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738A -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 Google Patents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738A
KR20010029738A KR1020000027984A KR20000027984A KR20010029738A KR 20010029738 A KR20010029738 A KR 20010029738A KR 1020000027984 A KR1020000027984 A KR 1020000027984A KR 20000027984 A KR20000027984 A KR 20000027984A KR 20010029738 A KR20010029738 A KR 20010029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layer
cut
pri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3294B1 (ko
Inventor
이까와오사무
Original Assignee
제네라루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라루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제네라루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9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0Changing, amusing, or secret pi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86Ornamental, decorative, pattern, or indic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9Sectional layer remov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9Sectional layer removable
    • Y10T428/1495Adhesive is on removabl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5Sheet, web, or layer weakened to permit separation through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10T428/24876Intermediate layer contains particulate material [e.g., pigme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9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 Y10T428/24901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including coloring matter

Abstract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는 광투과성 베이스 기층부, 베이스 기층부상에 형성되며 재박리가능한 감압 (pressure sensitive)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감압 접착층, 및 감압 접착층상에 형성되며 불투명층 및 화상 형성층과 관통 커트를 갖는 시트 부재를 포함한다. 시트 부재가 박리되는 경우, 그 시트 부재는 커트를 따라 감압 접착층상에 부분적으로 잔존할 수 있으며, 감압 접착층은 베이스 기층부상에 잔존할 수 있고 시트 부재가 감압 접착층상에 잔존하는 부분이외의 부분에서는 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UNIDIRECTIONALLY VISIBLE PRINTING MEMBER}
본 발명은 양 측면상에서 서로 다른 광학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일방향 가시성 (또는 화상 가시성) 프린팅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외면으로부터는 볼 수 있는 표면상에 프린트된 문자나 도형등과 같은 화상를 가지지만, 내면으로부터는 볼 수 없고 그 외부는 보일 수 있는, 장식이나 광고등에서 사용가능한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된 도형 및 문자와 같은 화상이, 예를 들면, 자동차 또는 점포의 창유리에 접착되는 경우, 외면으로부터는 볼 수 있지만 그 화상은 볼 수 없고 외부의 경치가 보일 수 있도록 설계된 시트가 새로운 광고 매체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측면상에 암색층 (103) 과 그 마주보는 측변상에 형성된 화상 (104) 을 가지는 시트에는 다수의 소공 (105) 이 제공되며, 그 다음 박리 시트 (101) 가 박리된 후에, 예를 들면, 그 기술 분야에 알려진바와 같이 암색 측변 (도 1b) 상에 형성된 접착제를 가진 유리 (106) 에 접착된다. 또한, 검정 또는 암색 스트립을 가진 베이스 패턴, 또는 작은 홀 패턴이 투명 필름상에 제공되고 그 베이스 패턴을 완전히 커버하기 위하여 화상이 프린트되는 방법이 제안된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프린팅시에 매우 엄격한 레지스트레션 (위치 조정) 이 이루어져야 하거나, 그라비아 프린팅 또는 오프셋 프린팅과 같은 수단이 사용되기 때문에 인쇄 업자에게 주문되어져야하고, 따라서 프린팅 로트 (lot) 가 커지고 상당한 제조 시간 및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가 있다.
시트가 광고 매체로서 자동차 또는 점포의 창유리에 접착되는 경우에, 그 화상 표면은 자동차의 외부나 옥외을 향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는 시트를 암색 측변상에 접착시키도록 (접착 가공) 가공되고, 따라서 반드시 창유리의 외부에 접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창유리에 접착된 시트는, 예를 들면, 비나 세차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물이나 새제에 기인한 열화로 인하여 데미지를 받게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상이 형성된 표면의 전 영역상에 커버 필름을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공정단계를 복잡하게 하고, 또한 비용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실용적이지 못하다.
한편, 시트를 창유리의 내부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시트는 프린트된 화상 측변상에 접착 가공이 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접착 가공된 표면상에 화상를 프린트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프린트된 화상상에 감압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은 공정단계상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 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저렴한 바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단순하게 조작할 수 있어서 일반 소비자들도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린터에 의해 화상를 쉽게 프린트 할 수 있고, 창유리등에 인쇄된 부재로서 프린팅 부재를 접착시킬 수 있는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시트가 지금까지 어려움이 있었던 자동차, 점포등의 내면상에서 접착될 수 있고, 외부 상태에 의해 좀처럼 영향을 받지 않는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는 광투과성 베이스 기층부, 베이스 기층부상에 형성되며 재박리가능한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감압 접착층, 및 감압 접착층상에 형성되며 불투명층 및 화상 형성층을 가지고 불투명층 및 화상 형성층을 관통하는 커트를 가지는 시트 부재를 포함하며, 그 시트 부재가 박리되는 경우 시트 부재는 커트를 따라서 감압 접착층상에 부분적으로 잔존할 수 있으며, 그 감압 접착층은 베이스 기층부상에 잔존할 수 있고 그 시트 부재가 감압 접착층상에 잔존하는 부분이외의 부분에서는 노출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 는 종래의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a, 도 2b 및 도 2c 는 본 발명인 프린팅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단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a 및 도 3b 는 본 발명인 프린트 부재에서 형성된 커트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인 프린팅 부재에서 형성된 커트의 또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인 프린팅 부재가 유리 표면에 프린트된 부재로서 접착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인 프린팅 부재에서 형성된 커트의 예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인 프린팅 부재에서 형성된 커트의 또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박리 시트 102 : 접착제
103 : 암색층 104 : 화상
105 : 소공 106, 507 : 유리
201 : 시트 부재 202, 502 : 화상 형성층
203, 503 : 불투명층 204, 504 : 감압 접착층
205, 505 : 베이스 기층부 206 :
301, 401 : 잔존 부분
302, 402 : 감압 접착층이 노출하는 부분
303, 403 : 커트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a : 단변의 길이 b : 장변의 길이
본 발명인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는 광투과성 베이스 기층부, 베이스 기층부상에 형성되며 재박리가능한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감압 접착층, 및 감압 접착층상에 형성되며 불투명층 및 화상 형성층을 가지고 불투명층 및 화상 형성층을 관통하는 커트를 가지는 시트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시트 부재가 박리되는 경우, 시트 부재는 커트를 따라서 감압 접착층상에 부분적으로 잔존할 수 있으며, 그 감압 접착층은 베이스 기층부상에 잔존할 수 있고 그 시트 부재가 감압 접착층상에 잔존하는 부분이외의 부분에서는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투과성 베이스 기층부는 빛을 투과하는 물질 중에 하나일 수 있고,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알콜등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감압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박리가능한 감압 접착제로서는,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감압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압 접착제는 고무/감압 접착 수지형 또는 아크릴형의 감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형태에 따라서, 솔벤트형, 에멀션형 및 핫멜트형중의 어느쪽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감압 접착제중 어느 것이나 리버스 코터 (reverse coater), 그라비아 코터 (gravure coater), 파운틴 다이 코터 (fountain die coater), 에어 나이프 코터 (air knife coater), 메이어 코터 (Mayer coater), 콤마 코터 (Comma coater) 등에 의해 기판상에 코팅될 수 있다.
화상 형성층 및 불투명층을 가지는 시트 부재는 화상이 그 표면상에 인쇄될 수 있고, 반면 표면측이 이면측으로 부터 보이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면상에서 차광성 또는 반사성을 갖는 시트 부재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인쇄가능한 종이 또는 필름, 또는 종이 및 필름으로된 인쇄가능한 박판 제품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중 어느 것이라도 이면상에, 검정색, 암색 또는 금속색 잉크, 또는 코팅 재료가 차광성 또는 반사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코팅될 수 있다. 대신, 차광성 또는 반사성을 갖는 종이 또는 필름이 이면상에 박판되어진 상기 재료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종이로서, 우드 프리 (wood free) 페이퍼, 코트 (coat) 페이퍼, 합성 페이퍼 또는 잉크 제트 (ink-jet) 프린터용 페이퍼와 같은 잉크의 정착 수행성이 향상된 가공 페이퍼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름으로서, 필름 형태로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또는 염화 비닐, 또는 향상된 잉크 정착 수행성을 가지기 위하여 가공된 필름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종이 및 필름의 박판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시트 부재의 두께는 종이가 사용되는 경우 및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며, 프린팅 부재의 노출된 감압 접착층이, 예를 들면, 창유리의 피접착면에 더 쉽게 접착될 수 있기 때문에, 화상이 빈틈없이 인쇄할 수 있는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게 될 수 있다.
감압 접착제는 이 감압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기판상에 코팅되며, 시트 부재의 불투명층 측면은 이 감압 접착층의 표면과 밀접하게 밀착된다. 그 후,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 부터 불투명층까지의 시트 부재를 관통하는 커트, 좀더 정확히 말하면, 소위 하프 커트가 그 시트 부재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프린팅 부재가 제조될 수 있다. 그 커트 (하프 커트) 는, 예를 들면, 커팅 머신, 톰슨 커터, 프레스 마커 또는 레이저 커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트는 원형 또는 스트립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원형이란 원 뿐만 아니라 타원형이라도 좋다. 또한, 스트립의 형상은 직선형상, 지그재그형상, 파형, 또는 도포되어 이들을 결합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시트 부재가 박리된 후에 그 시트 부재에 잔존하는 원형 또는 스트립 부분은 각각 인접한 잔존 부분들에 의존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3b 는 원형 커트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4a 및 도 4b 스트립 커트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는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직선 스트립 커트의 변형을 도시한 것이며, 단변측의 양 단부가 코너를 갖는 형상을 갖는 커트의 확대도이다. 도 7a 는 도 6a 에서 형성된 코너와 같은 코너를 갖는 원형 커트를 도시한 것이며, 또한 커트 형상의 확대도이다. 도 6b 및 도 7b 는 도 6a 및 도 6b 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코너의 단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 하프 커트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인 프린팅 부재의 외주의 적어도 마주보는 두 측변에서, 시트 부재는 일정한 폭으로 커트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4a 는 마주보는 두 측변에 커트가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며, 도 3b 및 도 4b 는 외주의 4 측변에서 커트가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에서, 부호 303 및 403 은 커트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다. 그 시트 부재는 커트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한 단부에서 감압 접착층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박리되며, 노출된 부분에서, 감압 접착층은, 예를 들면, 창유리의 내부의 피접착면에 접착된다. 따라서, 프린팅 부재는 피접착면상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커트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프린팅 부재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1% 내지 40% 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커트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에서 부호 301, 및 도 4a 및 도 4b 에서 부호 401 은 시트 부재가 박리된 후에 그 시트 부재에 잔존하는 부분이다. 도 3a 및 도 3b 에서 부분 (302) 및 테두리 부분 (303) 및 도 4a 및 도 4b 에서 부분 (402) 및 테두리 부분 (403) 은 감압 접착층이 노출된 부분이다. 물론, 감압 접착층은 또한 그러한 노출된 부분 (302 및 402) 에서 피접착면에 접착될 수 있다. 특히, 프린팅 부재가 넓은 영역을 가질 경우, 프린팅 부재는 테두리부분에서 뿐 아니라 테두리부분이외의 다른 감압 접착층 노출 부분에서 피접착면에 접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 프린팅 부재는 더 일정하게 접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테두리 부분 이외의 감압 접착층 노출 부분은 테두리 부분이외의 다른 부분의 전영역에 대하여 10%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의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더 일정한 접착이 획득될 수 있다. 이 영역 퍼센트가 너무 작으면, 충분한 접착이 획득될 수 없거나, 또는 외부가 보기 어렵게 될 수 있다. 한편, 이 영역 퍼센트가 너무 크면, 화상 형성 부분이 너무 작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 영역 퍼센트는 감압 접착제의 유형, 시트 부재의 두께, 광투과성 베이스 기층부의 두께등을 적당히 고려하여 선택된다.
도 6a 및 도 6b, 또는 도 7a 및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트가 코너를 갖는 스트립 또는 원형의 형상인 경우에, 시트 부재는 코너를 갖지 않는 시트 부재보다 더 쉽게 박리될 수 있다. 특히, 이는 넓은 영역을 갖는 프린팅 부재에 대하여 효과적이다. 각 코너는 0°< α<18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각 (α) 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b 및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커트가 코너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형성된 하프 커트는 시트 부재를 더 쉽게 박리 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코너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형성된 하프 커트는 단변의 한 측변의 길이 (a) 의 2배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5배 내지 1.5배의 길이 (b)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b) 가 길이 (a) 보다 2배이상 된다면, 잔존하는 화상의 형성은 제한될 수 있고, 또한 코너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하프 커트의 라인이 중복되고, 그 결과 의도되지 않은 불필요한 것이 남는다. 길이 (b) 가 길이 (a) 의 0.5 배 이하라면, 프린팅 부재의 영역이 증가하면 박리시키기 어려울 수 있어서, 하프 커트가 이루어진 경우롸 비교하여 작업성이 나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프린팅 부재가 넓은 영역이나 평탄하지 않은 장소에 접착되는 경우, 60% 이상의 투명도 및 100gf/㎝ 이하의 감압 접착력을 가진 시트가 시트 부재 및 피접착면사이의 프린팅 부재의 일부에 접착될 수 있다 (감압 접착력은 테스트 플레이트에 180 도 박리 접착을 구하는 JIS Z0237 "8. 접착력" 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 부재의 제조를 도 2a 내지 도 2c 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염화비닐등으로된 광투과막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기층부 (205) 및 화상 형성층 (202) 로서 인쇄할 수 있는 표면을 갖는 종이, 필름 또는 이들의 박판 제품이 사용을 위하여 준비된다.
다음, 검정, 암색 또는 금속색 잉크, 또는 코팅 재료가 이 종이등의 이면상에 코팅되거나, 차광성 또는 반사성을 갖는 종이 또는 필름이 불투명층 (203) 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면에 접착된다. 따라서, 표면상에 인쇄가능한 표면을 가지고 이면상에 차광성 또는 반사성을 가지는 시트 부재가 형성된다 (도 2a).
다음, 예를 들면, 아크릴형 및 솔벤트형의 감압 접착제는 리버스 코터등에 의하여 감압 접착층 (204) 를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기층부 (205) 상에 코팅된다 (도 2b). 이 감압 접착층 (204) 상에서, 상기 시트 부재 (201) 는 불투명층 (203) 이 감압 접착층 (204) 과 밀착하도록 하기 위하여 포갠다. 불투명층 (203) 의 잉크가 감압 접착층 (204) 에서 감압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리어 층 (미도시함) 이 불투명층 (203) 및 감압 접착층 (20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커팅 머신을 사용하여, 원형 또는 스트립 커트가 시트 부재 (201) 를 관통하여 만들어진다 (도 2c). 여기서, 도 3a 또는 도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트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303 및 403) 은 시트 부재의 외주의 마주보는 양 측변에서 형성되며, 또한, 도 3b 및 도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 (303 및 403) 은 시트 부재의 외주의 4 측변에서 형성된다. 예를 들면, A3 사이즈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진 프린팅 부재의 경우, 커트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은 시트 부재의 외주의 마주보는 두 측변 또는 4 측변의 각 단부에 5 ㎜ 내지 40 ㎜ 의 폭 으로 형성되며, A3 사이즈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진 프린트 부재의 경우에는 5 ㎜ 내지 100 ㎜ 의 폭으로 형성된다.
원형 커트가 시트 부재에서 형성되는 경우, 그 커트가 형성됨에 따라 커트가 인접한 원형 부분으로 부터 각각 종속되어 잔존한다. 이 경우, 원형은 각각 0.5 ㎜ 내지 10 ㎜ 의 직경을 갖고, 인접한 원형 부분으로부터의 거리는 각 원형 부분의 직경의 10% 내지 150% 가 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립 커트가 시트부재에 형성되는 경우, 그 커트는 시트 부재의 잔존 스트립 영역이 각각 0.5 ㎜ 내지 10 ㎜ 의 폭을 가지며, 인접한 스트립 부분이 각 스트립 부분으 폭의 10 % 내지 150 % 가 되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커트는 시트 부재가 박리되는 경우 스트립 커트가 모든 두번째의 스트립 커트에 연결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스트립 커트가 모든 두번째의 스트립 커트에서 잔존하는 상태에서 박리될 수 있다.
원형 또는 스트립 부분이 상기 범위의 최저 제한보다 작은 직경과 폭을 가지면, 프린팅 부재는 가공이 어렵다. 한편, 이들이 상기 범위의 최고 제한보다 큰 직경과 폭을 갖는다면, 인쇄용 화상 형성 부분의 단위 부분이 너무 커서 인식되기 어렵고, 그 외부가 보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인접 부분사이의 거리가 상기 범위의 최저 제한보다 작다면, 그 프린팅 부재는 가공이 어렵다. 또한, 외부는 빛이 회절때문에 보기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거리가 상기 범위의 최고 제한보다 크다면, 프린트된 화상은 인식되기 어려울 수 있다.
다음에, 제조된 프린팅 부재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아래에서 상술한다.
먼저, 프린터상에, 프린팅 부재는 화상이 인쇄가능한 표면상에 프린트될 수 있고, 어떤 바람직한 형상이 프린트되도록 놓여진다. 다음, 시트 부재는 한 단부에서 박리된다. 따라서, 시트 부재는 시트 부재에서 커트에 대응하는 부분이 잔존하고 감압 접착층이 잔존하는 부분이외의 다른 부분에서 노출되는 프린트 부재가 된다. 이 것은 예를 들면 화상이 형성된 표면이 노출된 감압 접착층을 유리 표면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내부의 유리 표면에 접착되는 방식으로 자동차 또는 점포의 창유리상에 사용된다.
도 5a 는 프린트된 부재로서 프린팅 부재는 단지 테두리 부분에서 감압 접착층 (504) 에 의하여 피접착면 (507) 에 접착되도록 만들어지는 예를 도시하며, 도 5b 는 테두리 부분 및 테두리 부분이외의 부분에서 감압 접착층 (504) 에 의하여 피접착면 (507) 에 접착되도록 만들어지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 에서, 부호 (502) 는 화상 형성층을 나타내고, 부호 (503) 는 불투명층, 부호 (504) 는 감압 접착층을 나타내며, 부호 (505) 는 베이스 기층부를 나타낸다. 또한, 프린팅 부재는 롤러등에 의하여 베이스 기층부 측으로부터 유리 표면에 대하여 인쇄될 수 있다. 이 것은 유리 표면 및 감압 접착층 (504) 사이를 더 밀접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해주며, 프린팅 부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게 한다.
따라서, 프린트된 화상이 창유리등의 외면으로부터는 볼 수 있지만 내면로부터는 볼 수 없는 반면, 외부는 시트 부재 잔존 부분이외의 부분을 통하여 볼 수 있는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아래의 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예 1)
50 ㎛ 두께의 흰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최상부 표면상에 다음의 조성을 가지는 에멀션이 화상 형성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30㎛ 의 두께로 코팅되었다.
조성 (중량에 의함)
자기가교형 아크릴 고중합 에멀션 (고형분 : 60%) 7 중량부
카티온성 아크릴산 고중합 에멀션 (고형분 :60%) 8 중량부
실리카 7 중량부
메탄올 26 중량부
물 52 중량부
이어서, 이 PET 필름의 이면상에 검정 잉크가 시트 부재를 획득하기 위하여 전 영역상에 코팅되었다. 그 다음, 50 ㎛ 의 투명 PET 필름이 광투과성 베이스 기층부로서 사용을 위하여 준비되었다. 이 PET 필름의 한 측변의 전 영역상에, POLISIC 610 (산요화성공업(주)로부터 입수할 수 있음) 이 감압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리버스 코터에 의하여 일정하게 형성되었다. 그 다음, 이들 두 필름은 흰색 PET 필름의 검은 측면이 투명 PET 필름의 감압 접착층과 접착되는 방식으로 포개었다. 그 후, 이는 A4 사이즈로 커트되었다.
다음, 장변측상의 외주의 마주보는 2측변에서 커트가 각 변당 5 ㎜ 의 폭이 형성되지 않는 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커팅 머신을 사용하여, 1.5 ㎜ 폭의 스트립 커트가 감압 접합층에 도달하지 않도록 시트 부재를 통하여 만들어졌다. 그 커트는 하나의 스트립 부분 및 인접한 프린팅 부재 사이의 거리가 1.0 ㎜ 이 되도록 만들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 부재가 제조되었다.
본 예에서, 커트가 형성되지 않은 외주의 두 측변 부분의 총 영역은 프린팅 부재의 전 영역의 4.8% 였다. 또한, 감압 접착층상에 잔존하는 스트립 부분의 영역은 커트가 형성되지 않은 두 측변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영역에 대해 59.6% 였다.
(예 2)
외주의 마주보는 장변측상의 2 변에서, 커트에 각 측변당 40 ㎜ 의 폭으로 형성되지 않고 (커트가 형성되지 않는 존의 총영역은 전체의 38% 였다), 각 스트립 영역의 폭은 10 ㎜ 였으며, 인접한 스트립 부분의 거리는 1㎜ 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프린팅 부재는 예 1 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예 3)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 의 폭을 가진 각 커트의 양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프린팅 부재는 예 1 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예 4)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 의 폭을 가진 각 커트의 양단부가 형성되는 것과 연장된 하프 커트의 길이 (b) 가 단변 길이 (a) 와 동등하게 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프린팅 부재는 예 1 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예 5)
프린팅 부재가 A2 사이즈인 것을 제외하고는, 프린팅 부재는 예 4 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예 6)
연장된 하프 커트의 길이 (b) 가 단변 길이 (a) 의 1.5배가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프린팅 부재는 예 5 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예 7)
연장된 하프 커트의 길이 (b) 가 단변 길이 (a) 의 2배가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프린팅 부재는 예 5 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비교예 1)
외주의 마주보는 장변측상의 2변에서, 커트에 각 측변당 0.8 ㎜ 의 폭으로 형성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프린팅 부재는 예 1 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커트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총 영역은 전체의 0.77% 였다),
(비교예 2)
각 스트립 부분의 커트폭이 12 ㎜ 였고, 인접한 스트립 영역사이의 거리는 1 ㎜ 였다. 이 경우, 인접한 스트립 부분사이의 거리는 스트립 부분의 8.3% 였다.
(비교예 3)
연장된 하프 커트의 길이 (b) 가 단변 길이 (a) 의 3배가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프린팅 부재는 예 5 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펑가 테스트 및 테스트 결과)
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되는 프린팅 부재는 흰색 표면상에 인쇄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프린터 (PM-3000C, 세이코 엡슨에 의하여 제조되는 제품명) 상에 놓였고, 화상이 프린트되었다. 그 후, 각 시트 부재는 한 단부에서 박리되었다. 따라서, 그 시트 부재의 커트에 대응하는 부분이 잔존하게 되고, 반면 감압 접착층은 잔존된 부분이외의 부분에서 노출되었다. 롤러를 사용하여, 프린팅 부재는, 화상이 형성된 표면이 노출된 감압 접착층을 유리 표면에 접착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유리 표면의 내부와 밀착되게 하는 방식으로, 내부 표면이 얼룩이나 기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에탄올로 닦여진 평탄한 창유리에 대하여, 일정하게 압착되었다. 또한, 선택된 창유리는 남쪽을 향하도록 하였고, 낮동안에 볕이 잘드는 장소를 택하였다.
따라서, 창유리에 프린트된 부재로서 접착된 프린팅 부재는 창유리의 외면 및 내면상에서 관찰되었다. 예 1 내지 예 7, 및 비교예 1 및 비교예 3 의 프린팅 부재의 경우에, 프린트된 화상은 외면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었고, 또한 그 화상은 내면으로부터는 인식할 수 없었으며, 외부의 경치는 잘 보였다. 따라서, 일방향 가시성이 확인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2 의 프린팅 부재의 경우에, 프린트된 화상은 외면으로부터는 인식할 수 있었으나, 외부 졍치는 예 1 및 2, 및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보기 어려웠다.
예 3 의 프린팅 부재는 예 1 의 프린팅 부재보다 더 좋은 작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예 4 의 프린팅 부재는 예 3 의 프린팅 부재보다 더 좋은 작업성을 나타내었다. 예 4 및 예 5의 프린팅 부재사이의 비교에서, 예 5 의 후자 프린팅 부재가 전자 프린팅 부재보다 더 넓은 영역에 대응하여 더 낮은 작업성을 나타내었다. 예 6 의 프린팅 부재는 예 5 의 프린팅 부재보다 더 좋은 작업성을 나타내었다. 예 7 의 프린팅 부재는 예 6 의 프린팅 부재보다 더 좋은 작업성을 나타내었다. 예 7 의 프린팅 부재와 비교예 3 의 프린팅 부재사이의 비교에서, 연장된 하프 커트가 너무 많이 중첩되어 낮은 작업성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비교예 3 의 프린팅 부재는 조심스럽게 박리되어져야 하였다.
다음, 프린팅 부재가 프린트된 부재로서의 상태에서 한달동안 방치한 후의 프린팅 부재의 상태가 관찰되었다. 그 결과, 예 1 및 에 2 의 프린팅 부재에서는 아무런 변화도 보이지 않았고, 인쇄용 부재가 최초에 접착되었던 상태가 유지되었다. 한편, 비교예 1 및 2 의 프린팅 부재는 테두리에서 유리로부터 벗겨지고, 또한, 프린팅 부재가 유리로부터 여기저기에서 벗겨져서 뜬상태로 되어있었다. 예 3 내지 예 7, 및 비교예 3 의 프린팅 부재는 예 1 의 프린팅 부재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인 프린팅 부재가 프린트된 부재로서 투명한 창유리등에 접착되는 경우, 그 표면상에 프린트된 문자 및 도형과 같은 화상이 외면으로부터는 볼 수 있지만 내면으로부터는 볼 수 없는 반면, 외부는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식이나 광고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프린팅 부재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일반 소비자라 하더라도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린터에 의하여 쉽게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프린트된 부재로서 자동차나 집의 창유리에 프린팅 부재를 접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팅 부재는 본인 스스로의 장식을 즐길 수 있다.
프린팅 부재가 표면에서 얼룩이나 기름성분이 제거된 창유리에 접착되는 경우, 재박리가능한 감압 접착제가 사용되기 때문에 박리되고 다시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팅 부재가 접착되는 장소를 바꿔서 장식을 즐길 수 있다. 불필요하게된 경우, 유리 표면과 같은 피접착면을 더럽히지 않고 쉽게 벗길 수 있다.
또한, 프린트된 부재로서 화상이 형성된 프린팅 부재가 창유리의 내면에 접착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세차나 비에 기인한 물이나 세제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어렵고, 그것이 접착되었던 최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광고의 효과는 오랜 기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Claims (7)

  1. 광투과성 베이스 기층부;
    상기 베이스 기층부상에 형성되며, 재박리가능한 감압 (pressure sensitive)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감압 접착층; 및
    상기 감압 접착층상에 형성되며, 불투명층 및 화상 형성층을 가지고, 불투명층 및 화상 형성층을 관통하는 커트를 가지는 시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부재가 박리되는 경우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커트를 따라서 상기 감압 접착층상에 부분적으로 잔존할 수 있으며, 상기 감압 접착층은 베이스 기층부상에 잔존할 수 있고 상기 시트 부재가 감압 접착층상에 잔존하는 부분이외의 부분에서는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가 박리된 후, 상기 감압 접착층이 상기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의 외주의 적어도 마주보는 양 측변에서 노출되고, 상기 마주보는 양 측변서 노출된 부분의 총 영역은 상기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의 전체 영역의 1%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의 외주에서 노출된 상기 감압 접착층의 폭이 A3 사이즈 이하인 경우에는 각 측변당 5 ㎜ 내지 40 ㎜ 이고, A3 사이즈 이상인 경우에는 각 측변당 5 ㎜ 내지 1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는 다수의 원형 또는 스트립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는 그 마주보는 양측에서 각각 코너를 갖는 다수의 원형 또는 스트립 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는 그 마주보는 양측에서 각각 코너를 가지며, 코너의 단변들이 연장된 방향으로는 각각 하프 커트들을 갖는 다수의 원형 또는 스트립 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연장된 상기 하프 커트는 상기 코너에 형성된 각 측변이 길이의 2배이하의 길이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KR1020000027984A 1999-05-24 2000-05-24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KR100353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43644 1999-05-24
JP14364499 1999-05-24
JP2000-008281 2000-01-17
JP2000008281A JP4204729B2 (ja) 1999-05-24 2000-01-17 一方向可視性印刷用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738A true KR20010029738A (ko) 2001-04-16
KR100353294B1 KR100353294B1 (ko) 2002-09-18

Family

ID=2647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984A KR100353294B1 (ko) 1999-05-24 2000-05-24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75586B1 (ko)
EP (1) EP1055525B1 (ko)
JP (1) JP4204729B2 (ko)
KR (1) KR100353294B1 (ko)
CN (1) CN1175283C (ko)
CA (1) CA2308941C (ko)
DE (1) DE60029869T2 (ko)
HK (1) HK1031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3355A1 (fr) * 2001-04-10 2002-10-11 Roux Sebastien Le Dispositif comportant une publicite avec un adhesif strie
US20030129358A1 (en) * 2002-01-04 2003-07-10 Beautone Co., Ltd. Method and medium for decoration
DE602004000341T2 (de) * 2003-04-04 2006-09-28 Fiechter, Andre Plakat sowie Materiali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6958106B2 (en) * 2003-04-09 2005-10-25 Endicott International Technologies, Inc. Material separation to form segmented product
US8236400B2 (en) 2004-09-17 2012-08-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hesive cover systems for articles
US20060154085A1 (en) * 2005-01-12 2006-07-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layered article having decorative frit layer for vehicle windshield and method for making same
AU2006287553A1 (en) * 2005-09-08 2007-03-15 Chromatin, Inc. Plants modified with mini-chromosomes
JPWO2007046460A1 (ja) * 2005-10-19 2009-04-23 株式会社根本杏林堂 両面粘着シート
DE102006011140A1 (de) * 2006-03-10 2007-09-13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Prozesskontrollstreifen und Verfahren zur Aufzeichnung
US20090169795A1 (en) * 2007-12-26 2009-07-02 Andre Fiechter Poster as well as methods and materials for its manufacture
WO2016010666A1 (en) * 2014-07-15 2016-01-21 Green Zachary L Photoluminescent signage
DE102017119055A1 (de) * 2017-08-21 2019-02-21 SEEN GmbH Verbundglas, Verbundsicherheitsgla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938A (en) * 1993-06-23 1997-03-11 Creative Minds Foundation, Inc.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holes for opposite side viewing
US5679435A (en) * 1994-06-21 1997-10-21 Andriash; Michael D. Vision control panels with perforations and method of making
US5525177A (en) 1994-09-01 1996-06-11 Clear Focus Imaging, Inc. Image transfer method for one way vision display panel
GB9426401D0 (en) * 1994-12-30 1995-03-01 Contra Vision Ltd Perforated adhesive assembly
EP1105288B1 (en) * 1998-06-15 2003-06-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component unidirectional graphic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283C (zh) 2004-11-10
JP2001042806A (ja) 2001-02-16
KR100353294B1 (ko) 2002-09-18
US6475586B1 (en) 2002-11-05
HK1031705A1 (en) 2001-06-22
EP1055525A3 (en) 2002-10-09
CA2308941C (en) 2004-07-06
EP1055525A2 (en) 2000-11-29
DE60029869D1 (de) 2006-09-21
CA2308941A1 (en) 2000-11-24
DE60029869T2 (de) 2007-01-25
CN1274855A (zh) 2000-11-29
JP4204729B2 (ja) 2009-01-07
EP1055525B1 (en)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6212A (en) Form with detachable card, support and covering material therefo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134351C (zh) 单向的图形制品及其制造方法
US4671003A (en) Easy removal lab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RE43261E1 (en) Method of making a label sheet
US5858155A (en) Method of forming a perforated adhesive assembly
KR100353294B1 (ko) 일방향 가시성 프린팅 부재
US6608002B1 (en) Direct thermal printable film with friction-reducing layer
NZ248875A (en) Transparent adhesive label with preprinted lettering and space for additional printing coated with toner receptive coating
CA2158593C (en) Label continuum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US20130143009A1 (en) Perspective film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2009528188A (ja) 金属化を用いる基板の部分印刷
CN1711571A (zh) 包括粘胶片和制件的可印刷外形结构的制造方法
JP2010008944A (ja) 銘板ラベル
GB2348703A (en) Temperature activatable indicia reveal cover
US200600190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pplying a finely registered printed laminated overlay to a substrate
JP4763395B2 (ja) 放置車両確認標章ラベル
JP3144827U (ja) 両面印刷用基材及び両面ステッカー
JP4216106B2 (ja) 透視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270639B2 (ja) 識別用貼付ラベル
JPH08248888A (ja) ラベル状接着物
EP1431060B1 (en) Use of a self-adhesive coating
JP2002303706A (ja) 一方向可視性印刷用部材
JP2722285B2 (ja) シークレットシート
KR200179896Y1 (ko) 잉크젯 프린트용 출력지
JPH0776185A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