 양측방에는 간이의자(6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간이의자(60)는 도어(41, 42)에 밀착된 기립상태 및 대피한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수평상태간을 회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비상시 대피한 사람은 간이의자(60)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시키고 그 위에 앉은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이의자(60)위에는 밴드(63)로 고정된 모포(61)가 놓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포(61)는 쿠션역할을 함과 동시에 비상시에 추위를 방지하기 위해 덮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설비는 비상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비상파이프는 고정프레임(20)과 이동프레임(3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와 비상대피설비가 설치된 건물 외부의 공간을 연통시킨다. 즉, 비상파이프는 보일러의 연통 등을 설치하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건물외부 공간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비상파이프를 설치하면, 건물 붕괴시에도 외부의 구조요원들과 통신을 하거나 비상식수 등을 공급받기가 용이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설비는 이동프레임(30)을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장치는, 예컨데, 이동프레임(30)의 기판(37)에 설치되는 랙(rack),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pinion), 및 피니언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버튼을 누르면 구동모터가 구동하고, 이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과 랙에 의해 이동프레임(30)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조작버튼을 눌러 이동프레임(30)을 신장시키고 그 내부로 대피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 이동장치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자동 이동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이동프레임(30)을 신장시키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고정프레임(30)의 후측면에는 몇 개의 철근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철근은 바람직하게는 약 30c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3개 내지 4개 정도 설치된다. 이와 같이 철근을 설치하면, 건물의 붕괴시 비상대피설비가 전방으로 넘어진 경우에도 건물더미가 비상대피설비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람이 더욱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합판 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된 도어(41, 42)에도 몇 개의 철근을 보강할 수도 있다. 도어(41, 42)에 보강되는 철근은 바람직하게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세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도어(41, 42)에 철근을 보완하면 도어(41, 42)의 강성이 더욱 증가되므로, 비상대피설비가 후방으로 넘어질 경우에도 무너지는 건물더미에 의해 도어(41, 42)의 파손이 방지되고 대피한 사람의 안전이 더욱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비상대피설비는 이동프레임(30)이 신장된 상태에서 이동프레임(3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장치의 한 예로서, 고정프레임(20) 내측 하단부의 양 모서리 부근에 별도의 고정용 막대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막대는 고정프레임(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막대를 수평으로 회동시킬 경우 이동프레임(30)이 막대에 걸리어 그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비상대피설비 내에 대피한 사람은 이 막대를 이용하여 이동프레임(3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프레임(30)이 신장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비상대피설비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넘어진 경우에도 고정장치에 의해 비상대피설비가 신장된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대피한 사람의 안전이 더욱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동프레임(30)을 구비한 비상대피설비를 도시하고 있으나, 두 개 이상의 이동프레임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수의 이동프레임이 텔레스코픽(telescopic)구조로 배치되어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의 이동프레임을 구비할 경우, 비상대피설비의 수축상태에서의 크기가 더욱 작아질 수 있으므로, 비상대피설비가 설치되는 실내의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23, 33)을 사용하여 비상대피설비를 제조하되 전체를 철근으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부분적으로 철근(23, 33)들을 이용하므로, 그 강성이 강함과 동시에 그 중량이 적게 나간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비상대피설비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비상대피설비가 상호 상대이동 가능한 고정프레임(20) 및 이동프레임(30)으로 구성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비상대피설비가 적은 실내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비상대피설비 내에 다양한 구호물품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지진 발생시 대피한 사람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지진 발생시 대피할 수 있는 비상대피설비에 있어서,
    실내의 벽면에 밀착배치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적어도 측방과 상방에 걸쳐 연장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측방과 상방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신장된 상태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중첩되어 벽면측으로 수축된 상태간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이 신장된 상태에서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대피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아아치(arch)형상으로 만곡된 복수의 철근; 및
    상기 철근들이 상호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철근들을 상대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설비.
  3.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은,
    아아치형상으로 만곡되어 상기 철근들의 상면을 덮는 금속 재질의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설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설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설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에 밀착된 기립상태 및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수평상태간을 회동가능한 간이의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설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설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는 다종의 구호물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설비.
KR1019990051109A 1999-11-17 1999-11-17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KR20010047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109A KR20010047066A (ko) 1999-11-17 1999-11-17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KR2019990025377U KR200179344Y1 (ko) 1999-11-17 1999-11-18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109A KR20010047066A (ko) 1999-11-17 1999-11-17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377U Division KR200179344Y1 (ko) 1999-11-17 1999-11-18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066A true KR20010047066A (ko) 2001-06-15

Family

ID=1962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109A KR20010047066A (ko) 1999-11-17 1999-11-17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470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90B1 (ko) * 2007-09-27 2010-01-28 장동국 접이식 건축 구조물
KR101399185B1 (ko) * 2010-12-01 2014-05-30 주식회사 새누 대피함 장치를 구비한 범죄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방법
CN107335157A (zh) * 2016-05-03 2017-11-10 马林伟 一种地震应急救生舱
KR20200130957A (ko) * 2019-05-13 2020-11-23 임순임 지진 대피 시스템
KR20200133708A (ko) * 2018-09-27 2020-11-30 이복상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7204U (ko) * 1981-02-24 1982-08-27
JPH0732123U (ja) * 1993-11-30 1995-06-16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移動式シェルタ
JPH07180396A (ja) * 1993-12-21 1995-07-18 Showa Aircraft Ind Co Ltd 拡大式シェルタ
JPH07330075A (ja) * 1994-06-09 1995-12-19 Showa Aircraft Ind Co Ltd 拡大式シェルタ
US5706846A (en) * 1995-09-27 1998-01-13 United Defense, L.P. Protective action system including a deployable system
JPH11247470A (ja) * 1998-02-26 1999-09-14 Showa Aircraft Ind Co Ltd 拡大式シェルタの拡大収納機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7204U (ko) * 1981-02-24 1982-08-27
JPH0732123U (ja) * 1993-11-30 1995-06-16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移動式シェルタ
JPH07180396A (ja) * 1993-12-21 1995-07-18 Showa Aircraft Ind Co Ltd 拡大式シェルタ
JPH07330075A (ja) * 1994-06-09 1995-12-19 Showa Aircraft Ind Co Ltd 拡大式シェルタ
US5706846A (en) * 1995-09-27 1998-01-13 United Defense, L.P. Protective action system including a deployable system
JPH11247470A (ja) * 1998-02-26 1999-09-14 Showa Aircraft Ind Co Ltd 拡大式シェルタの拡大収納機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290B1 (ko) * 2007-09-27 2010-01-28 장동국 접이식 건축 구조물
KR101399185B1 (ko) * 2010-12-01 2014-05-30 주식회사 새누 대피함 장치를 구비한 범죄예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방법
CN107335157A (zh) * 2016-05-03 2017-11-10 马林伟 一种地震应急救生舱
KR20200133708A (ko) * 2018-09-27 2020-11-30 이복상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구조
KR20200130957A (ko) * 2019-05-13 2020-11-23 임순임 지진 대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0949C (en) Shelter
US9121188B2 (en) Personal protective structure
US2229908A (en) Removable roof and screen top for cottages
KR20010047066A (ko)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KR200179344Y1 (ko) 지진 대피용 비상대피설비
JP6332674B2 (ja) 津波救命シェルターハウス
KR20110006763A (ko) 화재시 방열천이 덮어주는 베란다 난간대
JP3693703B2 (ja) 震災避難用シェルタ付きベッド
JP2007007406A (ja) 安全防護装置
KR101715373B1 (ko) 화재 발생시 대피기능을 갖춘 소방용 공동주택 발코니
JP2019218698A (ja) 防災扉
JPH01500646A (ja) シャワーキャビネット
WO2001053632A1 (en) Rescue capsule for free standing installation inside a building
JP5360636B2 (ja) 安全防護装置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JPH11333014A (ja) 地震等災害用の安全装置
KR20180120516A (ko) 임시 주거용 구조물
KR20050000045A (ko) 매립형 완강기
KR100423866B1 (ko) 비상탈출용 완강기의 지지구조물
CN201394299Y (zh) 地震防护箱
KR102363074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인명구조 소방설비
JP2005016293A (ja) 組立式地震シェルター及び地震シェルター用補強具
JP2015218574A (ja) 津波避難タワー浮上式シェルター
CN215408422U (zh) 一种火灾逃生梯
JP3236159U (ja) 立脚・連結型障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