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382A -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382A
KR20010039382A KR1019990047750A KR19990047750A KR20010039382A KR 20010039382 A KR20010039382 A KR 20010039382A KR 1019990047750 A KR1019990047750 A KR 1019990047750A KR 19990047750 A KR19990047750 A KR 19990047750A KR 20010039382 A KR20010039382 A KR 20010039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cking error
error signal
detection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581B1 (ko
Inventor
마병인
박인식
서중언
정종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7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581B1/ko
Priority to EP00309380A priority patent/EP1096481B1/en
Priority to DE60037092T priority patent/DE60037092T2/de
Priority to JP2000327665A priority patent/JP2001155354A/ja
Priority to CNB00134725XA priority patent/CN1193351C/zh
Priority to US09/698,048 priority patent/US6584049B1/en
Publication of KR2001003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3Shape of individual detector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그 중심부로부터 ±트랙 접선 방향 위치상에서 반경 방향을 따른 폭이 가변되는 내측 분할판(A2)(B2)(C2)(D2) 및 그 외측 분할판(A1)(B1)(C1)(D1)을 갖는 8분할 광검출기를 구비하여, 게인 특성 및/또는 피트 깊이차에 의한 옵셋 문제가 개선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크로스톡 노이즈가 저감된 재생신호 검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에서와 같은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를 채용하면 상대적으로 협트랙을 가지는 고밀도 기록매체의 경우에도 정밀도가 높은 트랙킹 제어가 가능하며, 또한, 위에서와 같은 재생신호 검출장치에 의해 상대적으로 협트랙을 가지는 고밀도 기록매체의 정보신호 재생시에도 크로스톡이 저감된 양질의 재생신호 검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장치{Tracking error signal detect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signal de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의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크로스톡 노이즈가 크게 저감된 재생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재생신호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픽업장치의 광원에서 조사되고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디스크의 트랙킹 에러 정도를 검출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위상차 검출(DPD:Differencial Phase Detection )에 의해 트랙킹 에러신호(TES:Tracking Error Signal)를 검출하는 방식이 있다.
한편, 기록재생을 위해 디스크에서 광스폿으로 맺힌 다음 반사되는 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 트랙상에 형성된 피트(P)와 같은 마크에 의해 0차 및 ±1차로 회절된다. 그러므로, 광검출기(1)에 수광되는 광은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중첩된 것이다. 이때, 협트랙으로 된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 상기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은 중첩될 수 있으나, +1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중첩된 부분 및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중첩된 부분의 위상신호는 0차 회절광만의 위상 신호와는 서로 다른 특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특히, 협트랙으로 된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톡에 기인하여, 단순히 서로 다른 대각선 방향의 분할판(A)(B)(C)(D)의 검출신호를 차동하는 일반적인 DPD 방식에 의해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트랙킹 에러신호에 노이즈가 크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톡 노이즈 문제가 개선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8분할 광검출기(20)를 채용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8분할 광검출기(20)는 디스크의 반경방향에 대응하는 행 방향을 따라 4분할되고, 디스크 트랙의 접선 방향에 대응하는 열 방향을 따라 2분할되어 2×4 행렬 배치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8분할 광검출기(20)의 각 2분할판(A1,A2)(B1,B2) (C1,C2)(D1,D2)은 각각 도 1의 광검출기(1)의 분할판(A)(B)(C)(D)에 대응되며, 분할판(A2)(B2)(C2)(D2)은 분할판(A1)(B1)(C1)(D1)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8분할 광검출기(20)의 검출신호로부터 트랙킹 에러신호는 다음과 같이 검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대각선 방향의 외측 분할판(A1)(C1)의 검출신호(a1)(c1)의 합신호(a1+c1)와 그 내측 분할판(A2)(C2)의 검출신호(a2)(c2)의 합신호(a2+c2)를 소정 게인(k1)으로 증폭시킨 신호 k1(a2+c2)을 합산하고, 이 합신호( a1+c1+k1(a2+c2))를 증폭기(21)에 입력시켜 소정 게인(k2) 증폭시킨다. 마찬가지로, 다른 대각선 방향의 외측 분할판(B1)(D1)의 검출신호(b1)(d1)의 합신호(b1+d1)와 그 내측 분할판(B2)(D2)의 검출신호(b2)(d2)의 합신호(b2+d2)를 소정 게인(k)으로 증폭시킨 신호 k(b2+d2)를 합산한다. 그런 다음, 상기 증폭기(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k2(a1+c1+k1(a2+c2))와 다른 대각선 방향의 분할판(B1)(B2)(D1)(D2)으로부터의 연산신호 b1+d1+k(b2+d2)를 각각 위상 비교기(25)에 입력시켜 위상을 비교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k=k1=0, k2=1인 경우에는, 상기 위상 비교기에 입력되는 신호는 a1+c1, b1+d1이 되어 외측 분할판의 대각선 방향의 검출신호의 합신호를 이용하여 위상차를 구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또한, k≠0, k1≠0이면 일정 비율로 일 대각선 방향의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와 합산하여 위상차를 구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와 같은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는 대각선 방향에 있는 내측 분할판(A2)(B2)(C2)(D2)의 검출신호를 소정 비율로 그 외측 분할판(A1)(B1)(C1)(D1)의 검출신호와 합산하여 위상차를 구하므로, 크로스톡 노이즈가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는 크로스톡 노이즈 저감에는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으나,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서로 합산한 다음 그 위상차를 구하기 때문에 접선 방향을 따른 위상 특성이 서로 상쇄되어, 협트랙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디스크의 경우, 트랙킹 에러신호의 게인이 작아 그 정밀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즉, 트랙의 접선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 상에 있는 분할판에 수광되는 광은 예컨대, 피트와 같은 마크의 시작영역과 끝나는 영역에서 서로 다른 위상특성을 가지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에서처럼 무조건 대각선 방향의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합산하면 접선 방향을 따른 위상 특성이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트랙킹 에러신호의 게인이 작아 그 정밀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는 대각선 방향의 합신호를 사용하므로 피트 깊이 차이에 의한 합신호 사이에 위상차 옵셋 등이 발생하여, 대물렌즈(미도시)의 시프트가 발생할 경우 트랙킹 에러신호 옵셋이 크게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8분할 광검출기의 분할 구조를 개선하여 게인 특성 및/또는 피트 깊이차에 의한 옵셋 문제가 개선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크로스톡 노이즈가 저감된 재생신호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기록매체에서 반사/회절되는 광을 보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8분할 광검출기를 채용하는 방식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광검출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도 4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를 보인 그래프,
도 10은 종래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를 보인 그래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의 회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회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신호 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신호 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광검출기 50,250,300...회로부
51,53,151,153,165,167...위상 비교기
59,159,169,350...가산기
60,161,162,163,164,280,285...연산기
240,340...시간 지연기 260,289,310...증폭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서 반사/회절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 및 상기 광검출기의 검출신호를 연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그 분할 경계선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이 상기 기록매체의 반경 방향 및 트랙 접선 방향에 대략 나란하게 대응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수광영역(A1,A2)(B1,B2)(C1,C2)(D1,D2)이 각각 그 광검출기의 중심부로부터 ±트랙 접선 방향 위치상에서 반경 방향을 따른 폭이 가변되는 내측 분할판(A2)(B2)(C2)(D2) 및 그 외측 분할판(A1)(B1)(C1)(D1)을 갖도록 2분할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 변환하며 2×4 행렬 배치를 이루는 8개의 분할판(A1)(A2)(B1)(B2)(C1)(C2)(D1)(D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부는, 동일한 행에 위치된 수광영역들 사이의 위상을 각각 서로 비교한 다음, 그 위상차 신호로부터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로부는, 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수광영역들의 적어도 일부 검출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고, 그 증폭신호와 다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수광영역들의 적어도 일부 검출신호와의 위상차를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로부터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내측 분할판(A2)(B2)(C2) (D2)은, 그 광검출기의 중심부에서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트랙 접선 방향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수광영역은 곡선형으로 2분할 될 수 있으며, 그 광검출기의 중심에서 ±트랙 접선방향으로 갈수록 내측 분할판의 폭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2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서 반사/회절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 및 상기 광검출기의 검출신호를 연산하여 재생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재생신호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그 분할 경계선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이 상기 기록매체의 반경 방향 및 트랙 접선 방향에 대략 나란하게 대응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수광영역(A1,A2)(B1,B2)(C1,C2)(D1,D2)이 각각 그 광검출기의 중심부로부터 ±트랙 접선 방향 위치상에서 반경 방향을 따른 폭이 가변되는 내측 분할판(A2)(B2)(C2)(D2) 및 그 외측 분할판(A1)(B1)(C1)(D1)을 갖도록 2분할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 변환하며 2×4 행렬 배치를 이루는 8개의 분할판(A1)(A2)(B1)(B2)(C1)(C2)(D1)(D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외측 분할판들(A1)(B1)(C1)(D1)의 검출신호의 합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는 증폭기; 및 상기 내측 분할판들의 검출신호의 합신호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합산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로부는, 상기 광검출기의 일 행에 위치된 내,외측 분할판들의 검출신호를 시간지연시키는 시간지연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는 디스크(도 1의 10)와 같은 기록매체에서 반사/회절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30) 및 상기 광검출기(30)의 검출신호를 연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검출하는 회로부(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광검출기(30)는 기록매체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며, 그 검출신호는 트랙킹 에러신호와 후술하는 기록매체의 재생신호 등을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광검출기(30)는 그 행방향 분할경계선(31)과 열방향 분할경계선(33)이 상기 기록매체의 반경 방향 및 트랙 접선 방향에 대략 나란하게 대응되도록 2×2 행렬 배치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수광영역(30a:A1,A2)(30b:B1,B2) (30c:C1,C2)(30d:D1,D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각 수광영역(30a)(30b)(30c) (30d)은 그 광검출기(30)의 중심부(c0)로부터 ±트랙 접선 방향 위치상에서 반경 방향을 따른 폭이 가변되는 내측 분할판(A2)(B2)(C2)(D2)를 갖도록 2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광검출기(30)는 2행 4열의 2×4 행렬배치를 이루어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8개의 분할판(A1)(A2)(B1)(B2)(C1)(C2)(D1)(D2)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분할판(A1)(B1)(C1)(D1) 및 그 내측에 각각 배치된 분할판(A2)(B2)(C2)(D2)의 배열 순서는 반시계 방향을 따른다.
상대적으로 협트랙을 갖는 고밀도 기록매체를 채용하여 기록매체에서 반사/회절되는 광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을 따라 0차 및 ±1차 회절광으로 회절되어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은 중첩되고 ±1차 회절광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때, 상기 외측 분할판(A1)(B1)(C1)(D1)은 주로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이 중첩된 영역을 수광하고, 상기 내측 분할판(A2)(B2)(C2)(D2)은 0차 회절광 영역만을 수광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내측 분할판(A2)(B2)(C2)(D2)은 상기 광검출기(30)의 중심부(c0)에서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트랙 접선 방향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대적으로 트랙 피치가 큰 기록매체를 채용하여 그 기록매체에서 반사/회절되는 ±1차 회절광의 일부가 0차 회절광과 동시에 중첩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각 수광영역(30a)(30b)(30c)(30d)을 광검출기(30)의 중심부(c0)에서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트랙 접선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은 그 내측분할판(A2)(B2)(C2)(D2)을 갖도록 2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내측분할판(A2)(B2)(C2)(D2)은 0차 및 ±1차 회절광이 동시에 중첩되는 영역을 수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8분할 광검출기(30)의 분할구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각 수광영역(30a)(30b)(30c)(30d)의 2분할 경계선(3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위상 특성이 서로 다른 0차 회절광 부분과, 0차 및 ±1차 회절광의 중첩 부분을 가능한한 분리하여 수광할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2분할 경계선(35)은 상기 2분할 경계선(35)과 행방향 분할경계선(31)의 교차점 부분에서 ±1차 회절광과 0차 회절광의 중첩 부분에 외접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4는 2분할 경계선(35)이 대략 타원의 일부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2분할 경계선(35)이 그 내측분할판(A2)(B2)(C2)(D2)의 최대폭이 수광되는 0차 회절광의 반경보다 크도록 형성된 예컨대, 포물선의 일부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2분할 경계선(35)은 도 4의 경우보다 0차 회절광과 ±1차 회절광의 중첩부분의 경계에 보다 넓은 범위에서 근접되어 외측 분할판(A1)(B1)(C1)(D1)에 수광되는 0차 회절광 영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각 수광영역(30a)(30b)(30c)(30d)은 그 광검출기(30)의 중심(c0)에서 ±트랙 접선 방향으로 갈수록 내측 분할판(A2)(B2)(C2)(D2)의 폭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2분할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수광영역(30a)(30b)(30c)(30d)은 그 광검출기(30)의 중심(c0)에서 ±트랙 접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볼 때, 내측 분할판(A2)(B2)(C2)(D2)이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 직각삼각형,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2분할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는 이상에서와 같이 다양한 분할구조를 가지는 8분할 광검출기(30)를 채용하며,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분할구조를 가지는 광검출기(30) 만을 예시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로부(50)는 동일한 행에 위치된 수광영역들 사이의 위상을 각각 비교한 다음, 그 위상차 신호로부터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로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서로 비교하는 한쌍의 위상 비교기(51)(53), 이 한쌍의 위상 비교기(51)(53)로부터의 위상차 신호를 합산하는 가산기(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 위상 비교기(51)에는 제1행에 위치된 외측 분할판들(A1)(B1)의 검출신호(a1)(b1)가 입력되어 위상이 서로 비교되고, 다른 위상 비교기(53)에는 제2행에 위치된 외측 분할판들(C1)(D1)의 검출신호(c1)(d1)가 입력되어 위상이 서로 비교된다.
따라서, 상기 가산기(59)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S)는 상기 위상 비교기(51)(53)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동일한 행 즉, 접선 방향의 동일선상에 있는 외측분할판(A1)(B1)의 검출신호들(a1)(b1) 사이의 위상차 신호와 외측분할판(C1)(D1)의 검출신호들(c1)(d1) 사이의 위상차 신호를 합한 것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의 회로부(50)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기록매체 상에서 트랙을 가로질러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는 광스폿의 이동, 세로축은 광스폿의 이동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을 상호 대비해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를 통하여 검출된 트랙킹 에러신호(TES)는 종래의 광검출기(도 2의 20)의 외측 분할판(A1)(B1)(C1)(D1)의 검출신호(a1)(b1)(c1)(d1)의 대각선 방향의 합신호(a1+c1)(b1+d1)를 먼저 구한 다음 그 위상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검출된 트랙킹 에러신호(TES'.)에 비해 게인이 훨씬 크고, 노이즈 특성이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부(50)는 다른 실시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분할판들(A1)(B1)(C1)(D1)의 검출신호(a1)(b1)(c1)(d1) 대신에 그 내측 분할판들(A2)(B2)(C2)(D2)의 검출신호(a2)(b2)(c2)(d2)를 이용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일 위상 비교기(151)에는 제1행에 위치된 내측 분할판(A2)(B2)의 검출신호(a2)(b2)가 입력되고 그 위상차 신호가 출력된다. 다른 위상 비교기(153)에는 제2행에 위치된 내측분할판(C2)(D2)의 검출신호(c2)(d2)가 입력되고 그 위상차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가산기(159)는 상기 위상차 신호들을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출력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회로부(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측 분할판들(A1)(A2)(B1)(B2)(C1)(C2)(D1)(D2)의 검출신호(a1)(a2)(b1)(b2)(c1)(c2) (d1)(d2)를 모두 이용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검출하도록, 도 4 및 도 11을 적절히 조합한 구성을 가진다.
즉, 외측 분할판들(A1)(B1)(C1)(D1)의 검출신호(a1)(b1)(c1)(d1)로부터 연산된 트랙킹 에러신호(TES1: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음)와 내측 분할판들(A2)(B2)(C2)(D2)의 검출신호(a2)(b2)(c2)(d2)로부터 연산된 트랙킹 에러신호(TES2)를 연산기(60)에서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검출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TES2는 내측 분할판들(A2)(B2)(C2)(D2)의 검출신호(a2)(b2)(c2)(d2)로부터 연산된 트랙킹 에러신호로, 이는 도 11의 가산기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에 해당된다.
상기 연산기(60)는 가산기(59)(159)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S1)(TES2) 중 일 트랙킹 에러신호(TES2)를 소정 게인(k) 증폭시킨 다음 그들(TE1)(k*TE2)을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S=TES1+k*TES2)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산기(60)는 트랙킹 에러신호(TES1)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거나, 트랙킹 에러신호(TES1)(TES2) 둘다에 적절한 게인을 준 다음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회로부(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내측 분할판(A2)(B2)(C2)(D2)의 검출신호를 소정 게인(k) 증폭시킨 신호에 대응하는 외측 분할판(A1)(B1)(C1)(D1)의 검출신호를 합산한 합신호를 각 행별로 서로 위상을 비교하고, 그 위상차 신호를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1행에 위치된 일 수광영역(A1,A2)을 이루는 외측 및 내측 분할판(A1)(A2)의 검출신호(a1)(a2)는 제1연산기(161)에 입력되고, 이 제1연산기(161)는 상기 내측 분할판(A2)의 검출신호(a2)를 소정 게인(k)으로 증폭시킨 다음 이를 그 외측 분할판(A1)의 검출신호(a1)와 합산한다. 따라서, 제1연산기(161)의 출력신호는 (a1+k*a2)이 된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수광영역(B1,B2)(C1,C2)(D1,D2)의 검출신호도 제2 내지 제4연산기(162)(163)(164)에 각각 입력되어 연산되고, 상기 제2 내지 제4연산기(162)(163)(164)는 각각 그 연산신호((b1+k*b2),(c1+k*c2),(d1+k*d2))를 출력한다.
제1행에 위치된 수광영역(A1,A2)(B1,B2)에서 각각 검출되고, 제1 및 제2연산기(161)(162)를 경유한 신호는 제1위상 비교기(165)에서 그 위상이 서로 비교된다. 마찬가지로, 제2행에 위치된 수광영역(C1,C2)(D1,D2)에서 각각 검출되고 제3 및 제4연산기(163)(164)를 경유한 신호는 제2위상 비교기(167)에서 그 위상이 서로 비교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위상 비교기(165)(167)에서 출력되는 위상차 신호는 가산기(169)에서 합산되어, 그 가산기(169)에서는 트랙킹 에러신호(TES)가 출력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회로부(50)는 각 수광영역(30a)(30b)(30c)(30d)을 이루는 외측 및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그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에 소정 게인을 준 다음 합산하고, 동일 행에 위치된 분할판들로부터의 신호 위상차를 먼저 비교하기 때문에, 외측 및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 사이의 신호 특성 차이가 보상되어,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게인이 크고 크로스톡 노이즈가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를 보인 것으로, 회로부(250)가 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수광영역들이 적어도 일부 검출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고, 그 증폭신호와 다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수광영역들의 적어도 일부 검출신호와의 위상차를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로부터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회로부(250)는 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외측 분할판(A1)(C1)의 검출신호(a1)(c1)의 합신호를 소정 게인(k2)으로 증폭시키는 증폭기(260)와, 다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외측 분할판(B1)(D1)의 검출신호(b1)(d1)의 합신호(b1+d1)와 상기 증폭기(260)의 출력신호 k2(a1+c1) 사이의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검출하는 위상비교기(2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인(k2)은 0 이외의 일정한 상수값이다.
이와 같은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는 일반적인 DPD 방식과 유사하게, 대각선 방향에 있는 외측분할판들의 검출신호를 일단 합산하기는 하지만, 상기 외측 분할판들이 입사되는 광 중 대략적으로 0차 및 +1차 회절광, 0차 및 -1차 회절광이 서로 중첩된 부분만을 수광하고, 또한 일 대각선 방향의 합신호을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킨 다음 다른 대각선 방향의 합신호와의 위상을 서로 비교하므로, 트랙킹 에러신호(TES)가 종래에 비해 게인이 크고, 노이즈가 현저히 줄어들게 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14의 회로부(250)는 내측 분할판들(A2)(B2)(C2)(D2)의 검출신호로부터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4의 회로부(25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행에 위치된 외측 분할판(A1)(B1)의 출력단에 시간 지연기(2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측 분할판(A1)(B1)의 검출신호(a1)(b1)는 상기 시간 지연기(240)을 경유하면서 시간 지연된 신호(a11)(b11)로 변환되고, 이 시간 지연된 신호(a11)(b11)가 다른행에 위치된 외측 분할판(C1)(D1)의 검출신호(c1)(d1)와 각각 합산되어 도 14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위상비교기(251) 및 증폭기(260)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일 행에 위치된 외측 분할판(A1)(B1)의 검출신호(a1)(b1)를 시간 지연시켜 이로부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면, 기록매체 마다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피트의 깊이 변화에 의해 대각선 방향의 합신호 사이에 발생하는 위상차 옵셋으로 인해 대물렌즈(미도시) 시프트시에 유발될 수 있는 트랙킹 에러신호의 옵셋이 보정되어, 보다 정밀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기록매체의 피트 깊이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종래의 장치에서는 각 대각선 방향의 검출신호를 그대로 합한 다음 서로 차동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기 때문에 신호 열화가 크게 나타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도 15의 회로부(250)는 동일 대각선 상에 있는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먼저 연산하기는 하지만, 상기와 같은 시간지연 및 증폭과정을 통해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므로, 이러한 피트 깊이 변화에 따른 신호 왜곡에 의한 위상 열화 문제가 크게 개선되어, 렌즈 시프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옵셋이 크게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250)는, 도 14에서 처럼 내측 또는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만을 이용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대신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및 외측 분할판들(A2)(B2)(C2) (D2)(A1)(B1)(C1)(D1)의 검출신호를 모두 이용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회로부(250)는, 각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분할판들의 검출신호를 적절히 연산한 다음 그 연산신호 사이의 위상을 비교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일 대각선 방향에 있는 외측 및 내측 분할판(A1)(C1)(A2)(C2)의 검출신호(a1)(c1)(a2)(c2)는 제1연산기(280)에 입력된다. 상기 제1연산기(280)는 내측 분할판들(A2)(C2)의 검출신호(a2)(c2)의 합신호(a2+c2)를 소정 게인(k1)으로 증폭시키고, 외측 분할판들(A1)(C1)의 검출신호(a1)(c1)의 합신호(a1+c1)와 상기 증폭 신호k1*(a2+c2)을 합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산기(280)의 출력신호는 다시 증폭기(289)에서 소정 게인(k2)으로 증폭된다.
다른 대각선 방향에 있는 외측 및 내측 분할판(B1)(D1)(B2)(D2)의 검출신호(b1)(d1)(b2)(d2)는 제2연산기(285)에 입력된다. 상기 제2연산기(285)는 내측 분할판들(B2)(D2)의 검출신호(b2)(d2)의 합신호(b2+d2)를 소정 게인(k)으로 증폭시키고, 외측 분할판들(B1)(D1)의 검출신호(b1)(d1)의 합신호(b1+d1)와 상기 증폭 신호k*(b2+d2)를 합산한다.
그리고, 상기 증폭기(289)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2연산기(285)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위상비교기(251)에 입력되어 서로 위상이 비교되고, 상기 위상 비교기(251)에서는 트랙킹 에러신호(TES)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게인(k,k1)은 일정값이며, 게인(k2)은 0이 아닌 일정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인(k,k1)의 합(k+k1)은 일정값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게인(k,k1)이 모두 영이면, 도 14의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회로부(25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행에 위치된 일 행에 위치된 분할판들(A1)(A2)(B1)(B2)의 출력단에 시간 지연기(2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분할판(A1)(A2)(B1)(B2)의 검출신호(a1)(a2)(b1)(b2)는 상기 시간 지연기(240)을 경유하면서 시간 지연된 신호(a11)(a22)(b11)(b22)로 변환된다. 상기 시간 지연된 신호(a11)(a22)와 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분할판(C1)(C2)의 검출신호(c1)(c2), 상기 시간 지연된 신호(b11)(b22)와 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분할판(D1)(D2)의 검출신호(d1)(d2)는 각각 도 16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연산기(280)(285)로 입력된다.
제1연산기(280)에서 출력된 신호(a11+c1+k1*(a22+c2))는 증폭기(289)에서 다시 소정 게인(k2)으로 증폭된다.
제2연산기(285)에서 출력된 신호(b11+d1+k(b22+d2))와 상기 증폭기(289)에서 출력된 신호 k2*(a11+c1+k1*(a22+c2))는 위상비교기(251)에 입력되어 서로 위상 비교되고, 상기 위상비교기(251)에서는 트랙킹 에러신호(TES)가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로부(250)는 도 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록매체의 피트 깊이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시간지연 및 증폭과정을 통해 신호 왜곡이 상쇄되어, 렌즈 시프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옵셋이 크게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의 실시예들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신호는, 기록재생장치의 채널 클럭의 주기를 Tw, 검출된 평균 위상차 시간을 Δt라 할 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피트 또는 마크열의 중심에서 광스폿이 0.1μm 벗어난 경우, Δt/Tw의 최소치는 대략 0.5이고, 상기 트랙킹 에러신호의 포지티브인 최대치를 T1, 네거티브인 최소치를 T2라 할 때, |(T1-T2)/(T1+T2)|의 최대치는 대략 0.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위상 비교기는 입력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증폭시키는 과정, 이치화, 이치화된 신호의 위상을 비교, 위상 비교된 신호를 적분하는 과정을 통해 입력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신호 검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으로, 재생신호 검출장치는 8분할 구조를 갖는 광검출기(30) 및 상기 광검출기(30)의 검출신호로부터 기록매체의 정보를 재생하는 회로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검출기(30)로는 도 4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할 구조의 8분할 광검출기 중의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상기 재생신호 검출용 회로부(300)는 상기 광검출기(30)의 외측 분할판들(A1)(B1)(C1)(D1)의 검출신호(a1)(b1)(c1)(d1)의 합신호(a1+b1+c1+d1)를 소정 게인(k)으로 증폭시키는 증폭기(310) 및, 상기 광검출기(30)의 내측 분할판들(A2)(B2)(C2)(D2)의 검출신호(a2)(b2)(c2)(d2)의 합신호(a2+b2+c2+d2)와 상기 증폭기(310)의 출력신호를 합산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게인(k)은 재생신호의 크기를 최대화, 재생신호의 지터값 및 에러율을 최소화하도록 정해지는 값이다.
한편, 상기 회로부(300)는 상기 증폭기(310)와 가산기(350) 사이 및 상기 가산기(350)로 입력되는 상기 내측 분할판들(A2)(B2)(C2)(D2)의 합신호(a2+b2+c2+d2)의 전송 경로 상에 신호를 전체적으로 증폭시키는 앰프 및 신호의 위상 왜곡을 보정하는 프리 이퀄라이저를 더 구비하거나, 상기 가산기(350)의 출력단에 이퀄라이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신호 검출장치는, 외측 분할판들(A1)(B1)(C1)(D1)로부터의 합신호(a1+b1+c1+d1)를 소정 게인(k)으로 증폭시키고, 이를 내측 분할판들(A2)(B2)(C2)(D2)로부터의 합신호(a2+b2+c2+d2)와 합산하여 정보 재생신호를 검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신호 검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부(300)는 광검출기(30)의 일 행에 위치된 분할판(A1)(A2)(B1)(B2)의 검출신호(a1)(a2)(b1)(b2)를 시간지연시켜, 시간지연신호(a11)(a22)(b11)(b22)를 출력하는 시간지연기(340)를 더 구비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생신호 검출장치는, 외측 분할판들(A1)(B1)(C1)(D1)로부터의 합신호(a11+b11+c1+d1)를 소정 게인(k)으로 증폭시키고, 이를 내측 분할판들(A2)(B2)(C2)(D2)로부터의 합신호(a22+b22+c2+d2)와 합산하여 정보 재생신호를 검출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재생신호 검출장치에 의하면, 협트랙을 가지는 고밀도 기록매체 재생시에 내측 분할판에서 검출되는 신호와 외측 분할판에서 검출되는 신호 사이에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톡에 기인한 위상차가 보정되어서, 종래의 일반적인 재생신호 검출장치에 비해 훨씬 크로스톡이 저감된 재생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피트의 깊이차가 심한 기록매체의 재생시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위상 지연시키도록 된 재생신호 검출장치의 경우에 보다 큰 크로스톡 개선 효과를 보인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는 8분할 광검출기의 구조를 개선하고, 그 내측 및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위상 특성 차이를 고려하여 연산하므로, 게인이 크고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톡 노이즈가 저감된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부 분할판의 검출신호의 시간지연신호를 이용함으로써 피트 깊이 변화에 따른 신호 왜곡에 의한 위상 열화 문제를 크게 개선시켜 렌즈 시프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옵셋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를 채용하면 상대적으로 협트랙을 가지는 고밀도 기록매체의 경우에도 정밀도가 높은 트랙킹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신호 검출장치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협트랙을 가지는 고밀도 기록매체의 정보신호 재생시에도 내,외측 분할판들의 검출신호 사이의 위상 특성 차이로 인한 신호 왜곡 등이 보정될 수 있어서, 크로스톡이 저감된 양질의 재생신호 검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9)

  1. 기록매체에서 반사/회절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 및 상기 광검출기의 검출신호를 연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그 분할 경계선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이 상기 기록매체의 반경 방향 및 트랙 접선 방향에 대략 나란하게 대응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수광영역(A1,A2)(B1,B2)(C1,C2)(D1,D2)이 각각 그 광검출기의 중심부로부터 ±트랙 접선 방향 위치상에서 반경 방향을 따른 폭이 가변되는 내측 분할판(A2)(B2)(C2)(D2) 및 그 외측 분할판(A1)(B1)(C1)(D1)을 갖도록 2분할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 변환하며 2×4 행렬 배치를 이루는 8개의 분할판(A1)(A2)(B1)(B2)(C1)(C2)(D1)(D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부는,
    동일한 행에 위치된 수광영역들 사이의 위상을 각각 서로 비교한 다음, 그 위상차 신호로부터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일행에 위치된 한쌍의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의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제1위상 비교기;
    다른 행에 위치된 한쌍의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의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제2위상 비교기; 및
    상기 제1 및 제2위상 비교기로부터의 위상차 신호를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일행에 위치된 한쌍의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의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제1위상 비교기;
    다른 행에 위치된 한쌍의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의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제2위상 비교기; 및
    상기 제1 및 제2위상 비교기로부터의 위상차 신호를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일행에 위치된 외측 분할판들 및 내측 분할판들의 검출신호들 사이의 위상을 각각 서로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위상 비교기;
    다른 행에 위치된 외측 분할판들 및 내측 분할판들의 검출신호들 사이의 위상을 각각 서로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제3 및 제4위상 비교기;
    상기 제1 및 제3위상 비교기로부터의 위상차 신호를 합산하여 외측 분할판들의 검출신호에 의한 트랙킹 에러신호(TES1)를 검출하는 제1가산기;
    상기 제2 및 제4위상 비교기로부터의 위상차 신호를 합산하여 내측 분할판들의 검출신호에 의한 트랙킹 에러신호(TES2)를 검출하는 제2가산기; 및
    상기 제1 및 제2가산기의 트랙킹 에러신호(TES1)(TES2)를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출력하는 연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기는,
    제1 및 제2가산기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에러신호(TES1)(TES2)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랙킹 에러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킨 다음 그들을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TES)를 검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일행에 위치된 일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고 이를 그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와 합산하는 제1연산기;
    상기 일행에 위치된 다른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고 이를 그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와 합산하는 제2연산기;
    다른 행에 위치된 일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고 이를 그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와 합산하는 제3연산기;
    상기 다른 행에 위치된 다른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고 이를 그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와 합산하는 제4연산기;
    상기 제1 및 제2연산기에서 출력되는 합신호들 사이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제1위상 비교기;
    상기 제3 및 제4연산기에서 출력되는 합신호들 사이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제2위상 비교기; 및
    상기 제1 및 제2위상 비교기로부터의 위상차 신호를 합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7. 기록매체에서 반사/회절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 및 상기 광검출기의 검출신호를 연산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그 분할 경계선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이 상기 기록매체의 반경 방향 및 트랙 접선 방향에 대략 나란하게 대응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수광영역(A1,A2)(B1,B2)(C1,C2)(D1,D2)이 각각 그 광검출기의 중심부로부터 ±트랙 접선 방향 위치상에서 반경 방향을 따른 폭이 가변되는 내측 분할판(A2)(B2)(C2)(D2) 및 그 외측 분할판(A1)(B1)(C1)(D1)을 갖도록 2분할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 변환하며 2×4 행렬 배치를 이루는 8개의 분할판(A1)(A2)(B1)(B2)(C1)(C2)(D1)(D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부는,
    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수광영역들의 적어도 일부 검출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고, 그 증폭신호와 다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수광영역들의 적어도 일부 검출신호와의 위상차를 비교하여, 그 위상차 신호로부터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외측 또는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의 합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는 증폭기; 및
    다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외측 또는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의 합신호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 사이의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위상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일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내,외측 분할판들의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그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로부터의 합신호를 소정 게인(k)으로 증폭시키고,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으로부터의 합신호와 상기 증폭신호를 합산하는 제1연산기;
    다른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내,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의 입력받아 그 내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로부터의 합신호를 소정 게인(k1)으로 증폭시키고,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로부터의 합신호와 상기 증폭신호를 합산하는 제2연산기;
    상기 제1 및 제2연산기 중 일 연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게인(k2)으로 증폭시키는 증폭기; 및
    상기 제1 및 제2연산기 중 다른 연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 사이의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트랙킹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위상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k,k1는 그 합이 일정값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일행에 위치된 내측 및/또는 외측 분할판의 검출신호를 시간지연시키는 시간지연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분할판(A2)(B2)(C2) (D2)은,
    그 광검출기의 중심부에서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트랙 접선 방향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광영역의 2분할 경계선은 곡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광영역은 그 내측분할판의 최대폭이 수광되는 0차 회절광의 반경보다 크도록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광영역은,
    그 광검출기의 중심에서 ±트랙 접선방향으로 갈수록 내측 분할판의 폭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2분할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광영역은,
    그 광검출기의 중심에서 ±트랙 접선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볼 때, 내측 분할판이 대략 사다리꼴, 직각삼각형 및 이등변삼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2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17. 기록매체에서 반사/회절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 및 상기 광검출기의 검출신호를 연산하여 재생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부;를 구비하는 재생신호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는,
    그 분할 경계선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이 상기 기록매체의 반경 방향 및 트랙 접선 방향에 대략 나란하게 대응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배열된 4개의 수광영역(A1,A2)(B1,B2)(C1,C2)(D1,D2)이 각각 그 광검출기의 중심부로부터 ±트랙 접선 방향 위치상에서 반경 방향을 따른 폭이 가변되는 내측 분할판(A2)(B2)(C2)(D2) 및 그 외측 분할판(A1)(B1)(C1)(D1)을 갖도록 2분할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 변환하며 2×4 행렬 배치를 이루는 8개의 분할판(A1)(A2)(B1)(B2)(C1)(C2)(D1)(D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부는,
    상기 외측 분할판들(A1)(B1)(C1)(D1)의 검출신호의 합신호를 소정 게인으로 증폭시키는 증폭기; 및 상기 내측 분할판들의 검출신호의 합신호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합산하여 재생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신호 검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광검출기의 일 행에 위치된 내,외측 분할판들의 검출신호를 시간지연시키는 시간지연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신호 검출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분할판(A2)(B2)(C2) (D2)은,
    그 광검출기의 중심부에서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트랙 접선 방향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신호 검출장치.
KR1019990047750A 1999-10-30 1999-10-30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장치 KR100644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750A KR100644581B1 (ko) 1999-10-30 1999-10-30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장치
EP00309380A EP1096481B1 (en) 1999-10-30 2000-10-25 Tracking error signal detect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signal detecting apparatus
DE60037092T DE60037092T2 (de) 1999-10-30 2000-10-25 Gerät zur Feststellung des Spurfolgefehlersignals und Wiedergabegerät
JP2000327665A JP2001155354A (ja) 1999-10-30 2000-10-26 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検出装置及び再生信号検出装置
CNB00134725XA CN1193351C (zh) 1999-10-30 2000-10-30 跟踪误差信号检测装置和再生信号检测装置
US09/698,048 US6584049B1 (en) 1999-10-30 2000-10-30 Device for reducing cross talk in signal detecting apparatus used in an optical picku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750A KR100644581B1 (ko) 1999-10-30 1999-10-30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382A true KR20010039382A (ko) 2001-05-15
KR100644581B1 KR100644581B1 (ko) 2006-11-13

Family

ID=1961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750A KR100644581B1 (ko) 1999-10-30 1999-10-30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84049B1 (ko)
EP (1) EP1096481B1 (ko)
JP (1) JP2001155354A (ko)
KR (1) KR100644581B1 (ko)
CN (1) CN1193351C (ko)
DE (1) DE60037092T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914A (ko) * 2001-02-28 200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의 래디얼 틸트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557542B1 (ko) * 2004-04-08 2006-03-03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래킹 에러 오프셋 보상용 광검출 영역이 형성된 광픽업장치
KR100644578B1 (ko) * 1999-10-21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킹 에러 신호 검출장치
KR100644569B1 (ko) * 1999-10-01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659B1 (ko) * 2000-03-06 2004-04-0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깊이가 다른 피트가 형성된 광 디스크, 그 광 디스크를재생하는 광 디스크 재생 장치, 및 그 광 디스크의 트랙킹방법
CN1328723C (zh) * 2001-06-29 2007-07-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原盘曝光装置和光盘原盘曝光方法以及针孔机构
KR20030093683A (ko)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호환형 광픽업
CN100342435C (zh) * 2002-08-06 2007-10-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带有非延迟线延迟差检测器的光盘系统
JP2004281027A (ja) 2003-02-24 2004-10-07 Ricoh Co Ltd 光記録媒体及び光情報処理装置
CN100382165C (zh) * 2003-05-21 2008-04-1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在光盘驱动器中进行径向跟踪的方法
JP5542459B2 (ja) * 2010-01-25 2014-07-09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US20110217045A1 (en) * 2010-03-02 2011-09-08 Onechip Photonics Inc. Crosstalk mitigation in optical transceivers
JP2012079385A (ja) * 2010-10-04 2012-04-19 Sony Corp データ検出装置、再生装置、データ検出方法
CN102101371B (zh) * 2010-10-29 2014-04-23 清华大学 粘合物件的方法
WO2014054246A1 (ja) * 2012-10-05 2014-04-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US10134438B2 (en) 2013-06-28 2018-11-20 Sony Corporation Optical medium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optical medium
WO2015022767A1 (ja) * 2013-08-14 2015-02-19 ソニー株式会社 光媒体再生装置および光媒体再生方法
JP6167918B2 (ja) * 2013-08-14 2017-07-26 ソニー株式会社 光媒体再生装置および光媒体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0927A (ja) * 1990-06-27 1992-02-26 Pioneer Electron Corp 光ピックアップ
JPH05120726A (ja) * 1991-10-25 1993-05-18 Nec Corp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3267748B2 (ja) * 1993-06-08 2002-03-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方法及び光検出器
JP3455298B2 (ja) * 1994-08-12 2003-10-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ビームの移動検出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844153B2 (ja) * 1996-06-18 2006-11-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ヘッド装置および光情報処理方法
JPH1055552A (ja) * 1996-08-08 1998-02-24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11120608A (ja) * 1997-10-17 1999-04-30 Toshiba Corp 光ヘッド装置
JPH11161980A (ja) * 1997-11-28 1999-06-18 Nec Corp 光ヘッド用トラックエラー信号検出装置
JPH11213405A (ja) * 1998-01-22 1999-08-06 Sony Corp 光学ヘッド及びトラッキングエラー信号検出方法
KR100644578B1 (ko) * 1999-10-21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킹 에러 신호 검출장치
KR100694024B1 (ko) * 1999-09-16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트랙킹 에러 검출방법 및 장치 그리고 합신호 발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69B1 (ko) * 1999-10-01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방법
KR100644578B1 (ko) * 1999-10-21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킹 에러 신호 검출장치
KR20020069914A (ko) * 2001-02-28 200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의 래디얼 틸트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557542B1 (ko) * 2004-04-08 2006-03-03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래킹 에러 오프셋 보상용 광검출 영역이 형성된 광픽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84049B1 (en) 2003-06-24
CN1300054A (zh) 2001-06-20
DE60037092D1 (de) 2007-12-27
EP1096481A2 (en) 2001-05-02
CN1193351C (zh) 2005-03-16
EP1096481B1 (en) 2007-11-14
JP2001155354A (ja) 2001-06-08
KR100644581B1 (ko) 2006-11-13
EP1096481A3 (en) 2006-10-11
DE60037092T2 (de)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581B1 (ko)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장치
JP4578656B2 (ja) 光記録再生機器用エラー信号検出装置
KR100739661B1 (ko) 광기록재생기기용 에러신호 검출방법 및 장치
KR100473357B1 (ko) 광 픽업 장치 및 틸트량 검출 방법
KR100601632B1 (ko) 광기록재생기기용 에러신호 검출장치
KR100555478B1 (ko) 안정된 오차신호 검출 가능한 광픽업장치
KR100354770B1 (ko) 차동 위상 검출디바이스 및 이를 채용한 트랙킹 에러신호검출장치
KR100396544B1 (ko) 광기록재생기기용 에러신호 검출장치
KR100644578B1 (ko) 트랙킹 에러 신호 검출장치
KR100644569B1 (ko) 트랙킹 에러신호 검출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방법
KR100618989B1 (ko) 광기록재생기기용 에러신호 검출장치
JPH02108244A (ja) 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H11161980A (ja) 光ヘッド用トラックエラー信号検出装置
JPS63131334A (ja) 光学的情報再生装置
KR20010090163A (ko) 광픽업용 시크방향 검출 신호 생성장치
US5671208A (en) Photodetector disposed on both sides of an objective lens for receiving ± 1st order diffractive light
KR0132821B1 (ko) 광픽업
KR100247956B1 (ko) 광픽업장치
JPH05274698A (ja) トラッキングエラー検出装置
KR100644592B1 (ko) 인접트랙에 의한 크로스톡이 저감된 재생신호 검출가능한광픽업장치 및 재생신호 검출방법
JP3444827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2108245A (ja) 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S61113140A (ja) 光学情報記録再生装置
JPS63244418A (ja) 光ピツクアツプ
JPS62185259A (ja) 光学的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