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764A - 디스크형 기록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형 기록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764A
KR20010030764A KR1020007003322A KR20007003322A KR20010030764A KR 20010030764 A KR20010030764 A KR 20010030764A KR 1020007003322 A KR1020007003322 A KR 1020007003322A KR 20007003322 A KR20007003322 A KR 20007003322A KR 20010030764 A KR20010030764 A KR 20010030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disc
shaped recording
support memb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4269B1 (ko
Inventor
야마다다카시
고지마나오토
다카하시가즈오
마미야도시오
오카다간조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03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60Fluid-dynamic spacing of heads from record-carriers
    • G11B5/6005Specially adapted for spacing from a rotating disc using a fluid cush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38Centering or locking of a plurality of discs in a single cartrid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0Protective measures on heads, e.g. against excessive tempera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9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 G11B5/59627Aligning for runout, eccentricity or offset compensation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회전된 상태에서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용 헤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부상된 상태에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지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클램프 기구에 의해 평면성이 양호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는 서로 대향하는 각 면과 동일 평면 상이며, 센터공의 외주위로부터 최소한 0.1mm 외주측이 협지(挾持)되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되었을 때의 편심이 방지되어 기록 및/또는 재생 헤드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형 기록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DISCOID RECORDING MEDIUM AND DISK DRIVE}
종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내장되어 기억 장치로서 사용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 유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등으로 형성한 기판을 사용한 자기 디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이 자기 디스크는 중심부에 설치한 클램프 기구를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부에 클램프함으로써, 회전부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부와 일체로 회전 구동되는 자기 디스크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은 탄성 변위 가능한 지지 암의 선단(先端)에 장착한 헤드 슬라이더에 지지된 자기 헤드를 통해 행해진다.
이 자기 헤드는 회전 구동되는 자기 디스크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할 때,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부상된 상태로 되어 신호 기록 영역에 형성된 기록 트랙을 주사(走査)한다.
그런데, 이 종류의 자기 디스크를 주사하는 자기 헤드는, 자기 디스크의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으로부터 약간의 부상량을 갖고 자기 디스크의 신호 기록 영역을 주사한다. 또, 자기 헤드의 자기 디스크에 대한 부상량은 자기 디스크에 인가하는 자계 강도나 자기 디스크의 신호 기록 영역을 주사하여 검출되는 정보 신호의 자계 강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일정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 자기 헤드가 회전 구동되는 자기 디스크에 충돌하여,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부상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자기 디스크를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에 고정밀도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클램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고, 자기 디스크를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에 클램프하기 위한 클램프 기구와 자기 디스크를 고정밀도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할 필요가 있다.
또, 자기 디스크는 부상하는 자기 헤드에 의해 기록 트랙을 정확히 주사하기 위해, 디스크 회전 구동 장치에 클램프하여 회전 구동했을 때, 편심(偏心)을 발생시키지 않고 회전 구동될 필요가 있다. 회전 시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 기구는 자기 디스크의 회전축 방향과 자기 디스크의 직경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는 힘으로 센터공(孔)의 주위를 협지(挾持)하여 자기 디스크에 장착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 등 정보 처리 장치의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는 자기 디스크에 있어서는, 생산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하고, 또한 정보 신호의 고밀도 기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사용하는 대신에 합성 수지를 성형한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널리 제공되고 있다. 합성 수지제의 기판을 사용한 자기 디스크는 광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스탬퍼를 사용하고, 사출 성형에 의해 서보 신호용 핏 등의 핏열(列)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 또는 알루미늄 등을 사용한 것에 비해, 고밀도화된 것을 염가에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이 종류의 자기 디스크는 합성 수지제의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리 또는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 디스크와 비교하여 강성(剛性)이 낮다. 또, 합성 수지제의 기판을 사용한 자기 디스크는, 이 자기 디스크가 노출되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되어, 변형되기 쉽다. 또한, 이 자기 디스크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냉각 시에 열 수축이 발생하여, 내주단(內周端)이나 외주단에 돌기가 형성되어 버려, 디스크면의 평면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합성 수지제의 기판을 사용한 자기 디스크에, 강성이 높은 유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한 기판을 사용한 자기 디스크에 사용되는 클램프 기구를 그대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합성 수지제의 기판을 사용한 자기 디스크는 유리나 알루미늄 등을 사용한 자기 디스크에 비해 강성이 낮기 때문에, 클램프 기구에 의해 회전축 방향으로 큰 하중이 가해지면, 두께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변형이나 휨이 발생해 버린다.
또, 합성 수지제의 기판을 사용한 자기 디스크는, 센터공이 형성되는 내주측에 기판 제조 시에 미소(微少) 돌기가 발생해 버린다. 이 돌기가 형성된 부분을 클램프 기기에 의해 협지한 경우에는, 자기 디스크에 대하여 편하중(偏荷重)이 가해짐으로써, 클램프 기구의 장착 후에 평면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또한, 합성 수지제의 기판을 사용한 자기 디스크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이 발생한다. 이 때, 클램프 기구와 자기 디스크의 접속부가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어긋남이 발생하여, 자기 디스크를 변형시켜 버린다.
이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기판을 사용한 자기 디스크는 클램프 기구를 고정밀도로 장착해도, 경년 변화(經年變化)에 의해 클램프 위치의 어긋남을 발생시킴으로써, 평면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특히, 정보 신호가 고밀도화로 기록되는 자기 디스크는 정보 신호의 기록 재생 시에, 자기 헤드가 매우 근접하기 때문에, 자기 디스크의 평면성이 악화되어 버리면, 자기 헤드와 충돌되어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합성 수지를 성형한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기록 및/또는 재생용 헤드가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부상(浮上)된 상태에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지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중심부에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에 클램프(clamp)를 하기 위한 클램프 기구를 구비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 및 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기 디스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자기 헤드가 자기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자기 디스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기 디스크를 제조하는 금형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금형 장치에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가 주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고정 금형과 가동(可動) 금형이 이형(離型)된 상태를 나타낸 금형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경화(硬化)한 디스크 기판의 내주부를 이젝트 부재에 의해 압출한 상태를 나타낸 금형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자기 디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자기 디스크에 형성된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자기 디스크 장치의 측면도.
도 11은 자기 디스크가 허브 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자기 디스크가 허브 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3은 가압 지지 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가압 지지 부재의 삽입 통과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가압 지지 부재가 탄성 변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가압 지지 부재의 평면도.
도 17은 가압 지지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8은 가압 지지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가압 지지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자기 디스크가 편심(偏心)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1은 편심 방지 부재가 장착된 자기 디스크 장치의 단면도.
도 22는 상하면이 비대칭으로 형성된 자기 디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3은 자기 디스크에 대한 하중 집중을 완화하는 하중 집중 완화 부재가 배치된 자기 디스크 장치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크 카트리지와, 이 디스크 카트리지가 장전(裝塡)되는 기록 재생 장치의 사시도.
도 25는 동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26은 자기 디스크를 회전하는 회전 조작 기구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7은 디스크 카트리지가 회전 조작 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고정밀도의 평면성을 유지하여 클램프 기구를 장착할 수 있고, 나아가 클램프 기구의 장착 후에 있어서도, 평면성을 유지할 수 있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및 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평면성을 고정밀도로 유지하여 클램프할 수 있는 클램프 기구 및 이 클램프 기구를 사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은,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중심부에 센터공이 형성된 기판을 가지고, 최소한 한쪽 면에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용 헤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부상된 상태에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지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이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한쪽 면측에 배치되고, 센터공 주위의 한쪽 면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되고, 센터공 주위의 다른 쪽 면측을 지지하는 가압 지지 부재를 가지는 클램프 기구를 구비한다. 이 클램프 기구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는 서로 대향하는 각 면과 동일 평면 상이며, 센터공의 외주위(外周圍)로부터 최소한 0.1mm 이상 외측의 영역을 협지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장착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는, 클램프 기구를 구성하는 가압 지지 부재의 접촉부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 사이에는, 가압 지지 부재의 집중 하중을 완화하는 집중 하중 완화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기구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지지 부재와 가압 지지 부재 사이에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센터공에 배치된 중간 부재를 가지며, 이 중간 부재와 센터공 사이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축되어, 센터공이 축경(縮徑)되었을 때, 센터공에 상기 중간 부재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중심부에 센터공이 형성된 기판을 가지고, 최소한 한쪽 면에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중심부에 형성된 축부가 센터공에 삽입 통과되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한쪽 면측에 배치되어, 센터공 주위의 한쪽 면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되어, 센터공 주위의 다른 쪽 면측을 지지하는 가압 지지 부재를 가지는 클램프 기구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된 클램프 기구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조작 기구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된 상태에서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부상된 상태에서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헤드를 구비한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클램프 기구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는 서로 대향하는 각 면과 동일 평면 상이며, 센터공의 외주위로부터 최소한 0.1mm 이상 외측의 영역을 협지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다음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일층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자기 디스크에 적용하고, 이 자기 디스크를 사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자기 디스크(3)가 사용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설명하면,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내장되고, 또는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기억 장치로서 사용된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2)를 구비한다. 이 베이스(2)에는 컴퓨터로 처리된 처리 정보나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정보 등의 정보 신호가 기록되고, 스핀들 모터(4)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매의 자기 디스크(3)와, 자기 디스크(3)에 정보 신호를 기록하고, 또 자기 디스크(3)에 기록된 정보 신호를 재생하는 자기 헤드 장치(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는 디스크 회전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스핀들 모터(4)에 의해 자기 디스크(3)가 도 1 중 화살표 R1방향으로 회전되면, 자기 헤드 장치(5)가 자기 디스크(3)의 직경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어, 정보 신호의 기록을 재생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자기 헤드 장치(5)는 탄성 변위 가능한 판스프링 등에 의해 형성된 헤드 지지 암(5a)의 선단에, 헤드 소자(5b)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헤드 슬라이더(5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기 헤드 장치(5)는 회전 구동되는 자기 디스크(3)의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대향되면, 자기 디스크(3)와 헤드 슬라이더(5c) 사이에 발생하는 에어류(流)(E)의 작용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슬라이더(5c)가 자기 디스크(3)로부터 부상된다. 헤드 슬라이더(5c)가 부상됨으로써, 헤드 소자(5c)는 자기 디스크(3)에 접촉하지 않도록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일정 거리(D1)만큼 부상된 상태에서 신호 기록 영역을 주사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기 디스크(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外徑)을 2.5인치로 하는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 디스크 기판(10)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자성층으로 이루어지는 신호 기록층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자기 디스크(3)는 중심부에 스핀들 모터(4)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클램프 기구(21)의 축부(22)가 삽입 통과되는 센터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센터공(11)은 스핀들 모터(4)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클램프 기구(21)를 구성하는 축부(22)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런데, 이 자기 디스크(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의 디스크 기판(1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출 성형 장치(201)를 사용하여 성형된다. 디스크 기판(10)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 성형 장치(20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기판(10)의 한쪽 면을 고정 금형(203)과, 디스크 기판(10)의 다른 쪽 면을 성형하는 가동(可動) 금형(204)과, 디스크 기판(10)의 외주측면을 성형하는 외주 금형(205)을 가진다. 고정 금형(203), 가동 금형(204) 및 외주 금형(205)은 형체결(型締結)된 상태에서, 합성 수지가 충전되는 캐비티(cavity)(206)를 구획 구성한다.
이 사출 성형 장치(201)는 고정 금형(203)측에 합성 수지의 경로가 되는 노즐(207)을 구비하는 스프루(sprue)(208)와, 스프루 부시(bush)(209)를 구비한다. 또, 이 사출 성형 장치(201)는 가동 금형(204)측으로 기판(10)에 센터공(11)을 형성하는 펀칭 부재(210)와, 경화(硬化)한 디스크 기판(10)을 꺼내는 이젝트 부재(21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출 성형 장치(201)에 의해 디스크 기판(10)을 성형하는 데 있어서는, 먼저, 고정 금형(203)측과 가동 금형(204)측을 열어 두고, 가동 금형(204)을 구동시킴으로써, 고정 금형(203)과 가동 금형(204)을 형체결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 금형(203), 가동 금형(204) 및 외주 금형(205)은 합성 수지가 충전되는 캐비티(206)를 구성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207)로부터 고온의 용융 상태의 합성 수지가 주입된다. 이 때, 고정 금형(203)과 스프루(208)의 간극으로부터 공기가 캐비티(206) 내로 주입되어 캐비티(206) 내를 소정 압력으로 한다. 이와 같이, 캐비티(206)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 압력으로 함으로써, 고정 금형(203) 및 가동 금형(204)의 캐비티(206)를 구성하는 면측에 형성된 평탄면에 의해 고정밀도로 평탄화된 신호 기록 영역 형성면이 형성된다.
다음에, 펀칭 부재(210)에 의해, 용융 상태인 디스크 기판(10)의 센터공(11)을 형성한다. 이 때, 펀칭 부재(210)가 스프루 부시(209)로 뛰어들기 때문에, 펀칭 부재(210)와 스프루 부시(209)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스프루 부시(209)는 이 마찰을 부품 교환으로 대처하기 위해, 스프루(208)와 고정 금형(20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캐비티(206) 내에 충전된 합성 수지를 냉각시킴으로써, 캐비티(206) 내에 충전된 합성 수지를 경화시키고, 그 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금형(203)으로부터 가동 금형(204)을 구동시켜 분리시킴으로써 사출 성형 장치(201)를 열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한 디스크 기판(10)의 내주부를 이젝트 부재(211)에 의해 밀어내 꺼냄으로써 디스크 기판(10)을 완성시킨다. 이 때, 센터공(11)을 형성하기 위해, 이젝트 부재(211)에 의해 펀칭된 부분은 펀칭 찌꺼기(212)로서 디스크 기판(10)으로부터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사출 성형 장치(201)에 의해 성형된 디스크 기판(1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에 센터공(11)이 형성되는 얇은 두께부(12)와, 얇은 두께부(12)의 외주측에 설치되고, 정보 신호의 기록 영역이 형성되는 기판 본체(13)를 가진다. 얇은 두께부(12)는 사출 성형 장치(201)의 이젝트 부재가 맞닿게 되는 영역이다. 또, 기판 본체(1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신호가 기록되는 신호 기록 영역(14)이 형성되고, 내주측에 신호 기록 영역(14)과 연속하여 비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고, 이 비신호 기록 영역에 클램프 기구(21)에 의해 지지되는 평탄한 클램프부(15)가 형성된다. 클램프부(15)는 신호 기록 영역(14)과 동일 평면을 구성하고, 여기에서 클램프 기구(21)에 클램프된다. 그리고, 클램프 기구(21)에 의해 지지되는 클램프부(15)는 자기 디스크(3)의 센터공(11) 주변보다 0.1mm 이상 외주측에 형성되고, 예를 들면 센터공(11)의 주변보다 0.25mm 떨어진 위치로부터 0.8mm 떨어진 위치에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이 클램프부(15)는 단면 형상이 상하 대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클램프부(15)의 표면은, 디스크 기판(10)이 온도 변화에 의해 신축되었을 때, 클램프 기구(21)가 순조롭게 미끌어지도록 연마 등을 하여 평활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클램프부(15)의 표면 조도(粗度)는, RMAX0.4㎛ 이하, 또는 최대치가 4㎛ 이하로 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중심부에 센터공(11)을 가지는 디스크 기판(10)을 성형하는 사출 성형 장치(201)의 금형 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금형(203)의 중심부에 캐비티(206) 내로 진퇴하는 센터공(11)을 뚫어 형성하기 위한 이젝트 부재(211)가 설치되고, 또한 이 이젝트 부재(211)를 에워싸도록 이젝트 부재(211)가 캐비티(206)에 대하여 진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동하는 부재가 고정 금형(203)에 배치되면, 고정 금형(203)의 성형면 전면(全面)을 고정밀도로 평탄화할 수 없다. 즉,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고정 금형(203) 및 이젝트 부재(211)의 가공 정밀도 상, 이젝트 부재(211)의 선단면을 고정 금형(203)의 성형면에 고정밀도로 연속시킬 수 없다. 특히, 이젝트 부재(211)와 고정 금형(203)을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이젝트 부재(211)의 선단면과 고정 금형(203) 성형면의 경계부에 미소한 단차(段差)가 발생해 버린다.
또, 중심부에 센터공(11)을 갖는 디스크 기판(10)을 성형하는 사출 성형 장치(201)의 금형 장치에 있어서는, 센터공(11)을 형성하기 위해 펀칭되는 부분에 합성 수지를 사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캐비티(206)로 사출되는 합성 수지의 사출 압력 변동이 발생하기 어려운 부분에서 디스크 기판(10)을 성형하고, 사출 압력이 변동되기 쉬운 부분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동 금형(204)이 성형되는 디스크 기판(10)의 센터공(11)이 형성되는 중심부에 노즐(207)을 구비하는 스프루(208)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스프루(208)를 가동 금형(204)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스프루 부시(209)가 필요하다. 스프루 부시(209)가 설치되면, 가동 금형(204)의 성형면 전면(全面)을 고정밀도로 평탄화할 수 없다. 고정 금형(203)에 이젝트 부재(211)를 설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가동 금형(204) 및 스프루 부시(209)의 가공 정밀도 상, 스프루 부시(209)의 선단면을 가동 금형(204)의 성형면에 고정밀도로 연속시킬 수 없다. 특히, 스프루 부시(209)와 가동 금형(204)을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는, 스프루 부시(209)의 선단면과 가동 금형(204) 성형면의 경계부에 미소한 단차가 발생해 버린다.
이와 같은 고정 금형(203) 및 가동 금형(204)으로 이루어지는 금형 장치에 의해 디스크 기판(10)을 성형하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젝트 부재(211) 및 스프루 부시(209)에 의해 성형되는 얇은 두께부(12)와 고정 금형(203) 및 가동 금형(204)의 성형면에 의해 성형되는 정보 신호의 기록 영역이 형성되는 기판 본체(13)의 경계부에 미소한 돌기(18a)가 형성되어 버린다.
그리고, 센터공(11)의 주위 및 기판 본체(13)의 외주측에도,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미소 돌기(18b, 18c)가 발생한다.
그런데, 얇은 두께부(12)와 기판 본체(13)의 경계부에 미소 돌기(18a)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이젝트 부재(211) 및 스프루 부시(209)는 신호 기록 영역(14)이 형성되는 기판 본체(13)의 성형에 영향이 없는 영역에 위치하는 직경을 갖고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젝트 부재(211)의 선단면과 고정 금형(203) 성형면의 경계부 및 스프루 부시(209)의 선단면과 가동 금형(204) 성형면의 경계부를 센터공(11)의 주변으로부터 0.1mm 이내의 범위에 위치시킬 수 없다. 즉, 얇은 두께부(12)와 기판 본체(13)의 경계부에 미소 돌기(18a)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공(11)으로부터 최소한 0.1mm 이내의 영역(L1)에 발생해 버린다. 디스크 기판(10)의 내주측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미소 돌기(18a)가 발생하기 때문에, 기판 본체(13)의 신호 기록 영역(14)이 형성되는 면에 고정밀도로 일련(一連)으로 연속된 평탄면으로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 기구(21)에 의해 지지되는 클램프부(15)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본체(13)의 신호 기록 영역(14)이 형성되는 면에 고정밀도로 일련으로 연속된 평탄면으로 할 수 있는 센터공(11)의 주변으로부터 0.1mm 이상 외주측 부분에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클램프부(15)는 센터공(11)의 주변보다 0.25mm 떨어진 위치로부터 0.8mm 떨어진 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 기구(21)에 의해 지지되는 클램프부(15)가 기판 본체(13)의 신호 기록 영역(14)이 형성되는 면과 고정밀도로 연속되는 공통의 평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클램프 기구(21)의 장착 후에 있어서도, 디스크면의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기 디스크(3)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매이 클램프 기구(21)를 통해 스핀들 모터(4)의 구동축(4a)에 지지되어, 구동축(4a)과 일체로 회전된다. 스핀들 모터(4)의 구동축(4a)에 자기 디스크(3)를 장착하는 클램프 기구(21)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4)의 구동축(4a)에 일체로 회전되는 디스크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축부(22)를 가진다. 이 축부(22)는 센터공(11)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즉, 축부(22)의 외주면과 센터공(11)의 측면 사이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극(C1)이 형성된다. 이 간극(C1)은 자기 디스크(3)가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되어 센터공(11)이 가장 축경되었을 때, 센터공(11)의 측면과 축부(22)의 외주면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기 디스크(3)가 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간극(C1)은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 자기 디스크(3)의 외경이 2.5인치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센터공(11)의 직경 = 축부(22)의 외경으로 가정하고, 초기 온도 t0으로부터 t로 온도 변화되었을 때의 신장차(伸張差)(λd - λh)는,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λd - λh = L ·(αd - αh) ·(t - t0)
여기에서,
L: 센터공(11)의 직경 = 축부(22)의 외경 = 25mm
αd(센터공의 신장): 자기 디스크(3)의 선(線)팽창 계수 = 7 ×e-5〔1/℃〕
αh(축부(22)의 외경): 축부(22)의 선팽창 계수 = 2.3 ×e-5〔1/℃〕
여기에서, 상정(想定) 온도 범위를 + 5℃ ~ + 55℃로 가정한 경우, 상온 (+ 20℃)로부터의 신장차는 상기 수학식 1에서 산출할 수 있다.
〔+ 20℃ →+ 5℃로 온도 변화〕
λd - λh = L ·(αd - αh) ·(5 - 20)
= - 0.018
그리고, 〔-〕는 센터공(11)의 측면이, 축부(22)에 간섭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 20℃ →+ 55℃로 온도 변화〕
λd - λh = L ·(αd - αh) ·(55 - 20)
= + 0.041
그리고, 〔+〕는 간극(C1)이 생기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상온 시의 축부(22)의 공차(公差)는 φ23 - 0.02/ - 0.045mm이며, 자기 디스크(3) 내경의 공차는 φ25 + 0.05/0이다.
따라서, 상온 시의 최대/최소의 간극(C1)은, Min = + 0.02, Max = + 0.095로 된다.
이들 공차를 고려하여, 온도 변화 + 5℃ ~ + 55℃에서의 최소/최대의 간극(C1)은 다음과 같이 된다.
〔+ 5℃인 때의 최소의 간극(C1)〕
Min = + 0.02 - 0,018 = + 0,002mm
〔+55℃인 때의 최대의 간극(C1)〕
Max = + 0.095 + 0.041 = 0.0136mm
따라서, 이 구체예의 경우에는, + 5℃에서의 간극(C1)을 +0.002mm 확보함으로써, 센터공(11)의 측면과 축부(22)의 외주면이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클램프 기구(21)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최하단의 자기 디스크(3)를 센터공(11)의 주변에서 지지하는 축부(22)와 함께 디스크 지지 부재를 구성하는 디스크 지지부(23)를 가진다. 디스크 지지부(23)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22)의 스핀들 모터(4)측인 기단측에 플랜지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디스크 지지부(23)는 내주측에 자기 디스크(3)의 얇은 두께부(12) 및 클램프부(15)에 대향하여 절결부(24)가 형성된다. 즉, 절결부(24)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부(15)와 절결부(24)의 클램프부(15)와 대향하는 면 사이에 간극(C1)을 형성한다. 절결부(24)는 이 간극(C1)에 의해 디스크 기판의 성형 시, 디스크 기판을 냉각할 때, 디스크 기판의 내주단에 발생하는 돌기(18a, 18b)가 디스크 지지부(23)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디스크 지지부(23)에는 이 절결부(24)의 외주측에, 자기 디스크(3)의 클램프부(15)에서 자기 디스크(3)를 지지하는 지지부(25)가 형성된다. 즉, 자기 디스크(3)는 기판 본체(13)의 내주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 즉 기판 본체(13)의 내주단에 발생하는 돌기(18a, 18b)가 없어져 기판 본체(13)의 면이 평탄하게 되는 클램프부(15)에서 지지부(25)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최하단의 자기 디스크(3)는 베이스(2)에 대하여 평행으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24)의 클램프부(15)와 대향하는 면과 클램프부(15)의 간극(C2)은 0.02mm 이상이며, 지지부(25)가 기판 본체(13)의 내주단으로부터 자기 디스크(3)를 지지하는 위치까지의 거리(l1)는 0.1mm 이상이다.
또, 클램프 기구(21)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간격 떼어 각각의 자기 디스크(3)를 지지하는 스페이서(26)를 가진다. 스페이서(26)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스페이서(26)는 내경이 축부(2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고, 축부(22)에 끼워 맞춰 배치된다. 스페이서(26)는 자기 디스크(3) 사이에 자기 헤드 장치(5)가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형성할 수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스페이서(26)는 양면의 내주단측에 자기 디스크(3)의 얇은 두께부(12) 및 클램프부(15)에 대향하여 절결부(27)가 형성된다. 즉, 절결부(27)는 전술한 절결부(24)와 마찬가지로, 클램프부(15)와 절결부(27)의 클램프부(15)와 대향하는 면 사이에 간극(C2)을 형성한다. 절결부(27)는 이 간극(C2)에 의해, 디스크 기판의 성형 시, 디스크 기판을 냉각할 때, 디스크 기판의 내주단에 발생하는 돌기(18a, 18b)가 디스크 지지부(23)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스페이서(26)에는 상면측 절결부(27)의 외주측에, 자기 디스크(3)의 클램프부(15)에서 자기 디스크(3)를 지지하는 지지부(28)가 형성된다. 또, 스페이서(26)에는, 하면측 절결부(27)의 외주측에, 제1 지지부(28)와 함께 자기 디스크(3)의 클램프부(15)를 협지하는 제2 지지부(29)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지지부(28, 29)는 기판 본체(13)의 내주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 즉 기판 본체(13)의 내주단에 발생하는 돌기(18a, 18b)가 없어져 기판 본체(13)의 면이 평탄하게 되는 위치에서 클램프부(15)를 협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최상단의 자기 디스크(3)와 최하단의 자기 디스크(3) 사이의 자기 디스크(3)는 클램프부(15)가 스페이서(26)의 제1 및 제2 지지부(28, 29)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지지된다.
그리고, 스페이서(26)에 있어서도, 절결부(27)의 클램프부(15)와 대향하는 면과 클램프부(15)의 간극(C2)은, 0.02mm 이상이고, 지지부(28a, 28b)가 기판 본체(13)의 내주단으로부터 자기 디스크(3)를 지지하는 위치까지의 거리(l1)는 0.1mm 이상이다. 또, 클램프부(15)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28, 29)의 표면은 디스크 기판(10)이 온도 변화에 의해 신축되었을 때, 순조롭게 미끄러지도록 연마 등을 하여 평활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클램프부(15)의 표면 조도는, RMAX0.4㎛ 이하, 또는 최대치가 4㎛ 이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디스크 기판(10)이 제1 및 제2 지지부(28, 29)에 대하여 순조롭게 미끄러지도록 코팅재를 도포해도 된다. 예를 들면, 코팅재로서는 윤활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불소나 테플론이 사용된다.
또한, 클램프 기구(21)는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단의 자기 디스크(3)를 디스크 지지부(23)의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 지지 부재(31)를 가진다. 가압 지지 부재(31)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 등의 판형 부재를 링형으로 펀칭하여 형성되어, 자기 디스크(3)의 센터공(11)을 폐색할 수 있고, 외주측에서 클램프부(15)를 누를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 가압 지지 부재(31)에는 중심부에 위치 결정용 개구부(32)가 형성되고, 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위치 결정공(33)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 지지 부재(31)는 개구부(32)가 축부(22)의 선단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용 돌부(突部)(22a)에 끼워 맞추어지고, 도시하지 않지만 축부(22)의 선단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가 위치 결정공(33)에 맞물림으로써, 축부(22)의 선단면에 배치된다.
또, 가압 지지 부재(31)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는 판스프링재에 의해 형성되고, 외주측의 자기 디스크(3)와 대향하는 면측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가압부(34)가 형성된다. 가압부(34)는 가압 지지 부재(31)의 자기 디스크(3)와 대향하는 면측에 단면 대략 원호형으로 팽창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가압부(34)는 축부(22)에 장착되었을 때, 스페이서(26)의 지지부(28b)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34)는 자기 디스크(3)의 클램프부(15)에 대하여, 점접촉으로 되고, 자기 디스크(3)가 직경 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클램프부(15)와의 접촉부가 어긋나는 데 따른 자기 디스크(3)와의 끌기를 방지하여, 자기 디스크(3)의 표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가압부(34)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나사(35)에 의해 축부(22)에 장착되었을 때, 자기 디스크(3)의 클램프부(15)에서 자기 디스크(3)를 스페이서(26)와 디스크 지지부(23)의 방향으로 누르는 복수의 하중 집중부(40)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하중 집중부(40)에 대해서는 상세는 후술한다.
또, 가압부(34)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부(15)와의 접촉면이 원활한 면으로 형성되어, 클램프부(15)와 접촉하는 면이 Rmax 0,4㎛ 이하로 되도록 형성된다. 이 가압부(34)의 접촉면은 연마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 지지 부재(31)가 축부(22)에 장착되었을 때, 가압부(34)는 자기 디스크(3)를 직경 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쉽게 하여, 클램프부(15)와의 접촉부가 어긋나는 데 따른 자기 디스크(3)와의 끌기를 방지한다. 또, 자기 디스크(3)는 합성 수지제의 디스크 기판(10)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신축되지만, 신축 시에 있어서, 가압부(34)는 클램프부(15)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클램프부(15)와의 접촉부가 어긋나는 데 따른 자기 디스크(3)의 평면성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34)는 그 표면도(表面度), 즉 가압부(34) 표면의 미소한 요철(凹凸) 격차(格差)의 최대치가 4㎛ 이하로 형성되고, 클램프부(15)와 미끄러지기 쉽게 해도 된다. 또, 가압부(34)의 접촉면은 표면에 코팅재, 특히 윤활성이나 내마모성이 있는 것, 예를 들면 불소나 테플론을 도포하여, 클램프부(15)와 미끄러지기 쉽게 해도 된다.
또, 가압 지지 부재(31)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34)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하중 집중부(40)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공(3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6)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지지 부재(31)의 주위 방향으로, 가압 지지 부재(31)의 중심(O)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공(36)은 대략 원호형의 긴 구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36)은 가압 지지 부재(31)의 중심(O)과 관통공(36)의 양단부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α)이 (360/2N)°(N은 고정 나사(25)의 개수)로 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3에 나타낸 관통공(36)은 α가 60°로 되도록 형성되어, 전부 3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중 집중부(40)는 가압부(34) 상에 등간격으로 발생되게 된다.
또, 관통공(36)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나사(35)에 의해 축부(22)의 선단면에 압력 접촉되는 압력 접촉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압력 접촉부(38)는 관통공(36)의 내주측 에지 중앙에, 내주측으로 절결되어 형성되고, 여기에 가압 지지 부재(31)를 축부(22)에 고정 나사(35)가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압력 접촉부(38)는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에 의해 눌려져, 축부(22)의 선단면에 압력 접촉된다. 또, 축부(22)의 선단면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접촉부(38)에 대응하여 나사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 지지 부재(31)는 고정 나사(35)가 압력 접촉부(38)에 삽입 통과되어, 나사 구멍(37)에 나사맞춤됨으로써, 축부(22)에 고정된다. 이 때,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는 압력 접촉부(38)가 관통공(36)의 내주측 에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측 에지에는 맞닿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 나사(35)는 압력 접촉부(38)에 균등한 하중을 가하도록 나사 구멍(37)에 체결된다.
또, 가압 지지 부재(31)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관통공(36) 사이에, 압력 접촉부(38)에서의 하중을 가압부(34)에 전달하는 하중 전달부(39)가 형성되어 있다. 하중 전달부(39)는 압력 접촉부(38)가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에 의해 눌림으로써, 가압부(34)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자기 디스크(3)측으로 휘도록 탄성 변위되어, 압력 접촉부(38)에서의 하중을 가압부(34)에 전달한다. 이 때, 가압부(34)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전달부(39)가 자기 디스크(3)측으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가압 지지 부재(31)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압부(34)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36)의 양단부 근방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부(40)가 형성된다. 하중 집중부(40)는 관통공(36)의 양단부 근방에, 균등한 하중으로 6개소 형성되고, 또한 가압부(34)의 주위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가압 지지 부재(31)를 축부(22)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35)의 개수 이상, 여기에서는 2배 형성된다. 따라서, 하중이 분산되기 때문에, 1개의 하중 집중부(40)에서의 하중이 작아진다. 또, 하중 집중부(40)는 압력 접촉부(38)의 외주측에 관통공(36)이 형성되고, 압력 접촉부(38)와 가압부(34)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하중 집중부(40)에서의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서의 하중 집중부(40)는, 진해 짐에 따라 하중이 커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 기구(21)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축부(22)에 최하단이 되는 자기 디스크(3)의 센터공(11)을 삽입 통과하여, 디스크 지지부(23)에 자기 디스크(3)를 지지시킨다. 다음에, 스페이서(26)를 축부(22)에 끼워 맞추고, 또한 이 스페이서(26) 상에 다음의 자기 디스크(3)의 센터공(11)에 축부(22)를 삽입 통과하여, 이 자기 디스크(3)를 지지시킨다. 즉, 최하단의 자기 디스크(3)는 클램프부(15)의 하면이 디스크 지지부(23)의 지지부(25)에 의해 지지되고, 클램프부(15)의 상면이 스페이서(26)의 지지부(29)에 맞닿게 되고, 클램프부(15)가 지지부(25)와 지지부(29)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지지된다. 또, 최상단의 자기 디스크와 최하단의 자기 디스크(3) 사이에 배치되는 자기 디스크(3)는, 이 자기 디스크(3)의 상하에 배치되는 스페이서(26)의 지지부(28)와 지지부(29)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지지된다. 또한, 최상단의 자기 디스크(3)는 클램프부(15)의 하면측이 스페이서(26)의 지지부(28)로 되고, 가압 지지 부재(31)의 가압부(34)와 지지부(28)에 협지됨으로써 지지된다.
그리고, 이들 자기 디스크(3)는 가압 지지 부재(31)가 고정 나사(35)에 의해 축부(22)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된다. 즉, 복수개의 자기 디스크(3)는 가압 지지 부재(31)가 축부(22)에 장착되고, 가압부(34)가 스페이서(26)와 디스크 지지부(23) 방향으로 눌림으로써, 클램프 기구(21)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가압 지지 부재(31)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나사(35)가 압력 접촉부(38)를 삽입 통과하여, 나사 구멍(37)에 나사맞춤됨으로써, 축부(22)의 선단면에 장착된다. 이 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는 압력 접촉부(38)를 균등한 하중으로 축부(22)의 선단면에 압력 접촉한다. 그러면, 도 13의 하중 전달부(39)는 압력 접촉부(38)가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에 의해 눌림으로써, 가압부(34)를 지점으로 하여 자기 디스크(3)측으로 휘도록 탄성 변위되어, 압력 접촉부(38)에서의 하중을 가압부(34)에 전달한다. 이 때, 가압부(34)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 전달부(39)가 탄성 변위됨으로써, 가압 지지 부재(31)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압부(34)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36)의 양단 근방에 균등하게 하중 집중부(40)가 형성된다.
하중 집중부(40)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 접촉부(38)의 외주측에 관통공(36)이 형성되고, 압력 접촉부(38)와 가압부(34)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하중 집중부(40)에서의 하중을 작게할 수 있다. 또, 하중 집중부(40)는 전부 6개소 형성되고, 압력 접촉부(38)가 1개에 대하여 2개 형성되어, 하중이 분산된다. 따라서, 자기 디스크(3)는 가압부(34)에 눌림으로써, 국소적으로 변형되는 것이 없어진다.
또, 가압 지지 부재(31)는 구동축(4a)의 축 방향과 평행으로 자기 디스크(3)를 누른다. 구체적으로, 가압 지지 부재(31)가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전 가압력은 다음 수학식같이 설정된다. 즉, 전 가압력을 F, 자기 디스크(3)와 스페이서(26)의 총중량을 W,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의 비동작 시의 내충격 가속도를 G, 자기 디스크(3)와 가압 지지 부재(31)의 마찰 계수를 μ, 자기 디스크(3) 상하면의 마찰 계수를 2μ로 하면,
W ×G ≤F 〈 W ×G/2μ
가 된다. 즉, 전 가압력 F는 비동작 시의 축 방향의 충격치 이상으로 설정된다. 또, W ×G/2μ는 자기 디스크(3)의 직경 방향의 어긋남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 가압력 F는 직경 방향의 어긋남에 필요한 힘보다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클램프 기구(21)는, 자기 디스크(3)가 온도 변화 등에 의해 신축된 경우라도, 자기 디스크(3)를 원활하게 미끄러지게 하여, 자기 디스크의 끌기에 의한 평면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 기구(21)에서는, 자기 디스크(3)의 직경 방향의 어긋남을 허용하여, 후술하는 편심 방지 부재나 (72) 등으로 자기 디스크(3)의 편심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가압 지지 부재(31)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가압 지지 부재(31)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는 생략한다. 즉, 이 가압 지지 부재(41)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바 대로, 중심부에 위치 결정용 개구부(32)가 형성되고, 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위치 결정공(33)이 형성된다. 또, 가압 지지 부재(41)의 외주측에는, 자기 디스크(3)와 대향하는 측으로,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가압부(34)가 형성된다.
가압 지지 부재(41)에는 가압부(34)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하중 집중부(45)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공(42)이 형성된다. 관통공(42)은 가압 지지 부재(41)의 주위 방향으로, 가압 지지 부재(41)의 중심(O)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관통공(42)은 대략 원호형의 긴 구멍으로 형성되고, 도 14에 나타낸 각(α)이 대략 45°가 되도록 형성되고, 전부 4개 형성된다.
또, 관통공(42)에는 내주측으로 돌출되고, 고정 나사(35)에 의해 축부(22)의 선단면에 압력 접촉되는 압력 접촉부(43)가 형성된다. 압력 접촉부(43)는 관통공(42)의 내주측 에지 중앙에, 내주측으로 절결되어 형성되고, 여기에 가압 지지 부재(41)를 축부(22)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35)가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압력 접촉부(43)는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에 의해 눌려, 축부(22)의 선단면에 압력 접촉된다. 가압 지지 부재(41)는 고정 나사(35)가 압력 접촉부(43)에 삽입 통과되어, 나사 구멍(37)에 나사맞춤됨으로써, 축부(22)에 고정된다. 이 때,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는 압력 접촉부(43)가 관통공(42)의 내주측 에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측 에지에는 맞닿지 않는다.
또, 가압 지지 부재(41)에는 각 관통공(42) 사이에, 압력 접촉부(43)에서의 하중을 가압부(34)에 전달하는 하중 전달부(44)가 형성된다. 하중 전달부(44)는 압력 접촉부(43)가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에 의해 눌림으로써, 가압부(34)를 지점으로 하여 자기 디스크(3)측으로 휘도록 탄성 변위되어, 압력 접촉부(43)에서의 하중을 가압부(34)에 전달한다. 이 때, 가압부(34)는 하중 전달부(44)가 자기 디스크(3)측으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가압 지지 부재(41)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압부(34)에는 관통공(42)의 양단부 근방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부(45)가 형성된다.
이 하중 집중부(45)는 가압부(34)의 주위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중 집중부(45)는 각 관통공(42)의 양단부 근방에, 하중이 균등하게 되도록 8개소 형성된다. 즉, 가압 지지 부재(41)를 축부(22)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35) 개수의 2배 형성된다. 따라서, 집중 하중이 분산되어, 하중 집중부(45)의 1개당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하중 집중부(45)는 압력 접촉부(43)의 외주측에 관통공(42)이 형성되고, 압력 접촉부(43)와 가압부(34)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하중 집중부(45)에서의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34)는 전 가압력을 변경하지 않고, 각각의 하중 집중부(45)의 집중 하중치를 작게 할 수 있어, 자기 디스크(3)가 국소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가압 지지 부재(31)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가압 지지 부재(46)는 관통공과 압력 접촉부가 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가압 지지 부재(31)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는 생략한다. 이 가압 지지 부재(46)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바 대로, 중심부에 위치 결정용 개구부(32)가 형성되고, 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위치 결정공(33)이 형성된다. 또, 가압 지지 부재(41)의 외주측에는, 자기 디스크(3)와 대향하는 측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가압부(34)가 형성된다.
가압 지지 부재(46)에는, 가압 지지 부재(46)를 축부(22)의 선단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35)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47)이 형성된다. 삽입 통과공(47)은 가압 지지 부재(41)의 주위 방향으로, 가압 지지 부재(46)의 중심(O)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삽입 통과공(47)은 외주측이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주측에 고정 나사(35)에 의해 축부(22)의 선단면에 압력 접촉되는 압력 접촉부(48)가 형성된다. 압력 접촉부(48)는 삽입 통과공(47)의 내주측 에지 중앙에, 내주측으로 절결되어 형성되고, 여기에, 가압 지지 부재(46)를 축부(22)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35)가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압력 접촉부(48)는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에 의해 눌려, 축부(22)의 선단면에 압력 접촉된다. 가압 지지 부재(46)는 고정 나사(35)가 압력 접촉부(48)에 삽입 통과되어, 나사 구멍(37)에 나사맞춤됨으로써, 축부(22)에 고정된다. 이 때,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는 압력 접촉부(48)가 관통공(47)의 내주측 에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측 에지에는 맞닿지 않는다.
또, 가압 지지 부재(46)는 압력 접촉부(48)가 형성된 삽입 통과공(47)의 외주측에, 가압부(34)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하중 집중부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공(49)이 형성된다. 관통공(49)은 삽입 통과공(47)의 외주측에서 가압 지지 부재(46)의 중심(O)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관통공(49)은 대략 원호형의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삽입 통과공(47)의 외주측 근방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향해 형성되고, 삽입 통과공(47) 근방의 일단부(49a)가 삽입 통과공(47)을 덮도록 형성되고, 타단부(49b)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관통공(49)은 삽입 통과공(47)으로부터 양측으로 향해 형성되는 긴 구멍을 한쌍으로 하고, 이들 긴 구멍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각 관통공(49) 사이에, 압력 접촉부(48)에서의 하중을 가압부(34)에 전달하는 하중 전달부(50a, 50b)가 형성된다. 관통공(49)의 일단부(49a)에 의해 형성되는 하중 전달부(50a)는 가늘게 형성되고, 일단부(47a)와 반대측 관통공(49)의 타단부(49b)에 의해 형성되는 하중 전달부(50b)는 하중 전달부(50a)보다 굵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중 전달부(50a, 50b)는 형성되는 하중 집중부(51)의 집중 하중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하중 전달부(50a, 50b)는 압력 접촉부(48)가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에 의해 눌림으로써, 가압부(34)를 지점으로 하여 자기 디스크(3)측으로 휘도록 탄성 변위되어, 압력 접촉부(48)에서의 하중을 가압부(34)에 전달한다. 이 때, 가압부(34)는 하중 전달부(50a, 50b)가 자기 디스크(3)측으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가압 지지 부재(46)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압부(34)에는 관통공(49)의 양단부 근방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부(51)가 형성된다. 하중 집중부(51)는 관통공(49)의 양단부 근방에 하중이 가압부(34)의 주위 상에 균등하게 6개소 형성된다. 즉, 가압 지지 부재(46)를 축부(22)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35) 개수의 2배 형성된다. 따라서, 하중이 분산되어, 하중 집중부(51)의 1개당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하중 집중부(51)는 압력 접촉부(48)의 외주측에 관통공(49)이 형성되고, 압력 접촉부(48)와 가압부(34)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각 하중 집중부(52)에서의 집중 하중을 작게 할 수 있고, 가압부(34)는 자기 디스크(3) 두께 방향의 국소적인 변형을 방지하고, 그 결과, 자기 디스크(3)의 평면성 악화를 방지하고 있다.
또, 가압 지지 부재(31)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가압 지지 부재(31)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는 생략한다. 이 가압 지지 부재(53)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바 대로, 중심부에 위치 결정용 개구부(32)가 형성되고, 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위치 결정공(33)이 형성된다. 또, 가압 지지 부재(53)의 외주측에는, 자기 디스크(3)와 대향하는 측으로,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가압부(34)가 형성된다.
가압 지지 부재(53)는 가압부(34)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하중 집중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관통공(54)이 형성된다. 제1 관통공(54)은 가압 지지 부재(53)의 주위 방향으로, 가압 지지 부재(31)의 중심(O)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등간격으로 3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관통공(54)은 외주측이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주측으로 돌출하여 고정 나사(35)에 의해 축부(22)의 선단면에 압력 접촉되는 압력 접촉부(55)가 형성된다. 압력 접촉부(55)는 제1 관통공(54)의 내주측 에지 중앙에, 내주측으로 절결되어 형성되고, 여기에, 가압 지지 부재(53)를 축부(22)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35)가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압력 접촉부(55)는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에 의해 눌려, 축부(22)의 선단면에 압력 접촉된다. 가압 지지 부재(53)는 고정 나사(35)가 압력 접촉부(55)에 삽입 통과되어, 나사 구멍(37)에 나사맞춤됨으로써, 축부(22)에 고정된다. 이 때,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는 압력 접촉부(55)가 제1 관통공(54)의 내주측 에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측 에지에는 맞닿지 않는다.
또, 제1 관통공(54) 사이에는, 가압부(34)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하중 집중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관통공(56)이 형성된다. 도 19에서는 제2 관통공(56)이 제1 관통공(54) 사이에 4개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 지지 부재(53)에는 제1 관통공(54)과 제2 관통공(56) 사이, 및 제2 관통공(56) 사이에, 압력 접촉부(55)에서의 하중을 가압부(34)에 전달하는 하중 전달부(57)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하중 전달부(57)는 제1 관통공(54)과의 중간으로 향함에 따라 간격(C4)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또, 가압 지지 부재(53)의 외주단으로부터 제1 관통공(54) 및 제2 관통공(56)의 외주측 에지까지의 간격(C5)이 관통공(57) 사이의 중간으로 향함에 따라 커지도록 형성된다. 하중 전달부(57)는 압력 접촉부(55)가 고정 나사(35)의 머리부(35a)에 의해 눌림으로써, 가압부(34)를 지점으로 하여 자기 디스크(3)측으로 휘도록 탄성 변위되어, 압력 접촉부(55)에서의 하중을 가압부(34)에 전달한다. 이 때, 가압부(34)는 하중 전달부(57)가 자기 디스크(3)측으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가압 지지 부재(31)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압부(34)에는 제1 관통공(54) 및 제2 관통공(56)의 양단부 근방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부(58)가 형성된다.
하중 집중부(58)는 제1 관통공(54) 및 제2 관통공(56)의 양단부 근방에, 하중과 균등하게 15개소 형성된다. 또, 하중 집중부(58)는 제1 관통공(54)과의 중간으로 향함에 따라 간격(C4)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또, 가압 지지 부재(53)의 외주단으로부터 제1 관통공(54) 및 제2 관통공(56)의 외주측 에지까지의 간격(C5)이 관통공(57) 사이의 중앙으로 향함에 따라 커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균등하게 하중이 발생한다. 또, 하중 집중부(58)는 전부 15개소에 형성되고, 압력 접촉부(55)의 3배 형성되기 때문에, 하중이 가압부(34)의 주위 상에 등간격으로 분산되어, 하중 집중부(58)의 하중이 작아진다. 또, 하중 집중부(58)는 압력 접촉부(55)의 외주측에 제1 관통공(54) 및 제2 관통공(56)이 형성되고, 압력 접촉부(55)와 가압부(34)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하중 집중부(58)에서의 하중이 작아진다. 따라서, 가압부(34)는 자기 디스크(3)로의 전 가압력을 변경시키지 않고, 각각의 하중 집중 간격을 작게 하기 때문에, 자기 디스크(3) 두께 방향의 국소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클램프 후에도 자기 디스크(3)의 평면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상 가압 지지 부재(31)의 적응예로서, 가압 지지 부재(41, 46, 53)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전술한 가압 지지 부재(31, 41, 46, 53)에 대하여, 압력 접촉부(38, 43, 48, 55)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가압 지지 부재의 압력 접촉부는 최소한 주위 방향으로 분산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관통부도 최소한 주위 방향으로 분산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관통부 및/또는 압력 접촉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하중 전달부의 형상을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하중 집중부의 하중이 균등하게 또한 등간격으로 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은 클램프 기구(21)가 장착된 자기 디스크(3)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재생을 하는 자기 헤드 장치(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에 자기 헤드 소자(5b)를 일체적으로 장착한 헤드 슬라이더(5c)를 지지하는 회동 암(63)과, 회동 암(63)을 회동 조작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64)를 구비한다.
회동 암(63)은 베이스(2)에 끼워 세워진 지축(支軸)(65)에 중도부가 지지되고, 지축(65)을 중심으로 하여 도 1 중 화살표 R2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헤드 슬라이더(5c)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암(63)의 선단측에 연결된 판스프링 등의 헤드 지지 암(5a)을 통해 회동 암(63)에 장착된다. 이 헤드 지지 암(5a)은 자기 디스크(3)의 신호 기록 영역(14)에 대하여 근접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도록 형성된다.
보이스 코일 모터(64)는 회동 암(63)의 기단측에 장착된 구동 코일(66)과, 구동 코일(66)에 대향하여 베이스(2) 상에 배치되는 마그넷(67)으로 구성된다. 보이스 코일 모터(64)는 구동 코일(66)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와 마그넷(67) 자계의 작용에 의해 회동 암(63)을 지축(65)을 중심으로 하여 도 1 중 화살표 R2방향으로 회동시킨다.
회동 암(63)이 회동 조작됨으로써, 회동 암(63)의 선단측에 장착된 헤드 슬라이더(5c)가 자기 디스크(3)의 내외주에 걸쳐 이동되고, 헤드 슬라이더(5c)에 장착된 자기 헤드 소자(5b)가 자기 디스크(3)의 신호 기록 영역(14)을 주사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을 재생한다. 이 때, 이 자기 헤드 장치(5)는 회전 구동되는 자기 디스크(3)의 신호 기록 영역(14)이 형성된 면에 대향되면, 자기 디스크(3)와 헤드 슬라이더(5c) 사이에 발생하는 에어류(E)의 작용에 의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슬라이더(5c)가 자기 디스크(3)로부터 부상된다. 헤드 슬라이더(5c)가 부상됨으로써, 헤드 소자(5b)는 자기 디스크(3)에 접촉하지 않도록 신호 기록 영역(14)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D1)만큼 부상된 상태에서 신호 기록 영역을 주사한다.
이 때,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는 스핀들 모터(4)가 구동됨으로써, 스핀들 모터(4)가 발열되어, 자기 디스크(3) 주위의 환경 온도가 상승한다. 또, 스핀들 모터(4)가 정지되면, 자기 디스크(3) 주위의 환경 온도는 저하된다. 이와 같이 자기 디스크(3)의 환경 온도가 변화되었을 때, 자기 디스크(3)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경 방향으로 팽창, 수축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자기 디스크(3)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기구(21) 축부(22)의 외주면과 센터(11) 사이에 간극(C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공(11)이 축경되어도 축부(22)의 외주면과 센터공(11)의 측면이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클램프 기구(21)는 클램프부(15)와 절결부(24)의 클램프부(15)와 대향하는 면 사이에 간극(C2)이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크 지지부(23)나 스페이서(26)와 돌기(18a, 18b)가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 소정 간격(l1) 떼어 자기 디스크(3)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18a, 18b)와 지지부(25, 28, 29)가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가압 지지 부재(31)는 구동축(4a)의 축선 방향으로 자기 디스크(3)를 가압하고, 이 가압력이 자기 디스크(3) 직경 방향의 어긋나는 힘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 가압 지지 부재(31)의 가압부(34)는 단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또 자기 디스크(3)와의 접촉면이 원활하게 형성된다. 또한, 가압 지지 부재(31)의 가압부(34)에 형성되는 하중 집중부(40)는 하중이 작아진다. 따라서, 자기 디스크(3)는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되는 경우라도, 원활하게 수축될 수 있어, 자기 디스크(3)가 두께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도 1 중 R1방향으로 회전된 경우라도 면 동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에 대하여, 복수매의 자기 디스크(3)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1장의 자기 디스크(3)를 사용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 경우, 자기 디스크(3)의 클램프 기구(21)는 스핀들 모터(4)의 구동축(4a)과 일체로 회전되는 축부에 형성된 디스크 지지부(23)와 가압 지지 부재(31)로 자기 디스크(3)를 협지하도록 하여 지지하면 된다.
또, 전술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3)는 환경의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 팽창한다. 그러므로, 자기 디스크(3)는 자기 디스크의 중심(O1)과 축부(22) 중심(O2)의 회전 중심이 어긋나, 편심이 발생한다. 그래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1)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3)의 편심을 방지하는 편심 방지 부재(72)를 클램프 기구(21)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는 생략한다.
편심 방지 부재(72)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 등의 스프링 부재를 펀칭하여 형성되고, 스페이서(26)의 내주면에 장착된다. 스페이서(26)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면에 축부(22)에 끼워 맞추기 위한 감합 돌부(嵌合突部)(73)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감합 돌부(73)에는 편심 방지 부재(72)가 장착된다. 편심 방지 부재(72)는 금속판 등의 탄성 변위 가능한 스프링 부재를 펀칭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편심 방지 부재(72)는 중심부에 편심 방지 부재(72)를 감합 돌부(72)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74)이 형성된다. 편심 방지 부재(72)는 장착공(74)에 감합 돌부(73)가 끼워 맞추어지고, 접착제 등에 의해 스페이서(26)의 내주면에 고정하여 장착된다.
또, 편심 방지 부재(72)는 자기 디스크(3) 센터공(11)의 측면을 자기 디스크(3)의 외주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부(75)가 형성된다. 가압부(75)는 상하로 인접하는 2장의 자기 디스크(3)를 동시에 누를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가압부(75)는 자기 디스크(3)의 센터공(11) 측면을 자기 디스크(3)의 외주 방향으로 누른다.
이와 같은 편심 방지 부재(72)는 자기 디스크(3)의 센터공(11)을 균등하게 외주 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복수 장착된다. 예를 들면, 편심 방지 부재(72)는 축부(22)가 서로 직교하는 중심선 상에 서로 대향하여 4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71)는 편심 방지 부재(72)가 자기 디스크(3) 센터공(11)의 측벽을 균등하게 외주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클램프 기구(21)에 장착된 자기 디스크(3)의 편심을 기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의 최상단의 자기 디스크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해도 된다. 즉, 자기 디스크(76)는 상하면을 비대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자기 디스크(76)는 상면측의 클램프부(77)가 기판 본체(13)의 신호 기록 영역(14)보다 일단(一段) 내려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클램프부(77)에는,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가압 지지 부재(31)의 가압부(34)가 맞닿는다. 그리고, 이 자기 디스크(76)는 복수매의 자기 디스크를 사용할 때는, 최상단의 자기 디스크에 사용할 수 있는 외에, 자기 디스크가 1장인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1)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자기 디스크(81)는 최상단의 자기 디스크(3)와 가압 지지 부재(31) 사이에, 자기 디스크(3)를 누르는 각각의 집중 하중을 완화하는 집중 하중 완화 부재(82)를 개재시킨다.
이 집중 하중 완화 부재(82)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22)의 외경과 대략 동일 내경을 가진 링형으로 형성되고, 축부(22)에 끼워 맞춰 배치한다. 또, 집중 하중 완화 부재(82)는 최상단의 자기 디스크(3)와 대향하는 면의 내주측에 절결부(83)가 형성된다. 이 절결부(83)는 클램프부(15)와 절결부(83)의 클램프부(15)와 대향하는 면 사이에 간극(C3)을 형성한다. 절결부(83)는 이 간극(C3)에 의해, 디스크 기판의 성형 시, 디스크 기판을 냉각할 때, 디스크 기판의 내주단에 발생하는 돌기(18a, 18b)가 집중 하중 완화 부재(8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간극(C3)은, 예를 들면 0.02mm 이상이다. 또, 집중 하중 완화 부재(82)는 절결부(83)의 외주측에 자기 디스크(3)의 클램프부(15)에 맞닿는 접촉부(84)가 형성된다. 이 접촉부(84)의 접촉면은 원활한 면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Rmax 0.4㎛ 이하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온도 변화에 의해 자기 디스크(3)가 직경 방향으로 신축될 때, 접촉부(84)는 클램프부(15)를 미끄러지기 쉽게 하여, 클램프부(15)와 맞닿은 장소가 어긋나는 데 따른 끌기에 의한 자기 디스크(3)의 평면성 악화를 방지한다. 또, 자기 디스크(3)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해 신축되지만, 이 신축 시에 있어서, 접촉부(84)는, 클램프부(15)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클램프부(15)의 접촉부가 어긋나는 데 따른 자기 디스크(3)의 표면성의 악화를 방지한다.
그리고, 접촉부(84)의 접촉면은 그 표면도, 즉 표면의 미소한 요철 격차의 평균치가 4㎛ 이하로 형성되어, 클램프부(15)와 미끄러지기 쉽게 해도 된다. 또, 접촉부(84)의 접촉면은 표면에 코팅재, 예를 들면 윤활성, 내마모성이 우수한, 예를 들면 불소나 테플론을 도포하여, 클램프부(15)와 미끄러지기 쉽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하중 집중을 완화하는 집중 하중 완화 부재(82)를 자기 디스크(3) 사이에 개재시켜 가압 지지 부재(31)를 장착하면, 가압 지지 부재(31)에는 하중 집중부(40)가 형성된다. 집중 하중 완화 부재(82)는 하중 집중부(40)에서의 각각의 누름력을 분산한다. 따라서, 집중 하중 완화 부재(82)는 자기 디스크(3)로의 집중 하중치를 작게 하여, 자기 디스크(3)의 두께 방향의 국소적인 변형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집중 하중 완화 부재(82)는 자기 디스크(3)와 접촉하는 접촉부(84)의 접촉면이 원활한 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기 디스크(3)가 온도 변화에 의해 신축되는 경우에도, 끌기에 의한 자기 디스크(3)의 평면성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이 적용된 디스크 카트리지(101)에 대하여, 도 24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하프(half)(102, 103)를 맞대기 결합한 카트리지 본체(104)를 구비하고, 이 카트리지 본체(104) 내에 정보 신호가 기록되는 자기 디스크(105)가 수납되어 이루어진다.
자기 디스크(105)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디스크 기판에 자성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자기 디스크(105)에는, 중심부에 자기 디스크(105)를 기록 재생 장치측의 디스크 회전 조작 기구(153)와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클램프 기구(111)를 장착하기 위한 센터공(106)이 형성된다. 그리고, 자기 디스크(105)는 전술한 자기 디스크(3)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는 생략한다.
그리고, 자기 디스크(105)의 센터공(106)에 장착되는 클램프 기구(111)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105)의 센터공(106) 주변에서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 부재(112)를 가진다. 디스크 지지 부재(112)는 금속판 등의 자기 흡인 가능한 판형 부재를 센터공(106)을 폐색할 수 있는 크기로 펀칭하여 형성된다. 이 디스크 지지 부재(112)는 중심에 자기 디스크(105)를 회전 조작하는 회전 조작 기구(153)의 구동축이 삽입 통과되는 구동축 삽입 통과공(113)이 형성된다. 또,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는 자기 디스크(105)의 센터공(106) 주변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센터공(106)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18)를 피하기 위한 절결부(114)가 형성된다. 즉, 절결부(114)는 자기 디스크(105)의 클램프부(15)와 절결부(114)의 클램프부(15)와 대향하는 면 사이에 간극(C6)을 형성하고, 이 간극(C6)에 의해, 디스크 기판의 성형 시, 디스크 기판을 냉각할 때, 디스크 기판의 내주단에 발생하는 돌기(18a, 18b)가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자기 디스크(105)의 클램프부(15)와 절결부(114)의 클램프부(15)와 대향하는 면의 간극(C6)은, 예를 들면 0.02mm 이상이다.
또,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는 절결부(114)의 외주측에, 자기 디스크(105)의 클램프부(15)에서 자기 디스크(105)를 지지하는 지지부(115)가 형성된다. 즉, 자기 디스크(105)는 기판 본체(13)의 내주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 즉 기판 본체(13)의 내주단에 발생하는 돌기(18)가 없어져 기판 본체(13)의 면이 평탄하게 되는 클램프부(15)에서 지지부(115)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자기 디스크(105)는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대하여 평행으로 지지된다. 예를 들면, 지지부(115)는 돌기(18a)로부터 외주측으로 0.1mm 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자기 디스크(105)를 지지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등에 의해 중간 부재(116)가 장착된다. 중간 부재(116)는 디스크 지지 부재(112)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을 펀칭하여 형성되고, 외경이 센터공(106)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 중간 부재(116)의 중심부에는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형성된 구동축 삽입 통과공(113)에 대응하여 회전 조작 기구(153)의 구동축이 맞물리는 맞물림공(117)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중간 부재(116)는 센터공(106)에 여유있게 끼워지고, 센터공(106)의 측벽과 중간 부재(116)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C7)이 형성된다. 이 간극(C7)은 센터공(106)의 외주면과 중간 부재(116)의 측면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간극(C7)은 센터공(106)의 측면과 중간 부재(116)의 외주면이 접촉했을 때, 자기 디스크(3)가 휘는 것을 방지한다.
또, 클램프 기구(111)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105)를 디스크 지지부(112)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 지지 부재를 가진다. 가압 지지 부재(121)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재 등의 판형 부재를 링형으로 펀칭하여 형성되고, 센터공(106)을 폐색할 수 있고, 외주측에서 클램프부(15)를 누를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가압 지지 부재(121)에는, 중앙부에 위치 결정용 개구부(122)가 형성되고, 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위치 결정공(123)이 형성된다. 가압 지지 부재(121)는 맞물림공(117)을 구성하는 원통부에 끼워 맞춰지고, 도시하지 않지만 중간 부재(116)에 위치 결정 돌기가 위치 결정공(123)에 맞물림으로써, 자기 디스크(105)의 센터공(106) 상면측 주변에 배치된다.
또, 가압 지지 부재(121)는 직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외주측의 자기 디스크(3)와 대향하는 측면에 자기 디스크(105)를 누르는 가압부(124)가 형성된다. 가압부(124)는 가압 지지 부재(121)의 자기 디스크(105)와 대향하는 면측에 단면 대략 원호형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또, 가압부(124)는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장착되었을 때, 디스크 지지 부재(112)의 지지부(115)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124)는 자기 디스크(105)의 클램프부(15)에 대하여, 점접촉으로 되고, 자기 디스크(105)가 직경 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클램프부(15)와의 접촉부가 어긋나는 데 따른 자기 디스크(105)의 표면성 악화를 방지한다.
가압부(124)는 고정 나사(125)에 의해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장착되었을 때, 자기 디스크(105)의 클램프부(15)에서 자기 디스크(105)를 디스크 지지 부재(112) 방향으로 누르는 복수의 하중 집중부(130)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중 집중부(130)에 대해서는 상세를 후술한다.
또, 가압부(124)는 클램프부(15)와의 접촉면이 원활한 면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면 Rmax 0.4㎛ 이하로 형성된다. 가압부(124)의 접촉면은 연마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 지지 부재(121)가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장착되었을 때, 가압부(124)는 자기 디스크(105)가 직경 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클램프부(15)부와의 접촉부가 어긋나는 데 따른 자기 디스크(3)의 평면성 악화를 방지한다. 또, 자기 디스크(105)는 합성 수지제의 디스크 기판(10)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의해 신축되지만, 이 신축 시에 있어서, 가압부(124)는 클램프부(15)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쉽게 되어, 클램프부(15)와의 접촉부가 어긋나는 데 따른 자기 디스크(3)의 평면성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압부(124)는 그 표면도(表面度), 즉 가압부(124) 표면의 미소한 요철 격차의 최대치가 4㎛ 이하로 형성되어, 클램프부(15)와 미끄러지기 쉽게 해도 된다. 또, 가압부(124)의 접촉면은 표면에 코팅재, 특히 윤활성, 내마모성이 있는 것, 예를 들면 불소나 테플론을 도포하여, 클림프부(15)와 미끄러지기 쉽게 해도 된다.
또, 가압 지지 부재(121)에는, 가압부(124)에 자기 디스크(105)를 누르는 하중 집중부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공(126)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공(126)은 가압 지지 부재(121)의 주위 방향으로, 가압 지지 부재(121)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공(126)은 대략 원호형의 긴 구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126)은 가압 지지 부재(121)의 중심과 관통공(126)의 양단부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α)이 (360/2N)°(N은, 고정 나사(25)의 개수)로 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4에 나타낸 관통공(36)은 α가 60°로 되도록 형성되고, 전부 3개 형성된다.
또, 관통공(126)에는, 내주측으로 돌출하여 고정 나사(125)에 의해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압력 접촉되는 압력 접촉부(127)가 형성된다. 압력 접촉부(127)는 관통공(126)이 내주측 에지 중앙에, 내주측으로 절결되어 형성되고, 여기에 가압 지지 부재(121)를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125)가 삽입 통과된다. 그리고, 압력 접촉부(127)는 고정 나사(125)의 머리부(125a)에 의해 눌려,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압력 접촉된다. 또,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는, 압력 접촉부(127)에 대응하여, 도시하지 않지만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가압 지지 부재(121)는 고정 나사(125)가 압력 접촉부(127)에 삽입 통과되어, 나사 구멍에 나사맞춤됨으로써,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고정된다. 이 때, 고정 나사(125)의 머리부(125a)는 압력 접촉부(127)가 관통공(126)의 내주측 에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측 에지에는 맞닿지 않는다.
또, 가압 지지 부재(121)에는 각 관통공(126) 사이에, 압력 접촉부(127)에서의 하중을 가압부(124)에 전달하는 하중 전달부(129)가 형성된다. 하중 전달부(129)는 압력 접촉부(127)가 고정 나사(125)의 머리부(125a)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가압부(124)를 지점으로 하여 자기 디스크(105)측으로 휘도록 탄성 변위되어, 압력 접촉부(127)에서의 하중을 가압부(124)에 전달한다. 이 때, 가압부(124)는 하중 전달부(130)가 자기 디스크(105)측으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가압 지지 부재(121)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압부(124)에는 관통공(126)의 양단부 근방에, 자기 디스크(105)를 누르는 하중이 집중되는 하중 집중부(130)가 형성된다.
하중 집중부(130)는 관통공(126)의 양단부 근방에, 균등한 하중으로 6개소에 형성된다. 즉, 가압 지지 부재(121)를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125) 개수의 2배 형성된다. 따라서, 하중이 분산되어, 하중 집중부(130)의 1개당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하중 집중부(130)는 압력 접촉부(127)의 외주측에 관통공(126)이 형성되고, 압력 접촉부(127)와 가압부(124)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하중 집중부(130)에서의 각각의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 기구(111)는 자기 디스크(105)의 센터공(106)에 중간 부재(116)가 여유있게 끼워지고, 지지부(115)가 클램프부(15)의 하면에서 자기 디스크(105)를 지지하고, 자기 디스크(105)의 상면측 클램프부(15)에 가압 지지 부재(121)를 배치하고, 고정 나사(125)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자기 디스크(105)를 협지 지지한다. 이 때, 고정 나사(125)의 머리부(125a)는 압력 접촉부(127)를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압력 접촉한다. 그러면, 하중 전달부(129)는 압력 접촉부(127)가 고정 나사(125)의 머리부(125a)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가압부(124)를 지점으로 하여 자기 디스크(105)측으로 휘도록 탄성 변위되어, 압력 접촉부(127)에서의 하중을 가압부(124)에 전달한다. 이 때, 가압부(124)는 하중 전달부(129)가 탄성 변위됨으로써, 가압 지지 부재(121)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압부(124)에는, 관통공(126)의 근방에 균등하게 하중 집중부(130)가 형성된다. 하중 집중부(130)는 압력 접촉부(127)의 외주측으로 관통공(126)이 형성되고, 압력 접촉부(127)와 가압부(124)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하중 집중부(130)에서의 하중이 작아져, 자기 디스크(105)의 두께 방향의 국소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 기구(111)가 장착된 자기 디스크(105)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카트리지 본체(104)를 구성하는 상하프(102)와 하하프(103)는,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성이 양호하고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또, 상하프(102)의 내면 대략 중앙부에는, 맞물림공(117)에 맞물려, 자기 디스크(105)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 돌기(10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하프(102)와 하하프(103)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는, 카트리지 본체(104)에 수납되는 디스크(105)를 수납하는 간막이벽(131)이 형성된다. 간막이벽(131)은 상하프(102)와 하하프(103)의 주위에 세워 설치된 우뚝 솟은 주벽(周壁)(102a, 103a)에 내접(內接)하도록 형성되고, 상하프(102)와 하하프(103)가 나사(107) 등에 의해 서로 맞대기 결합되어 카트리지 본체(104)를 구성했을 때, 그 내부에 자기 디스크(105)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디스크 수납부(132)를 구성하여, 외기(外氣)로부터의 먼지의 혼입을 방지하고 있다.
하하프(3)의 중심부에는 클램프 기구(111)를 바깥 쪽으로 면하게 하는 중앙 개구부(133)가 형성된다. 이 중앙 개구부(133)로부터는 기록 재생 장치측의 자기 디스크(105)를 회전하는 회전 조작 기구(153)가 진입된다. 또, 상하프(102)와 하하프(103)를 결합했을 때, 카트리지 본체(104)에는 기록 재생 장치로의 삽입단이 되는 전면(前面)의 우뚝 솟은 주벽(102a, 103a)에, 자기 디스크(105)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재생을 하는 자기 헤드 장치가 진입하는 기록 재생용 개구부(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134)는 카트리지 본체(4)의 전면부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셔터 부재(136)에 의해 폐색된다. 또, 상하프(102)와 하하프(103)의 전면측에는, 개구부(134)를 폐색하는 셔터 부재(136)가 이동하는 셔터 이동부(135)가 형성된다.
셔터 이동부(135)에 조립되는 셔터 부재(136)는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이 셔터 부재(136)는 한쌍의 가이드판(136a)과, 한쌍의 가이드판(136a)을 연결하는 동시에 개구부(134)를 폐색하는 셔터부(136b)를 구비한다. 셔터부(136b)에는 한쪽의 단부에, 셔터 부재(13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프편(片)(135)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편(137)은 카트리지 본체(104)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37a)에 맞물린다. 또, 셔터 부재(136)는 스프링(138)에 의해 개구부(134)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스프링(138)은 일단이 카트리지 본체(104)의 전면에 걸리고, 타단이 셔터 부재(136)에 걸림으로써, 셔터 부재(136)를 도 24 및 도 25 중 화살표 D1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이와 같은 셔터 부재(136)는 기록 재생 장치(151)에 장전되었을 때에 한해, 개구부(134)를 개방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151)에 장전되지 않은 비사용 시에, 디스크 수납부(132) 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카트리지 본체(104)에는, 셔터 부재(136)가 장착되는 전면과 대향하는 배면측에, 자기 디스크(105)에 기록된 정보 신호를 잘못하여 소거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기록 방지 기구(139)가 형성된다. 오기록 방지 기구(139)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기록을 방지하는 오기록 방지 부재(141)를 가진다. 오기록 방지 부재(141)는 하하프(103)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수납부(142)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수납부(142)에는, 기록 불가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공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오기록 방지 부재(141)를 이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공(14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오기록 방지 기구(139)는 기록 불가의 상태인 때, 검출공(144)을 폐색한 위치에 있다. 이 때, 기록 재생 장치측의 검출 기구가 검출공(144)이 폐색되어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오기록이 방지된다. 그리고, 정보 신호를 자기 디스크(105)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검출공(144)을 개방하도록, 오기록 방지 부재(141)가 이동 조작된다. 그리고, 검출 기구가 검출공(144)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정보 신호의 기록을 허가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기록 재생을 하는 기록 재생 장치(151)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152)을 구비하고, 하우징(152) 내에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장착되고, 카트리지 본체(10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자기 디스크(105)를 회전 조작하는 회전 조작 기구(153)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152)의 전면측에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01)의 삽입 이탈을 하기 위한 삽탈구(揷脫口)(154)가 형성된다. 또, 하우징(152)으로부터는 외부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 코드(155)가 도출된다.
자기 디스크(105)를 회전 조작하는 기록 재생 장치측의 회전 조작 기구(153)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105)를 클램프 기구(111)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디스크 테이블(156)을 가진다. 이 디스크 테이블(156)은 중심에, 디스크 지지 부재(112)의 구동축 삽입 통과공(113)을 삽입 통과하고, 중간 부재(116)의 맞물림공(117)에 맞물리는 구동축(157)을 가지고, 이 구동축(157)의 외주측에, 자기 디스크(105)를 지지하는 디스크 받침부(158)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디스크 받침부(158)의 내주측에는 클램프 기구(111)의 디스크 지지 부재(112)를 자기 흡인하기 위해, 구동축(157)을 중심으로 하여 균일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링형의 마그넷(159)이 배치된다. 그리고,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기록 재생 장치 내의 회전 조작 기구(153)에 장착되면, 회전 조작 기구(153)는 마그넷(159)이 클램프 기구(111)의 디스크 지지부(112)를 자기 흡인함으로써, 마그넷 처킹하여 자기 디스크(105)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 테이블(156)은 디스크 테이블(156)을 회전하는 구동부(161)에 의해 회전된다. 이 구동부(161)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테이블(156)의 외주단에 수하(垂下)되어 형성되는 로터부(162)와, 로터부(162)의 내면에 배치되고, 자계를 발하는 마그넷(163)과, 마그넷(163)과 대향하여 스테이터(stator)(165)에 배치되는 구동 코일(164)을 가진다. 또, 구동축(157)은 스테이터(165)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161)는 구동 코일(164)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구동 코일(164)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와 마그넷(163) 자계의 작용에 의해, 로터부(162)와 함께 디스크 테이블(156)을 회전한다.
여기에서, 회전 조작 기구(153)의 자기 디스크(105)를 처킹하는 처킹력과 전 가압력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즉, 회전 조작 기구(153)가 자기 디스크(105)를 자기 흡인하고, 마그넷 처킹하는 처킹력을 M, 가압 지지 부재(121)가 자기 디스크(105)를 누르는 전 가압력을 F로 하면, M 〈 F로 된다. 이에 따라, 자기 디스크(105)가 회전 조작 기구(153)에 처킹되고 있을 때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자기 디스크(105)의 처킹이 해제되어, 자기 디스크(105)가 클램프 기구(111)에 대하여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디스크(105)는 회전 조작 기구(153)에 장착되어 있을 때, 충격 등에 의해 처킹이 벗어나도, 기록 재생 장치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은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기록 재생 장치(151)에 장전되지 않은 비사용 시인 때, 셔터 부재(136)가 개구부(134)를 폐색한 위치에 있어, 개구부(134)로부터 먼지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도 24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카트리지(101)가 셔터 부재(136)가 장착된 전면을 삽입단으로 하고, 삽탈구(154)로부터 하우징(152) 내로 삽입되면, 셔터 부재(136)가 기록 재생 장치(151)측의 셔터 부재(136)를 이동 조작하는 셔터 개방 기구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1)의 기록 재생 장치로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도 19 중 화살표 D1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부(134)가 개방된다. 이 때,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구동축(157)이 디스크 지지 부재(112)의 구동축 삽입 통과공(113)을 삽입 통과하여, 중간 부재(116)의 맞물림공(117)에 맞물리고, 디스크 테이블(156)에 배치된 마그넷(159)에 의해 마그넷 처킹되어, 디스크 테이블(156)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면, 디스크 카트리지(101)에는 개구부(134)로부터 카트리지 본체(104) 내에 기록 재생 장치(151)측의 기록 재생 기구를 구성하는 자기 헤드가 진입한다. 그리고, 자기 헤드가 회전 조작되는 자기 디스크(105)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재생을 한다.
이 때, 자기 디스크(105)가 노출되는 환경 온도는, 비사용 시의 온도와 기록 재생 장치(151)에 장전되었을 때의 온도의 차가 커 보장 온도 범위가 넓어진다. 따라서, 자기 디스크(105)의 환경 온도가 변화했을 때, 자기 디스크(105)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경 방향으로 팽창, 수축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자기 디스크(105)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공(106)의 측벽과 중간 부재(116)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C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공(106)이 축경되어도, 센터공(106)의 측벽과 중간 부재(116)의 외주면이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클램프 기구(111)는 자기 디스크(105)의 클램프부(15)와 절결부(114)의 클램프부(15)와 대향하는 면 사이에 간극(C6)이 형성되고, 또 소정 간격을 두고 자기 디스크(3)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18a, 18b)가 디스크 지지 부재(112), 중간 부재(116) 및 가압 지지 부재(121)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지지 부재(121)는 자기 디스크(105)의 디스크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기 디스크(105)를 누른다. 또, 가압 지지 부재(121)의 가압부(124)는 단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또 자기 디스크(105)와의 접촉면이 원활하게 형성된다. 또, 가압 지지 부재(121)의 가압부(124)의 주위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중 집중부(130)는 하중이 작아진다. 따라서, 자기 디스크(105)는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되는 경우라도, 원활하게 수축될 수 있어, 끌기에 의한 자기 디스크(105)의 평면성 악화가 방지되고, 자기 디스크(105)가 회전된 경우라도 면 동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카트리지 본체(104) 내에 1장의 자기 디스크(105)를 수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복수매의 자기 디스크를 수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디스크 지지 부재(112)에 센터공(106)에 삽입 통과되는 축부를 형성하고, 이 축부에 복수매의 자기 디스크(105)를 삽입 통과하고, 자기 디스크(105) 사이에 자기 헤드 장치를 진입할 수 있을 정도로 소정 간격을 비우게 스페이서를 개재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상기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105)의 편심을 방지하는 편심 방지 부재(72)를 클램프 기구(111)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또한 편심 보정용 서보 제어를 회전 조작 기구측에서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자기 디스크(105)는 상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측에 기판 본체(13)의 신호 기록 영역(14)보다 일단 내려 클램프부(77)를 형성하고, 상하면이 비대칭으로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101)는 상기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디스크(105)와 가압 지지 부재(121) 사이에, 자기 디스크(105)를 누르는 집중 하중을 완화하는 집중 하중 완화 부재(82)를 개재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가압 지지 부재(121)가 자기 디스크(105)를 누르는 가압력을 완화할 때, 하중 집중을 분산시켜 자기 디스크(105)의 표면에 한결같은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된 상태로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용의 헤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부상된 상태에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지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클램프 기구에 의해 평면성이 양호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는 서로 대향하는 각 면과 동일 평면상이며, 센터공의 외주위로부터 최소한 0.1mm 외주측이 협지되기 때문에, 회전되었을 때, 편심이 방지되고, 기록 및/또는 지생 헤드와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6)

  1.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중심부에 센터공이 형성된 기판을 가지고, 최소한 한쪽 면에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용 헤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부상(浮上)된 상태에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행해지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한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공 주위의 한쪽 면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공 주위의 다른 쪽 면측을 지지하는 가압 지지 부재를 가지는 클램프(clamp)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기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는 서로 대향하는 각 면과 동일 평면 상이며, 상기 센터공의 외주위(外周圍)로부터 최소한 0.1mm 이상 외측의 영역을 협지(挾持)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외주측에 형성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내주측에 상기 센터공의 외주위에 형성된 돌기를 회피하는 절결부(切缺部)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0.02mm 이상 이간(離間)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기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각 면의 동일 위치를 협지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는 판(板)스프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에는, 외주측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을 누르는 가압부가 대략 원호형(圓弧形)으로 팽창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는 표면 조도(粗度)의 최대치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는 표면 조도가 RMAX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지지 부재 및/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가 접촉하는 영역은, 표면 조도의 최대치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에는, 코팅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슬라이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윤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내(耐)마모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클램프 기구가 장착되는 영역은, 단면(斷面) 형상이 상하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중심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센터공에 삽입 통과되는 축부(軸部)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와 상기 센터공 사이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축되어, 상기 센터공이 축경(縮徑)되었을 때, 상기 센터공에 상기 축부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공과 상기 축부 사이에는, 상기 센터공의 측면을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편심(偏心)을 방지하는 편심 방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접촉부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사이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집중 하중(荷重)을 완화하는 집중 하중 완화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하중 완화 부재는, 외주측에 형성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접촉부의 내주측에 상기 센터공의 외주위에 형성된 돌기를 회피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0.02mm 이상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하중 완화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는, 표면 조도의 최대치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 하중 완화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는, 표면 조도가 RMAX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기구는, 추가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가압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센터공에 배치된 중간 부재를 가지며,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센터공 사이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축되어, 상기 센터공이 축경되었을 때, 상기 센터공에 상기 중간 부재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접촉부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사이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집중 하중을 완화하는 집중 하중 완화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공과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는, 상기 센터공의 측면을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편심을 방지하는 편심 방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24.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되고, 중심부에 센터공이 형성된 기판을 가지고, 최소한 한쪽 면에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중심부에 형성된 축부가 상기 센터공에 삽입 통과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한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공 주위의 한쪽 면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공 주위의 다른 쪽 면측을 지지하는 가압 지지 부재를 가지는 클램프 기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된 상기 클램프 기구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회전하는 디스크 회전 조작 기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된 상태에서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부상된 상태에서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헤드
    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기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는 서로 대향하는 각 면과 동일 평면 상이며, 상기 센터공의 외주위로부터 최소한 0.1mm 이상 외측의 영역을 협지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드라이브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는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면을 서로 평행으로 한 상태에서 복수매 적층되어 배치되고, 인접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사이에는, 상기 축부에 삽입 통과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최하단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한쪽 면측을 지지하고, 상기 가압 지지 부재는 최상단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외주측에 형성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내주측에 상기 센터공의 외주위에 형성된 돌기를 회피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0.02mm 이상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부는 표면 조도의 최대치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부는 표면 조도가 RMAX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부에는, 코팅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슬라이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윤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내(耐)마모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외주측에 형성된 상기 최하단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내주측에 상기 센터공의 외주위에 형성된 돌기를 회피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에는, 외주측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을 누르는 가압부가 대략 원호형으로 팽창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와 상기 센터공 사이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축되어, 상기 센터공이 축경되었을 때, 상기 센터공에 상기 축부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공의 측면을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외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편심을 방지하는 편심 방지 부재가 상기 센터공과 상기 축부 사이에 개재(介在)되도록 상기 스페이서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38.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한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센터공 주위의 한쪽 면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공 주위의 다른 쪽 면측을 지지하는 가압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가압 지지 부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는 서로 대향하는 각 면과 동일 평면 상이며,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상기 센터공 외주위로부터 최소한 0.1mm 이상 외측 영역을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는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외주측에 형성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내주측에 상기 센터공 외주위에 형성된 돌기를 회피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깊이가 0.02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기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각 면의 동일 위치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에는, 외주측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을 누르는 가압부가 대략 원호형으로 팽창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는, 표면 조도의 최대치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는, 표면 조도가 RMAX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에는, 코팅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슬라이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윤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내마모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4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중심부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센터공에 삽입 통과되는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와 상기 센터공 사이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축되어, 상기 센터공이 축경되었을 때, 상기 센터공에 상기 축부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면을 서로 평행으로 한 상태에서 복수매 적층되어 배치되고, 인접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사이에는, 상기 축부에 삽입 통과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최하단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한쪽 면측을 지지하고, 상기 가압 지지 부재는 최상단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누르는 전(全) 가압력은, 전 가압력을 F로 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총중량을 W로 하고, 비동작 시의 내(耐)충격 가속도를 G로 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마찰 계수를 μ로 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하면의 마찰 계수를 2μ로 하면,
    W ×G ≤F 〈 W ×G/2μ
    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5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기구는, 추가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가압 지지 부재 사이에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센터공에 배치된 중간 부재를 가지고,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센터공 사이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축되어, 상기 센터공이 축경되었을 때, 상기 센터공에 상기 중간 부재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누르는 전 가압력은, 전 가압력을 F로 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회전하는 디스크 회전 조작 기구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처킹하는 처킹력을 F로 하면,
    M 〈 F
    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5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는 외주측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누르는 가압부와, 주위 방향으로 분산 형성되어, 상기 가압 지지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 부재에 압력 접촉되는 압력 접촉부와, 상기 압력 접촉부로부터 외주측에서 주위 방향으로 분산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압력 접촉부가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압력 접촉됨으로써, 상기 압력 접촉부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탄성 변위되어, 상기 압력 접촉부에서의 하중을 상기 압력 접촉부에 전달하는 하중 전달부를 가지고,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압력 접촉부가 상기 지지 부재에 압력 접촉되었을 때,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누르는 하중 집중부가 상기 관통부의 양단부 근방에 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접촉부는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대략 원호형의 장공(長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부의 내주측 에지 중앙에 상기 압력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양단부 근방에 상기 하중 집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에는 주위 방향에서 상기 압력 접촉부의 외주측에 추가의 관통부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의 양단부 근방의 상기 가압부에 추가의 하중 집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클램프 기구.
  58.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중심부에 형성된 센터공에 삽입 통과되는 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공 주위의 한쪽 면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공 주위의 다른 쪽 면측을 지지하는 가압 지지 부재를 가지는 클램프 기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장착된 상기 클램프 기구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조작 기구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된 상태에서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부상된 상태에서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헤드
    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기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신호 기록 영역이 형성되는 서로 대향하는 각 면과 동일 평면상이며, 상기 센터공의 외주위로부터 최소한 0.1mm 이상 외측 영역을 협지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디스크면을 서로 평행으로 한 상태에서 복수매 적층되어 배치되고, 인접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사이에는, 상기 축부에 삽입 통과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최하단의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한쪽 면측을 지지하고, 상기 가압 지지 부재는 최상단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외주측에 형성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내주측에 상기 센터공 외주위에 형성된 돌기를 회피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깊이가 0.02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2.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기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 각 면의 동일 위치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3.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는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4.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 부재에는, 외주측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다른 쪽 면을 누르는 가압부가 대략 원호형으로 팽창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5.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는, 표면 조도의 최대치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6.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는, 표면 조도가 RMAX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7.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또는 상기 가압 지지 부재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접촉부에는, 코팅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슬라이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윤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내마모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7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외주측에 형성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내주측에 상기 센터공 외주위에 형성된 돌기를 회피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깊이가 0.02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부는, 표면 조도의 최대치가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7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부는, 표면 조도가 RMAX0.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74.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접촉하는 지지부에는, 코팅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의 슬라이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윤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내마모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20007003322A 1998-07-31 1999-07-30 디스크형 기록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634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18366 1998-07-31
JP98-218365 1998-07-31
JP21836598 1998-07-31
JP21836698 1998-07-31
PCT/JP1999/004131 WO2000007189A1 (fr) 1998-07-31 1999-07-30 Support d'enregistrement en forme de disque et lecteur de dis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764A true KR20010030764A (ko) 2001-04-16
KR100634269B1 KR100634269B1 (ko) 2006-10-16

Family

ID=2652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322A KR100634269B1 (ko) 1998-07-31 1999-07-30 디스크형 기록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62903B1 (ko)
JP (1) JP4239410B2 (ko)
KR (1) KR100634269B1 (ko)
CN (1) CN100347782C (ko)
WO (1) WO2000007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805B1 (ko) * 2001-07-10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편심 제어를 위한 광디스크 제조 방법
US7016147B2 (en) * 2001-12-13 2006-03-21 Seagate Technology Llc Disk clamp balancing in a disc stack assembly
KR100459700B1 (ko) * 2002-02-15 2004-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프
JP2003338101A (ja) * 2002-05-16 2003-11-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およびクランプ
KR100468754B1 (ko) * 2002-07-19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크 클램프
US7209320B1 (en) 2004-01-16 2007-04-24 Excelstor Technology, Inc. Offset angle disc clamp
JP4024217B2 (ja) * 2004-02-16 2007-12-19 株式会社日立グローバル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ズ 磁気ディスク装置
US20070133124A1 (en) * 2005-12-08 2007-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k clamp and har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KR100829923B1 (ko) * 2006-08-30 2008-05-16 세메스 주식회사 스핀헤드 및 이를 이용하는 기판처리방법
US8305708B2 (en) * 2011-03-22 2012-11-0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having a disk clamp with openings directly radially outboard of fasteners
US9361929B2 (en) * 2012-04-12 2016-06-07 Intri-Plex Technologies, Inc. Debris reducing disk clamp for disk driv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022A (en) * 1895-10-29 Territory
JPS58144669U (ja) * 1982-03-20 1983-09-2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S63164862U (ko) * 1987-04-14 1988-10-27
US5317225A (en) * 1990-12-29 1994-05-31 Nippon Densan Corporation Spindle motor and disk clamp mechanism used therein
JP2714332B2 (ja) * 1992-10-07 1998-02-16 株式会社東芝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固定方法
ATE151558T1 (de) * 1993-08-13 1997-04-15 Seagate Technology Platteneinspann- und -abstandselement
US5486961A (en) * 1994-08-30 1996-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ilient compliant clamp for data storage disk drives
JP2856700B2 (ja) * 1995-09-27 1999-02-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デイスク装置
US6068906A (en) * 1996-05-10 2000-05-30 Sony Corporation Mold for making disc substrate, process for producing mold and disc substrate
JPH1166787A (ja) * 1997-06-14 1999-03-09 Hitachi Maxell Ltd 情報記録媒体及びこれを備えた情報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07189A1 (fr) 2000-02-10
JP4239410B2 (ja) 2009-03-18
CN1483201A (zh) 2004-03-17
CN100347782C (zh) 2007-11-07
KR100634269B1 (ko) 2006-10-16
US6462903B1 (en) 200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269B1 (ko) 디스크형 기록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900004661B1 (ko) 정보처리장치
US5297755A (en) Tape cartridge tape path
EP0516329A2 (en) Optical dis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optical disc
KR100213040B1 (ko) 광 기록 재생 장치
EP0575903B1 (en) Tape cartridge with mount plate and its combination with a tape drive
US5294072A (en) Tape cartridge door with pseudo-head for maintaining tape tension
US7191458B2 (en) Turntable and optical disk using the turntable
US4661875A (en) Information storage disc assembly
EP0266746B1 (en) Information memory medium
US5297754A (en) Tape reel with brake and dust shield
JPS63117381A (ja) 情報記憶媒体
CA2041680C (en) Magneto-optical di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94617B2 (en) Removable disk pack hub and clamp for media servowriter
JPH01311488A (ja) ディスク用記録再生装置
JPH10106198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
US20050063095A1 (en) Rotating disk storage device
JPH0664876B2 (ja) 情報記憶媒体
JP3237213B2 (ja) 情報信号記録用のディスク
JP2001101823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
JPH08167207A (ja) ハードディスク装置
JP3551179B2 (ja) ディスクテ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クテーブル製造装置
JPS6356620B2 (ko)
JPH1064216A (ja) 磁気ディスク組立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磁気ディスク装 置
JPS62114178A (ja) カセツトデイ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