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062B1 -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 Google Patents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062B1
KR100270062B1 KR1019980701060A KR19980701060A KR100270062B1 KR 100270062 B1 KR100270062 B1 KR 100270062B1 KR 1019980701060 A KR1019980701060 A KR 1019980701060A KR 19980701060 A KR19980701060 A KR 19980701060A KR 100270062 B1 KR100270062 B1 KR 10027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ontophoresis
protective layer
plaster structure
dru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391A (ko
Inventor
나루히토 히고
겐지 모리
가쓰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나까도미 히로다카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도미 히로다카,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도미 히로다카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5/001614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06847A1/ja
Publication of KR1999003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48Drug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61N1/3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환자에 적용하기까지 당초 설정된 양의 생리활성물질을 손상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으며, 적용시에는 당초 설정된 양의 생리활성물질을 안정되게 연속적으로 전신투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과 접착제와의 상호작용을 방지하고, 투여중에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유지하여 투여중에 벗겨지거나 하는 일이 없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도전성의 약제저장층(1)과, 약제저장층(1)을 덮어서 전극(3)이 내부에 설치된 배킹층(2)과, 약제저장층(1)을 지지하고 생리활성물질에 대하여 비투과성의 보호층(4)과, 보호층(4)의 다른면에 적층된 피부첩착성 및/또는 점막첩착성에 뛰어난 감압성 접착제등으로 이루어진 접착제층(5)과, 접착제층(5)의 다른면에 적층된 라이너층(6)과, 보호층(4)에 형성된 절결부(7)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종래, 피부나 점막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체내에 흡수시킬 경우, 경구투여와 비교하여, 투여의 간편성, 혈중농도의 유지, 소화관에 대한 생리활성물질의 부작용을 회피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에, 경피 또는 경점막 투여용의 제제가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생리활성물질의 경피 또는 경점막 흡수를 촉진하는 효과적인 국소투약방법으로서 이온토포레시스가 주목되고 있다.
이온토포레시스는 생리활성물질의 물리적 흡수촉진 방법의 일종으로서, 피부 또는 점막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적으로 생리활성물질을 영동(泳動)시켜서, 피부 또는 점막으로 생리활성물질을 투여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생리활성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약제저장층과 전극을 조합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약제저장층에는, 생리활성물질을 일정시간 체순환에 연속적으로 제어된 양을 투여할 목적으로, 미리 설계된 일정량의 생리활성물질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첨가제가 안정된 약효를 유지하도록 봉해서 넣어져 있다.
이들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로서, 일본국 특개소 62-268569 호 공보나 특개소 63-102768 호 공보, 실개소 64- 50844 호 공보, 실개평 2-53757 호 공보, 특개평 3-45271 호 공보 등에 여러 가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를 환자에 적용하기 까지의 사이, 약제저장층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이 누설하거나 혹은 휘산(揮散)하여 접착제층으로 스며들기 시작하고, 그 결과 미리 설정된 생리활성물질량보다 감소하여 약효성이나 내구성, 신뢰성이 결여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이 접착제층으로 스며들기 시작함으로써, 접착제가 피부나 점막으로의 접착력을 약화시키고 투여중에 벗겨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면쪽에 감압성 접착제층을 가진 것에 대해서는, 환자에 적용할때에,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이 접착제층과 상호 작용하여 생리활성물질의 연속적이고 균일한 투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거나, 접착제층을 열화(劣化)시켜서 내구성을 해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에 적용하기까지 당초 설정된 양의 생리활성물질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안정되게 보존할 수 있고, 더구나 적용시에는, 당초 설정된 양의 생리활성물질을 안전되게 연속적으로 전신 투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과 접착제와의 상호작용을 방지하고, 또한 접착제의 접착력을 유지하여 투여중에 벗겨지거나 하는 일이 없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피 및 경점막 적용의 치료에 적합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용 플라스터(plaster)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토포레시스의 원리를 사용한 경피, 경점막 약제투여에 사용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로서,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의 보존안전성에 뛰어나고, 또 사용중에는 생리활성물질과 접착제층의 상호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중심부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의 생리활성물질 방출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중앙부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다이커트날로 형성한 절결부를 가진 보호층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그 중앙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a는 다른 응용예의 하나인 미싱바늘자리 형상의 절결부를 가진 보호층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그 중앙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a는 다른 응용예의 하나인 미싱바늘자리형상의 절결부의 일부에 다시 원주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세로슬릿을 구비한 보호층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그 중앙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요부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요부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요부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이하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한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도전성(導電性)의 약제저장층과, 약제저장층을 덮어서 전극이 내설된 생리활성물질에 대하여 비투과성의 배킹층과, 약제저장층을 지지하고 생리활성물질에 대하여 비투과성의 보호층과, 보호층의 다른면에 적층된 접착제층과, 접착제층의 다른 면에 적층된 라이너층을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한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이 피부첩착성(皮膚貼着性) 및/또는 점막첩착성(粘膜貼着性)에 뛰어난 감압성접착제 또는 겔점착제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한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약제저장층과 보호층과의 사이에, 생리활성물질에 대하여 투과성의 격리막층을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한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층이, 약제저장층과의 접촉면의 측부 주위에 형성된 절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한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층이 2층 이상의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한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청구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라이너층의 표면의 보호층의 파손 제거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이형처리되어 있지 않고, 다른 부분만이 이형처리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한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청구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킹층과, 격리막층과, 접착제층 및 라이너층이 약제저장층 및 보호층보다 크게 형성되고, 또한 약제저장층의 둘레부의 배킹층과 격리막층이 히트시일되어 있고, 더우기 보호층이 히트시일부보다 크게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생리활성물질로서는 물에 용해, 분산하는 모든 주요한 요법분야에 있어서의 요법용 약물, 또는 그것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다음의 것을 예시로서 들 수 있다. 마취약, 진통약, 항식욕부진약(anorexic), 구충약, 항천식약, 항경련약, 설사멎음약, 항편두통제제, 주취멎음약, 제토약, 항종양약, 항파킨손병약, 가려움멎음약, 해열약, 교감신경작용약, 크산틴유도체, 심혈관제제 예컨대 칼슘수송로차단약, β-차단약, 항부정맥약, 강압약, 이뇨약, 전신·관혈관·말초혈관 및 뇌혈관을 포함한 혈관확장약, 중추신경계 흥분약, 기침 및 감기용제제, 데코제스탄트(decogestant), 진단약, 호르몬, 수면약, 면역억제약, 근이완약, 부교감신경억제약, 부교감신경작용약, 정신흥분약, 진정약, 트랭퀼라이저, 함염증약, 항관절염약, 진경약, 항우울증약, 항정신병약, 진훈약(鎭暈藥), 항불안약, 마취성길항약, 항파킨슨병약, 항암약, 면역억제약, 항윌스약, 항생물질, 식용억제약, 진토약, 항코린작용약, 항히스타민약, 항편두통약, 호르몬약, 피임약, 항혈전형성약, 이뇨약, 강압약, 심혈관약등을 예로서 들 수 있으나,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개의 생리활성물질의 예로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스테로이드 예컨대,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노르게스트렐, 레보노르게스트렐, 노르에틴드론,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테스트스테론 및 그것들의 에스테르, 니트로화합물등의 유전체 예컨대 니트로글리세린 및 질산이소소르비도류, 니코틴, 클로루페니라민, 테르페나딘, 트리프로리딘, 히드로코르티존, 옥시캄유도체 예컨대 피록시캄, 케토프로펜, 무코폴리사카리타제 예컨대 티옴카제, 부풀레노르핀, 펜타닐, 나록손, 코데인, 리도카인, 디히드로엘고타민, 피조틸린, 살부타몰, 테르브타린, 프로스타그란딘류 예컨대 미조프로스톨, 엔프로스틸, 오메프라졸, 이미플라민, 벤자미드류 예컨대 메트크로프라민, 스코포라민, 펩티드류 예컨대 성장개방인자(growth releasing factor) 및 소마트스타틴, 크로니딘, 디히드로피리딘류 예컨대 니페디핀, 베라파밀, 에페드린, 핀드롤, 메토프로롤, 스피로노락톤, 염산니칼디핀, 칼시트리올, 티아지드류 예컨대 히드로클로로디아지드, 플루나리딘, 시도논이민류 예컨대 모르시드민, 황산화 다당류 예컨대 헤파린 획분 및 단백질, 및 펩디드류 예컨대 인슐린 및 그 동족체, 카르시트닌 및 그 동족체 예컨대 엘카토닌, 프로타민, 글루카곤, 글로브린류, 안기오텐신Ⅰ, 안기오텐신Ⅱ, 안기오텐신Ⅲ, 리프레신, 파소프레신, 소마토스타틴 및 그 동족체, 성장호르몬 및 옥시토신, 및 필요에 따라 그것들의 화합물과 약제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산 또는 염기와의 염류가 바람직하다. 기타 유효약물은 마취약, 호르몬, 단백질, 진통약 또는 다른 저분자량 카티온이다. 보다 바람직하기는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류의 인슐린, 칼시토닌, 칼시토닌 관련유전자 펩티드, 파소프레싱, 데스모프레싱, 프로틸레린(TRH),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황체형성호르몬 방출호르몬(LH-RH),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GRH), 신경성장인자(NGF) 및 기타의 방출인자, 안기오텐신(안지오텐신), 부갑상선호르몬(PTH), 황체형성호르몬(LH), 프로락틴, 혈청성 성선자극호르몬, 하수체호르몬(예컨대, HGH,HMG,HCG), 성장호르몬, 소마토스타틴, 소마토메딘, 글루카곤, 옥시토신, 가스트린, 세크레틴, 엔돌핀, 엔케파린, 엔도세린, 코레시스토키닌, 뉴우로텐신, 인터페론, 인터로이킨, 트랜스페린, 에리스토포에틴 슈퍼옥사이드데스무타제(SOD), 필글라스팀(G-CSF), 바소액티브·인테스티날·폴리펩티드(VIP), 무라밀디펩티드, 콜티코트로핀, 웅가스토롱, 심방성 나트륨 이뇨펩티드(h-ANP)등을 들 수 있으나,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효생리활성물질의 주요한 요건은, 대전(帶電)하고 있을 것, 전하(電荷)를 운반하기 위하여 수식할 수 있을 것, 또는 다른 화합물과 예컨대 소수성상호작용(疎水性相互作用)에 의하여 콤플렉스를 형성하고, 그 콤플렉스가 전하를 보유할 수 있는것 등이 필요하지만, 전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온토포레시스용 유효생리활성물질의 적절한 선택에는, 개개의 도전율(導電率)에 의거한 선택, 예컨대 전류를 부여한 경우에 용액중에서 생리활성물질이 이동하는 용이성등이 포함된다. 생리활성물질은 필요에 따라서 2종류이상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들 생리활성물질은 필요에 따라서 에스테르체에 유도된 화합물, 아미드체에 유도된 화합물, 혹은 아세탈체에 유도된 화합물, 혹은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염, 유기염의 형태로써 약제저장층 중에 봉하여 넣는 것도 가능하다.
약제저장층중에 함유되는 생리활성물질량은, 환자에 적용하였을때에 미리 설정된 유효한 혈중농도를 유효한시간 얻을 수 있도록, 개개의 생리활성물질 마다 결정되고,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의 배킹층등의 크기 및 생리활성물질 방출면의 면적도 그것에 따라서 결정된다.
약제저장층 중의 제제는, 충분한 도전성을 가지고 있으면 좋고, 수용액, 현탁액, 연고, 겔 또는 크림등의 어떠한 제제형태라도 좋다.
또, 흡수지등의 종이재료, 거즈등의 천재료, 탈지면등의 섬유재료, 합성수지 연속발포체, 흡수성수지등의 스폰지내지, 다공질(多孔質)재료등의 약액함침용의 흡수성부재를 봉하여 넣는 것도 가능하다.
생리활성물질의 첨가제로서, 필요에 따라 물, 에탄올등의 용매, 호스파디드산 유도체, 레시틴, 세파린, 폴리알킬렌글리콜등의 유화제, 라우린산메틸, 카프린산메틸, 에이존, 오레인산, 1-멘톨, 리모넨, 박하유등의 흡수촉진제, 크로타미톤,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슬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라우릴아미드, 이소소르비톨, 올리브유, 피마자유, 스크왈렌, 라놀린등의 용해제 또는 용해보조제, 초산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스테아릴알콜등의 증점제, 글리세린모노오레인산,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등의 자극저감제, 카라야감, 트라가칸트감, 폴리비닐알콜 및 그 부분켄화물, 폴리비닐피로리돈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및 그 나트륨염,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그 부분가수분해물 등의 친수성 및 흡수성 고분자, 글리세린등의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첨가제는, 생리활성물질마다 최적이라고 생각되는 종류 및 농도가, 치료상 유익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된다고 인정되는 범위에 있어서 결정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충분한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구엔산칼륨등의 전해질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킹층으로서는, 적어도 생리활성물질에 대하여 비투과성의 재료가 사용된다.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 재료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텔레프타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가소화(可塑化)초산비닐코폴리머, 가소화초산비닐 염화비닐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셀로판, 초산셀루로스, 에틸셀루로스등의 합성수지제의 필름이나 시트등이 단독으로 또는 복수층 적층하여서 사용된다. 또 이들 합성수지제의 필름이나 시트는, 알루미늄박의 라미네이트나 알루미늄증착이나 세라믹코팅한 것 또는 이들 소재를 적층한 것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킹층 내에는, 약제저장층에 접촉하도록 이온토포레시스용의 전극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극의 배킹층으로의 내설 혹은 도입방법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린트인쇄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품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배킹층은, 필요에 따라서 제제를 넣어서 유지하기 위한 오목한 곳을 가진다. 배킹층의 형상 및 오목한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원형 혹은 타원형이나 대략 직사각형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의 재료로서는, 은, 염화은, 백금, 백금흑, 알루미늄, 철, 납, 카본, 도전성고무, 도전성수지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종류에 의해서는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열화등의 영향을 방지하고, 전극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전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전극보호층을 약제저장층과의 사이에 부분적 또는 전면적으로 적층형성 하여도 좋다.
보호층으로서는, 약제저장층 중의 모든 생리활성물질 성분에 대하여 비투과성이지 않으면 안된다. 또 일반적으로는 배킹층 및 격리막층과 히트시일 가능한 재료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킹층의 재료에서 열거한 바와 같은 재료가 단독층 또는 복수층 적층하여 사용된다, 또한 배킹층과 보호층 및/또는 격리막층을 히트시일하는 대신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시켜도 좋다.
접착제층에서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감압성 접착제 또는 겔점착제가 접합하게 사용된다. 감압성 접착제 또는 겔점착제로서는, 환자의피부 또는 점막의 표면에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를 유지할 수 있고, 보호층에 절결부를 가질 경우에는 라니어층을 박리할 때에 보호층을 절결부에서 파단하는 데에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고, 피부학적 및 점막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폴리-2-에틸헥시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계 접착제, 폴리푸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계 접착제,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실리콘계 접착제, 폴리이소프렌고무, 폴리이소푸틸렌고무, 폴리부타디엔고무, 천연고무와 같은 고무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콜, 젤라틴, 폴리비닐비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및 그 가교체, 알긴산나트륨 및 그 가교체, 셀룰로스 유도체등이 사용된다.
라이너층으로서는, 플라스틱필름, 셀룰로스필름등의 합성수지제의 필름 또는 시트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에 대하여 비투과성의 것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보호층이 파손제거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이형처리되어 있지 않고, 다른 부분만이 실리콘처리 또는 플루오로카본처리등으로 이형처리되어 있는 필름 또는 시트든가, 또는 이형처리되어 있지 않은 이 필름의 위에 보호층이 파손제거되는 부분과 동등하거나 그것보다 좀 작게 뚫여진 이형처리된 필름이나 시트를 적층한 복합층을 사용할 수 있다.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에 대하여 투과성의 격리막층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상기 배킹층과 접착가능한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에 대하여 투과성의 층이 사용되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의 폴리오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틸렌 유도체, 에틸렌-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폴리비닐알콜 공중합체, 불소수지, 아크리수지, 에폭시수지, 셀룰로스, 발포 폴리이소프렌고무등으로 이루어진 다공질 필름이나 시트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전류발생회로 및 전원장치와 접속되는 것이지만, 전류발생회로 및 전원장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와 분리되어서 접속코드등으로 접속되어도 좋고, 또 이 플라스터 구조체와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
일체화하여 사용할 경우는, 소형이고 경량인 것이라면 종류의 여하를 불문하지만, 통상, 버튼형상 전지, 시트형상 전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에 요구되는 전류값은, 통상적으로 0.001∼10mA/㎠, 바람직하게는 0.01∼1mA/㎠이며, 전지의 출력은 피부와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와의 접촉면적에도 따르지만 대략 0.5∼18V정도, 바람직하게는 3∼9V이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이들 경량전지를 여러개 배설하거나 또는 여러매 적층하거나 혹은 칩(chip)으로 된 증폭소자등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필요에 따라 정전류소자나 통전(通電)을 표시하는 발광소자등을 부가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생리활성물질의 특성에 맞춰서, 양극 또는 음극의 어느쪽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양극과 음극의 양편에 동시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약제저장층이 배킹층과 보호층으로 완전히 밀봉되어 있으므로,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층의 약제저장층과의 접촉면의 측부의 주위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라이너층을 벗겨내는 것 만으로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로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에 세로슬릿을 형성한 경우는 간단한 작업으로 확실히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로를 형성할 수 있다.
약제저장층과 보호층과의 사이에 격리막층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생리활성물질의 투여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보호층이나 라이너층, 배킹층이 2층 이상의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접착성이나 배리어성을 증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 내구성도 증가시킬 수 있다.
라이너층에 이형처리부를 형성한 경우는, 이 적층부와 이형처리부에서의 접합력이 현저히 다르므로, 이형처리부를 끌어당김으로써 생리활성물질 방출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배킹층, 격리막층, 접착제층 및 라이너층이 약제저장층 및 보호층보다 크고, 약제저장층의 둘레부의 배킹층과 격리막층이 히트시일등으로 접착되어 있으며, 더구나 보호층이 히트시일등의 접착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는, 보호층에 절결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라이너층을 떼내는 것 만으로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로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제 1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중앙부의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2b는 제 1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의 생리활성물질 방출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중앙부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Ia)는 제 1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1)은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을 함유하는 도전성의 약제저장층, (2)는 약제저장층(1)을 덮는 배킹층, (3)은 배킹층(2)의 내벽에 프린트인쇄등으로 내부에 설치되어 약제저장층(1)에 접촉하고 약제저장층(1)으로 통전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의 전극, (4)는 상면에서 약제저장층(1)을 지지하고 그 둘레부에서 배킹층(2)과 각종의 접착방법(바람직하게는 박리가 불가능하고 연속적인 히트시일이 바람직하다)으로 밀착된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에 대하여 비투과성의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층, (5)는 보호층(4)의 아래면 전체에 적층된 바람직하기로는 피부 또는 점막에 적합한 첩착성을 나타내는 아크릴계 수지접착제등의 감압성 접착제 또는 폴리비닐알콜등의 겔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층, (6)은 접착제층(5)의 아래면 전체에 적층되어 필요에 따라서, 측부에 박리용 손잡이부가 형성된 라이너층, (7)은 보호층(4)의 약제저장층(1)의 대향면쪽에서 약제저장층(1)의 주위에 절결이 형성된 절결부, (8)은 라이너층(6)의 박리에 의하여 개방되는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로이다.
다음에, 절결부(7)의 제조방법을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다이커트날로 형성한 절결부를 가진 보호층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그 중앙부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4a는 다른 응용예의 하나인 미싱바늘자리형상의 절결부를 가진 보호층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그 중앙부의 요부단면도, 도 5a는 다른 응용예의 하나인 미싱바늘자리형상의 절결부의 일부에 다시원주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세로슬릿을 구비한 보호층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그 중앙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보호층(4)은 절결형성층(4a)과 보강층(4b)의 적층물로 이루어져 있다.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의 누설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계적강도를 부여하고 파손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절결형성층(4a)을 다이커트날을 사용하여 커트하여 절결부(7a)를 형성한다. 이때 보강층(4b)에 관통된 곳이 있어서는 안된다. 또한 보호층(4)의 두께를 두껍게 한 경우나 다이커트기가 고정밀도를 가진 경우는, 보호층(4)은 적층물 대신에 단일의 수지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절결부(7)의 다른 제조방법으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미싱바늘자리형상의 절결부(7b)를 넣는 절결형성층(4a)과, 미싱바늘자리형상의 캅집부(7b)가 들어가 있지 않은 히트시일 가능한 합성수지제의 필름이나 시트를 적층하여서 만들어도 좋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층(4)을 잡아당겨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미싱바늘자리형상의 절결부(7b)에 다시 원주방향을 향해서 세로슬릿(7c)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에 관하여, 이하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를 환자에 적용하기 까지의 사이, 배킹층(2)과 보호층(4)이 봉해져 있으므로, 약제저장층(1)으로부터의 생리활성물질과 첨가제등의 휘산 및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환자에 적용할 때에는 라이너층(6)을 박리하는 것 만으로, 보호층(4)의 절결부(7)에 의하여 둘러싸여지는 부분은 라이너층(6)과 함께 간단히 제거되어 생리활성물질 방출로(8)를 형성할 수 있다. 절결부(7)의 둘레부의 보호층(4) 및 접착제층(5)은 그대로 잔존하므로 환부에 붙을 수 있다. 접착제층(5)은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로에는 잔존하지 않으므로, 이에 의하여 생리활성물질 방출시,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과 접착제는 상호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4)의 절결부는, 도 3의 실시형태와 반대쪽, 즉 약제저장층(1)과 반대쪽에 절결부(7)를 형성하여도 좋다. 보호층(4)이 두꺼울 경우나 기계적 강도가 큰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절결부(7) 둘레의 보호층(4)이 배킹층(2)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라이너층(6)을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절결부의 안쪽의 보호층(4)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생리활성물질 방출로(8)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의 요부 중앙 종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Ib)가 제 1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Ia)와 상이한 점은, 약제저장층(1)의 아래면 및 약제저장층(1)의 적어도 둘레부의 배킹층(2)의 아래면에 접촉하여 격리막층(9)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격리막층(9)의 두께는, 1∼500㎛, 바람직하게는 10∼200㎛이 바람직하다. 10㎛보다 얇아짐에 따라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량이 너무많아져서, 피부자극성이 너무 셀 경우가 있으며, 또 200㎛을 초과함에 따라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량이 너무 적어져서 투여시간을 필요이상으로 요구하므로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격리막층(9)의 공극율 및 미세구멍의 크기는, 약제저장층(1)중에 봉해 넣는 생리활성물질마다 그 방출의 제어목적에 따라서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배킹층(2)과 격리막층(9)과 보호층(4)의 접착방법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박리가 불가능하고 연속적인 히트시일이 바람직하다.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약제저장층(1)과 보호층(4)과의 사이에 격리막층(9)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생리활성물질의 투여를 최적의 투여량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 생리활성물질의 투여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피부자극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요부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Ic)가 제 1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Ia)와 상이한 점은, 라이너층(6)의 접착제층(5) 측의 표면 보호층(4)의 파열 제거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둘레부에 이형처리부(10)를 가지고 있는 점이다.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호층(4)의 절결부(7)에 의하여 둘러싸여진 부분만 라이너층(6)과 접착제층(5)의 접착력이 증대하고, 이형처리부(10)에서는 접착력이 약하다. 이에 따라 절결부(7)에 의하여 보호층(4)을 매우 용이하게 격리시킬 수 있고 생리활성물질 방출로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요부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제 4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Id)가 제 1 실시예나 제 2 실시예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Ia),(Ib)와 상이한 점은, 약제저장층(1)을 둘러싸고 이온토포레시스용의 전극(3)을 내부에 설치한 배킹층(2)과 격리막층(9)이 보호층(4)의 둘레 측부에서 히트시일된 히트시일부(11)를 구비함과 동시에, 보호층(4)에 절결부가 없고, 또한 배킹층(2), 격리막층(9), 접착제층(5) 및 라이너층(6)은 약제저장층(1) 및 보호층(4)보다 지름이 크고, 또한 보호층(4)이 히트시일부(11)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환자에 적용하기까지의 사이, 약제저장층(1)으로부터의 생리활성물질의 휘산 및 누설을 방지하고, 또 환자에 적용할 때, 라이너층(6)의 박리를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보호층(4)이 라이너층(6)과 함께 제거되어 생리활성물질 방출로를 형성한다. 이 때 보호층(4)의 둘레부에만 접착제가 잔존하기 때문에, 생리활성물질의 방출시에,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과 접착제의 상호작용에 의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뛰어난 효과를 가진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1) 약제저장층이 배킹층과 보호층으로 완전히 밀봉되어 있으므로, 보존중의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의 누설 및 휘산을 충분히 억제하기 때문에, 안정되게 보존할 수 있고, 당초 설계된 양의 생리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2) 보호층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라이너층을 당겨 벗기는 것 만으로 매우 간단히 생리활성물질 방출로를 형성할 수 있고, 시술작업의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3) 또, 간단히 생리활성물질 방출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리활성물질 방출로를 형성할 때 종래와 같은 생리활성물질이나 첨가제등이 누설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시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약제저장층과 보호층과의 사이에 격리막층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1) 내지 (3)의 효과에 더하여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량도 제어할 수 있다.
(5) 라이너층의 표면의 보호층의 파손제거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둘레부가 이형처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형처리부가 손잡이로 되므로, 생리활성물질 방출로의 형성작업의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6) 약제저장층을 직접 환부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감압성 접착제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생리활성물질의 투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뛰어난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의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는, 인체 피부 또는 점막에 첩부(貼付)하고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뛰어난 치료효과를 유감없이 발휘하고, 의약산업상 대단히 유용한 의약제제이다.

Claims (11)

  1.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도전성의 약제저장층과, 상기 약제저장층을 덮어서 전극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생리활성물질에 대하여 비투과성인 배킹층과, 상기 약제저장층을 지지하고 상기 생리활성물질에 대하여 비투과성인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의 다른면에 적층된 접착제층과, 상기 접착제층의 다른면에 적층된 라이너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감압성 접착제 또는 겔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저장층과 상기 보호층과의 사이에, 상기 생리활성물질에 대하여 투과성의 격리막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상기 약제저장층과의 접촉면의 측부 주위에 형성된 절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2층 이상의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층의 표면의 보호층의 파손 제거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이형처리되어 있지 않고, 다른 부분만이 이형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킹층과, 상기 격리막층과, 상기 접착제층 및 상기 라이너층이 상기 약제저장층 및 상기 보호층보다 크게 형성되고, 또 상기 약제저장층이 둘레부의 상기 배킹층과 상기 격리막층이 히트시일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층이 상기 히트시일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상기 약제저장층과의 접촉면의 측부 주위에 형성된 절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2층 이상의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2층 이상의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층의 표면의 보호층의 파손 제거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이형처리되어 있지 않고, 다른 부분만이 이형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KR1019980701060A 1995-08-14 1995-08-14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KR100270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5/001614 WO1997006847A1 (fr) 1994-07-02 1995-08-14 Structure de pansement adhesif pour iontophore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91A KR19990036391A (ko) 1999-05-25
KR100270062B1 true KR100270062B1 (ko) 2000-11-01

Family

ID=6595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060A KR100270062B1 (ko) 1995-08-14 1995-08-14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90719B2 (en) * 2000-09-11 2006-06-22 Alza Corporation Transdermal electrotranspor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610255B1 (ko) * 2005-06-03 2006-08-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91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3334B2 (ja) イオントフォレ−シス用プラスター構造体
JP4154017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および薬物ユニット
CN1147319C (zh) 药用水凝胶配方,给药装置及方法
KR20010041335A (ko)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JP3119486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
JPH03151982A (ja) タンパク及びペプチド性薬物の経皮投与器具
JP2000316991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の電極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17432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インタフェース
US20070078373A1 (en) Pulsatile delivery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from a pre-loaded integrated electrotransport patch
US20070255195A1 (en) Iontophoresis device
JP4154016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H09201420A (ja) 用時活性型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
KR100270062B1 (ko) 이온토포레시스용 플라스터 구조체
JPH08229140A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デバイス
JP2795466B2 (ja)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用インタフェース
AU2003200165B2 (en) Iontophoresis device and dru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