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741A -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741A
KR20010030741A KR1020007003276A KR20007003276A KR20010030741A KR 20010030741 A KR20010030741 A KR 20010030741A KR 1020007003276 A KR1020007003276 A KR 1020007003276A KR 20007003276 A KR20007003276 A KR 20007003276A KR 20010030741 A KR20010030741 A KR 2001003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hot rolling
shape freezing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8464B1 (ko
Inventor
다까하시마나부
아끼스에오사무
우스다마쓰오
요시다도루
기시다고지
Original Assignee
아사무라 타카싯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8251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3074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사무라 타카싯,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아사무라 타카싯
Publication of KR2001003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이상이고, 질량%으로 C : 0.0001% 이상, 0.05% 이하, Si : 0.01% 이상, 1.0% 이하, Mn : 0.01% 이상, 2.0%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0.1%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를 함유하고, 굽힘 가공을 주체로 하는 성형에도 사용할 수 있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과 그 제조방법{FERRITE-BASED THIN STEEL SHEET EXCELLENT IN SHAPE FREEZING FEA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자동차로부터 나오는 탄산가스의 배출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고강도 강판을 사용하는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가 추진되고 있다. 또한 탑승자의 안전성의 확보를 위하여도 자동차의 차체에는 연강판 외에 고강도 강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를 앞으로도 계속 추진해나가기 위하여, 종래 이상으로 고강도 강판의 사용 강도 레벨을 높이는데 대한 새로운 요청이 매우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고강도 강판에 굽힘 가공을 가하면, 가공 후의 형상은 그 고강도 때문에 가공 지그의 형상에서 벗어나 가공전의 형상의 방향으로 돌아가기 쉽다. 가공을 가하여도 원래의 형상의 방향으로 돌아가려는 이 현상을 스프링 백이라 한다. 이 스프링 백이 발생하면 목적으로 하는 가공부품의 형상을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차체에서는 주로 440MPa 이하의 고강도 강판에 한하여 사용되어 왔다. 자동차의 차체에 있어서 490MPa 이상의 고강도 강판을 사용하여 차체의 경량화가 추진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프링 백이 적고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실상이다. 440MPa 이하의 고강도 강판이나 연강판의 가공 후의 형상 동결성을 높이는 것은 자동차나 가전제품 등의 제품의 형상 정밀도를 높이는데 있어 극히 중요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일본공개 특허공보 평 10-72644호 공보에는 압연 면에 평행한 면에 있어서 {200} 집합조직의 집적도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백 량이 적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냉연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냉연강판은 C : 0.01 내지 0.1wt%, Si : 0.05 내지 3.0wt%, Mn : 0.05 내지 2.0 wt%, P : 0.04 wt% 이하, S : 0.03 wt% 이하, Al : 0.1 wt% 이하, Cr : 15 내지 25wt%, Ni : 5 내지 15wt%, N : 0.005 내지 0.3wt%, O : 0.007wt% 이하를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등축정율 30% 이상의 연속 주조 슬라브, 또는, C : 0.01 내지 0.1wt%, Si : 0.05 내지 0.3wt%, Mn : 0.05 내지 2.0wt%, P : 0.04wt% 이하, S : 0.03wt% 이하, Al : 0.1wt% 이하, Cr : 15 내지 25wt%, Ni : 5 내지 15wt%, N : 0.005 내지 0.3wt%, O : 0.007wt% 이하를 포함하고, 또한 Cu : 0.05 내지 5.0wt%, Co : 0.05 내지 5.0wt%, Mo : 0.05 내지 5.0wt%, W : 0.05 내지 5.0wt%, Ti : 0.01 내지 0.5wt%, Nb : 0.01 내지 0.5wt%, V : 0.01 내지 0.5wt%, Zr : 0.01 내지 0.5wt%, REM : 0.001 내지 0.1wt%, Y : 0.001 내지 0.5wt%, B : 0.0003 내지 0.01wt% 및 Ca : 0.0003 내지 0.01wt%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을 함유하고,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는 등축정율 30% 이상의 연속 주조 슬라브를, 가열후, 열간 조질 압연하고, 이어서 최종 패스를 온도 1050℃ 이상, 압하율 15% 이상으로 하여 열간 마무리 압연하고, 또한 열연판 어닐링을 적절하게 실시하고, 그 후, 냉간압연 및 마무리 어닐링을 실시함으로써, 결정입경을 크게 하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냉연강판은 자동차의 가공부품 등이 아니라, 욕조, 냄비, 식기 등의 프레스 성형품에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공개 특허공보 평10-72644호 공보에는 페라이트계 강판에 있어서 그 스프링 백량을 줄이는 것에 대하여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요약
연강판이나 고강도 강판에 굽힘 가공을 하면, 강판의 강도에 의존하면서 큰 스프링 백이 발생하고 가공 성형 부품의 형상 동결성이 나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 과제를 근본적으로 유리하게 해결하여,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 강판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스프링 백을 억제하기 위한 방책으로서는, 강판의 항복점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왔다. 또한 항복점을 낮추려면 인장강도가 낮은 강판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강판의 굽힘 가공성을 향상시켜, 스프링 백 량을 낮게 억제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 등은 굽힘 가공성을 향상시켜 스프링 백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강판의 집합조직이 굽힘 가공성에 미치는 영향에 착안하여, 그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조사, 연구하였다. 또한, 강판의 굽힘 가공성에 대응할 적절한 재료 지표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강판의 집합조직 중에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 면의 비가 1.0 이상이면, 강판의 굽힘 가공성이 좋아진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박 강판의 판 면에 평행한 결정면의 존재량은 X선 회절량에 비례하는 것으로서, {200}이나 {222} 등의 X선의 회절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따라서 {200}이나 {222} 등의 X선의 회절 강도는 각각 {100}면이나 {111}면의 존재량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 된다. X선의 회절 강도비 {200}/{222}는 존재하는 결정면의 회절 강도비 {100}/{111}와 등가라도 하여도 지장은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발견에 기초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박강판이 요지로 하는 것은 이하의 (1) 내지 (10)과 같다.
(1)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2) 질량%로
C : 0.0001% 이상, 0.05% 이하,
Si : 0.01% 이상, 1.0% 이하,
Mn : 0.01% 이상, 2.0%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0.1%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3) 질량%로
C : 0.0001% 이상, 0.05% 이하,
Si : 0.01% 이상, 1.0% 이하,
Mn : 0.01% 이상, 2.0%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0.1%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Ti : 0.2% 이하, Nb : 0.2% 이하 및 B : 0.005%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4) 질량%로
C : 0.0001% 이상, 0.05% 이하,
Si : 0.01% 이상, 1.0% 이하,
Mn : 0.01% 이상, 2.0%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0.1%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Mo : 1.0% 이하, Cu : 2.0% 이하 및 Ni : 1.0%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5) 질량%로
C : 0.0001% 이상, 0.05% 이하,
Si : 0.01% 이상, 1.0% 이하,
Mn : 0.01% 이상, 2.0%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0.1%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Ti : 0.2% 이하, Nb : 0.2% 이하 및 B : 0.005%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및
Mo : 1.0% 이하, Cu : 2.0% 이하 및 Ni : 1.0%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6) 질량%로
C : 0.05% 이상, 0.25% 이하,
Si : 0.01% 이상, 2.5% 이하,
Mn : 0.01% 이상, 2.5%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1.0%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7) 질량%로
C : 0.05% 이상, 0.25% 이하,
Si : 0.01% 이상, 2.5% 이하,
Mn : 0.01% 이상, 2.5%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1.0%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Ti : 0.2% 이하, Nb : 0.2% 이하, V : 0.2% 이하,Cr : 1.0% 이하 및 B : 0.005%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8) 질량%로
C : 0.05% 이상, 0.25% 이하,
Si : 0.01% 이상, 2.5% 이하,
Mn : 0.01% 이상, 2.5%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1.0%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Mo : 1.0% 이하, Cu : 2.0% 이하 및 Ni : 1.0%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9) 질량%로
C : 0.05% 이상, 0.25% 이하,
Si : 0.01% 이상, 2.5% 이하,
Mn : 0.01% 이상, 2.5%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1.0%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Ti : 0.2% 이하, Nb : 0.2% 이하, V : 0.2% 이하,Cr : 1.0% 이하 및 B : 0.005%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및
Mo : 1.0% 이하, Cu : 2.0% 이하 및 Ni : 1.0%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10) 상기 판 면에 도금이 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또한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박강판의 제조방법이 요지는 아래의 (11) 내지 (18)와 같다.
(11) 상기 (1) 내지 (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950℃ 이하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또한 950℃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 열간 압연을 종료하고, 냉각 후, 아래의 식으로 정하는 임계 온도 To 이하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To = -650.4 × C% - 50.6 × Mneq + 894.3
단, Mneq = Mn% + 0.5 × Ni% - 1.49 × Si% - 1.05 × Mo% - 0.44 × W%
+ 0.37 × Cr% + 0.67 × Cu% - 23 × P% + 13 × Al%
(12) 상기 (10)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950℃ 이하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또한 950℃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 열간 압연을 종료하고, 냉각 후, 아래의 식으로 정하는 임계 온도 To 이하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격성에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To = -650.4 × C% - 50.6 × Mneq + 894.3
단, Mneq = Mn% + 0.5 × Ni% - 1.49 × Si% - 1.05 × Mo% - 0.44 × W%
+ 0.37 × Cr% + 0.67 × Cu% - 23 × P% + 13 × Al%
(13) 상기 (1) 내지 (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냉각 후 권취하거나, 또는 냉각 후 부가적으로 회복재결정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에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14) 상기 (10)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냉각 후 권취하거나, 또는 냉각 후 부가적으로 회복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판 면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에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15) 상기 (1) 내지 (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950℃ 이하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950℃ 이하에서의 열간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Ar3변태온도 이상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냉각 후 아래의 식으로 정하는 임계온도 To 이하의 온도로 권취하고 이어서 산 세정을 하고 압하율 80% 미만으로 냉각압연하고, 그 후 600℃ 이상 Ac3변태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에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To = -650.4 × C% - 50.6 × Mneq + 894.3
단, Mneq = Mn% + 0.5 × Ni% - 1.49 × Si% - 1.05 × Mo% - 0.44 × W%
+ 0.37 × Cr% + 0.67 × Cu% - 23 × P% + 13 × Al%
(16) 상기 (10)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950℃ 이하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950℃ 이하에서의 열간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Ar3변태온도 이상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냉각 후 아래의 식으로 정하는 임계온도 To 이하의 온도로 권취하고 이어서 산 세정을 하여 압하율 80% 미만으로 냉간압연하고, 그 후 600℃ 이상 Ac3변태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고, 또한 판 면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에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To = -650.4 × C% - 50.6 × Mneq + 894.3
단, Mneq = Mn% + 0.5 × Ni% - 1.49 × Si% - 1.05 × Mo% - 0.44 × W%
+ 0.37 × Cr% + 0.67 × Cu% - 23 × P% + 13 × Al%
(17) 상기 (1) 내지 (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이어서 냉각하고, 냉각 후 권취하거나, 또는 냉각 후 부가적으로 회복재결정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산 세정한 후, 압하율 80% 미만으로 냉간압연하고, 그 후 600℃ 이상 Ac3변태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18) 상기 (10)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이어서 냉각하고, 냉각 후 권취하거나, 또는 냉각 후 부가적으로 회복재결정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산 세정하고, 압하율 80% 미만으로 냉간압연하고, 그 후 600℃ 이상 Ac3변태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고, 또한 판 면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에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공부품 등에 사용되는, {100} 집합조직의 발달에 의하여 굽힘 가공을 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이하, 강판 또는 박(薄)강판이라 한다)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냉연강판의 인장강도와 스프링 백 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도 2는 590MPa급 냉연강판의 X선 회절 강도비 {200}/{222}와 스프링 백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냉연강판의 인장강도와 냉연강판의 스프링 백 량에 미치는 X선 회절 강도비 {200}/{222}의 효과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본 발명의 근간은,
박강판의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존재비가 1.0 이상이 되면, 박강판의 굽힘 가공성이 상당히 향상된다는데 있다. 이 존재비를 한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100}면과 {111}면의 존재비를 1.0 이상으로 한정한 것은, 이 비가 1.0보다 작으면 박강판을 굽힘 가공한 때의 스프링 백 량이 상당히 커지기 때문이다. 결정면의 존재비가 1.0 이상일 때, 스프링 백 량이 상당히 작아지는 것은 굽힘 가공시에 있어서 강판 내에서의 소성 변형이 상당히 원활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결정학의 입장에서 굽힘 가공 변형을 생각할 때, {100}면이 많으면, 단순한 미끄러짐계(glide system) 만으로만 굽힘 가공에 의한 변형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111}면이 많으면, 굽힘 가공 시에는 복수의 복잡한 미끄러짐계가 활동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굽힘 가공에 의한 변형에 있어 {111}면의 존재는 문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100}면의 존재량이 {111}면의 존재량보다 많아져, 그 비가 1.0 이상이 되면 굽힘 가공에 의한 변형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중요한 것은 강도 레벨이 낮은 연강판으로부터 고강도 강판에 이르는 모든 박강판에 있어서 박강판의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존재비가 1.0 이상이면, 박 강판의 굽힘 가공성이 상당히 향상된다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존재비는 박 강판의 강도 레벨의 제약을 넘은, 굽힘 가공성에 관한 기본적인 재료 지표이다.
박강판이라면, 상기 기재사항이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박강판의 종류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실용성이라는 면에서 볼 때,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박강판의 종류는 연강판으로부터 고강도 강판에 이른다. 물론, 열연강판이나 냉연강판의 구별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박강판의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존재비가 1.0 이상이면 얻을 수 있으나, 더 현저한 효과를 얻으려 하면 상기 존재비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2) 내지 (9)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박강판의 성분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2) 내지 (9)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박강판의 성분계는 극저 탄소강판, 고용탄소나 질소를 Ti이나 Nb로 고정한 이른 바 IF (in terstitial free) 강판, 저탄소 강판, 고용체 강화한 고강도 강판, 절출 강화한 고강도 강판, 마르텐사이트나 베이나이트 등의 변태조직에 의하여 강화한 고강도 강판, 또한 이러한 강화기구를 복합적으로 활용한 고강도 강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2)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박강판의 성분계는 주로 극저탄소강판, 저탄소강판, 고용체 강화 고강도 강판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상기 (3)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박강판의 성분계는 IF 강판, 절출 강화 고강도 강판을 주로 대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6)에 기재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의 성분계는 주로, 고용체 강화 고강도 강판과 변태조직 강화 고강도 강판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7)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박강판의 성분계는 고용체 강화 고강도 강판과 변태조직 강화 고강도 강판에, 절출 강화 기구를 복합적으로 활용한 강판에 관한 것이다.
이 때 상기 (2) 내지 (5)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박강판의 각 성분에 관한 한정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C의 하한을 0.0001%로 한 것은 실용 강에서 얻어진 C량의 하한치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한은 0.05% 초과가 되면 가공성이 나빠지므로 이 값으로 설정한다.
Si와 Mn은 탈산원소이고, 각각 0.01% 이상 포함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나, 상한을 각각 1.0% 이하, 2.0% 이하로 한정하는 것은 이를 넘으면 가공성이 열화되기 때문이다.
P와 S는 각각 0.15% 이하, 0.03% 이하로 하나, 이 또한 가공성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l은 탈산을 위하여 0.01% 이상 첨가하나, 너무 많으면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상한을 0.1%로 한다.
N과 O는 불순물이고, 가공성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각각 0.01% 이하, 0.007% 이하로 한다.
Ti, Nb, B는 탄소나 질소의 고정, 절출 강화, 세립 강화 등의 기구를 통하여 재질을 개선하므로, 각각 0.005%, 0.001%, 0.00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과도한 첨가는 가공성을 열화시키므로, 상한을 각각 0.2%, 0.2%, 0.005%로 설정한다.
Mo, Cu, Ni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0.001%, 0.001%, 0.001% 이상의 첨가는 바람직하나, 과도한 첨가는 가공성을 열화시키므로, 상한을 각각 1.0%, 2.0%, 1.0%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6) 내지 (9)에 기재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의 각 성분에 관한 한정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C의 하한을 0.05%로 한 것은 실용 고강도 강판에 있어서 C량의 하한치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한은 0.25% 초과되면 가공성이나 용접성이 나빠지므로 이 값으로 설정한다.
Si와 Mn은 탈산원소이고, 각각 0.01% 이상 포함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나, 상한을 각각 2.5%로 하는 것은 이를 넘으면 가공성이 열화되기 때문이다.
P와 S는 각각 0.15% 이하, 0.03% 이하로 하나, 이 또한 가공성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l은 탈산과 재질제어를 위하여 0.01% 이상 첨가하나, 너무 많으면 표면 성상이 열화되므로 상한을 0.1%로 한다.
N과 O는 불순물이고, 가공성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각각 0.01% 이하, 0.007% 이하로 한다.
Ti, Nb, V, Cr, B는 탄소나 질소의 고정, 절출 강화, 조직 제어, 세립 강화 등의 기구를 통하여 재질을 개선하므로, 각각 0.005%, 0.001%, 0.001%, 0.01%, 0.00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과도한 첨가는 가공성을 열화시키므로, 상한을 각각 0.2%, 0.2%, 0.2%, 1.0%, 0.005%로 설정한다.
Mo, Cu, Ni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0.001%, 0.001%, 0.0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과도한 첨가는 가공성을 열화시키므로, 상한을 각각 1.0%, 2.0%, 1.0%로 설정한다.
상기 (10)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박강판에 관한 도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기 도금, 용융도금, 증착 도금 등의 어느 것이든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강판은 굽힘 가공만이 아니라, 굽힘, 부풀림, 드로잉 등 굽힘 가공을 주체로 하는 성형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성분 조성의 강을 주조한 후, ① 열간압연 후, 소정의 온도로 권취하고, ② 열간압연 후 냉각하거나, 이 냉각 후에 열처리를 하거나, ③ 상기 ① 또는 ②의 열간압연 후, 냉각산 세정하고, 냉간압연한 후에 어닐링하고, 또한 ④ 상기 ① 또는 ②로 얻은 열연강판, 또는 상기 ③으로 얻은 냉연강판에 용융 도금 라인으로 열처리를하는 것을 기본적인 공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강판에 별도 표면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부가하여도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조건의 한정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열간압연을 강의 성분 조성으로 정하는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 종료할 때에 있어서, 그 열간 압연의 후반에, 950℃ 이하로 합계 25% 이상의 압연이 실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압연된 오스테라이트의 집합 조직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는데, 그 결과, 어떠한 냉각을 실시하여도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열연강판의 판 면에 있어서 판 면에 평행한 결정면으로부터의 X선의 회절 강도비 {200}/{222}는 1.0 이상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950℃ 이하에서의 열간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의 하한치를 25%로 하였다. 950℃ 이하, Ar3변태온도 이상에서의 열간압연에 있어서 합계 압하율이 높아질수록 보다 날카로운 집합조직의 형성이 기대되나, 이 합계 압하율이 97.5%를 넘으면, 압연기의 강성을 과잉으로 높일 필요가 있어, 경제적인 면에서의 이점이 없어지므로, 합계 압하율은 바람직하게는 97.5% 이하로 한다.
이 때, 950℃ 이상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의 열간 압연시의 열연 롤러와 강판과의 마찰계수가 0.2를 넘는 경우에는 강판 표면 근방에 있어서 판 면에 평행한 결정면으로부터의 X선의 회절 강도비 {200}/{222}가 1.0 이상이 되지 않고, 강판의 형상 동결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마찰계수 0.2를 950℃ 이하 Ar3변태온도 이상에서의 열간 압연시의 열연 롤러와 강판의 마찰계수의 상한치로 하였다. 이 마찰계수는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특히 엄격한 형상 동결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마찰 계수를 0.1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오스테라이트의 집합조직이, 최종적인 열연 강판의 조직에 그대로 남아있게 하기 위하여 이하에 정의하는 To 온도 이하에서 권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강의 성분 조성으로 결정되는 To를 권취온도의 상한으로 하였다. 이 To 온도는 오스테라이트와 오스테라이트와 동일 성분 조성의 페라이트가 동일한 자유 에너지를 가지는 온도로 한 열역학적으로 정의되고, C 이외의 성분의 영향도 고려하여 아래 (1) 식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규정되는 성분 이외의 성분에 의한 To 온도에 대한 영향은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여기에서는 무시하였다.
To = - 650.4 × C% + B … (1)
이 때, B는 강의 성분조성(중량%)으로 정하고,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B = - 50.6 × Mneq + 894.3
Mneq = Mn% + 0.5 × Ni% - 1.49 × Si% - 1.05 × Mo% - 0.44 × W%
+ 0.37 × Cr% + 0.67 × Cu% - 23 × P% + 13 × Al%
또한, 열간압연이 강의 성분조성으로 정하여지는 Ar3변태온도 이하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가공 전에 생성된 페라이트가 가공되고, 이 결과, 강한 압연 집합조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집합조직을 최종적으로 형상 동결성에 유리한 집합조직으로 하려면, 고온에서 가공된 페라이트를 냉각 도중에 권취하거나 또는 일단 냉각 후에 다시 가열하여 회복재결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Ar3변태온도 이하에서의 합계 압하율이 25% 미만인 경우에는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권취하거나, 냉각 후 재가열하여 회복재결정처리를 하여도, 판 면에 평행한 재결정면으로부터의 X선의 회절 강도비 {200}/{222}가 1.0 이상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25%를 Ar3변태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합계 압하율의 하한치로 하였다.
또한, 열간압연시의 열연 롤러와 강판과의 마찰계수가 0.2를 넘는 경우에는 강판 표면 근방에 있어서, 판 면에 평행한 결정면으로부터의 X선의 회절 강도비 {200}/{222}가 1.0 이상이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0.2를 Ar3변태온도 이하에서의 열간압연시의 열연 롤러와 강판과의 마찰 계수의 상한치로 하였다. 이 마찰계수는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고, 특히 엄격한 형상 동결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마찰계수를 0.1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열연강판 (또는 열처리된 열연강판)을 냉간 압연하고, 어닐링하여 최종적인 박강판으로 한 때에 있어서, 냉간 압연의 전 압하율이 80%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냉간압연-재결정 집합조직인 판 면에 있어서, 판 면에 평행한 결정면의 X선 회절 적분면 강도비에 있어서 {222}면 성분이 높아지고, 본 발명의 특징인 {200}/{222}의 비가 1.0에 미치지 않게 된다. 때문에 냉간 압연의 전 압하율의 상한을 80% 미만으로 하였다. 또한 강판의 형상 연결성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전 압하율을 7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 압하율의 범위로 냉간가공된 냉연강판을 어닐링할 때는, 어닐링 온도가 600℃ 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공 조직이 잔류하여 성형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킨다. 이 때 어닐링 온도의 하한을 600℃로 한다. 한편, 어닐링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는 재결정에 의하여 생성한 페라이트의 집합 조직이 오스테라이트 변태후, 오스테라이트의 입자 성장에 의하여 랜덤화되고, 최종적으로 얻어진 페라이트 집합조직도 랜덤화된다. 특히 어닐링 온도가 Ac3변태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얻어진 {200}/{222}의 비가 1.0을 넘게 된다. 때문에 어닐링 온도의 상한은 Ac3변태 온도 미만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로서, 표 1에 도시한 성분 조성을 가지는 A부터 X까지의 강을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강은 주조후 그대로, 또는 일단 실온까지 냉각된 후에, 900℃ 내지 1300℃의 온도 범위에 재가열되어 그 후, 열간 압연이 되고, 최종적으로, 1.4mm 두께, 3.0mm 두께 또는 8.0mm 두께의 열연 강판으로 된 것이다. 3.0mm 두께 및 8.0mm 두께의 열연강판에 대하여는 냉간압연을 실시하여, 1.4mm 두께의 냉연강판으로 하고, 그 후, 연속 어닐링 공정으로 어닐링(예를 들면, 700 내지 850℃의 연속 어닐링)을 하였다. 이들 1.4mm 두께의 냉연강판의 시험 편에 대하여 요시다세이타(吉田淸太)가 감수한 「프레스 성형 난이 핸드북」(일간공업신문사 발행, 1987)의 417 내지 418 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U자 굽힘 시험법에 준거하여 90도 굽힘 시험을 실시하고, 개구 각도로부터 90도를 뺀 값 (스프링 백량)에 의하여 형상 동결성을 평가하였다.
스프링 백량은 항복점이나 인장강도가 낮을수록, 그 값은 작아진다고 하는데, 그러한 경향은 표 1에 도시한 성분조성 (A, B, D, E, F, H, I, K, L, N, P, R, S, 및 T)에 대하여, 여러 가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냉연강판의 스프링 백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도 1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박강판의 스프링 백량에 대한 집합 조직 효과를 상세하게 검토한다. 그 결과의 일례를 도 2에 도시한다. 이는 590MPa급의 H강에 대한 조사결과이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백량은 판 면에 평행한 결정면으로부터의 X선의 회절 강도비 {200}/{222}가 커질수록 작아진다. 특히, 그 비가 1.0 이상이 되면 효과가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집합조직과 스프링 백량의 사이에, 극히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결정학적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새롭게 밝힌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각종 냉연강판의 스프링 백 량을, X선의 회절 강도비, {200}/{222}의 1.0을 경계치로서 분별한 결과가 도 3이다. 도 3에 있어서 ●은 {200}/{222}가 1.0보다 작은 강판에 관한 것이고, ○은 {200}/{222}가 1.0 이상의 강판에 관한 것이다. 이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냉연강판에 있어서도, 그 강도 레벨에 의하지 않고, X선 회절 강도비 {200}/{222}가 1.0 이상이면, 스프링 백 량은 상당히 줄어든다. 결정면의 비로 말하면 {100}/{111}을 크게 하는 것이, 스프링 백량을 낮게 억제하는데 있어서, 극히 유효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표 2에는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1.4mm 두께의 열연강판과 냉연강판의 기계적 특성치와 스프링 백 량을 나타내고, 또한 표 3에는 각 강판의 제조조건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지 여부를 나타내었다. 표 3 중, 「열연온도 1」은 열간 압연이 Ar3변태 온도 이상으로 완료되는 경우에 있어서, 950℃ 이하 Ar3변태온도 이상에서의 열간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인 경우, 「○」로 하였다. 또한 표 3중, 「열연온도 2」는 열간압연이 Ar3변태온도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 Ar3변태온도 이하의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인 경우, 「○」로 하였다. 이 중 어느 경우이든, 각각의 온도 범위에서의 마찰계수가 0.2 이하인 경우에는 「○」, 0.2초인 경우에는 「×」로 하였다 (표 3중, 「윤활」란 참조). 열간압연에 있어서 권취 온도는 모두 상기 (1)식에서 구하여지는 To 온도 이하로 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열연강판을 1.4mm 두께의 열연강판으로 냉간압연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냉연압하율이 80% 이상의 경우에는 표 3중의 「냉연압하율」을 「×」로 하고, 「80% 미만」인 경우에는 「○」로 하였다. 또한 표 3에 있어서 어닐링 온도가 600℃ 이상 Ac3변태온도 미만인 경우, 「어닐링 온도」를 「○」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를 「×」로 하였다. 또한 제조조건으로서 관계가 없는 항목은 「-」으로 하였다.
X선에 의한 측정은 판 두께 1/4 두께의 위치에 판 면에 평행한 샘플을 가공한 후, 이 샘플에 대하여 실시하고, 그 측정치를 강판의 대표치로 하였다. 또한 열연강판의 몇 가지 (H, J, K, R, U, V, W, X)에는 냉연강판과 거의 동일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700 내지 850℃로 단시간 열처리하고, 그 후 냉각조건을 제어한 부가적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표 2 중의 전 강종에 있어서, 각 강종의 「-2」 및 「-3」의 번호의 것이 본 발명의 것이다. 이들 번호의 것과, 발명 외의 「-1」과 「-4」의 번호의 것을 비교하면, X선의 회절 강도비 {200}/{222}가 1.0 이상인 본 발명의 강종의 경우에는 이 비가 1.0 미만의 발명 외의 강종의 경우에 비하여, 스프링 백량이 작아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X선의 회절 강도비 {200}/{222}가 1.0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최초로 양호한 박강판의 형상 동결성이 달성된다.
X선의 회절 강도비 {200}/{222}가 큰 경우에, 굽힘 가공성의 형상 동결성이 높아지는 기구에 대하여는, 현재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그러나 그 비가 커지는 것은 {100}/{111}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판 면에 평행한 {100} 면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미끄러짐 활동으로 굽힘 변형이 진행하는데 대하여, {111}면에서는 복수의 미끄러짐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굽힘 변형이 진행하는 것이 원인이 아닌가 생각된다. 즉 {100}/{111}을 크게 함으로써, 굽힘 변형 시에 있어서 미끄러짐 변형의 진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것이 결과적으로 굽힘 변형시의 스프링 백량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박강판의 집합조직을 제어하면, 그 굽힘 가공성이 현저하게 향상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여 스프링 백 량이 줄어들고, 굽힘 가공을 주체로 하는 성형에도 사용할 수 있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박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종래는 형상 불량의 문제로 인하여 고강도 강판의 적용이 어려웠던 부품에도, 고강도 강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자동차의 경량화의 추진을 위하여 고강도 강판의 사용이 꼭 필요한 현 상황에 있어서, 스프링 백량이 적고,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을 적용할 수 있게 되면, 자동차의 경량화가 한층 추진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업적으로 극히 높은 가치가 있는 발명이다.

Claims (18)

  1.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2. 질량%로
    C : 0.0001% 이상, 0.05% 이하,
    Si : 0.01% 이상, 1.0% 이하,
    Mn : 0.01% 이상, 2.0%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0.1%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3. 질량%로
    C : 0.0001% 이상, 0.05% 이하,
    Si : 0.01% 이상, 1.0% 이하,
    Mn : 0.01% 이상, 2.0%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0.1%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Ti : 0.2% 이하, Nb : 0.2% 이하 및 B : 0.005%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4. 질량%로
    C : 0.0001% 이상, 0.05% 이하,
    Si : 0.01% 이상, 1.0% 이하,
    Mn : 0.01% 이상, 2.0%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0.1%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Mo : 1.0% 이하, Cu : 2.0% 이하 및 Ni : 1.0%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5. 질량%로
    C : 0.0001% 이상, 0.05% 이하,
    Si : 0.01% 이상, 1.0% 이하,
    Mn : 0.01% 이상, 2.0%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0.1%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Ti : 0.2% 이하, Nb : 0.2% 이하 및 B : 0.005%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및
    Mo : 1.0% 이하, Cu : 2.0% 이하 및 Ni : 1.0%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6. 질량%로
    C : 0.05% 이상, 0.25% 이하,
    Si : 0.01% 이상, 2.5% 이하,
    Mn : 0.01% 이상, 2.5%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1.0%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7. 질량%로
    C : 0.05% 이상, 0.25% 이하,
    Si : 0.01% 이상, 2.5% 이하,
    Mn : 0.01% 이상, 2.5%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1.0%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Ti : 0.2% 이하, Nb : 0.2% 이하, V : 0.2% 이하,Cr : 1.0% 이하 및 B : 0.005%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8. 질량%로
    C : 0.05% 이상, 0.25% 이하,
    Si : 0.01% 이상, 2.5% 이하,
    Mn : 0.01% 이상, 2.5%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1.0%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Mo : 1.0% 이하, Cu : 2.0% 이하 및 Ni : 1.0%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9. 질량%로
    C : 0.05% 이상, 0.25% 이하,
    Si : 0.01% 이상, 2.5% 이하,
    Mn : 0.01% 이상, 2.5% 이하,
    P : 0.15% 이하,
    S : 0.03% 이하,
    Al : 0.01% 이상, 1.0% 이하,
    N : 0.01% 이하,
    O : 0.007% 이하,
    를 함유하고, 또한,
    Ti : 0.2% 이하, Nb : 0.2% 이하, V : 0.2% 이하,Cr : 1.0% 이하 및 B : 0.005%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및
    Mo : 1.0% 이하, Cu : 2.0% 이하 및 Ni : 1.0% 이하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
    을 함유하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되고, 또한 판 면에 평행한 {100}면과 {111}면의 비가, 1.0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면에 도금이 되어 있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950℃ 이하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또한 950℃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냉각 후, 아래의 식으로 정하는 임계 온도 To 이하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에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To = -650.4 × C% - 50.6 × Mneq + 894.3
    단, Mneq = Mn% + 0.5 × Ni% - 1.49 × Si% - 1.05 × Mo% - 0.44 × W%
    + 0.37 × Cr% + 0.67 × Cu% - 23 × P% + 13 × Al%
  12. 제 10항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950℃ 이하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또한 950℃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냉각 후, 아래의 식으로 정하는 임계 온도 To 이하의 온도에서 권취하고, 또한 판 면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To = -650.4 × C% - 50.6 × Mneq + 894.3
    단, Mneq = Mn% + 0.5 × Ni% - 1.49 × Si% - 1.05 × Mo% - 0.44 × W%
    + 0.37 × Cr% + 0.67 × Cu% - 23 × P% + 13 × Al%
  13.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냉각 후 권취하거나, 또는 냉각 후 부가적으로 회복재결정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14. 제 10항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냉각 후 권취하거나, 또는 냉각 후 부가적으로 회복재결정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판 면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950℃ 이하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950℃ 이하에서의 열간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Ar3변태온도 이상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냉각 후 아래의 식으로 정하는 임계온도 To 이하의 온도로 권취하고 이어서 산 세정을 하고 압하율 80% 미만에서 냉각압연하고, 그 후 600℃ 이상 Ac3변태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에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To = -650.4 × C% - 50.6 × Mneq + 894.3
    단, Mneq = Mn% + 0.5 × Ni% - 1.49 × Si% - 1.05 × Mo% - 0.44 × W%
    + 0.37 × Cr% + 0.67 × Cu% - 23 × P% + 13 × Al%
  16. 제 10항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950℃ 이하 Ar3변태 온도 이상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950℃ 이하에서의 열간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Ar3변태온도 이상에서 열간압연을 종료하고, 냉각 후 아래의 식으로 정하는 임계온도 To 이하의 온도로 권취하고 이어서 산 세정을 하고 압하율 80% 미만으로 냉각압연하고, 그 후 600℃ 이상 Ac3변태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고 또한 판 면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To = -650.4 × C% - 50.6 × Mneq + 894.3
    단, Mneq = Mn% + 0.5 × Ni% - 1.49 × Si% - 1.05 × Mo% - 0.44 × W%
    + 0.37 × Cr% + 0.67 × Cu% - 23 × P% + 13 × Al%
  17.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이어서 냉각하고, 냉각 후 권취하거나, 또는 냉각 후 부가적으로 회복재결정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산 세정하고, 압하율 80% 미만에서 냉간압연하고, 그 후 600℃ 이상 Ac3변태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에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18. 제 10항에 기재된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성분 조성의 강을,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압하율의 합계가 25% 이상, Ar3변태 온도 이하에서의 열간 압연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0.2 이하가 되도록 하여 열간압연하고, 이어서 냉각하고, 냉각 후 권취하거나, 또는 냉각 후 부가적으로 회복재결정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산 세정하고, 압하율 80% 미만으로 냉간압연하고, 그 후 600℃ 이상 Ac3변태 온도 미만으로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고, 또한 판 면에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 박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0-7003276A 1998-07-27 1999-07-27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0398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5176/1998 1998-07-27
JP22517698 1998-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741A true KR20010030741A (ko) 2001-04-16
KR100398464B1 KR100398464B1 (ko) 2003-10-10

Family

ID=1682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276A KR100398464B1 (ko) 1998-07-27 1999-07-27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박강판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75765B1 (ko)
EP (1) EP1026278B2 (ko)
JP (2) JP4157279B2 (ko)
KR (1) KR100398464B1 (ko)
DE (1) DE69939099D1 (ko)
WO (1) WO2000006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2631B2 (en) * 2000-09-21 2005-11-08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plate excellent in shape freezing proper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3927384B2 (ja) * 2001-02-23 2007-06-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切り欠き疲労強度に優れる自動車用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503984B2 (en) 2001-10-04 2009-03-17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thin steel sheet drawable and excellent in shape fixation proper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962745B1 (ko) * 2002-12-24 2010-06-10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용접 열영향부의 내연화성이 우수한 버링성 고강도 강판 및그 제조 방법
KR20060028909A (ko)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포스코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407591B2 (ja) * 2008-07-22 2014-02-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バックライトシャーシ
JP4962527B2 (ja) * 2009-04-28 2012-06-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形状凍結性、表面外観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51247B2 (ja) * 2010-01-15 2012-10-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と形状凍結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60957A (ko) 2012-10-11 2015-06-0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냉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06561B1 (ko) * 2012-12-20 2014-06-27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TWI507541B (zh) * 2013-07-01 2015-11-1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Cold-rolled steel sheet, galvanized cold-rolled steel sheet and the lik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742B2 (ja) 1980-04-09 1984-10-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降伏比の低い深絞り用高強度冷延鋼板
JPS6017139A (ja) 1983-07-07 1985-01-29 株式会社丸山製作所 綜絖枠への綜絖の取付構造
JPH0674460B2 (ja) * 1985-06-26 1994-09-21 日新製鋼株式会社 電磁鋼板の製造法
JPH01142051A (ja) * 1987-11-30 1989-06-02 Toyo Kohan Co Ltd 有機皮膜被覆絞り容器用鋼箔
JP3336079B2 (ja) * 1993-07-14 2002-10-21 川崎製鉄株式会社 深絞り性及び化成処理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86230B2 (ja) * 1994-08-05 2004-01-1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08134606A (ja) * 1994-11-10 1996-05-28 Nippon Steel Corp 歪取り焼鈍後の磁束密度が高い無方向性電磁鋼板
JP3350285B2 (ja) * 1995-04-24 2002-11-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表面性状と磁気特性の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US5714017A (en) * 1995-05-02 1998-02-03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Magnetic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magnetic characteristics and blanking performance
JP3383144B2 (ja) 1995-12-22 2003-03-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成形性の面内異方性の小さい加工用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3431753B2 (ja) * 1996-04-09 2003-07-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疲労特性と深絞り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79302A (ja) * 1996-04-17 1997-10-28 Nippon Steel Corp 張出し成形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3902C (zh) 1996-12-24 2002-05-01 川崎制铁株式会社 矩形拉延性优良的薄钢板及其制造方法
US6171413B1 (en) * 1997-07-28 2001-01-09 Nkk Corporation Soft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8464B1 (ko) 2003-10-10
WO2000006791A1 (fr) 2000-02-10
EP1026278A1 (en) 2000-08-09
JP4157279B2 (ja) 2008-10-01
JP5015063B2 (ja) 2012-08-29
US6375765B1 (en) 2002-04-23
EP1026278A4 (en) 2006-04-19
DE69939099D1 (de) 2008-08-28
EP1026278B2 (en) 2014-04-30
EP1026278B1 (en) 2008-07-16
JP2008255491A (ja)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4574B2 (ja) 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015063B2 (ja) 形状凍結性に優れた自動車用フェライト系薄鋼板とその製造方法
EP3395993B1 (en) High yield ratio typ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811047A1 (en)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3990553B2 (ja) 形状凍結性に優れた高伸びフランジ性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250930A1 (en) Super formable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210092796A (ko)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3898954B2 (ja) 形状凍結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26007B2 (ja) 形状凍結性と焼付硬化性に優れた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57124A (ja) 焼付硬化性を有する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532138B2 (ja) 形状凍結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薄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987815B2 (ja) プレス成形性および耐二次加工割れ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H0790488A (ja) 耐水素脆化特性の優れた超高強度冷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4189209B2 (ja) 形状凍結性に優れた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55738A (ja) 形状凍結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薄鋼板
JP2671726B2 (ja) 超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7323095B1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23096B1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48416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溶融亜鉛めっき鋼板
WO2023181643A1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31771A (ja) 形状凍結性に優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WO2023181642A1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181640A1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3181641A1 (ja)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23014B2 (ja) 超深絞り用冷延極軟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