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014A -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 Google Patents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014A
KR20100011014A KR1020080072046A KR20080072046A KR20100011014A KR 20100011014 A KR20100011014 A KR 20100011014A KR 1020080072046 A KR1020080072046 A KR 1020080072046A KR 20080072046 A KR20080072046 A KR 20080072046A KR 20100011014 A KR20100011014 A KR 20100011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plate
plate
link
main rai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길봉
Original Assignee
반도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반도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014A/ko
Publication of KR2010001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부(1) 후단의 지지구(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레일(10)과; 적재부(1)에 지지점을 갖는 제1유압실린더부(25)로부터 힘을 전달받아서, 상기 메인레일(10)을 회전시키는 토크를 발생시켜, 상기 메인레일(10)을 지지구(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토크전달구(20)와; 일측(30a)이 상기 메인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개의 제1 승강판(30)과; 일측(40a)이 상기 제1 승강판(30)의 타측(30b)과 각각 핀(57) 결합되는 두개의 제2 승강판(40)과; 상기 제1 승강판(30) 하부에 지지되는 제1 링크(52)와, 상기 제2 승강판(40) 하부에 지지되는 제2 링크(52')와, 상기 링크(52, 5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유압실린더부(55)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을 접고 펼치기 위한 가동수단부(50)와; 상기 메인레일(10)의 양측에 장착된 두개의 제1 승강판(30)을 메인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횡방향-이동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72046
셀프 로더, 차량, 승강판, 장비

Description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 Self Loader }
본 발명은 이송용 차량에 장착되어 유압으로 작동되면서 피이동차량의 상차를 용이하게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로더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메인레일, 토크전달구, 제1 승강판, 제2 승강판, 가동수단부, 및 횡방향-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송차량에는 셀프로더가 장착되지 않아 운전자가 피이동차량(차량 또는 건설기계 등 포함)의 상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상차용 프레임을 별도로 구비하여 가지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셀프로더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작동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자동으로 구성하는 경우 그 폭을 조절할 수 없어 바퀴의 폭이 좁은 차량(건설기계)의 경우 상차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치의 구성요소가 많아서 셀프로더를 지면에 안착시키는 과정이 효율적이 못하며, 중량의 차량(건설기계 등)을 상차시킬 수 있는 견고성을 가지면서도 장치의 자동 작동이 용이하며, 고장이 적은 셀프로더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자동으로 접을 수 있어 장치의 크기가 과대하게 크지 않으며, 접을 수 있는 구성이면서도 견고성을 갖추어 중량의 건설기계 또는 차량이 로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셀프로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폭 조절을 자동으로 할 수 있어 그 사용에 있어 피이동차량 또는 건설 기계의 차륜(무한 궤도 포함)의 폭에 제한이 없는 셀프로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면에 안착시키는 과정, 작업 후 다시 초기 위치로 환원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전술한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장치의 구성요소가 과다하지 않아 견고성, 내구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셀프로더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는 , 차량의 적재부(1) 후단의 지지구(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레일(10)과;
적재부(1)에 지지점을 갖는 제1유압실린더부(25)로부터 힘을 전달받아서, 상기 메인레일(10)을 회전시키는 토크를 발생시켜, 상기 메인레일(10)을 지지구(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토크전달구(20)와;
일측(30a)이 상기 메인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개의 제1 승강판(30)과;
일측(40a)이 상기 제1 승강판(30)의 타측(30b)과 각각 핀(57) 결합되는 두개의 제2 승강판(40)과;
상기 제1 승강판(30) 하부에 지지되는 제1 링크(52)와, 상기 제2 승강판(40) 하부에 지지되는 제2 링크(52')와, 제1 링크(52) 타측과 제2 링크(52')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결합핀(53)과, 상기 링크(52, 5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유압실린더부(55)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을 접고 펼치기 위한 가동수단부(50)와;
상기 메인레일(10)의 양측에 장착된 두개의 제1 승강판(30)을 메인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횡방향-이동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자동으로 접을 수 있어 장치의 크기가 과대하게 크지 않으며, 접을 수 있는 구성이면서도 견고성을 갖추어 중량의 건설기계 또는 차량이 로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셀프로더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우 폭 조절을 자동으로 할 수 있어 그 사용에 있어 피이동차량 또는 건설 기계의 차륜(무한 궤도 포함)의 폭에 제한이 없는 셀프로더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우 지면에 안착시키는 과정, 작업 후 다시 초기 위 치로 환원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전술한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장치의 구성요소가 과다하지 않아 견고성, 내구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셀프로더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초기상태 보이는 정면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하강중인 상태를 보이는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지면 정착상태를 보이는 정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는 메인레일(10), 토크전달구(20), 제1 승강판(30), 제2 승강판(40), 가동수단부(50), 및 횡방향-이동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에 있어 차량은 이송 차량을 의미하며, 피이동 차량은 차량(Vehicle)뿐 아니라 건설 기계 등 이송 차량에 의해 운반될 수 있고 스스로 이동 능력을 갖춘 기계(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 도 2, 또는 도 3 메인레일(10)은 차량의 적재부(1) 후단의 지지구(5)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토크전달구(20)는 적재부(1)에 지지점을 갖는 제1유압실린더부(25)로부터 힘을 전달받아서, 상기 메인레일(10)을 회전시키는 토크를 발생시켜, 상기 메인레일(10)을 지지구(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두개의 제1 승강판(30)은 일측(30a)이 메인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운데에 토크전달구(20)를 두고 메인레일(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하지만, 토크전달구(20)의 위치가 중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승강판(40)은 일측(40a)이 제1 승강판(30)의 타측(30b)과 각각 핀(57) 결합되며, 두개이다. 제2 승강판(40)은 제1 승강판(3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제1 승강판(30)과 제2 승강판(40)은 피이동차량의 승강로를 이룬다.
동수단부(50)는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을 접고 펼치기 위한 것이며, 제1 승강판(30) 하부에 지지되는 제1 링크(52)와, 제2 승강판(40) 하부에 지지되는 제2 링크(52')와, 제1 링크(52) 타측과 제2 링크(52')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결합핀(53)과, 링크(52, 5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유압실린더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횡방향-이동수단(60)은, 메인레일(10)의 양측에 장착된 두개의 제1 승강판(30)을 메인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는 도 2, 도 3, 도4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적재부(1) 후단 하부에는 차량 후방 지지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메인레일 사시도이다. 도1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레일(10)에는 상기 메인레일(10)의 중간에 구비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위치가 중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동력 수단을 하나만 사용하여도 힘의 불평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어 구성 요소가 간이하여 진다. 메인레일(10)은 토크전달구(2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양측에 각각 1 ~ 2개씩 구비된 내측 지지구(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메인레일(10)의 양단은 외측 지지구(5')에 의해 지지됨이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내측 지지구(5)와 접동되는 메인레일(10)의 접동부위(10a)는 원형의 단면을 갖으며, 메인레일(10) 중 승강판(30)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영역(10b)은 4~6각형 단면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딩영역(10b)의 단면형상이 4각형 단면을 갖게 함이 내구성과 토크력 전달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에 있어서, 제1유압실린더부(25)는 적재부의 하부에 고정된 브라켓(2)에 유압실린더(25a)의 단부가 핀 고정되고, 유압실린더(25a)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5b)의 단부는 토크전달구(20)와 핀(24)으로 결합된다.
제1유압실린더부(25)의 피스톤(25b)이 신장되면 토크전달구(20)와 메인레 일(10)이 지지구(5)를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피스톤(25b)이 당겨지면 토크전달구(20)와 메인레일(10)이 지지구(5)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근접하여 진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전달구(20)는, 굽힘력을 지탱하기 위한 보강된 몸체부(20b)가 구비되며, 몸체부(20b)의 일측에는 4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레일삽입홀(20a)이 구비되고, 몸체부(20b)의 타측에는 소정길이의 연장된 링크부(20c)가 구비되고, 연장된 링크부(20c)의 단부에 핀(24)이 삽입되는 핀홀이 구비된다.
가동수단부(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승강판 및 가동수단부 상세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내지 도4,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수단부(50)에 있어서, 제2유압실린더부(55)의 유압실린더부(55a)는 제1 승강판(30)의 하부에 구비된 브라켓(36)에 핀 지지되고, 유압실린더부(55a)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55b)의 단부는 결합핀(53)에 의해 제1 링크(52) 및 제2 링크(52')와 핀 결합된다.
결합핀(53)은 제1 링크(52) 타측과 제2 링크(52')의 타측과 피스톤(55b)의 단부를 한축으로 결합시킨다. 제1 링크(52)의 일측은 제1 승강판(30) 하부에 지지되고, 제2 링크(52')의 일측은 제2 승강판(40) 하부에 지지된다. 제1 승강판(30)과 제2 승강판(40)이 접혀진 상태에서 제2유압실린더부(55)의 피스톤(55b)이 신장 되면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이 180도까지 펼쳐지고, 피스톤(55b)이 당겨지면 제1 승강판(30)과 제2 승강판(40)이 완전히 접혀진다.
도 1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승강판(40) 하부에는 제2 링크(52')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앵글형 브라켓(47)이 구비되어, 핀을 통한 상기 제2 링크(52')의 지지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링크(52')의 일측을 지지하는 핀(52a')에 의해 전달되는 국부하중을 변형없이 지탱하여 주고, 제1 승강판(30) 하부에는 횡격판(35)가 더 구비되고, 유압실린더부(55a)를 지지하는 브라켓(36)은 상기 횡격판(35)에 지지 형성된다.
도 1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강판(30)의 타측 하부와 제2 승강판(40)의 일측 하부에는 각각 연결용 브라켓(31a, 41a)이 하부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연결용 브라켓(31a, 41a)은 서로 암수 결합으로 서로 결합된다. 제1 승강판(30)의 타측과 제2 승강판(40)의 일측을 결합하는 핀(57)은 연결용 브라켓(31a, 41a) 단부에 형성된 핀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이 180도 펼쳐졌을 때 제1 승강판(30)의 타단면(32)와 제2 승강판(40)의 일단면(42)이 접촉되어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이 180도 이상 펼쳐지는 것이 제한되고, 제2 승강판(40)의 타측에는 하부에 테이퍼진 경사부(40b)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이동수단(60)은, 토크전달구(20)에 핀 지지되는 제3 유압실린더(65a)와, 제3 유압실린더(65a)로부터 왕복운동하는 피스톤(65b)와, 피스톤(65b)이 핀 결합되고 제1 승강판(3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브라켓(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후방 지지수단(70)은 적재부에 고정 형성된 지지수단-몸체부(71)에 링크판(72)이 구비되고, 상기 링크판(72) 하부에는 경사면(74)이 구비된 판형지지판(7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로더가 차량에 장착되어 이동 중인 상태를 보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프로더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힌 상태로 이동하고 이것이 셀프로더의 초기상태가 된다. 도 8은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가 펼쳐져서 지면에 안착된 상태를 보이는 본 발명의 셀프 로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압실린더부(25)의 피스톤(25b)이 신장되면 토크전달구(20)와 메인레일(10)이 지지구(5)를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피스톤(25b)이 당겨지면 토크전달구(20)와 메인레일(10)이 지지구(5)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근접하여 진다.
도 1, 도 2 내지 도4,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강판(30)과 제2 승강판(40)이 접혀진 상태에서 제2유압실린더부(55)의 피스톤(55b)이 신장되면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이 180도까지 펼쳐지고, 피스톤(55b)이 당겨지면 제1 승강판(30)과 제2 승강판(40)이 완전히 접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전달구(20)에 핀 지지되는 제3 유압실린더(65a)와, 제3 유압실린더(65a)로부터 왕복운동하는 피스톤(65b)와, 피스톤(65b)이 핀 결합되고 제1 승강판(3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브라켓(6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횡방향-이동수단(60)은 제1 승강판(30)이 메인레일(10)을 따라 횡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며, 횡방향-이동수단(60)에 의해 두개의 제1 승강판(30) 간의 간격이 조절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초기상태 보이는 정면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하강중인 상태를 보이는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지면 정착상태를 보이는 정면 구성도.
도 5는 메인레일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승강판 및 가동수단부 상세 구성도.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의 적재부 2 : 브라켓
5, 5' : 지지구 10 : 메인레일
10a : 메인레일 접동부위 10b : 슬라이딩영역
20 : 토크전달구 20a : 레일삽입홀
20b : 몸체부 20c : 링크부
24 : 핀 25 : 제1유압실린더부
25a : 유압실린더 25b : 피스톤
30 : 제1 승강판 30a : 제1 승강판 일측
30b : 제1 승강판 타측 31a, 41a : 연결용 브라켓
32 : 제1 승강판 타단면 35 : 횡격판
36 : 브라켓 40 : 제2 승강판
42 : 제2 승강판 일단면 47 : 앵글형 브라켓
50 : 가동수단부 52 : 제1 링크
52' : 제2 링크 52a' : 핀
53 : 결합핀 55 : 제2유압실린더부
55a : 유압실린더부 55b : 피스톤
57 : 핀 60 : 횡방향-이동수단
65a : 제3 유압실린더 65b : 피스톤
70 : 차량 후방 지지수단 71 : 지지수단-몸체부
72 : 링크판 73 : 판형지지판
74 : 경사면

Claims (10)

  1.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부(1) 후단의 지지구(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레일(10)과;
    적재부(1)에 지지점을 갖는 제1유압실린더부(25)로부터 힘을 전달받아서, 상기 메인레일(10)을 회전시키는 토크를 발생시켜, 상기 메인레일(10)을 지지구(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토크전달구(20)와;
    일측(30a)이 상기 메인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개의 제1 승강판(30)과;
    일측(40a)이 상기 제1 승강판(30)의 타측(30b)과 각각 핀(57) 결합되는 두개의 제2 승강판(40)과;
    상기 제1 승강판(30) 하부에 지지되는 제1 링크(52)와, 상기 제2 승강판(40) 하부에 지지되는 제2 링크(52')와, 제1 링크(52) 타측과 제2 링크(52')의 타측을 결합시키는 결합핀(53)과, 상기 링크(52, 5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유압실린더부(55)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을 접고 펼치기 위한 가동수단부(50)와;
    상기 메인레일(10)의 양측에 장착된 두개의 제1 승강판(30)을 메인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횡방향-이동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2. 제1항에 있어서,
    적재부(1) 후단 하부에는 차량 후방 지지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달구(20)는 상기 메인레일(10)의 중간에 구비되고,
    메인레일(10)은 상기 토크전달구(20)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양측에 각각 1 ~ 2개씩 구비된 내측 지지구(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메인레일(10)의 양단은 외측 지지구(5')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내측 지지구(5)와 접동되는 메인레일(10)의 접동부위(10a)는 원형의 단면을 갖으며,
    메인레일(10) 중 승강판(30)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영역(10b)은 4~6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4. 제1항에 있어서,
    제1유압실린더부(25)는 적재부의 하부에 고정된 브라켓(2)에 유압실린더(25a)의 단부가 핀 고정되고, 유압실린더(25a)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5b)의 단부는 토크전달구(20)와 핀(24)으로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25b)이 신장되면 토크전달구(20)와 메인레일(10)이 지지구(5)를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스톤(25b)이 당겨지면 토크전달구(20)와 메인레일(10)이 지지구(5)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에 근접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달구(20)는, 굽힘력을 지탱하기 위한 보강된 몸체부(20b)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20b)의 일측에는 4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레일삽입홀(20a)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0b)의 타측에는 소정길이의 연장된 링크부(20c)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된 링크부(20c)의 단부에 핀(24)이 삽입되는 핀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6. 제1항의 상기 가동수단부(50)에 있어서,
    제2유압실린더부(55)의 유압실린더부(55a)는 제1 승강판(30)의 하부에 구비된 브라켓(36)에 핀 지지되고, 유압실린더부(55a)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55b)의 단부는 결합핀(53)에 의해 제1 링크(52) 및 제2 링크(52')와 핀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53)은 제1 링크(52) 타측과 제2 링크(52')의 타측과 피스톤(55b)의 단부를 한축으로 결합시키고,
    제1 링크(52)의 일측는 상기 제1 승강판(30) 하부에 지지되고,
    제2 링크(52')의 일측은 상기 제2 승강판(40) 하부에 지지되어,
    제1 승강판(30)과 제2 승강판(40)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부(55)의 피스톤(55b)이 신장되면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이 180까지 펼쳐지고, 상기 피스톤(55b)이 당겨지면 제1 승강판(30)과 제2 승강판(40)이 완전히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판(40) 하부에는 상기 제2 링크(52')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앵글형 브라켓(47)이 구비되어,
    핀을 통한 상기 제2 링크(52')의 지지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2 링크(52')의 일측을 지지하는 핀(52a')에 의해 전달되는 국부하중을 변형없이 지탱하여 주고,
    상기 제1 승강판(30) 하부에는 횡격판(3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부(55a)를 지지하는 브라켓(36)은 상기 횡격판(35)에 지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승강판(30)의 타측 하부와 제2 승강판(40)의 일측 하부에는 각각 연결용 브라켓(31a, 41a)이 하부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연결용 브라켓(31a, 41a)은 서로 암수 결합으로 서로 결합되며,
    제1 승강판(30)의 타측과 제2 승강판(40)의 일측을 결합하는 핀(57)은 상기 연결용 브라켓(31a, 41a) 단부에 형성된 핀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이 180도 펼쳐졌을 때 제1 승강판(30)의 타단면(32)와 제2 승강판(40)의 일단면(42)이 접촉되어 제1 승강판(30) 대비 제2 승강판(40)이 180도 이상 펼쳐지는 것이 제한되고,
    제2 승강판(40)의 타측에는 하부에 테이퍼진 경사부(40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이동수단(60)은,
    상기 토크전달구(20)에 핀 지지되는 제3 유압실린더(65a)와, 상기 제3 유압실린더(65a)로부터 왕복운동하는 피스톤(65b)와, 상기 피스톤(65b)이 핀 결합되고 상기 제1 승강판(3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브라켓(6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후방 지지수단(70)은 적재부에 고정 형성된 지지수단-몸체부(71)에 링크판(72)이 구비되고, 상기 링크판(72) 하부에는 경사면(74)이 구비된 판형지지판(7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KR1020080072046A 2008-07-24 2008-07-24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KR20100011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046A KR20100011014A (ko) 2008-07-24 2008-07-24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046A KR20100011014A (ko) 2008-07-24 2008-07-24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014A true KR20100011014A (ko) 2010-02-03

Family

ID=4208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046A KR20100011014A (ko) 2008-07-24 2008-07-24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0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171A (ko) 2015-06-16 2016-12-2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고 크레인 차량용 셀프 로더 장치
WO2023128023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틸팅형 셀프로더 갖는 트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171A (ko) 2015-06-16 2016-12-26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카고 크레인 차량용 셀프 로더 장치
WO2023128023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틸팅형 셀프로더 갖는 트럭
KR20230104351A (ko) * 2021-12-30 2023-07-10 주식회사 정우테크놀러지 틸팅형 셀프로더 갖는 트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2310B (zh) 车轮支撑悬置组件
US8328261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CN102648147B (zh) 用于叉式升降机货车的联动系统
MX2007013265A (es) Grua de elevacion movil con contrapeso de posicion variable.
US20030197352A1 (en) Retractable and expandable trailer
CN101717049B (zh) 移动式起重机及其组装方法和用于移动式起重机的耳轴
MX2009000362A (es) Maquina para colocacion de conductos.
US11772940B2 (en) Vehicle crane system having an attachment part transporting unit for a bracing device, in particular a lateral superlift, of a vehicle crane
JP4974705B2 (ja) 車輌運搬車
KR101467019B1 (ko) 차량 운반차
KR20100011014A (ko) 장비운송용 셀프 로더
CN102099532B (zh) 用于将锄耕机附件固定至运载器提升臂的锁定装置
JP2008207573A5 (ko)
KR20210019870A (ko) 세이프티 로더
KR100615920B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JP5543759B2 (ja) 貨物自動車用荷台支持脚およびこれを備える貨物自動車
IE20070552A1 (en) A road vehicle
KR100723644B1 (ko) 견인 차량용 트레일러
CN107651372A (zh) 一种折叠式装货机
JP3140094U (ja) 油圧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リフタ装置
JP5714309B2 (ja) 荷受台昇降装置
KR20020060416A (ko)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JPH08301429A (ja) 自走式コンベア
WO2009136455A1 (ja) 多目的車両
CN210437164U (zh) 摆动支腿结构及使用该摆动支腿的自装卸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