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516A - 임시 주거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임시 주거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516A
KR20180120516A KR1020170054603A KR20170054603A KR20180120516A KR 20180120516 A KR20180120516 A KR 20180120516A KR 1020170054603 A KR1020170054603 A KR 1020170054603A KR 20170054603 A KR20170054603 A KR 20170054603A KR 20180120516 A KR20180120516 A KR 20180120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anel
forming
bedroom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445B1 (ko
Inventor
박미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4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7Partitions constituted of slid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임시 주거용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주거용 구조물은, 바닥패널 및 천정패널과,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후면패널을 구비하여 거실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의 메인 구조체;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각 일측 단부에 축으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실공간의 한쪽을 개방하여 침실공간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폐쇄하도록 접혀지는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각 타측 단부에 축으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실공간의 다른 쪽을 개방하여 주방공간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폐쇄하도록 접혀지는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상기 침실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펼쳐진 상태의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가장자리에 각각 결착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침실공간 형성부재; 및 상기 주방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펼쳐진 상태의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가장자리에 각각 결착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을 펼친 후 상기 침실공간 형성부재와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침실공간 및 주방공간을 형성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침실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분리한 후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 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을 접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 접혀진 상태의 임시 주거용 구조물을 펼쳐서 재난시 임시 주거용이나 임시 숙박시설 또는 임시 현장 사무실로 사용할 수 있고, 보관시에는 침실공간 형성부재와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분리하고,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을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임시 주거용 구조물{STRUCTURE FOR TEMPORARY RESIDENTIAL}
본 발명은 임시 주거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한의 주거시설을 구비하여 컴팩트 하게 구성됨으로써 필요시에 펼쳐 임시 주거용이나 임시 숙박시설 또는 임시 현장 사무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풍을 포함하는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게릴라성 집중호우 또는 산불과 같은 자연재해는 인명피해는 물론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를 예로 들면, 2002년 8월 발생한 태풍(루사)으로 인해 유실되거나 전파된 주택은 1,720채, 반파 2,503채, 침수 18,719채 등 모두 22,942채의 주택이 피해를 입었으며 이재민 수는 22,553세대 72,660명에 이르고 있다. 또한, 2003년 9월 발생한 태풍(매미)로 인해 주택 6,144채가 피해를 입었으며, 이재민 수는 2,709명에 이르는 등 매년 자연재해로 인한 주택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세계 곳곳에서는 지진 등으로 인한 인명은 물론 주거시설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로 인한 수많은 이재민이 갈 곳을 정하지 못해 이곳저곳을 떠돌거나, 일시적인 수용시설에 한시적으로 거주할 수밖에 없는 실정에 놓여 있다.
재해지역주민들이 주택복구가 완벽하게 이루어져 입주할 때까지 제대로 된 임시 생활공간을 마련해주는 것은 주거권 확보와 생활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현재까지 자연재해로 인해 주택이 전파되거나 유실될 경우 이재민들에게는 임시주거대책의 일환으로 컨테이너 형태의 하우스를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재민들에게 지급된 컨테이너 하우스는 '하우스'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준의 주거시설은 아니며, 다만 운송의 편리를 위해 만든 구조물로써 거주자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의한 임시 거주를 위한 구조물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47475호(공고일 : 2015.08.26)에는 조립식 임시 거주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식 임시 거주 시스템은, 주변 환경과 거주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확장할 수 있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게 구성된 것이나, 주거 공간만을 제공할 뿐 거주자에게 편의시설을 제공하지 못하였고, 별도의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50154호(공고일 : 2016.08.24)에는 종이 하우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이 하우스는, 주거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이 종이로 구성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성이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으나, 강성이 낮아 외력에 쉽게 파손되거나 빗물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59100호(공고일 : 2011.28.24)호에는 접이식 간이 하우스가 개시되어 있다. 접이식 간이 하우스는 각 패널들을 경첩으로 연결하여 사용시에는 펼쳐서 주거공간을 형성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서 보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해 지역이나 전쟁 난민 지역, 건설 현장 숙소 또는 야영지의 임시 숙소 등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접이식 간이 하우스도 패널들을 펼쳐서 주거공간만을 제공할 뿐 주거에 필요한 시설들은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임시 주거 구조물들은 외부와 구분되는 주거 공간만을 제공할 뿐 실질적으로 이재민의 주거에 필요한 주거시설은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47475호(공고일 : 2015.08.26)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50154호(공고일 : 2016.08.24)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59100호(공고일 : 2011.28.24)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와 조리대 및 변기 등과 같은 최소한의 주거시설(집기)을 구비하여 컴팩트 하게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시에 펼쳐 임시 주거용이나 임시 숙박시설 또는 임시 현장 사무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바닥패널 및 천정패널과,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후면패널을 구비하여 거실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의 메인 구조체;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각 일측 단부에 축으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실공간의 한쪽을 개방하여 침실공간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폐쇄하도록 접혀지는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각 타측 단부에 축으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실공간의 다른 쪽을 개방하여 주방공간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폐쇄하도록 접혀지는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상기 침실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펼쳐진 상태의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가장자리에 각각 결착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침실공간 형성부재; 및 상기 주방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펼쳐진 상태의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가장자리에 각각 결착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메인 구조체에서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을 펼친 후 상기 침실공간 형성부재와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침실공간 및 주방공간을 형성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침실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분리한 후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 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을 접어 육면체 형상의 상기 메인 구조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후방패널 방향의 상기 거실공간의 한쪽 바닥에는, 변기와 세면대가 설치된 이동 바닥판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 바닥판은,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을 접을 때,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에 구비되는 침대와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에 구비되는 싱크대 및 테이블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패널에 설치되는 제1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을 따라 상기 거실공간의 중앙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의 양쪽 내측면에는, 상기 거실공간과 침실공간, 그리고 상기 거실공간과 주방공간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한 공간 구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 구분부재는, 커튼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제2 안내레일이나 안내홈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칸막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간 구분부재가 칸막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공간 구분부재는,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을 접을 때,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에 구비되는 침대와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에 구비되는 싱크대 및 테이블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에 상기 침실공간과 주방공간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공간 구분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제2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공간 구분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천정패널의 외측면과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의 외측면 및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의 외측면에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정패널의 외측면에는, 펼쳐진 상태의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의 처짐을 지지하기 위한 처짐방지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천정패널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및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의 각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구에 연결되는 와이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침실공간 형성부재와 주방공간 형성부재는, 내측에 배치되는 방충망, 보온 및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충방의 외측에 결합되는 단열막 및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단열막의 외측에 결합되는 가림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천정패널,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에는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조명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대와 조리대 및 변기 등과 같은 최소한의 주거시설(집기)을 구비한 메인 구조체에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을 펼쳐지게 설치하고,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을 펼쳐지게 설치하며, 펼쳐진 상태의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에 침실공간 형성부재를 설치하고,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에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컴팩트 접혀진 상태의 임시 주거용 구조물을 펼쳐서 재난시 임시 주거용이나 임시 사무실용, 임시 숙박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보관시에는 침실공간 형성부재와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분리하고,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을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임시 주거용 구조물이 컴팩트하게 접힘으로써 보관시 작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사용시에는 펼쳐 임시 주거용이나 임시 숙박시설 또는 임시 현장 사무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주거용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4b는 도 3에 도시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실공간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화장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주거용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4b는 도 3에 도시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주거용 구조물(10)은, 컴팩트하게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다가 사용시에는 회전 전개되어 거실공간(S1)과 침실공간(S2) 및 주방공간(S3)을 형성함으로써 재난 발생시에 임시 주거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바닥패널(22) 및 천정패널(24)과, 도어(26A)를 구비하고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전면패널(26)과,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후면패널(28)을 구비하여 거실공간(S1)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의 메인 구조체(20)와,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의 각 일측 단부에 축으로 각각 결합되어 거실공간(S1)의 한쪽을 개방하여 침실공간(S2)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폐쇄하도록 접혀지는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 및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과,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의 각 타측 단부에 축으로 각각 결합되어 거실공간(S1)의 다른 쪽을 개방하여 주방공간(S3)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폐쇄하도록 접혀지는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 및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와, 침실공간(S2)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펼쳐진 상태의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 가장자리에 각각 결착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침실공간 형성부재(50)와, 주방공간(S3)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펼쳐진 상태의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의 가장자리에 각각 결착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주방공간 형성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임시 주거용 구조물(10)은, 사용시에는,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을 펼친 후 침실공간 형성부재(50)와 주방공간 형성부재(60)를 각각 결합하여 침실공간(S2) 및 주방공간(S3)을 각각 형성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침실공간 형성부재(50)와 주방공간 형성부재(60)를 분리한 후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 패널(30A,30B)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을 접을 수 있음으로써 컴팩트한 부피를 갖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 구조체(20)는, 거실공간(S1)의 바닥을 이루는 소정 크기의 바닥패널(22)과, 바닥패널(22)과 같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바닥패널(22)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거실공간(S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천정패널(24)과, 도어(26A)를 구비하고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전면패널(26)과,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후면패널(28)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메인 구조체(20)에 의해 현관(도어가 설치된 전면패널의 내측에 접한 영역) 및 화장실 공간 등을 구비한 거실공간(S1)이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패널(28) 방향의 거실공간(S1)의 한쪽 바닥에는, 변기(23A)와 세면대(23B)가 설치된 이동 바닥판(23)이 마련된다. 이 이동 바닥판(23)은 필요에 따라 거실공간(S1)의 중앙으로 이동가능하거나 출입구쪽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즉,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과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을 접을 경우에,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A)에 구비되는 침대(32)와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에 구비되는 싱크대(42) 및 테이블(44)에 변기(23A)와 세면대(23B)가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 바닥판(23)이 바닥패널(22)에 설치되는 제1 안내레일(22A) 또는 안내홈을 따라 거실공간(S1)의 중앙으로 이동되어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 바닥판(23)을 안내하는 제1 안내레일(22A) 대신에 안내홈이 바닥패널(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바닥판(23)의 저면에는 제1 안내레일(22A)에 삽입되어 안내되기 위한 돌기 또는 로울러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이동 바닥판(23)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므로 변기(23A)와 세면대(23B)에 연결되는 수도관 및 배수관은 충분한 길이를 갖는 플랙시블 구조의 관이나 호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닥판(23)에는 세면대(23B)나 변기(23A)로부터 발생된 오폐수를 임시 수용하기 위한 오폐수통(23D)이 설치된다. 이러한 오폐수통(23D)은 배수호스를 구비하여 오폐수를 배출시킬 수도 있고, 바닥판(23)에 탈부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23)에는 변기(23A)나 세면대(23B)에서 사용하기 위한 물 저장탱크가 오폐수통(23D)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판(23)에는 변기(23A)만 설치되고, 수전을 구비한 세면대(23B)는 탈부착식으로 구성하여 후면패널(28)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분리하여 다른 공간에 보관할 수도 있다. 이는 세면대(23B)와 변기(23A)가 바닥판(23)에 구비될 경우에 화장실 공간이 비좁아지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판(23)에는 변기(23A)만 설치되므로 확장된 화장실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판(23)에는 방수커튼(23C)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바닥판(23)의 양쪽에 화장실용 벽체(23E)가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양쪽의 벽체(23E)의 상단에는 연결봉이 각각 설치되고, 이 연결봉에 방수커튼(23F)이 각각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판(23)에 벽체(23E)와 방수커튼(23F)이 설치됨으로써, 화장실을 이용한 사용자의 사생활이 보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커튼(23F)이 구비됨으로써 화장실 공간에서 샤워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바닥판(23)은 물받이홈 및 배수구가 구비되어야 하고, 어느 하나의 벽체(23E)에는 샤워기가 설치되야 함은 물론이다.
메인 구조체(20)의 전면패널(26)과 후면패널(28)의 양쪽 내측면에는, 거실공간(S1)과 침실공간(S2), 그리고 거실공간(S1)과 주방공간(S3)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한 공간 구분부재(29)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공간 구분부재(29)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구분부재(29)는,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제2 안내레일(22B)이나 안내홈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칸막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공간 구분부재(29)가 칸막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 구분부재(29)는,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과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을 접을 때,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에 구비되는 침대(32)와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에 구비되는 싱크대(42) 및 테이블(44)에 간섭되지 않도록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의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침실공간(S2)과 주방공간(S3)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안내레일(22B) 또는 안내홈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설치된 양쪽의 공간 구분부재(29)가 서로 근접하도록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고,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펼쳐진 상태(회전 전개된 상태)에서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거실공간(S1)과 침실공간(S2), 그리고 거실공간(S1)과 주방공간(S3)의 경계를 구분하게 된다.
이때, 공간 구분부재(29)의 하단면과 상단면에는 제2 안내레일(22B)에 삽입되어 안내되기 위한 돌기 또는 로울러가 각각 구비되고, 제2 안내레일(22B)은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안내레일(22B) 또는 안내홈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된 공간 구분부재(29)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29A)가 각각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체(29A)는 고무줄 또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탄성체(29A)의 일단은 제2 안내레일(22B) 또는 안내홈에 고정되고, 타단은 공간 구분부재(29)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접혀질 때 공간 구분부재(29)가 탄성체(29A)의 복귀탄성을 발생시키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펼쳐져 공간 구분부재(29)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각각의 공간 구분부재(29)는 탄성체(29A)의 복귀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천정패널(24)의 외측면(상면)과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의 외측면 및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의 외측면에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패널(80)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8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베터리에 저장된 후 조명등(90)에 공급된다. 물론, 배터리의 전원은 임시 주거용 구조물(10)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기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전기장치들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때, 조명등(90)은 천정패널(24)이나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 및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에 구비된다.
전술한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은,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의 각 일측 단부에 축으로 각각 결합되어 거실공간(S1)의 한쪽을 개방하면서 확장하여 침실공간(S2)을 형성하도록 회전 전개(펼쳐짐)되거나, 폐쇄하도록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은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 전개되고,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은 축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 전개된다.
이러한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의 내부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체(100)가 내설되며,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의 저면에는 지면에 지지되기 위한 지지용 다리들이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의 상면 양쪽에는 침대(32 또는 메트리스)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이 접혀질 때,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의 외측면에 구비된 태양광 패널(80)이 파손되지 않도록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을 먼저 접은 후 나중에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을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을 먼저 접은 후 나중에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을 접을 수도 있다.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은, 바닥패널(22)과 천정패널(24)의 각 타측 단부에 축으로 각각 결합되어 거실공간(S1)의 다른 쪽을 개방하여 주방공간(S3)을 형성하도록 회전 전개(펼쳐짐)되거나, 폐쇄하도록 접혀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은 축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 전개되고,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은 하향으로 회전 전개된다. 그리고,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의 상면 한쪽에는 테이블(44)과 의자가 고정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반대쪽에는 싱크대(42)가 고정형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은 서로 접혀질 때,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의 외측면에 구비된 태양광 패널(80)이 파손되지 않도록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을 먼저 접은 후 나중에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이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메인 구조체(20)의 천정패널(24)의 외측면(또는 상면)에는, 상향으로 펼쳐진 상태의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의 처짐을 지지하기 위한 처짐방지수단(27)이 마련된다. 처짐방지수단(27)은, 천정패널(24)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27A)들과, 일단이 지지대(27A)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의 각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구(27B)에 연결되는 와이어(27C)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와이어(27C)의 끝단에는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비너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와이어(27C)에 비너가 구비됨으로써,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을 접거나 펼칠 때 각 와이어(27C)의 단부들을 지지대(27A)와 고정구(27B)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27A)는 나사방식으로 천정패널(24)의 각 코너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처짐방지수단(27)에 의해 펼쳐진 상태의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이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침실공간 형성부재(50)는,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이 펼쳐짐으로 인하여 형성된 침실공간(S2)을 외부와 구분하여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침실공간 형성부재(50)는, 펼쳐진 상태의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의 가장자리에 각각 결착된다. 이러한 침실공간 형성부재(50)는 접힘이 굽힘이 자유로운 플랙시블한 재질, 예를 들면 방수천, 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침실공간 형성부재(5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배치되는 방충망(52)과, 보온 및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방충방(52)의 외측에 결합되는 단열막(54)과,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단열막(54)의 외측에 결합되는 가림막(5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단열막(54)과 가림막(56)은 투시기능, 환기기능, 단열기능, 차광기능, 방충기능 등이 가능한 하나의 형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방충망(52)과 단열막(54)과 가리막(56)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투시, 환기, 단열, 방충, 차광을 위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주방공간 형성부재(60)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의 각 단부 외측면에는 결착부(35)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이 결착부(35)에는 부착수단으로서 지퍼나 벨크로 테잎 등이 구비되며, 방충망(52)과 단열막(54), 그리고 가림막(56)의 상,하부 내,외측면에도 전술한 부착수단이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방충망(52)을 결착부(35)에 부착시키고, 단열막(54)을 방충망(52)의 외측에 구비된 부착수단에 부착하며, 가림막(56)을 단열막(54)의 외측에 구비된 부착수단에 부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착수단이 지퍼나 벨크로 테잎으로 이루어지므로 분리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있다.
이와 같이 침실공간 형성부재(50)가 방충망(52)과 단열막(54) 및 가림막(56)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침실공간(S2)이 외부와 차단됨을 물론, 필요에 따라 방충망(52)을 제외한 단열막(54)과 가림막(56)을 제거하거나 일부분만을 제거함으로써 침실공간(S2)의 환기가 가능하게 되고, 여름에는 벌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주방공간 형성부재(60)는,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각각 펼쳐져서 형성된 주방공간(S3)을 외부와 구분하여 차단하도록 펼쳐진 상태의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의 각 가장자리(단부)에 각각 결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주방공간 형성부재(60)는 전술한 침실공간 형성부재(50)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의 각 가장자리에 단차지게 형성된 결착부(45)에 방충망(62)과 단열막(64) 및 가림막(66)이 차례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10)을 펼쳐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실공간 형성부재(50)와 주방공간 형성부재(60)가 분리되어 제거되고,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이 접혀지며,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접혀지면,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주거용 구조물(10)의 부피는 현저하게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임시 주거용 구조물(10)의 보관시 공간활용도가 높고,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팩트하게 접힌 상태의 임시 주거용 구조물(10)을 펼쳐 사용하기 위해서는,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 및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해제하여,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30A)을 상향으로 펼쳐 와이어(27C)로 지지대(27A)에 연결하고,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을 하향으로 펼친다.
이어서,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을 상향으로 펼친 후 다른 와이어(27C)를 다른 지지대(27A)에 연결하고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을 하향으로 펼친다.
이 과정으로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 및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각각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의 각 결착부(35)에 침실공간 형성부재(50)를 부착하고,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의 결착부(45)에 주방공간 형성부재(60)를 부착하여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구조체(20)의 양쪽에 외부와 차단된 침실공간(S2)과 주방공간(S3)이 각각 형성된다.
이어서,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 및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의 접힘에 간섭되지 않도록 거실공간(S1)의 중앙으로 이동된 이동 바닥판(23)을 후방패널(28) 쪽의 공간 구분부재(29)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시켜 거실공간(S1)을 확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 및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각각 회전 전개됨에 따라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실공간(S2)에는 두 개의 침대(32)가 각각 마련되고, 주방공간(S3)에는 테이블(44)과 의자 및 싱크대(42)가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침실공간(S2)에서 취침과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주방공간(S3)에서 식사와 사무 등을 볼 수 있으며, 거실공간(S1)에서 세면 및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임시 주거용 구조물(10)을 접어 보관하거나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동 바닥판(23)을 거실공간(S1)의 중앙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 바닥판(23)은 제1 안내레일(22A)에 안내되므로 안정되게 슬라이딩 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주방공간 형성부재(60)와 침실공간(50) 형성부재를 각 결착부(45,35)에서 분리하여 접고, 각 와이어(27C)들을 지지대(27A)와 고정구(27B)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을 접고, 그 후에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을 접는다.(하향으로 회전시켜 접음) 또한,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을 상향으로 회전시켜 접은 후에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40A)을 하향으로 회전시켜 접는다.
이와 같이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30B)을 상향으로 회전시켜 접고,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40B)을 상향으로 회전시켜 접을 때, 침대(32)가 침실공간(S2) 쪽에 위치한 공간 구분부재(29)들을 거실공간(S1)의 내측으로 가압하고, 테이블(44)과 싱크대(42)가 주방공간(S3) 쪽에 위치한 공간 구분부재(29)들을 거실공간(S1)의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양쪽의 각 공간 구분부재(29)들은 탄성체(29A)의 복귀 탄성을 발생시키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4b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때, 각각의 공간 구분부재(29)들은 바닥패널(22)의 상면과 천정패널(24)의 저면에 구비된 각 제2 안내레일(22B)에 안내되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 및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모두 접히면, 분리된 침실공간 형성부재(50)와 주방공간 형성부재(60)를 거실공간(S1)에 넣은 후 도어(26A)를 닫아 잠근다. 물론,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 및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펼쳐지지 않도록 별도의 잠금장치로 잠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와 같이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30A,30B) 및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40A,40B)이 접힘으로써 임시 주거용 구조물(10)는 컴팩트하게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보관시에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고,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시 주거용 구조물(10)은, 재난시 임시 주거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식 숙박용, 임시현장 사무실용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임시 주거용 구조물 20 : 메인 구조체
22 : 바닥패널 24 : 천정패널
26 : 전면패널 26A : 도어
27 : 처짐방지수단 28 : 후면패널
30A,30B :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40A,40B :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50 : 침실공간 형성부재
60 : 주방공간 형성부재 80 : 태양광 패널
90 : 조명등

Claims (10)

  1. 바닥패널 및 천정패널과,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후면패널을 구비하여 거실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의 메인 구조체;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각 일측 단부에 축으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실공간의 한쪽을 개방하여 침실공간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폐쇄하도록 접혀지는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각 타측 단부에 축으로 각각 결합되어 상기 거실공간의 다른 쪽을 개방하여 주방공간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폐쇄하도록 접혀지는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상기 침실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펼쳐진 상태의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가장자리에 각각 결착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침실공간 형성부재; 및
    상기 주방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펼쳐진 상태의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 가장자리에 각각 결착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상기 메인 구조체에서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과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을 펼친 후 상기 침실공간 형성부재와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각각 결합하여 상기 침실공간 및 주방공간을 형성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침실공간 형성부재와 상기 주방공간 형성부재를 분리한 후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하부 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하부패널을 접어 육면체 형상의 상기 메인 구조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패널 방향의 상기 거실공간의 한쪽 바닥에는,
    변기와 세면대가 설치된 이동 바닥판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 바닥판은,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을 접을 때,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에 구비되는 침대와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에 구비되는 싱크대 및 테이블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패널에 설치되는 제1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을 따라 상기 거실공간의 중앙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가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의 양쪽 내측면에는,
    상기 거실공간과 침실공간, 그리고 상기 거실공간과 주방공간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한 공간 구분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구분부재는,
    커튼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제2 안내레일이나 안내홈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칸막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구분부재가 칸막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공간 구분부재는,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을 접을 때,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에 구비되는 침대와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하부패널에 구비되는 싱크대 및 테이블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패널과 천정패널에 상기 침실공간과 주방공간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공간 구분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상기 제2 안내레일 또는 안내홈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공간 구분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패널의 외측면과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의 외측면 및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의 외측면에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패널의 외측면에는,
    펼쳐진 상태의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의 처짐을 지지하기 위한 처짐방지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처짐방지수단은,
    상기 천정패널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대; 및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상기 침실공간 형성용 상부패널과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의 각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구에 연결되는 와이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실공간 형성부재와 주방공간 형성부재는,
    내측에 배치되는 방충망, 보온 및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충방의 외측에 결합되는 단열막 및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단열막의 외측에 결합되는 가림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패널, 상기 주방공간 형성용 상부패널에는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조명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주거용 구조물.





KR1020170054603A 2017-04-27 2017-04-27 임시 주거용 구조물 KR10192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03A KR101923445B1 (ko) 2017-04-27 2017-04-27 임시 주거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03A KR101923445B1 (ko) 2017-04-27 2017-04-27 임시 주거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16A true KR20180120516A (ko) 2018-11-06
KR101923445B1 KR101923445B1 (ko) 2018-11-29

Family

ID=6432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603A KR101923445B1 (ko) 2017-04-27 2017-04-27 임시 주거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4640A1 (en) * 2020-05-18 2021-11-18 John DiGiorgio Retractable bathroom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97B1 (ko) 2019-10-24 2020-09-03 스마트렛(주) 이동식 화장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5084B2 (ja) * 1991-05-20 1998-04-28 良平 山本 組立家屋
KR200187722Y1 (ko) * 2000-02-02 2000-07-15 박건정 간이 텐트
KR100665692B1 (ko) * 2006-01-05 2007-01-09 주식회사 광스틸 가변 벽체 시스템
KR101189091B1 (ko) * 2011-11-30 2012-10-09 (주)아이엔에스랜드 조명 기능을 갖는 파고라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54640A1 (en) * 2020-05-18 2021-11-18 John DiGiorgio Retractable bathroom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445B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659B2 (en) Modular assembly
US20120266544A1 (en) Dormitory module
US8776449B1 (en) Shelter building
RU2714030C1 (ru) Мобильный модульный дом
KR101923445B1 (ko) 임시 주거용 구조물
US9879473B1 (en) Storm shield for bathing structure
US9702151B2 (en) Mobile shade systems
JP2007044460A (ja) 組立式簡易シャワ−ル−ム(トイレ仕様可)
KR101059100B1 (ko) 접이식 간이 하우스
JP2006283405A (ja) 簡易住宅
JP2008025294A (ja) 災害時用小屋
JP2008184801A (ja) 組立式簡易住宅
Kim et al. A study on the design plan of outdoor temporary housing facility that can be supplied at the time of disaster
GB2460851A (en) Portable triangular temporary housing module
KR20020005102A (ko) 접이식 콘테이너 간이주택
JP2022073164A (ja) 住宅
CN219569707U (zh) 一种新型折叠活动小屋
JP3562776B2 (ja) 折り畳み式簡易住宅モジュール
JP3226299U (ja) 住宅
KR20180127661A (ko) 팝업형 임시 주거용 구조물
CN211597078U (zh) 一种可折叠集装箱式活动客房
JP6030427B2 (ja) アシカ等のショー施設とコンサートステージを兼ね備える多目的施設
JP3552012B2 (ja) 可変建築物
RU2395659C2 (ru) Здание с надувными стенами
JP5308095B2 (ja) 防災用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