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4170A -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아웃솔, 그리고 신발 고무 아웃솔용 배합 조성물 - Google Patents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아웃솔, 그리고 신발 고무 아웃솔용 배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4170A
KR20010044170A KR1020000079019A KR20000079019A KR20010044170A KR 20010044170 A KR20010044170 A KR 20010044170A KR 1020000079019 A KR1020000079019 A KR 1020000079019A KR 20000079019 A KR20000079019 A KR 20000079019A KR 20010044170 A KR20010044170 A KR 2001004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utsole
molecular weight
accelerator
internal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1653B1 (ko
Inventor
박희대
메타 야그닉
Original Assignee
박희대
메타 야그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대, 메타 야그닉 filed Critical 박희대
Priority to KR10-2000-007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653B1/ko
Priority to CN01805351A priority patent/CN1404435A/zh
Priority to PCT/KR2001/000182 priority patent/WO2002049822A1/en
Priority to AU2001236118A priority patent/AU2001236118A1/en
Priority to JP2002551145A priority patent/JP2004516082A/ja
Priority to US10/203,994 priority patent/US7220711B2/en
Publication of KR2001004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0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2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based on polymers or olig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09Producing footwear by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틸/알루미늄 재질의 금형에 수용성 외부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압축 또는 사출 성형법으로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하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이형 조성물(Internal Mold Lubricant)을 첨가한 촉진제를 개발하여 아웃솔을 제조시 금형의 오염과 부식을 방지하고 배합제의 균일 분산성 및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아웃솔, 그리고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의 조성물{ACCELERATOR COMPOSITION FOR FOOTWEAR OUT SOLE}
본 발명은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형에 외부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상기 아웃솔을 제조할 때 첨가되는 촉진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신발 산업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1,2-폴리부타디엔,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부타디엔 고무 등을 기재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블렌드한 폴리머를 기재로 하고, 이를 프레스 몰딩법으로 압축 성형시켜 신발용 겉창(out sole: 이하 "아웃솔"이라 함)을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프레스 몰딩법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2000-1970 호(신발밑창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및 공개번호 제 2000-9283 호(신발 겉창의 제조방법)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프레스 몰딩법으로 아웃솔을 제조할 시, 바람직하게는 금형상에 폴리머를 투입한 후 이를 압축 성형시에는 필히 금형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해야만 하며, 이는 아웃솔이 금형으로부터 탈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스틸/알루미늄(Steel/Aluminum) 금형에 수용성 외부 이형제를 도포한 후 10∼20 사이클(White Master Batch 기준) 또는 20∼30 사이클(Carbon Master Batch 기준)의 탈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아웃솔을 제조해 왔다.
이때, 상기 이형제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은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97-487 호(수용성 실리콘 수지 이형제 및 그 제조방법) 및 공개번호 제 94-701327 호(이형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244586 호(수성 이형제 및 그 제조방법)에도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아웃솔을 제조할 때 이형제를 사용하게 되면 금형의 오염과 부식 현상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금형 내에 고무가 적층(Build-up 현상)되어 금형을 자주 청소해야만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작업자의 불 균일한 이형제 도포로 인해 아웃솔 접착시 접착문제를 야기하고, 특히 별도의 이형제 도포장치와 공정상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이형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이형 조성물이 첨가된 촉진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촉진제의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아웃솔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금형의 오염과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6 목적은 고무 혼합시 혼련성으로 인한 배합제의 균일 분산성 및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금형상으로부터 탈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형제를 상기 금형에 도포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하기 위하여; 분자량 400∼2800의 Highly branched hydrocarbon과 Carboxylic Acid, 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및 Phospholipids including heat stable lecithin으로 이루어진 이형 조성물 또는 분자량 800∼2000의 Branched Hydrocarbon과 분자량 200∼800의 Long Chain carboxylic acids 및 분자량 200∼800의 Metal complex of long chain carboxylic acid, 그리고 Ionomer로 이루어진 이형 조성물을 제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폴리머 100 중량부와 통상의 충전제 및 첨가제 160∼180 중량부를 혼합 교반시키는 제1 과정과; {Mercaptobenzothiazole, Dibenzothiazyl disulfide, Tetramethylthiurm Monosulfide, Soluble Sulfur, Insoluble Sulfur}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선택한 후, 이를 혼합시켜 촉진제로 제조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결과물에 상기 촉진제 3∼8 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 견지에 따른 본 발명은 Ethylene-propylene Copolymer 10∼25%, Ethylene-propylene dinemonomer 0.5∼3.0%, 고지방산 불포화 화합물 0.1∼1.0%, Internal Mold Lubricant 1.0∼4.0% 및 {Mercaptobenzothiazole, Dibenzothiazyl disulfide, Tetramethylthiurm Monosulfide, Soluble Sulfur, Insoluble Sulfur}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조성물 50∼80%를 혼합하여 제조된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를 제안한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Internal Mold Lubricant는 "TL-700L(상품명)"과 "TL-450M(상품명)"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 조성물의 Chemical Name을 한글로 표기하지 않고 영어로 기재할 것이며, 이는 한글로 표기했을 때의 전반적인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우선 앞에서 제안한 본 발명의 개념을 살펴보면, 스틸/알루미늄 재질의 금형에 수용성 외부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압축 또는 사출 성형법으로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하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이형 조성물(Internal Mold Lubricant)을 첨가한 촉진제를 개발하여 아웃솔을 제조시 금형의 오염과 부식을 방지하고 배합제의 균일 분산성 및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웃솔 제조방법에 따르면, 먼저 Polymer를 기재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Natural Rubber(이하 "NR"이라 함)와 Butadiene Rubber(이하 "BR"이라 함)를 기재 100 중량부로 하고, 여기에 충전제(Fillers) 및 첨가제(Additives) 160∼180 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를 교반장치인 Bam Burry(이하 "B/B"라 함)에 투입하여 혼합 교반시킨다. 이때 충전제 및 첨가제로는 Carbon Black, Zinc Oxide, Stearic Acid, Phenol-Class 및 Paraffine Oil, 그리고 White Carbon, Polyethylene glycol, Silane Coupling Agent를 사용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B/B로 교반된 혼합물에는 금형 내부에 수용성 외부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촉진제(Accelerator) 3∼8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이러한 촉진제는 하기와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촉진제는 첨가되는 조성물에 따라 4가지로 분류되고, 아웃솔의 용도 및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촉진제를 단독 또는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진제의 조성물로는 Ethylene-propylene Copolymer(이하 "EPR"이라 함), Ethylene-propylene dinemonomer(이하 "EPDM"이라 함), 고지방산 불포화 산화물(이하 "#212"라 함)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선택적으로 오일(Oil) 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진제에는 Mercaptobenzothiazole(이하 "M"이라 함), Dibenzothiazyl disulfide(이하 "DM"이라 함), Tetramethylthiurm Monosulfide(이하 "TS"라 함), Soluble Sulfur(이하 "S"라 함), Insoluble Sulfur(이하 "IS"라 함)가 첨가되는데, 이들은 전술한 조성물(M, DM, TS, S, IS) 대비 약 50∼85% 정도가 첨가된다.
특히, 전술한 촉진제에는 본 발명의 主組成物(주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이형 조성물(Internal Mold Lubricant: 이하 "IMR"이라 함)이 첨가되며, 상기 IMR은 금형에 외부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도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IMR이 첨가된 촉진제를 아웃솔을 제조할 때 첨가하게 되면 전술한 이점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IMR은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2가지로 분류된다.
즉, 첫 번째로 상기 IMR은 분자량 400∼2800의 Highly branched hydrocarbon과 Carboxylic Acid, 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및 Phospholipids including heat stable lecithin으로 조성된다.
두 번째로, 상기 IMR은 분자량 800∼2000의 Branched Hydrocarbon과 분자량 200∼800의 Long Chain carboxylic acids 및 분자량 200∼800의 Metal complex of long chain carboxylic acid, 그리고 Ionomer로 조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자량 400∼2800의 Highly branched hydrocarbon 10∼75%, Carboxylic Acid(분자량 170∼700의 saturated/unsaturated-straight or isomer) 5∼50%, 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5∼30% 및 Phospholipids including heat stable lecithin 10∼60%를 혼합하여 IMR(상품명: TL-700L)을 제조하였다.(이하, 전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IMR을 "TL-700L"이라 함.)
{실시예 2}
분자량 800∼2000의 Branched Hydrocarbon 10∼60%, 분자량 200∼800의 Long Chain carboxylic acids 10∼70% 및 분자량 200∼800의 Metal complex of long chain carboxylic acid 15∼50%, 그리고 Ionomer 5∼25%를 혼합하여 IMR(상품명: TL-450M)을 제조하였다.(이하, 전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IMR을 "TL-450M"이라 함.)
{실시예 3}
EPR 10.7%, EPDM 1.7%, #212 0.3%, TL-700L 14.6%, M 72.8%를 혼합하여 촉진제(상품명: MBT75 M/B)를 제조하였다.(이하, "A type-MBT75 M/B"라 함)
{실시예 4}
EPR 18.4%, EPDM 2.1%, #212 0.3%, 오일 3.4%, TL-450M 3.0%, M 72.8%를 혼합하여 촉진제(상품명: MBT75 M/B)를 제조하였다.(이하, "B type-MBT75 M/B"라 함)
{실시예 5}
EPR 11.1%, EPDM 1.3%, #212 0.3%, TL-700L 14.6%, DM 72.8%를 혼합하여 촉진제(상품명: MBTS75 M/B)를 제조하였다.(이하, "A type-MBTS75 M/B"라 함)
{실시예 6}
EPR 15.4%, EPDM 2.0%, #212 0.3%, 오일 6.5%, TL-450M 3.0%, DM 72.8%를 혼합하여 촉진제(상품명: MBTS75 M/B)를 제조하였다.(이하, "B type-MBTS75 M/B"라 함)
{실시예 7}
EPR 9.4%, EPDM 1.2%, #212 0.2%, TL-700L 14.9%, TS 74.3%를 혼합하여 촉진제(상품명: TMTM75 M/B)를 제조하였다.(이하, "A type-TMTM75 M/B"라 함)
{실시예 8}
EPR 18.2%, EPDM 2.3%, #212 0.3%, 오일 1.2%, TL-450M 3.0%, TS 75%를 혼합하여 촉진제(상품명: TMTM75 M/B)를 제조하였다.(이하, "B type-TMTM75 M/B"라 함)
{실시예 9}
EPR 3.8%, EPDM 0.5%, #212 0.2%, TL-700L 14.6%, S 40.2%, IS 40.8%를 혼합하여 촉진제(상품명: IS75S M/B)를 제조하였다.(이하, "A type-IS75S M/B"라 함)
{실시예 10}
EPR 12.1%, EPDM 1.1%, #212 0.4%, TL-450M 3.0%, S 41.4%, IS 42.0%를 혼합하여 촉진제(상품명: IS75S M/B)를 제조하였다.(이하, "B type-IS75S M/B"라 함)
{실시예 11}
NR 25%와 BR 75%로 이루어진 폴리머 100 중량부와 여기에 Carbon Black 60 중량부, Zinc Oxide 4.0 중량부, Stearic Acid 1.0 중량부, Phenol-Class 2.0 중량부 및 Paraffine Oil 8.0 중량부를 B/B에 넣고 혼합 교반시킨 후, 이를 다시 A type-MBT75 M/B 0.29 중량부, A type-MBTS75 M/B 2.20 중량부, A type-TMTM75 M/B 0.09 중량부 및 A type-IS75S M/B 2.5중량부와 함께 혼합하였다.
이후, 금형의 내부에 수용성 외부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 전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금형에 투입한 후, 이를 압축 성형하여 아웃솔(Carbon Master Batch)(상품명: ORS-017)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NR 11.10%와 BR 77.80%, Nitrile Butadiene Rubber 11.10%로 이루어진 폴리머 100 중량부와 여기에 White Carbon 41.70 중량부, Zinc Oxide 6.20 중량부, Stearic Acid 1.0 중량부, Polyethylene glycol 3.30 중량부, Phenol-Class 1.70 중량부 및 Silane Coupling Agent 2.20 중량부, Paraffine Oil 5.60 중량부를 B/B에 넣고 혼합 교반시킨 후, 이를 다시 B type-MBT75 M/B 0.3 중량부, B type-MBTS75 M/B 2.10 중량부 및 B type-TMTM75 M/B 0.10 중량부와 함께 혼합한 다음, 여기에 B type-IS75S M/B 2.5중량부를 첨가하여 다시 혼합하였다.
이후, 금형의 내부에 수용성 외부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 전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금형에 투입한 후, 이를 압축 성형하여 아웃솔(White Master Batch)(상품명: ORS-018)을 제조하였다.
한편, 앞에서 개시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별도의 이형제 도포 장치가 필요 없고 공정상의 공정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금형의 Sanding(오염물 제거 방법)/도금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수용성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금형의 오염과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금형 청소 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은 외부 이형제의 과잉 도포 요인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불량 접촉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은 고무 혼합시 좋은 혼련성으로 인한 기계 마모의 감소 및 기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섯 번째로, 본 발명은 고무 혼합시 좋은 혼련성으로 인한 배합제의 균일 분산성 및 접착력을 향상시키며, 특히 고무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금형상으로부터 탈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형제를 상기 금형에 도포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하기 위한 이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형 조성물은 분자량 400∼2800의 Highly branched hydrocarbon과 Carboxylic Acid, 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및 Phospholipids including heat stable lecithin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는 아웃솔용 이형 조성물.
  2. 금형상으로부터 탈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형제를 상기 금형에 도포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하기 위한 이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형 조성물은 분자량 800∼2000의 Branched Hydrocarbon과 분자량 200∼800의 Long Chain carboxylic acids 및 분자량 200∼800의 Metal complex of long chain carboxylic acid, 그리고 Ionomer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는 아웃솔용 이형 조성물.
  3. 통상의 조성물을 가지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형의 내부에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고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Internal Mold Lubricant와 상기 통상의 조성물을 혼합한 후, 이를 성형하여 아웃솔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nternal Mold Lubricant는 분자량 400∼2800의 Highly branched hydrocarbon, Carboxylic Acid, 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및 Phospholipids including heat stable lecithin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Internal Mold Lubricant는 분자량 800∼2000의 Branched Hydrocarbon, 분자량 200∼800의 Long Chain carboxylic acids, 분자량 200∼800의 Metal complex of long chain carboxylic acid 및 Ionomer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신발용 아웃솔.
  7. 폴리머 100 중량부와 통상의 충전제 및 첨가제 160∼180 중량부를 혼합 교반시키는 제1 과정을 포함하는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Mercaptobenzothiazole, Dibenzothiazyl disulfide, Tetramethylthiurm Monosulfide, Soluble Sulfur, Insoluble Sulfur}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선택한 후, 이를 혼합시켜 촉진제로 제조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결과물에 상기 촉진제 3∼8 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촉진제는 Ethylene-propylene Copolymer 10∼25%, Ethylene-propylene dinemonomer 0.5∼3.0%, 고지방산 불포화 화합물 0.1∼1.0%, Internal Mold Lubricant 1.0∼4.0% 및 {Mercaptobenzothiazole, Dibenzothiazyl disulfide, Tetramethylthiurm Monosulfide, Soluble Sulfur, Insoluble Sulfur}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조성물 50∼80%를 혼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촉진제는 오일 1.0∼5.0%를 첨가하여 혼합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nternal Mold Lubricant는 분자량 400∼2800의 Highly branched hydrocarbon, Carboxylic Acid, 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및 Phospholipids including heat stable lecithin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nternal Mold Lubricant는 분자량 800∼2000의 Branched Hydrocarbon, 분자량 200∼800의 Long Chain carboxylic acids, 분자량 200∼800의 Metal complex of long chain carboxylic acid 및 Ionomer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웃솔의 제조방법.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신발용 아웃솔.
  13. 제10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신발용 아웃솔.
  14. 제1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신발용 아웃솔.
  15. 통상의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시 첨가되는 촉진제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thylene-propylene dinemonomer, 고지방산 불포화 화합물, Internal Mold Lubricant 및 Mercaptobenzothiazole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의 조성물.
  16. 통상의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시 첨가되는 촉진제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thylene-propylene dinemonomer, 고지방산 불포화 화합물, Internal Mold Lubricant 및 Dibenzothiazyl disulfide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의 조성물.
  17. 통상의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시 첨가되는 촉진제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thylene-propylene dinemonomer, 고지방산 불포화 화합물, Internal Mold Lubricant 및 Tetramethylthiurm Monosulfide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의 조성물.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촉진제는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의 조성물.
  19. 통상의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시 첨가되는 촉진제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thylene-propylene dinemonomer, 고지방산 불포화 화합물, 오일, Internal Mold Lubricant 및 Soluble Sulfur, 그리고 Insoluble Sulfur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의 조성물.
  20. 제15항, 제16항, 제17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Internal Mold Lubricant는 분자량 400∼2800의 Highly branched hydrocarbon, Carboxylic Acid, 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및 Phospholipids including heat stable lecithin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의 조성물.
  21. 제15항, 제16항, 제17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Internal Mold Lubricant는 분자량 800∼2000의 Branched Hydrocarbon, 분자량 200∼800의 Long Chain carboxylic acids, 분자량 200∼800의 Metal complex of long chain carboxylic acid 및 Ionomer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의 조성물.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Internal Mold Lubricant는 분자량 400∼2800의 Highly branched hydrocarbon, Carboxylic Acid, 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및 Phospholipids including heat stable lecithin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의 조성물.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Internal Mold Lubricant는 분자량 800∼2000의 Branched Hydrocarbon, 분자량 200∼800의 Long Chain carboxylic acids, 분자량 200∼800의 Metal complex of long chain carboxylic acid 및 Ionomer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아웃솔용 촉진제의 조성물.
KR10-2000-0079019A 2000-12-20 2000-12-20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배합된 아웃솔, 그리고 상기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KR100381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019A KR100381653B1 (ko) 2000-12-20 2000-12-20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배합된 아웃솔, 그리고 상기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CN01805351A CN1404435A (zh) 2000-12-20 2001-02-08 不涂外模具润滑剂的制造鞋靴外底的方法和其配方组合物
PCT/KR2001/000182 WO2002049822A1 (en) 2000-12-20 2001-02-08 Method for manufacturing outsole for footwear without applying external mold rubricant onto mold, and formulating composition therefor
AU2001236118A AU2001236118A1 (en) 2000-12-20 2001-02-08 Method for manufacturing outsole for footwear without applying external mold rubricant onto mold, and formulating composition therefor
JP2002551145A JP2004516082A (ja) 2000-12-20 2001-02-08 外部離型剤を型に塗布せずに履き物用アウト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配合組成物
US10/203,994 US7220711B2 (en) 2000-12-20 2001-02-08 Method for manufacturing outsole for footwear without applying external mold lubricant onto mold, and formulating composition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019A KR100381653B1 (ko) 2000-12-20 2000-12-20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배합된 아웃솔, 그리고 상기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170A true KR20010044170A (ko) 2001-06-05
KR100381653B1 KR100381653B1 (ko) 2003-04-26

Family

ID=1970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019A KR100381653B1 (ko) 2000-12-20 2000-12-20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이 배합된 아웃솔, 그리고 상기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20711B2 (ko)
JP (1) JP2004516082A (ko)
KR (1) KR100381653B1 (ko)
CN (1) CN1404435A (ko)
AU (1) AU2001236118A1 (ko)
WO (1) WO20020498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73B1 (ko) * 2009-05-21 2012-02-15 영광산업(주) 안내표지판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7731B (zh) * 2015-04-24 2018-03-30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一种静音舒适的橡胶天皮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1875A (en) * 1976-02-20 1978-09-05 Uva Pasquale A Composition of heel base for shoes
US4418483A (en) * 1981-03-31 1983-12-06 Rinza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shoe sole material and shoes products made by the same
JPS58125725A (ja) * 1982-01-19 1983-07-26 Maruchiu Sangyo Kk 履物底材用架橋発泡体の製造法
US4545927A (en) * 1982-07-29 1985-10-08 Phillips Petroleum Company Conductive (hard) rubber compositions
US5051466A (en) * 1983-02-16 1991-09-24 The Dow Chemical Company Internal mold release compositions
JPS6297808A (ja) * 1985-10-24 1987-05-07 Sumitomo Bayer Urethane Kk ポリウレタ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S63172764A (ja) * 1987-01-12 1988-07-16 Kiyoueishiya Yushi Kagaku Kogyo Kk ポリウレタン反応射出成形用内部離型剤
JPH0337216A (ja) * 1989-07-03 1991-02-18 Sanyo Chem Ind Ltd 内部離型剤およびポリウレタンの製法
JPH09194663A (ja) * 1996-01-18 1997-07-29 Moon Star Co 靴底用高分子組成物
US5716723A (en) * 1996-03-07 1998-02-10 Van Cleef; James Gresham Glow in the dark shoe sole
JP3527855B2 (ja) * 1998-11-10 2004-05-17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靴底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73B1 (ko) * 2009-05-21 2012-02-15 영광산업(주) 안내표지판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20711B2 (en) 2007-05-22
CN1404435A (zh) 2003-03-19
US20030013616A1 (en) 2003-01-16
JP2004516082A (ja) 2004-06-03
WO2002049822A1 (en) 2002-06-27
KR100381653B1 (ko) 2003-04-26
AU2001236118A1 (en) 200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4430B (en) Rubber composition with non-petroleum oils
TWI418584B (zh) 鋅多離子聚合物橡膠活化劑
US6525121B1 (en) Rubber composition
JP4230622B2 (ja) 抗戻り物質を含むゴム組成物及びその成分を有するタイヤ。
KR20010044170A (ko) 외부 이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용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아웃솔, 그리고 신발 고무 아웃솔용 배합 조성물
WO2021256295A1 (ja) シランカップリング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ゴム組成物
CN108285562A (zh) 一种氢化丁腈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501216B1 (ko) 신발겉창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블렌드 조성물
US11478040B2 (en) Footwear and rubber sole containing zinc rosinate
JP2957480B2 (ja) 靴のアウトソール
JP2000336207A (ja) 高減衰ゴム組成物
JP4359734B2 (ja) ゴルフボール及びゴルフボール用成型物の製造方法
EP0204790B1 (fr) Compositions a base d'elastomere polyolefinique, leur procede de fabrication et des articles obtenus a partir desdites compositions
CN114437422A (zh) 用于鞋底的橡胶组合物及其应用、硫化橡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311586A (zh) 一种pp/sbr共混改性复合材料及制备方法
CA2446634A1 (en) Zinc diacrylate predispersed in high-cis polybutadiene
JP2022030384A5 (ko)
KR20020037595A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CN114437462B (zh) 用于鞋底的橡胶组合物及其应用、硫化橡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9189745A (ja) 天然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2019189744A (ja) 天然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用ゴム組成物
KR20020003414A (ko) 비드 인슐레이션용 고무 조성물
JPH0570656B2 (ko)
KR101403933B1 (ko) 고무 조성물용 가공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JPS6395240A (ja) 低発熱性ゴム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