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3786A -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것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것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3786A
KR20010033786A KR1020007007320A KR20007007320A KR20010033786A KR 20010033786 A KR20010033786 A KR 20010033786A KR 1020007007320 A KR1020007007320 A KR 1020007007320A KR 20007007320 A KR20007007320 A KR 20007007320A KR 20010033786 A KR20010033786 A KR 20010033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electrode
alignment structure
iontophoresis device
current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리바야시미츠루
마에다히로유키
고가노부히로
히고나루히토
Original Assignee
나까도미 히로다카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도미 히로다카,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도미 히로다카
Publication of KR2001003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7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48Drug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약물의 장기 안정성이 보증되고, 게다가 적용시의 조립조작이 용이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 조립방법이다. 패킹층(4)의 도너전극인쇄부(6)에는 약물용해부(11)가 구비되고, 여기에 약물유지체(14)가 해체가능하게 접합된다. 피부(40)측에는 라이너(12)가 배치되고, 이는 사용시에 박리된다. 라이너(12)에는 개구부(15)가 설치되고, 전극부(Ib)에는 개구부(5)가 설치된다. 장치조립에 있어, 이들 개구부를 맞춤으로써 약물유지체(14)를 약물용해부(11)에 용이하고 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것의 조립방법{IONTOPHORESIS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근년, 외용제제 분야에서는 각종의 제형이 개발되고, 거기에 대한 관심이 차츰 높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국소적 또는 전체적으로 그것의 약리작용을 기대하는 약물을 피부나 점막에서 투여할 경우, 약물의 지속성이 기대되는 점, 약물의 흡수속도의 조절이 용이하고 투여과잉에 따른 부작용 방지가 가능한 점, 경구투여에서 볼 수 있는 간장에 의한 초회 통과효과에 의한 대사의 영향 등이 적고 약물의 유효이용이 가능한 점, 간장장해 등을 수반하는 약물이라도 비교적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는 점 등, 각종의 이점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상피부는 당연히 외계로부터의 자극에 대한 보호작용을 갖기 때문에 약물의 흡수·투과는 비교적 곤란하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약물을 외용제의 제형으로 투여하더라도 약물의 충분한 발현에 필요한 약물량이 용이하게는 흡수되지 않는 것이 현상황이다. 또, 피부 이외의 생체막으로 부터의 흡수경로, 가령 경구, 직장, 구강, 코, 혀밑 등의 투여법에서도 약물에 따라서는 거기에 관한 생체막을 침투 또는 투과하기 어렵고, 생체이용률이 낮은 약물이 많이 보인다. 따라서, 피부 및 기타 생체막에 대한 침투·투과·흡수를 충분히 높이고 실용사용농도에서 충분한 약리효과를 나타내고 또 그 자체의 국소독성이나 전신독성 등이 적은, 유용성 및 안전성 높은 흡수촉진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현재, 이 흡수촉진방법에는 흡수촉진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촉진법과, 이온토포레시스나 포논포레시스를 사용한 물리적 촉진법이 있으나, 근년에 와서 이온토포레시스가 별안간 주목되어,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투여방법으로서 기대되고 있다.
이온토포레시스는 피부 또는 점막에 전압을 인가(印加)하고, 전기적으로 이온성 약물을 영동하고, 피부 또는 점막에서 약물투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양극과 음극의 두 이온토포레시스용 전극을 구비하고, 이것을 서로 일정간격만큼 떨어지게 피부에 점착하고, 전류발생기가 발생한 전류를 이 전극에 도입함으로써 치료가 행해지도록 구성된다.
이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약제를 저장하는 층과 전극을 조합시킨 구조를 갖고, 약효성분의 체내 혈중농도를 일정시간 유지할 목적으로 미리 설계한 양의 약효성분외에 약효유지를 위한 각종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봉입된다.
이 종류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가령 특개소 62-268569호 공보, 특개평 2-131779호 공보, 특개평 3-268769호 공보, 특개평 3-45271호 공보, 특표평 3-504343호 공보, 특표평 3-504813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수중에서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약물(생리활성 펩티드류 등)을 사용할 경우는 경시에서의 약물의 분해에 의한 설정약물량의 감소가 염려된다. 또한, 약물을 고농도로 투여코자할 경우에는 보존중에 약물희석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또, 이온토포레시스에 의한 펩티드계 약물의 경피흡수의 경우는 약물유지환경을 약물의 등전점(等電點) 보다 산성측 또는 염기성측에 설정하는 것이 통상이다. 때문에, 생리활성물질의 약리효과의 발현보조를 목적하여 함유되는 첨가제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약리효과가 저하될 염려가 있다.
또, 생리활성 펩티드류 등을 용해상태로 유지할 경우는 제제를 구성하는 부재의 주변부위에의 흡착이 발생하고, 소정의 농도를 장기간 안정되게 보존하기는 매우 곤란하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다.
기타의 문제로서, 약물을 용해상태로 함유하는 도전층이 통전 직후의 전극에 직접 접촉하여 존재하도록 구성된 장치에서는 통전시에 약물이 전극표면에서 전기적으로 분해된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고, 분해약물의 체내흡수에 의한 인체에의 영향도 염려된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제까지 수많은 제안이 행해져 왔다. 가령, 특개소 63-102768호 공보, 미국특허 5310404호에는 물 또는 전해질용액을 봉입한 캅셀 또는 포치를 전극구조 상부에 배치하여, 사용시에 캅셀 또는 포치를 파괴하여 약물유지층을 함침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약물을 안정상태(건조)로 보존될 수 있는 점에서는 우수하나, 약물유지층 전체에 수분을 균일하게 침투시키는 시간이 너무 걸리고, 또 약물희석에 따른 약효의 저하가 생길 가능성이 있어 충분하다고 할 수는 없다.
또, 특허 제2542792호 공보에는 약물유지층과 전해질을 함유하는 전극층이 분리된 상태로 별도의 컴파트먼트 내에 배치되고, 적용시에 힌지구조에 있는 2개의 컴파트먼트를 꺾어 맞춤으로써 활성화하는 방법이 개시돼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약물의 장기 안정성의 면에서는 향상이 보이나, 적용시의 활성화 방법에 충분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인위적 오차를 초래할 요소가 많고, 활성화 후의 제제의 균일성이 충분히 얻어진다고 할 수는 없다.
또, 특개평 3-94771호 공보에는 이온선택투과성막(이온교환막 등)을 물유지부의 피부측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또한 이온 선택투과성막의 생체접촉면상에 약물을 건조부착시킴으로써 약물의 희석방지 및 미량약물의 국소고농도투여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 디바이스가 개시돼 있다.
또한 특개평 9-201420호에는 전극구조층, 용해액 유지층 및 건조상태에 있는 생리활성물질 함유의 약물유지층을 이 순서로 개층구조로 배치하고, 또, 용해액 유지층과 약물유지층 사이에 비투수성 분리층을 배치한 이온토포레시스용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 디바이스는 활성화시에 분리층을 인발함으로써 용해액 유지층과 약물유지층과의 접합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게 구성된다. 이 디바이스의 경우, 장치 조립시의 인위적 오차 방지면에서는 매우 우수하다. 그러나, 이 디바이스는 용해액 유지층과 약물유지층을 동일 포장으로 하기 때문에, 용해액 유지층에서의 용해액 누출에 의한 약물의 안정성 저하가 염려되고, 품질보증의 확보가 어렵다. 또, 설사 용해액 누출의 완전방지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하더라도, 그 제조코스트의 상승이 예상된다.
이같이, 약물의 장기 안정성이 보증되고, 게다가 적용시의 조립조작이 용이하고 정확하며, 인위적 오차를 극력 배제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아직 얻어지지 않은 것이 현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의 장기 안정성이 보증되고, 게다가 적용시의 조립조작이 용이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경피 및 경점막에의 적용에 적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용시 활성형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것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사용 직전에서의 단면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약물부(약물 유니트)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내부도, (c)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전류발신부(Ia)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이면도, (c)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체형 전극부(전극유니트; Ib-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내부도, (c)는 이면도, (d)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분리형 전극부(전극유니트; Ib-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내부도, (c)는 이면도이다.
도 6은 도전성 스냅커넥터(Id)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조립용 보조대(Ie-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조립용 보조대(Ie-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9은 조립용 보조대(Ie-3)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조립용 보조대(Ie-4)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일체형 전극부(Ib-1)를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완료후의 형태도로, (a)는 표면도, (b)는 이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관한 분리형 전극부(Ib-2)를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완료후의 형태도로, (a)는 표면도, (b)는 이면도이다.
도 13은 전류발신부(Ia)를 접속선(30)을 통하여 전극부에 접속한 예로, (a)는 접속코드, (b)는 표면도, (c)는 이면도이다.
도 14는 일체형 전극을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조립공정을, (b)는 조립용 보조대(Ie-4)를 사용한 공정을 도시한다.
도 15는 일체형 전극을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조립의 전반의 공정을, (b)는 후반의 공정을 각각 도시한다.
도 16은 일체형 전극을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조립의 전반의 공정을, (b)는 후반의 공정을 각각 도시한다.
도 17은 분리형 전극을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조립의 전방의 공정을, (b)는 후반의 공정을 각각 도시한다.
도 18은 비교예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용 장치의 개략도로, 동일 도면(a)은 표면도, (b)는 내부 및 이면도, (c)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1에서의 혈청중의 서몬칼시토닌 농도의 추이를 도시한다.
도 20은 실시예 2에서의 약물부 함유의 서몬칼시토닌 잔존율의 경시변화를 도시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서의 사용 직전의 단면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중의 각 부품은 적층관계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표시했으나 실제는 각층이 밀착해 있다.
동일 도면에서, 배킹층(4) 한쪽에는 도너 전극 인쇄부(6)가 배치되고, 다른쪽에는 기준 전극 인쇄부(7)가 배치돼 있다. 배킹층(4) 주변부에는 적용부 위에의 제제고정을 위한 의료용 점착테이프 등의 점착 필름(3)이 설치된다. 양전극인쇄부(6,7)는 도전성 스냅커넥터(Id)에 의해 전류발신부(Ia)에 접속된다. 배킹층(4)의 도너전극인쇄부(6)에는 도너전극측 도전층(약물용해부; 11)이 구비되고, 기준 전극인쇄부(7)에는 기준 전극측 도전층(10)이 구비된다. 약물용해부(11)에는 약물유지체(14)가 해체가능하게 접합된다. 약물유지체(14)에는 약물유지체 주변점착층(13)이 설치된다. 약물유지체(14)는 전극부(Ib)측 약물유지체 주변점착층(13)에 의해 배킹층(4) 또는 도너전극인쇄부(6)에 고정된다. 한편, 피부(40)측의 약물유지체 주변점착층(13)에는 라이너(12)가 배치돼 있다.
이같이 구성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사용시에는 라이너(12)가 박리되고, 약물유지체(14)가 노출된다. 이 상태로 장치가 피부(40)에 점착된다. 이때 약물유지체(14)에 건조유지된 약물이 약물용해부(11)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용해된다. 그리고 전류발신부(Ia)의 전원을 켬으로써 이 이온토포레시스 장치가 구동된다.
여기서 라이너(12)에는 위치맞춤구조로서 개구부(15)가 설치돼 있다. 또 전극부(I6)에는 동일하게 위치맞춤구조로서 개구부(5)가 설치돼 있다. 장치 적용에 있어 이들 개구부를 부합시킴으로써 약물용해부(11)에 약물유지체(14)를 용이하면서,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전류발신부(Ia) 또는 커넥터(Id)의 전극단자를 이 개구부에 삽입함으로써 신속하게 위치맞춤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같은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각부의 구성예에 대하여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약물부(또는 약물유니트)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내부도, (c)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약물유니트(Ie)는 다공질성의 약물유지체(14)를 보호커버인 전극부측 라이너(17)와 피부측 라이너(12)에 의해 양측에서 샌드위치상으로 유지하여 형성된다. 전극부측 라이너(17)에는 되접기를 위한 라이너 되접기용 절취선(24)이, 또 피부측 라이너(12)에는 후기하는 도전성 스냅커넥터용 2개의 삽입구(15) 및 조립후의 라이너 인발용 절취선(16)이 실시돼 있다. 어느 라이너도 가령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이 약물흡착이 적은 필름을 사용한다. 또 약물은 약물유지체(14)에 가령 스프레이코팅 또는 함침 등의 수단으로 부착되고, 건조유지돼 있다. 또한, 약물유지체(14)의 주변부에는 전극부 및 피부와의 접착을 목적으로 한 약물유지체 주변점착층(13)이 양면에 설치돼 있고, 약물유지체 주변점착층(13)의 도장패턴은 공기 빼기를 실현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도장으로 돼 있다. 또, 라이너(12,17)는 약물흡착방지 및 박리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약물유지체(14)와의 접촉면측에 실리콘처리가공이 실시돼 있다. 또, 약물용액의 약물유지체 주변 점착층(13)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물의 확산방지가공을 실시하여도 된다.
다음에, 이 약물유니트 각부의 재료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약물유지체 주변 점착층(13)은 후기의 점착필름(3)에 사용하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층은 패턴도장(간헐도장, 스트라이프도장, 간헐스트라이프도장)에 의해 설치되고, 공기 유통이 용이한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도장의 간헐폭은 점착력과 공기투과성의 균형이 양호하면 제한되지 않으나 0.1mm∼20mm가 바람직하다.
약물유지체(14)는 생리활성물질로 이루어지는 약물을 유지할 수 있고, 약물이 투과가능하면 여하한 것이라도 된다. 또, 약물이 생리활성 펩티드나 단백질의 경우는 건조유지되고, 또 저흡착성의 친수성다공질 재료가 사용된다. 이같은 친수성 다공질 재료로 형성된 친수성 막에는 친수화된 소수성(또는 발수(發水)성) 폴리머박막, 친수성물질을 함유하는 친수성 폴리머막 등의 물에 대한 젖음성이 높은 박막이 포함된다.
친수화된 소수성 폴리머 박막에는 가령 친수화 불소수지로 형성된 박막(가령 밀리포아사제 친수성 듀라포아나 도요로시사제 친수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 친수화 폴리술폰 등으로 형성된 박막(가령 겔만사이엔스사제 수포르 등), 친수화 셀룰로스유도체(가령 친수화 셀룰로스모노아세테이트, 친수화 셀룰로스트리아세테이트 등) 등으로 형성된 박막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물질을 함유한 친수성 폴리머 박막에는 적당한 계면활성제를 첨가 및 함침 건조한 각종 폴리머, 가령 친수처리아세트산 셀룰로스막(가령 사르토리우스사제 아심메트릭울트라필터, 도요로시사제 셀룰로스아세테이트타입 등), 친수처리 폴리카보네이트막(가령 밀리포아사제 아이소포아맴브레인 등), 친수처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막(가령 밀리포아사제 옴니포아맴브레인 등), 친수성 처리 폴리술폰막(가령 겔만사이엔스사제 HT투프린 등), 친수성처리 부직포(가령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아세트산 셀룰로스로 피막한 막(도요로시사제 코팅타입맴브레인 등))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피막에는 나일론막(일본 팔사제 바이오다인 등)등도 포함된다.
또, 수분에 불안정한 약물은 건조상태로 약물유지체에 함유 또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약물의 누출이나 변질을 막기 위해서이다. 또, 수분에 안정한 약물은 겔상으로 약물유지체에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겔상 약물유지체는 수용성 고분자나 그 히드로겔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겔상 약물유지체의 조제방법은, 수용성 고분자 등의 겔화제와 약물용액을 연합(練合)한다. 또, 도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탄산나트륨, 인산, 시트르산나트륨, 등의 전해질,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등의 pH완충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자기보형(保形)성을 유지할 정도로 조제하고, 시트상 또는 필름상으로 전연한다. 또, 자기 보형성이 약할 경우는 겔내부에 메쉬상의 지지체를 넣는 것도 가능하다. 겔층의 두께는 0.1∼2mm가 좋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3∼0.8mm이다. 과도로 얇으면 겔강도가 약해지고, 반대로 과도로 두꺼우면 약물의 이동이 저해되기 때문에 약물흡수가 저하된다.
보호부재로서의 라이너(12,17)는 비투수성의 소재로 구성된 것이면 여하한 것도 좋으나 성형가공(가열성형, 진공성형 등)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알루미늄박,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폴리에틸렌필름, 또 이들의 적층필름 등이 사용된다. 또 실리콘 처리나 테플론처리 등의 흡수방지처리를 실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처리에 의해 점착층으로부터의 박리도 쉬워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물은, 물에 용해, 분산되는 것이면 모든 치료분야에 서의 약제가 사용가능하며, 특히 분자량 1×102∼1×106의 생리활성물질이 널리 사용된다. 가령, 마취약, 진통약, 항식욕부진약(anorexic), 구충약, 항천식약, 항경련약, 설사정지약, 항종양약, 항파킨슨병약, 소양정지약, 교감신경작용약, 키산틴유도체, 심혈관약, 가령 칼슘수송로차단약, 해열약, β-차단약, 항부정맥약, 강압약, 이뇨약, 전신·관혈관·말초혈관 및 뇌혈관을 포함한 혈관확장약, 항편두통약, 숙취정지약, 제토(制吐)약, 중추신경흥분약, 기침 및 감기약, 데코게스탄트(decogestant), 진단약, 호르몬제, 부교감신경억제약, 부교감신경작용약, 정신흥분약, 진정약, 트란퀼라이저, 항염증약, 항관절염약, 진경(鎭痙)약, 항울약, 항정신병약, 진운(鎭暈)약, 항불안약, 마취성길항약, 항암약, 수면약, 면역억제약, 근이완약, 항윌스약, 항생물질, 식용억제약, 진토약, 항콜린작용약, 항히스타민약, 피임약, 항혈전형성약, 골흡수억제제, 골형성촉진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필요에 따라 조합사용할 수 있다.
개개 약물의 예로는, 스테로이드 가령,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노르게스트렐, 레보노르게스트렐, 노레틴드론, 아세트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테스토테론 및 그것들의 에스테르, 니트로화합물 등의 유도체 가령 니트로글리세린 및 질산이소소르비드류, 니코틴, 크롤르페니라민, 테르페나딘, 트리프롤리딘, 히드로코르티손, 옥시캄유도체 가령 피록시캄, 아세트산, 또는 프로피온산 유도체 가령 인도메타신, 플루르비프로펜, 펠비낙, 디클로페낙, 케토프로펜, 무코폴리사카리다제 가령 티옴카제, 부프레노르핀, 펜타닐, 나록손, 코데인, 리도카인, 디히드로에르고타민, 피조틸린, 살브타몰, 테르부탈, 프로스타글란딘류 가령 미소프로스톨, 엔프로스틸, 오메프라졸, 이미프라민, 벤즈아미드류 가령 메토클로프라민, 스코폴라민, 클로니딘, 디히드로피리딘류 가령 니페디핀, 베라파밀, 에페드린, 핀돌올, 메토프롤올, 스피로놀락톤, 염산니카르디핀, 칼시트리올, 티아지드류 가령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플루나리진, 시드논이민류 가령 몰시도민, 황산화다당류 가령 헤파린획분 및 단백질 및 펩티드류 가령 인슐린 및 그 동족체, 칼시토닌 및 그 동족체 가령 엘카토닌, 프로타민, 글루카곤, 글로불린류, 안기오텐신 Ⅰ, 안기오텐신 Ⅱ, 안기오텐신 Ⅲ, 리프레신, 바소프레신, 소마토스타틴 및 그 동족체, 성장호르몬 및 옥시토신 및 필요에 따라 그들의 화합물과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산 또는 염기와의 염류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취약, 호르몬, 단백질, 진통약, 또는 기타 저분자량 양이온 등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류의 인슐린, 칼시토닌, 칼시토닌 관련 유전자 펩티드, 바소프레신, 데스모프레신, 프로티렐린(TRH),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항체형성호르몬방출 호르몬(LH-RH),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GRH), 신경성장인자(NGF) 및 기타 방출인자, 안기오텐신(안지오텐신), 부갑상선호르몬(PTH), 항체형성호르몬(LH), 프로락틴, 혈청성 성선자극호르몬, 하수체호르몬(가령 HGH, HMG, HCG)-성장호르몬, 소마토스타틴, 소마토메딘, 글루카곤, 옥시토신, 가스트린, 세크레틴, 엔돌핀, 엔케팔린, 엔도텔린, 콜레시스토키닌, 뉴로텐신, 인터페론, 인터로이킨, 트랜스페르린, 에리트로포이에틴, 수퍼옥시드디스무타제(SOD), 필그라스팀(G-CSF), 바소엑티브·인테스티날·폴리펩티드(VIP)·무라밀디펩티드, 코르티코트로핀, 우로가스트론, 심방성나트륨이뇨펩티드(h-ANP)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서도 펩티드호르몬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 염화벤잘코늄, BSA(우혈청 알브민) 및 모노우라우르산 등의 흡착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약물 또는 그 염의 1종 또는 복수종을 약물유지체에 유지시킬수 있다. 또 약물의 양은 환자에 적용될 때에 미리 설정된 유효 혈중농도를 유효시간에 얻어지도록 개개의 약물별로 결정되고,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크기 및 약물방출면의 면적도 그에 따라 결정된다.
도 3은 전류발신부(Ia) 구성예의 표시도이고, (a)는 표면도, (b)는 이면도, (c)는 단면도이다. 전류발신부(Ia)는 플라스틱 성형체 내부에 전류제어회로를 내장한 것으로, 전류발신부 상부에는 전류조절 스위치(1)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음 또는 양전극단자(2; 양극측 및 음극측 각 일개)가 배치돼 있다. 이 전류발신부(Ia)는 환자에 부담이 없는 크기와 무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전류발신부가 소형전지를 내장한 자기발신회로, 이 발진회로에 접속된 적당한 고전압 발생회로 및 이같은 양회로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된다. 또, 약제의 주입속도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볼루스(BOLUS)버튼을 설치할 수도 있다. 진통제 투여시에 현저히 강한 통증에 맞게 환자가 일시적 복용량 증가를 요구할 경우, 유용한 기능이다.
또한 제어회로에 대해서는 가령, 요구시 투여법(on-demand medication regime)을 실현할 수 있도록 수동으로 온/오프의 전환, 생체의 생물학적주기리듬이나 24시간 간격 패턴에 적합한 주기로 온/오프 전환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 제어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에 걸쳐 인가될 전류레벨이나 펄스, 정현파 등의 파형 변경도 가능하다. 또, 제어회로에는 바이오시그날을 감시하고, 치료방법을 평가하여, 그에 응하여 약물투여량을 조절하는 바이오센서 및 어느 종류의 피드백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제약메이커, 의사 또는 환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1이상의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일체형 전극부(Ib-1) 구성예 표시도로, (a)는 표면도, (b)는 내부도, (c)는 이면도, (d)는 단면도이다. 일체형 전극부(Ib-1)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또는 이들의 알루미늄적층 필름의 성형체로 되는 배킹층(4)을 갖는다. 성형된 배킹층(4)에는 은(양극측), 염화은(음극측)을 인쇄하여 형성된 전극인쇄부(6,7)가 설치된다. 또, 배킹층 중앙부의 전극인쇄부에는 도전성 스냅커넥터용 삽입구(5)가 2개소(양극측, 음극측으로 각 1개소) 설치된다.
이 일체형 전극부(Ib-1)에는 전극 인쇄부(6,7)에 인접하도록 도전층(10,11)이 형성되고, 부직포, 친수성 고분자 등의 물유지재에 전해질을 함유한 것이 사용된다. 또, 도너측의 도전층(11;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측)은 활성화시에 약물부(Ic)의 약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아울러 갖는다. 또한 도전층은 보관시의 물 휘산을 막을 목적으로 비투수성 덮개재(9)에 의한 용이박리 방식의 히트 실링 포장이 실시돼 있다. 또, 배킹층(4) 주변부에는 적용부위에의 제제고정을 위한 의료용 점착테이프 등의 점착필름(3)이 설치되고, 보관시에는 점착필름용 라이나(8)가 정치돼 있다.
도 5는 분리형 전극부(Ib-2)의 구성예 표시도로, (a)는 표면도, (b)는 내부도, (c)는 이면도이다. 분리형 전극부(Ib-2)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또는 이들의 알루미늄적층 필름의 성형체로 되는 배킹층(4)을 갖는다. 성형된 배킹층(4)에는 은(양극측), 염화은(음극측)을 인쇄하여 형성된 전극인쇄부(6,7)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전극인쇄부(6,7)에는 도전성 스냅커넥터용 삽입구(5)가 각 1개소 설치된다.
이 분리형 전극부(Ib-2)에는 전극인쇄부(6,7)에 인접하게 각각 도전층(10,11)이 형성된다. 도전층에는 부직포, 친수성 고분자 등의 물유지재에 전해질을 함유한 것이 사용된다. 또, 도너측 도전층(11; 본실시예에서는 양극측)은 약물부(Ic)의 약물에 활성화시의 수분공급하는 역할을 함께 갖는다. 또한, 도전층은 보관시의 물 휘산을 막을 목적으로 비투수성 덮개재(9)에 의한 용이박리방식의 히트실링포장이 실시돼 있다. 또, 배킹층(4) 주변부에는 적용부위에의 제제고정을 의한 의료용 점착테이프 등의 점착필름(3)이 장착되고, 보관시는 점착필름용 라이너(8)가 각각 장착된다.
또, 이들 전극부는 공지의 전극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가령, 백금흑, 티탄, 탄소, 알루미늄, 철, 납, 탄소 도전성고무, 도전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백금전극, 은전극, 염화은전극 등이 바람직하다.
또, 덮개재(9)는 비투수성 소재로 구성된 것이면 여하한 것이라도 된다. 가령, 알루미늄 적층필름이 사용된다. 히트실링에 의한 높은 밀봉성이 필요할 경우는 상기 라이너에서 사용하는 필름 등을 복수적층하거나 다른 고분자수지를 코팅한다. 이에 따라 박리가 용이해진다. 가령 용이박리방식의 라미네이트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라미네이트필름의 180도 박리강도는 2000g 이하가 바람직하다.
점착필름(3; 약물유지체 주변점착층(13))의 접착재료는 감압성 접착제가 사용된다. 이 감압성 접착제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환자의 피부 또는 점막 표면에 접촉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 약물유지체와 약물용 해부의 접합을 양호하게 행할 만큼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고, 피부에 대하여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임의로 사용가능하다. 가령, 아크릴산 및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이소옥틸, 아크릴산데실, 아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 4∼18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접착제,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이소옥틸, 메타크릴산데실,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 4∼18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메타크릴계 접착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계접착제, 천연고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등의 고무계 접착제가 사용된다. 또, 필요에 따라 점착부여제 및 연화제의 배합도 가능하다.
배킹층(4)의 재료는 약효성분에 대하여 비투과성 재료가 사용되며,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가소화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가소화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셀로판, 아세트산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소프렌, 폴리스티렌유도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폴리비닐알콜공중합체, 불소수지,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등의 합성수지제 필름이나 시트나 발포체 등이 단독으로 또는 복적층하여 사용된다.
또, 이들 합성수지제 필름이나 시트나 발포체 등은 알루미늄박, 주석박 등의 금속박, 부직포, 합성지와의 라미네이팅이나 알루미늄 증착이나 세라믹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히트실링 등의 밀봉포장을 필요로 할 경우는 히트실링가능한 재료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극부 배킹층에의 적층방법은, 전기배전용 프린트 잉크 등에 전극재료를 혼합하여 배킹층 재료에 도장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이나 전극재료를 전연하여 고정하는 방법, 또는 전극재료를 증착시키는 방법, 전극재료를 포토에칭에 의해 제작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또, 전극부의 피부접촉의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극인쇄층에 절연층을 다시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전층에는 단순히 물만 삽입시켜도 되고, 또 이온교환성 고분자 및 발포재, 스폰지 등으로 구성되는 유연한 다공질재, 흡수성 폴리머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함유되어도 된다. 또, 도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탄산나트륨, 인산, 시트르산나트륨 등의 전해질,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등의 pH 완충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도전층의 구체예로는, 통상 부직포, 종이, 가제, 탈지면, 연속기포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아세트산비닐, 폴리올레핀폼, 폴리아미드폼, 폴리우레탄 등의 다공질막 및 발포체, 카라야검, 트라칸트검, 크산탄검, 전분, 아라비아고무, 로커스트빈검, 젤란검, 구아검, 카라기난 등의 천연다당류, 젤라틴, 펙틴, 한천, 알긴산나트륨 또는 폴리비닐알콜 및 그 부분 비누화물,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및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 공중합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등의 수성 또는 수용성 셀룰로스유도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아미드유도체, 카세인, 알부민, 키틴, 키토산,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헤마류, 폴리헤마유도체, 메톡시에틸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아크릴산 및/아크릴산염과의 공중합체 등 및 그들의 가교체와 필요에 따라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으로 가소화시킨 수용성 고분자 및 그 히드로겔이 적합하게 사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재료를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된다. 또, 필요에 따라 염화벤질코늄이나 BSA(우혈청 알부민) 및 모노라우르산 등의 흡착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도전층에는 약물과 경합하는 이온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이온 교환성 고분자를 배합하여도 좋다. 이온 교환성 고분자는 약물이온성에 응하여 음이온교환고분자, 양이온교환고분자 및 양이온교환고분자에서 적의 선택하여 사용된다. 또, 배합형태는 이온교환수지의 미분말을 상기 고분자층에 분산시켜서 겔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이나 막상으로 미리 성형한 것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너 전극측 도전층(약물용해부)의 용량은 전극부의 사이즈 및 약물부에 유지돼 있는 약물이 필요로 하는 최적의 수분량 또는 약물용해부의 흡수성부재의 함수량 등에 의존하는 것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수분량은 과다하면 약물재용해액의 누출원인이 되고, 과소하면 약물부의 약물의 완전한 용해가 안되기 때문에 약효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수분량은 약물유지체의 흡수최대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약물용해부에 히드로겔을 사용할 경우, 이수(離水)량이 10mg/cm2∼100mg/cm2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히드로겔은 조립시 및 피부장착시에 파괴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겔강도가 필요하고, 400g/cm2∼1500g/cm2의 겔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유지체의 약물용해에 필요한 수분량은 미리 약물용해부에서 콘트롤한다. 이에 따라 사용시에는 어느 때라도 정확한 수분량을 확실하게 또 신속하게 약물유지체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치료효과가 정확해진다. 또, 치료조작, 치료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도 6은 도전성 스냅커넥터(Id)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단면도이다. 이 커넥터(Id)는 전극단자고정대(18)상에 전극단자(19: 음극 또는 양극)가 2개소 배치되어 있고, 조립후, 전류발신부(Ia)의 전극단자(2; 음극 또는 양극)와 접합할 수 있게 구성돼 있다.
전류발신부(Ia)와 전극부(Ib)의 접속은 전류발신부측의 전극단자와 도전성 스냅커넥터(Id)측의 전극단자에 의해 전극부(Ib)를 끼워넣도록 구성된다. 접속에 의해 도전성 스냅커넥터측 전극단자가 전극부의 전극인쇄부(양극, 음극 각각)와 접속하기 때문에 전류발신부와 전극부는 도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전기적 결합이 실현된다.
또, 장치의 조립시에 약물부를 삽입하여 접속할 경우는 전극단자는 전극부와 약물부의 위치맞춤을 목적으로 한 기계적 결합수단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이같이, 전극전류부 및 도전성 스냅커넥터의 전극단자는 장치의 조립수단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갖는 것이다.
또, 전류발신부와 전극부의 접속형태로서 코드없이 사용한 경우나 코드에 의한 리모콘 조작으로 사용할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는 가볍게 치료코자할 때에 소형의 전류발신부를 전극부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다. 한편, 후자의 경우는 전류발신부를 손으로 조작하면서 치료코자할 때에 전류발신부와 전극부 사이에 전용의 접속코드를 접속하는 것이다. 또, 접속코드 양단에는 전류발신부측과 도전성 스냅커넥터측의 접속을 목적으로 한 접속수단이 구성돼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수단으로 플라스틱 성형체에 전극단자(양극, 음극 각각)가 수납되고, 전류발신부측과 도전성 스냅커넥터측 전극단자와의 접속이 되도록 구성돼 있다. 또, 접속수단은 전극단자에 한정되지 않고, 접속수단의 형상 및 접속상태는 수시변경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스냅커넥터 측 접속수단이 약물부와 전극부를 위치 엇갈림 없이, 게다가 강고하게 배열유지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도 7은 조립용 보조대(Ie-1)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단면도이다. 보조대(Ie-1)는 전극부의 배킹층(4) 형상에 맞게 전극부 수납스페이스(21)를 가지며, 또 조립시에 사용하는 2개의 위치맞춤봉(20)을 갖도록 구성돼 있다. 조립용 보조대 재질은 종이, 금속, 목재, 플라스틱필름(폴리프로필렌, 테플론, 염화비닐) 등의 성형가공이 가능한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두께 0.5mm 이상의 높은 성형유지성을 갖는 플라스틱필름이 바람직하다.
이 조립용 보조대는 환자가 본 장치의 조립을 행할때에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부의 배킹층(4) 형상이 맞게 전극부 수납스페이스(21)가 설치돼 있고, 전극부를 조립보조대위에 정확하게 놓을 수 있다. 또, 이 전극부 수납스페이스(21)는 장치 조립시의 전극부 파손을 방지가능한 점에서도 유용하다.
또, 위치맞춤봉(20)은 장치 조립시에 전극부와 약물부의 위치맞춤을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인위적인 오차를 억제하는데 유효하다.
도 8은 조립용 보조대(Ie-2)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단면도이다. 보조대(Ie-2)는 전류발신부(Ia) 형상에 맞게 전류발신부 수납스페이스(23)를 갖도록 구성돼 있다. 전류발신수납스페이스(23)에는 전류발신부 고정수단(22)이 설치된다.
도 9은 조립용 보조대(Ie-3)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단면도이다. 보조대(Ie-3)는 전류발신부(Ia) 형상에 맞게 전류발신부 수납스페이스(23)를 가지고, 또, 위치맞춤봉(20)을 2개 구비하도록 구성돼 있다. 위치맞춤봉(20) 및 스페이스(23)의 역할을 상기 보조대와 동일하다.
도 10은 조립용 보조대(Ie-4)의 구성예 표시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표면도, (b)는 단면도이다. 보조대(Ie-4)는 도전성 스냅커넥터(Id)의 형상에 맞게 커넥터 수납스페이스(2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스페이스(23')의 역할을 상기 스페이스(23)의 역할과 동일하다.
또, 조립용 보조대의 구성은, 장치의 형태 및 조립수순에 따라 상기 구조를 병용할 수 있고, 또, 형상의 변경도 가능하다. 조립용 보조대 재질은 종이, 금속, 목재, 플라스틱필름(폴리프로필렌, 테플론, 염화비닐) 등의 성형가공이 가능한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두께 0.5mm 이상의 높은 성형유지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일체형 전극부(Ib-1)를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완료후의 형태도로서, (a)는 표면도, (b)는 이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전극부 표면에는 전류발신부(Ia)가 배치되고, 이면에는 도전성 스냅커넥터(Id)가 배치된다. 전류발신부(Ia)와 도전성 스냅커넥터(Id)에 의해 전극부를 끼우고 고정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분리형 전극부(Ib-2)를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완료후의 형태도로, (a)는 표면도, (b)는 이면도이다. 본 예의 경우도 동일하게 전극부에 접속된 배선 표면에는 전류발신부(Ia)가 배치되고, 이면에는 도전성 스냅커넥터(Id)가 배치된다. 전류발신부(Ia)와 도전성 스냅커넥터(Id)에 의해 배선을 끼우고 고정돼 있다.
도 13은 전류발신부(Ia)를 접속선(30)을 통하여 전극부에 접속한 예로, (a)는 접속코드, (b)는 장치 표면도, (c)는 장치 이면도이다. 본예의 경우는 장치 표면에 접속코드 일단에 접속된 코드접속부(전극부측; 31)가 배치되고, 이면에는 도전성 스냅커넥터(Id)가 배치된다. 코드접속부(전극부측; 31)와 도전성 스넵커넥터에 의해 전극부를 고정하고 있다. 접속선(30) 다른 단에는 코드접속부(전류발신부측; 32)가 설치되고, 전류발신부와 접속된다. 코드접속부(전류발신부측; 32)는 전극단자(2')를 구비한다. 이 접속코드를 사용하면 떨어진 위치에서 본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은 약물용해부를 구비한 전극부 및 약물유지체를 구비한 약물부에 각각 위치맞춤구조를 설치하고, 약물부의 위치맞춤 구조를 전극부의 위치맞춤구조에 맞추고, 약물유지체를 약물용해부와 접합하도록 구성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들 위치맞춤구조는 가령 전극부 및 약물부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이다.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 개구부를 구비함으로써 양자의 위치맞춤을 정확,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전류발신부에도 동일한 위치맞춤구조를 설치하고, 이것을 전극부 위치맞춤 구조에 맞추고, 전류 발신부를 전극부와 결합한다. 전류발신부에 형성하는 위치맞춤구조는 전극단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발신부에 접속코드로 접속된 단자에 위치맞춤구조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동일한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설치하고, 각부의 위치맞춤구조를 서로 맞추어 전류발신부와 커넥터에 전극부를 끼워서 결합할 수도 있다. 위치맞춤구조의 몇몇을 도전성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이 위치맞춤구조를 전기적 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약물부는, 사용전에는 전류발신부와 전극부 등의 부품과는 별도 포장상태로 보존된다. 그리고 사용시에 위치맞춤을 위한 배열유지수단을 사용하여 전극부와 약물부의 기계적 결합 또는 전극부와 전류발신부의 전기적 결합을 부여하게 구성한다. 이 배열유지수단으로, 가령 전류발신부나 도전성 스냅커넥터의 전극단자 또는 장치 조립용 보조대가 사용된다. 이같이 본 발명장치는 또한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전극부와 동일한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약물부를 분리수납한 장치세트이다. 이 장치세트에는 이 밖에 동일한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전류발신부와 커넥터 또는 위치맞춤 보조대가 약물부와 분리수납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전극부(전극유니트)는 도전층을 유지하는 부재와, 도전층이 접속된 배선과, 배선 및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위치맞춤구조를 갖는다. 이 위치맞춤구조는 배선 및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이다. 또 약물부(약물유니트)는 약물을 유지하는 약물유지체와, 약물유지체를 보호하는 박리가능한 커버와, 커버에 형성된 위치맞춤구조를 갖는다. 여기의 위치맞춤구조는 커버단부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은, 전극부에 설치된 덮개재를 박리하는 공정과,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위치맞춤구조를 부합시켜서 약물부의 약물유지체를 전극부의 약물용해부에 배치하는 공정과, 약물유지체의 약물용해부측의 커버를 박리하는 공정과, 약물유지체를 전극부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장치는 약물유지체의 약물용해부와 반대측에도 커버를 배치하고 있으나, 이 커버에 개구를 설치하고 있을 때는 커버를 박리하지 않고 조립을 종료할 수 있다. 또, 반대측 커버에 개구를 설치하지 않았을 때는 커버의 적어도 1부를 박리하는 공정을 거쳐 조립을 종료한다. 즉, 반대측 커버는 전체를 박리해도 되고, 또 가령, 커버의 위치맞춤구조부분은 박리하지 않고 나머지 부분을 박리하여도 되는 것이다.
전극부와 약물부의 위치맞춤은 보조대나 전류발신부 또는 커넥터에 설치한 위치맞춤구조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령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 위치맞춤구조를 개구부로 하고, 보조대의 위치맞춤구조를 개구부에 삽입가능한 위치맞춤 봉(棒)으로 할 수 있다. 또, 전류발신부 및 커넥터의 위치맞춤구조로는 이들 전극단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같이 함으로써 약물의 장기 안정성을 보증하고, 게다가 적용시의 조립조작이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인위적 오차를 극력 배제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 조립방법을 얻을 수 있다.
이같은 구성부품을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의 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4는 일체형 전극을 사용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의 1실시예 표시도로, (a)는 조립공정을, (b)는 조립용 보조대(Ie-4)를 사용하는 공정을 표시한다.
우선, 동일 도면(a) ①과 같이, 일체형 전극부의 덮개재(9)를 박리하여 약물용해부(11)를 노출상태로 한다. 다음에, 동일 도면 ②와 같이 도전성 스냅코텍터(Id)를 사용하여 분리독립하고 있는 전류발신부(Ia), 약물부(Ic), 일체형 전극부(Ib-1)를 구비하고, 일체형전극부와 약물부 사이에 위치엇갈림에 없도록 접촉배열시킨다. 동일 도면 ③과 같이 약물부의 전극부측 라이너(17; 절취선을 경계로 되꺽이 완료)를 박리한다. 다음에 동일 도면 ④와 같이 약물부의 약물유지체(14)와 일체형 전극부의 약물용해부(11)를 접합시킨다. 이에 따라 약물용해부(11)의 수분이 약물유지체(14)에 침입하여 약물이 재용해하고 활성화된다. 그 후, 동일 도면 ⑤와 같이 약물부의 피부측 라이너(12)를 도전성 스냅커넥터(Id)에서 인발한다. 다음에, 동일 도면 ⑥과 같이 점착필름용 라이너(8)를 박리한다. 이 상태로 환부에 적용하여 치료를 개시할 수 있다. 또, 약물부에 피부측 라이너(12)에는 도 2와 같이 도전성 스냅커넥터용 삽입구(15; 2개소)에서 라이너 인발용 절취선(16)이 실시돼 있기 때문에 인발하기는 용이하다.
또, 동일 도면 (b)와 같이, 본실시예는 조립용보조대(Ie-4)를 사용하여 장치를 조립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의하면 약제의 장치안정성 향상은 물론, 적용시의 조립조작을 쉽고 또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위적 오차를 극력 배제하고, 약물의 재용해에 필요한 수분을 정밀도 좋게 약물유지체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도전성 스냅커넥터는 전극부와 약물부의 위치맞춤수단과 전극부와 전류발신부의 전기적 접속수단 양쪽을 겸하기 때문에 장치조립후는 환자의 적용부위에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실시예 2)
도 15는 일체형 전극을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조립에서의 전반의 공정을, (b)는 후반의 공정을 각각 표시한다.
우선, 동일 도면(a) ①과 같이, 조립용 보조대(Ie-1)의 위치맞춤봉(20)에 따라 전극부를 설치한 후, 동일 도면 ②와 같이, 전극부(Ib-1)의 덮개재(9)를 박리하고, 약물용해부(11)를 노출시킨다. 다음에 동일 도면 ③과 같이, 약물부(Ic)를 위치맞춤봉(20)을 사용하여 전극부(Ib-1)와 서로 위치 엇갈림이 없도록 접촉배열시킨다. 그리고, 동일 도면 ④와 같이, 약물부(Ic)의 전극부측 라이너(17; 절취선을 경계로 되꺽음 완료)를 박리한다. 이에 따라 동일 도면 ⑤와 같이, 약물부의 약물유지체(14)와 일체형 전극부의 약물용해부(11)를 무리없이 접합할 수 있다. 약물용해부(11)의 수분은 약물유지체(14)에 침입하여 약물이 재용해되고 활성화된다. 그 후, 동일 도면 ⑥과 같이, 보조대에서 제제를 해체한다.
다음에, 동일 도면 (b)의 ⑦과 같이, 도전성 스냅커넥터(Id)와 전류발신부(Ia)를 실시예 1과 같이 형태로 설치한다. 동일 도면 ⑧과 같이, 적용직전의 약물부의 피부측 라이너(12)를 인발한 후, 동일 도면 ⑨와 같이, 점착 필름용 라이너(8)를 박리한다. 이 상태로 장치는 적용 부위에 장착가능하게 되고, 치료를 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따르면, 적용시의 조립조작이 일단 용이하고 정확해지기 때문에 인위적 오차를 극력배제할 수 있고, 약물의 재용해에 필요한 수분을 정밀도 좋게 약물유지체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6은, 일체형 전극을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의 다른 실시예 표시도로, (a)는 조립에서의 전반의 공정을, (b)는 후반의 공정을 각각 표시한다.
우선, 동일 도면 (a)의 ①과 같이, 조립용 보조대(Ie-2)의 전류발신부 수납용 스페이스(23)에 전극단자(2; 음극)가 상향이 되게 전류발신부(Ia)를 수납하고, 고정수단(22)에 의해 고정한다. 다음에, 동일 도면 ②와 같이, 조립용 보조대(Ie-2)의 오목부에 맞추어 전극부(Ib-1)를 설치한 후, 동일 도면 ③과 같이, 전극부(Ib-1)의 덮개재(9)를 박리하여 약물용해부(11)를 노출시킨다. 그 후 동일 도면 ④, ⑤와 같이 도전성 스냅커넥터(Id)를 사용하여 전극부(Ib-1)와 약물부(Ic)를 서로 위치엇갈림이 없도록 접촉시킨 후, 동일 도면 ⑥과 같이, 약물부(Ic)의 전극부측 라이너(17; 절취선을 경계로 되꺾음 완료)를 박리한다. 그리고, 동일 도면 ⑦과 같이, 약물부의 약물유지체(14)와 일체형 전극부의 약물용해부(11)를 접합시킨다. 이에 따라 약물용해부(11)의 수분이 약물유지체(14)에 침입하여 약물이 재용해한다.
그 후, 동일 도면(b)의 ⑧과 같이, 약물부의 피부측라이너(12)를 도전성 스냅커넥터(Id)에서 인발한 후, 동일 도면 ⑨와 같이, 적용직전에 점착필름용 라이너(8)를 박리하고 최후에 보조대에서 장치를 해체한다. 이에 따라,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그대로의 상태로 적용위치에 장착할 수 있고, 치료를 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따르면, 적용시의 조립조작이 일단 용이하고 정확하게 되기 때문에 인위적 오차를 극력 배제할 수 있고, 약물의 재용해에 필요한 수분을 정밀도 좋게 약물유지체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7은 분리형 전극을 사용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조립에서의 전반의 공정을, (b)는 후반의 공정을 각각 표시한다.
우선, 동일 도면 (a)의 ①과 같이, 활성화용 보조대 (Ie-2)의 전류발신부 수납용 스페이스(23)에 전류발신부(Ia) 2개의 전극단자(양극)가 상향이 되게 전류발신부를 수납한다. 그리고, 동일 도면 ②와 같이, 고정수단(22)에 의해 전류발신부(Ia)를 보조대(Ie-2)에 고정한다. 다음에, 보조대(Ie-2) 오목부에 맞추어 전극부(Ib-2)(양극부, 음극부)를 설치한다. 그후, 동일 도면 ③과 같이, 전극부 덮개재(9)를 박리하고, 약물용해부(11)를 노출시킨다. 전극부 덮개재(9) 박리는 약물부와 전극부를 보조대상에서 중합한 후에도 가능하다. 그후, 동일 도면 ④⑤와 같이 도전성 스냅커넥터(Id)를 사용하여 전극부(Ib-2)와 약물부(Ic)를 서로 위치 엇갈림이 없도록 접촉시킨 후, 동일 도면 ⑥과 같이, 약물부의 전극부측 라이너(17; 절취선을 경계로 되꺾음 완료)를 박리한다. 그리고, 동일 도면 ⑦과 같이, 약물부의 약물유지체(14)와 분리형 전극부의 약물용해부(11)를 접합한다. 이에 따라 약물용해부(11)의 수분이 약물유지체(14)에 침입하여 약물이 재용해되고 활성화된다.
그 후, 동일 도면(b) ⑧과 같이, 약물부의 피부측 라이너(12)를 도전성 스냅커넥터에서 인발한 후, 동일 도면 ⑨와 같이, 적용 직전에 점착필름용 라이너(8)를 박리한다. 최후에 보조대에서 장치를 해체한다. 이 상태로 장치를 적용부위에 장착하고, 치료를 개시할 수 있다.
또, 조립방법의 조작수순은 이에 한하지 않고, 환자의 사용형태에 따라 임기응변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가령, 전극부 덮개재(9)에 결합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하여 덮개재를 박리적으로 인발하는 구조로 가능하다. 또한, 조립완료후에 보조대에서 해체하지 않고 보조대를 적용부위장착에의 보조수단으로 사용하고, 장착완료후에 보조대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이상과 같은 도전성 스냅커넥터와 전류발신부를 사용함으로써 전극부(양극부, 음극부)의 일체화, 활성화의 정확성(위치 맞춤) 및 활성화 후의 조작성(취급의 용이성)을 단번에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기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또, 전극부(양극부, 음극부)를 분리 독립하여 생산할 수 있으므로 일체화한 전극부에 비하면 생산설비 및 품질보증 면에서 우위성이 있다.
(비교예 1)
도 18은 비교예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용 장치의 개략도로, 동일 도면 (a)는 표면도, (b)는 내부 및 이면도, (c)는 단면도이다. 본 비교예는 전극부와 약물부가 배킹을 통하여 일체로 설치된 장치로서, 적용시에 힌지식으로 접속된 전극부와 약물부의 전극측 라이너(17)를 박리하고, 꺾어 맞춤으로써 조립되도록 구성돼 있다. 또, 각부의 내부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다.
(실험예 1)
혈중의 서몬칼시토닌의 농도측정
본 실험예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이하 내용의 것을 새로 제작하고,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은 인쇄부(양극) 2.5cm2에 인접한 도전층에 시트르산완충액(33mM, pH 5)을 함유한 1.5% 한천겔을 1.0g 충전하고, 다시 염화은 인쇄부(음극)에는 염화나트륨 함유 폴리비닐알콜(UF-250G, 유니티카제)을 1.0g 충전하고, 전극부를 제작하였다. 또, 약물부는 약물유지막(바이오다인+,발사제) 3.46cm2에 서몬칼시토닌 20IU를 적하, 건조에 의해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를 실시예에 따라 조립한 후, SD래트(체중 250g) 복부에 장착하고, 도너 전극을 양극, 기존 전극을 음극으로 하여 전류발신부에서 12V의 펄스탈분극통전을 행하였다. 또,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은 실시예, 비교예 모두 각 남성 4인에 실시하였다. 경시적으로 래트 경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청을 얻었다. 혈청중의 서몬칼시토닌 농도를 방사면역분석시험키트(페닌술라 서몬칼시토닌 정량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9에 표시한다.
도 19에 표시한 결과는 약 5분후의 서포칼시토닌 혈중농도는 실시예 1의 경우, 2056±136pg/ml(평균치±표준오차), 비교예 1의 경우, 1867±548pg/ml의 값을 나타내고 또 혈중농도의 추이경향도 거의 같고, 양자의 유위차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실시예 1에 비해 편차가 많고, 조립시의 인위적 오차가 혈중농도에 크게 영향하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 결과로 실시예 1의 장치 및 조립방법이, 적용시의 조립조작이 용이하고 정확하며 인위적 오차를 극력 배제할 수 있고, 약물의 재용해에 필요한 수분을 정밀도 좋게 약물유지체에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실험예 2)
약물부함유 서몬칼시토닌의 경시안정성 평가
실험예 1에서 사용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이하의 표 1의 내용으로 포장을 행하고, 25℃, 65% R. H. 방치조건하의 서몬칼시토닌의 경시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내용물의 구조 건조제 방치조건
실시예 1 약물부만 있음 25℃, 65%R. H.
비교예 1-A 전극부와 약물부의 일체형 있음 25℃, 65%R. H.
비교예 1-B 전극부와 약물부의 일체형 없음 25℃, 65%R. H.
또한, 본 실험은 포장재료로서 알루미늄 복합포재(오카타 지업 제), 건조제로서 1.0g(OZO 화학제)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20에 표시하였다.
도 20에 표시한 결과로, 물을 함유하고 있는 전극부를 건조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약물부와 동일 포장할 경우, 약물의 경시안정성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전극부와 약물부의 동일포장형태에 건조제를 사용할 경우, 약물안정성은 다소 향상되나, 4예중 1예에 6개월 방치후에 전극부의 수분 고갈이 발견되었다. 한편, 실시예 1에서는 매우 우수한 약물안정성을 보였다.
이상으로, 전극부와 약물부의 일체형 장치에서는 약물장기안정성을 보증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된다. 또, 전극부와 약물부의 분리형 장치의 경우, 건조제의 사용도 가능하기 때문에 약물장기 안정성은 더욱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상기 표시한 기술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류발신부, 약물부, 전극부의 3부를 작동전에는 분리한 상태로 보존되기 때문에 수분에 대한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약제(생리활성 펩티드류 등)를 약물부에 함유시킬 경우, 약물용해부를 내설하는 전극부로부터의 수휘산에 의한 약물의 경시적 분해를 염려할 필요는 없다.
또,전극부로부터의 물휘산의 완전방지를 목적으로 한 포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는 개선된다. 또한, 약물부와 전극부가 일체일 경우는 약물용해부에의 영향을 고려하여 사용하지 못했던 건조제 등의 약물부의 안정성 개선제 사용이 사용하기 때문에 약물의 장기 안정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분리보존되고 있는 전류발신부, 약물부, 전극부의 3부를 작동시에 도전성 스냅커넥터 또는 조립용 보조대에 의해 전극부와 약물부 사이에 위치엇갈림이 없도록 접촉시키고, 또한 상기의 약물부 라이너를 장치 외부로 박리적으로 인발함으로써 약물부의 약물유지체와 전극부의 약물용해부가 자동적으로 접합하여 약물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되어, 인위적 오차를 극력 배제할 수 있고, 약물의 재용해에 필요한 수분을 정밀도 좋게 약물유지체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도전성 스냅커넥터는 전극부와 전류발신부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 겸하기 때문에 조립후는 환자의 적용범위에 접착하는 것만으로 치료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조립용 보조대를 적용시의 보조수단으로 사용하면 조작성이 한단 향상된다.
이상의 사실로, 본 발명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 따르면, 우수한 약리효과를 보이고, 게닥가 종래의 장치로는 얻지 못하던 환자에의 순응도 향상이 실현된다. 또, 조작면 및 기능면에 있어서도 안정성이 충분히 배려되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는 약물의 장기 안정성을 보증하는데 유용하고 게다가 본 발명의 조립방법에 따르면 적용시의 장치의 조립조작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고, 의료분야의 이온토포레시스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28)

  1. 제 1의 위치맞춤 구조를 갖는 전극부에 구비되는 약물용해부와 제 1의 위치맞춤 구조에 부합하는 제 2의 위치맞춤 구조를 갖는 약물부에 구비되는 약물유지체를 구비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로서, 약물부의 제 2의 위치맞춤 구조를 전극부의 제 1의 위치맞춤 구조에 맞춤으로써 상기 약물유지체를 약물용해부와 접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위치맞춤 구조는 각각 전극부 및 약물부에 형성된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의 위치맞춤 구조에 부합하는 제 4의 위치맞춤 구조를 갖는 접속코드에 접속된 전류발신부를 구비하고, 접속코드의 제 4의 위치맞춤 구조를 전극부의 제 1의 위치맞춤 구조에 맞춤으로써 상기 접속코드를 전극부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전극부의 제 1의 위치맞춤구조에 부합하는 제 3의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전류발신부를 구비하고, 전류발신부의 제 3의 위치맞춤 구조를 전극부의 제 1의 위치맞춤구조에 맞춤으로써 상기 전류발신부를 전극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3의 위치맞춤구조는 전류발신부에 형성된 전극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6. 제 1의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전극부에 구비되는 약물용해부와, 제 1의 위치맞춤구조에 부합하는 제 3의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전류발신부와, 제 1의 위치맞춤구조에 부합하는 제 5의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구비한 이온토포레시스 장치로서, 상기 각 위치맞춤구조를 서로 맞춤으로써 상기 전극부를 상기 전류발신부와 커넥터에 끼워서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위치맞춤구조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8. 약물을 흡수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전류발신부와, 약물유지체를 갖는 약물부와, 약물용해부를 갖는 전극부를 구비하고, 작동시에 배열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전극부와 상기 약물부를 서로 위치 어긋남이 없도록 접촉배열시켜서 약물부의 약물유지체와 전극부의 약물용해부를 접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발신부, 전극부 및 약물부 중, 적어도 약물부는 별도 포장상태로 보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유지수단이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의 기계적 결합 및 상기 전극부와 전류발신부의 전기적 결합의 적어도 한쪽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유지수단이 전류발신부, 도전성 스냅커넥터 및 조립용 보조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12. 적어도 제 1의 위치맞춤구조를 가지고 또 약물용해부를 구비한 전극부와, 제 1의 위치맞춤구조에 부합하는 제 2의 위치맞춤 구조를 가지고 또 약물유지체를 구비한 약물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물부가 상기 전극부와 분리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세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위치맞춤구조에 부합하는 제 3의 위치맞춤 구조를 갖는 전류발신부와, 상기 상기 제 1의 위치맞춤구조에 부합하는 제 5의 위치맞춤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약물부가 상기 전류발신부 및 커넥터와 분리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세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위치맞춤구조에 부합하는 제 6의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조립용 보조대를 구비하고, 상기 약물부가 상기 보조대와 분리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세트.
  15. 도전층을 유지하는 부재와, 상기 도전층에 접속된 배선과 상기 배선 및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유니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구조가 상기 배선 및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유니트.
  17. 약물을 유지하는 약물유지체와, 상기 약물유지체를 보호하는 박리가능한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유니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맞춤 구조가 상기 커버 단부(端部)에 형성된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유니트.
  19. 위치맞춤구조를 가지고 또 덮개재로 피복된 약물용해부를 구비한 전극부와, 위치맞춤 구조를 가지고 또한 양면이 커버로 피복된 약물유지체를 구비한 약물부를 갖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전극부의 덮개재를 박리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위치맞춤구조를 부합시켜서 상기 약물부의 약물유지체를 전극부의 약물용해부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약물유지체의 약물용해부측 커버를 박리하는 공정과, 상기 약물유지체를 상기 전극부에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유지체의 약물용해부와 반대측 커버의 적어도 일부를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위치맞춤 구조를 갖는 조립용 보조대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용 보조대의 위치맞춤구조를 사용하여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 위치맞춤구조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 위치맞춤 구조는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이고, 상기 조립용 보조대의 위치맞춤구조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가능한 위치맞춤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
  23.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전류발신부와,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조립용 보조대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용 보조대 및 전류발신부의 양 위치맞춤구조를 사용하여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 위치맞춤구조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 위치맞춤구조는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이고, 상기 조립용 보조대의 위치맞춤구조는 상기 전류발신부 수납용 스페이스이고, 상기 전류발신부의 위치맞춤구조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가능한 전극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
  25.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전류발신부와,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조립용 보조대와, 위치맞춤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조립용 보조대, 전류발신부 및 커넥터의 3개의 위치맞춤구조를 사용하여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 위치맞춤구조를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 위치맞춤구조는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이고, 상기 조립용 보조대의 위치맞춤구조는 상기 커넥터 수납용 스페이스이고, 상기 커넥터의 위치맞춤구조는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전류발신부의 위치맞춤구조에 고정가능한 접속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
  27.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 위치맞춤구조를 조립용 보조대, 전류발신부 및 커넥터의 각 위치맞춤구조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부합시키고, 상기 약물부의 약물유지체를 전극부의 약물용해부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의 양 위치맞춤구조는 상기 전극부와 약물부에 각각 형성된 개구부이고, 상기 조립용 보조대, 전류발신부 및 커넥터의 각 위치맞춤구조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가능한 봉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의 조립방법.
KR1020007007320A 1997-12-30 1998-12-21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것의 조립방법 KR200100337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68648 1997-12-30
JP36864897A JP4154016B2 (ja) 1997-12-30 1997-12-30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PCT/JP1998/005775 WO1999033517A1 (fr) 1997-12-30 1998-12-21 Dispositif d'ionophorese et procede d'assemblage de celui-c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786A true KR20010033786A (ko) 2001-04-25

Family

ID=1849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320A KR20010033786A (ko) 1997-12-30 1998-12-21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것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87717B1 (ko)
EP (1) EP1050319A4 (ko)
JP (1) JP4154016B2 (ko)
KR (1) KR20010033786A (ko)
CN (1) CN1284005A (ko)
AU (1) AU754571B2 (ko)
CA (1) CA2316777A1 (ko)
WO (1) WO19990335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252B1 (ko) * 2004-07-01 2006-08-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5071B1 (en) * 2003-02-21 2004-06-01 Birch Point Medical, In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EP1820533B1 (en) * 2004-12-09 2011-11-02 TTI ellebeau, Inc. Ion-tophoretic apparatus
CN101091816B (zh) * 2006-06-19 2010-06-16 刘珮珮 提高制剂对活体皮肤渗透性的装置及方法
US8197844B2 (en) 2007-06-08 2012-06-12 Activatek, Inc. Active electrode for transdermal medicament administration
US8862223B2 (en) 2008-01-18 2014-10-14 Activatek, Inc. Active transdermal medicament patch and circuit board for same
US20090299267A1 (en) * 2008-05-28 2009-12-03 Isis Biopolymer Ll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with procedure window
AU2009288680B2 (en) * 2008-09-05 2013-07-04 Teikoku Pharma Usa, Inc. Iontophoretic drug delivery packaging
US20110092881A1 (en) * 2009-05-08 2011-04-21 Isis Biopolymer Inc. Iontophoretic device with contact sensor
SG175341A1 (en) * 2009-05-08 2011-11-28 Isis Biopolymer Inc Iontophoretic device with improved counterelectrode
US9517331B2 (en) 2010-02-12 2016-12-13 Terumo Kabushiki Kaisha Iontophoresis patch
EP2886153A1 (de) * 2013-12-20 2015-06-2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System für die transdermale Abgabe von Wirkstoff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6441A (en) * 1985-12-17 1987-05-19 Ciba-Geigy Corporation Multicompartmentalized transdermal patches
JPS62268569A (ja) 1986-05-19 1987-11-21 株式会社アドバンス イオントフオレ−ゼ用リザ−バ電極
JPS63102768A (ja) 1986-10-20 1988-05-07 山之内製薬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オレ−シス用の新規プラスタ−構造体
CA2001446C (en) 1988-10-28 2000-08-01 Joseph Bradley Phipps Iontophoresis electrode
CA2001444C (en) 1988-10-28 2000-07-25 Darrel F. Untereker Iontophoresis electrode
JPH02131779A (ja) 1988-11-11 1990-05-21 Takara Kogyo Kk イオン導入装置
JPH0345271A (ja) 1989-07-12 1991-02-26 Teijin Ltd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
JP3267291B2 (ja) 1990-03-20 2002-03-18 株式会社きもと イオントフォレシスフィルム
US5310404A (en) 1992-06-01 1994-05-10 Alza Corporation Iontophoretic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hydrating same
JP2542792B2 (ja) * 1992-11-05 1996-10-09 ベクトン・ディッ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ユ―ザ作動型のイオン導入式装置
FR2709670B1 (fr) * 1993-09-10 1995-10-20 Asulab Sa Dispositif en trois modules pour l'administration transdermique de médicaments par électrophorèse ou iontophorèse.
EP0739644A4 (en) * 1994-09-30 1998-12-09 Advance Kk INTERFACE FOR A TRANSDERMAL IONTOPHORETIC DEVICE AND CORRECT MEDICINE
US5837281A (en) * 1995-03-17 1998-11-1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tabilized interface for iontophoresis
EP0747092B1 (en) * 1995-06-09 2003-12-03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Matrix for iontophoresis
US5797867A (en) * 1996-09-27 1998-08-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ontophoretic drug delivery system, including method for activating same for attachment to patient
JPH11239621A (ja) * 1998-02-25 1999-09-07 Hisamitsu Pharmaceut Co Inc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252B1 (ko) * 2004-07-01 2006-08-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92313A (ja) 1999-07-21
US6587717B1 (en) 2003-07-01
JP4154016B2 (ja) 2008-09-24
EP1050319A1 (en) 2000-11-08
CA2316777A1 (en) 1999-07-08
CN1284005A (zh) 2001-02-14
AU1684499A (en) 1999-07-19
WO1999033517A1 (fr) 1999-07-08
AU754571B2 (en) 2002-11-21
EP1050319A4 (en) 200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4635B1 (en) Iontophoresis device
JP4154017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および薬物ユニット
JP3119486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
AU699984B2 (en) Plaster structure for iontophoresis
JP2000316991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の電極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521798A (ja) 治療薬剤の生体内送出し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H06509254A (ja) 経皮投与デバイス
JPH05506165A (ja) イオン導入用送出装置
KR20010033786A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및 그것의 조립방법
JP2009509682A (ja) 予め充填された結合電気搬送パッチからの性腺刺激ホルモン放出ホルモンのパルス状搬送
JP2801083B2 (ja) イオン導入による薬物投与デバイスと方法
JPH09201420A (ja) 用時活性型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
JPH08229140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
JPH08743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極構造体
JP2845501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インタフェース
AU2003200165B2 (en) Iontophoresis device and drug unit
KR100270062B1 (ko)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JPH0312173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インタフェ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