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0465A - 장식용 시이트 - Google Patents

장식용 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0465A
KR20010040465A KR1020007008320A KR20007008320A KR20010040465A KR 20010040465 A KR20010040465 A KR 20010040465A KR 1020007008320 A KR1020007008320 A KR 1020007008320A KR 20007008320 A KR20007008320 A KR 20007008320A KR 20010040465 A KR20010040465 A KR 20010040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decorative sheet
resin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다야스유키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2001004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46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469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containing silic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포함하는 광투과성 외피 필름(12), (b) 상기 외피 필름의 후면에 접착되는 광투과성 결합 복합층(14) 및 (c) 상기 결합 복합층의 후면에 접착되는 금속층(16)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결합 복합층(14)은 상기 외피 필름(12)에 접착되는 제1 수지층(18)과 상기 금속층(16)에 접착되는 제2 수지층(20)을 포함하고, 제1 수지층(18)은 포화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아미노에틸화된 수지를 포함하며, 제2 수지층(20)은 (i)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ii) 분자 및 폴리에스테르 단위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용 시이트{DECORATIVE SHEET}
가요성 수지를 함유하는 외피 필름층 및 이 외피 필름층의 이면 상에 제공되는 금속층을 포함하고, 금속성 외관을 갖고 있는 장식용 시이트는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서 금속층은 외피 필름을 관통하여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용 시이트의 특성 중 하나는 금속층과 직접 접촉해 있는 수지층이 내열성이 비교적 높고 금속층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서 고온 조건 하에 금속층의 흐름(백화) 현상(clouding, whitening)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JP-A-1-174584호에서는 비닐 플루오라이드 수지와 인쇄 특성이 우수한 외피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필름 및 비닐 플루오라이드 수지 면에 접착되는 금속 증착층을 포함하고 있는 장식용 시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장식용 시이트에서는 외피층과 금속층 사이에 존재하여 이들 층을 접착시키는 결합층으로서 높은 내열성 및 금속층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을 갖고 있는 비닐 플루오라이드 수지를 사용한다. 이로써, 금속층의 흐림 현상이 방지된다. 그러나, 외피층 용도의 수지로는 비닐 플루오라이드 수지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을 갖고 있는 것들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종류가 제한되어 있다. 이 특허 출원에서는 외피층 용도의 수지로서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예로 들고 있지만, 상기 특허 출원은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와 비닐 플루오라이드 수지를 접착시키는 방법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미국 특허 제5,164,245호(스즈키)에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의 중합체 합금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필름을 외피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장식용 시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즉, 개시된 장식용 시이트는 최외곽층으로서 PMMA 농후의 제1 합금층과 금속층에 접착되는 PVDF 농후의 제2 합금층을 포함한다. 제1 합금층은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와 같은 가요성 수지에 대한접착성이 비교적 우수하개 때문에, 상기 외피 필름을 결합층으로서, 그리고 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을 최외곽층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루오로수지는 용매에 용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압출 성형된 필름 또는 공압출 성형된 필름이 보통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필름은 평활성이 낮다. 따라서, 높은 거울상 평활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엠보싱 또는 다른 열 처리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처리는 필름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루오로수지는 가격이 비싸다. 금속층은 외피 필름과 결합층 모두를 관통하여 관찰되기 때문에, 결합층 상에 존재하는 흠집들은 외관을 악화시킨다.
일본 특허 공개 공개JP-A-7-112521호에서는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결합층을 포함하고 있는 장식용 시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우레탄 수지는 상기 금속층의 흐림 현상의 방지에 아주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으며, 피복에 의해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우레탄 수지층은 플루오로수지보다 제조 과정 중에 흠집이 덜 생긴다. 또한, 우레탄 수지는 가격이 플루오로수지보다 저렴하다. 그러나, 상기 공개 특허는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필름을 외피 필름으로서 사용할 때 결합층과 외피 필름을 접착시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금속성(metalescent) 외관을 가지고 광투과성 외피(covering) 필름을 관통하여 관찰되는 금속층을 내부에 갖고 있는 장식용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시이트의 횡단면도이다.
발명의 실시양태
도 1은 3개의 층, 즉 광투과성 외피 필름(12), 일반적인 광투과성 결합 복합층(14) 및 금속층(16)을 갖고 있는 장식용 시이트(10)의 횡단면도이다. 결합 복합층(14)은 제1 수지층(18)과 제2 수지층(20)을 포함한다.
결합 복합층
제1층
결합 복합층(14)의 제1 수지층(18)은 포화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아미노에틸화된 수지를 포함하며, 결합 복합층(14)의 제2 수지층(20)과 외피 필름(12)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으로서 뿐만 아니라 가소제 및 다양한 안정화제와 같은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성분들이 제2 수지층(20)과 금속층(16) 간의 경계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층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장식용 시이트(10)에서는, 금속층(16)이 외피 필름(12)과 결합 복합체(14)를 모두 관통하여 관찰되기 때문에, 외피 필름(12)과 결합 복합층(14)은 광투과성이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층(18)의 광투과율은 40% 이상인 것이 보통이고,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광투과율"은 550 nm의 광선을 사용하여 닛뽄 분코 컴파니 리미티드에 의해 제조한 UV/가시선 분광계 "U-best V-560"으로 측정한 광투과율을 의미한다.
제1 수지로는, 포화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미노에틸화된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화된 폴리에스테르로는 직쇄형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특히, Tg가 50℃ 이상인 것들이 바람직하다.
포화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같은 가교제와 가교 결합할 때, 접착층 및 차단층으로서 작용하는 제1 층(18)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가교제의 양은 보통 수지 100 중량부 당 1∼20 중량부이다.
아미노에틸화된 수지의 예로는 POLYMENT NK-360, NK-380 및 NK-307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들 수지는 모두 일본의 닛뽄 카탈리스트 컴파니 리미티드가 제조한 것이다.
제1 층(18) 수지의 분자량(중량 평균)은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 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보통 1000 내지 1,000,000이다.
제1 층(18)의 두께는 0.5∼15 ㎛인 것이 보통이고, 1∼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층의 두께가 너무 작은 경우, 차단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그 두께가 너무 큰 경우, 외피 필름(12)과 결합 복합층(14) 간의 접착성이 불충분할 수 있고 전체 시이트(10)의 가요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제1 층(18)은 피복 방법에 의해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을 위해서는, 나이프 코팅기, 롤 코팅기, 다이 코팅기 또는 바 코팅기와 같은 임의의 공지된 코팅기를 사용할 수 있다.
액상 피복물이 용매를 함유한 경우, 건조는 보통 수 초 내지 수 분 동안 60∼18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제2 층
제2 층(20)은 금속층(16)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 및 높은 내열성을 갖고 있으며, 제2 층과 접촉해 있는 금속층이 고온 조건 하에 또는 시이트가 가열되는 경우에 흐려지지 않도록 작용한다. 제2 층(20)이 제1 층(18)과 같이 광투과성일 필요가 있는 경우, 제2 층(20)의 광투과율은 40% 이상인 것이 보통이고,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층(20)의 수지는 (i)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ii) 분자 및 폴리에스테르 단위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 및 (iii)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i) 및 수지(ii)는 각각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및 "실리콘 변성 폴리우레탄"으로 칭할 수도 있다.
제2 층(20) 수지의 분자량은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00이다.
이들 수지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층(20)의 두께는 0.5∼15 ㎛인 것이 보통이고, 1∼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층(20)의 두께가 너무 작은 경우, 흐림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저하될 수도 있다. 그 두께가 너무 큰 경우, 전체 시이트(10)의 가요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2 층(20)은 피복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을 위해서는 제1 층(18)을 형성시키는 데 사용한 것과 동일한 코팅기를 사용한다. 또한, 건조 조건은 제1 층(18)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2 층(20)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한 추가 설명으로서, "실록산 결합"은 -Si-O- 단위를 의미한다.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에스테르"는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실록산 단위를 갖고 있는 폴리올로부터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를 의미한다.
"분자 및 폴리에스테르 단위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한 수지를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실록산 결합이 수지의 중합체 사슬 내에 함유되는 경우, 흐림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반복 단위의 수가 너무 큰 경우, 수지의 반응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어서 내열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실록산 결합의 반복 단위의 수는 2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함유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올은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원료 폴리올과 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다염기성 산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대안으로, 일본 특허 공개 JP-A-5-97868호에 기재된 폴리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올은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 및 분자 말단에 2개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갖고 있는 호스(hose)이다.
또한, 물의 존재 하에서 용이하게 가수 분해되며 규소 원자에 공유 결합되어 있는 2개 이상의 알콕실기를 갖고 있는 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폴리올은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열성, 내산화성 및 금속층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카르복실기, 페닐기, 메틸기, 에틸기, 아실기 또는 아미노기와 같은 다른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1,3-비스(p-히드록시벤질)-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같은 벤젠 고리를 갖고 있는 폴리올은 미국 특허 제5,130,461(사토)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열성이 우수하다.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사용하기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아릴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지방족 고리 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MDI), 톨리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헥사메틸렌디이소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NDI), 및 이들의 말단 차단된 유도체가 있다.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체는 내열성이 우수하다. 특히,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등의 삼량체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황색화되지 않은 폴리우레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가교시키는 경우, 가교제의 양은 보통 수지 100 중량부 당 1∼100 중량부이다.
제1 층 및/또는 제2 층의 피복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한,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의 예로는 가소제, 점착제, 점도 조절제, 소포제, 균염제, UV 광흡수제, 항산화제, 안료, 항균제 등이 있다.
외피 필름
외피 필름(12)은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함유하는 물질로부터 형성되는 필름이다. 성형 방법으로는 압연법, 주조법, 압출법 등과 같은 필름 형성법이 있다. 예를 들면,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함유하는 액상 피복물(예, 졸)을 공정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필름을 형성시킨다. 공정 기재는 박리 표면을 갖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일 수 있다.
무색 투명한 필름(보통 광투과율이 70% 이상임)을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은색 색조의 금속성 외관이 얻어진다. 광투과성의 착색된 필름(광투과율이 보통 40% 이상임)을 사용하는 경우, 임의의 색상을 갖고 있는 금속 외관이 얻어질 수 있다. 외피 필름(12)의 표면은 엠보싱 또는 인쇄 처리할 수 있다.
외피 필름(12)의 두께는 제한되어 있지 않지만, 10∼300 ㎛인 것이 보통이고, 20∼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
금속층(16)은 알루미늄, 주석, 크롬 등과 같은 임의의 금속일 수 있다. 금속층의 두께는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보면 보다 50∼5000Å이다.
선택적 접착층
접착층(22)은 접착층을 갖고 있는 장식용 시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금속층(16)의 표면 상에 적층시킬 수 있다. 접착층은 접착제 또는 감압성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는 층이다. 감압성 접착제로서, 아크릴계, 실리콘계, 우레탄계 또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한, 가교시키거나 가교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접착제는 점착제 또는 탄성 미소구를 함유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보통 2∼50 ㎛이고, 5∼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용 시이트의 제조 방법
장식용 시이트(10)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결합 복합층(14)의 제1 층(18)을 외피층(12)의 이면에 적층시킨다. 제1 층(18)은, 예를 들면 전술한 임의의 수지를 포함하는 피복 조성물을 도포하고 고형화시킴으로써 형성시킨다. 고형화는 건조, 경화, 냉각(조성물이 융용된 액체인 경우) 등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조성물은 롤 코팅기, 나이프 코팅기, 바 코팅기, 다이 코팅기 등을 사용하여 피복시키거나, 또는 스크린 인쇄을 사용하여 인쇄시킴으로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제2 층(20)은 제1 층(18)의 형성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피복 조성물을 도포하고 고형화시킴으로써 형성시킨다.
이어서, 금속층(16)을 결합 복합층(14)의 표면 상에 형성시키고, 본 발명의 장식용 시이트(10)을 마무리한다.
금속층(16)은 증착, 스퍼터링 등과 같은 임의의 얇은 필름 형성법에 의해 형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착층(22)은 접착층을 갖고 있는 장식용 시이트(10)를 제조하기 위해 금속층(16)의 표면 상에 적층시킬 수 있다. 접착층(22)은 감압성 접착제를 함유하고 있는 피복 조성물을 박리 페이퍼(24)(중합체 라이너를 포함함) 상에 피복시키고, 이것을 고형화시켜 적층체를 형성시킨 후, 이 적층체를 금속층의 이면 상에 적층시킴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피복 조성물을 금속층에 직접 도포하고 고형화시킬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는 또 다른 실시양태를 제시한다.
발명의 개요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와 상기 일본 특허 공개 JP-A-7-11252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우레탄 수지 사이의 접착성은 낮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는 패턴화된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고 가요성인 장식용 필름을 찾는 것이 필요하였다.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필름은, (1) 내후성과 같은 장식용 시이트의 요구되는 특성을 총족시킨다는 점, (2) 필름을 착색시키기 위해 흡족하게 사용되는 다양한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및 (3) 장식용 시이트의 가격을 저렴하게 낮출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장식용 시이트의 외피 필름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외피 필름으로서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고온 조건 하에 금속층의 흐림(백화) 현상을 방지하는 장식용 시이트이다.
본 발명은,
(a)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포함하는 광투과성 외피 필름, (b) 상기 외피 필름의 이면에 접착되는 광투과성 결합 복합층, 및 (c) 상기 결합 복합층의 이면에 접착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장식용 시이트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결합 복합층은 상기 외피 필름에 접착되는 제1 수지층과 상기 금속층에 접착되는 제2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지층은 포화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아미노에틸화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지층은 (i)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ii) 분자 및 폴리에스테르 단위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금속층과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포함하는 외피 필름을 접착시키는 결합 복합층이 상기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금속층의 흐림 현상과 외피층에 대한 금속층의 접착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는 비닐 클로라이드의 단독 중합체 및 비닐 클로라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결합 복합층의 제1 수지층은 포화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아미노에틸화된 수지를 포함하므로,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외피 필름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다.
결합 복합층의 제2 수지층은 (i)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ii) 분자 및 폴리에스테르 단위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므로, 고온 조건 하에 금속층의 흐림(백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제1 수지층에 대한 제2 수지층의 접착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필름은 외피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외피 필름, 결합 복합층 및 금속층의 임의의 경계면에서 박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사용 중에(심지어 고온 조건 하에) 발생하는 금속층의 흐림 현상이 방지되는 장식용 시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 복합층의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은 이들 수지층 간의 접착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피복 방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는 실시양태 부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먼저, 두께가 50 ㎛이고 가공 기재(PET)의 표면 상에 형성된 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을 포함하는 외피 필름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포화된 직쇄형 폴리에스테르(도요보가 제조한 BYRON 24 SS)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닛뽄 폴리우레탄이 제조한 COLONATE HX)를 중량비 100:3로 함유하고 있는 액상 피복물을 외피 필름 상에 피복시키고, 160℃에서 3 분 동안 건조시켜 두께가 5 ㎛인 제1 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베이어 신쎄틱 실리콘 컴파니, 리미티드가 제조한 BAYSILONE RESIN(상표명) UD-460)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스미토모 베이어 재팬 컴파니, 리미티드가 제조한 Z4370)를 중량비 100:75로 함유하고 있는 또다른 액상 피복물(20% 고형분)을 제1 층 상에 피복시키고, 180℃에서 3 분 동안 건조시켜 두께가 2 ㎛인 제2 층을 형성시키므로써, 결합 복합층을 형성시켰다.
최종적으로, 두께가 500Å인 알루미늄층을 결합 복합층의 제2 층 상에 진공 증착 방식에 의해 적층시킴으로써, 본 실시예의 장식용 시이트를 얻었다.
본 실시예에서,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를 박리 페이퍼 상에 피복시킴으로써 제조한, 접착층을 갖고 있는 박리 페이퍼를 금속층 상에 적층시켜 접착층을 함유한 본 발명의 장식용 시이트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장식용 시이트에 대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알루미늄층의 접착력
알루미늄층은, 장식용 시이트를 -30℃ 내지 80℃의 열 사이클링 조건 하에 30일 동안 노화시킨 후, 접착력이 1.5 kg/25 mm을 초과하였다. 또한, 알루미늄층은 100℃에서 30 일 동안 노화시킨 후에도, 접착력이 1.5 kg/25 mm을 초과하였다. 이들 결과에 의하면, 금속층과 결합 복합층 사이의 접착력이 우수하였다.
(2) 내열성(흐림 현상)
이 시이트의 접착층을 관통하는 알루미늄 평판에 장식용 시이트를 접착시켰다. 이어서, 장식용 시이트를 지닌 그 알루미늄 평판을 오븐에서 160℃로 30 분 동안 가열하고, 금속층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흐림 현상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3) 시이트의 가요성
장식용 시이트의 가요성은 감각으로 검사하였다. 본 실시예의 장식용 시이트는 두께가 50 ㎛인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필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요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의 장식용 시이트는, 아미노에틸화된 수지(닛뽄 카탈리스트 컴파니, 리미티드가 제조한 NK 350)를 제1 층의 수지로서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1 층의 두께는 3 ㎛이었다.
본 실시예의 장식용 시이트에 대해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평가[(1) 알루미늄층의 접착력, (2) 내열성(흐림 현상 시험) 및 (3) 시이트의 가요성]를 수행했을 때, 본 실시예의 장식용 시이트는 실시예 1의 시이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양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a)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포함하는 광투과성 외피 필름,
    (b) 상기 외피 필름의 이면에 접착되는 광투과성 결합 복합층, 및
    (c) 상기 결합 복합층의 이면에 접착되는 금속층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복합층은 상기 외피층에 접착되는 제1 수지층과 상기 금속층에 접착되는 제2 수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지층은 포화된 폴리에스테르 또는 아미노에틸화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지층은 (i)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ii) 분자 및 폴리에스테르 단위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고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장식용 시이트.
  2. 제1항에서 있어서, 금속층에 접착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장식용 시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수지층의 광투과율이 40% 이상이고, 제2 수지층의 광투과율이 40% 이상인 장식용 시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수지층의 두께가 약 0.5 ㎛ 내지 약 15 ㎛이고, 제2 수지층의 두께가 약 0.5 ㎛ 내지 약 15 ㎛인 장식용 시이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은 가소제, 점착제, 점도 조절제, 소포제, 균염제, UV 광흡수제, 항산화제, 안료, 항균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식용 시이트.
KR1020007008320A 1998-01-30 1998-12-28 장식용 시이트 KR200100404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18765A JPH11207844A (ja) 1998-01-30 1998-01-30 装飾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10/18765 1998-01-30
PCT/US1998/027691 WO1999038901A1 (en) 1998-01-30 1998-12-28 Decorative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465A true KR20010040465A (ko) 2001-05-15

Family

ID=1198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320A KR20010040465A (ko) 1998-01-30 1998-12-28 장식용 시이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49733B1 (ko)
JP (1) JPH11207844A (ko)
KR (1) KR20010040465A (ko)
CN (1) CN1284091A (ko)
BR (1) BR9814808A (ko)
DE (1) DE69804676T2 (ko)
DK (1) DK1049733T3 (ko)
ES (1) ES2171315T3 (ko)
WO (1) WO19990389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52B1 (ko) * 2001-09-14 2008-08-06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유채색 금속 광택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1676B2 (ja) * 2003-11-26 2009-07-0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装飾用シート、それを備えた成形品、自動車両、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308827B1 (ko) * 2011-04-27 2013-09-26 (주)엘지하우시스 성형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친환경 데코 시트
CN102689483B (zh) * 2011-12-31 2015-08-12 3M中国有限公司 装饰用贴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1154A (en) * 1978-05-22 1981-09-22 Blount David 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amide silicate resinous product
US4508889A (en) * 1984-07-19 1985-04-02 Desoto, Inc. Preparation of isocyanate-terminated polyurethanes containing amino silanes
DE3827464A1 (de) * 1988-08-12 1990-02-22 Henkel Kgaa Alkoxysilanterminierte, feuchtigkeitsvernetzende schmelzkleber sowie ihre verwendung als klebe- und dichtmassen
JPH0435938A (ja) * 1990-05-31 1992-02-06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金属調光沢を有する積層フィルム
JP3066175B2 (ja) * 1992-03-30 2000-07-17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二液型ポリウレタン接着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52B1 (ko) * 2001-09-14 2008-08-06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유채색 금속 광택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14808A (pt) 2000-10-17
DE69804676D1 (de) 2002-05-08
CN1284091A (zh) 2001-02-14
DK1049733T3 (da) 2002-07-29
EP1049733B1 (en) 2002-04-03
JPH11207844A (ja) 1999-08-03
WO1999038901A1 (en) 1999-08-05
DE69804676T2 (de) 2002-11-21
EP1049733A1 (en) 2000-11-08
ES2171315T3 (es) 200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1349B1 (en) Pressure-sensitive film composite having improved adhesion to plasticized vinyl substrates
JP3927122B2 (ja) 熱硬化ポリウレタンの第1層を含む多層物品
EP0731756B1 (en) Retroreflective sheeting with improved topcoat
US4275099A (en) Metalized polyester resin laminate
US6458464B1 (en) Decorative sheet
KR19990082103A (ko) 역반사 시이트 상에 가교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JPH08183143A (ja) 3次元基材装飾箔
JPH0811273A (ja) 二軸配向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417148B2 (ko)
KR100671356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시트
WO2003076542A1 (en) Marking film, receptor sheet and marking film for vehicles
US6383613B1 (en) Decorative fil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EP1049733B1 (en) Decorative sheet
KR101364237B1 (ko) 장식 필름
KR100728847B1 (ko) 금속 피막을 갖는 디스플레이 부재
EP1131212B1 (en) Decorative fil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JP4670119B2 (ja) 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US6627688B1 (en) Adhesive compositions and adhesive sheets
JPH0794652B2 (ja) 2液硬化型接着剤組成物
JP3191622B2 (ja) エンボス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H04363377A (ja) 離形性シート
WO2003102902A1 (fr) Etiquette de controle autocollante avec fonction d&#39;indication de repere d&#39;ouverture et procede d&#39;utilisation
JPH0413146B2 (ko)
JP3329576B2 (ja) 装飾用又は緩衝用部品の製造方法
JPS6186262A (ja) 多層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