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942B1 -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942B1
KR101015942B1 KR1020090021829A KR20090021829A KR101015942B1 KR 101015942 B1 KR101015942 B1 KR 101015942B1 KR 1020090021829 A KR1020090021829 A KR 1020090021829A KR 20090021829 A KR20090021829 A KR 20090021829A KR 101015942 B1 KR101015942 B1 KR 10101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piston rod
vehicle mounting
assembl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277A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헤스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스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헤스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942B1/ko
Priority to PCT/KR2009/002908 priority patent/WO2010104240A1/ko
Publication of KR2010010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91Asymmetric linkages, i.e. Y-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평행한 2개의 차량탑재대(10)와, 하나의 차량탑재대(10)의 전방 하부와 후방 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2개 구비되어 상기 차량탑재대(10)를 승강시키는 4개의 승강수단(100)과, 상기 승강수단(100)을 작동하는 동력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수단(100)은, 그 하단이 핀(P1)으로 지면 또는 지지구(2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상단이 차량탑재대(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링크(20)와, 상기 메인링크(2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그 상단이 상기 차량탑재대(10) 외측에 구비된 외측-고정핀(P3)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이 상기 메인링크(20)와 회전가능하게 핀(P2)으로 연결되는 보조링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수단(200)은, 그 상단이 상기 보조링크(30)의 상부에 연결되고 그 하단이 상기 메인링크(20)에 지지되어 신장되면서 상기 차량탑재대(10)를 상승시키는 복수의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 결합체로 구성되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시져형 리프트, 4주형 리프트, 동조

Description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 Semi Scissor Type Lift For Vehicle with Synchronizing Device }
본 발명은 시져형 리프트의 중량 불균등 분배시 기울어짐 현상과 4주형 리프트의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 그리고 시져형 리프트의 측방향 이동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시져형 리프트가 가지는 장점과 4주형 리프트가 가지는 장점을 겸비한 세미 시져형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정비용 리프트는 차량을 탑재 한 후, 차체를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차제의 각종 고장요소를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로써, 구조방식에 따라 지주형과 크로스 링크형(시져형, Scissor Type)으로 크게 구분된다.
크로스 링크형(X형 또는 시져형) 리프트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 상부에는 X자형의 크로스 링크가 각각 좌, 우측에 설치되고, 크로스 링크의 상부에는 차량을 안착할 수 있는 차량탑재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크로스 링크를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하여 유압실린더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 크로스 링크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차량이 안착되는 차량탑재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것이다.
시져형 리프트의 경우, 크로스 링크의 외곽에 차량의 바퀴가 위치하고 크로스 링크의 상부가 전후 두 지점에서 차량탑재대를 지지하기 때문에 차량이 차량탑재대의 길이방향 가운데에 위치하지 않으면 무게가 일측으로 쏠려 차량탑재대가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리프트는 소형, 중형, 대형 차량 모두를 탑재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전장이 각기 다른 차량의 무게중심이 크로스 링크의 전후 두 지지점의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시져형 리프트는 차량이 차량탑재대 폭의 가운데에 오지 않고 일측으로 쏠려 진입하는 경우 차량의 하중이 일측 크로스 링크에 집중되어 차량탑재대가 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시져형 리프트의 차량탑재대 기울어짐 현상은 휠 얼라인먼트 작업과 같은 수평 정밀도(예를들어, 얼라인먼트 작업은 0.01° 수준의 정밀도가 요구됨)가 요구되는 작업을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져형 리프트의 경우 차량탑재대 하부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공구 등을 교체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이동하려 하는 경우 크로스 링크 또는 링크를 상승시키는 유압실린더에 걸려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작업자가 리프트 밖으로 빠져나오려 하는 경우에 차량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지주(특히, 4주형)형 리프트는 시져형 리프트와 달리 차량의 중량 불균등 분배에 의한 차량탑재대의 기울어짐 현상 방지 기능이 우수하고 작업자의 측면 방향 이동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주형 리프트는 지주가 차량의 폭보다 넓게 설치되어야 하고 4주형 리프트의 경우 차량의 전장보다 긴 거리차로 전후 지주 가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리프트가 찾이하는 공간이 커서 차량 정비센터 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져형 리프트의 중량 불균등 분배시 기울어짐 현상과 4주형 리프트의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 그리고 시져형 리프트의 이동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시져형 리프트가 가지는 장점과 4주형 리프트가 가지는 장점을 겸비한 세미 시져형 리프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2개의 중간 지점에서 하나의 차량탑재대를 지지하는 시져형 리프트와 달리 하나의 차량탑재대를 4개의 외측 지점에서 지지하여 차량 중량의 불균등 분배시에도 4주형 리프트와 같이 기울어지는 형상이 거의 없어 휠 얼라인먼트와 같은 0.1 ° 수준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차량 작업이 가능한 세미 시져형 리프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밀도가 우수하면서도 기존의 시져형 리프트와 차지하는 공간이 같아서 설치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4주형 리프트의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 문제를 개선한 세미 시져형 리프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시져형 리프트와 다르게 승강수단을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작업자의 측면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세미 시져형 리프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 동조뿐 아니라 전후 동조가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리프트는, 평행한 2개의 차량탑재대(10)와, 하나의 차량탑재대(10)의 전방 하부와 후방 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2개 구비되어 상기 차량탑재대(10)를 승강시키는 4개의 승강수단(100)과, 상기 승강수단(100)을 작동하는 동력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수단(100)은, 그 하단이 핀(P1)으로 지면 또는 지지구(2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상단이 차량탑재대(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링크(20)와, 상기 메인링크(2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그 상단이 상기 차량탑재대(10) 외측에 구비된 외측-고정핀(P3)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이 상기 메인링크(20)와 회전가능하게 핀(P2)으로 연결되는 보조링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수단(200)은, 그 상단은 상기 보조링크(30)의 상부에 연결되고 그 하단은 상기 메인링크(20)에 지지되어 신장되면서 상기 차량탑재대(10)를 상승시키는 복수의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 결합체로 구성되되,
상기 차량탑재대(10)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유압실린더(L1) 및 피스톤로드(M1) 결합체와,
상기 제1 유압실린더(L1)가 위치한 차량탑재대(10)가 아닌 다른 차량탑재대(10) 하부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상기 제1 유압실린더(L1)로부터 좀더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메인유압실린더(L1)의 유출구(L1a)와 제2 유압실린더(L1- 1)의 유입구(L1-1a)를 연결하는 유압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유압실린더(L1-1) 및 피스톤로드(M2) 결합체와,
상기 제1 유압실린더(L1) 및 피스톤로드(M1) 결합체와 나란하게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3 유압실린더(L2) 및 피스톤로드(M3) 결합체와,
상기 제3 유압실린더(L2) 및 피스톤로드(M3) 결합체가 위치한 차량탑재대(10)의 전방하부 또는 후방하부 중 제3 유압실린더(L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3 유압실린더(L2)의 유출구(L2a)와 제4 유압실린더(L2-1)의 유입구(L2-1a)를 연결하는 유압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는 제4 유압실린더(L2-1) 및 피스톤로드(M4) 결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시져형 리프트의 중량 불균등 분배시 기울어짐 현상과 4주 리프트의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 그리고 시져형 리프트의 이동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시져형 리프트가 가지는 장점과 4주형 리프트가 가지는 장점을 겸비한 세미 시져형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기존의 2개의 중간 지점에서 하나의 차량탑재대를 지지하는 시져형 리프트와 달리 하나의 차량탑재대를 4개의 보다 외측 지점에서 지지하여 차량 중량의 불균등분배시에도 4주형 리프트와 같이 기울어지는 형상이 거의 없어 휠 얼라인먼트 작업과 같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차량 작업이 가능한 세미 시져형 리프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정밀도가 우수하면서도 기존의 시져형 리프트와 차지하는 공간이 같아서 설치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4주형 리프트의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 문제를 개선한 세미 시져형 리프트가 제공된다.
또한, 기존의 시져형 리프트와 다르게 승강수단을 양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작업자의 측면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세미 시져형 리프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우 좌우 동조뿐 아니라 전후 동조가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미시져형 리프트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미시져형 리프트의 동력수단 평면 상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리프트는 평행한 2개의 차량탑재대(10)와, 하나의 차량탑재대(10)의 전방 하부와 후방 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2개 구비되어 상기 차량탑재대(10)를 승강시키는 4개의 승강수단(100)과, 상기 승강수단(100)을 작동하는 동력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수단(100)은, 그 하단이 핀(P1)으로 지면 또는 지지구(2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상단이 차량탑재대(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링 크(20)와, 상기 메인링크(2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그 상단이 상기 차량탑재대(10) 외측에 구비된 외측-고정핀(P3)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이 상기 메인링크(20)와 회전가능하게 핀(P2)으로 연결되는 보조링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리프트의 동력수단(200)은, 그 상단이 보조링크(30)의 상부에 연결되고 그 하단이 메인링크(20)에 지지되어 신장되면서 상기 차량탑재대(10)를 상승시키는 복수의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 결합체로 구성된다.
도 2(또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압실린더(L1) 및 피스톤로드(M1) 결합체는 차량탑재대(10) 하부에 구비된다. 제2 유압실린더(L1-1) 및 피스톤로드(M2) 결합체는 제1 유압실린더(L1)가 위치한 차량탑재대(10)가 아닌 다른 차량탑재대(10) 하부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상기 제1 유압실린더(L1)로부터 좀더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유압실린더(L1)의 유출구(L1a)와 제2 유압실린더(L1-1)의 유입구(L1-1a)를 연결하는 유압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된다.
제3 유압실린더(L2) 및 피스톤로드(M3) 결합체는 제1 유압실린더(L1) 및 피스톤로드(M1) 결합체와 나란하게 인접하여 구비된다. 제4 유압실린더(L2-1) 및 피스톤로드(M4) 결합체는, 제3 유압실린더(L2) 및 피스톤로드(M3) 결합체가 위치한 차량탑재대(10)의 전방하부 또는 후방하부 중 제3 유압실린더(L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3 유압실린더(L2)의 유출구(L2a)와 제4 유압실린더(L2-1)의 유입구(L2-1a)를 연결하는 유압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된다.
제5 유압실린더(R1) 및 피스톤로드(M5) 결합체는 제1 유압실린더(L1) 및 피스톤로드(M1) 결합체가 위치한 차량탑재대(10)가 아닌 다른 차량탑재대 하부에 구비된다. 제6 유압실린더(R1-1) 및 피스톤로드(M6) 결합체는 제1 유압실린더(L1) 위치한 차량탑재대(10) 하부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상기 제4 유압실린더(R1)로부터 좀더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5 유압실린더(R1)의 유출구(R1a)와 제6 유압실린더(R1-1)의 유입구(R1-1a)를 연결하는 유압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된다.
제7 유압실린더(R2) 및 피스톤로드(M7) 결합체는 제5 유압실린더(R1) 및 피스톤로드(M5) 결합체와 나란하게 인접하여 구비된다. 제8 유압실린더(R2-1) 및 피스톤로드(M8) 결합체는 제7 유압실린더(R2)가 위치한 차량탑재대(10)의 전방하부 또는 후방하부 중 제7 유압실린더(R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되 제7 유압실린더(R2)의 유출구(R2a)와 제8 유압실린더(R2-1)의 유입구(R2-1a)를 연결하는 유압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에 있어서, 세미시져형 리프트 피스톤로드가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제1 유압실린더(L1), 제3 유압실린더(L2), 제5 유압실린더(R1), 및 제7 유압실린더(R2)의 내부 공동(空洞)의 횡단면적은 각각 순서대로 제2 유압실린더(L1-1), 제4 유압실린더(L2-1), 제6 유압실린더(R1-1), 및 제8 유압실린더(R2-1)의 내부 공동(空洞)의 횡단면적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에 있어서, 제1 유압실린더(L1) 및 피스톤로드(M1) 결합체와 제3 유압실린더(L2) 및 피스톤로드(M3) 결합체는 서로 나란하게 양단부가 동일한 핀(P4, P5)으로 정렬되어 동조된다. 제4 유압실린더(L2-1) 및 피스톤로드(M4) 결합체와 제6 유압실린더(R1-1) 및 피스톤로드(M6) 결합체는 서로 나란하게 양단부가 동일한 핀(P4, P5)으로 정렬되어 동조된다.
제5 유압실린더(R1) 및 피스톤로드(M5) 결합체와 제7 유압실린더(R2) 및 피스톤로드(M7) 결합체는 서로 나란하게 양단부가 동일한 핀(P4, P5)으로 정렬되어 동조되고, 제2 유압실린더(L1-1) 및 피스톤로드(M2) 결합체와 제8 유압실린더(R2-1) 및 피스톤로드(M8) 결합체는 서로 나란하게 양단부가 동일한 핀(P4, P5)으로 정렬되어 동조된다.
피스톤로드(M1, M2, M3, M4, M5, M6, M7, M8)의 상단은 상기 보조링크(30)의 상부에 핀(P5)으로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L1, L2, L1-1, L2-1, R1, R2, R1-1, R2-1)의 하단은 메인링크(20)에 핀(P4)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세미시져형 리프트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링크(20)는 그 하단이 핀(P1)으로 지면 또는 지지구(22)에 지지되고 그 상단이 작동링크(40)을 통해 차량탑재대(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작동링크(40, 도 2 참조)의 양단에는 슬라이딩을 운동을 보조하는 육면체형 안내구(50) 또는 롤러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안내구(50)는 차량탑재대(10)의 하부에 구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한다. 필요한 경우 차량탑재대(10)와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롤러형 안내구(5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메인링크(20)는 두개의 긴 프레임(21)과 이것을 연결하며 보강하는 횡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링크(30)는 메인링크(2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그 상단이 차량탑재대(10) 외측에 구비된 외측-고정핀(P3)에 연결되고 그 하단이 상기 메인링크(20)와 핀(P2)으로 연결된다. 보조링크(30)는 메인링크(20)의 대략 단부가 아닌 대략 중간 지점에 하단이 핀으로 지지되고 상단은 차량탑재대(10)에 외측-고정핀(P3)으로 고정된다. 외측-고정핀(P3)은 차량탑재대(10) 대비 슬라이딩 운동하지 않으면 항상 고정된 상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미 시져형 리프트에 있어서, 서로 결합되는 상기 메인링크(20)와 보조링크(30)는 "
Figure 112009015502017-pat00001
"형상 또는 "
Figure 112009015502017-pat00002
"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차량탑재대(10)는 제1 차량탑재대(11)와 제2 차량탑재대(12)가 수평으로 구비되고, 제1 차량탑재대(11)는 서로 대칭으로 구성된 제1 승강수단(101)과 제2 승강수단(102)에 의해 승강되고, 제2 차량탑재대(12)는 서로 대칭으로 구성된 제3 승강수단(103)과 제4 승강수단(104)에 의해 승강된다.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수단(200)은 제1, 제2, 제3, 및 제4 승강수단(101, 102, 103, 104)을 각각 승강시키는 제1, 제2, 제3, 및 제4 동력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미시져형 리프트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미시져형 리프트의 동력수단 평면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탑재대 20 : 메인링크
22 : 지지구 30 : 보조링크
100 : 승강수단
200 : 동력수단
P1, P2, P4, P5 : 핀 P3 : 외측-고정핀
H1, H1', H2, H2', H3, H4 : 유압라인
M1, M2, M3, M4, M5, M6, M7, M8 : 피스톤로드
L1, L2, L1-1, L2-1, R1, R2, R1-1, R2-1 : 유압실린더
L1a, L2a, R1a, R2a : 유출구
L1-1a, L2-1a, R1-1a, R2-1a : 유입구

Claims (5)

  1. 평행한 2개의 차량탑재대(10)와, 하나의 차량탑재대(10)의 전방 하부와 후방 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2개 구비되어 상기 차량탑재대(10)를 승강시키는 4개의 승강수단(100)과, 상기 승강수단(100)을 작동하는 동력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수단(100)은, 그 하단이 핀(P1)으로 지면 또는 지지구(2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상단이 차량탑재대(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메인링크(20)와, 상기 메인링크(2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그 상단이 상기 차량탑재대(10) 외측에 구비된 외측-고정핀(P3)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이 상기 메인링크(20)와 회전가능하게 핀(P2)으로 연결되는 보조링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력수단(200)은, 그 상단은 상기 보조링크(30)의 상부에 연결되고 그 하단은 상기 메인링크(20)에 지지되어 신장되면서 상기 차량탑재대(10)를 상승시키는 복수의 유압실린더 및 피스톤 결합체로 구성되되,
    상기 차량탑재대(10) 하부에 구비되는 제1 유압실린더(L1) 및 피스톤로드(M1) 결합체와,
    상기 제1 유압실린더(L1)가 위치한 차량탑재대(10)가 아닌 다른 차량탑재대(10) 하부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상기 제1 유압실린더(L1)로부터 좀더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메인유압실린더(L1)의 유출구(L1a)와 제2 유압실린더(L1-1)의 유입구(L1-1a)를 연결하는 유압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는 제2 유압실 린더(L1-1) 및 피스톤로드(M2) 결합체와,
    상기 제1 유압실린더(L1) 및 피스톤로드(M1) 결합체와 나란하게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3 유압실린더(L2) 및 피스톤로드(M3) 결합체와,
    상기 제3 유압실린더(L2) 및 피스톤로드(M3) 결합체가 위치한 차량탑재대(10)의 전방하부 또는 후방하부 중 제3 유압실린더(L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3 유압실린더(L2)의 유출구(L2a)와 제4 유압실린더(L2-1)의 유입구(L2-1a)를 연결하는 유압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는 제4 유압실린더(L2-1) 및 피스톤로드(M4) 결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유압실린더(L1) 및 피스톤로드(M1) 결합체가 위치한 차량탑재대(10)가 아닌 다른 차량탑재대 하부에 구비되는 제5 유압실린더(R1) 및 피스톤로드(M5) 결합체와,
    상기 제1 유압실린더(L1) 위치한 차량탑재대(10) 하부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상기 제4 유압실린더(R1)로부터 좀더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5 유압실린더(R1)의 유출구(R1a)와 제6 유압실린더(R1-1)의 유입구(R1-1a)를 연결하는 유압라인(H1')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는 제6 유압실린더(R1-1) 및 피스톤로드(M6) 결합체와,
    상기 제5 유압실린더(R1) 및 피스톤로드(M5) 결합체와 나란하게 인접하여 구 비되는 제7 유압실린더(R2) 및 피스톤로드(M7) 결합체와,
    상기 제7 유압실린더(R2)가 위치한 차량탑재대(10)의 전방하부 또는 후방하부 중 제7 유압실린더(R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제7 유압실린더(R2)의 유출구(R2a)와 제8 유압실린더(R2-1)의 유입구(R2-1a)를 연결하는 유압라인(H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는 제8 유압실린더(R2-1) 및 피스톤로드(M8) 결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리프트.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피스톤로드가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제1 유압실린더(L1), 제3 유압실린더(L2), 제5 유압실린더(R1), 및 제7 유압실린더(R2)의 내부 공동(空洞)의 횡단면적은 각각 순서대로 제2 유압실린더(L1-1), 제4 유압실린더(L2-1), 제6 유압실린더(R1-1), 및 제8 유압실린더(R2-1)의 내부 공동(空洞)의 횡단면적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리프트.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유압실린더(L1) 및 피스톤로드(M1) 결합체와 제3 유압실린더(L2) 및 피스톤로드(M3) 결합체는 서로 나란하게 양단부가 동일한 핀(P4, P5)으로 정렬되어 동조되고,
    제4 유압실린더(L2-1) 및 피스톤로드(M4) 결합체와 제6 유압실린더(R1-1) 및 피스톤로드(M6) 결합체는 서로 나란하게 양단부가 동일한 핀(P4, P5)으로 정렬되어 동조되고,
    제5 유압실린더(R1) 및 피스톤로드(M5) 결합체와 제7 유압실린더(R2) 및 피스톤로드(M7) 결합체는 서로 나란하게 양단부가 동일한 핀(P4, P5)으로 정렬되어 동조되고,
    제2 유압실린더(L1-1) 및 피스톤로드(M2) 결합체와 제8 유압실린더(R2-1) 및 피스톤로드(M8) 결합체는 서로 나란하게 양단부가 동일한 핀(P4, P5)으로 정렬되어 동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리프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M1, M2, M3, M4, M5, M6, M7, M8)의 상단은 상기 보조링크(30)의 상부에 핀(P5)으로 연결되고 상기 유압실린더(L1, L2, L1-1, L2-1, R1, R2, R1-1, R2-1)의 하단은 상기 메인링크(20)에 핀(P4)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리프트.
KR1020090021829A 2009-03-13 2009-03-13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KR10101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829A KR101015942B1 (ko) 2009-03-13 2009-03-13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PCT/KR2009/002908 WO2010104240A1 (ko) 2009-03-13 2009-06-01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829A KR101015942B1 (ko) 2009-03-13 2009-03-13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277A KR20100103277A (ko) 2010-09-27
KR101015942B1 true KR101015942B1 (ko) 2011-02-23

Family

ID=4272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829A KR101015942B1 (ko) 2009-03-13 2009-03-13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15942B1 (ko)
WO (1) WO20101042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4822A (zh) * 2017-03-17 2017-06-23 合肥佳航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剪式举升机平台同步双缸液压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029B1 (ko) * 2011-10-25 2013-05-21 김재훈 구조 개선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CN109095409A (zh) * 2018-10-17 2018-12-28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一种地铁风管、桥架安装移动升降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3388A (ja) 1998-08-04 2000-02-22 Nissan Altia Co Ltd 車両用リフト
JP2001090707A (ja) 1999-09-24 2001-04-03 Sugiyasu Kogyo Kk 自動車整備用リフトの油圧同調装置
JP2005214368A (ja) 2004-02-02 2005-08-11 Takenaka Komuten Co Ltd 油圧回路
WO2007148960A1 (en) 2006-06-21 2007-12-27 Stertil B.V. Vehicle elevator and lift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2796B1 (en) * 1997-10-31 2001-02-06 Mohawk Resources Ltd. Vehicle li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3388A (ja) 1998-08-04 2000-02-22 Nissan Altia Co Ltd 車両用リフト
JP2001090707A (ja) 1999-09-24 2001-04-03 Sugiyasu Kogyo Kk 自動車整備用リフトの油圧同調装置
JP2005214368A (ja) 2004-02-02 2005-08-11 Takenaka Komuten Co Ltd 油圧回路
WO2007148960A1 (en) 2006-06-21 2007-12-27 Stertil B.V. Vehicle elevator and lift there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4822A (zh) * 2017-03-17 2017-06-23 合肥佳航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剪式举升机平台同步双缸液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277A (ko) 2010-09-27
WO2010104240A1 (ko)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029B1 (ko) 구조 개선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KR101015943B1 (ko)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CN102648147B (zh) 用于叉式升降机货车的联动系统
KR101015942B1 (ko)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CA3000875C (en) An improved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KR20100093172A (ko) 세미 시저형 리프트
KR101266028B1 (ko) 횡방향 구동 타입의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CN213569370U (zh) 一种汽车维修用升降托架
KR101015941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정비용 리프트
JP2000289994A (ja) ジャッキ装置
US9096415B2 (en) Lifting device for scissor lifts
EP2295366B1 (en) Forklift mast
KR20130007045U (ko) 선박 지지용 핀지그 이송 캐리어
CN221165809U (zh) 轻便型搬运机械轮胎拆装机械
CN216005092U (zh) 一种便携式升降装置
CN221343791U (zh) 一种汽车维修用举升机
CN203766405U (zh) 一种汽车轮胎装卸架
CN215756128U (zh) 快速移动的升降装卸平台
CN221300912U (zh) 一种纺织机械支撑装置
CN213671342U (zh) 一种冲裁设备的废料收集装置
KR20100011014A (ko)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ITVR980025U1 (it) Mezzi perfezionati per la regolazione dell&#39;interasse orizzontale di attrezzature per carrelli elevatori o similari
CN210081598U (zh) 一种汽车阅读灯组装用治具
CN209940366U (zh) 一种便捷式检修升降机构
JPS6011030Y2 (ja) フォ−クリフトの荷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