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6814A -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6814A
KR20010046814A KR1019990050718A KR19990050718A KR20010046814A KR 20010046814 A KR20010046814 A KR 20010046814A KR 1019990050718 A KR1019990050718 A KR 1019990050718A KR 19990050718 A KR19990050718 A KR 19990050718A KR 20010046814 A KR20010046814 A KR 20010046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utting green
soil
drainage
soi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321B1 (ko
Inventor
김만기
Original Assignee
김만기
주식회사 삼보조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기, 주식회사 삼보조경건설 filed Critical 김만기
Priority to KR10-1999-005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321B1/ko
Priority to KR2019990025432U priority patent/KR200179211Y1/ko
Publication of KR2001004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옥상에 설치할 수 있는 퍼팅 그린(Putting Green)의 구조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팅그린은 상기 옥상의 바닥 및 상기 바닥과 연결되는 벽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 위에 설치되는 방근층과, 상기 방근층 위에 설치되는 배수층과, 상기 배수층 위에 설치되며 최대함습 비중이 낮은 육성토양층과, 상기 육성토양층에 식재된 퍼팅그린용 잔디를 구비한다. 배수층은 상기 방근층 위에 놓인 배수블록과, 배수블록을 덮는 보호망과, 상기 보호망 위에 깔린 배수용 토양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Putting Green on the Rooftop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및 자연토양 이외의 모든 인공토양(콘크리트, 아스팔트, 석재포장 등) 위에 설치하는 퍼팅 그린(Putting green)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도심 가꾸기의 일환으로 건물 옥상 등에 잔디, 나무 등을 심어서 조경을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건물 옥상에 잔디밭을 조성하면 조경 뿐 아니라 환경 생태적 효과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분야의 종래 기술은 단순히 건물 옥상에 잔디를 심는 데에 그칠 뿐, 잔디를 조성하여 생활체육시설 등의 특정 용도로 이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순히 건물 옥상을 녹화하는 것을 넘어서 특정용도로 이용이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상에 형성되는 퍼팅그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께가 200㎜ 미만이고 토양의 총 중량이 300㎏/㎡ 미만으로 잔디육성이 가능한 초경량 토양 및 저배수토양으로 조성되어, 빌딩의 방수, 잔디의 방근, 토양층의 배수 및 냉난방 등이 완벽하게 처리된 옥상 퍼팅 그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옥상 퍼팅 그린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퍼팅 그린의 구성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옥상 퍼팅 그린을 구성하는 배수블록의 모형도.
도 3은 도 1의 옥상 퍼팅 그린을 구성하는 냉난방 파이프의 배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퍼팅 그린 10: 옥상
20: 방수층 40: 방근층
50: 배수 블록 60: 보호망
70: 저배수용 토양층 80: 냉난방 장치
90: 육성 토양층 100: 잔디
사실 옥상에 퍼팅그린을 설치하기는 쉽지 않다. 기존 골프장의 퍼팅그린에서는 300㎜ 이상의 그린조성용 토양이 요구된다. 이를 그대로 옥상에 적용하면, 하중의 문제가 생긴다. 더욱이, 건물의 방수, 토양층의 배수처리 및 잔디의 방근처리 등이 과제로 남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옥상 위에 설치하는 옥상 퍼팅 그린에 있어서,
상기 옥상의 바닥 및 상기 바닥과 연결되는 벽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 위에 설치되는 방근층과,
상기 방근층 위에 설치되는 배수층과,
상기 배수층 위에 설치되며 최대함습 비중이 낮은 육성토양층과
상기 육성토양층에 식재된 퍼팅그린용 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에 조성된 퍼팅그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옥상에 퍼팅그린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옥상의 바닥 및 상기 바닥과 연결되는 벽면에 방수층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층 위에 방근층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방근층 위에 배수층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층 위에 최대함습 비중이 낮은 육성토양층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육성토양층에 퍼팅그린용 잔디를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퍼팅그린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상 퍼팅 그린의 구조, 옥상 퍼팅 그린의 시공방법, 시공시 고려해야할 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옥상 퍼팅 그린의 구조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옥상 퍼팅 그린의 구성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옥상 퍼팅 그린(5)은 건물 옥상(10)의 바닥면 위에 방수층(20), 방근층(40), 배수층, 육성 토양층(90) 및 잔디(100)를 차례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방수층(20)과 방근층(40) 사이는 접착제(30)로 접착되며, 배수층은 배수블록(50), 보호망(60), 저배수용 토양층(7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육성 토양층(90)의 하층부에는 냉난방 공급 장치(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30)로 접착된 방수층(20) 및 방근층(40)은, 도 1로부터 잘 알 수 잇는 바와 같이, 건물 옥상(10)의 바닥면 위에 적층될 뿐 아니라, 건물 옥상(10)의 옆 벽면 위에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옥상 퍼팅 그린(5)은 방수층(20)과 방근층(40)이 건물 옥상(10)의 벽면과 바닥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구조 위에 배수블록(50), 보호망(60), 저배수용 토양층(70), 냉난방용 장치(80), 육성 토양층(90), 잔디(100)가 차례로 수평층을 이루면서 적층된 구조를 이룬다. 각 층의 세부적인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방수층
방수층(20)은 방수, 방습 및 방근의 역할을 한다. 즉, 방수층(20) 아래의 옥상 콘크리트 내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또한, 건물 옥상 내의 수분이 발산되는 것을 막는다. 아울러 잔디(100) 뿌리가 콘크리트에 침투하지 않도록 보완하는 역할(방근 보완 역할)도 한다. 방수층은 옥상바닥 뿐만 아니라, 옥상 벽에도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25cm 이상의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는 건물 옥상의 바닥은 물론 옆 벽면이나 난간벽의 흙에 접하는 부분까지 완전방수 되어야 하고, 수분발산이 원활하여야 하며 방수제의 이물질이 물에 씻겨 누출되지 않아야 하므로, 방수층(20)의 재료로는 우레탄, 에폭시 방수도 가능하지만 무기질 탄성침투 도막방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층(20)의 두께는 1.5~2.5㎜정도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데, 2.0~2.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수층은 프라이머층과 3겹의 방수제층으로 이루어지는데, 방수제층 사이에 균열에도 견디도록 신축성 부직포가 개재된다.
2. 방근층
방근층(40)은 기본적으로 방근 기능을 가지며, 방수, 방습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잔디(100) 뿌리가 콘크리트에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동시에, 방수층(20)을 보호하여 반영구적인 방수효과를 내도록 방수를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방근층(40)도 방수층(20)과 마찬가지로 옥상 바닥뿐만 아니라 옥상의 벽면에도 설치된다.
방근층(40)의 재료는 플라스틱 수지 필름이 사용되며, 두께 0.2㎜ 이상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필름은 매우 안정된 고분자 물질이므로 각종 화학물질에 강하고 토양 중에서 부패가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방수층(20) 위에 2겹으로 설치하여 방근층(40) 전체 두께는 0.4㎜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뿌리 압력에 강하게 대항하기 위하여 필름을 이중으로 하기 위함이다. 방근층(40)과 건물 벽면 사이 및 필름의 이음매 부분은 강력 접착테이프나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정된다.
상기 방근층(40)의 재료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방근 기능을 하는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수지의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3. 배수층
배수층은 잉여수가 신속하게 배수되도록 하여 잔디(100)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적정한 수분을 보유하여 가뭄(한발) 시에는 잔디(100)가 마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층은 수직배수 뿐 아니라 수평배수도 원활히 될 수 있는 구조를 지니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수층은 배수블록(50), 보호망(60), 저배수용 토양층(7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구비된다.
배수블록(50)은 상층의 저배수 토양으로 인한 방근층(40)의 손상을 방지하고 잉여수의 신속한 수평배수 기능을 위한 것이다. 비중이 1.0 이상으로서 물에 뜨지 아니하고 부패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서, 배수블록(50)은 높이 20~50㎜의 격자형 블록이다. 따라서, 상, 하면 사이에(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50a)이 뚫려 있으므로 수직배수가 용이하다. 측벽의 하단에는 사방으로 뚫린 개구(50b)가 형성되어 수평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배수블록(50)의 재질은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인 것이 바람직하고, 색깔은 검정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망(60)은 상층의 저배수 토양의 유출로 인하여 배수블록(5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방수층(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망(60)의 눈의 크기는 20메쉬(mesh)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토양의 유출을 막을 수 있는 크기면 된다.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필름에 구멍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저배수용 토양층(70)은 배수가 잘되게 하면서도 최소한의 수분을 유지하는 층이다. 보조적으로 잔디 뿌리의 발육을 촉진하고 통기성을 양호하게 하면서도, 최소한의 수분을 유지하여 육성 토양층(90)의 기능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저배수용 토양층(70)의 재료로는 잔디의 생육에 지장이 없는 재료로서, 함수비가 매우 낮아 배수능력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건물 옥상의 최대하중문제를 고려하여 비중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저배수용 토양층(70)의 재료구성으로서는, 경석과 경량골재, 인공경량토양 등에서 선택하여 구성되는데, 그 혼합비를 달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 경석은 점토팽창석(난석), 화산석(라바, 퍼미스톤)을 가리키는 것으로 비중이 0.3 ~ 0.6이고 지름이 3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량 골재로는 폐스티로폴, 폐플라스틱, 폐ABS 등의 산업폐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인공경량 토양으로는 퍼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제오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버미큐라이트는 비중이 0.1 ~ 0.3이고 지름이 1 ~ 5㎜인 것이 바람직하며, 퍼라이트는 비중이 0.2~0.4이고 지름이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배수용 토양층(70)의 하나의 예로서, 배합전 각 구성재료의 부피의 총합을 100%라고 했을 때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점토팽창석과 화산석이 혼합된 경석 50~90%, 버미큐라이트 5~25%, 퍼라이트 5~25%의 배합비율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저배수용 토양층(70)의 재료구성을 점토팽창석(난석), 화산석(라바, 퍼미스톤) 등의 경석, 폐스티로폴, 폐플라스틱, 폐ABS 등의 산업폐기물, 퍼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제오라이트 등의 인공경량토양 및 경량골재 등을 혼합비를 달리 하면서 개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저배수용 토양층(70)을 구성하여, 저배수용 토양층(70)의 전체 비중은 건 가비중 0.15~0.8, 포화수 가비중 0.18~0.9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배수용 토양층(70)의 투수계수는 150~350㎜/hr, 저수량은 5~25ℓ/㎥ 이하, 두께는 5~2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냉난방 파이프
후술하는 바와 같이, 퍼팅그린용 잔디는 한지형 잔디이다. 따라서, 육성토양층(90)의 하층부에는 특히, 여름철 냉방 및 보조적으로 겨울철 난방을 위하여 냉난방 장치(80)를 설치할 수 있다. 육성 토양층(90) 위에 식재되는 잔디(100)는 각종 병충해에 노출되어 있고, 여름철에 고온이 되면 하고현상이 발생하고 병에 약해진다. 한편, 겨울철에 너무 추우면, 잔디가 쉽게 상하거나 생육저하의 우려 등이 있다. 따라서, 냉난방 파이프로 냉난방을 적절히 공급하면 잔디의 내병성을 증진시키고 잔디의 품질저하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농약의 사용을 줄이고 잔디의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냉난방 장치(80)의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냉난방 장치(80)는 파이프라인(81), 순환펌프(82), 물탱크(83)로 구성된다. 물탱크의 물은 건물의 메인 물탱크 혹은 냉각탑으로 순환하도록 한다. 그 경우 여름에는 파이프를 흐르는 차가운 물로 인해 냉각되고 겨울에는 외기보다 높은 온도의 순환되는 물로 인해 열공급이 가능하다. 육성 토양층과 저배수용 토양층 사이에 설치되는 파이프라인(81)의 배관간격은 20~40㎝, 파이프라인(81)의 파이프 지름은 1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라인(81)의 재질은 열전도율이 높고 잘 구부러지는 성질을 지니면서, 밟는 압력 등에도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냉난방 파이프라인(81)에 적합한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동파이프나 스테인레스스틸파이프, SUS파이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5. 육성 토양층
옥상 퍼팅 그린(5)을 구성할 잔디(100)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육성 토양층(90)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옥상에서의 육성 토양층(90)은 제한된 허용하중의 범위 내에서 토양층을 조성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가벼운 재료를 사용한다. 특히 일정한 토심이 요구되는 경우는 토양의 비중이 대단히 중요하므로 최대함습비중이 낮은 토양으로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육성 토양층(90)은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기본 조건인 공기, 수분, 영양 등을 고루 만족시키고, 초기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통기성과 배수성이 양호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잡초종자, 병충해균, 중금속 등이 혼입되지 않아야 하고, 잔디(90)의 생장특성에 부응하는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육성 토양층(90)의 재료로 무기질 중량토양 및 무기질 경량토양, 유기질 함유토양을 혼합하여 구성한다. 무기질 중량토양의 재료로는 잔 자갈과 모래, 무기질 경량토양의 재료로는 팽창석, 화산석, 퍼라이트, 제오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석회 등을 쓸 수 있다. 유기질 함유토양의 재료로는 왕겨(분쇄왕겨), 숯, 바크, 피트모스, 부숙톱밥퇴비, 톱밥, 토탄, 그린탄소 등을 쓸 수 있다. 육성 토양층(90) 재료의 일부로서 바이오그로, K소일과 같은 혼합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육성 토양층(90)을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는, 지름이 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육성 토양층(90)을 구성하는 각 재료의 혼합비율의 하나의 예로서, 배합전 각 구성재료의 부피의 총합을 100%라고 했을 때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모래 70~90%, 버미큐라이트 5~15%, 분쇄왕겨 2.5~7.5%, 피트모스 2.5~7.5%의 비율로 구성할 수 있다.
조성된 육성 토양층(90)의 물리적 성질로는, 비중은 건 가비중 0.4~1.4, 포화수 가비중 0.8~1.9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수계수는 150㎜/hr 이상, 저수량은 20~30ℓ/㎥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H는 6.0~7.0, CEC(양이온 교환용량; Cation Exchange Capacity)는 3~5me/㎡, 공극율은 약 50% 내외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잔디
육성 토양층(90) 위에 식재되는 잔디(100)는 벤트 그래스(Bent grass)나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 등의 한지형 잔디를 파종하여 조성하거나, 롤(Roll) 잔디를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현 예로서, 퍼팅 그린(5)의 총 두께는 232.6㎜ 정도가 되도록 각 구성층별로 두께를 세분하여 방수층 2.2㎜, 방근층 0.4㎜, 배수블록 20㎜, 저배수용 토양층 100㎜, 육성 토양층 100㎜, 잔디 10㎜ 정도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최대 저수시의 퍼팅 그린(5)의 단위 면적당 총 중량은 203.88~253.88㎏/㎡ 정도가 되며, 각 구성층별로 중량을 세분해 보면, 방수층 1.89㎏/㎡, 방근층 0.55㎏/㎡, 배수블록 1.44㎏/㎡, 저배수용 토양층 60~75㎏/㎡(저수량은 10ℓ/㎡), 육성 토양층140~160㎏/㎡ (저수량은 20~30ℓ/㎡), 잔디 5㎏/㎡(롤 잔디 식재 시는 20㎏/㎡)가 된다.
한편, 배수블록(50) 아래에 발포폴리스틸렌 단열재로 +300㎜ 정도의 구릉지(경사도 10% 이내)를 조성하여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완성시 골프게임의 난이도를 적절히 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하 옥상 퍼팅 그린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옥상 퍼팅 그린의 시공방법 >
1. 부지정리
옥상 퍼팅 그린(5)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맨 먼저 퍼팅 그린(5)이 조성될 부지를 깨끗하게 정리한다. 이 작업은 옥상의 장애물이나 돌출물을 미리 제거하여 시공 후 방수층(20), 방근층(40)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방수가 양호하도록 청소를 철저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방수층 형성
방수층(20)을 형성하기 위하여 무기질 탄성침투 도막 방수제를 여러 차례 도포한다. 즉, 건물 옥상(10) 바닥면과 옆 벽면의 바닥으로부터 25㎝ 이상의 높이까지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고, 프라이머가 마른 후 방수제 초벌을 바른다. 초벌 방수 후 바닥면과 벽면의 접합 부분에는 균열방지용 부직포를 덧붙인다. 그 위에 방수제를 2회 덧칠하여 3겹의 방수층(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방근층 형성
방근층(40)은 플라스틱 수지 필름(바람직하게는 두께 0.2㎜인 폴리에틸렌 필름)을 방수층(20) 위에 2중으로 깔아 형성한다. 방근층(40)은 벽면의 바닥으로부터 25㎝ 이상의 높이까지 올려붙이고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고정한다. 필름을 이어 붙일 때에는 이음부분을 10㎝이상 중첩하고 접착제로 고정하여 지상부의 수분이 필름 밑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며, 방수층의 물리적 자극을 보호하도록 한다.
4. 경사 형성
퍼팅 그린(5) 조성의 경우, 배수블록(50)을 조성하기 전에 압출발포폴리스틸렌 단열재로 +300㎜ 정도의 구릉지(경사도 10% 이내)를 조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완성시 골프게임의 난이도를 적절히 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5. 배수층 형성
먼저 배수블록(50)을 깐다. 배수블록의 예로서 규격 SBK-3030, 두께 20㎜의 격자형 블록을 들 수 있는데, 이를 방근층(40) 위에 부설하여 수직배수된 물이 지하부에서 수평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배수블록(50) 위에는 (예를 들면, 규격 20메쉬의) 보호망(60)을 부설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의 토양유실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방수층(20) 및 방근층(40)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보호망(60) 위에는 전술한 재료들-예를 들면, 경석 및 퍼라이트, 버미큐라이트 등-이 혼합된 저배수 토양을 바람직하게는 100㎜ 정도의 두께로 고르게 부설하여 저배수용 토양층(70)을 조성한다.
6. 냉난방 장치의 부설
저배수용 토양층(70) 위에 냉난방 장치(80)의 파이프가 예를 들면, 30㎝ 안팎의 간격이 되도록 하여 부설한다.
7. 육성 토양층 형성
냉난방 장치를 설치한 위에 건 전술한 육성층 토양(예를 들면, 가비중 1.2~1.3, 포화수 가비중 1.4~1.6의 육성용 토양)을 일정한 두께(예를 들면, 100㎜)로 고루 부설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복합비료(17-21-17)를 예를 들면, 50g/㎡의 분량으로 육성용 토양 위에 살포하고 고르게 혼합한다.
표면배수 및 표면기복(Undulation)을 고려하여 경사지게 조형을 하고, 물을 뿌린다. 그 위에 80~100㎏ 롤러(Roller)로 철저히 다져서, 표면의 작은 요철부분이 없도록 한다.
8. 잔디층 조성
옥상 퍼팅 그린(5)의 잔디(100)는 한지형 잔디를 파종하거나 롤 잔디를 식재하여 조성한다. 퍼팅 그린용으로 조성할 경우에는 한지형 벤트 그래스(Bent grass), 게이트볼장 등으로 조성할 경우에는 한지형 켄터키 블루그래스(Kentucky bluegrass)를 파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디 종자를 파종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밀도 8g/㎡, 발아율 80%, 순도 96%가 되도록 파종한다. 종자를 두 방향으로 고르게 뿌린 후, 갈퀴(Rake)질을 한 다음, 건조한 배토를 1㎜ 정도의 두께로 얇게 덮고, 롤러로 다진다. 그 다음에는 65%의 차광망으로 피복하고 관수한다.
롤(Roll) 잔디를 식재할 경우에는 깎는 높이는 7~10㎜, 절취 두께는 근경 부분이 20㎜ 이상 되도록 한다. 떼장의 크기는 1.8m x 0.3m, 또는 1.54m x 0.65m 정도가 바람직하다. 식재시 상토를 세심하게 보충하면서 나무망치로 두드려 평탄하게 마감해야 하며, 떼장의 이음매가 서로 밀착하도록 눌러 붙이도록 한다. 배토는 상토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잔디잎의 1/2 정도가 덮일 정도로 뿌리고 고른 다음 충분히 관수한다.
한편,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토양층의 하중을 설정할 때에는 대상건물의 하중 허용기준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재난시의 대피하중 100㎏과 최대적설량 4㎏, 옥상 퍼팅 그린의 최대함수시 중량 254㎏을 허용하는 360㎏/㎡이상의 건축물에 본 발명의 퍼팅 그린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수정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먼저, 생태도시로의 전환과 기능성 잔디조성에 의한 근린체육시설 확대효과가 있다. 기존 골프장의 그린조성용 토양은 300mm이상의 두께이어야 하므로 이 규격을 적용할 시 옥상의 하중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는 반면, 본 발명은 두께 200mm의 토양 총 중량이 300kg/㎡미만으로 잔디육성이 가능한 초경량토양 및 저배수토양을 개발하여 도심지 옥상에 근린체육시설로서 골프 퍼팅 그린 및 게이트볼장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녹지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생태도시로 전환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째, 반영구적인 방수로 경제적이다. 여름철의 팽창과 겨울철의 동결, 수축으로 인한 방수층의 파괴 및 자외선에 의한 분해 등의 요인으로 수년이 지나면 누수 및 방수문제가 대두되는데 잔디가 생육되면 이상의 방수층 파괴요인을 방지할 수 있어 한번의 시공으로 반영구적 방수효과를 지녀 경제적 이득이 된다. 셋째, 최상층 실내의 냉·난방비 절감효과가 있다. 난방비 30%, 냉방비 50%의 절감효과가 있으며 여름철 냉방시의 피크타임(Peak time)을 완화할 수 있어 국가적 에너지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냉매로 인한 환경파괴도 줄일 수 있다. 넷째, 도시 열섬화현상 방지효과 및 공기정화효과가 있다. 여름철 기온이 32∼36°C때 옥상표면의 온도가 46°C가 될 때 잔디밭은 26°C정도이므로 도시기온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녹지1ha에서 12시간당 CO2를900kg 흡수하고, 산소를 600kg 방출하며 기타 유해가스를 정화시킨다. 다섯째, 도시홍수감소 및 빗물 정화효과가 있다. 1 m2당 저수량이 육성토양 20∼30ℓ, 배수토양 10ℓ이므로 도시형 홍수 감소효과가 있고, 유속을 느리게 하여 먼지흡수 등으로 빗물을 정화하므로 환경보호효과도 있다.

Claims (21)

  1.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는 퍼팅그린으로서,
    상기 옥상의 바닥 및 상기 바닥과 연결되는 벽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 위에 설치되는 방근층과,
    상기 방근층 위에 설치되는 배수층과,
    상기 배수층 위에 설치되며 최대함습 비중이 낮은 육성 토양층과
    상기 육성 토양층에 식재된 퍼팅그린용 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에 조성된 퍼팅그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은 상기 방근층 위에 놓인 배수블록과, 배수블록을 덮는 보호망과, 상기 보호망 위에 깔린 배수용 토양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육성 토양층은 무기질 중량토양 및 무기질 경량토양, 유기질 함유토양을 혼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비중은 건 가비중 0.4~1.4, 포화수 가비중 0.8~1.9가 이며, 투수계수는 150㎜/hr 이상, 저수량은 20~30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육성 토양층은 무기질 중량토양 및 무기질 경량토양, 유기질 함유토양을 혼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육성 토양층의 조성에 사용되는 상기 무기질 중량토양은 잔자갈, 모래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며, 무기질 경량토양은 팽창석, 화산석, 퍼라이트, 제오라이트, 버미큐라이트, 석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며, 유기질 함유토양은 왕겨(분쇄왕겨), 숯, 바크, 피트모스, 부숙톱밥퇴비, 톱밥, 토탄, 그린탄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육성 토양층은 배합전 각 구성재료의 부피의 총합을 100%라고 했을 때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모래 70~90%, 버미큐라이트 5~15%, 분쇄왕겨 2.5~7.5%, 피트모스 2.5~7.5%의 비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록은 격자형 블록이며, 상하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측벽에는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7. 제2항에 있어서, 경석과 경량골재, 인공경량토양에서 선택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토양층은 배합전 각 구성재료의 부피의 총합을 100%라고 했을 때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경석 혼합물 50~90%, 버미큐라이트 5~25%, 퍼라이트 5~25%의 배합비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토양층은 건 가비중 0.15~0.8, 포화수 가비중 0.18~0.9이며, 투수계수는 150~350㎜/hr, 저수량은 5~25ℓ/㎥ 이하, 두께는 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과 상기 육성 토양층 사이에는 온도조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배수층과 상기 육성 토양층 사이에 놓이며 물을 순환하는 순환 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와 연결된 물 저장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의 아래에는 경량의 발포재료로 이루어진 구릉지 형성부재가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13. 건물의 옥상에 퍼팅그린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옥상의 바닥 및 상기 바닥과 연결되는 벽면에 방수층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층 위에 방근층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방근층 위에 배수층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배수층 위에 최대함습 비중이 낮은 육성토양층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육성토양층에 퍼팅그린용 잔디를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퍼팅그린 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을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방근층 위에 놓인 배수블록을 배열하는 단계와, 배수블록을 덮는 보호망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망 위에 배수용 토양층을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시공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육성 토양층은 무기질 중량토양 및 무기질 경량토양, 유기질 함유토양을 혼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비중은 건 가비중 0.4~1.4, 포화수 가비중 0.8~1.9가 이며, 투수계수는 150㎜/hr 이상, 저수량은 20~30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시공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육성 토양층은 배합전 각 구성재료의 부피의 총합을 100%라고 했을 때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모래 70~90%, 버미큐라이트 5~15%, 분쇄왕겨 2.5~7.5%, 피트모스 2.5~7.5%의 비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시공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토양층은 배합전 각 구성재료의 부피의 총합을 100%라고 했을 때 부피를 기준으로 하여, 경석 혼합물 50~90%, 버미큐라이트 5~25%, 퍼라이트 5~25%의 배합비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시공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토양층은 건 가비중 0.15~0.8, 포화수 가비중 0.18~0.9이며, 투수계수는 150~350㎜/hr, 저수량은 5~25ℓ/㎥ 이하, 두께는 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시공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과 상기 육성토양층 사이에 온도조절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시공 방법.
  20. 제13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층의 아래에는 경량의 발포재료로 이루어진 구릉지 형성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시공방법.
  21.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에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 부직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그린.
KR10-1999-0050718A 1999-11-15 1999-11-15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KR10042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718A KR100426321B1 (ko) 1999-11-15 1999-11-15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KR2019990025432U KR200179211Y1 (ko) 1999-11-15 1999-11-19 건물 옥상용 퍼팅 그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718A KR100426321B1 (ko) 1999-11-15 1999-11-15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432U Division KR200179211Y1 (ko) 1999-11-15 1999-11-19 건물 옥상용 퍼팅 그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814A true KR20010046814A (ko) 2001-06-15
KR100426321B1 KR100426321B1 (ko) 2004-04-13

Family

ID=1962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718A KR100426321B1 (ko) 1999-11-15 1999-11-15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3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557B1 (ko) * 1999-12-30 2002-08-27 변동원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10799B1 (ko) * 2001-08-30 2003-12-18 주식회사 에코젠 골프장용 잔디조성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45740B1 (ko) * 2002-09-13 2006-01-24 김영조 잔디 묘망판과 이를 이용한 잔디구장의 조성방법
KR101138018B1 (ko) * 2009-12-04 2012-04-20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42B1 (ko) 2006-06-23 2007-11-19 김동현 옥상 슬라브의 단열 방수 구조
KR100777104B1 (ko) 2006-07-11 2007-11-19 주식회사 서울나무병원 옥상 녹화시스템
KR100798960B1 (ko) 2006-08-09 2008-01-30 김동현 친환경 저수 저감 공간패널을 이용한 운동장 잔디구조체
KR100957621B1 (ko) * 2009-08-19 2010-05-13 (주)삼성건업 방수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공법
KR101016173B1 (ko) * 2010-04-21 2011-02-24 삼화페인트공업주식회사 인조 잔디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067B2 (ja) * 1991-03-14 2000-11-20 株式会社淺沼組 植物植生を兼用した建造物の防水工法
JPH06209655A (ja) * 1993-01-18 1994-08-02 Shimizu Corp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JPH078114A (ja) * 1993-06-22 1995-01-13 Sankitsuto:Kk 緑化構造物及び緑化方法
JPH07102700A (ja) * 1993-10-04 1995-04-18 Dokoo:Kk 構築物のライニング構造
JPH08238027A (ja) * 1995-03-03 1996-09-17 Ube Ind Ltd 屋上用植物栽培コンクリート基盤
KR200146295Y1 (ko) * 1997-01-23 1999-06-15 사공수영 옥상용 인공 지반
JPH10295197A (ja) * 1997-04-23 1998-11-10 Kajima Corp 土壌加温緑化法
JP3982877B2 (ja) * 1997-07-18 2007-09-26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排水システムおよび排水方法
KR970070375A (ko) * 1997-08-20 1997-11-07 이행순 건물 옥상 구조
KR100314544B1 (ko) * 1999-04-13 2001-11-22 한재오 옥상의 녹화 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557B1 (ko) * 1999-12-30 2002-08-27 변동원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10799B1 (ko) * 2001-08-30 2003-12-18 주식회사 에코젠 골프장용 잔디조성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45740B1 (ko) * 2002-09-13 2006-01-24 김영조 잔디 묘망판과 이를 이용한 잔디구장의 조성방법
KR101138018B1 (ko) * 2009-12-04 2012-04-20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321B1 (ko)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429B2 (ja) 緑化装置
JPH0479609B2 (ko)
CN101793079A (zh) 一种新型根系阻拦材料和绿色屋面种植技术
KR101138018B1 (ko)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KR100426321B1 (ko) 옥상 퍼팅 그린 및 그 시공방법
JP4883673B2 (ja) 緑化用培地構造
JP5246991B2 (ja) 珪藻頁岩を用いた舗装構造
KR20050072866A (ko) 암면 식생 매트를 이용한 옥상정원 조성시스템
JP2006345825A5 (ko)
KR100314544B1 (ko) 옥상의 녹화 시공 시스템
KR100777104B1 (ko) 옥상 녹화시스템
KR200179211Y1 (ko) 건물 옥상용 퍼팅 그린
JP3285201B2 (ja) 自生型屋上緑化施工方法
JP3751214B2 (ja) 緑化容器
KR100572974B1 (ko) 보조지반을 이용한 잔디 경기장 및 그 시공 방법
JP4927038B2 (ja) 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植え込み構造、並びに緑化工法
KR100661485B1 (ko) 박층 저관리 옥상 녹화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72973B1 (ko) 잔디 경기장 및 그 시공 방법
GB2288306A (en) Modular sports field construction
JPH0547575Y2 (ko)
JP2017079632A (ja) 植物栽培発泡断熱材床
JP2507503Y2 (ja) 屋上庭園用の人工地盤
JP2002364130A (ja) 軽量保水性断熱屋根
JP3312687B2 (ja) 人工地盤への植栽物植生方法
CN211241196U (zh) 一种仙人掌的景观花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