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757A -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757A
KR20010032757A KR1020007006049A KR20007006049A KR20010032757A KR 20010032757 A KR20010032757 A KR 20010032757A KR 1020007006049 A KR1020007006049 A KR 1020007006049A KR 20007006049 A KR20007006049 A KR 20007006049A KR 20010032757 A KR20010032757 A KR 20010032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light
layer
weigh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196B1 (ko
Inventor
가따야마다까시
나까하라히로유끼
오쓰까아끼라
구니이야수히꼬
구로기시게또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3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광 부분에 인접하는 구성 요소인 격벽을 반투명으로 함으로써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개선한다. 격벽에 입사한 가시광은 일정한 비율로 감쇄하면서 격벽 내부를 진행한다. 전면측으로부터 격벽에 입사한 외광이 격벽의 저면에서 반사하여 다시 전면으로 돌아올 때, 외광은 격벽 내부를 왕복 이동한다. 이 왕복 이동에 의해 외광은 대폭적으로 감쇄하므로, 겉보기 상으로 격벽은 외광에 대하여 광흡수체로서 기능한다. 발광 부분에서 발광한 광은 격벽을 투과하여 전면으로부터 외부로 사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대화면의 텔레비젼 표시 디바이스로서, 42인치 사이즈의 면방전 형식의 AC형 PDP가 상품화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면방전 형식은 벽전하(유전체의 대전하(帶電荷))를 이용하여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AC 구동에서 교대로 양극 또는 음극이 되는 제1 및 제2 주전극을 전면측 또는 배면측의 기판(일반적으로 유리판) 위에 평행하게 배열하는 형식이다. 면방전 형식에서는 제1 및 제2 주전극을 교차 배열하는 형식과는 달리, 컬러 표시를 위한 형광체층을 주전극쌍을 배치한 기판과 대향하는 다른 쪽의 기판상에 배치함으로써, 방전시의 이온 충격에 의한 형광체층의 열화를 경감하여,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형광체층을 배면 기판상에 배치한 "반사형"은 전면 기판상에 배치한 "투과형"보다도 발광 효율이 우수한다.
면방전 형식의 PDP는 매트릭스 표시의 열마다 내부의 방전 공간을 나누는 격벽을 갖고 있다. 격벽에 의해서, 서로 이웃하는 열끼리의 방전 결합이 방지되고, 또 방전 공간의 치수(두께)가 규정된다. 통상, 격벽은 형광체층을 설치하는 측의 기판상에 형성된다. 방전 공간의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의 격벽을 한쪽의 기판에만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방전 공간 두께의 반높이의 격벽을 양쪽 기판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한쌍의 기판을 중첩하는 조립 공정에서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진다. 또, 형광체층을 기판의 상면뿐만 아니라 격벽의 측면도 덮도록 설치하고, 이에 의해 발광 면적의 증대와 시야각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PDP의 제조에서는 기판과의 친화성을 고려하여 각 요소의 재질이 선정된다. 상술한 격벽은 소정 패턴의 저융점 유리 페이스트층을 소성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페이스트층의 형성에는 스크린 인쇄법 또는 일면으로 퍼지는 층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삭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종래에는 격벽은 그 재료인 유리 프릿(glass frit)에 흑색 또는 백색의 무기 안료를 혼합함으로써 의도적으로 착색되어, 실질적으로 불투명했다. 흑색으로 착색하면, 가시광에 대한 흡수율이 높아지므로, 격벽에서의 외광의 반사가 방지되어, 표시의 콘트라스트가 개선된다. 한편, 백색으로 착색하면, 가시광에 대한 반사율이 높아지므로, 형광체층에서 발광하여 격벽을 향하는 광을 형광체층의 표면측으로 돌려서 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흑색으로 착색한 경우에는 형광체층에서 발광하여 격벽에 입사한 광이 격벽에 의해 흡수되어 버리므로, 그만큼 발광이 소용없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백색으로 착색한 경우에는 외광이 격벽에서 반사하여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콘트라스트의 개선과 휘도의 향상을 양립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휘도 및 콘트라스트 쌍방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부분에 인접하는 구성 요소인 격벽이 반투명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또, 제2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징은 격벽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1층과 가시광에 대한 흡수 계수가 큰 제2층으로 되고, 제2층이 제1층의 배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반투명 구조에서는 격벽에 입사한 유용한 광(패널 내부에서 발광한 광)은 소정의 비율로 감쇄하지만, 격벽을 투과하여 전면을 향한다. 한편, 격벽에 입사한 외광은 격벽 내부로 진행하고 격벽의 저면에서 반사하여, 다시 격벽을 통해서 전면을 향한다. 패널 내부에서 발광한 유용한 광과는 달리, 외광은 격벽을 2회 통하여 전면으로 돌아오게 되므로, 격벽을 통과함에 의한 외광의 감쇄의 정도는 유용한 광보다도 크다. 외광의 반사율(사출하는 외광의 강도/입사하는 외광의 강도)을 예를 들면 0.1로 하려는 경우에는 격벽의 높이에 상당하는 광로 길이에서의 투과율(α)이 (1)식을 만족하는 값이면 좋다.
α2×β≤O.1 ----- (1)
β:격벽의 하층의 반사율
여기서, 표시의 휘도를 높이는 데에는 투과율(α)이 보다 큰쪽이 좋다. 격벽의 하층을 암색으로 착색하는 등 반사율(β)을 작게 하면, (l)식을 만족하면서 또한 투과율(α)을 크게 할 수 있다.
복층 구조에서는 유용한 광은 제1층을 투과하여 전면을 향한다. 한편, 격벽에 입사한 외광은 제1층을 통해 제2층으로 입사하고, 제2층에서 흡수된다. 제1층 및 제2층의 각각의 굴절율을 같거나 근사치로 선정함으로써, 이들 계면에서의 불필요한 반사를 방지하여, 전면으로 돌아오는 외광을 실질적으로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격벽에서의 유용한 광의 흡수 및 외광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콘트라스트를 해치지 않고 휘도를 높이고, 또는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콘트라스트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에 대해서는 위에서 보았을 때 전면 중의 격벽이 차지하는 면적이 비교적 큰 매트릭스 표시 형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합한 대상이지만, 특정의 문자나 기호만을 표시하는 세그먼트 표시 형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도 대상에 포함된다. 또, 발광의 형태에 한정은 없으며 가스 방전 및 전계 발광이라는 자기 발광 형식이라도 좋고, LCD로 간주되는 백 라이트 형식이라도 좋다.
이 발명은 복수의 발광 부분을 가진 면상의 디바이스인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방전 가스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가진 면방전 형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에 적합하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PDP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a는 제1 실시예에서의 내부에서 발광한 광에 대한 격벽의 작용의 모식도이다.
도2b는 제1 실시예에서의 외광에 대한 격벽의 작용의 모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유리층의 투과 특성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유리층의 반사 특성 그래프이다.
도5는 휘도 및 외광 반사율의 측정 결과를 표형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격벽 배치의 치수 조건을 예시하기 위한 격벽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7은 서스테인 전극의 배치 조건을 예시하기 위한 전면측 기판 구조체의 주요부의 모식도이다.
도8은 휘도의 측정 조건을 예시하기 위한 전압 파형도이다.
도9a는 제2 실시예에서의 내부에서 발광한 광에 대한 격벽의 작용의 모식도이다.
도9b는 제2 실시예에서의 외광에 대한 격벽의 작용의 모식도이다.
도1에서, 예시한 PDP1은 매트릭스 표시가 가능한 화면ES를 갖는 3전극 면방전 구조의 AC형 컬러 PDP이고, 1쌍의 기판 구조체(10,20)로 된다. 또한, 기판 구조체란 화면 이상의 크기의 판상의 지지체와 다른 적어도 l종의 패널 구성 요소로 되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지지체로서의 기판에 복수종의 패널 구성 요소를 차례로 형성하여 가는 제조 과정에서, 최초의 패널 구성 요소의 형성을 종료한 후의 각 단계의 기판을 주체로 하여 제작중인 것은 기판 구조체이다.
화면ES를 구성하는 각셀(표시 소자)에서, 주전극인 1쌍의 서스테인 전극(X,Y)과 제3 전극인 어드레스 전극(A)이 교차한다. 서스테인 전극(X,Y)은 전면측의 유리 기판(11)의 내면에 배열되어 있고, 각각이 투명 도전막(41)과 라인 저항을 저감하는 금속막(42)으로 된다. 서스테인 전극(X,Y)을 피복하도록 저융점 유리로 되는 소정 두께(예를 들면 30㎛)의 유전체층(17)이 설치되고, 유전체층(17)의 표면에는 보호막(18)으로서 내스퍼터성이 우수하고 2차 전자 방출 계수가 큰 마그네시아(Mg0)가 피착되어 있다. 또한, 유리 기판(11)의 두께 방향의 외면이 PDP1의 전면이다.
어드레스 전극(A)은 배면측의 유리 기판(21)의 내면상에 배열되어 있고, 두께 10㎛정도의 유전체층(24)으로 덮혀져 있다. 유전체층(24) 위에 본 발명을 적용한 반투명의 격벽(29)이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들 격벽(29)에 의해 방전 가스 공간(30)이 행방향(화면의 수평 방향)으로 셀마다 구획되어 있다. 각 격벽(29)은 저융점 유리 페이스트층의 소성에 의해 형성되고, 위에서 보았을 때 직선 띠형상으로 단면의 어스펙트비(높이/폭)가 큰 구조체이다. 또한, 유리 기판(21)의 두께 방향의 외면이 PDP1의 배면이다.
컬러 표시를 위한 R, G, B의 3색의 형광체층(28R,28G,28B)은 어드레스 전극(A)의 위쪽 및 격벽(29)의 측면을 포함하여 배면측의 내면을 덮도록 각열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각 형광체층(28R,28G,28B)이 본 발명의 발광 부분에 상당한다. 매트릭스 표시의 1피크셀은 행방향으로 나란한 3개의 서브 피크셀(단위 발광 영역)로 구성되고, 화면의 수직 방향인 열방향으로 나란한 서브 피크셀의 발광색은 동일하다. 각 서브 피크셀의 범위내의 구조체가 셀이다. 격벽(29)의 배치 패턴이 스트라이프 패턴이므로, 방전 가스 공간(30) 중의 각열에 대응한 부분은 모든 행에 걸쳐서 열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열방향으로 균일한 형광체층(28R,28G,28B)을 스크린 인쇄로 비교적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방전 가스의 충전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방향으로 인접하는 셀끼리의 방전 결합을 방지하기 때문에, 행간의 주전극 간격은 충분히 큰 값으로 선정되어 있고, 행간에는 소위 블랙 스트라이프를 구성하는 띠상의 차광층(45)(도7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방전 가스는 주성분인 네온에 크세논을 혼합한 페닝 가스이고, 가스압은 약 500토르이다.
PDP1에서는 각셀의 점등(발광)/비점등의 선택(어드레싱)에, 어드레스 전극(A)과 서스테인 전극(Y)이 사용된다. 즉, n개(n은 행수)의 서스테인 전극(Y)에 대하여 1개씩 차례로 스캔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화면주사가 행해지고, 서스테인 전극(Y)과 표시 내용에 따라 선택된 어드레스 전극(A) 사이에 생기는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서, 행마다 소정의 대전 상태가 형성된다. 어드레싱의 후, 서스테인 전극(X)과 서스테인 전극(Y)에 교호로 소정 파고치의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하면, 어드레싱의 종료 시점에서 적당량의 벽전하가 존재한 셀에서, 기판면을 따른 면방전이 생긴다. 면방전시에 방전 가스가 내놓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층(28R,28G,28B)이 국부적으로 여기되어 발광한다. 형광체층(28R,28G,28B)이 내놓는 가시광 중, 유리 기판(11)을 투과하는 광이 표시에 기여한다.
다음에 격벽(29)의 광학 특성을 설명한다.
도2a와 같이, 각색의 형광체층(여기서는 형광체층(28R)을 대표로 한다)에서는 주로 표면층 부근에서 발광이 일어난다. 표면층 부근에서 발광하여 층의 표면측에 존재하는 방전 가스 공간으로 사출한 광(L11)은 그대로 표시광으로서 전면(도면에서는 윗쪽)으로 향한다. 한편, 표면층 부근에서 발광하여 층의 이면측으로 진행하는 광도 있다. 또, 형광체층(28R)의 이면측 부분에서 발광하는 광도 있다. 어쨌든, 형광체층(28R)으로부터 격벽(29)에 입사한 광 중, 전면으로 향하는 광(L12)은 소정의 투광성을 가진 격벽(29)을 투과하여 표시광이 된다. 격벽(29)의 통과에 수반하여 광(L12)은 광흡수에 의해 감쇄하지만, 격벽(29)을 통과하는 거리가 짧으면 감쇄량은 약간이다. 또, 격벽(29)의 측면을 형광체층(28R)이 덮는 구조에서는 격벽(29)의 정상 부근(주전극쌍의 부근)의 발광량이 저면 부근보다도 많다. 그리고, 격벽(29)의 정상 부근에서 발광한 경우에는 저면 부근에서 발광한 경우보다도 전면을 향할 때에 격벽(29)을 통과하는 거리가 짧다. 즉, 형광체층(28R)에서 발광하는 광(L11,L12)의 총 광량에 대한 격벽(29)에서의 흡수분의 비율은 작다.
도2b와 같이, 전면(도면의 윗쪽)으로부터 격벽(29)으로 외광(L21)이 수직 또는 이와 가까운 각도로 입사한 경우에서, 외광(L21)은 소정의 흡수성을 가진 반투명의 격벽(29)의 내부를 감쇄하면서 진행하여 배면(도면에서는 아래쪽)으로 향한다. 격벽(29)의 저면에 도달한 외광(L21')의 일부인 외광(L22)은 그대로 배면으로 향하고, 나머지 일부인 외광(L23)은 격벽(29)의 저면에서 반사한다. 반사한 외광(L23)은 격벽(29)의 내부를 감쇄하면서 진행하여 전면으로 향한다. 이와 같이 외광(L21)이 격벽(29)을 통과하는 거리는 격벽(29)의 높이(h)의 2배로 된다. 높이(h)의 구체값은 예를 들면 140㎛이다. 따라서, 단위 길이당 투과율이 비교적 커도(환언하면 흡수 계수가 작아도),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초래하는 부필요한 외광(L23')을 충분히 줄일 수 있다. 즉, 외광(L21)을 격벽(29)의 상면이나 그 부근에서 반사시키지 않고 격벽(29)의 내부에서 감쇄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개선할 수 있다. 격벽 단면의 어스펙트비가 클수록, 격벽의 투과율을 높여 유용한 광의 손실을 작게 하는 동시에, 외광 반사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격벽(29)의 반사율은 다음 (a),(b)의 방법으로 저감할 수 있다.
(a) 격벽 재료의 페이스트에, 주성분인 PbO계 모재(母材) 유리보다도 연화점이 1O~100℃ 정도 낮은 유리를 2~3wt% 정도의 비율로 혼합한다. 격벽(29)의 형성에서 입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소성 온도를 주성분의 연화점보다 수십℃정도 낮은 온도로 설정해도, 모재 유리 입자끼리의 공극이 연화점이 낮은 유리로 매워지고, 모재 유리입자와 공극의 계면에서의 굴절이나 반사(즉 격벽내에서의 산란)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b) 소성시의 유동 방지용 필러로서, 일반적인 세라믹(예를 들면 산화지르코늄:ZrO)보다도 투과율이 크고 또한 모재 유리와 거의 같은 굴절율의 물질(예를 들면 이산화규소:SiO2)를 5~30wt%의 비율로 혼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는 반투명의 격벽(29)의 형성에 사용하는 유리 재료의 구체예로서, 제1 및 제2 유리 프릿이 있다.
제1 유리 프릿은 주성분인 일산화납(lead mono oxide:PbO)을 65~7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삼산화이붕소(diboron trioxide: B2O3)를 5~1O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SiO2)를 20~25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동시에, 산화칼슘(calcium oxide:CaO)를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연화점이 565℃인 혼합물이다. 제2 유리 프릿은 일산화납을 60~65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삼산화이붕소를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이산화규소를 20~25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동시에, 산화칼슘을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연화점이 575℃인 혼합물이다.
제1 유리 프릿 또는 제2 유리 프릿, 용제(20 중량%), 및 수지 바인더(1 중량%)를 혼합한 페이스트를 인쇄하고, 적당히 건조시킨 후에 연화점 부근의 온도에서 소성함으로써, 격벽(29)이 얻어진다. 도3은 이 격벽 형성과 같은 조건에서 1인치각 이상의 사이즈의 유리층을 형성하여,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측정을 하는 이유는 미세한 격벽(29)에서는 정확하게 투과율을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도3에서는 백색 안료를 첨가한 종래의 격벽에 상당하는 유리층의 특성이 비교를 위해서 기입되어 있다. 도3과 같이, 제1 유리 프릿로 되는 유리층(막 두께 25.2 마이크로미터) 및 제2 유리 프릿로 되는 유리층(막 두께 25.3 마이크로 미터)에서는 400~740 나노미터의 파장대역의 전역에서 투과율이 50~75% 정도이다. 또, 도4는 도3의 측정에 사용한 유리층의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또는 제2 유리 프릿로 되는 유리층에서는 400~740 나노미터의 파장대역의 전역에서 반사율은 거의 일정하게 20% 이하이다.
도5는 본 발명의 PDP1에서의 백색 발광의 휘도 및 백색 외광에 대한 반사율의 측정 결과를 비교예 측정 결과와 함께 표형식으로 나타내고 있다(측정에 사용한 PDP의 치수 사양, 및 휘도 측정의 구동 조건은 후술한다). 여기서, 휘도는 방전 전류에 의존하고, 그 방전 전류는 셀 구조의 미묘한 차이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도5에서는 휘도의 평가 항목으로서 발광 효율이 설정되어 있다. 반사율은 모든 셀을 발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전면에서의 셀보다 충분히 큰 영역에 균일하게 외광(CIE가 정한 표준 광(C))을 수직 조사했을 때의, 전면에서의 입사 광량에 대한 반사 광량의 비율이다. 이 외광 반사율이 작을수록 콘트라스트가 양호하게 된다.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유리 프릿로 되는 반투명의 격벽을 설치한 실시예1에서는 격벽을 흑색으로 착색한 종래예1에 비하여 발광 효율이 20%나 크고, 격벽을 백색으로 착색한 종래예2에 비해서도 발광 효율이 크다. 제2 유리 프릿로 되는 반투명의 격벽을 설치한 실시예2에서는 종래예1에 비하여 발광 효율이 13%나 크고, 종래예2와 비해서도 거의 같은 정도이다. 한편, 외광 반사율의 비교에서는 실시예1 및 실시예2 모두에서 20% 이하의 값으로 종래예1보다도 작다.
측정에 사용한 PDP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화면 사이즈: 42인치
피크셀 수: 852 ×480(VGA)
서브피크셀 수: 2556 ×480
서브피크셀 사이즈:l080㎛ ×390㎛
전면 기판의 재질: 소다라임 유리
전면 기판의 두께: 3mm
격벽 상부의 폭(w1)(도6 참조): 70㎛
격벽 저부의 폭(w2)(도6 참조): 140㎛
격벽의 높이(h): 140㎛
격벽 배열 피치(p)(도6 참조): 390㎛
주전극의 폭(W1)(도7 참조): 275㎛
금속막의 폭(W2)(도7 참조): 100㎛
면방전 갭(g)(도7 참조): 100㎛
행간의 차광층의 폭(W3)(도7 참조): 350㎛
유전체층의 두께(a)(도7 참조): 30㎛
보호막의 두께: 1㎛ 이하
또, 휘도의 측정은 모든 셀에 방전 개시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300 볼트)을 인가하여 방전을 일으켜서, 모든 셀을 균등하게 대전시킨 후, 모든 주전극(X)과 모든 주전극(Y)에 교호로 주기적으로 서스테인 펄스를 인가한 상태에서 행해졌다. 휘도는 서스테인 펄스의 인가 주기(단속적인 방전의 주기)보다도 충분히 긴(100배 이상)기간에서의 평균 발광량에 상당한다. 서스테인 펄스(Ps)(도8 참조)의 인가 조건은 다음과 같다.
파고치(Vs)(도8 참조): 170V
펄스폭(pw)(도8 참조): 4.0㎲
평균 주파수(f1)(도8 참조): 12.5kHz
순간 주파수(f2)(도8 참조): 109kHz
또한, 콘트라스트를 보다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격벽 재료인 저융점 유리 페이스트에 소정량의 고흡수율 물질(Cr2O3, FeO 등의 입경 수㎛ 정도의 분체)을 첨가하여 격벽(29)의 투과율을 저감하면 좋다. 대략 그 첨가량은 1~1Owt%이다. 단, 투과율을 저감하면 휘도는 저하한다.
이상의 실시예의 격벽(29)은 단층 구조이다. 단층 구조는 복층 구조에 비하여 제조 공정수가 적어 층간 계면에서의 박리가 생기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반드시 단층 구조로 할 필요는 없고, 제1도의 구성의 PDP에서 도9a,b에 나타내는 복층 구조의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도9a에서, 격벽(29b)은 암색의 하층(291)과 그 위에 적층된 투광성의 상층(292)으로 되고, 그 좌우의 측면은 하단으로부터 상단 부근까지 형광체층(28R,28B)으로 덮여진다. 하층(291)은 흑색 안료 등으로 착색된 광흡수율이 높은 저융점 유리층이고, 외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갖는다. 상층(292)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저융점 유리층이다. 하층(291)의 두께는 충분한 광흡수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내에서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격벽(29b)의 높이의 5~10% 정도가 실용상 적합하다.
격벽29b에서도, 형광체층(28R)에서 발광한 유용한 광은 도2의 구조와 같이 표시광이 된다. 즉, 형광체층(28R)의 표면층 부근에서 발광하여 층의 표면측에 존재하는 방전 가스 공간으로 사출한 광(L11)은 그대로 표시광으로서 전면으로 향하고, 형광체층(28R)으로부터 격벽(29)에 입사한 광 중의 전면으로 향하는 광(L12)은 격벽(29b)을 투과하여 표시광이 된다.
상층(292)의 투명도를 상술한 방법으로 높이면, 형광체층(28R)에서 발광한 광을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상층(292)을 반투명으로 한 경우라도, 격벽(29b)의 정상 부근만을 통과하는 광(L12)의 감쇄량은 약간이므로, 광(L12)을 표시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9b와 같이 전면(도면의 윗쪽)으로부터 격벽(29b)에 외광(L21)이 입사된 경우에서, 외광(L21)은 상층(292)을 지나서 배면(도면에서는 아래쪽)으로 향한다. 하층(291)과 상층 부분(292)에서 굴절율에 차가 없거나 또는 약간이면, 상층(292)을 투과한 외광(L21')은 하층(291)과 상층(292) 계면에서는 거의 반사하지 않고 하층(291)에 입사하여, 하층(291)에서 흡수되어 버린다. 상층(292)을 반투명으로 한 경우에는 상층(292)을 통과하는 단계에서의 감쇄량이 많으므로, 하층(291)에 요구되는 흡수율의 제약(예를 들면 안료의 첨가량이나 두께)이 완화되고, 층형성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복층 구조에 의하면, 광학 특성에 관한 설정 항목으로서 상층 부분(292)의 투과율, 하층 부분(291)의 흡수율 및 각 부분의 두께가 있고, 항목수가 단층 구조의 경우보다도 많으므로, 격벽(29b)의 설계의 자유도가 크다. 또, 만일 격벽(29b)의 높이(h)가 작아서 반투명화로는 외광을 충분히 감쇄할 수 없는 경우라도, 외광을 흡수하여 반사를 방지하여,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격벽 패턴에 대해서는 도1의 예와 같이 직선상의 격벽(29)을 배열하는 스트라이프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규칙적으로 사행(蛇行)하는 파상(波狀)의 격벽을 배열하는 스트라이프 패턴, 화면을 셀마다 구획하는 메쉬 패턴으로 할 수 있다.
이상의 PDP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한 광의 손실이 적어 외광의 반사가 경미한 이점을 갖고, 밝고 콘트라스트가 양호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 표시 및 세그먼트 표시에 본 발명은 유용하다.

Claims (19)

  1. 투명한 전면 기판 및 이에 대향하는 배면 기판을 갖고, 기판끼리의 대향 간극이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또 당해 격벽에 발광 부분이 인접하는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 부분에서 발광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성과 입사한 가시광을 감쇄시키는 흡수성을 함께 갖는 반투명의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유리 프릿을 주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를 소성한 구조체이고,
    상기 유리 프릿은 일산화납을 60~7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삼산화이붕소를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이산화규소를 20~25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동시에, 산화칼슘을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전면측으로부터 상기 전면 기판에 수직 입사한 가시광의 반사율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유리 프릿을 주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를 소성한 구조체이고,
    상기 유리 프릿은 일산화납을 60~7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삼산화이붕소를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이산화규소를 20~25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동시에, 산화칼슘을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이고,
    전면측으로부터 상기 전면 기판에 수직 입사한 가시광의 반사율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가시광을 흡수하는 물질이 첨가된 유리 프릿을 주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를 소성한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균질한 단층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투명한 전면 기판 및 이에 대향하는 배면 기판을 갖고, 기판끼리의 대향 간극이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또 당해 격벽에 가스 방전으로 발광하는 발광 부분이 인접하는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 부분에서 발광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성과 입사한 가시광을 감쇄시키는 흡수성을 함께 갖는 반투명의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매트릭스 표시가 가능한 화면을 갖고,
    상기 전면 기판의 내면에 면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전극쌍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이 배열되고,
    상기 격벽은 위에서 보았을 때 띠형상의 구조체로서 상기 대향 간극을 매트릭스 표시의 열마다 구획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서의 높이 방향의 치수는 행방향의 치수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분은 자외선을 방사하는 가스 공간과 자외선 여기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층을 갖고,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격벽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배열된 상기 전면 기판과, 상기 격벽 및 상기 형광체층이 배치된 상기 배면 기판을 일체화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유동 방지재로서 투명한 물질이 첨가된 유리 프릿을 주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를 소성한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유리 프릿을 주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를 소성한 구조체이고,
    상기 유리 프릿은 일산화납을 60~7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삼산화이붕소를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이산화규소를 20~25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동시에, 산화칼슘을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전면측으로부터 상기 전면 기판에 수직 입사한 가시광의 반사율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유리 프릿을 주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를 소성한 구조체이고,
    상기 유리 프릿은 일산화납을 60~7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삼산화이붕소를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고, 이산화규소를 20~25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동시에, 산화칼슘을 5~10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혼합물이고,
    또, 전면측으로부터 상기 전면 기판에 수직 입사한 가시광의 반사율이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가시광을 흡수하는 물질이 첨가된 유리 프릿을 주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를 소성한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7. 투명한 전면 기판 및 이에 대향하는 배면 기판을 갖고, 기판끼리의 대향 간극이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또한 당해 격벽에 발광 부분이 인접하는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으로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발광 부분에서 발광한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성을 갖는 제1층과, 입사한 가시광을 감쇄시키는 흡수성을 갖는 제2층으로 되는 복층 구조이고,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에 대한 배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2층보다도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분은 자외선을 방사하는 가스 공간과 자외선 여기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층을 갖고,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격벽의 측면을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에 걸쳐서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07006049A 1998-03-31 1999-03-25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55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44198 1998-03-31
JP98-085441 1998-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757A true KR20010032757A (ko) 2001-04-25
KR100555196B1 KR100555196B1 (ko) 2006-03-03

Family

ID=1385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049A KR100555196B1 (ko) 1998-03-31 1999-03-25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98431B1 (ko)
EP (1) EP1077465B1 (ko)
JP (1) JP4006672B2 (ko)
KR (1) KR100555196B1 (ko)
DE (1) DE69935070T2 (ko)
WO (1) WO199905087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816B1 (ko) * 2005-06-30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13371B1 (ko) * 2007-12-28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전면 커버의 제조 방법, 그 사출금형 및 그 전면 커버
WO2011010873A3 (en) * 2009-07-23 2011-04-1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1361B2 (ja) * 2001-05-31 2011-03-02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用隔壁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6777861B2 (en) * 2002-03-29 2004-08-17 Sony Corporation Color selector for e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US6861792B2 (en) 2002-03-29 2005-03-01 Sony Corporation Color separator for emissive display
US6947198B2 (en) * 2002-03-29 2005-09-20 Sony Corporation Emissive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30184531A1 (en) * 2002-03-29 2003-10-02 Sony Corporation GLV engine for image display
US6788354B2 (en) 2002-04-01 2004-09-07 Sony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color separator for emissive display
US20050051950A1 (en) * 2002-05-13 2005-03-10 Greene David G.S. Maze tag game
US7323818B2 (en) 2002-12-27 2008-01-29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JP2004214166A (ja) 2003-01-02 2004-07-29 Samsung Sdi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315122B2 (en) 2003-01-02 2008-01-01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US7327083B2 (en) 2003-06-25 2008-02-05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US7425797B2 (en) 2003-07-04 2008-09-16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protrusion electrode with indentation and aperture
US7208876B2 (en) 2003-07-22 2007-04-24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KR20080069074A (ko) * 2007-01-22 2008-07-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8609A (ko) * 2007-07-18 2009-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외광 반사 저감을 위한 격벽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5175A (en) * 1975-06-26 1976-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sealing glass
JPH0644452B2 (ja) * 1984-07-13 1994-06-08 奥野製薬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454671Y2 (ko) * 1986-05-06 1992-12-22
JP2621165B2 (ja) * 1987-03-20 1997-06-18 富士通株式会社 ガス放電パネル
US5209688A (en) * 1988-12-19 1993-05-11 Narumi China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JP3394799B2 (ja) * 1993-09-13 2003-04-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720285B2 (ja) * 1993-12-27 1998-03-04 岡谷電機産業株式会社 ガス放電表示パネル
JPH08138559A (ja) * 1994-11-11 1996-05-31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EP0722179A3 (en) * 1994-12-05 1997-12-1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sulator composition, green tape, and method for forming plasma display apparatus barrier-rib
JP2716013B2 (ja) * 1995-08-11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16844B2 (ja) * 1996-06-21 2000-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845974B2 (ja) * 1997-08-18 2006-11-1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ーパネル用隔壁形成材料
KR100338730B1 (ko) * 1998-07-27 2002-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KR100662061B1 (ko) * 1998-09-29 2006-12-2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기판 구조체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816B1 (ko) * 2005-06-30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13371B1 (ko) * 2007-12-28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전면 커버의 제조 방법, 그 사출금형 및 그 전면 커버
WO2011010873A3 (en) * 2009-07-23 2011-04-1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8619414B2 (en) 2009-07-23 2013-12-3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5070T2 (de) 2007-05-31
US6498431B1 (en) 2002-12-24
DE69935070D1 (de) 2007-03-22
KR100555196B1 (ko) 2006-03-03
JP4006672B2 (ja) 2007-11-14
EP1077465A4 (en) 2001-05-30
EP1077465A1 (en) 2001-02-21
WO1999050877A1 (fr) 1999-10-07
EP1077465B1 (en)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196B1 (ko) 디스플레이 패널
JP4688780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6072276A (en) Color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0367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362500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554639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8053963B2 (en) Display device and optical filter
EP1263015A2 (en) Rib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e process
KR20080037476A (ko) 필터 및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675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298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31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447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87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4527892A (ja) カラーフィルタを有するプラズマカラー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
KR1008896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87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975973B (zh) 等离子显示屏
JP200112662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70284995A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9000698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435606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08004787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5678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4805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