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675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675A
KR20090003675A KR1020070066532A KR20070066532A KR20090003675A KR 20090003675 A KR20090003675 A KR 20090003675A KR 1020070066532 A KR1020070066532 A KR 1020070066532A KR 20070066532 A KR20070066532 A KR 20070066532A KR 20090003675 A KR20090003675 A KR 20090003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igment
content
dielect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철
김창현
박범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675A/ko
Priority to US11/931,094 priority patent/US20090009437A1/en
Priority to PCT/KR2007/007051 priority patent/WO2009005196A1/en
Priority to CN2007800536445A priority patent/CN101689459B/zh
Priority to EP07860826A priority patent/EP2174334A4/en
Publication of KR20090003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09G3/294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with special waveforms to increase luminous effici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형광체 층과 상부 유전체 층에 안료를 혼합함으로써, 패널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과, 전면 기판에 배치되면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과,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유전체 층과, 전면 기판에 대항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과,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 및 방전 셀에 형성되는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형광체 층은 적색(Red) 광을 발산하는 제 1 형광체 층, 청색(Blue) 광을 발산하는 제 2 형광체 층 및 녹색(Green) 광을 발산하는 제 3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제 1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1 형광체 재질과 적색 안료(Pigment)를 포함하고, 적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이고, 상부 유전체 층은 유리 재질과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제 1 청색 안료는 코발트(Co) 재질을 포함하고, 코발트 재질의 함유량은 0.1중량부이상 0.6중량부이하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형광체 층의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제 1 형광체 층과 제 2 형광체 층의 반사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상부 유전체 층의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좌표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b는 적색 안료의 함량과 반사율 및 휘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b는 제 2 청색 안료의 함량과 반사율 및 휘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b는 형광체 층의 성분의 또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b는 녹색 안료의 함량과 반사율 및 휘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코발트의 함량과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b는 제 1 청색 안료의 함량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 내지 도 13b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상부 유전체 층의 다른 구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도면.
도 15는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와 볼록부에서의 두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상부 유전체 층의 또 다른 구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전면 기판 102 : 스캔 전극
103 : 서스테인 전극 104 : 상부 유전체 층
105 : 보호 층 111 : 후면 기판
112 : 격벽 113 : 어드레스 전극
114 : 형광체 층 115 : 하부 유전체 층
112a : 제 2 격벽 112b : 제 1 격벽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격벽으로 구획된 방전 셀(Cell) 내에 형광체 층이 형성되고, 아울러 복수의 전극(Electrode)이 형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면, 방전 셀 내에서는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발생한다. 여기서, 방전 셀 내에서 구동 신호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방전 셀 내에 충진 되어 있는 방전 가스가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이러한 진공 자외선이 방전 셀 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가시 광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가시 광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면은 형광체 층 및 상부 유전체 층에 의한 광 반사를 저감시켜 콘트라스트(Contrast) 특성이 향상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과, 전면 기판에 배치되면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과,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유전체 층과, 전면 기판에 대항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 판과,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 및 방전 셀에 형성되는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형광체 층은 적색(Red) 광을 발산하는 제 1 형광체 층, 청색(Blue) 광을 발산하는 제 2 형광체 층 및 녹색(Green) 광을 발산하는 제 3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제 1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1 형광체 재질과 적색 안료(Pigment)를 포함하고, 적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이고, 상부 유전체 층은 유리 재질과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제 1 청색 안료는 코발트(Co) 재질을 포함하고, 코발트 재질의 함유량은 0.1중량부이상 0.6중량부이하이다.
또한, 적색 안료는 철(F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색 안료의 함유량은 0.1중량부이상 3중량부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 2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2 형광체 재질과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제 2 청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 2 청색 안료는 코발트(Co) 재질, 구리(Cu) 재질, 크롬(Cr) 재질 또는 니켈(Ni)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청색 안료의 함유량은 0.5중량부이상 4중량부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 3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3 형광체 재질과 녹색 안료를 포함하고, 녹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3중량부이하일 수 있다.
또한, 녹색 안료는 아연(Z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녹색 안료의 함유량은 적색 안료의 함유량 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코발트(Co) 재질의 함유량은 0.15중량부 이상 0.3중량부 이하일 수 있 다.
또한, 제 1 청색 안료는 니켈(Ni), 크롬(Cr), 구리(Cu), 세륨(Ce), 망간(Mn)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니켈(Ni)의 함량은 0.1중량부 이상 0.2중량부 이하이고, 크롬(Cr)의 함량은 0.1중량부 이상 0.3중량부 이하이고, 구리(Cu)의 함량은 0.03중량부 이상 0.09중량부 이하이고, 세륨(Ce)의 함량은 0.1중량부 이상 0.3중량부 이하이고, 망간(Mn)의 함량은 0.2중량부 이상 0.6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과, 전면 기판에 배치되면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과,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유전체 층과, 전면 기판에 대항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과,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 및 방전 셀에 형성되는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형광체 층은 적색(Red) 광을 발산하는 제 1 형광체 층, 청색(Blue) 광을 발산하는 제 2 형광체 층 및 녹색(Green) 광을 발산하는 제 3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제 1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1 형광체 재질과 적색 안료(Pigment)를 포함하고, 상부 유전체 층은 유리 재질과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제 1 청색 안료는 코발트(Co)재질을 포함하고,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른다.
수학식 1 : 40 ≤ T/C ≤ 420
여기서, T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이고, C는 코발트 재질의 함량[중량부]이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를 수 있다.
수학식 2 : 110 ≤ T/C ≤ 260
또한, 제 2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2 형광체 재질과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제 2 청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적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a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102, Y)과 서스테인 전극(103, Z)이 배치되는 전면 기판(101)과, 전면 기판(101)에 대항되게 배치되며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과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113)이 배치되는 후면 기판(111)이 실 층(Seal Layer, 미도시)에 의해 합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이 배치된 전면 기판(101)의 상부에는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을 매립하는 상부 유전체 층(104)이 배치된다.
상부 유전체 층(104)은 스캔 전극(102) 및 서스테인 전극(103)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간을 절연시킬 수 있다.
상부 유전체 층(104) 상부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105)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층(105)은 이차전자 방출 계수가 높은 재질, 예컨대 산화마그네슘(MgO)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면 기판(111)에는 전극, 예컨대 어드레스 전극(113)이 배치되고, 어드레스 전극(113)이 배치된 후면 기판(111)에는 어드레스 전극(113)을 덮으며 어드레스 전극(113)을 절연시킬 수 있는 유전체 층, 예컨대 하부 유전체 층(115)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유전체 층(115)의 상부에는 방전 공간 즉, 방전 셀을 구획하는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웰 타입(Well Type), 델타 타입(Delta Type), 벌집 타입 등의 격벽(11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112)에 의해 전면 기판(101)과 후면 기판(1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방전 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 이외에 백색(White : W) 또는 황색(Yellow : Y) 방전 셀이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격벽(1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크세논(Xe), 네온(Ne) 등의 방전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아울러, 격벽(1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114)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Red : R) 광을 발산하는 제 1 형광체 층, 청색(Blue, B) 광을 발산하는 제 2 형광체 층, 녹색(Green : G) 광을 발산하는 제 3 형광체 층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광 이외에 백색(White : W) 광 또는 황색(Yellow : Y) 광을 발산하는 다른 형광체 층이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114)의 두께가 다른 방전 셀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녹색(G) 방전 셀의 형광체 층, 즉 제 3 형광체 층 또는 청색(B)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 즉 제 2 형광체 층의 두께가 적색(R)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 즉 제 1 형광체 층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제 3 형광체 층의 두께는 제 2 형광체 층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중 적어도 하나의 폭이 다른 방전 셀의 폭과 다른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적색(R) 방전 셀의 폭이 가장 작고,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폭을 적색(R) 방전 셀의 폭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녹색(G) 방전 셀의 폭은 청색(B) 방전 셀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그러면 방전 셀 내에 배치되는 형광체 층(114)의 폭도 방전 셀의 폭에 관련하여 변경된다. 예를 들면, 청색(B) 방전 셀에 배치되는 제 2 형광체 층의 폭이 적색(R) 방전 셀 내에 배치되는 제 1 형광체 층의 폭보다 넓고, 아울러 녹색(G) 방전 셀에 배치되는 제 3 형광체 층의 폭이 적색(R) 방전 셀 내에 배치되는 제 1 형광체 층의 폭보다 넓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구현되는 영상의 색온도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1a에 도시된 격벽(112)의 구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격벽의 구조도 가능하다. 예컨대, 격벽(112)은 제 1 격벽(112b)과 제 2 격벽(112a)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격벽(112b)의 높이와 제 2 격벽(112a)의 높이가 서로 다른 차등형 격벽 구조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차등형 격벽 구조인 경우에는 제 1 격벽(112b) 또는 제 2 격벽(112a) 중 제 1 격벽(112b)의 높이가 제 2 격벽(112a)의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또한, 도 1a에서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각각이 동일한 선상에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다른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이 삼각형 형상으로 배열되는 델타(Delta) 타입의 배열도 가능하다. 또한, 방전 셀의 형상도 사각형상뿐만 아니라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 도 1a에서는 후면 기판(111)에 격벽(112)이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격벽(112)은 전면 기판(101) 또는 후면 기판(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례만을 도시하고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예를 들면, 이상의 설명에서는 번호 115의 하부 유전체 층 및 번호 104번의 상부 유전체 층이 하나의 층(Layer)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하부 유전체 층 또는 상부 유전체 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지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후면 기판(111)에 배치되는 어드레스 전극(113)은 폭이나 두께가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도 있지만,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폭이나 두께와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방전 셀 내부에서의 폭이나 두께가 방전 셀 외부에서의 그것보다 더 넓거나 두꺼울 수 있다.
다음, 도 1b를 살펴보면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의 또 다른 구조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은 각각 복수 층(Multi layer) 구조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은 투명 전극(102a, 103a)과 버스 전극(102b, 103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전극(102b, 103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질, 예컨대 은(Ag), 금(Au), 알루미늄(Al)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투명 전극(102a, 103a)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질, 예컨대 인듐주석산화물(ITO)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이 버스 전극(102b, 103b)과 투명 전극(102a, 103a)을 포함하는 경우에, 버스 전극(102b, 103b)에 의한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투명 전극(102a, 103a)과 버스 전극(102b, 103b)의 사이에 블랙 층(120, 1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에서 투명 전극(102a, 103a)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은 투명 전 극(102a, 103a)이 생략된 ITO-Less 전극인 것도 가능한 것이다.
다음, 도 1c를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영역(140)과 제 2 영역(150)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 1 영역(140)에는 복수의 제 1 어드레스 전극(Xa)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150)에는 복수의 제 2 어드레스 전극(Xb)이 나란히 배치되고, 아울러 이러한 복수의 제 2 어드레스 전극(Xb)은 각각 제 1 어드레스 전극(Xa)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140)에 Xa1 제 1 어드레스 전극부터 Xam 제 1 어드레스 전극이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에, 제 2 영역(150)에는 Xa1 제 1 어드레스 전극부터 Xam 제 1 어드레스 전극에 각각 대응하는 Xb1 제 2 어드레스 전극부터 Xbm 제 2 어드레스 전극이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Xa1 제 1 어드레스 전극과 Xb1 제 2 어드레스 전극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아울러 Xam 제 1 어드레스 전극과 Xbm 제 2 어드레스 전극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다음, 도 1d에는 제 1 어드레스 전극(Xa)과 제 2 어드레스 전극(Xb)이 서로 마주보는 A의 영역이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d를 살펴보면, Xa(m-2) 제 1 어드레스 전극과 Xb(m-2) 제 2 어드레스 전극, Xa(m-1) 제 1 어드레스 전극과 Xb(m-1) 제 2 어드레스 전극, Xam 제 1 어드레스 전극과 Xb(m-2) 제 2 어드레스 전극이 각각 d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어드레스 전극(Xa)과 제 2 어드레스 전극(Xb)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작은 경우에는 제 1 어드레스 전극(Xa)과 제 2 어드레스 전극(Xb) 사이의 커플링(Coupling)에 의해 전류가 흐를 가능성이 있고, 반면에 제 1 어드레스 전극(Xa)과 제 2 어드레스 전극(Xb)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큰 경우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줄무늬 형태의 노이즈가 시청자의 눈에 감지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서로 마주보는 제 1 어드레스 전극(Xa)과 제 2 어드레스 전극(Xb) 간의 간격 d는 대략 50㎛(마이크로미터)이상 300㎛(마이크로미터)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70㎛(마이크로미터)이상 220㎛(마이크로미터)이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동작시키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동작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초기화를 위한 리셋 기간에서는 스캔 전극으로 리셋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리셋 신호는 상승 램프(Ramp-Up) 신호와 하강 램프(Ramp-Down)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업(Set-Up) 기간에서는 스캔 전극으로 제 1 전압(V1)부터 제 2 전압(V2)까지 급격히 상승한 이후 제 2 전압(V2)부터 제 3 전압(V3)까지 전압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상승 램프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압(V1)은 그 라운드 레벨(GND)의 전압일 수 있다.
이러한 셋업 기간에서는 상승 램프 신호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약한 암방전(Dark Discharge), 즉 셋업 방전이 일어난다. 이 셋업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느 정도의 벽 전하(Wall Charge)가 쌓일 수 있다.
셋업 기간 이후의 셋다운(Set-Down) 기간에서는 상승 램프 신호 이후에 이러한 상승 램프 신호와 반대 극성 방향의 하강 램프 신호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하강 램프 신호는 상승 램프 신호의 피크(Peak) 전압, 즉 제 3 전압(V3)보다 낮은 제 4 전압(V4)부터 제 5 전압(V5)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하강 램프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방전 셀 내에서 미약한 소거 방전(Erase Discharge), 즉 셋다운 방전이 발생한다. 이 셋다운 방전에 의해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안정되게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벽전하가 균일하게 잔류된다.
리셋 기간 이후의 어드레스 기간에서는 하강 램프 신호의 최저 전압, 즉 제 5 전압(V5)보다는 높은 전압, 예컨대 제 6 전압(V6)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스캔 바이어스 신호가 스캔 전극에 공급된다.
아울러, 스캔 바이어스 신호로부터 하강하는 스캔 신호가 스캔 전극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의 어드레스 기간에서 스캔 전극으로 공급되는 스캔 신호(Scan)의 펄스폭은 다른 서브필드의 스캔 신호의 펄스폭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시간상 뒤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의 폭이 앞에 위치하는 서브필드에서의 스캔 신호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서브필드의 배열 순서에 따른 스캔 신호 폭의 감소는 2.6㎲(마이크로초), 2.3㎲, 2.1㎲, 1.9㎲ 등과 같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2.6㎲, 2.3㎲, 2.3㎲, 2.1㎲......1.9㎲, 1.9㎲ 등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캔 신호가 스캔 전극으로 공급될 때, 스캔 신호에 대응되게 어드레스 전극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스캔 신호와 데이터 신호 간의 전압 차와 리셋 기간에 생성된 벽 전하들에 의한 벽 전압이 더해지면서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는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어드레스 기간에서 서스테인 전극의 간섭에 의해 어드레스 방전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스테인 전극에 서스테인 바이어스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서스테인 바이어스 신호는 서스테인 기간에서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전압보다는 작고 그라운드 레벨(GND)의 전압보다는 큰 서스테인 바이어스 전압(Vz)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영상 표시를 위한 서스테인 기간에서는 스캔 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에 교번적으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면,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방전 셀은 방전 셀 내의 벽 전압과 서스테인 신호의 서스테인 전압(Vs)이 더해지면서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될 때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에 서스테인 방전 즉, 표시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서브필드에서는 서스테인 기간에서 복수의 서스테인 신호가 공급되고, 복수의 서스테인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서스테인 신호의 펄스폭은 다른 서스테인 신호의 펄스폭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서스테인 신호 중 가장 먼저 공급되는 서스테인 신호의 펄스폭이 다른 서스테인 신호의 펄스폭보다 클 수 있다. 그러면, 서스테인 방전이 더욱 안정될 수 있다.
도 3은 형광체 층의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적색(Red) 광을 발산하는 제 1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제 1 형광체 재질과 적색 안료(Pigment)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형광체 재질은 적색 광을 발산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적색 광의 발광 효율을 고려할 때 (Y, Gd)BO:Eu일 수 있다.
적색 안료는 적색 계열의 색을 갖고, 제 1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계열의 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적색 안료는 그 색이 적색 계열인 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제조의 용이성, 색감, 제조 단가를 고려할 때, 철(Fe)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철(Fe) 재질은 제 1 형광체 층에서 산화철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철(Fe) 재질은 제 1 형광체 층에서 αFe2O3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안료를 포함하게 되면, 적색 안료가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함으로써, 패널 반사율을 낮출 수 있고, 이에 구현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콘트라스트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청색(Blue) 광을 발산하는 제 2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제 2 형광체 재질과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청색 안료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 2 형광체 재질은 청색 광을 발산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청색 광의 발광 효율을 고려할 때 (Ba, Sr, Eu)MgAl10O17일 수 있다.
제 2 청색 안료는 청색 계열의 색을 갖고, 제 2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제 2 형광체 층이 청색 계열의 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청색 안료는 그 색이 청색 계열인 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제조의 용이성, 색감, 제조 단가를 고려할 때, 코발트(Co) 재질, 구리(Cu) 재질, 크롬(Cr) 재질 또는 니켈(Ni)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발트(Co) 재질, 구리(Cu) 재질, 크롬(Cr) 재질 또는 니켈(Ni) 재질 중 적어도 하나는 제 2 형광체 층에서 금속산화물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발트(Co) 재질의 경우에는 제 2 형광체 층에서 CoAl2O4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녹색(Green) 광을 발산하는 제 3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제 3 형광체 재질을 포함하고, 안료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 3 형광체 재질은 녹색 광을 발산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녹색 광의 발광 효율을 고려할 때 Zn2Si04:Mn+2와 YBO3:Tb+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제 1 형광체 층과 제 2 형광체 층의 반사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는 모든 방전 셀에 적색 광을 발산하는 제 1 형광체 층이 배치된 7인치(Inch) 테스트 모델을 제작하고, 전면 기판이 제거된 상태에서 격벽과 제 1 형광체 층에 직접 광을 조사하여 반사율을 측정한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형광체 재질은 (Y, Gd)BO:Eu이고, 적색 안료는 철(Fe) 재질이고, 이러한 철(Fe) 재질은 αFe2O3의 상태로 제 1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있다.
①은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고, ②는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안료를 0.1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고, ③은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안료를 0.5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다.
도 4a를 살펴보면, ①과 같이 제 1 형광체 층에 적색 안료가 혼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400nm부터 750nm까지의 모든 파장 대역에서 반사율이 75%이상이다. 이와 같이, 적색 안료가 생략되는 경우에 반사율이 높은 이유는 백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제 1 형광체 재질이 입사되는 광을 대부분 반사하기 때문이다.
②와 같이 제 1 형광체 층에 0.1중량부의 적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550nm까지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60%이하이고, 파장이 550nm이 상인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60%이상 75%이하이다.
③과 같이 제 1 형광체 층에 0.5중량부의 적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550nm까지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50%이하이고, 파장이 550nm이상인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50%이상 70%이하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 1 형광체 층에 적색 안료를 혼합하는 경우에 반사율이 감소하는 이유는, 적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적색 안료가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도 4b에는 모든 방전 셀에 청색 광을 발산하는 제 2 형광체 층이 배치된 7인치 테스트 모델을 제작하고, 전면 기판이 제거된 상태에서 격벽과 제 2 형광체 층에 직접 광을 조사하여 반사율을 측정한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형광체 재질은 (Ba, Sr, Eu)MgAl10O17이고, 제 2 청색 안료는 코발트(Co) 재질이고, 이러한 코발트(Co) 재질은 CoAl2O4 상태로 제 2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있다.
①은 제 2 형광체 층이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고, ②는 제 2 형광체 층이 제 2 청색 안료를 0.1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고, ③은 제 2 형광체 층이 제 2 청색 안료를 1.0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다.
도 4b를 살펴보면, ①과 같이 제 2 형광체 층에 제 2 청색 안료가 혼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400nm부터 750nm까지의 모든 파장 대역에서 반사율이 대략 72%이상이다. 이와 같이, 제 2 청색 안료가 생략되는 경우에 반사율이 높은 이유는 백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제 2 형광체 재질이 입사되는 광을 대부분 반사하기 때문이다.
②와 같이 제 2 형광체 층에 0.1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510nm까지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74%이상이지만 하이고, 파장이 510nm이상 650nm이하인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60%까지 감소하였다가 대략 72%까지 상승한다.
③과 같이 제 2 형광체 층에 1.0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510nm부터 650nm까지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최저 50%이하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 2 형광체 층에 제 2 청색 안료를 혼합하는 경우에 반사율이 감소하는 이유는, 청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제 2 청색 안료가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반사율이 감소하게 되면 구현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 특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영상의 화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형광체 층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제 1 형광체 층의 제조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Y, Gd)BO:Eu의 제 1 형광체 재질의 분말과, αFe2O3의 적색 안료의 분말을 바인더, 용매와 혼합하여 형광체 페이스트(Paste)를 형성한다. 여기서, 적색 안료를 젤라틴에 혼합한 상태로 바인더 및 용매와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형광체 페이스트의 점도는 대략 1500CP 이상 30000CP 이하일 수 있다. 형광체 페이스트에는 필요에 따라 계면 활성제, 실리카, 분산안정제 등이 첨가제로서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바인더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에틸셀룰로오스 또는 아크릴 수지 계열이거나, PMA 또는 PVA 등의 고분자 계열의 바인더일 수 있다.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α-테르피네올, 부틸카르비톨,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테르 등이 사용가능하다.
형광체 페이스트를 격벽으로 구획된 방전 셀 내에 도포하고, 건조 또는 소성 공정을 거치면 제 1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부 유전체 층의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상부 유전체 층은 유리 재질과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 1 청색 안료에 의해 청색 계열의 색을 갖는다.
유리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PbO-B203-SiO2계 유리, P2O6-B2O3-ZnO계 유리, ZnO-B2O3-RO(RO는 BaO, SrO, La2O3, Bi2O3, P2O3, SnO 중 어느 하나)계 유리, ZnO-BaO-RO(RO는 SrO, La2O3, Bi2O3, P2O3, SnO 중 어느 하나)계 유리, ZnO-Bi2O3-RO(RO는 SrO, La2O3, P2O3, SnO 중 어느 하나)계 유리 재질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제 1 청색 안료는 상부 유전체 층에 포함되어, 상부 유전체 층이 청색 계열의 색을 갖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분말 제조의 용이성, 색감, 제조 단가, 상부 유전체 층의 반사율 등을 고려할 때, 코발트(Co)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부 유전체 층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리 재료와 안료를 혼합한다. 예를 들면, P2O6-B2O3-ZnO계 유리 재질과 제 1 청색 안료로서 코발트(Co) 재질을 혼합할 수 있다.
이후, 제 1 청색 안료가 혼합된 유리 재질을 이용하여 유리를 제조한다. 여기서, 코발트(Co)에 의해 청색 계열의 색을 갖는 청색 유리가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제조한 청색 유리를 파쇄하여 청색 유리 분말을 제조한다. 여기서, 유리 분말의 입도는 대략 0.1㎛(마이크로미터)이상 10㎛(마이크로미터)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후, 청색 유리 분말을 바인더(Binder), 용매 등과 혼합하여 유전체 페이스트(Paste)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유전체 페이스트에는 분산 안정제 등의 첨가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이후, 유전체 페이스트를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 전극(Z)이 형성된 전면 기판에 도포하고, 도포한 유전체 페이스트를 건조 또는 소성하여 상부 유전체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상부 유전체 층은 청색 계열의 색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부 유전체 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만을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부 유전체 층은 라미네이팅(Laminating) 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좌표 특성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는 상부 유전체 층이 유리 재료와 제 1 청색 안료로서 코발트(Co) 재질을 0.2중량부 포함하며 제 1 형광체 층은 적색 안료로서 철(Fe) 재질을 0.2중량부 포함하는 제 1 타입 패널(Type 1)과, 상부 유전체 층이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고, 제 1 형광체 층은 적색 안료로서 철(Fe) 재질을 0.2중량부 포함하는 제 2 타입 패널(Type 2)을 제작하고, 각각의 패널을 동일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MCPD-1000장비를 이용하여 색좌표를 측정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상부 유전체 층이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으며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제 2 타입인 경우에 녹색(G)의 색좌표(P1)는 X축으로 대략 0.276이고, Y축으로 대략 0.656이다. 또한, 적색(R)의 색좌표(P2)는 X축으로 대략 0.642이고, Y축으로 대략 0.367이다. 또한, 청색(B)의 색좌표(P3)는 X축으로 대략 0.157이고, Y축으로 대략 0.100이다.
반면에, 제 1 타입 패널의 경우에는 녹색(G)의 색좌표(P10)가 X축으로 대략 0.274이고, Y축으로 대략 0.655이다. 또한, 적색(R)의 색좌표(P20)는 X축으로 대략 0.637이고, Y축으로 대략 0.360이다. 또한, 청색(B)의 색좌표(P30)는 X축으로 대략 0.135이고, Y축으로 대략 0.050이다.
여기서, 제 2 타입 패널의 P1, P2 및 P3을 연결하는 삼각형을 살펴보면 색좌표 상에서 적색(R) 방향으로 치우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제 1 형광체 층이 제 1 형광체 재질과 함께 적색 안료를 포함함으로써, 구현되는 영상이 붉은 빛을 갖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구현되는 영상의 색온도가 감소할 수 있어서 시청자는 구현 되는 영상이 선명하지 못하다고 느낄 수 있다.
반면에, 제 1 타입 패널의 P10, P20 및 P30을 연결하는 삼각형은 제 2 타입 패널의 P1, P2 및 P3을 연결하는 삼각형에 비해 색좌표 상에서 청색(B) 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부 유전체 층이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함으로써, 상부 유전체 층을 투과하는 광에서 청색(B) 광이 더 강조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 1 타입 패널의 색온도가 제 2 타입 패널의 색온도보다 더 높고, 따라서 시청자는 제 1 타입 패널의 영상이 제 2 타입 패널의 영상에 비해 더 선명하다고 느낄 수 있다.
즉,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적색 안료로 인해 구현되는 영상의 색온도가 낮아질 수 있는데, 상부 유전체 층이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하게 되면, 적색 안료에 의한 색온도의 저하를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 형광체 층이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색온도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에 코발트(Co)가 제 1 청색 안료로서 포함되어, 상부 유전체 층이 청색 계열의 색을 갖게 되면, 상부 유전체 층이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흡수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패널 반사율을 감소시켜 콘트라스트(Contrast)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적색 안료의 함량과 반사율 및 휘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에서는 적색(R) 방전 셀에는 제 1 형광체 층을 배치하고, 청색(B) 방전 셀에는 제 2 형광체 층을 배치하고, 녹색(G) 방전 셀에는 제 3 형광체 층을 배치하고, 제 2 형광체 층에 1.0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를 혼합한 상태에서 제 1 형광체 층에 혼합되는 적색 안료의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반사율과 휘도를 측정한다. 여기서는,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이 합착된 패널 상태에서 패널 반사율과 휘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제 1 형광체 재질은 (Y, Gd)BO:Eu이고, 적색 안료는 철(Fe) 재질이고, 이러한 철(Fe) 재질은 αFe2O3의 상태로 제 1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있다.
또한, 제 2 형광체 재질은 (Ba, Sr, Eu)MgAl10O17이고, 제 2 청색 안료는 코발트(Co) 재질이고, 이러한 코발트(Co) 재질은 CoAl2O4 상태로 제 2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있다.
도 7a를 살펴보면, ①은 제 2 형광체 층이 1.0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고, ②는 제 2 형광체 층이 1.0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안료를 0.1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고, ③은 제 2 형광체 층이 1.0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안료를 0.5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다.
①과 같이 제 1 형광체 층에 적색 안료가 혼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550nm사이에서는 패널 반사율이 대략 33%에서 38%까지 상승한다. 또한, 파장이 550nm이상에서는 패널 반사율이 대략 33%까지 하강한다.
또한,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37%이상 38%이하의 높은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적색 안료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백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제 1 형광체 재질이 입사되는 광을 대부분 반사하기 때문에 제 2 형광체 층에 제 2 청색 안료가 혼합되어 있더라도 패널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반면에, ②와 같이 제 1 형광체 층에 0.1중량부의 적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750nm까지의 모든 대역에서 반사율이 대략 34%이하이고,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인 대역에서도 반사율이 대략 33%이상 34%이하의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다.
또한, ③과 같이 제 1 형광체 층에 0.5중량부의 적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650nm까지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24%에서 31.5%사이의 값을 갖고, 파장이 650nm이상 750nm이하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30%이하까지 감소한다.
또한,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인 대역에서도 반사율이 대략 27.5%이상 29.5%이하의 작은 값을 갖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적색 안료의 함량이 증가하면 패널 반사율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의 대역에서는 ①과 같이 적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의 반사율과 ② 또는 ③과 같이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의 반사율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것을 알 수 있다.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의 대역은 가시광선에서 주로 적색, 주황, 노랑의 색으로 보이고, 이에 따라 500nm이상 600nm이하 대역의 반사율이 높다는 것은 구현되는 영상의 색감이 붉은 색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색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시청자는 쉽게 눈의 피로를 느낄 수 있으며, 영상이 선명하지 못하다고 느낄 수 있다.
반면에,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 바람직하게는 550nm 파장 대역의 반사율이 낮다는 것은 적색, 주황, 노랑의 광의 흡수율이 높고, 이에 따라 구현되는 영상의 색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시청자는 구현되는 영상을 보다 선명하게 느낄 수 있다.
따라서,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의 대역에서 ①과 같이 적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의 반사율과 ② 또는 ③과 같이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의 반사율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은, 제 1 형광체 층에 적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적색 안료를 혼합하더라도 색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 내용을 고려할 때, 500nm이상 600nm이하의 파장 대역의 기준이 될 수 있는 550nm의 파장 대역에서 패널 반사율을 30%이하로 하여 색온도 특성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 도 7b에서는 제 2 형광체 층에 포함된 제 2 청색 안료의 함량을 고정시키고, 제 1 형광체 층에 포함되는 적색 안료의 함량을 변경시키면서 동일 영상에 대한 휘도를 측정한다.
도 7b를 살펴보면 제 1 형광체 층에 적색 안료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휘도가 대략 176[cd/m2]이다.
제 1 형광체 층에 포함되는 적색 안료의 함량이 0.01중량부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75[cd/m2]이다. 이와 같이, 적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 영상의 휘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적색 안료의 입자가 제 1 형광체 재질의 입자 표면의 일부를 가리고, 이에 따라 적색 안료의 입자가 방전 셀 내에서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제 1 형광체 재질의 입자에 조사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적색 안료의 함량이 0.1중량부에서 3중량부사이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68[cd/m2]에서 174[cd/m2]사이의 안정된 값을 갖는다.
또한, 적색 안료의 함량이 3중량부에서 5중량부사이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60[cd/m2]에서 168[cd/m2]사이의 값을 갖는다.
반면에, 적색 안료의 함량이 6중량부를 이상인 경우에는 제 1 형광체 층에 포함되는 적색 안료의 함량이 과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형광체 재질의 입자 표면에서 적색 안료의 입자에 의해 가려지는 면적이 과도하게 증가함으로써,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49[cd/m2]이하로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상의 도 7a 내지 도 7b의 내용을 고려할 때, 반사율을 감소시키면서도 휘도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 형광체 층에서 적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이상 3중량부이하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제 2 청색 안료의 함량과 반사율 및 휘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8a 내지 도 8b에서는 앞선 도 7a 내지 도 7b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a 내지 도 8b에서는 적색(R) 방전 셀에는 제 1 형광체 층을 배치하고, 청색(B) 방전 셀에는 제 2 형광체 층을 배치하고, 녹색(G) 방전 셀에는 제 3 형광체 층을 배치하고, 제 1 형광체 층에 0.2중량부의 적색 안료를 혼합한 상태에서 제 2 형광체 층에 혼합되는 제 2 청색 안료의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반사율과 휘도를 측정한다. 여기서는,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이 합착된 패널 상태에서 패널 반사율과 휘도를 측정한다.
나머지 조건은 앞선 도 7a 내지 도 7b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8a를 살펴보면, ①은 제 1 형광체 층이 0.2 중량부의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 2 형광체 층이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고, ②는 제 1 형광체 층이 0.2 중량부의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 2 형광체 층이 제 2 청색 안료를 0.1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고, ③은 제 1 형광체 층이 0.2 중량부의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 2 형광체 층이 제 2 청색 안료를 0.5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고, ④는 제 1 형광체 층이 0.2 중량부의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 2 형광체 층이 제 2 청색 안료를 3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고, ⑤는 제 1 형광체 층이 0.2 중량부의 적색 안료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제 2 형광체 층이 제 2 청색 안료를 7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다.
①과 같이 제 2 형광체 층에 제 2 청색 안료가 혼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550nm사이에서는 패널 반사율이 대략 35%에서 40.5%까지 상승한다. 또한, 파장이 550nm이상에서는 패널 반사율이 대략 35.5%까지 하강한다.
또한,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39%이상 40.5%이하의 높은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제 2 청색 안료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백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제 2 형광체 재질이 입사되는 광을 대부분 반사하기 때문에 제 1 형광체 층에 적색 안료가 혼합되어 있더라도 패널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반면에, ②와 같이 제 2 형광체 층에 0.1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750nm까지의 모든 대역에서 반사율이 대략 38%이하이고,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인 대역에서도 반사율이 대략 34%이상 37%이하의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다.
또한, ③과 같이 제 2 형광체 층에 0.5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650nm까지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26%에서 29%사이의 값을 갖고, 파장이 650nm이상 750nm이하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28%부터 32.5%사이의 값을 갖는다.
또한,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인 대역에서도 반사율이 대략 28%이상 29%이하의 작은 값을 갖는다.
또한, ④와 같이 제 2 형광체 층에 3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650nm까지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22.5%에서 29%사이 의 값을 갖고, 파장이 650nm이상 750nm이하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29%부터 31%사이의 값을 갖는다.
또한, 파장이 500nm이상 600nm이하인 대역에서도 반사율이 대략 26.5%이상 28%이하의 작은 값을 갖는다.
또한, ⑤와 같이 제 2 형광체 층에 7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700nm까지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25%에서 28%사이의 값을 갖고, 파장이 700nm이상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28%부터 30%사이의 값을 갖는다.
다음, 도 8b에서는 제 1 형광체 층에 포함된 적색 안료의 함량을 고정시키고, 제 2 형광체 층에 포함되는 제 2 청색 안료의 함량을 변경시키면서 동일 영상에 대한 휘도를 측정한다.
도 8b를 살펴보면 제 2 형광체 층에 청색 안료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휘도가 대략 176[cd/m2]이다.
제 2 형광체 층에 포함되는 청색 안료의 함량이 0.01중량부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75[cd/m2]이다.
청색 안료의 함량이 0.1중량부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72[cd/m2]이다.
청색 안료의 함량이 0.5중량부에서 4중량부사이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64[cd/m2]에서 170[cd/m2]사이의 안정된 값을 갖는다.
또한, 청색 안료의 함량이 4중량부에서 5중량부사이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60[cd/m2]에서 164[cd/m2]사이의 값을 갖는다.
반면에, 청색 안료의 함량이 6중량부를 초과하면 제 2 형광체 층에 포함되는 청색 안료의 함량이 과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 형광체 재질의 입자 표면에서 청색 안료의 입자에 의해 가려지는 면적이 과도하게 증가함으로써,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48[cd/m2]이하로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상의 도 8a 내지 도 8b의 내용을 고려할 때, 반사율을 감소시키면서도 휘도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2 형광체 층에서 제 2 청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이상 4중량부이하일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형광체 층의 성분의 또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9a 내지 도 9b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a를 살펴보면, 녹색(Green) 광을 발산하는 제 3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제 3 형광체 재질과 녹색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 도 9a는 제 3 형광체 층이 녹색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의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녹색 안료는 녹색 계열의 색을 갖고, 제 3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제 3 형 광체 층이 녹색 계열의 색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녹색 안료는 그 색이 녹색 계열인 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제조의 용이성, 색감, 제조 단가를 고려할 때, 아연(Zn)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연(Zn) 재질은 제 3 형광체 층에서 산화아연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연(Zn) 재질은 제 3 형광체 층에서 ZnCO2O4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다음, 도 9b를 살펴보면 제 3 형광체 층의 반사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에는 앞선 도 4a 내지 도 4b의 경우와 유사하게 모든 방전 셀에 녹색 광을 발산하는 제 3 형광체 층이 배치된 7인치 테스트 모델을 제작하고, 전면 기판이 제거된 상태에서 격벽과 제 3 형광체 층에 직접 광을 조사하여 반사율을 측정한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 3 형광체 재질은 Zn2Si04:Mn+2와 YBO3:Tb+3을 5:5의 비율로 포함하고, 녹색 안료는 아연(Zn) 재질이고, 이러한 아연(Zn) 재질은 ZnCO2O4의 상태로 제 3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있다.
①은 제 3 형광체 층이 녹색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고, ②는 제 3 형광체 층이 녹색 안료를 0.1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고, ③은 제 3 형광체 층이 녹색 안료를 0.5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고, ④는 제 3 형광체 층이 녹색 안료를 1.0중량부 포함하는 경우이다.
①과 같이 제 3 형광체 층에 녹색 안료가 혼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400nm부터 750nm까지의 모든 파장 대역에서 반사율이 75%이상이다. 또한, 파장이 400nm이상 500nm이하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80%이상이다.
이와 같이, 녹색 안료가 생략되는 경우에 반사율이 높은 이유는 백색 계열의 색을 갖는 제 3 형광체 재질이 입사되는 광을 대부분 반사하기 때문이다.
②와 같이 제 3 형광체 층에 0.1중량부의 녹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550nm까지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75%이하이고, 파장이 550nm이상 700nm이하인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66%이상 70%이하이다.
③과 같이 제 3 형광체 층에 0.5중량부의 녹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550nm까지의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73%이하이고, 파장이 550nm이상인 대역에서는 반사율이 대략 63%이상 65%이하이다.
④와 같이 제 3 형광체 층에 1.0중량부의 녹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는 파장이 400nm부터 750nm까지의 모든 대역에서 반사율이 ③의 경우와 유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 3 형광체 층에 녹색 안료를 혼합하는 경우에 반사율이 감소하는 이유는, 녹색 계열의 색을 갖는 녹색 안료가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③의 경우와 ④의 경우에서 반사율이 유사한 것은 녹색 안료의 함량이 증가하더라도 반사율의 개선 효과는 미미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녹색 안료의 함량과 반사율 및 휘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b에서는 적색(R) 방전 셀에는 제 1 형광체 층을 배치하고, 청색(B) 방전 셀에는 제 2 형광체 층을 배치하고, 녹색(G) 방전 셀에는 제 3 형광체 층을 배치하고, 제 2 형광체 층에 1.0중량부의 제 2 청색 안료를 혼합하고, 제 1 형광체 층에 0.2 중량부의 적색 안료를 포합한 상태에서 제 3 형광체 층에 혼합되는 녹색 안료의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반사율과 휘도를 측정한다. 여기서는,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이 합착된 패널 상태에서 패널 반사율과 휘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제 1 형광체 재질은 (Y, Gd)BO:Eu이고, 적색 안료는 철(Fe) 재질이고, 이러한 철(Fe) 재질은 αFe2O3의 상태로 제 1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있다.
또한, 제 2 형광체 재질은 (Ba, Sr, Eu)MgAl10O17이고, 제 2 청색 안료는 코발트(Co) 재질이고, 이러한 코발트(Co) 재질은 CoAl2O4 상태로 제 2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있다.
또한, 제 3 형광체 재질은 Zn2Si04:Mn+2와 YBO3:Tb+3을 5:5의 비율로 포함하고, 녹색 안료는 아연(Zn) 재질이고, 이러한 아연(Zn) 재질은 ZnCO2O4의 상태로 제 3 형광체 재질과 혼합되어 있다.
도 10a에는 550nm의 파장 대역에서 반사율을 측정한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를 살펴보면, 녹색 안료의 함량이 0중량부인 경우에는 패널 반사율이 28%로서,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녹색 안료의 함량이 0.01중량부인 경우에는 패널 반사율이 대략 26.5% 이고, 0.05중량부인 경우에는 패널 반사율이 대략 26.2%이다.
또한, 녹색 안료의 함량이 0.1중량부인 경우에는 패널 반사율이 26%이고, 0.2중량부인 경우에는 25.9%이다.
또한, 녹색 안료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2.5중량부인 경우에는 0.2중량부인 경우에 비해 패널 반사율이 대략 1.6%감소한 24.3%이다.
또한, 녹색 안료의 함량이 3중량부인 경우에는 패널 반사율이 24%이다.
또한, 녹색 안료의 함량이 4중량부인 경우에는 패널 반사율이 23.8%, 5중량부인 경우에는 23.5%이고, 7중량부인 경우에는 22.8%이다.
이상의 내용을 살펴보면, 녹색 안료의 함량이 4중량부이상인 경우에는 패널 반사율의 감소 효과가 미미함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10b에서는 제 2 청색 안료의 함량 및 적색 안료의 함량을 고정시키고, 제 3 형광체 층에 포함되는 녹색 안료의 함량을 변경시키면서 동일 영상에 대한 휘도를 측정한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b를 살펴보면 제 3 형광체 층에 녹색 안료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휘도가 대략 175[cd/m2]이다.
또한, 제 3 형광체 층에 포함되는 녹색 안료의 함량이 0.01중량부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74[cd/m2]이다. 이와 같이, 녹색 안료가 혼합된 경우에 영상의 휘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녹색 안료의 입자가 제 3 형광체 재질의 입자 표면의 일부를 가리고, 이에 따라 녹색 안료의 입자가 방전 셀 내에서 방전에 의해 발생한 자외선이 제 3 형광체 재질의 입자에 조사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녹색 안료의 함량이 0.05중량부에서 2.5중량부사이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66[cd/m2]에서 172[cd/m2]사이의 안정된 값을 갖는다.
또한, 녹색 안료의 함량이 3중량부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64[cd/m2]이다.
반면에, 녹색 안료의 함량이 4중량부이상인 경우에는 제 3 형광체 층에 포함되는 녹색 안료의 함량이 과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3 형광체 재질의 입자 표면에서 녹색 안료의 입자에 의해 가려지는 면적이 과도하게 증가함으로써,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49[cd/m2]이하로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상의 도 10a 내지 도 10b의 내용을 고려할 때, 반사율을 감소시키면서도 휘도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3 형광체 층에서 녹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3중량부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이상 2.5중량부이하일 수 있다.
또한, 녹색 안료의 함유량이 증가하더라도 패널 반사율의 개선 효과는 적색 안료 및 제 2 청색 안료의 경우에 비해 미미하다. 이에 따라, 녹색 안료의 함량은 적색 안료 및 제 2 청색 안료의 함량에 비해 더 적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녹색 안료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부 유전체 층에 제 1 청색 안료로서 포함되는 코발트(Co) 재질의 함 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상부 유전체 층의 투과율이 저하됨으로써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과도하게 감소할 수 있고, 반면에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과도하게 적은 경우에는 색온도 개선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에 제 1 청색 안료로서 포함되는 코발트(Co)의 함량이 일정한 경우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증가하면 반사율이 감소하여 콘트라스트 특성은 향상되지만, 투과율이 감소하여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일정한 경우에는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증가하면 반사율이 감소하여 콘트라스트 특성은 향상되지만, 투과율이 감소하여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율을 낮추면서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를 제 1 청색 안료로서 포함되는 코발트(Co)의 함량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코발트의 함량과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T)와 코발트(Co) 재질의 함량(C)의 비율(T/C)의 변화에 따른 반사율과 투과율의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는 T로서, 단위는 [㎛]이고, 코발트 재질의 함량은 C로서, 단위는 [중량부]이다.
A 타입은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를 39㎛와 33㎛로 설정하고,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T/C를 10부터 500까지 변경시키면서 반사율과 투과 율을 측정한 데이터이다.
B 타입은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을 0.1중량부와 0.6중량부로 설정하고,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T/C를 10부터 500까지 변경시키면서 반사율과 투과율을 측정한 데이터이다.
◎표시는 반사율이 충분히 낮거나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서 매우 양호함을 나타내고, ○표시는 상대적으로 양호함을 나타내고, X표시는 반사율이 과도하게 높거나 투과율이 과도하게 낮아서 매우 불량함을 나타낸다.
먼저, A 타입의 반사율의 측면을 살펴보면, T/C가 10이상 330이하에서는 반사율이 매우 양호(◎)하다. 그 이유는 유전체 층의 두께(T)에 비해 코발트(Co) 재질의 함량(C)이 충분히 많고, 이에 따라 유전체 층의 반사율이 충분히 높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유전체 층의 두께(T)가 33㎛라고 가정하면,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은 대략 0.1중량부이상 3.3중량부이하로서 충분히 많다. 그러면, 반사율이 충분히 높아서 콘트라스트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T/C가 390이상 480이하에서는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이 경우에는 반사율이 낮아서 콘트라스트 특성이 악화될 수 있으나, 그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에, T/C가 500이상인 경우에는 반사율이 매우 불량(X)하다. 그 이유는 유전체 층의 두께(T)에 비해 코발트(Co) 재질의 함량(C)이 과도하게 적고, 이에 따라 유전체 층의 반사율이 과도하게 낮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유전체 층의 두께(T)가 39㎛라고 가정하면,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은 대략 0.078중량부이하로서 과도하게 적다. 그러면, 반사율이 과도하게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콘트라스트 특성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A 타입의 투과율의 측면을 살펴보면 T/C가 10이상 30이하인 경우에는 투과율이 매우 불량(X)하다. 그 이유는, 유전체 층의 두께(T)에 비해 코발트(Co) 재질의 함량(C)이 과도하게 많고, 이에 따라 유전체 층의 투과율이 충분히 낮기 때문이다.
반면에, T/C가 40이상 80이하인 경우에는 투과율은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이 경우에는 투과율이 낮아서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저하될 수 있으나, 그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T/C가 110이상인 경우에는 투과율이 매우 양호(◎)하다. 그 이유는 유전체 층의 두께(T)에 비해 코발트(Co) 재질의 함량(C)이 충분히 적고, 이에 따라 유전체 층의 투과율이 충분히 높기 때문이다.
다음, B 타입의 반사율의 측면을 살펴보면, T/C가 10인 경우에는 반사율이 매우 불량(X)하다. 그 이유는,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에 비해 유전체 층의 두께(T)가 과도하게 얇고, 이에 따라 유전체 층의 반사율이 과도하게 낮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1중량부라고 가정하면,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T)는 대략 1㎛로서 과도하게 얇다. 그러면, 반사율이 과도하게 낮아서 콘트라스트 특성이 악화될 수 있다.
반면에, T/C가 30이상 60이하인 경우에는 반사율은 상대적으로 양호(○)하 다. 이 경우에는 반사율이 낮아서 콘트라스트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나, 그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T/C가 80이상인 경우에는 반사율이 매우 양호(◎)하다. 그 이유는,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에 비해 유전체 층의 두께(T)가 충분히 두껍고, 이에 따라 유전체 층의 반사율이 충분히 높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코발트(Co)의 함량(C)을 0.6중량부라고 가정하면,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T)는 48㎛이상 300㎛이하로서 충분히 두껍다. 그러면, 반사율이 충분히 높아서 콘트라스트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 B 타입의 투과율 측면을 살펴보면, T/C가 10이상 260이하에서는 투과율이 매우 양호(◎)하다. 그 이유는,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에 비해 유전체 층의 두께(T)가 충분히 얇고, 이에 따라 유전체 층의 투과율이 충분히 높기 때문이다.
또한, T/C가 290이상 420이하에서는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이 경우에는 투과율이 낮아서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저하될 수 있으나, 그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에, T/C가 480이상인 경우에는 투과율이 매우 불량(X)하다. 그 이유는,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에 비해 유전체 층의 두께(T)가 과도하게 두껍고, 이에 따라 유전체 층의 투과율이 과도하게 낮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11의 데이터를 고려하면,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T)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학식 1 : 40 ≤ T/C ≤4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T)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를 수 있다.
수학식 2 : 110 ≤ T/C ≤ 260
도 12a 내지 도 12b는 제 1 청색 안료의 함량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b에는 상부 유전체 층에 포함된 코발트 재질(Co)의 함량이 0중량부, 0.05중량부, 0.1중량부, 0.15중량부, 0.2중량부, 0.3중량부, 0.5중량부, 0.6중량부, 0.7중량부, 1.0중량부인 각각의 경우에서 암실 콘트라스트(C/R), 명실 콘트라스트, 반사광, 반사율, 색온도, 휘도 등을 측정한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T)가 38㎛로서 모두 동일하고, 제 1 형광체 층에는 0.2중량부의 적색 안료가 포함되어 있다.
암실 콘트라스트는 주위가 어두운 암실에서 화면에 1% 윈도우(Window) 패턴의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콘트라스트를 측정한 것이다.
명실 콘트라스트는 주위가 밝은 명실에서 화면에 25% 윈도우 패턴의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콘트라스트를 측정한 것이다.
도 12a를 살펴보면,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중량부인 경우, 즉 상부 유 전체 층에 제 1 청색 안료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암실 콘트라스트는 10500:1이고, 명실 콘트라스트는 50:1이고, 반사광은 12.35[cd/m2]이고, 패널 반사율은 31.9%이고, 색온도는 6980K이다.
또한,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05중량부인 경우에는 암실 콘트라스트는 10700:1이고, 명실 콘트라스트는 54:1이고, 반사광은 11.2[cd/m2]이고, 패널 반사율은 29.8%이고, 색온도는 7070K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05중량부 이하인 경우에는 코발트 재질의 함량이 미미함으로써, 콘트라스트 특성이 저하되고, 반사광 및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고, 색온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1중량부인 경우에는 암실 콘트라스트는 11450:1이고, 명실 콘트라스트는 60:1이고, 반사광은 9.31[cd/m2]이고, 패널 반사율은 26.2%이고, 색온도는 7452K이다. 즉, 코발트(Co) 함량이 0.1중량부인 경우에는 0.05중량부이하인 경우에 비해 콘트라스트 특성이 개선되며, 반사광 및 반사율의 값이 감소하고, 색온도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코발트(Co) 재질의 물성으로 인해 상부 유전체 층이 청색 계열의 색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부 유전체 층이 흡수함으로써, 콘트라스트 특성이 향상되고, 반사광 및 반사율이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이 청색 계열의 색을 갖게 됨으로써, 패널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가시광선이 상부 유전체 층을 통과하면서 청색 광이 더욱 강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색온도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15중량부이상 0.3중량부이하인 경우에는 암실 콘트라스트는 12500:1 ~ 13900:1로서 더욱 개선되고, 명실 콘트라스트도 65:1 ~ 79:1로 더욱 개선되며, 반사광은 8.54[cd/m2] ~ 7.05[cd/m2]로 더 감소하고, 패널 반사율도 23.3% ~ 20.7%로서 더욱 감소하고, 색온도는 7516K ~ 7732K로서 더욱 증가한다. 즉, 코발트(Co) 함량이 0.15중량부이상 0.3중량부이하인 경우에는 콘트라스트 특성, 반사광 및 반사율, 색온도 특성이 모두 개선된다.
또한,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5중량부이상인 경우에는 암실 콘트라스트는 14200:1이상이고, 명실 콘트라스트도 84:1이상이고, 반사광은 6.42[cd/m2]이하이고, 패널 반사율도 19.4%이하이고, 색온도는 7827K이상이다.
다음, 도 12b를 살펴보면 상부 유전체 층에 제 1 청색 안료로서 코발트(Co)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80[cd/m2]이다.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05중량부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79[cd/m2]이다. 이와 같이, 코발트(Co)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 영상의 휘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코발트(Co) 재질로 인해 상부 유전체 층이 청색 계열의 색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상부 유전체 층의 투과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1중량부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77[cd/m2]이다. 또한,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15중량부이상 0.3중량부이하 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74[cd/m2]이상 176[cd/m2]이하이다.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4중량부이상 0.6중량부이하인 경우에는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65[cd/m2]이상 170[cd/m2]이하이다.
반면에,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0.7중량부이상인 경우에는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이 과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유전체 층의 투과율이 과도하게 낮아져서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49[cd/m2]이하로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상의 도 12a 내지 도 12b의 내용을 고려할 때, 반사율 및 반사광 특성, 콘트라스트 특성, 색온도 특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부 유전체 층의 투과율이 과도하게 감소하여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부 유전체 층이 제 1 청색 안료로서 코발트(Co) 재질을 0.1중량부이상 0.6중량부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이상 0.3중량부이하 포함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b에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T)가 25㎛, 28㎛, 30㎛, 33㎛, 35㎛, 36㎛, 38㎛, 39㎛, 43㎛, 45㎛인 각각의 경우에서 측정된 반사율과 휘도에 대해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유전체 층에는 제 1 청색 안료로서 코발트(Co)이 포함되고, 코발트(Co) 재질의 함량은 0.2중량부로서 모두 동일하고, 제 1 형광체 층에는 0.2중량부의 적색 안료가 포함되어 있다.
먼저, 도 13a를 살펴보면,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25㎛인 경우에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과도하게 얇아서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을 충분히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패널 반사율이 28.2%로서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28㎛이상 30㎛이하인 경우에도 패널 반사율이 27.4%이상 27.8%이하로서 상대적으로 높다.
반면에,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33㎛인 경우에는 패널 반사율이 26.2%로 감소한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35㎛이상인 경우에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충분히 두껍기 때문에 패널 반사율이 24.3%이하이다.
다음, 도 13b를 살펴보면 휘도의 측면에서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25㎛인 경우에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80[cd/m2]이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28㎛이상 30㎛이하인 경우에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75[cd/m2]이상 178[cd/m2]이하이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33㎛인 경우에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74[cd/m2]이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35㎛이상 39㎛이하인 경우에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68[cd/m2]이상 173[cd/m2]이하이다.
반면에,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43㎛이상인 경우에는 영상의 휘도는 대략 154[cd/m2]이하로 급격히 감소한다.
이상의 도 13a 내지 도 13b의 내용을 고려할 때, 반사율을 감소시키면서 상부 유전체 층의 투과율이 과도하게 감소하여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과도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가 33㎛이상 39㎛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이상 38㎛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부 유전체 층에 포함되는 제 1 청색 안료는 코발트(Co) 재질 이외에, 니켈(Ni), 크롬(Cr), 구리(Cu), 세륨(Ce), 망간(Mn)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니켈(Ni) 재질은 상부 유전체에 제 1 청색 안료로서 포함되는 경우에, 상부 유전체 층이 암청색(Dark Blue)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구현되는 영상의 색 중에서 암청색이 더욱 강조될 수 있다. 이러한 니켈(Ni) 재질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상부 유전체 층의 투과율이 과도하게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니켈(Ni) 재질의 함량은 0.1중량부 이상 0.2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크롬(Cr) 재질은 상부 유전체 층에 제 1 청색 안료로서 포함되는 경우에, 상부 유전체 층의 색에 적색(Red)을 더 가미할 수 있다. 따라서 구현되는 영상의 색 중에서 청색이 강조됨과 동시에 적색도 강조될 수 있어서, 색구현 범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크롬(Cr) 재질의 함량은 0.1중량부 이상 0.3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리(Cu) 재질은 상부 유전체 층에 제 1 청색 안료로서 포함되는 경우에, 상 부 유전체 층의 색에 녹색(Green)을 더 가미할 수 있다. 따라서 구현되는 영상의 색 중에서 청색이 강조됨과 동시에 녹색도 강조될 수 있어서, 색구현 범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리(Cu) 재질의 함량은 0.03중량부 이상 0.09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세륨(Ce) 재질은 상부 유전체 층에 제 1 청색 안료로서 포함되는 경우에, 상부 유전체 층의 색에 황색(Yellow)을 더 가미할 수 있다. 따라서 구현되는 영상의 색 중에서 청색이 강조됨과 동시에 황색도 강조될 수 있어서, 색구현 범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세륨(Ce) 재질의 함량은 0.1중량부 이상 0.3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망간(Mn) 재질은 상부 유전체 층에 제 1 청색 안료로서 포함되는 경우에, 상부 유전체 층의 청색이 더욱 진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구현되는 영상의 색온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망간(Mn) 재질의 함량은 0.2중량부 이상 0.6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4는 상부 유전체 층의 다른 구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4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살펴보면, 상부 유전체 층(104)은 주위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볼록부(Convex Portion, 700)와 두께가 주위보다 얇은 오목부(Concave Portion, 7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부(710)는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104)의 최대 두께, 즉 볼록부(700)에서의 상부 유전체 층(104)의 두께는 t2이고, 오목부(710)에서의 상부 유전체 층(104)의 두께는 t1이고, 오목부(710)의 깊이는 h이고, 오목부(710)의 폭은 W이다.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에 구동 신호가 공급되어 방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의 사이에 배치된 오목부(710)에 대부분의 벽 전하(Wall Charge)들이 쌓일 수 있기 때문에 방전의 경로가 상부 유전체 층(104)이 평탄(Flat)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 사이의 방전 개시 전압이 낮아져서 구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104)이 제 1 청색 안료로서 코발트(Co)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부 유전체 층(104)이 청색 계열의 색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부 유전체 층(104)이 코발트(Co) 재질을 포함하지 않고 투명한 색을 갖는 경우에 비해 투과율이 저하되어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4의 경우와 같이 상부 유전체 층(104)이 볼록부(700)와 오목부(710)를 포함하게 되면,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 간의 방전 개시 전압이 낮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코발트(Co) 재질에 의한 휘도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도 15는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와 볼록부에서의 두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는 볼록부에서의 상부 유전체 층의 최대 두께, 즉 볼록부에서의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t2)를 38㎛로 고정하고, 여기서 오목부에서의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t1)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와 볼록부에서의 두께의 비율을 0.03에서 0.98까지 조절하면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방전 개시 전압, 상부 유전체 층의 제조 시 공정 난이도 및 상부 유전체 층의 구조적 안정성을 판단한다.
◎표시는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방전 개시 전압이 충분히 낮거나, 상부 유전체 층의 제조 공정의 난이도가 용이하거나, 상부 유전체 층의 구조적 안정성이 충분하여 매우 양호함을 나타내고, ○표시는 상대적으로 양호함을 나타내고, X표시는 불량함을 나타낸다.
도 15를 살펴보면, 먼저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방전 개시 전압의 측면에서는,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가 볼록부에서의 두께(t2)의 0.03배 이상 0.7배 이하인 경우에는 오목부의 깊이가 충분히 깊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방전 시 오목부에 벽 전하들이 충분히 쌓일 수 있어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방전 개시 전압이 충분히 낮은 전압을 가질 수 있어서 매우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가 볼록부에서의 두께(t2)의 0.85배 이상 0.9배 이하인 경우에는 오목부의 깊이가 적절하여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방전 개시 전압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가 볼록부에서의 두께(t2)의 0.98배 이상인 경우에는 오목부의 깊이가 과도하게 낮아서 방전 시 오목부에 쌓 이는 벽 전하의 양이 부족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방전 개시 전압은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불량(X)한 것을 알 수 있다.
상부 유전체 층의 제조 시 공정 난이도의 측면에서는,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를 볼록부에서의 두께(t2)의 0.03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가 과도하게 작아서 제조 장비의 정렬(Align)이 조금만 어긋나더라도 전면 기판이 상부 유전체 층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의 깊이를 충분히 깊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오목부의 형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의 난이도는 불량(X)하다.
반면에,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를 볼록부에서의 두께(t2)의 0.04배 이상 0.12배 이하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가 적절하여 상부 유전체 층의 제조 공정의 난이도는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를 볼록부에서의 두께(t2)의 0.15배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오목부의 깊이가 충분히 낮아서 오목부의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 또한, 오목부의 깊이가 충분히 낮기 때문에 제조 장비의 정렬이 어느 정도 어긋나더라도 오목부는 충분히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유전체 층의 제조 공정의 난이도는 매우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상부 유전체 층의 구조적 안정성의 측면에서는,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 서의 두께(t1)를 볼록부에서의 두께(t2)의 0.03배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가 과도하게 작아서 볼록부와 오목부의 두께 차이가 과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볼록부가 붕괴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부 유전체 층의 구조적 안정성은 불량(X)하다.
반면에,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를 볼록부에서의 두께(t2)의 0.04배 이상 0.06배 이하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가 적절하여 상부 유전체 층의 구조적 안정성은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를 볼록부에서의 두께(t2)의 0.092배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오목부의 두께와 볼록부의 두께의 차이가 미미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도 15의 데이터를 고려하면,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사이의 방전 개시 전압을 낮추고, 상부 유전체 층의 공정 난이도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상부 유전체 층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부 유전체 층의 오목부에서의 두께(t1)는 볼록부에서의 두께(t2)의 0.04배 이상 0.9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배 이상 0.7배 이하일 수 있다.
도 16은 상부 유전체 층의 또 다른 구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을 살펴보면, 상부 유전체 층(104)은 2층(2-Layer)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유전체 층(104)은 차례로 적층된 제 1 상부 유전체 층(900)과 제 2 상부 유전체 층(9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상부 유전체 층(900) 또는 제 2 상부 유전체 층(910) 중 적어도 하나에 제 1 청색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유전체 층(104)에 금속 재질의 제 1 청색 안료가 포함되면, 상부 유전체 층의 유전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상부 유전체 층(900)은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은 매립하고, 스캔 전극(102)과 서스테인 전극(103)을 절연시키기 때문에 유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상부 유전체 층(900)에는 제 1 청색 안료가 포함되지 않고, 제 1 상부 유전체 층(9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상부 유전체(910)에 제 1 청색 안료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c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7a를 살펴보면 전면 기판(101)에는 격벽(112)과 중첩(Overlap)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10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1000)는 입사되는 광을 흡수함으로써, 격벽(112)이 광을 반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면, 패널 반사율이 감소하여 콘트라스트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7a에서는 전면 기판(101)의 상부에 블랙 매트릭스(1000)가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유전체 층(미도시)의 상부에 블랙 매트릭스(1000)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투명 전극(102a, 103a)과 버스 전극(102b, 103b)의 사이에 블랙 층(120, 13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블랙 층(120, 130)에 버스 전극(102b, 103b)에 의한 광 반사를 방지함으로서, 패널 반사율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다음, 도 17b를 살펴보면 두 개의 서스테인 전극(103) 사이에서 두 개의 서스테인 전극(103)에 각각 접하는 공통 블랙 매트릭스(10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통 블랙 매트릭스(1010)는 블랙 층(120, 1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블랙 층(120, 130)의 제조 시 공통 블랙 매트릭스(1010)를 함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음, 도 17c를 살펴보면 격벽(112)의 상부에 탑 블랙 매트릭스(10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112)의 상부에 직접 탑 블랙 매트릭스(1020)를 형성하게 되면, 전면 기판(101)에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지 않아도 패널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유전체 층(104)이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제 1 형광체 층이 적색 안료를 포함하면 패널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7a 내지 도 17c에서 설명한 블랙 층(120, 130), 블랙 매트릭스(1000), 공통 블랙 매트릭스(1010) 및 탑 블랙 매트릭스(1020)가 생략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상부 유전체 층(104)에 코발트(Co) 재질 등의 제 1 청색 안료가 혼합되거고, 제 1 형광체 층에 적색 안료가 포함되면 패널 반사율을 충분히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블랙 층(120, 130), 블랙 매트릭스(1000), 공통 블랙 매트릭스(1010) 및 탑 블랙 매트릭스(1020)가 생략되더라도 패널 반사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블랙 층(120, 130), 블랙 매트릭스(1000), 공통 블랙 매트릭스(1010) 및 탑 블랙 매트릭스(1020)가 생략되면 제조 공정이 더욱 단순해질 수 있고, 제조 단가가 더욱 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형광체 층과 상부 유전체 층에 안료를 혼합함으로써, 패널 반사율을 감소시키고,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에 배치되면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상기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유전체 층;
    상기 전면 기판에 대항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방전 셀에 형성되는 형광체 층;
    을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 층은 적색(Red) 광을 발산하는 제 1 형광체 층, 청색(Blue) 광을 발산하는 제 2 형광체 층 및 녹색(Green) 광을 발산하는 제 3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1 형광체 재질과 적색 안료(Pigment)를 포함하고,
    상기 적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이고,
    상기 상부 유전체 층은 유리 재질과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청색 안료는 코발트(Co)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코발트 재질의 함유량은 0.1중량부이상 0.6중량부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안료는 철(Fe) 재질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안료의 함유량은 0.1중량부이상 3중량부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2 형광체 재질과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청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청색 안료는 코발트(Co) 재질, 구리(Cu) 재질, 크롬(Cr) 재질 또는 니켈(Ni)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청색 안료의 함유량은 0.5중량부이상 4중량부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3 형광체 재질과 녹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녹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3중량부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안료는 아연(Zn) 재질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안료의 함유량은 상기 적색 안료의 함유량 보다 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Co) 재질의 함유량은 0.15중량부 이상 0.3중량부 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청색 안료는 니켈(Ni), 크롬(Cr), 구리(Cu), 세륨(Ce), 망간(Mn)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Ni)의 함량은 0.1중량부 이상 0.2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크롬(Cr)의 함량은 0.1중량부 이상 0.3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구리(Cu)의 함량은 0.03중량부 이상 0.09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세륨(Ce)의 함량은 0.1중량부 이상 0.3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망간(Mn)의 함량은 0.2중량부 이상 0.6중량부 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에 배치되면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상기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유전체 층;
    상기 전면 기판에 대항되게 배치되는 후면 기판;
    상기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에서 방전 셀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방전 셀에 형성되는 형광체 층;
    을 포함하고,
    상기 형광체 층은 적색(Red) 광을 발산하는 제 1 형광체 층, 청색(Blue) 광을 발산하는 제 2 형광체 층 및 녹색(Green) 광을 발산하는 제 3 형광체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1 형광체 재질과 적색 안료(Pigment)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유전체 층은 유리 재질과 제 1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청색 안료는 코발트(Co)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는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수학식 1 : 40 ≤ T/C ≤ 420
    (T :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 C : 코발트 재질의 함량[중량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전체 층의 두께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수학식 2 : 110 ≤ T/C ≤ 260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형광체 층은 백색 계열의 제 2 형광체 재질과 제 2 청색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청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안료의 함유량은 0.01중량부이상 5중량부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70066532A 2007-07-03 2007-07-0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3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532A KR20090003675A (ko) 2007-07-03 2007-07-0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11/931,094 US20090009437A1 (en) 2007-07-03 2007-10-31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PCT/KR2007/007051 WO2009005196A1 (en) 2007-07-03 2007-12-31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N2007800536445A CN101689459B (zh) 2007-07-03 2007-12-31 等离子体显示板和等离子体显示装置
EP07860826A EP2174334A4 (en) 2007-07-03 2007-12-31 PLASMA DISPLAY AND PLASM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532A KR20090003675A (ko) 2007-07-03 2007-07-0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75A true KR20090003675A (ko) 2009-01-12

Family

ID=4022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532A KR20090003675A (ko) 2007-07-03 2007-07-0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09437A1 (ko)
EP (1) EP2174334A4 (ko)
KR (1) KR20090003675A (ko)
CN (1) CN101689459B (ko)
WO (1) WO20090051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5128B2 (en) * 2009-08-18 2012-08-0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Flow path control based on fluid characteristics to thereby variably resist flow in a subterranean well
US9260952B2 (en) 2009-08-18 2016-02-1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in an autonomous valve using a sticky switch
US8893804B2 (en) 2009-08-18 2014-11-2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lternating flow resistance increases and decreases for propagating pressure pulses in a subterranean well
US8276669B2 (en) 2010-06-02 2012-10-0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Variable flow resistance system with circulation inducing structure therein to variably resist flow in a subterranean well
US9109423B2 (en) 2009-08-18 2015-08-1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pparatus for autonomous downhole fluid selection with pathway dependent resistance system
US8708050B2 (en) 2010-04-29 2014-04-2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using movable flow diverter assembly
US8950502B2 (en) 2010-09-10 2015-02-1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eries configured variable flow restrictors for use in a subterranean well
US8430130B2 (en) 2010-09-10 2013-04-3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eries configured variable flow restrictors for use in a subterranean well
US8851180B2 (en) 2010-09-14 2014-10-0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elf-releasing plug for use in a subterranean well
US8733401B2 (en) 2010-12-31 2014-05-2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ne and plate fluidic oscillator inserts for use with a subterranean well
US8418725B2 (en) 2010-12-31 2013-04-1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Fluidic oscillators for use with a subterranean well
US8646483B2 (en) 2010-12-31 2014-02-1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ross-flow fluidic oscillators for use with a subterranean well
US8678035B2 (en) 2011-04-11 2014-03-2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electively variable flow restrictor for use in a subterranean well
CN102786765B (zh) * 2011-05-18 2015-07-29 阿德旺国际公司 医疗显示器用抗菌外壳
US8844651B2 (en) 2011-07-21 2014-09-30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Three dimensional fluidic jet control
US8573066B2 (en) 2011-08-19 2013-11-0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Fluidic oscillator flowmeter for use with a subterranean well
US8863835B2 (en) 2011-08-23 2014-10-2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Variable frequency fluid oscillators for use with a subterranean well
US8955585B2 (en) 2011-09-27 2015-02-1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Forming inclusions in selected azimuthal orientations from a casing section
CA2848963C (en) 2011-10-31 2015-06-0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utonomous fluid control device having a movable valve plate for downhole fluid selection
EP2748417B1 (en) 2011-10-31 2016-10-1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utonomous fluid control device having a reciprocating valve for downhole fluid selection
US8739880B2 (en) 2011-11-07 2014-06-03 Halliburton Energy Services, P.C. Fluid discrimination for use with a subterranean well
US9506320B2 (en) 2011-11-07 2016-11-2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Variable flow resistance for use with a subterranean well
US8684094B2 (en) 2011-11-14 2014-04-0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reventing flow of undesired fluid through a variable flow resistance system in a well
US9404349B2 (en) 2012-10-22 2016-08-0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utonomous fluid control system having a fluid diode
US9127526B2 (en) 2012-12-03 2015-09-0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Fast pressur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9695654B2 (en) 2012-12-03 2017-07-0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Wellhead flowback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10275380B (zh) * 2016-04-19 2021-11-23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荧光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844B2 (ja) * 1996-06-21 2000-12-11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089759B2 (ja) * 1997-10-09 2008-05-28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Ac型pdpの駆動方法
KR100447124B1 (ko) * 2002-03-07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광체와 그 제조방법
CN1147902C (zh) * 2002-04-19 2004-04-28 彩虹彩色显像管总厂 一种彩色显像管的荧光屏的制造方法
KR20040068772A (ko) * 2003-01-27 2004-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과 그 제조방법
KR20040096064A (ko) * 2003-05-07 2004-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형광막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050019289A (ko) * 2003-08-18 200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82357A (ko) * 2004-02-18 2005-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소자 상판 유전체 조성 방법
KR20060000515A (ko) * 2004-06-29 2006-01-06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격벽용 무연 유리 조성물
KR100573167B1 (ko) * 2004-11-12 2006-04-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EP1659558A3 (en) * 2004-11-19 2007-03-14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sustain pulse driving method thereof
KR20060088403A (ko) * 2005-02-01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9636B1 (ko) * 2005-07-06 2007-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070228956A1 (en) * 2006-03-14 2007-10-04 Lg Electronics Inc. Phosphor paste composition,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9459B (zh) 2012-03-21
EP2174334A1 (en) 2010-04-14
EP2174334A4 (en) 2011-04-20
WO2009005196A1 (en) 2009-01-08
CN101689459A (zh) 2010-03-31
US20090009437A1 (en)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367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400667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140710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298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675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367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009431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9000367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4602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698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8008861B2 (en)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phosphor layer having predetermined content of pigment
KR2009000661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3921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2697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50332A (ko)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967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298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4805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48047A (ko)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0287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