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418A -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418A
KR20010029418A KR1019990052066A KR19990052066A KR20010029418A KR 20010029418 A KR20010029418 A KR 20010029418A KR 1019990052066 A KR1019990052066 A KR 1019990052066A KR 19990052066 A KR19990052066 A KR 19990052066A KR 20010029418 A KR20010029418 A KR 2001002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hain
air
wire rop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2029B1 (ko
Inventor
사카키바라유지
Original Assignee
스기우라 야스나리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우라 야스나리,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스기우라 야스나리
Publication of KR2001002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9/00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 F15B9/16Systems essentially having two or more interacting servomotors, e.g. multi-stage
    • F15B9/17Systems essentially having two or more interacting servomotors, e.g. multi-stage with electrical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고 소형이며 저렴한 기구로 높은 동조정밀도를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체인(7)을 리프트베이스(3)의 주위에 엔드리스형상으로 연장설치하고, 그 2곳을 X 링크식 신축기구(2A, 2B)의 롤러축(5A, 5B)에 연결한다. 체인(7)은 좌우의 차재대(車載臺)(1A, lB)의 승강에 따라 정역회전하고, 검출기구(12)가 체인(7)의 상대부사이의 장력차에 의거하여 차재대(1A, lB)의 고저차를 기계적으로 검출한다. 밸브유닛(13)은 검출기구(12)의 출력에 따라 좌우의 유압실린더(1A, lB)의 압유를 같은 량으로 제어한다. 리미트스위치(31A, 31B)는 차재대(1A, lB)의 고저차가 허용치를 넘을 때 좌우의 유압실린더 실린더(4A, 4B)를 즉시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APPARATUS FOR SYNCHRONIZING HYDRAULIC PRESSURE OF LIFT FOR VEHICLE MAINTENANCE}
본 발명은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좌우의 차재대를 같은 높이로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동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우의 차재대를 각각의 유압실린더로 같은 높이를 유지하여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유압실린더의 압유를 같은 량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기능을 구비한 유압동조장치로서, 종래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유압유닛(71)과 2개의 유압실린더 (72A, 72B)사이에 싱크로나이즈드 실린더(73)가 설치되어 있다. 도 l2에 나타내는 장치는 2개의 유압실린더(72A, 72B)의 작같은 량을 엔코더(74A, 74B)로 따로따로 검출하여 이들의 신호에 의거하여 전기제어회로(75)가 비례제어밸브(76A, 76B)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11에 나타내는 장치에 의하면, 싱크로나이즈드 실린더(73)의 1행정으로 유압실린더(72A, 72B)를 1왕복시키기 위하여 유압실린더(72A, 72B)의 사이즈 또는 스트로크가 큰 경우에 그것에 따라 싱크로나이즈드 실린더(73)가 대형화하고, 가공정밀도도 요구되어 비용이 비싼 것이 되었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장치의 경우는 유압실린더(72A, 72B)의 작동량을 엔코더(74A, 74B)로 전기적으로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주유소나 도장공장 등의 인화성가스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에 설치된 리프트에는 부적당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검출기구를 기계적으로 구성하여, 2개의 유압실린더를 간단하고 소형이며 저렴한 장치로 고정밀도로 동조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리프트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유압동조장치의 검출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유압동조장치의 에어실린더 및 유량제어밸브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유압동조장치의 에어회로도,
도 6은 도 4의 유량제어밸브의 사시도,
도 7은 유압동조장치의 유압회로도,
도 8은 유압동조장치의 전기회로도,
도 9는 검출기구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검출기구의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유압동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종래의 다른 유압동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차재대(車載臺) 2A, 2B : X링크식 신축기구
3 : 리프트베이스 4A, 4B : 유압실린더
5A, 5b : 롤러축 6 : 유압유닛
7, 67 : 체인 11A, 11B : 에어검출기
12 : 에어실린더 13 : 유량제어밸브
14 : 회동판 28A ~ 28D : 스로틀밸브
29A ~ 29D : 전자밸브 31A, 31B : 에어리미트
41 : 압력스위치 51A, 51B, 63 : 슬라이딩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압동조장치는 유압을 유압유닛으로부터 2개의 유압실린더에 공급하여 각 유압실린더로 좌우의 차재대를 각각 승강하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좌우의 차재대의 승강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로프부재와, 와이어로프부재의 장력변화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체와, 이동체에 걸어맞추어 좌우의 차재대의 고저차를 검출하는 에어검출기와, 에어검출기로부터 보내진 에어에 의하여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의 출력에 따라 2개의 유압실린더의 압유를 같은 량으로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로 이루어지고, 액츄에이터 및 유량제어밸브를 유압유닛에 격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
또한 본 발명의 유압동조장치는 이상발생시에 리프트를 즉시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체의 이동량이 허용치를 넘었을 때 동작하는 에어리미트와, 에어리미트의 동작에 응답하여 유압실린더를 정지시키는 압력스위치를 구비하며, 압력스위치를 유압유닛에 격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유량제어밸브에 액츄에이터에 연동하는 플런저와, 플런저에 의하여 개방도조정되는 스로틀밸브와, 스로틀밸브와 유압실린더 사이의 유압관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가 설치된다(청구항 3).
또 상기 차재대는 각각의 X 링크식 신축기구를 거쳐 리프트베이스에 지지되고, 각 신축기구의 다리부에 차재대에 연동하여 전후이동하는 롤러축이 설치되고, 리프트베이스의 주위에 와이어로프부재가 연장설치되며, 와이어로프부재의 2곳에 롤러축이 연결된다(청구항 4). X 링크식 신축기구를 사용한 리프트에 의하면, 롤러축의 이동량과 비교하여 차재대의 승강량이 크기 때문에, 와이어로프부재를 롤러축에 연결함으로써 차재대의 고저차를 콤팩트한 기구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부재로서는 와이어나 벨트도 사용할 수 있으나, 높은 검출정밀도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5). 또이동체로서는 체인의 장력변화에 의하여 회동하는 부재, 또는 슬라이딩하는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는, 좌우의 차재대(1A, lB)가 각각의 X 링크식 신축기구(2A, 2B)를 거쳐 리프트베이스(3)에 지지되어, 각각의 유압실린더(4A, 4B)에 의하여 승강된다. 왼쪽 신축기구(2A)의 다리부에는 차재대 (1A)에 연동하여 전후이동하는 롤러축(5A)이 설치되고, 오른쪽 신축기구(2B)의 다리부에는 차재대(1B)에 연동하여 전후이동하는 롤러(5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유압실린더(4A, 4B)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유닛(6)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트베이스(3)의 주위에는 와이어로프부재로서의 체인(7)이 복수의 체인풀리(8)에 의하여 ㄷ자형의 엔드리스형상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체인(7)의 왼쪽 일부는 조인트(9A)를 거쳐 롤러축(5A)에 연결되고, 오른쪽의 일부는 조인트(9B)를 거쳐 롤러축(5B)에 연결되어 있다. 체인(7)의 오른쪽부분에는 크로스부(7a)가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장력조절구(10)가 설치되어 있고, 좌우의 차재대(1A, lB)의 승강에 따라 체인(7)이 정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체인(7)의 왼쪽부분에 있어서, 리프트베이스(3)에는 이동체로서의 회동판(14)이 중앙부의 축(1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판(14)에는, 축(15)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전후한쌍의 가동체인풀리(16, 17)가 설치되며, 리프트베이스(3)에는 앞측의 가동체인풀리(16)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개의 고정체인풀리(18)와, 뒤측의 가동체인풀리(17)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2개의 고정체인풀리(19)가 설치되어 있다. 또 리프트베이스(3)에는 전후한쌍의 에어검출기(1lA, 1lB)가 고정되고, 에어검출기 (1lA)에는 회동판(14)의 전단가장자리에 걸어맞추는 플런저(1la)가 설치되며, 에어검출기(1lB)에는 회동판(14)의 후단가장자리에 걸어맞추는 플런저(1l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체인풀리(l6, 17, 18, 19)에 체인(7)이 감아 걸쳐지고, 좌우의 차재대(1A. lB)에 고저차가 생겼을 때에는, 회동판(14)이 체인(7)의 상대부사이의 장력차에 의하여 회동하며, 에어검출기(1lA 또는 1lB)가 좌우의 차재대(1A, lB)의 고저차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유닛(6)에는 유압펌프(39)나 탱크(40)(도 7 참조) 등의 표준유압기기가 설치됨과 동시에, 액츄에이터로서의 에어실린더(12)와, 에어실린더(12)의 출력에 따라 2개의 유압실린더(4A, 4B)의 유압을 같은 량으로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13)가 격납되어 있다. 에어실린더(12)는 배관(20A, 20B) 및 릴리프밸브(21A, 21B)(도 5참조)를 거쳐 에어검출기(1lA, 1lB)에 접속되어 어느 하나가 한쪽의 에어검출기(1lA 또는 1lB)로부터 보내진 에어에 의해서 피스톤로드(12a)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구동된다.
유량제어밸브(13)의 전면에는 아암(22)이 요동자유롭게 지지되며, 피스톤로드(12a)에 의하여 레버(23) 및 링크(24)를 거쳐 구동된다. 아암(22)에는 블레이드판(25)이 고정되고, 그 좌익부(左翼部)및 우익부(右翼部)에는 각각 상하 2개의 볼트(26A, 26D 및 26B, 26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암(22)의 요동에 따라 블레이드판(25)의 각 볼트(26A∼26D)가 좌우의 차재대(1A, lB)의 고저차에 따른 출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레버(23)에는 피스톤로드(12a)를 중립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제어밸브(13)의 전면에는 4개의 플런저(27A∼27D)가 돌출 설치되며 플런저(27A)는 왼쪽 위의 볼트(26A)에 의하여 눌려 움직이고, 플런저(27D)는 왼쪽밑의 볼트(26D)에 의하여 눌려 움직이며, 플런저 (27B)는 오른쪽 위의 볼트(25B)에 의하여 눌려 움직이고, 플런저(27C)는 왼쪽밑의 볼트(25C)에 의하여 눌려 움직인다. 밸브유닛(13)의 내부에는, 4개의 스로틀밸브 (28A∼28D)가 조립되고 스로틀밸브(28A)는 플런저(27A)에 의하여 조정된 개방도로 왼쪽의 유압실린더(4A)에 대한 공급유량을 증감하고, 스로틀밸브(28C)는 플런저 (27C)에 의하여 조정된 개방도로 왼쪽의 유압실린더(4A)의 토출유량을 증감하며, 스로틀밸브(28B)는 플런저(27B)에 의하여 조정된 개방도로 오른쪽의 유압실린더 (4B)에 대한 공급유량을 증감하고, 스로틀밸브(28D)는 플런저(27D)에 의하여 조정된 개방도로 오른쪽의 유압실린더(4B)의 토출유량을 증감하도록 되어 있다.
또 유량제어밸브(13)의 뒤측에는 4개의 전자밸브(29A∼29D)가 설치되며, 전자밸브(29A)는 스로틀밸브(28A)와 왼쪽의 유압실린더(4A)사이의 유압관로를 개폐하고, 전자밸브(29C)는 스로틀밸브(28C)와 왼쪽의 유압실린더(4A)사이의 유압관로를 개폐하며, 전자밸브(29B)는 스로틀밸브(28B)와 오른쪽의 유압실린더(4B)사이의 유압관로를 개폐하고, 전자밸브(29D)는 스로틀밸브(28D)와 오른쪽의 유압실린더(4B)사이의 유압관로를 개폐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34는 왼쪽 실린더접속구, 35는 오른쪽 실린더접속구, 36은 펌프접속구, 37은 탱크접속구이다. 도 7에 있어서, 32A, 32B는 비상시에 차재대(1A, lB)를 하강시키는 하강밸브, 38A, 38B는 차재대 (1A, lB)의 이상강하를 방지하는 안전밸브, 39는 유압펌프, 40은 탱크이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프트베이스(3)에는 전후한쌍의 에어리미트(31A, 31B)가 배치되고, 회동판(4)의 양쪽 끝부에는 에어리미트(31A, 31B)를 동작시키는 도그(33A, 33B)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리미트(3lA, 31B)는 도 5의 에어회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스위치(41) 및 전환밸브(43)를 거쳐 에어공급유닛(42)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스위치(41)는 유압유닛(6)에 격납되며 도 8의 전기회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밸브(29A∼29D)의 솔레노이드(SO1 ~ SOL4) 및 전환밸브(43)의 솔레노이드(SOL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차재대(1A, lB)에 큰 고저차가 발생하여, 회동판(14)의 각도가 허용치를 넘었을 때에는, 에어리미트(31A 또는 31B)가 개방되고, 압력저하에 응답하여 압력스위치(41)가 온하여 솔레노이드(SOL1∼SOL5)가 각각 소자(消磁)되고, 2개의 유압실린더(4A, 4B)가 즉시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PBU는 상승용 푸쉬버튼스위치, PBD는 하강용 푸쉬버튼스위치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압동조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승용 푸쉬버튼스위치(PBU)를 누르면, 솔레노이드(SOL1 및 SOL2)가 여자되고, 전자밸브(29A 및 29B)가 개방되어 압유가 펌프(39)로부터 2개의 유압실린더(4A, 4B)에 공급되어 좌우의 차재대(1A 및 1B)가 상승한다. 각 차재대(1A 및 1B)의 높이가 같은 경우에는, 좌우의 롤러축(5A 및 5B)이 같은 거리(도 1에 있어서 L = R)를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체인(7)의 상대부 사이에 장력차가 발생하지 않고, 회동판(14)이 정지하여 에어검출기(1lA 및 llB)가 모두 폐성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유압유닛(6)에 있어서 에어실린더(12) 및 아암(22)이 각각 중립위치에서 정지하고, 유량제어밸브(13)의 플런저(27A 및 27B)가 스로틀밸브(28A 및 28B)를 같은 개방도로 개방하여, 같은 량의 압유가 전자밸브(29A 및 29B)를 통하여 좌우의 유압실린더(4A 및 4B)에 공급되어 좌우의 차재대(1A 및 1B)가 같은 높이로 유지된다.
이것에 대하여 무엇인가의 원인으로 왼쪽의 차재대(1A)가 오른쪽의 차재대 (1B)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왼쪽 롤러축(5A)의 이동거리가 오른쪽 롤러축(5B)의 그것보다도 길어져(L > R), 체인(7)의 전체길이는 일정하기 때문에, 그 상대부 사이에 있어서 안쪽이 느슨하고 바깥쪽이 팽팽하며, 이 장력차에 의하여 회동판(14)이 도 3 및 도 5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회동판(14)의 전단에서 플런저 (1la)가 눌리어 에어검출기(1lA)가 개방되어, 에어실린더(12)의 피스톤로드(12a)가 도 4의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레버(23) 및 링크(24)를 거쳐 아암(22)이 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볼트(26A)로 플런저(27A)가 눌리어 스로틀밸브(28A)의 개방도가 축소하여, 왼쪽의 유압실린더(4A)에 대한 공급유량이 오른쪽의 유압실린더(4B)에 대한 공급유량보다도 적어지고, 그 결과 좌우의 차재대(1A 및 1B)가 같은 높이로 갖추어진다.
반대로 왼쪽의 차재대(1A)가 오른쪽의 차재대(1B)보다 낮아진 경우에는, 왼쪽 롤러축(5A)의 이동거리가 오른쪽 롤러축(5B)의 그것보다도 짧아져(LくR), 체인 (7)의 상대부 사이에 있어서, 안쪽이 팽팽하고, 바깥쪽이 느슨하여 이 장력차에 의하여 회동판(1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회동판(14)의 후단으로 플런저(1lb)가 눌리어 에어검출기(1lB)가 개방되고, 에어실린더(12)의 피스톤로드(12a)가 왼쪽으로 이동하고, 아암(22)이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어 볼트(26B)로 플런저 (27B)가 눌리어 스로틀밸브(28B)의 개방도가 축소하여, 오른쪽의 유압실린더(4B)에대한 공급유량이 왼쪽의 유압실린더(4A)에 대한 공급유량보다도 적어져, 그 결과 좌우의 차재대(1A 및 1B)가 같은 높이로 갖추어진다.
한편 하강용 푸쉬버튼스위치(PBD)가 눌러졌을 때에는, 솔레노이드(SOL3 및 SOL4)가 여자되어 전자밸브(29C 및 29D)가 개방되고, 압유가 좌우의 유압실린더 (4A, 4B)로부터 탱크(40)에 토출되어 좌우의 차재대(1A 및 1B)가 하강한다. 각 차재대 (1A 및 1B)의 높이가 같은 경우에는, 상승시와 같이 체인(7)의 상대부 사이에 장력차가 발생하지 않고, 회동판(14)이 정지하여 에어검출기(1lA 및 1lB)가 모두 폐쇄되어 에어실린더(12) 및 아암(22)이 각각 중립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플런저(27C 및 27D)가 스로틀밸브(28C 및 28D)를 같은 개방도로 개방하여, 같은 량의압유가 좌우의 유압실린더(4A 및 4B)로부터 유출하여, 좌우의 차재대(1A 및 1B)가 같은 높이로 유지된다.
이에 대하여 왼쪽의 차재대(1A)가 오른쪽의 차재대(1B)보다 높아진 경우에는 체인(7)의 상대부 사이에 있어서 안쪽이 느슨하고, 바깥쪽이 팽팽하여 이 장력차에 의하여 회동판(14)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회동판(14)의 전단으로 플런저(1la)가 눌리어 에어검출기(1lA)가 개방되고, 에어실린더(12)의 피스톤로드(12a)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레버(23) 및 링크(24)를 거쳐 아암(22)이 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볼트(26D)로 플런저(27D)가 눌리어 스로틀밸브(28D)의 개방도가 축소하여, 오른쪽 유압실린더(4B)의 토출유량이 왼쪽 유압실린더(4A)의 토출유량보다도 적어지고, 그 결과 좌우의 차재대(1A 및 1B)가 같은 높이로 갖추어진다.
반대로 왼쪽의 차재대(1A)가 오른쪽의 차재대(1B)보다 낮아진 경우에는, 체인(7)의 상대부 사이에 있어서, 안쪽이 팽팽하고 바깥쪽이 느슨하여 이 장력차에 의하여 회동판(1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회동판(14)의 후단으로 플런저(1lb)가 눌리어 에어검출기(1lB)가 개방되고, 에어실린더(12)의 피스톤로드 (12a)가 왼쪽으로 이동하여, 아암(22)이 반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볼트(26C)로 플런저(27C)가 눌리어 스로틀밸브(28C)의 개방도가 축소하여 왼쪽의 유압실린더(4A)의 토출유량이 오른쪽의 유압실린더(4B)의 토출유량보다도 적어지고, 그 결과 좌우의 차재대(1A 및 1B)가 같은 높이에 갖추어진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유압동조장치에 의하면, 좌우의 차재대(1A, lB)의 고저차를 체인(7), 회동판(14) 및 에어검출기(1lA, 1lB)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싱크로나이즈드 실린더나 엔코더를 사용한 종래장치와 비교하여, 검출기구 및 유압 및 전기제어회로를 각각 간단하고 소형으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장이 적고, 높은 동조정밀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 전기기기인 유량제어밸브(13) 및 압력스위치(41)는 리프트본체로부터 떨어진 유압유닛(6)에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방폭대책을 도모하지 않아도 주유소나 도장공장 등의 인화성가스가 발생하기 쉬운 장소에서 리프트를 안전히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승시 또는 하강시에 있어서, 좌우의 차재대(1A, lB)에 큰 고저차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에어리미트(31A 또는 31B)에서 이상을 확실하게 검출하여, 압력스위치(41)로 유압실린더(4A 및 4B)를 즉시 정지시키기 때문에, 자동차가 크게 기운상태로 승강되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차재대(1A, lB)의 고저차를 검출하는 기구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검출기구에 있어서는 에어검출기(11A, 1lB)가 회동판(14)의 전후에 배치된 슬라이딩판(51A, 51B)에 의하여 동작된다. 또 체인(7)은 회동판(14)상의 가동체인풀리(16, 17)와 리프트베이스(3)상의 고정체인풀리(18, 19)에 크로스되어 걸리어 체인(7)의 장력변화에 의하여 회동판(14)이 축(15)의 주위에서 회동된다. 도 9에 있어서 7a는 체인(7)의 크로스부를 나타내나, 그외 도 3과 동일한 부호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상응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앞쪽의 슬라이딩판(51A)은 전후한쌍의 긴 구멍(52, 53)으로 리프트베이스(3)상의 고정축(54, 55)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56)에 의하여 회동판(14)과 걸어맞추는 방향, 즉 뒤쪽으로 가세되어 있다. 앞쪽의 긴 구멍(52)은 고정축(54)보다 약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회동판(14)이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는 슬라이딩판(51A)이 뒤쪽의 고정축(55)을 중심으로 약간 경사이동하여 에어검출기(1lA)를 동작시킨 후, 스프링(5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앞쪽으로 슬라이딩하고, 도그(33A)로 에어리미트(31A)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뒤쪽의 슬라이딩판(51B)은 전후한쌍의 긴 구멍(57, 58)으로 리프트베이스(3)상의 고정축(59, 6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61)에 의하여 회동판(14)과 걸어맞추는 방향, 즉 앞쪽으로 가세되어 잇다. 뒤쪽의 긴 구멍(58)은 고정축(60)보다 약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회동판(14)이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는, 슬라이딩판(51B)이 앞쪽의 고정축(59)을 중심으로 약간 경사이동하여 에어검출기(1lB)를 동작시킨 후, 스프링(61)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뒤쪽으로 슬라이딩하고, 도그(33B)로 에어리미트(31B)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딩판(51A, 51B)의 전후이동에 의하여 에어검출기 (1lA, 1lB) 및 에어리미트(31A, 31B)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이동체의 약간의 움직임으로 체인(7)의 장력변화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검출기구를 폭이 좁게 구성하여 리프트베이스(3)를 한정된 스페이스에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검출기구의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는 에어검출기 (1lA, 1lB) 및 에어리미트(31A, 31B)가 단일의 슬라이딩판(63)에 의하여 동작된다. 슬라이딩판(63)은 긴 구멍(64)으로 리프트베이스(도시 생략)위의 고정축(65)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66)으로 뒤쪽으로 가세되어 있다. 와이어로프부재로서는 1개의 오픈엔드체인(67)이 사용되고, 그 한쪽 끝은 왼쪽의 롤러축(5A)에 조인트(9A)를 거쳐 앞쪽에서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오른쪽의 롤러축(5B)에 조인트(9B) 및 장력조절구(10)를 거쳐 뒤쪽에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체인(67)은 슬라이딩판(63)에 지지된 가동체인풀리(68)와 리프트베이스에 지지된 고정체인풀리(69)에 감아걸어 체인(67)의 왼쪽부분(67a)이 느슨해졌을 때에는, 슬라이딩판(63)이 스프링(66)의 스프링력으로 뒤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에어검출기(11A) 및 에어리미트(31A)를 차례로 동작시키고, 체인(67)의 오른쪽 부분 (67b)이 팽팽해졌을 때에는, 슬라이딩판(63)이 스프링(6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앞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에어검출기(11B) 및 에어리미트(31B)를 차례로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하고 콤팩트한 기구로 차재대의 고저차를 적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체인을 대신하여 와이어나 벨트를 사용하거나, 에어실린더를 대신하여 에어모터나 유사에어기기 또는 유압기기를 사용하거나, 2주식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에 응용하기도 하는 등,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각부의 형상 및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압동조장치에 의하면, 차재대의 고저차를 검출하는 기구를 와이어로프부재와 이동체와 에어검출기로 기계적으로 구성하여 2개의 유압실린더를 간단하고 소형이며 또한 저렴한 장치로 고정밀도로 동조제어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압유를 유압유닛으로부터 2개의 유압실린더에 공급하여, 각 유압 실린더로 좌우의 차재대를 따로따로 승강하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차재대의 승강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로프부재와, 와이어로프부재의 장력변화에 의하여 이동하는 이동체와, 이동체에 걸어맞추어 좌우의 차재대의 고저차를 검출하는 에어검출기와, 에어검출기로부터 보내진 에어에 의하여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의 출력에 따라 2개의 유압실린더의 압유를 같은 량으로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로 이루어지며, 액츄에이터 및 유량제어밸브를 유압유닛에 격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동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량이 허용치를 넘었을 때 동작하는 에어리미트와, 에어리미트의 동작에 응답하여 유압실린더를 정지시키는 압력스위치를 구비하고, 압력스위치를 유압유닛에 격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밸브는 액츄에이터에 연동하는 플런저와, 플런저에 의하여 개방도를 조정하는 스로틀밸브와, 스로틀밸브와 유압실린더 사이의 유압관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밸브는 액츄에이터에 연동하는 플런저와, 플런저에 의하여 개방도를 조정하는 스로틀밸브와, 스로틀밸브와 유압 실린더 사이의 유압관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재대를 각각의 X 링크식 신축기구를 거쳐 리프트베이스에 지지하고, 각 신축기구의 다리부에 차재대에 연동하여 전후이동하는 롤러축을 설치하며, 리프트베이스의 주위에 와이어로프부재를 설치하여, 와이어로프부재의 2 곳에 롤러축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회로.
  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부재로서 체인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부재로서 체인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회로
KR10-1999-0052066A 1999-09-24 1999-11-23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KR100382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111599A JP2001090707A (ja) 1999-09-24 1999-09-24 自動車整備用リフトの油圧同調装置
JP11-271115 199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418A true KR20010029418A (ko) 2001-04-06
KR100382029B1 KR100382029B1 (ko) 2003-04-26

Family

ID=1749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066A KR100382029B1 (ko) 1999-09-24 1999-11-23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090707A (ko)
KR (1) KR100382029B1 (ko)
TW (1) TW45719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98B1 (ko) * 2007-11-23 2010-10-26 (주)제이.케이.에스 수문제어용 유압실린더 동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169B1 (ko) 2007-05-16 2008-12-05 헤스본주식회사 차량정비용 리프트의 동조장치
KR20100093172A (ko) * 2009-02-16 2010-08-25 헤스본주식회사 세미 시저형 리프트
KR101015942B1 (ko) * 2009-03-13 2011-02-23 헤스본주식회사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KR101015943B1 (ko) 2009-03-13 2011-02-23 헤스본주식회사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JP2011057436A (ja) * 2009-09-14 2011-03-24 Sugiyasu Corp 車両整備用リフトの油圧回路
KR101315015B1 (ko) * 2011-05-04 2013-10-08 김종근 차량 리프팅용 유압실린더 동조 장치
CN105059134B (zh) * 2015-08-17 2017-06-20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磁浮列车直线电机下线装置
CN107200288A (zh) * 2017-07-23 2017-09-26 苏州艾沃意特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调平剪式举升机
CN108317115B (zh) * 2018-04-09 2023-08-04 中山市颉榕汽车维修检测设备有限公司 剪式举升机调平装置、举升系统及剪式举升机
CN111807254B (zh) * 2020-07-06 2021-06-22 广东国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汽修用汽车提升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98B1 (ko) * 2007-11-23 2010-10-26 (주)제이.케이.에스 수문제어용 유압실린더 동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2029B1 (ko) 2003-04-26
JP2001090707A (ja) 2001-04-03
TW457196B (en) 200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029B1 (ko) 자동차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US5573366A (en) Hydraulic device with synchronously operating jacks
KR19980041970A (ko) 선회식 클램프장치
JP5031282B2 (ja) 密閉式混練機
US4694930A (en) Lifting apparatus
CA1097187A (en) Arrangement to obtain equal travel of hydraulic cylinders
US4638887A (en) Elevating apparatus
KR950013677B1 (ko) 승강장치
AU2001281635B2 (en) Hydraulic lift with an accumulator
KR20010029417A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유압동조장치
EP1932797A1 (en) Lifting apparatus
KR100331984B1 (ko) 유압동조장치 및 유압리프트
KR100635104B1 (ko) 플랫스크린 날염기의 날염유닛 승강장치
US6557846B2 (en) Safety lock for upstacker
KR100231069B1 (ko) 유압실린더의 동조장치
US20220185640A1 (en) Self-locking jack
KR100340232B1 (ko) 볼형 체크 밸브를 갖는 모르타르 펌프
KR100317585B1 (ko) 유체압피스톤발동기
JP3295191B2 (ja) ステップ作動式持ち上げ装置のための油圧制御装置
CN107531466B (zh) 流体流动调节器
JP3873018B2 (ja) 多段シリンダ装置
JP2909468B2 (ja) 油圧装置
KR900004986B1 (ko) 승강장치
JP3924504B2 (ja) ジャッキ装置
US5396771A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hydraulic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