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076A - 이동식 파쇄기계 - Google Patents

이동식 파쇄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076A
KR20010042076A KR1020007010428A KR20007010428A KR20010042076A KR 20010042076 A KR20010042076 A KR 20010042076A KR 1020007010428 A KR1020007010428 A KR 1020007010428A KR 20007010428 A KR20007010428 A KR 20007010428A KR 20010042076 A KR20010042076 A KR 20010042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crusher
feeder
crushed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376B1 (ko
Inventor
야마자키카주유키
코야나기사토루
니시다야수타카
이케가미카쯔히로
나카야마토루
쿠로하라모토키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2001004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효율좋게 생산할 수 있는 고품질 제어이며, 또한 이상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자기손상 등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파쇄기계를 제공한다. 이 때문에, 이동가능한 차체(1)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3)와 파쇄기(4)를 구비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파쇄기(4)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과,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으로부터 양(H)을 받고, 받은 양(H)에 기초하여 피더(3)의 구동속도(V)를 변경가능하게 제어하는 제어수단(1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파쇄기계{MOBILE CRUSHER}
이동식 파쇄기계는, 도 1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차체(1) 상에 설치된 호퍼(2)와, 호퍼(2)의 바닥부에 설치된 피더(3)와, 피더(3)의 끝부 하방으로 설치된 파쇄기(4)와, 파쇄기(4)의 하방으로 설치된 벨트컨베이어(5) 등을 보유한다. 피더(3), 파쇄기(4), 벨트컨베이어(5)는, 피더구동계, 파쇄기구동계, 벨트컨베이어구동계(각각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구동된다. 파쇄기(4)의 상부는 개구하여 피더(3)의 끝부로 향하고, 파쇄기(4)의 하부도 개구하여 벨트컨베이어(5)의 상면으로 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피더(3) 상에 외부로부터 얹어 놓여진 피파쇄물(6a)을 피더(3)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기(4)의 상부개구에서 파쇄기(4)의 내부로 투입하여, 파쇄기(4)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한다. 파쇄물(6b)을 제품으로서, 파쇄기(4)의 하부개구로부터 벨트컨베이어(5) 상에 배출하여, 벨트컨베이어(5)의 구동에 의해서 차 밖으로 배출한다.
이와 같은 이동식 파쇄기계로는 상기 3개의 구동계 간의 동기제어가 파쇄물 (6b)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준다. 그래서 파쇄기계 중에는, 파쇄기(4)의 단위시간 당의 목표파쇄량(A2)을 입력하는 목표파쇄량 설정수단(도시하지 않음)과, 파쇄기 (4)의 단위시간 당의 실제파쇄량(B)을 검출하는 실제파쇄량 검출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보유하는 것이 있다. 이 파쇄기는 게다가, 목표파쇄량(A2)과 실제파쇄량 (B)을 비교하고,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A2-B 〉0」일 때 피더(3)를 증속하고, 「A2-B=0」 일 때 피더(3)의 구동속도(V)를 유지하며, 「A2-B〈 0」 일 때 감속하는 제어수단을 보유한다. 또, 「A2」는 소정범위를 보유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파쇄기계도 알려진다.
(1) 일본실공5-1315호에 기재된 파쇄기계는 정치식이지만, 파쇄기의 상부개구에 설치된 그리즐리ㆍ스크린 상에 큰 암석이 체류했을 때 이 암석을 검출하는 센서와, 센서가 그 암석을 소정시간 검출했을 때 피더를 자동정지시키는 제어장치를 보유한다.
(2) 일본특개7-116541호에 기재된 이동식 파쇄기계는, 파쇄기가 과부하로 되었을 때 이것을 검출하는 센서와, 센서가 과부하를 검출했을 때 피더를 자동정지시키는 제어장치를 보유한다.
(3) 일본특개8-281140호에 기재된 이동식 파쇄기계는, 각 부(피더구동계, 파쇄기구동계, 벨트컨베이어구동계뿐만 아니라, 엔진, 발전기 등에 있어서의 수온, 유압, 연료잔량 등을 포함한다)에 이상이 생겼을 때에 이것을 검지하는 센서와, 센서가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 피더를 자동정지시키는 제어장치를 보유한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각각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상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제파쇄량(B)은, 파쇄기(4)의 배치위치에서 보더라도, 또한 파쇄기(4)의 파쇄효율에서 보더라도,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기물(6a)의 양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이것에도 관계하지 않고 상기 종래의 파쇄기계, 즉 목표파쇄량(A2)과 실제파쇄량(B)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피더(3)의 구동속도(V)를 변경하는 파쇄기계는, 파쇄기(4)의 하류측에 설치된 실제파쇄량 검출수단의 검출결과를 파쇄기(4)의 상류측에 설치된 피더(3)의 구동속도(V)에 반영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어떻게 하더라도 실제파쇄량(B)과 피더(3)의 구동속도(V)에 동기 어긋남이 생긴다. 이것에 의해 고품질의 제어가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2) 상기 각 공보에 기재된 파쇄기계는, 이상이 생겼을 때에 피더가 자동정지한다. 즉 이들 종래기술은, 이상발생시의 제어기술이다. 이 때문에 예컨대 파쇄기계 자체의 손상이나 생산성 저하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차체에 설치되는 파쇄기계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조파쇄기의 작용설명도이고,
도 1A는, 전체측면도이다.
도 1B는, 스윙조의 구동 구조선도이고,
도 1C는, 발생파쇄력의 분포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조파쇄기의 다른 작용설명도이고,
도 2A는, 전체측면도이고,
도 2B는, 필요파쇄력의 분포도이며,
도 2C는, 필요파쇄력의 분포와 발생파쇄력의 분포의 중첩도이다.
도 3는, 조파쇄기의 다른 작용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실시예를 포함하는 구성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로오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더의 구동속도의 제어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로오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더의 구동속도의 제어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로오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더의 구동속도의 제어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의 이동식 파쇄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피더의 구동속도의 제어결과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효율좋게 생산할 수 있는 고품질제어이며, 또한 이상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자기손상 등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파쇄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동식 파쇄기계는, 특히 상기「실제파쇄량(B)이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양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것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을 도 1A 내지 도 3의 조파쇄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파쇄기(4)는, 도 11의 예시된 파쇄기에도 탑재된 것이며, 도 1A, 도 2A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판(4a)과 스윙조(4b)가, 상부개구를 넓게 함과 아울러, 하부개구를 좁게 또한 조정가능하게 대면배치된 것이다. 게다가 대면간(상기 「파쇄기(4)의 내부」이며, 소위 「파쇄실」이다)에, 피파쇄물(6a)이 투입된다. 또, 파쇄물(6b)의 입자지름은 하부개구의 좁은 정도에 의해 정해진다.
[1]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판(4a)는 차체(도시하지않음)에 고정하지만, 스윙파쇄기(4b)는 상단을 편심구동축(4c)에 의해서 회전구동되고, 하단을 플레이트(4d)를 통해서 차체에 자유롭게 지지된다. 결국 스윙조(4b)는, 도 1B의 링게이지의 링크장치의 구조선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구동축(4c)에 의한 상부에서의 원형운동(a1)이 하부로 향할수록 직선운동(a3)에 가깝게 된다. 따라서 스윙조 (4b)가 발생하는 편심구동축(4c)의 1회전 당의 파쇄력(F0)은(결국 고정판(4a)의 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의 힘(F0)은), 도 1C에서 나타내는 분포로 된다.
[2] 그래서 판에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기(4)의 내부에, 좁은 하부에서 넓은 상부로 향하여, 작은 돌(작은 피파쇄물)(6a)에서 큰 돌(큰 피파쇄물) (6a)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가득 채우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때 각 돌(6a)의 파쇄에 필요한 파쇄력(F1)은 도 2B에 나타내는 분포로 된다. 그래서 이 필요파쇄력 (F1)의 분포(도 2B)를, 도 1C의 스윙조(4b)가 발생하는 파쇄력(F0)의 분포에 겹쳐놓으면, 도 2C로 된다. 게다가 도 2C는,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가 높으면, 피파쇄물(6a)을 효율좋게 파쇄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양은, 그 높이(H)와 같은 값이다(이하 동일하다).
[3] 또한 판에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기(4)의 내부에 작은 돌(6a)을 투입하여 가득 채웠을 때를 고려한다. 이 때 파쇄기(4)의 중앙에서 하부에 걸쳐서의 돌(6a)은, 이 영역에서의 파괴운동이 직선운동(a3)(도 1B참조)에 점점 가까와지기 때문에, 파쇄력(F0)을 직접적으로 받아서 파쇄되고, 이 때문에 동력손실이 적어진다. 그런데 파쇄기(4)의 상부의 돌(6a)은, 이 영역에서의 파괴운동이 원형운동(a1)이기 때문에 파쇄력(F0)가 각 돌(6a)자체의 회전운동이나 돌(6a) 간의 마찰력으로 변화해버리는 성분이 생기고, 이 때문에 기대한 바와 같은 파쇄가 얻어지지 않는다. 결국 파쇄기(4)의 상부의 돌(6a)에 대해서는 동력손실이 생길 뿐만 아니라, 고정판(4a) 및 스윙조(4b)의 상부의 마모까지도 촉진한다.
[4] 상기 [2], [3]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는, 파쇄기(4)의 효율상, 기본적으로는 파쇄기(4)의 내부의 상부를 포함하지 않는 높이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이하, 이 상한 높이(H)를 「높이 HH」로 한다. 도 2C 참조).
[5] 그런데 실제파쇄량(B)은 절대량이고, 파쇄기(4)의 효율과는 무관계이다. 따라서 비록 파쇄기(4)의 파쇄력(F0)에서 바라봐서 파괴효율이 좋더라도, 실제파쇄량(B)이 적으면 의미가 없다. 즉 상기 [2], [3]의 설명에 기초하여 임시로 파쇄기 (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파쇄기(4)의 하부로 설정하면, 파쇄기 (4)의 내부에 피파쇄물(6)이 없게 되는 사태가 빈번하게 생한다. 또한 파쇄물(6b)은 그 자체의 중량이나 상부의 피파쇄물(6a)의 중량에 눌려져서 낙하하지만, 상부의 피파쇄물(6a)이 없는만큼, 생산속도의 제어 등까지도 곤란하게 된다. 결국 파쇄기 (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는, 실제파쇄량(B)을 고려하면, 기본적으로는 파쇄기(4)의 내부의 하부를 포함하지 않는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하, 이 하한 높이(H)를 「높이HL」로 한다. 도 2C 참조).
[6] 상기 [4], [5]에 의하면, 파쇄기(4)의 효율이라는 점에서, 또한 실제파쇄량(B)의 양이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는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HL〈H〈HH」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된다(도 2C 참조). 또,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의 「HL」은, 파쇄기(4)의 내부의 1/3정도의 높이, 「HH」는 2/3정도의 높이로 하고 있다.
[7] 또, 파쇄기(4)로서는, 상기 조파쇄기 외, 도시하지 않지만 예컨대 임펙트형, 전단형 등, 각종이 준비되어 있다. 임펙트형은 파쇄실의 하부에 회전판 및 파쇄물 배출구를 보유함과 아울러, 상부에 반발판 및 피파쇄물 투입구를 보유하고, 투입구로부터의 피파쇄물이 회전판에 의해서 튀어서 반발판에 격돌하여 파괴되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형식이다. 전단형은 소정간격 이간하여 서로 역회전하는 롤러 간에 상부에서 피파쇄물을 투입하고 파쇄하여 하부에서 배출하는 형식이다. 이들 임펙트형이나 전단형 등의 파쇄기(4)에 대해서도, 이들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6]의 결론(HL〈H〈HH)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파쇄기계의 제 1은, 이동가능한 차체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와 파쇄기를 구비하고, 피더 상에 외부에서 얹어 놓은 피파쇄물을 피더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기의 상부개구에서 파쇄기의 내부로 투입하고, 파쇄기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하여, 파쇄물을 파쇄기의 하부개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a) 파쇄기 내부에서의 피파쇄물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과,
(b) 피파쇄물량 검출수단으로부터 양(H)을 받아서, 받은 양(H)에 기초하여 피더의 구동속도(V)를 변경가능하게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1구성에 의하면, 피더의 구동속도(V)가 피파쇄물의 양(H)에 의해서 직접제어되기 때문에, 이상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자기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제파쇄량(B)의 제어품질이 향상하므로, 효율좋게 파쇄물을 생산할 수 있다.
제 2에, 이동가능한 차체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와 파쇄기를 구비하고, 피더 상에 외부에서 얹어 놓은 피파쇄물을 피더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기의 상부개구에서 파쇄기의 내부로 투입하고, 파쇄기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하여, 파쇄물을 파쇄기의 하부개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a) 파쇄기 내부에서의 피파쇄물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과,
(b) 기준치(HL), (HH)(단 「HL〈HH」)를 미리 기억함과 아울러, 피파쇄물량 검출수단으로부터 양(H)을 받아서 기준치(HL), (HH)와 비교하여,
(b1) 「H≤HL」일 때, 피더의 구동속도(V)를 빠르게 하는 신호(+△I)를,
(b2) 「HL〈H〈HH」일 때, 구동속도(V)를 유지하는 신호(I2)를,
(b3) 「H≥HH」일 때, 구동속도(V)를 느리게 하는 신호(-△I)를 피더구동계에 입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구성은 상기 제 1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구현화한 것이며, 그 결과는, 예컨대 도 6의 제어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즉 파쇄기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의 높이(H)가, 기본적으로는 「HL〈H〈HH」으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파쇄기의 효율상도 또한 실제파쇄량(B)상도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된다.
제 3에 이동가능한 차체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와 파쇄기를 구비하고, 피더 상에 외부에서 얹어 놓은 피파쇄물을 피더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기의 상부개구에서 파쇄기의 내부로 투입하고, 파쇄기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하여, 파쇄물을 파쇄기의 하부개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a) 파쇄기의 단위시간 당의 목표파쇄량(A2)을 설정하는 목표파쇄량 설정수단과,
(b) 파쇄기의 단위시간 당의 실제파쇄량(B)을 검출하는 실제파쇄량 검출수단과,
(c) 파쇄기 내부에서의 피파쇄물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과,
(d) 목표파쇄량 설정수단으로부터 목표파쇄량(A2)을, 실제파쇄량 검출수단으로부터 실제파쇄량(B)을, 피파쇄물량 검출수단으로부터 양(H)을 받아서, 받은 A2, B, H에 기초하여 피더의 구동속도(V)를 변경가능하게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3구성은, 파쇄기의 단위시간 당의 목표파쇄량(A2)을 설정하는 목표파쇄량 설정수단과, 파쇄기의 단위시간 당의 실제파쇄량(B)을 검출하는 실제파쇄량 검출수단을 보유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서는, 제 1, 제 2구성에 있어서의 「HL〈H〈HH」를 유지하는 기본적인 작용효과에 더하여, 급속히 「B=A2」로 맞추는 작용효과도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4에, 이동가능한 차체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와 파쇄기를 구비하고, 피더 상에 외부에서 얹어 놓은 피파쇄물을 피더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기의 상부개구에서 파쇄기의 내부로 투입하고, 파쇄기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하여, 파쇄물을 파쇄기의 하부개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a) 파쇄기의 단위시간 당의 목표파쇄량(A2)을 설정하는 목표파쇄량 검출수단과,
(b) 파쇄기의 단위시간 당의 실제파쇄량(B)을 검출하는 실제파쇄량 검출수단과,
(c) 파쇄기 내부에서의 피파쇄물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과,
(d) 기준치(HML), (HMH)(단 「HML〈HMH」),
(d11) 기준치(HML) 이하의 값에 따라서 설정한 보정량(+C),
(d12) 기준치(HML) 내지 (HMH) 간의 값에 대응하는 보정량(C)(=0), 및
(d13) 기준치(HMH) 이상의 값에 따라서 설정한 보정량(-C)를 미리 기억함과 아울러, 목표파쇄량 설정수단으로부터 목표파쇄량(A2)을, 실제파쇄량 검출수단으로부터 실제파쇄량(B)을, 피파쇄물량 검출수단으로부터 양(H)을 받고,
(d21) 「H≤HML」일 때, 상기 설정한 보정량(+C)을,
(d22) 「HML〈H〈HMH」일 때, 상기 대응하는 보정량(C)(=0)을,
(d23) 「H≥HMH」일 때, 상기 미리 기억한 보정량(-C)을 판독하고, 「A2-B+보정량=D」를 연산하고,
(d31) 「D 〉0」일 때, 피더의 구동속도(V)를 빠르게 하는 신호(+△I0)를,
(d32) 「D=0」일 때, 구동속도(V)를 유지하는 신호(I2)를,
(d33) 「D〈 0」일 때, 구동속도(V)를 느리게 하는 신호(-△I0)를 피더구동계에 입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4구성은 상기 제 3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구체화한 것이며, 그 결과는 예컨대 도 8의 제어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또, 도 7에는, 제 4구성의 기준치(HML), (HMH)와 아울러, 제 4구성에 기재되지 않은 기준치(HL), (HH)도 기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해서도 하기에 설명하지만, 이들은 「HL〈HML〈HMH〈HH」의 관계를 보유하기 때문에, 기준치(HL), (HH)에 관한 설명부분을 무시하더라도, 제 4구성의 작용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기준치(HL)은 파쇄기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의 바람직한 높이의 상기 상한치이도, 또 한편, 기준치(HH)는, 바람직한 높이의 상기 상한치이다.
즉, 목표파쇄량(A2)은 상기 파쇄기에 있어서 달성가능한 실제파쇄량(B)의 지표이기때문에, 피파쇄물의 성상에 의해서 각각 변화(B≠A2)하여도 「최적제어」만 행하여 두면, 다소의 변화(B≠A2)가 생겨도 「B=A2」으로 맞춘다. 이와 같은 「최적제어」가 제 4구성이다. 또, 보정량(+C) 내지 (-C)은, 목표파쇄량(A2)에 대한 보정으로 생각하여도 좋고, 또는 실제파쇄량(B)에 대한 연산 상의 보정량으로 생각하여도 좋다. 이하, 도 8에 있어서, 상단보다 하단으로 향해서의 각 모드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1) 「A2-B 〉0」은 실제파쇄량(B)이 목표파쇄량(A2)보다도 적은 상태이기 때문에, 피더의 구동속도(V)를 증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H≤HML」이면, 파쇄기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이 급속히 없어지게 되고, 공타가 생기고, 소음이나 기계의 손상이 생긴다. 따라서 이 때는 피더의 구동속도(V)를 증속시키고 있다.
(2) 동일하게 「A2-B 〉0」일 때에 「HML〈H〈HMH(즉, C=0)」이어도, 상기 (1)과 마찬가지로 피더의 구동속도(V)를 증속시키고 있다.
(3) 그런데 동일하게 「A2-B〉0」일 때에도, 「H≥HMH(즉, 보정량(-C)」일 때는, 양(H)은 상한치(HH)에 가깝기 때문에, 피더의 구동속도(V)를 증속하면, 「H〉HH」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정량(-C)을 설정한다. 또, 보정량(-C)은 양(H)이 높게 될수록 마이너스값이 점점 증가하도록 설정한다. 보정량(-C)의 크기에 의해서는 「A2-B-C〉0」, 「A2-B-C=0」 또는 「A2-B-C〈0」의 세 형태가 생긴다. 그래서,
(3a)「A2-B-C〉0」에서는 상기 (1)과 마찬가지로 피더의 구동속도(V)를 증속시키고 있다.
(3b) 「A2-B-C=0」에서는 피더의 구동속도(V)를 유지하고 있다.
(3c) 「A2-B-C〈0」에서는 상기 (3b)보다 양(H)이 높기 때문에 파쇄기의 상부개구가 피파쇄물에 의해서 막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피더의 구동속도(V)를 감속시키고 있다. 이상의 것에서 (3a), (3b)를 고려하면, 어떠한 A2의 값에 대해서도 「H〈HH」으로 해야하는 것이므로, 목료파쇄량(A2)의 최대치(Amax)보다, C의 마이너스의 최대치(Cmin)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A2-B=0」은 실제파쇄량(b)과 목표파쇄량(A2)이 동일한 상태이지만, 피파쇄물의 양(H)의 크기에 따라서 「H≤HML(즉, 보정량(+C)」, 「HML〈H〈HMH(즉, C=0)」 또는 「H≥HMH(즉, 보정량(-C)」의 세 형태로 나누어진다.
(4a) 보정량(+C)는 「H≤HML」을 나타내기 때문에, 피더의 구동속도(V)를 증속하고, 「HML〈H〈HMH(WMR, C=0)」으로 한다.
(4b) 「C=0」일 때는, 피더의 구동속도(V)를 유지한다. 이것은 당연하며 설명이 필요없다.
(4c) 보정량(-C)은 「H≥HMH」을 나타내기 때문에, 피더의 구동속도(V)를 감속시키고, 「HML〈H〈HMH(즉, C=0)」으로 하고, 이것에 의해 파쇄기의 상부개구가 피파쇄물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5) 「A2-B〈 0」은 실제파쇄량(B)이 목표파쇄량(A2)보다도 많은 상태이기 때문에, 피더의 구동속도(V)를 감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H≤HML(즉, 보정량(+C)」일 때는 보정량(+C)의 크기에 의해서는 「A2-B+C〉0」, 「A2-B+C=0」 또는 「A2-B-C〈0」의 세 형태로 나누어진다.
(5a) 「A2-B-C〉0」일 때는, 실제파쇄량(B)이 많기 때문에 피더의 구동속도(V)를 감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피더의 구동속도(V)를 증속하여, 파쇄기의 내부로의 피파쇄물의 투입량을 크게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소위 공타를 방지하고 있다.
(5b) 「A2-B-C=0」일 때는, 피더의 구동속도(V)는 유지된다.
(5c) 「A2-B-C〈0 」일 때는, 피더의 구동속도(V)를 감속한다. 이상의 경우때문에 (5b), (5c)를 고려하면, 어떠한 목표파쇄량(A2)의 값에 대해서도 「H〉HL」로 해야하므로, 실제파쇄량(B)의 최대치(Bmax)보다 C의 최대치(Cmax)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동일하게 「A2-B〈0」일 때에 「HML〈H〈HMH(즉, C=0)」이면, 피더의 구동속도(V)는 감속된다.
(7) 동일하게 「A2-B〈0」일 때에 「H〉HMH(즉, 보정량(-C)」일 때는, 실제파쇄량(B)은 많기 때문에 피더의 구동속도(V)는 감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파쇄기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의 양도 많기 때문에 피파쇄물의 성상에 의해서는, 파쇄기의 상부개구가 피파쇄물에 의해서 막혀버린다. 따라서 피더의 구동속도(V)를 감속시키고 있다.
즉, 상기 (1) 내지 (7)은 각각 개별기재되었지만, 파쇄기의 단위시간 당의 목표파쇄량(A2)을 설정하는 목표파쇄량 설정수단고, 파쇄기의 단위시간 당의 실제파쇄량(B)을 검출하는 실제파쇄량 검출수단을 보유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서는, 상기 (1) 내지 (7)의 모드 간을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 4구성에서는, 제 1 내지 제 3구성에 있어서의 「HL〈H〈HH」를 유지하는 기본적인 작용효과에 더하여, 급속히 「B=A2」로 맞추는 작용효과도 나타내게 된다.
또, 상기 제 4구성에서의 보정량(+C)을 일정치로 또한 실제파쇄량(B)의 최대치보다도 크게 설정함과 아울러, 보정량(-C)의 절대치를 일정치로 또한 목표파쇄량 (A2)보다 크게 설정하면, 상기 제 4구성은,
(a)「H≤HML」일 때 피더의 구동속도(V)가 증속하고,
(b)「HML〈H〈HMH」일 때 피더의 구동속도(V)를 유지하고,
(c)「H≥HML」일 때 피더의 구동속도(V)를 감속하도록 되며,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구성도 상기 제 4구성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제 5에, 이동가능한 차체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와 파쇄기를 구비하고, 피더 상에 외부로부터 얹어 놓여진 피파쇄물을 피더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기의 상부개구에서 파쇄기의 내부로 투입하고, 파쇄기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하여, 파쇄물을 파쇄기의 하부개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a) 파쇄기의 단위시간 당의 목표파쇄량(A2)을 설정하는 목표파쇄량 설정수단과,
(b) 파쇄기의 단위시간 당의 실제파쇄량(B)을 검출하는 실제파쇄량 검출수단과,
(c) 파쇄기 내부에서의 피파쇄물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과,
(d) 기준치(HL), (HH)(단 「HL〈 HH」)를 미리 기억함과 아울러, 목표파쇄량 설정수단으로부터 목표파쇄량(A2)을, 실제파쇄량 검출수단으로부터 실제파쇄량 (B)을, 피파쇄물량 검출수단으로부터 양(H)을 받아서, 기준치(HL), (HH)와 비교하고,
(d21)「H≤HL」일 때, 피더의 구동속도(V)을 빠르게 하는 신호(+△I1)를,
(d22)「HL〈H〈HH」일 때, 「A2-B=E」를 연산하고,
(d221)「E 〉0」일 때, 구동속도(V)를 빠르게하는 신호(+△I2)를,
(d222)「E=0」일 때, 구동속도(V)를 유지하는 신호(I2)를,
(d223)「E〈 0」일 때, 구동속도(V)를 느리게하는 신호(-△I2)를,
(d23)「H≥HH」일 때, 구동속도(V)를 느리게 하는 신호(-△I1)를 피더구동계에 입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5구성은, 상기 제 4구성에서 보이는 보정량(+C) 내지 (-C)의 요소를 삭제하고, 목표파쇄량(A2)과, 실제파쇄량(B)을 직접적으로 도입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도, 「HL〈H〈HH」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작용효과에 더하여, 급속히 「B=A2」으로 맞추는 작용효과도 나타내도록 된다. 또, 제 5구성에서는 기준치를 「HL,HH(단 「HL〈 HH」)」으로 하였지만, 이들이 「HML,HMH(단 「HML〈 HMH」)」으로 치환되어도 관계없다. 이들은, 대소관계를 나타내는 부호로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제 1, 제 2, 제 3실시예인 예시된 파쇄기는, 도 11과 동일하게 조파쇄기를 탑재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이며,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 1실시예인 예시된 파쇄기는, 도 4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어계를 보유한다. 즉 피파쇄물량 검출수단(피파쇄물량 검출기)(7)과, 피더구동계(8)와, 피더기준속도설정다이얼(9)과, 이들 전기적으로 접속한 제어기(제어수단)(10)를 굽비한 제어계를 보유한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피파쇄물량 검출기(7)는, 파쇄기(4)의 상부개구의 상방에 설치되고, 파쇄기 (4)의 내부로 향하여 초음파(7a)를 조사하고, 파쇄기(4)의 내부의 피파쇄물(6a)(도시하지 않음)에서의 반사파(7b)를 받고,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즉「양H」, 이하 동일함)를 검출하고, 제어기(10)에 입력한다. 또, 피파쇄물량 검출기(7)는, 피더(3)에서 파쇄기(4)의 내부에 낙하 중인 피파쇄물(6a)에 대해서 초음파(7a)가 조사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피더구동계(8)는, 예시된 파쇄기에 탑재된 엔진(8a)에 의해서 구동되어서 작동유탱크(8b)로부터의 작동유를 전자비례밸브(8c)에 공급하는 유압펌프(8d)를, 보유한다. 전자비례밸브(8c)의 하류측에는 유압모터(8e)가 배치되고, 전자비례밸브 (8c)로부터 압유를 받아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유압모터(8e)의 회전축은 편심축 (8f)를 끼워서 피더(3)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편심축(8f)의 회전에 의해서 피더 (3)는 X방향으로 구동된다. 또, 전자비례밸브(8c)와 유압펌프(8d)와 사이에는, 이 유압회로전체의 최고유압을 규정하는 릴리프밸브(8g)를 설치하여 있다. 전자비례밸브(8c)는 제어기(10)으로부터 구동전류(I)를 받아서 폐위치(도면을 봐서 우측 위치)에서 개위치(도면을 봐서 좌위치)로 교환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구동전류(I)의 크기에 비례한 개구량으로 된다.
피더기준속도설정다이얼(9)은, 피더정지위치OFF와, 저속에서 고속까지의 무단계위치(Pi)를 보유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서 교환가능하게 된다. 피더기준속도설정다이얼(9)은, 제어기(10)에 대하여, 정지위치OFF에서는 모두 입력시키지 않고, 또한편, 무단계위치(Pi)에서는 그 위치에 따른 위치신호(Pi)(예컨대 위치(P2))를 입력한다.
제어기(10)는, 위치신호(Pi)에 따른 기준구동전류(Ii)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위치신호(P2)를 받으면, 이것에 대응한 기준구동전류(I2)를 기억으로부터 판독해서 구동전류(I2)로서 전자비례밸브(8c)에 출력한다(I=I2). 이 결과, 전자비례밸브(8c)는 기준구동전류(I2)에 따른 개구량으로 개구하고, 피더(3)를 구동속도 (V2)에서 X방향으로 구동한다. 다른 위치신호(Pi)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피더기준속도설정다이얼(9)은 위치(P2)로 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기(10)에 위치신호(P2)를 입력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어기(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파쇄물량 검출기(7)으로부터 파쇄기(4)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받고 있다. 그래서 제어기(10)는 도 5의 플로오챠트에 기초하여 기준구동전류(I2)를 가감(±△I)하고, 이것에 의해 피더(3)의 구동속도(V2)를 가감(±△V)한다.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또, 이미 설명한 공정도 있지만, 순서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어기(10)는, 위치신호(P2)를 받으면(공정S1), 기준구동전류(I2)를 산출한다(공정S2). 제어기(10)는 피파쇄물량 검출기(7)로부터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입력한다(공정 S3). 제어기(10)는 높이(H)와 전류(±△I)의 크기와의 관계를 함수나 매트릭스 등에 의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다. 도 5의 구체예에서는, 높이(H)에 대한 대소 2개의 기준치(HL), (HH)(HL〈 HH)와, 「H≤HL」에서는 높이(H)가 낮게 될수록 점점 증가하는 전류(+△I)와, 「H≥HH」에서는 높이 (H)가 높게 될수록 점점 증가하는 전류(-△I)를 기억하고 있다. 또, 전류(±△I)는 일정치로 하여도 좋다. 기준치(HL)는 상기 높이(HL)에 대응하고, 구체적으로는 파쇄기(4)의 내부의 전체높이의 1/3정도이다. 한편, 기준치(HH)는 상기 높이(HH)에 대응하고, 구체적으로는 파쇄기(4) 내부의 전체높이의 2/3정도이다(공정S4). 이 높이(H)를 기준치(HL), (HH)와 비교한다(공정 S5).
게다가 도 6에서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결과가 「HL〈H〈HH」이면, 기준구동전류(I2)를 유지하고(I=I2), 피더(3)의 구동속도(V2)를 유지한다(V=V2)(공정 S61). 「H〈 HL」이면, 기준구동전류(I2)에 전류+△I를 가산하고(I=I2+△I), 피더 (3)의 구동속도(V)를 빠르게 한다(V=V2+△V)(공정S62). 역으로 「H≥HH」이면, 기준치전류(I2)에 전류(-△I)를 가산하고(I=I2-△I), 피더(3)의 구동속도(V)를 느리게 한다(V=V2-△V)(공정S63). 이상의 공정S1 내지 S5, 및 S61 내지 S63 중 어느 하나를, 위치신호(P2)가 없게 되기까지 행한다(예컨대, 피더기준속도설정다이얼(9)을 OFF위치로 했을 때까지)(공정S7).
제 2실시예의 예시된 파쇄기는, 도 4에 있어서, 피파쇄물량 검출기(7)와, 피더구동계(8)와, 제어기(10)와, 목표파쇄량 설정다이얼(목표파쇄량 설정수단)(11)과, 실제파쇄량 검출기(실제파쇄량 검출수단)(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실시예와 상위점은 다음의 [1] 내지 [3]과 같다.
[1] 목표파쇄량 설정다이얼(11)은, OFF위치와, 소량에서 다량까지의 무단계위치(Ai)를 보유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서 교환가능하게 된다. 목표파쇄량 설정다이얼(11)은, 제어기(10)에 대응하고, 정지위치OFF에서는 모두 입력시키지 않고, 또 한편, 무단계위치(Ai)에서는 그 위치에 따른 위치신호(Ai)(예컨대 위치신호 (A2))를 입력한다. 이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목표파쇄량 설정다이얼 (11)의 무단계위치(Ai)는 위치(A2)로 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기(10)에 위치신호(A2)를 입력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런데 목표파쇄량 설정다이얼(11)에 의한 목표파쇄량(A2)의 설정 또는 변경설정에 따르고, 이들에 따른 피더(3)의 구동속도 (V)가 필요로 되지만, 구동속도(V)는 그 시점에 있어서의 구동전류(I)에 ±△I0이 가산되는 것에 의해 설정된다. 이 전류(±△I0)는 일정치에서 하여도 좋고, 또는 「A2-B+C(C는 후술하는 보정량)」에 따른 가변치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전류 (±△I0)를, 「A2-B+C=0」이면 영으로 하고, 또한 「A2-B+C 〉0」이면 「A2-B+C」가 크게 될수록 점점 증가시키고, 한편 「A2-B+C〈0」이면 「A2-B+C」가 영에 가까울수록 영에 가깝도록 변화시키면, 급속히 「A2-B+C=0」의 관계(즉 「±△I0=0」의 관계), 바꾸어 말하면, 「B=A2+C」의 관계에 맞추는 작용효과가 생한다. 결국 제어기(10)는, 그 때의 구동전류(I)를 전자비례밸브(8c)에 출력하는 것으로 된다.
[2] 실제파쇄량 검출기(12)는 밸트컨베이어(5)에 설치된 하중계 등이고, 단위시간 당(예컨대 1분간 당)의 실제파쇄량(B)을 계량하고, 제어기(10)에 입력한다. 또, 제어기(10)가, 하중계로부터의 검출하중을 받아서 단위시간 당의 실제파쇄량 (B)을 산출하여도 관계없다.
[3] 제어기(10)는 위치신호(Ai)에서의 각각의 위치에 따른 파쇄기(4)의 단위시간 당(예컨대 1분간당)의 파쇄가능량이 미리 목표파쇄량(Ai)로서 기억하고 있다. 게다가 제어기(10)는, 「구동전류(I)의 변화량(±△I)의 크기를 결정하는 보정량 (±C)에 관한 기억」을 보유한다. 결국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에서의 공정 (S4)에서 기술한 「높이(H)와, 전류(±△I)의 크기와의 관계」, 및 공정S1에서의 기술한 「위치신호(P2)의 제어기(10)로의 입력」은, 기억하지 않음. 이하 제 2실시예의 제어를, 도 7의 플로오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피파쇄물(6a)의 높이(H)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쇄기(4)의 하부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제 2실시예에서의 제어기(10)는, 목표파쇄량 설정다이얼(11)로부터 목표파쇄량(A2)을 받는다(공정R1). 게다가 제어기(10)는, 실제파쇄량 검출기(12)로부터 실제파쇄량(B)을 받음과 아울러, 피파쇄물량 검출기(7)로부터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받는다(공정R2). 또한 그 시점에서의 구동전류(I)를 기억한다. 또, 목표파쇄량(A2)에 맞추어서, 설명의 편의상, 기억하는 구동전류(I)를 「I2」로 일컫는다(공정R3). 게다가 제어기(10)는, 높이(H)와 전류(±△I)의 크기와의 관계를 함수나 매트릭스 등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미리 기억하고 있다. 도 7의 구체예에서는, 높이(H)에 대한 대소 4개의 기준치(HL), (HML), (HH)(HL〈 HML〈 HMH〈 HH)와, 「H≤HL」에서는 일정한 보정량(+Cmax)과, 「HL〈H≤HML」에서는 높이(H)가 낮게 될수록 점점 증가하는 보정량(+C)과, 「HMH≤H〈HH」에서는 높이 (H)가 높게 될수록 점점 증가하는 보정량(-C)과, 「H≥HH」에서는 일정한 보정량(-Cmin)을 기억하고 있다. 게다가 피파쇄물량 검출기(7)로부터의 높이(H)와, 기준치 (HL), (HML), (HMH), (HH)를 비교하여, 보정량(±C)을 기억에서 추출한다(공정R4).
목표파쇄량(A2), 실제파쇄량(B) 및 보정량(±C)를 「A2-B±C=D」로 연산하고, 결과치(D)가 양수, 음수인지 또는 영인지를 판별한다(공정R5). 게다가 도 8에서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별결과가 「D=0」이면, 그 시점에서의 구동전류(I2)를 유지하고(I=I2), 피더(3)의 구동속도(V2)를 유지한다(V=V2)(공정R61). 「D 〉0」이면, 그 시점에서의 구동전류(I2)에 전류(+△I0)를 가산하고(I=I2+△I0), 피더(3)의 구동속도(V2)를 빠르게 한다(V=V2+△V0)(공정R62). 역으로 「D〈0」이면, 그 시점에서의 구동전류(I2)에 전류(-△I0)를 가산하고(I=I2-△I0), 피더(3)의 구동속도 (V2)를 느리게 한다(V=V2-△V0)(공정R63). 이상의 공정R1 내지 R5, 및 R61 내지 R63 중 어느 하나를, 위치신호(A2)가 없게 되기까지 행한다(예컨대, 목표파쇄량 설정다이얼(11)을 OFF위치로 하였을 때까지)(공정R7).
제 3실시예의 예시된 파쇄기는, 제 2실시예과 동일한 제어계를 보유한다. 제 3실시예의 제어에 대해서 도 9의 플로오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기(10)는, 피파쇄물량 검출기(7)로부터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받는다(공정T1). 제어기(10)는, 제 1실시예의 공정(S4)과 동일하게, 높이(H)와 전류(±△I1)의 크기와의 관계를 미리 기억하고 있고, 공정(T1)에서 입력한 높이(H)로부터 대응하는 전류(△I1)를 기억한다(공정T2). 또한 그 시점에서의 피더(3)의 구동전류 (I)를 기억한다(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I2」로 한다)(공정T3).
제어기(10)는 공정T1에서 받은 높이(H)를 기준치(HL), (HH)와 비교한다 (공정T4). 게다가 도 10에서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결과가 「H≤HL」이면, 그 시점에서 구동전류(I2)에 전류(△I1)을 가산하고(I=I2+△I1), 피더(3)의 구동속도 (V2)를 빠르게 한다(V=V2+△V1)(공정T5). 역으로 「H ≥HH」이면, 그 시점에서의 구동전류(I2)에 전류(-△I1)를 가산하고(I=I2-△I1), 피더(3)의 구동속도(V2)를 느리게 한다(V=V2-△V1)(공정T6).
「HL〈H〈HH」이면, 다음의 처리를 행한다. 제어기(10)는, 목표파쇄량 설정다이얼(11)로부터 목표파쇄량(A2)을 받고, 실제파쇄량 검출기(12)로부터 실제파쇄량(B)을 받는다(공정T7). 목표파쇄량(A2) 및 실제파쇄량(B)을 「A2-B=E」로 연산하고, 결과치(E)가 양수, 음수인지 또는 영인지를 판별한다(공정T8). 도 10에서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E=0」이면, 그 시점에서의 구동전류(I2)를 유지하고(I=I2), 피더(3)의 구동속도(V2)를 유지한다(V=V2)(공정T9, T12). 「E 〉0」이면, 그 시점에서의 구동전류(I2)에 전류(+△I2)를 가산하고(I=I2+△I2), 피더(3)의 구동속도 (V2)를 빠르게 한다(V=V2+△V2)(공정T10, T12). 역으로 「E〈 0」이면, 그 시점에서의 구동전류(I2)에 전류(-△I2)를 가산하고(I=I2-△I2), 피더(3)의 구동속도(V2)를 느리게 한다(V=V2-△V2)(공정 T11, T12).
전류(±△I2)도 또한, 일정치로 하여도 좋고, 또는 「A2-B」에 따른 가변치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전류(±△I2)를, 「A2-B=0」이면 영으로 하고, 또한 「A2-B 〉0」이면 「A2-B」가 크게 될수록 점점 증가시키고, 또 한편 「A2-B〈 0」이면 「A2-B」가 영에 가까울수록 영에 가깝도록 변화시키면, 급속히 「A2-B=0」의 관계(즉 「±△I2=0」의 관계), 바꾸어 말하면, 「B=A2」의 관계로 맞추는 작용효과가 생긴다. 이상의 공정T1 내지 공정T12을, 위치신호(A2)가 없게 되기까지 행한다(예컨대 목표파쇄량 설정다이얼(11)을 OFF위치로 하였을 때까지)(공정T13, T14).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1) 상기 제 1, 제 2, 제 3실시예인 예시된 파쇄기는, 모두 도 11과 동일하게 조파쇄기(4)를 보유하는 이동식 파쇄기계로 하였지만, 임펙트형이나 전단형 등의 파쇄기(4)로도 좋다. 이 경우,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검출하면, 상기 제 1,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응할 수 있다.
(2) 상기 제 1, 제 2, 제 3실시예에서의 피파쇄물량 검출기(7)는, 피더(3)에서 파쇄기(4) 내부로 낙하 중인 피파쇄물(6a)에 초음파가 조사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하였지만, 초음파가 낙하 중의 피파쇄물(6a)에 조사되어도 좋도록 배치하여도 관계없다. 이 경우, 제어기(10)는 다음과 같이 저역필터나 연산회로 등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더(3)에서 파쇄기(4) 내로 낙하하는 피파쇄물(6a)의 높이(H)는 낙하운동이나 피파쇄물(6a)의 대소에 의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교류성분으로 된다. 이것에 비해서,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는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직류성분으로 된다. 따라서 저역필터를 이용하면, 대략 직류성분인 파쇄기 (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검출할 수 있다. 피더(3)에서 파쇄기 (4) 내로 낙하는 피파쇄물(6a)의 높이(H)는 낙하운동이나 피파쇄물(6a)의 대소에 의해서 검출빈도가 변화하지만, 이것에 비해서,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 (6a)의 높이(H)의 발생빈도는 대략 일정하다. 따라서 연속적 발생빈도인 것을 추출하는 연산회로를 보유하여도,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감도가 무딘, 또는 연산속도가 느린 회로를 이용하여도,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높이(H)를 검출할 수 있다. 피더(3)는 X방향으로 구동하는 피더로 하였지만, X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피더로 하여도 좋다.
(3)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류(±△I)는 그 절대치가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각각 고정치이어도 관계없다. 고정치로 하는 것에 의해,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4) 상기 제 2실시예에서는, 대소 4개의 기준치(HL), (HML), (HMH), (HH)(HL〈HML〈HMH〈HH)와, 「H≤HL」에서는 일정한 보정량(+Cmax)와, 「HL〈H≤HML」에서는 높이(H)가 낮게 될수록 점점 증가하는 보정량(+C)과, 「HMH≤H〈HH」에서는 높이(H)가 높게 될수록 점점 증가하는 보정량(-C)과, 「H≥HH」에서는 일정한 보정량 (-Cmin)을 기억하였지만, 다음과 같이 하여도 좋다. 즉 「HL〈H≤HML」또한 「HMH≤H〈HH」에서는 보정량(+C), (-C)을 영으로 하고, 대소 2개의 기준치(HL), (HH) (HL〈HH)와, 「H≤HL」에서는 일정한 보정량(+Cmax)과, 「H≥HH」에서는 일정한 보정량(-Cmin)을 기억하여도, 그 작용효과는, 제 2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5) 상기 항목(4)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정량(Cmax)을 실제파쇄량(B)의 최대치보다도 크게 설정함과 아울러, 보정량(-Cmin)의 절대치를 목표파쇄량(A2)보다도 크게 설정하여도 좋다. 이 설정에 의해, 상기 제 2실시예에서의 작용효과는,
(a) 「H≤HL」일 때 피더(3)의 구동속도(V)가 증속하고,
(b)「HL〈H〈HH」일 때 피더(3)의 구동속도(V)를 유지하고,
(c)「H≥HH」일 때 피더의 구동속도를 감속하도록 되며,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효율좋게 생산할 수 있는 고품질제어이며, 또한 이상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자기손상 등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파쇄기계로서 유용하다.

Claims (5)

  1. 이동가능한 차체(1)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3)와 파쇄기(4)를 구비하고, 상기 피더(3) 상에 외부로부터 얹어 놓여진 피파쇄물(6a)을 상기 피더(3)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파쇄기(4)의 상부개구에서 상기 파쇄기(4)의 내부로 투입하고, 상기 파쇄기(4)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하여, 파쇄물(6b)을 상기 파쇄기(4)의 하부개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a) 상기 파쇄기(4)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과,
    (b) 상기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으로부터 양(H)을 받고, 상기 받은 양(H)에 기초하여 상기 피더(3)의 구동속도(V)를 변경가능하게 제어하는 제어수단(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
  2. 이동가능한 차체(1)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3)와 파쇄기(4)를 구비하고, 상기 피더(3) 상에 외부로부터 얹어 놓여진 피파쇄물(6a)을 상기 피더(3)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파쇄기(4)의 상부개구에서 상기 파쇄기(4)의 내부로 투입하고, 상기 파쇄기(4)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하여, 파쇄물(6b)을 상기 파쇄기(4)의 하부개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a) 상기 파쇄기(4)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과,
    (b) 기준치(HL), (HH)(단「HL〈 HH」)를 미리 기억함과 아울러, 상기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으로부터 양(H)을 받아서 기준치(HL), (HH)와 비교하고,
    (b1) 「H≤HL」일 때, 상기 피더(3)의 구동속도(V)를 빠르게 하는 신호 (+△I)를,
    (b2) 「HL〈H〈HH」일 때, 상기 구동속도(V)를 유지하는 신호(I2)를,
    (b3) 「H≥HH」일 때, 상기 구동속도(V)를 느리게 하는 신호(-△I)를 피더구동계(8)에 입력하는 제어수단(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
  3. 이동가능한 차체(1)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3)와 파쇄기(4)를 구비하고, 상기 피더(3) 상에 외부로부터 얹어 놓여진 피파쇄물(6a)을 상기 피더(3)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파쇄기(4)의 상부개구에서 상기 파쇄기(4)의 내부로 투입하고, 상기 파쇄기(4)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하여, 파쇄물(6b)을 상기 파쇄기(4)의 하부개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a) 상기 파쇄기(4)의 단위시간 당의 목표파쇄량(A2)을 설정하는 목표파쇄량 설정수단(11)과,
    (b) 상기 파쇄기(4)의 단위시간 당의 실제파쇄량(B)을 검출하는 실제파쇄량 검출수단(12)과,
    (c) 상기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과,
    (d) 상기 목표파쇄량 설정수단(11)으로부터 목표파쇄량(A2)을, 상기 실제파쇄량 검출수단(12)으로부터 실제파쇄량(B)을, 상기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으로부터 양(H)을 받고, 상기 받은 A2, B, H에 기초하여 상기 피더(3)의 구동속도(V)를 변경가능하게 제어하는 제어수단(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
  4. 이동가능한 차체(1)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3)와 파쇄기(4)를 구비하고, 상기 피더(3) 상에 외부로부터 얹어 놓여진 피파쇄물(6a)을 상기 피더(3)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파쇄기(4)의 상부개구에서 상기 파쇄기(4)의 내부로 투입하고, 상기 파쇄기(4)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하여, 파쇄물(6b)을 상기 파쇄기(4)의 하부개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a) 상기 파쇄기(4)의 단위시간 당의 목표파쇄량(A2)을 설정하는 목표파쇄량 설정수단(11)과,
    (b) 상기 파쇄기(4)의 단위시간 당의 실제파쇄량(B)을 검출하는 실제파쇄량 검출수단(12)과,
    (c) 상기 파쇄기(4)의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과,
    (d) 기준치(HML), (HMH)(단 「HML〈HMH」),
    (d11) 기준치(HML) 이하의 값에 따라서 설정한 보정량(+C),
    (d12) 기준치(HML) 내지 (HMH) 간의 값에 대응하는 보정량(C)(=0), 및
    (d13) 기준치(HMH) 이상의 값에 따라서 설정한 보정량(-C)를 미리 기억함과 아울러, 목표파쇄량 설정수단(11)으로부터 목표파쇄량(A2)을, 상기 실제파쇄량 검출수단(12)으로부터 실제파쇄량(B)을, 상기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으로부터 양(H)을 받고,
    (d21) 「H≤HML」일 때, 상기 설정한 보정량(+C)을,
    (d22) 「HML〈H〈HMH」일 때, 상기 대응하는 보정량(C)(=0)을,
    (d23) 「H≥HMH」일 때, 상기 미리 기억한 보정량(-C)을 판독하고, 「A2-B+보정량=D」를 연산하고,
    (d31) 「D 〉0」일 때, 상기 피더(3)의 구동속도(V)를 빠르게 하는 신호 (+△I0)를,
    (d32) 「D=0」일 때, 상기 구동속도(V)를 유지하는 신호(I2)를,
    (d33) 「D〈 0」일 때, 상기 구동속도(V)를 느리게 하는 신호(-△I0)를 피더구동계(8)에 입력하는 제어수단(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
  5. 이동가능한 차체(1) 상에 각각 구동가능하게 된 피더(3)와 파쇄기(4)를 구비하고, 피더(3) 상에 외부로부터 얹어 놓여진 피파쇄물(6a)을 피더(3)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파쇄기(4)의 상부개구에서 파쇄기(4)의 내부로 투입하고, 파쇄기(4)의 구동에 의해서 파쇄하여, 파쇄물(6b)을 상기 파쇄기(4)의 하부개구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동식 파쇄기계에 있어서,
    (a) 상기 파쇄기(4)의 단위시간 당의 목표파쇄량(A2)을 설정하는 목표파쇄량 설정수단(11)과,
    (b) 상기 파쇄기(4)의 단위시간 당의 실제파쇄량(B)을 검출하는 실제파쇄량 검출수단(12)과,
    (c) 상기 파쇄기(4) 내부에서의 피파쇄물(6a)의 양(H)을 검출하는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과,
    (d) 기준치(HL), (HH)(단 「HL〈 HH」)를 미리 기억함과 아울러, 상기 목표파쇄량 설정수단(11)으로부터 목표파쇄량(A2)을, 상기 실제파쇄량 검출수단(12)으로부터 실제파쇄량(B)을, 상기 피파쇄물량 검출수단(7)으로부터 양(H)을 받아서, 기준치(HL), (HH)와 비교하고,
    (d21)「H≤HL」일 때, 상기 피더(3)의 구동속도(V)을 빠르게 하는 신호 (+△I1)를,
    (d22)「HL〈H〈HH」일 때, 「A2-B=E」를 연산하고,
    (d221)「E 〉0」일 때, 상기 구동속도(V)를 빠르게하는 신호(+△I2)를,
    (d222)「E=0」일 때, 상기 구동속도(V)를 유지하는 신호(I2)를,
    (d223)「E〈 0」일 때, 상기 구동속도(V)를 느리게하는 신호(-△I2)를,
    (d23)「H≥HH」일 때, 상기 구동속도(V)를 느리게 하는 신호(-△I1)를 피더구동계(8)에 입력하는 제어수단(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파쇄기계.
KR1020007010428A 1998-03-20 1999-03-18 이동식 파쇄기계 KR100549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92798 1998-03-20
JP09279898A JP3784169B2 (ja) 1998-03-20 1998-03-20 移動式破砕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076A true KR20010042076A (ko) 2001-05-25
KR100549376B1 KR100549376B1 (ko) 2006-02-08

Family

ID=1406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428A KR100549376B1 (ko) 1998-03-20 1999-03-18 이동식 파쇄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19172B1 (ko)
JP (1) JP3784169B2 (ko)
KR (1) KR100549376B1 (ko)
DE (1) DE19983052T1 (ko)
WO (1) WO19990486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177B1 (ko) * 2016-04-21 2016-12-20 삼영플랜트주식회사 부하 감응형 모바일 죠 크러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0847A (ja) * 2004-03-25 2005-10-0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破砕機および被破砕物の破砕システム
JP4632900B2 (ja) * 2005-08-19 2011-02-16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破砕機の制御装置
GB0617167D0 (en) 2006-08-31 2006-10-11 Cdt Oxford Ltd Compounds for use in opto-electrical devices
JP2010089033A (ja) * 2008-10-09 2010-04-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走式リサイクル機械
JP5155143B2 (ja) * 2008-12-26 2013-02-27 日立建機株式会社 木材破砕機
CN113083413B (zh) * 2021-04-08 2022-07-26 中建八局广西建设有限公司 建筑垃圾制备再生建筑材料的设备
CN113908944B (zh) * 2021-12-13 2022-03-25 北京熊猫健康管理有限公司 黑枸杞花青素冻干粉制备用纯化装置以及纯化方法
CN114849884B (zh) * 2022-05-07 2023-09-05 韶关祺瑞环保设备有限公司 可移动式破碎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746A (ja) 1985-07-30 1987-02-05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
JPS6227746U (ko) * 1985-08-01 1987-02-19
JP2528397B2 (ja) 1991-06-25 1996-08-28 日本鋼管株式会社 転炉の炉口金物
JP2777773B2 (ja) 1993-10-25 1998-07-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械
JP2933505B2 (ja) * 1995-04-18 1999-08-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移動式破砕設備の運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177B1 (ko) * 2016-04-21 2016-12-20 삼영플랜트주식회사 부하 감응형 모바일 죠 크러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376B1 (ko) 2006-02-08
WO1999048610A1 (fr) 1999-09-30
DE19983052T1 (de) 2001-03-08
US6419172B1 (en) 2002-07-16
JPH11267545A (ja) 1999-10-05
JP3784169B2 (ja)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92079B (zh) 用于调节辊压机的辊缝压力的方法
JP5283020B2 (ja) 破砕機の制御方法、破砕機及び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製品
KR100549376B1 (ko) 이동식 파쇄기계
JP4113421B2 (ja) 破砕処理システム
CN201823576U (zh) 变频式高速粉碎机以及粉碎机构
CN1203923C (zh) 在粉碎设备中采用多级粉碎来粉碎物料的方法和装置
AU201333650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ineral material processing plant and a mineral material processing plant
JP3614230B2 (ja) 移動式クラッシャ及びクラッシャの制御方法
JP5057212B2 (ja) 竪型粉砕機の制御方法
KR100334419B1 (ko) 분쇄기를 자동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766971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comminuting scrap material
JP2000024539A (ja) 自走式木材破砕機械
JP5057214B2 (ja) 竪型粉砕機の制御方法
CN111229441A (zh) 均匀供料的破碎机给料机构及移动式破碎机
JP3873483B2 (ja) 竪型粉砕機の運転制御方法
JP3164804B1 (ja) 粉体製造装置及び方法
JP2001321687A (ja) 破砕装置
RU22726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роцессом дробления материала
JP2006102593A (ja) 竪型破砕機
JP4787429B2 (ja) 土質改良装置用破砕混合機の制御装置
JP2003038980A (ja) 土質改良装置用破砕混合機の制御装置
JP2024048519A (ja) 破砕装置および解砕装置
JP3165577B2 (ja) 横型乾式ミルの運転制御方法
WO2022189506A1 (en) A crushing equipmen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921743B2 (ja) チッパシュレッ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