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태양에 따른 겔상 전해질 전지의 구성예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겔상 전해질 전지 (1)은 스트립(strip)형 양극 (2), 이 양극(2)에 대향하여 배치된 스트립형 음극 (3), 및 양극 (2)와 음극 (3) 사이에 배치된 겔상 전해질층 (4)를 포함한다. 이 겔상 전해질 전지 (1)에서, 양극 (2)와 음극 (3)은 겔상 전해질층 (4)를 통해 적층되고 길이 방향으로 권회되며, 도 2와 도 3에 나타낸 전극 권회체 (5)는 절연 재료로 제조된 외장 필름 (6)에 덮여져 밀폐되어 있다. 양극 (2)에는 양극 단자 (7)이 접속되고, 음극 (3)에는 음극 단자 (8)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양극 단자 (7)과 음극 단자 (8)은 외장 필름 (6)의 주연부(peripheral)인 밀봉부 사이에 삽입된다.
양극 (2)에는 양극 활성 물질을 함유한 양극 활성 물질층이 양극 집전체 (current collector)의 양쪽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양극 집전체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과 같은 금속박이다.
양극 활성 물질층은 다음과 같이 형성한다. 먼저, 양극 복합제(composite agent)를 예를 들면 양극 활성 물질, 도전재 및 결착재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 양극 복합제를 용매 중에 분산시켜 슬러리상으로 한다. 이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법 등에 의해 양극 집전체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고온 하에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다. 여기서, 양극 활성 물질, 도전재, 결착재 및 용매는 균일하게 분산되어야 하며, 그 혼합비는 특정한 값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양극 활성 물질은 리튬과 전이 금속 원소의 복합 산화물이다. 더 구체적으로, 양극 활성 물질은 LiCoO2, LiNiO2, LiMn2O4, LiAlO2등일 수 있다. LiNi0.5Co0.5O2및 LiNi0.8Co0.2O2와 같이 전이 금속 원소를 2종류 이상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도전재는 예를 들면 탄소 재료일 수 있다. 또한, 결착재는 예를 들면 폴리불화비닐리덴일 수 있다. 또한, 용매는 예를 들면 N-메틸피롤리돈일 수 있다.
또한, 양극 (2)는 길이 방향의 다른 단부에 스폿 용접(spot welding) 또는 초음파 용접(supersonic welding)으로 접속된 양극 단자 (7)을 갖는다. 이 양극 단자 (7)은 망상(network shape)의 금속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기 화학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전기 전도성인 것이면 금속 이외의 것일 수도 있다. 양극 단자 (7)은 알루미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양극 단자 (7)은 음극 단자 (8)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락이 일어나지 않고 전지 성능에 문제가 일어나지 않으면 임의의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양극 단자 (7)의 접속 위치와 접속 방법은 전기적 접촉이 얻어질 수 있다면 상기 언급한 것 이외일 수 있다.
또한, 음극 (3)에는 음극 활성 물질을 함유한 음극 활성 물질층이 음극 집전체의 양쪽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음극 집전체는 예를 들면 구리박과 같은 금속박일 수 있다.
음극 활성 물질층은 다음과 같이 형성한다. 먼저, 음극 복합제를 예를 들면 음극 활성 물질과 도전재 및 결착재를 필요한 만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 음극 복합제를 용매 중에 분산시켜 슬러리상으로 한다. 이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법 등에 의해 음극 집전체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고온 하에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다. 여기서, 그 혼합비는 불문하고 음극 활성 물질, 도전재, 결착재 및 용매는 균일하게 분산되어야 하며, 그 혼합비는 특정한 값에 제한되지 않는다.
음극 활성 물질은 리튬 금속, 리튬 합금, 또는 리튬을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 재료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리튬을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 재료는 흑연, 비흑연화 탄소, 흑연화 탄소 등일 수 있다.
또한, 도전재는 예를 들면 탄소 재료일 수 있다. 또한, 결착재는 예를 들면 폴리불화비닐리덴일 수 있다. 또한, 용매는 예를 들면 N-메틸피롤리돈일 수 있다.
또한, 음극 (3)은 길이 방향의 다른 단부에 스폿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으로 접속된 음극 단자 (8)을 갖는다. 이 음극 단자 (8)은 망상의 금속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기 화학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전기 전도성인 것이면 금속 이외의 것일 수도 있다. 음극 단자 (8)은 구리, 니켈 등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음극 단자 (8)은 양극 단자 (7)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락이 일어나지 않고 전지 성능에 문제가 일어나지 않으면 임의의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음극 단자 (8)의 접속 위치와 접속 방법은 전기적 접촉이 얻어질 수 있다면 상기 언급한 것 이외일 수 있다.
겔상 전해질은 비수성 용매, 전해질염 및 매트릭스 중합체를 함유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겔상 전해질 전지 (1)에는, 겔상 전해질 중에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가 첨가되어 있다.
비수성 용매는 비수성 전해액의 비수성 용매로서 사용되는 공지된 용매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γ-부티로락톤,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르보네이트, 에틸프로필 카르보네이트 또는 이들 카르보네이트의 수소를 할로겐으로 치환한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소정 혼합비로 다른 것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틸렌 카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를 중량비 15:85 내지 75:25의 혼합비로 사용하는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이 이 범위를 초과하면, 겔상 전해질 전지 (1)의 저온 특성이 열화된다. 또한,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바람직한 초기 충전/방전 효율, 전지 용량 또는 사이클 특성을 얻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전해질염은 상기 언급한 비수성 용매에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양이온으로는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을 들 수 있다. 음이온은 BF4 -, PF6 -, CF3SO3 -, (CF3SO2)2N-, (C2F5SO2)2N-등일 수 있다. 이들 양이온과 음이온을 조합하여 사용하여 전해질염을 얻는다. 전해질염으로는 예를 들면 LiPF6, LiBF4, LiN(CF3SO2)2, LiN(C2F5SO2)2, LiClO4등을 들 수 있다.
전해질염의 농도는 상기 언급한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면 임의의 농도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그러나, 리튬 이온 농도가 비수성 용매에 대하여 0.4 mol/㎏ 이상, 1.O 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 이온 농도가 1.O mol/㎏를 초과하면, 겔상 전해질 전지 (1)의 저온 특성과 사이클 특성을 열화시킨다. 또한, 리튬 이온 농도가 0.4 mol/㎏ 보다 적으면, 충분한 전지 용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매트릭스 중합체는 상기한 비수성 용매에 용해된 상기한 전해질염을 함유하는 비수성 전해액을 겔화시킨다. 매트릭스 중합체는 반복 단위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다른 것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매트릭스 중합체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 또는 폴리불화비닐리덴에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을 7.5% 이하 비율로 도입시킨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합체는 수평균 분자량이 500,000 내지 700,000 범위이거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10,000 내지 310,000 범위이고, 고유 점도가 1.7 내지 2.1이다.
외장 필름 (6)은 겔상 전해질층 (4)를 통해 적층되어 길이 방향으로 권회된 양극 (2)와 음극 (3)을 포함하는 전극 권회체 (5)를 기밀하게 둘러싼다. 이 외장 필름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이 한 쌍의 수지 필름들 사이에 끼워진 방습성의 절연성 다층 필름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겔상 전해질 전지에서,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가 겔상 전해질에 첨가된다. 겔상 전해질에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를 첨가함으로써, 음극에 대하여 겔상 전해질의 화학적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음극에 대해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겔상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겔상 전해질 전지 (1)의 초기 충전/방전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고 높은 전지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겔상 전해질 전지는 경량의 다층 필름을 외장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그러나,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경우와 같이, 초기 충전시 비수성 용매의 분해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면, 외장에 다층 필름을 사용한 겔상 전해질 전지는 팽창된다는 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겔상 전해질에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를 첨가하면, 상기 언급한 효과 이외에도 충전에 따른 가스 발생을 억제하여 전지의 팽창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첨가되는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는 겔상 전해질 중의 용매에 대하여 0.05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충전/방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높은 전지 용량 또는 초기 충전/방전 효율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이 5 중량%을 초과하면, 저온에서의 방전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를 겔상 전해질 중의 용매에 대하여 0.05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 범위로 규정함으로써, 저온에서의 방전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충전/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높은 전지 용량과 사이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첨가되는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의 함량은 겔상 전해질 중의 용매에 대하여 0.5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 범위이다.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을 겔상 전해질 중의 용매에 대하여 0.5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 범위로 규정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특성들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겔상 전해질을 구성하는 비수성 전해액 중에 디플루오로아니솔(DFA)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성 전해액 중에 디플루오로아니솔을 첨가함으로써, 겔상 전해질 전지 (1)의 충전/방전 효율을 향상시키고 높은 방전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디플루오로아니솔의 함량은 비수성 전해액에 대하여 0.2 중량% 이상, 2 중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겔상 전해질 전지 (1)에서는,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가 겔상 전해질에 첨가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지의 초기 충전/방전 효율이 향상되고, 높은 전지 용량을 얻을 수 있으며, 사이클 특성이 우수하다. 더욱이,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가 겔상 전해질에 첨가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겔상 전해질 전지 (1)에서는, 충전/방전에 따른 가스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다층 필름을 외장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지가 팽창할 위험이 없으며,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필름 (6), 양극 단자 (7) 및 음극 단자 (8)의 접촉부에 수지편 (9)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외장 필름 (6), 양극 단자 (7) 및 음극 단자 (8)의 접촉부에 수지편 (9)을 배치함으로써, 외장 필름 (6)의 돌출 부분(burr)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단락을 방지할 수 있고, 외장 필름 (6), 양극 단자 (7) 및 음극 단자 (8)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겔상 전해질 전지 (1)는 겔상 전해질층 (4) 중에 세퍼레이터(separator)을 포함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겔상 전해질층 (4) 중에 세퍼레이터를 배치함으로써, 양극 (2)와 음극 (3) 사이의 접촉으로 인한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태양에서는, 겔상 전해질 전지 (1)은 겔상 전해질층 (4)를 통해 적층되고 길이 방향으로 권회되어 전극 권회체 (5)로 된 스트립형 양극 (2)와 스트립형 음극 (3)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겔상 전해질층을 통해 적층된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는 적층형 전극체, 또는 권회하지 않는 굴곡형(folded type) 전극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태양에 따른 겔상 전해질 전지 (1)은 원통 형상, 각 형상(angular shape)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특정한 형상 또는 크기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또한 박형(thin type), 대형(large type)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전지 뿐만 아니라 1차 전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겔상 전해질 전지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샘플 1〉
우선, 양극을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양극을 제작하기 위해, 코발트산리튬(LiCoO2) 92 중량%, 분말상 폴리불화비닐리덴 3 중량% 및 분말상 흑연 5 중량%를 N-메틸피롤리돈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얻음으로써 양극 복합제를 제조하였다. 슬러리상의 이 양극 복합제를 양극 집전체로서 작용하는 알루미늄박의 양쪽면에 도포하고, 100℃에서 감압 하에 24시간 건조시켜 양극 활성 물질층을 형성하고, 이를 롤 프레스기(roll press)로 가압 성형하여 양극 시트로 하였다. 이 양극 시트를 50 ㎜×300 ㎜의 스트립 형상으로 잘라내, 양극으로 하였다. 알루미늄제 리드(lead)를 양극 집전체의 비활성 물질층 부분에 용접하여, 양극 단자로 하였다.
이어서, 음극을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
음극은, 인조 흑연 91 중량%와 분말상 폴리불화비닐리덴 9 중량%을 N-메틸피롤리돈에 분산시켜 슬러리상의 음극 복합제를 얻음으로써 제조하였다. 이 음극 복합제를 음극 집전체로서 작용하는 구리박의 양쪽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120℃에서 감압 하에 24시간 건조시킴으로써 음극 활성 물질층을 형성하고, 이를 롤 프레스기로 가압 성형하여 음극 시트로 하였다. 이 음극 시트를 52 ㎜×320 ㎜의 스트립 형상으로 잘라내 음극으로 하였다. 니켈제 리드를 음극 집전체의 비활성 물질층 부분에 용접하여, 음극 단자로 하였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된 양극 및 음극 상에 겔상 전해질층을 형성하였다. 겔상 전해질층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우선, 6.9% 비율로 공중합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불화비닐리덴, 비수성 전해액 및 디메틸 카르보네이트를 혼합하고 교반 용해시켜 졸상(sol) 중합체 전해액을 얻었다.
여기서, 비수성 전해액은 LiPF6O.85 mol/㎏를 6:4의 혼합비로 혼합한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EC)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PC)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또한, 2,4-디플루오로아니솔 (DFA) 1 중량% 및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VC) 0.5 중량%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졸상 중합체 전해액을 양극 및 음극의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양극 및 음극 양면에 겔상 전해질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양쪽면에 겔상 전해질층을 갖는 스트립상 양극과 양쪽면에 겔상 전해질층을 갖는 스트립상 음극을 적층시켜 적층체를 얻고, 이를 길이 방향으로 권회시켜 전극 권회체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전극 권회체를 한쌍의 수지 필름들 사이에 끼워져 있는 알루미늄박을 포함하는 외장 필름 사이에 끼웠다. 외장 필름의 외주연부를 감압 하에 열융착함으로써 밀봉하고, 전극 권회체를 외장 필름 내에 밀폐하였다. 수지편을 양극과 음극 및 외장 필름의 밀봉부에 의해 끼워져 있는 부분들에 부착하였음을 주지해야 한다. 이렇게 하여, 겔상 전해질 전지를 완성하였다.
〈샘플 2 내지 샘플 69〉
졸상 전해액을 구성하는 비수성 전해액의 조성을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겔상 전해질 전지들을 제작하였다.
또한, 샘플 40에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의 혼합물로 제조한 매트릭스 중합체를 사용함을 주지해야 한다. 분자량 200,000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분자량 180,000의 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및 LiPF6를 1:1:9:9:1.7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중합체를 90℃에서 용해시켰다. 이것을 샘플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극에 도포하고 서냉시켜 겔상을 얻었다. 각각 겔상 전해질층을 갖는 스트립상 양극과 스트립상 음극을 다공질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된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적층시켜 적층체로 얻고, 이를 길이 방향으로 권회시켜 전극 권회체를 얻었다. 이 전극 권회체를 샘플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외장 필름 중에 밀폐하였다.
샘플 1 내지 샘플 69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수성 전해액의 용매 조성과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농도를 갖는다. 전극 재료 및 전해질염과 같이, 샘플 1과 다른 조건도 또한 하기 표에 나타냈다. 조건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샘플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또한, 하기 표 1에서는 샘플 1 내지 샘플 15의 전지의 비수성 전해액 조성을 나타낸 것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표 2에서는 샘플 16 내지 샘플 40의 전지의 비수성 전해액 조성을 나타냈다. 또한, 표 3에서는 샘플 41 내지 샘플 54의 전지의 비수성 전해액 조성을 나타냈다. 또한, 표 4에서는 샘플 55 내지 샘플 69의 전지의 비수성 전해액 조성을 나타냈다.
|
EC 비율(중량%) |
PC 비율(중량%) |
VC 첨가량(중량%) |
샘플 1 |
60 |
40 |
0.5 |
샘플 2 |
15 |
85 |
0.5 |
샘플 3 |
75 |
25 |
0.5 |
샘플 4 |
60 |
40 |
1.0 |
샘플 5 |
15 |
85 |
1.0 |
샘플 6 |
75 |
25 |
1.0 |
샘플 7 |
60 |
40 |
2.0 |
샘플 8 |
15 |
85 |
2.0 |
샘플 9 |
75 |
25 |
2.0 |
샘플 10 |
60 |
40 |
3.0 |
샘플 11 |
15 |
85 |
3.0 |
샘플 12 |
75 |
25 |
3.0 |
샘플 13 |
60 |
40 |
5.0 |
샘플 14 |
15 |
85 |
5.0 |
샘플 15 |
75 |
25 |
5.0 |
|
EC 비율 (중량%) |
PC 비율 (중량%) |
VC 첨가량 (중량 %) |
그밖의 조건 |
샘플 16 |
60 |
40 |
1.0 |
LiPF6: 0.4 mol/㎏ |
샘플 17 |
60 |
40 |
1.0 |
LiPF6: 0.7 mol/㎏ |
샘플 18 |
60 |
40 |
1.0 |
LiPF6: 1.0 mol/㎏ |
샘플 19 |
60 |
40 |
1.0 |
LiPF6: 0.5 mol/㎏+LiN(C2F5SO2)2: 0.2 mol/㎏ |
샘플 20 |
60 |
40 |
1.0 |
LiPF6: 0.2 mol/㎏+LiN(C2F5SO2)2: 0.5 mol/㎏ |
샘플 21 |
60 |
40 |
1.0 |
LiPF6: 0.5 mol/㎏+LiN(CF3SO2)2: 0.2 mol/㎏ |
샘플 22 |
60 |
40 |
1.0 |
LiPF6: 0.2 mol/㎏+LiN(CF3SO2)2: 0.5 mol/㎏ |
샘플 23 |
60 |
40 |
1.0 |
LiBF4: 0.4 mol/㎏ |
샘플 24 |
60 |
40 |
1.0 |
LiBF4: 0.7 mol/㎏ |
샘플 25 |
60 |
40 |
1.0 |
LiBF4: 1.0 mol/㎏ |
샘플 26 |
60 |
40 |
1.0 |
LiClO4: 0.4 mol/㎏ |
샘플 27 |
60 |
40 |
1.0 |
LiClO4: 0.7 mol/㎏ |
샘플 28 |
60 |
40 |
1.0 |
LiClO4: 1.0 mol/㎏ |
샘플 29 |
49 |
49 |
1.0 |
EC:PC:DMC = 49:49:2 |
샘플 30 |
50 |
40 |
1.0 |
EC:PC:트리플루오로PC= 50:40:10 |
샘플 31 |
40 |
50 |
1.0 |
EC:PC:GBL = 40:50:10 |
샘플 32 |
60 |
40 |
0.5 |
DFA 무첨가 |
샘플 33 |
15 |
85 |
0.5 |
DFA 무첨가 |
샘플 34 |
75 |
25 |
0.5 |
DFA 무첨가 |
샘플 35 |
60 |
40 |
1.0 |
DFA 무첨가 |
샘플 36 |
15 |
85 |
1.0 |
DFA 무첨가 |
샘플 37 |
75 |
25 |
1.0 |
DFA 무첨가 |
샘플 38 |
60 |
40 |
1.0 |
음극: 비흑연화 탄소 |
샘플 39 |
60 |
40 |
1.0 |
양극: LiNi0.8Co0.2O2 |
샘플 40 |
60 |
40 |
1.0 |
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폴리메타크릴로니트릴 |
|
EC 비율(중량%) |
PC 비율(중량%) |
VC 첨가량(중량 %) |
그밖의 조건 |
샘플 41 |
80 |
20 |
0.5 |
- |
샘플 42 |
10 |
90 |
0.5 |
- |
샘플 43 |
80 |
20 |
1.0 |
- |
샘플 44 |
10 |
90 |
1.0 |
- |
샘플 45 |
80 |
20 |
1.5 |
- |
샘플 46 |
10 |
90 |
1.5 |
- |
샘플 47 |
80 |
20 |
2.0 |
- |
샘플 48 |
10 |
90 |
2.0 |
- |
샘플 49 |
80 |
20 |
3.0 |
- |
샘플 50 |
10 |
90 |
3.0 |
- |
샘플 51 |
75 |
25 |
5.0 |
- |
샘플 52 |
25 |
75 |
5.0 |
- |
샘플 53 |
60 |
40 |
1.0 |
LiPF6: 0.35 mol/㎏ |
샘플 54 |
60 |
40 |
1.0 |
LiPF6: 1.1 mol/㎏ |
|
EC 비율(중량%) |
PC 비율(중량%) |
VC 첨가량(중량%) |
샘플 55 |
80 |
20 |
0 |
샘플 56 |
75 |
25 |
0 |
샘플 57 |
60 |
40 |
0 |
샘플 58 |
15 |
85 |
0 |
샘플 59 |
10 |
90 |
0 |
샘플 60 |
80 |
20 |
6.0 |
샘플 61 |
75 |
25 |
6.0 |
샘플 62 |
60 |
40 |
6.0 |
샘플 63 |
15 |
85 |
6.0 |
샘플 64 |
10 |
90 |
6.0 |
샘플 65 |
80 |
20 |
7.0 |
샘플 66 |
75 |
25 |
7.0 |
샘플 67 |
60 |
40 |
7.0 |
샘플 68 |
15 |
85 |
7.0 |
샘플 69 |
10 |
90 |
7.0 |
샘플 1 내지 샘플 69의 겔상 전해질 전지를 사이클 특성, 초기 충전/방전 효율, 저온 방전 특성, 부하 특성 및 초기 방전 용량에 대해 평가하였다.
하기 나타낸 평가 방법에 있어서, "1C"는 전지 정격 용량(rated cell capacity)을 1시간만에 방전시키는 전류값이고, 0.2C, 0.5C 및 3C는 전지 정격 용량을 각각 5시간, 2시간 및 20분만에 방전시키는 전류값임을 주지해야 한다.
사이클 특성에 대해서는, 4.2V 및 1C의 정전류 정전압 충전과 1C의 3V 컷-오프(cut-off) 전류 방전을 수행하여 방전 용량 사이클 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300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에 대해 검토하였고, 평가는 80% 또는 그 이상인 경우 양호한 것으로 규정하였다. 300 사이클 후 80%의 용량 유지율은 휴대 전자 기기의 현재의 가공품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값이다.
(300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5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
초기 충전/방전 효율에 대해서, 초기 충전/방전 시험은 4.2V 및 0.1C의 정전류 정전압 충전과 0.1C의 정전류 방전 및 컷-오프 3V로 수행하였고, 충전/방전의 전지 용량으로부터 평가하였다. 이 값이 너무 작으면, 사용된 활성 물질의 낭비 비율이 커진다. 평가는 이 비율이 80% 또는 그 이상인 경우 양호한 것으로 규정하였다.
(초기 방전 용량)/(초기 충전 용량)
저온 방전 특성에 대해서, 23℃에서 0.5C 방전 용량에 대한 -20℃에서 0.5C 방전 용량의 비로부터 평가하였다. 평가는 이 값이 35% 또는 그 이상인 경우 양호한 것으로 규정하였다. 이 값은 -20℃ 부근의 온도 하에 한랭지에서 휴대 전화 등으로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지 용량에 상당한다.
(-20℃에서 0.5C 방전 용량)/(23℃에서 0.5C 방전 용량)
부하 특성은 0.5C 방전 용량에 대한 실온에서의 3C 방전 용량의 비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이 값이 90% 또는 그 이상인 경우 양호한 것으로 규정하였다. 휴대 전화는 펄스 방전에 의해 전력이 소비되기 때문에 큰 전류 성능이 요구된다. 90% 또는 그 이상의 값은 이러한 전화에 대한 요구조건을 만족한다.
(3C 방전 용량)/(0.5C 방전 용량)
방전 용량은 초기 방전 용량으로 평가하였으며, 평가는 이 값이 전지의 설계 면에서 600 mAh 이상인 경우 양호한 것으로 규정하였다.
표 5 내지 표 8에 샘플 1 내지 샘플 69의 겔상 전해질 전지의 사이클 특성, 초기 충전/방전 효율, 저온 방전 특성, 부하 특성 및 초기 방전 용량의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표 5에서는 샘플 1 내지 샘플 15의 전지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표 6에서는 샘플 16 내지 샘플 40의 전지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표 7에서는 샘플 41 내지 샘플 54의 전지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표 8에서는 샘플 55 내지 샘플 69의 전지 특성 평가 결과를 나타냈다.
|
사이클 특성 (%) |
초기 충전/방전 효율 (%) |
저온 특성 (%) |
부하 특성 (%) |
초기 충전/방전 용량 (mAh) |
샘플 1 |
85 |
82 |
46 |
93 |
620 |
샘플 2 |
81 |
81 |
55 |
98 |
605 |
샘플 3 |
88 |
84 |
43 |
91 |
630 |
샘플 4 |
85 |
84 |
45 |
93 |
640 |
샘플 5 |
81 |
81 |
53 |
98 |
615 |
샘플 6 |
88 |
88 |
41 |
91 |
667 |
샘플 7 |
85 |
86 |
43 |
92 |
648 |
샘플 8 |
81 |
83 |
50 |
97 |
623 |
샘플 9 |
88 |
90 |
39 |
91 |
675 |
샘플 10 |
86 |
87 |
41 |
92 |
653 |
샘플 11 |
81 |
84 |
47 |
96 |
631 |
샘플 12 |
87 |
91 |
37 |
90 |
681 |
샘플 13 |
85 |
89 |
39 |
92 |
662 |
샘플 14 |
81 |
86 |
44 |
95 |
639 |
샘플 15 |
89 |
92 |
36 |
91 |
689 |
|
사이클 특성 (%) |
초기 충전/방전 효율 (%) |
저온 특성 (%) |
부하 특성 (%) |
초기 충전/방전 용량 (mAh) |
샘플 16 |
84 |
82 |
37 |
92 |
623 |
샘플 17 |
83 |
85 |
43 |
93 |
644 |
샘플 18 |
81 |
88 |
36 |
91 |
653 |
샘플 19 |
85 |
85 |
46 |
93 |
646 |
샘플 20 |
85 |
87 |
48 |
94 |
653 |
샘플 21 |
85 |
85 |
45 |
93 |
644 |
샘플 22 |
84 |
86 |
47 |
94 |
651 |
샘플 23 |
81 |
82 |
37 |
92 |
633 |
샘플 24 |
83 |
83 |
39 |
93 |
638 |
샘플 25 |
85 |
86 |
43 |
93 |
644 |
샘플 26 |
83 |
82 |
36 |
91 |
615 |
샘플 27 |
81 |
81 |
37 |
92 |
621 |
샘플 28 |
80 |
80 |
37 |
91 |
625 |
샘플 29 |
84 |
86 |
47 |
94 |
637 |
샘플 30 |
85 |
89 |
41 |
92 |
643 |
샘플 31 |
81 |
82 |
48 |
94 |
628 |
샘플 32 |
85 |
81 |
46 |
93 |
618 |
샘플 33 |
81 |
80 |
54 |
97 |
603 |
샘플 34 |
88 |
82 |
44 |
92 |
625 |
샘플 35 |
85 |
82 |
44 |
94 |
637 |
샘플 36 |
81 |
80 |
53 |
97 |
611 |
샘플 37 |
88 |
86 |
40 |
92 |
660 |
샘플 38 |
88 |
82 |
39 |
91 |
634 |
샘플 39 |
83 |
81 |
41 |
92 |
648 |
샘플 40 |
85 |
84 |
43 |
94 |
640 |
|
사이클 특성 (%) |
초기 충전/방전 효율 (%) |
저온 특성 (%) |
부하 특성 (%) |
초기 충전/방전 용량 (mAh) |
샘플 41 |
89 |
82 |
31 |
86 |
635 |
샘플 42 |
74 |
73 |
47 |
95 |
582 |
샘플 43 |
89 |
84 |
32 |
87 |
648 |
샘플 44 |
75 |
76 |
47 |
94 |
593 |
샘플 45 |
90 |
85 |
30 |
87 |
655 |
샘플 46 |
76 |
73 |
46 |
94 |
610 |
샘플 47 |
90 |
86 |
30 |
86 |
681 |
샘플 48 |
74 |
74 |
44 |
95 |
615 |
샘플 49 |
89 |
87 |
29 |
86 |
688 |
샘플 50 |
75 |
73 |
43 |
94 |
626 |
샘플 51 |
89 |
89 |
27 |
85 |
691 |
샘플 52 |
81 |
77 |
35 |
93 |
633 |
샘플 53 |
65 |
78 |
27 |
90 |
612 |
샘플 54 |
68 |
89 |
23 |
88 |
661 |
|
사이클 특성 (%) |
초기 충전/방전 효율 (%) |
저온 특성 (%) |
부하 특성 (%) |
초기 충전/방전 용량 (mAh) |
샘플 55 |
89 |
78 |
31 |
87 |
594 |
샘플 56 |
88 |
73 |
41 |
89 |
578 |
샘플 57 |
85 |
70 |
45 |
91 |
563 |
샘플 58 |
81 |
67 |
44 |
92 |
555 |
샘플 59 |
78 |
63 |
47 |
94 |
542 |
샘플 60 |
88 |
90 |
25 |
84 |
692 |
샘플 61 |
88 |
92 |
28 |
88 |
690 |
샘플 62 |
84 |
90 |
31 |
90 |
664 |
샘플 63 |
78 |
86 |
32 |
94 |
640 |
샘플 64 |
74 |
81 |
33 |
92 |
635 |
샘플 65 |
87 |
91 |
17 |
83 |
687 |
샘플 66 |
86 |
92 |
25 |
86 |
689 |
샘플 67 |
82 |
91 |
28 |
88 |
661 |
샘플 68 |
79 |
89 |
32 |
91 |
637 |
샘플 69 |
75 |
83 |
33 |
88 |
629 |
표 5 내지 표 8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에틸렌 카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의 혼합 용매를 사용한 겔상 전해질 전지에 있어서, 겔상 전해질 중에 비닐렌 카르보네이트를 첨가하면 충전/방전 효율 및 전지 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를 다량으로 함유시키는 경우, 사이클 특성이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이 겔상 전해질 중의 비수성 전해액에 대하여 0.05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의 범위인 경우,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이 0.05 중량% 보다 적으면, 겔 강도 및 안정성이 충분하지 못하고, 충전/방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거나, 높은 전지 용량 또는 사이클 특성을 얻을 수 없다. 초기 충전/방전 효율 및 전지 용량은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향상한다. 또한, 전지 팽창을 억제하는 효과도 또한 증가되었다. 그러나, 비닐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이 5 중량%을 초과하면, 부하 특성이 약간 저하되고, 저온 특성은 크게 저하된다.
한편, 비수성 전해액의 비수성 용매 조성에 대해서는, 에틸렌 카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의 중량비가 15:85 내지 75:25 범위인 경우,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이 이 범위를 초과하면, 저온 특성이 열화된다. 또한,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함량이 너무 많으면, 초기 충전/방전 효율 및 전지 용량이 충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전해질염 농도에 대해서는, 비수성 용매에 대한 리튬 이온 농도가 0.4 mol/㎏ 이상, 1.O mol/㎏ 이하의 범위인 경우,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전해질염 농도가 1.O mol/㎏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이 열화된다. 또한, 전해질염 농도가 0.4 mol/㎏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용량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이미드계 염을 사용함으로써, 저온 특성 및 전지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수성 전해액 중에 디플루오로아니솔을 첨가함으로써, 겔상 전해질 전지의 충전/방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높은 방전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초기 충전시 가스 발생으로 인한 전지 팽창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지 팽창은 초기 충전 직후의 전지 용적에 대한 방전 직전의 전지 용적의 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0.5 중량%의 VC를 첨가한 샘플 1 내지 샘플 3의 전지에서는, 충전 직전의 전지 용적에 대한 초기 충전 직후의 전지 용적은 103.9%이었다. 또한, 1.0 중량%의 VC를 첨가한 샘플 4 내지 샘플 6의 전지에서는, 충전 직전의 전지 용적에 대한 초기 충전 직후의 전지 용적은 103.6%이었다. 또한, 2.0 중량%의 VC를 첨가한 샘플 7 내지 샘플 9의 전지에서는, 충전 직전의 전지 용적에 대한 초기 충전 직후의 전지 용적은 101.3%이었다. 또한, 3.0 중량%의 VC를 첨가한 샘플 10 내지 샘플 12의 전지에서는, 충전 직전의 전지 용적에 대한 초기 충전 직후의 전지 용적은 100.6%이었다. 또한, 5.0 중량%의 VC를 첨가한 샘플 13 내지 샘플 15의 전지에서는, 충전 직전의 전지 용적에 대한 초기 충전 직후의 전지 용적은 100.1%이었다. 반면, 또한, VC를 첨가하지 않은 샘플 55 내지 샘플 59의 전지에서는, 충전 직전의 전지 용적에 대한 초기 충전 직후의 전지 용적은 109.8%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틸렌 카르보네이트와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겔상 전해질 전지에서, 겔상 전해질에 비닐렌 카르보네이트를 첨가함으로써,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가 다량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도 가스 발생과 그로 인한 전지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닐렌 카르보네이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효과도 또한 상승한다.
6.0 중량%의 VC를 첨가한 샘플 60 내지 샘플 64의 전지에서는 충전 직전의 전지 용적에 대한 초기 충전 직후의 전지 용적은 100.0%이었고, 7.0 중량%의 VC를 첨가한 샘플 65 내지 샘플 69의 전지에서는 충전 직전의 전지 용적에 대한 초기 충전 직후의 전지 용적은 100.0%이었다. 전지 팽창을 억제하는 면에서, 비닐렌 카르보네이트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비닐렌 카르보네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부하 특성 및 저온 특성이 저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