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1269A - 스위치 캐비닛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스위치 캐비닛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1269A
KR20010041269A KR1020007009365A KR20007009365A KR20010041269A KR 20010041269 A KR20010041269 A KR 20010041269A KR 1020007009365 A KR1020007009365 A KR 1020007009365A KR 20007009365 A KR20007009365 A KR 20007009365A KR 20010041269 A KR20010041269 A KR 20010041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ck
receiver
receivers
switchgea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르텔마르크
니콜라이발터
베쎄러호르스트
밴너롤프
Original Assignee
뮬러 노베르트
리탈-베르크 루돌프 로흐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614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4126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뮬러 노베르트, 리탈-베르크 루돌프 로흐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뮬러 노베르트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99/001667 external-priority patent/WO1999048179A1/de
Publication of KR2001004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12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3Bases or fe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1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ainly consisting of a frame onto which plates are moun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3Profiles for cabine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 바닥 프레임 및 뚜껑 프레임으로 구성된, 스위치 캐비닛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바닥 프레임 및 뚜껑 프레임은 시트 강 블랭크로 이루어진, 구멍이 뚫려있고, 구부려진 부분들의 외형을 하며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로 향해있으며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은 고정되어진 수평바닥으로 구성된다. 바닥은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로부터 굴곡져 있는 보강된 에지를 가진다. 이런 형태의 프레임을 간단하고 빠르게 조립할 수 있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각각이 적어도 한 개의 나사식 리세스(recess)를 가지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고정이 되는 네 개의 결합 식의 돌출부들을 제공한다.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은 결합 식의 돌출부들에 삽입되어지는 수단으로 결합 식의 리세스들을 가진다.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은 또한 나사구멍을 가지며 이 구멍은 결합식 돌출부들의 나사식 리세스에 중심이 맞춰지도록 배열되며 고정나사는 나사구멍에 나사산을 내며 나사식 리세스로 조여진다.

Description

스위치 캐비닛용 프레임{Frame for a switch cabinet}
이런 랙은 독일연방공화국 43 41 943 A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런 랙의 수직된 프레임 부분들은 사출성형된 부분들로 구현된다. 이런 랙의 수직된 프레임 부분들은 가로방향으로 확장된 나사식 채널들을 가진다.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의 정면은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로 고정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나사식 채널들은 하부에 끼워진 나사식 리시버에 동일 면으로 중심점방향을 맞춘다. 그로부터, 잠금 나사들은 밑면으로부터 나사식 리시버들을 거쳐 장치되고 나사식 채널들 쪽으로 나사를 조인다.
본 발명은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으로 구성된 스위치기어 캐비닛을 위한 랙(rack)에 관한 것으로, 캐비닛 안의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은 시트 강 블랭크(sheet steel blank)를 스탬핑 가공하고 구부린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있는 수평바닥을 가지며, 그 수평바닥에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은 고정되며, 그리고 보강된 에지(edge)가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로부터 먼 쪽으로 절곡 되어져 있다.
도 1은 선택적으로 첨부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벽 요소들에 대한 스위치기어의 랙의 분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장치된 벽 요소의 랙에 대한 부분 투시도.
처음에 언급했듯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간단하게 그리고 빠르게 조립될 수 있는 형태의 랙을 생산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런 목적은 네 개의 결합 돌출부들이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고정이 되고, 돌출부들 각각은 적어도 한 개의 나사식 리시버가 장착되며,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은 결합 돌출부들 위에 접속되는 수단으로 결합 리시버들을 가지고,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은 결합 돌출부의 나사식 리시버들에 동일면으로 배열되는 나사 리시버들을 가지며, 그리고 잠금 나사들은 나사 리시버들에 삽입되고 나사식 리시버들 쪽으로 조여짐으로서 이루어진다.
랙을 조립하기 위해,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의 결합 식의 리시버들은 접속 식의 돌출부에 접속한다. 여기서, 수직의 프레임 부분의 정면이 받침대로 되는 반면에 하부프레임 또는 상부프레임의 하부는 각각 멈춤개로 사용된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수직의 프레임 부분은 고정나사에 의해 그 위치에서 간단하게 고정이 된다. 조립은 숙련되지 않은 사람조차도 간단하게 그리고 빠르게 완성할 수 있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조립되는 구성부품의 적은 개수에 의해 촉진된다.
수직의 프레임 부분의 간단한 도안은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의 결합 식의 리시버가 서로 수직적으로 놓여진 두 내부 벽들과 함께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로 돌출 된 중공의(hollow) 부분들로 구성되며, 벽 연장부(extension)는 구부러진 다리로부터 내부 벽들의 한쪽에 인접하며, 중공의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공간을 차지하며, 중공의 부분과 벽 연장부와 함께 외부로 개구된 측벽 리시버를 형성한 것이 장치된다면 이루어진다. 측벽의 비스듬한 에지는 측벽 리시버에 봉인되게 수용될 수 있다.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에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 안에 있는 내장비품(built-ins)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능한 변형은 수직의 프레임 부분이 결합 식의 리시버로 구성된 중공의 부분으로부터 떨어져서 공간을 차지한 고정 벽을 가지는 것이고, 결합 식의 리시버가 같은 거리로 서로 분리돼 공간을 차지한 고정 리시버들의 열(列)과 함께 장착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변형은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이 같게 구현된다는 점에서 구별되어진다. 케이블이 쉽게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해, 케이블 입구로 사용되는 적어도 한 개의 개구(開口)가 하부프레임 및/또는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뚫려있는 것이 생각된다.
에지에 인접된, 하부프레임을 만곡시킨 수평으로 연장된 베벨(bevel)이 장치되면 프레임은 베벨과 함께 바닥에 직접적으로 놓는다. 이런 경우에, 부가적인 기부(feet)는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수단에 의해 하기에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스위치기어 캐비닛에 대한 랙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10)을 가지고 있다. 이 프레임들은 시트 강 블랭크로 제작된다. 프레임들은 수평으로 하부(11)방향을 취하며, 하부는 하부 면에 만곡된 에지들(12')이 장착된다. 에지들(12')은 하부(11)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 있는 베벨들(12'')쪽으로 천이 된다. 접속식의 돌출부들(15)은 하부(11)의 모서리지역에 배치된다. 접속 식의 돌출부들은 하부 프레임, 또는 상대적으로 상부 프레임과 나사로 조이거나 용접된다. 접속식의 돌출부들(15)은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로 향해있는 나사식 리시버(16)를 가진다. 수직의 프레임부분들(20)이 결합 식의 리시버들(22)에 접속식의 돌출부들(15)이 접속된다. 여기서,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20)은 중공의 정사각형 부분을 가지며,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의 내부 단면은 거의 결합 식의 커넥터(15)의 외부 단면에 해당한다. 속이 빈 정사각형부분의 면들은 랙의 면들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연장부(25)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로 향해있는 단면에 접속된다. 연장부의 레그(26)는 외부로 구부러져 있다. 레그(26)는 중공의 정사각형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공간을 차지한다. 베벨(32)과 함께 벽 요소(30)가 삽입되는 용기는 중공의 정사각형 부분과 레그(26) 사이에서 형성된다. 레그(26)는 외부 벽(27)으로 천이 되고, 외부 벽은 랙의 연관된 면에 대해 평행하게 확장된다. 예를 들어, 벽 요소(30)는 외부 벽(27)에 봉인의 수단에 의해 지지 받게 될 수 있다. 외부 벽(27)은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로 향해있는 지지 벽(28)을 지지한다. 같은 거리로 서로 분리돼 배열된, 고정 리시버들(29)의 열(row)은 지지 벽(28)에 형성되어진다. 수직의 프레임부분들(20)이 접속식의 돌출부들(15)에 접속됐을 때, 수직의 프레임부분들(20)의 나사 리시버들(23)은 접속식의 돌출부들(15)의 나사식 리시버들(17)과 같은 높이로 배열된다. 잠금 나사들(21')은 나사 리시버들(23)에 삽입되고 나사식 리시버들(16)쪽으로 조여진다. 이런 경우에, 나사 리시버(23)에 접근하는 것은 개구(28.1)를 경유하면 가능하다. 수직의 프레임부분들(20)은 랙의 하부 프레임과 상부프레임(10)에 이런 방법으로 고정하여 연결된다.
다른 폭의 하부 프레임들과 상부프레임들(10),(10')의 적용은 도 1 에 밑줄 그어진 표시로 나타내졌다. 수직의 프레임부분들(20)은 다른 기초 구성부분들(10),(10')이 사용될 때 변하지 않는다.
랙의 개구 면들은 벽 요소들(30),(40)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문에 의해 씌워진다. 다른 벽 요소들(30),(40)은 선택적으로 랙에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이 도 1 에서 제안한다. 예를 들어, 벽 요소(30)가 사용될 수 있다. 벽 요소(30)는 에지들에 베벨들(32),(34)이 장착된 평평하고 수직적으로 일정방향의 벽(31)을 가진다. 베벨들(32),(34)은 랙의 내부 쪽으로 향한다. 두 수직의 베벨들(32)은 틈새형 경첩 볼트 리시버들(33)이 장착된다. 여기서 경첩 볼트 리시버들(33)은 위쪽으로 베벨들(32)에 비스듬하게 직접 끼워지게 된다. 리시버들은 잠금 나사(21')의 나사 머리 위에 밀어 움직일 수 있는 수단으로 개구 틈새 단부를 가진다. 잠금 나사(21')의 나사 머리는 경첩 볼트(21)가 사용된다. 벽 요소(30)는 경첩 볼트(21)에 벽 요소의 경첩 볼트 리시버들(33)로 밀어 움직여져, 수평의 일정한 방향의 피봇(pivot) 축이 설치된 피봇이 고안되도록 장치한다. 벽 요소(30)는 경첩 볼트(21)를 미끄러짐이 없도록 랙의 연관된 면에 대해 어떤 각으로 지탱될 수 있다. 이런 방법은 비스듬하게 끼워진 경첩 볼트 리시버들(33)로 인해 가능해진다. 자물쇠로 구현된 잠금 요소(35)는 벽 요소(30)에 고정됨으로써 장치된다. 플립 된 피봇위치에서, 벽 요소(30)는 두 개의 상부 잠금 나사들(21)을 때리게 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베벨들(32)은 멈춤쇠로 구성요소가 되는 노치(notche)(33')를 장착한다. 자물쇠(35)는 장착된 위치에서 돌게됨으로써, 하부프레임 또는 상대적으로 상부프레임(10)의 틈새형 잠금 리시버(13)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로부터 빗나간 벌지(bulge)를 가진, 벽 요소(40)는 랙에 벽요소(30) 대신에 장착될 수 있다. 벌지는 케이블 도관(conduit)으로 쓰인다. 여기서, 벌지는 측벽(41)과 측벽에 인접한 베벨들(42)에 의해 형성된다. 벽 요소(30)의 베벨(32),(34)과는 현저히 다르게, 벽 요소(40)의 베벨들(42)은 큰 구조적 깊이를 가진다. 벽 요소(40)는 기부 구성부분 쪽으로 향해있는 상위 면에 개구되어 있고, 뚜껑(44)에 의해 닫혀진다. 뚜껑(44)은 밑으로 연장된 측면 요소(45)가 부가된 상위 판금 뚜껑(46)을 가진다. 측면 요소(45)는 베벨들(42)쪽으로 연장되어 판금 뚜껑(46)의 밑면이 베벨들(42)과 맞부딪치게 된다. 이 부분에서 판금 뚜껑(46)이 수평선에 대해서 어떤 각으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베벨들(42)이 비스듬하게 기울인다. 이것은 누수를 개선하게 한다. 두 벽 요소(40)는 랙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도록, 도 1에 나타냈다. 두 벽 요소(40)는 다른 구조적인 깊이를 가진다. 이런 방식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용한 케이블을 위해 다른 조종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수 있다. 벽(40)의 부착은 벽(30)의 부착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벽들은 처음에는 경첩 볼트(21)위에 경첩 볼트 리시버들(33)과 함께 놓여진다. 벽 요소(40)는 그 직후에 직립의 자세로 움직이고 잠금 요소들에 의해 랙 위에 고정되어진다. 베벨들(42)은 다시 멈춤쇠로 사용되는, 노치(33')가 제공되어진다. 만약 스위치기어 캐비닛이 방수된 내부 실에 놓여진다면, 뚜껑(44)은 제거될 수 있다. 케이블은 뚜껑(44)을 통해 벽(40)의 케이블 도관으로 삽입되어진다. 삽입된 케이블들은 케이블 도관에서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로 갈라지게 된다. 케이블의 삽입은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10),(10')에 의해 밀폐되어지는 개구부(14)를 통해 가능해진다. 개구부(14)는 개구부(14) 주위에 배열된 잠금 리시버(12)위에서 잠겨지는, 뚜껑 판에 의해 밀폐되어진다. 케이블 통로는 잠금 리시버(12)에 의해 또한 선택적으로 죄어지게 된다.
랙에 벽 요소(40)를 잠그기 위한 과정은 도 2 에서 더욱 자세하게 도시되어진다.

Claims (6)

  1. 수직의 성형된 프레임 부분들,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가지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은 시트 강 블랭크(sheet steel blank)를 스탬핑 가공으로 구부린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를 향해있는 수평바닥을 가지며, 그 수평 바닥상에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이 고정되며, 그리고 보강된 에지(edge)가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로부터 먼 쪽으로 절곡되어져 있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용 랙(rack)에 있어서,
    4개의 결합 돌출부들(15)이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각각의 돌출부에는 적어도 한 개의 나사식 리시버(16)가 제공되어있으며,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20)에는, 상기 결합 돌출부들(15)에 대하여 그 프레임 부분을 밀기 위한 결합 리시버들(23)이 제공되어 있고,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20)은 상기 결합 식의 돌출부(15)의 나사식 리시버들(16)에 동일면에 배열되는 나사 리시버들(23)을 가지며, 잠금 나사들(21')이 상기 나사 리시버들(23) 안에 삽입되고 상기 나사식 리시버(16)에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용 랙.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20)의 결합 식의 리시버(22)가, 두 개의 내부 벽들이 서로 수직적으로 놓여진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내부로 향한 중공의 부분들로 구성되며, 벽 연장부(25)는 내부 벽들중 하나에 인접하며, 그 벽으로부터 다리(26)가 구부러져 있으며, 그 내부 벽들이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중공의 부분과 벽 연장부(25)와 함께, 외부로 개구된 측벽 리시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용 랙.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직의 프레임 부분들(20)이 결합 식의 리시버를 구성하는 중공의 부분으로부터 떨어져있는 고정 벽(28)을 가지고 있고, 결합 식의 리시버에는 일정한 거리로 서로 떨어져 있는 고정 리시버(28.1)의 열이 제공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용 랙.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10)이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용 랙.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프레임의 하부(11) 또는 상부프레임(10)의 하부,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적어도 한 개의 개구(14)가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용 랙.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지(12)에 인접하여 하부프레임(10)을 만곡시킨 수평으로 연장된 베벨(12")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용 랙.
KR1020007009365A 1998-03-18 1999-03-13 스위치 캐비닛용 프레임 KR200100412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1914.3 1998-03-18
DE19811914 1998-03-18
DE19814741.4 1998-04-02
DE19814741A DE19814741C1 (de) 1998-03-18 1998-04-02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PCT/EP1999/001667 WO1999048179A1 (de) 1998-03-18 1999-03-13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1269A true KR20010041269A (ko) 2001-05-15

Family

ID=786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365A KR20010041269A (ko) 1998-03-18 1999-03-13 스위치 캐비닛용 프레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0041269A (ko)
DE (1) DE19814741C1 (ko)
MY (1) MY1210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649A (ko) * 2015-12-04 2018-07-04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개폐기 캐비넷 배열을 위한 랙
KR20210148335A (ko) * 2019-04-11 2021-12-07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및 장착판에 장착되는 다극 터치 보호 모듈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9110C1 (de) * 2001-04-19 2002-08-01 Felten & Guilleaume Ag Anschlußgehäuse für gasisolierte Mittelspannungs-Schaltanlage
DE102007059204B4 (de) 2007-12-08 2009-09-17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 oder Rack
DE202013012650U1 (de) * 2012-05-29 2018-02-26 Zweicom-Hauff Gmbh Dach-/Bodenelement und Verteilerschrank
FR3022085B1 (fr) * 2014-06-05 2017-10-27 Emerson Network Power Ind Systems Armoire electrique destinee a etre solidarisee avec le sol
CN107498859B (zh) * 2017-09-14 2023-07-28 广州迈普再生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3d打印机的成型室及生物3d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1865A1 (de) * 1979-05-30 1980-12-04 Schroff & Co Messtechnik Bauelementesatz fuer rahmengestelle
FR2689328B1 (fr) * 1992-03-30 1995-04-14 Roger Elektronikbauteile Gmbh Armoire en particulier pour le logement d'appareillages électriques ou électroniques.
DE4341943C2 (de) * 1993-12-09 1999-05-06 Loh Kg Rittal Werk Gestellrahmen
DE19647803C1 (de) * 1996-11-19 1998-03-05 Loh Kg Rittal Werk Schaltschrank mit einem Rahmengeste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649A (ko) * 2015-12-04 2018-07-04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개폐기 캐비넷 배열을 위한 랙
KR20210148335A (ko) * 2019-04-11 2021-12-07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및 장착판에 장착되는 다극 터치 보호 모듈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1048A (en) 2005-12-30
DE19814741C1 (de) 199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940B1 (en) Frame for a switch cabinet
JP2525534B2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枠組み
US6712434B2 (en) Cabinet, particularly equipment cabinet
US6145943A (en) Switching cabinet with an assembly plate
JPH05284614A (ja) 枠組と組付けプレートとを備えた配電盤キャビネット
US6726296B2 (en) Cabinet and undersink drawers
JPH0357681B2 (ko)
KR20010041269A (ko) 스위치 캐비닛용 프레임
JP3600210B2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
US5992954A (en) Dishwashing machine with supporting structure, composed of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 members, for a rinsing container
JP2000508513A (ja) 組立ユニットを有する配電盤キャビネット
US6142594A (en) Rack with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made of a continuous section
JPS6144662Y2 (ko)
JP2517679Y2 (ja) 机等における幕板の取付構造
JP2001258109A (ja) フレーム構造を備えた配電盤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ケーブル通路
JPH03247313A (ja)
KR20210008396A (ko) 루프랙 고정 구조
US6509523B2 (en) Switchgear cabinet
JP2003135162A (ja) 机等における幕板の取付構造
KR960001280Y1 (ko) 조립식 관물함
JPS6144661Y2 (ko)
JP2780620B2 (ja) デスクトップパネルの取付構造
JPS5942461Y2 (ja) 門扉用施錠杆受け装置
KR0129078Y1 (ko) 상관부재 결합용 클립
JP4219254B2 (ja) 空間構造体の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